KR20230155978A - 항-CD300c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그의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Google Patents
항-CD300c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그의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5978A KR20230155978A KR1020230057374A KR20230057374A KR20230155978A KR 20230155978 A KR20230155978 A KR 20230155978A KR 1020230057374 A KR1020230057374 A KR 1020230057374A KR 20230057374 A KR20230057374 A KR 20230057374A KR 20230155978 A KR20230155978 A KR 202301559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q
- variable region
- chain variable
- antibody
- amino ac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5—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xtrus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2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hors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34—Immunoglobul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이를 이용한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상기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이를 이용한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및 상기 항-CD300c 항체 및/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AD)은 인지 및 기억 기능의 진행성 상실 및 중추신경계의 신경퇴행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대표적인 예이며, 치매의 발병 형태 중 약 50% 정도를 차지한다. AD는 아밀로이드 판, 신경원섬유 매듭, 시냅스 소실, 선택적 신경원성 세포사망의 존재 등을 특징으로 한다. 아밀로이드 판은 비정상적 수준들의 세포외 아밀로이드 베타 펩타이드로부터 유발되는 한편, 신경원섬유 매듭은 세포내 과인산화된 타우(tau) 단백질의 존재와 연관된다. 증상은 피질 연합 부위와의 관련성에 기여하는, 언어상실증(dysphasia), 통합운동장애(dyspraxia) 및 실인증(agnosia, 객체, 인간, 음향, 형태 또는 향기를 인지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건망증을 특징으로 한다. AD는 특히 65세 이후로 발병률이 증가하며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시판된 AD 치료제는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지만 일시적 증상 완화에 목적을 둔 AChE 억제제 및 NMDA 수용체 길항제가 주를 이룬다. 아밀로이드 베타를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항체 의약품인 '아두카누맙'은 2021년에 FDA 승인을 받았으며 종전의 증상 개선제와 달리 근본적인 병태생리학을 타겟으로 하는 치료법이지만 약효와 부작용 등에서 논쟁이 있다. 또한, PD-1/PD-L1 신호전달 과정을 타겟으로 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1). 이 연구는 PD-1/PD-L1 신호전달의 차단으로 뇌 실질에 단핵구-유래 마크로파지가 증가하였고, 결과적으로 플라크 및 뇌병변의 감소를 통한 면역학적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D 치료제 개발은 난이도가 높고 성공확률이 매우 낮지만, 고령화 사회의 가속화, AD 환자의 증가 및 AD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증상 완화 약품이 아닌 근본적인 치료 약품의 다양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CD300c(CD300 antigen-like family member C) 단백질은 인간에서 CD300c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로서, 다양한 종양 세포 및 단핵구 표면에 존재하고, CD300c 단백질의 활성 또는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이를 통한 면역 기능 개선(예컨대, T 세포 활성화)에 의해 암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특허문헌 1).
1. Rosenzweig, N., Dvir-Szternfeld, R., Tsitsou-Kampeli, A., Keren-Shaul, H., Ben-Yehuda, H., Weill-Raynal, P., Cahalon, L., Kertser, A., Baruch, K., Amit, I., Weiner, A., & Schwartz, M. PD-1/PD-L1 checkpoint blockade harnesses monocyte-derived macrophages to combat cognitive impairment in a tauopathy mouse model. Nature Communications, 10(1) (20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항체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는 단핵구로부터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촉진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및 면역치료제에 비해 상기 촉진능이 증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MDM은 M1-MD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CD300c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원 결합 분자를 의미하며, CD300c의 반응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CD300c"는 "CD300c 단백질"은 또는 "CD300c 항원"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면역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 표면 세포인 CD300 패밀리의 일종으로서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암세포, 또는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는 면역학적으로 특정 항원과 반응성을 갖는 면역글로불린 또는 이의 일부를 포함하는, 항원성 부위를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단백질성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다클론 항체, 단일클론 항체, 전체(whole) 항체, 및 항체 단편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는 마우스, 인간, 토끼, 및 래트 항체 등 이의 유래에 제한되지 않고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동물 항체, 키메라성 항체(예를 들면, 인간화 뮤린 항체), 인간화(humanized)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이가(bivalent) 또는 이중특이성 분자(예를 들어, 이중특이성 항체), 디아바디(diabody), 트리아바디(triabody), 테트라바디(tetrabody), 미니바디(minibody), 및 항체 융합체(예를 들어, 항체와 (폴리)펩티드의 융합체 또는 항체와 화합물의 융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추가로 FcRn(neonatal Fc receptor)에 대한 결합 기능을 보유한 단쇄 항체, 스캡, 항체 불변 영역의 유도체, 및 단백질 스캐폴드에 기초한 인공 항체를 포함한다. 전체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light chain; LC)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heavy chain; HC)를 가지는 구조이며,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다이설파이드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체 항체는 IgA, IgD, IgE, IgM 및 IgG와 같은 임의의 항체를 포함하며, IgG는 아형(subtype)으로, IgG1, IgG2, IgG3 및 IgG4를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는, 각 유전자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상기 마커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얻고, 얻어진 단백질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접두사 "항-"은 항원과 관련된 경우, 해당 항체가 해당 항원과 반응성임을 의미한다. 특정 항원과 반응성인 항체는 파지 또는 유사한 벡터에서 재조합 항체 라이브러리의 선별과 같은 합성 및/또는 재조합 방법에 의해, 또는 항원 또는 항원-코딩 핵산을 사용한 동물의 면역화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는 CD300c과 반응성인 항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편" 또는 "항체 단편"은 항체의 임의의 일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scFv, dsFv, Fab, Fab', F(ab')2, Fc, Fd, sdAb 및 나노바디(nanobody) 등 및 이들의 조합이 항체 단편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기 항체 단편은 항원인식 부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원 결합 단편"은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는 단편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항원 결합 단편은 항원성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 부위를 포함하는 단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Fd는 Fab 단편에 포함되어 있는 중쇄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 영역(variable region)과 경쇄의 불변영역(constant region)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영역(CH1 도메인)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진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 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variable fragment)는 중쇄 가변부위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조각을 의미한다. 이중디설파이드 Fv(dsFv)는 디설파이드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고, 단쇄 Fv(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가변영역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중디설파이드 단쇄 Fv는 단쇄 Fv에서 추가로 디설파이드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sdAb 및 나노바디는 단일 가변 도메인 항체단편으로, 예를 들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단일 가변 도메인(VH)과 2개의 불변 도메인(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 항체 중 그 가변 도메인을 단백질 가수분해 혹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한 항체단편 및 항체 경쇄 혹은 중쇄 가변 도메인을 인공적으로 변형하여 제작한 단일 도메인 항체단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항체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거나 (예를 들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며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일클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체 집단에서 수득한 단일 분자 조성의 항체 분자를 지칭하고, 이러한 단일클론 항체는 특정 항원결정부위에 대해 단일 결합 특이성 및 친화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항체는 중쇄 및 경쇄를 가지며 각각의 중쇄 및 경쇄는 불변 영역 및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경쇄 및 중쇄의 가변 영역은, 상보성 결정 영역(complementarity-determining region, CDR)이라 불리는 3개의 다변가능한 영역 및 4개의 구조 영역(FR)을 포함한다.
상기 CDR은 주로 항원의 항원결정부위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사슬의 CDR은 전형적으로 N-말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CDR1, CDR2, CDR3로 불리고, 또한 특정 CDR이 위치하고 있는 사슬에 의해서 식별된다. 상기 상보성 결정 영역은 비교적 보존적인, 불변 영역(FR)로 불리는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VH(중쇄 가변영역) 및 VL(경쇄 가변영역)은 세 개의 CDR 및 네 개의 FR로 이루어지며, 아미노-말단에서 카복시-말단까지 다음의 순서로 배열된다: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은 항원과 상호작용하는 결합 도메인을 함유한다. 중쇄가변영역의 CDR은 HCDR1, HCDR2, 및 HCDR3으로, 경쇄가변영역의 CDR은 LCDR1, LCDR2, 및 LCDR3으로, 중쇄가변영역의 FR은 HFR1, HFR2, HFR3, 및 HFR4로, 경쇄가변영역의 FR은 LFR1, LFR2, LFR3, 및 LFR4로 지칭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i) 서열번호 7,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31, 서열번호 43, 서열번호 55, 서열번호 67, 서열번호 79, 서열번호 91, 서열번호 103, 서열번호 115, 서열번호 127, 서열번호 139, 서열번호 151, 서열번호 163, 서열번호 175, 서열번호 187, 서열번호 199, 서열번호 211, 서열번호 223, 서열번호 235, 서열번호 247, 서열번호 259, 서열번호 271, 서열번호 283 및 서열번호 29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32, 서열번호 44, 서열번호 56, 서열번호 68, 서열번호 80, 서열번호 92, 서열번호 104, 서열번호 116, 서열번호 128, 서열번호 140, 서열번호 152, 서열번호 164, 서열번호 176, 서열번호 188, 서열번호 200, 서열번호 212, 서열번호 224, 서열번호 236, 서열번호 248, 서열번호 260, 서열번호 272, 서열번호 284 및 서열번호 29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9, 서열번호 21, 서열번호 33, 서열번호 45, 서열번호 57, 서열번호 69, 서열번호 81, 서열번호 93, 서열번호 105, 서열번호 117, 서열번호 129, 서열번호 141, 서열번호 153, 서열번호 165, 서열번호 177, 서열번호 189, 서열번호 201, 서열번호 213, 서열번호 225, 서열번호 237, 서열번호 249, 서열번호 261, 서열번호 273, 서열번호 285 및 서열번호 29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ii)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34, 서열번호 46, 서열번호 58, 서열번호 70, 서열번호 82, 서열번호 94, 서열번호 106, 서열번호 118, 서열번호 130, 서열번호 142, 서열번호 154, 서열번호 166, 서열번호 178, 서열번호 190, 서열번호 202, 서열번호 214, 서열번호 226, 서열번호 238, 서열번호 250, 서열번호 262, 서열번호 274, 서열번호 286 및 서열번호 29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23, 서열번호 35, 서열번호 47, 서열번호 59, 서열번호 71, 서열번호 83, 서열번호 95, 서열번호 107, 서열번호 119, 서열번호 131, 서열번호 143, 서열번호 155, 서열번호 167, 서열번호 179, 서열번호 191, 서열번호 203, 서열번호 215, 서열번호 227, 서열번호 239, 서열번호 251, 서열번호 263, 서열번호 275, 서열번호 287 및 서열번호 29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24, 서열번호 36, 서열번호 48, 서열번호 60, 서열번호 72, 서열번호 84, 서열번호 96, 서열번호 108, 서열번호 120, 서열번호 132, 서열번호 144, 서열번호 156, 서열번호 168, 서열번호 180, 서열번호 192, 서열번호 204, 서열번호 216, 서열번호 228, 서열번호 240, 서열번호 252, 서열번호 264, 서열번호 276, 서열번호 288 및 서열번호 30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중쇄 가변 영역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에서 첫번째 아미노산으로부터 CDR1 이전까지의 아미노산 서열은 중쇄 가변 영역의 FR1; CDR1 다음부터 CDR2 이전까지의 아미노산 서열은 중쇄 가변 영역의 FR2; CDR2 다음부터 CDR3 이전까지의 아미노산 서열을 중쇄 가변 영역의 FR3; CDR3 다음부터 중쇄 가변 영역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의 마지막 아미노산까지의 서열은 중쇄 가변 영역의 FR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경쇄 가변 영역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에서 첫번째 아미노산으로부터 CDR1 이전까지의 아미노산 서열은 경쇄 가변 영역의 FR1; CDR1 다음부터 CDR2 이전까지의 아미노산 서열은 경쇄 가변 영역의 FR2; CDR2 다음부터 CDR3 이전까지의 아미노산 서열을 경쇄 가변 영역의 FR3; CDR3 다음부터 경쇄 가변 영역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의 마지막 아미노산까지의 서열은 경쇄 가변 영역의 FR4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쇄 가변 영역의 FR1 내지 FR4 및 경쇄 가변 영역의 FR1 내지 FR4의 폴리뉴클레오티드도 아미노산 서열과 마찬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항체에서 중쇄 가변 영역의 FR1 내지 FR4 및 경쇄 가변 영역의 FR1 내지 FR4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00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i) 서열번호 79, 서열번호 115 및 서열번호 2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0, 서열번호 116 및 서열번호 21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1, 서열번호 117 및 서열번호 21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ii) 서열번호 82, 서열번호 118 및 서열번호 21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3, 서열번호 119 및 서열번호 21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4, 서열번호 120 및 서열번호 21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현 예의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하기 (i) 내지 (iii)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i) 서열번호 79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0으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1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2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3으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4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 (ii) 서열번호 115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16으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117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18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19으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120으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 및 (iii) 서열번호 211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212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213으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14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215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216으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
전술한 구현 예의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i) 서열번호 7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ii) 서열번호 8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열번호 303, 서열번호 307, 서열번호 311, 서열번호 315, 서열번호 319, 서열번호 323, 서열번호 327, 서열번호 331, 서열번호 335, 서열번호 339, 서열번호 343, 서열번호 347, 서열번호 351, 서열번호 355, 서열번호 359, 서열번호 363, 서열번호 367, 서열번호 371, 서열번호 375, 서열번호 379, 서열번호 383, 서열번호 387, 서열번호 391, 서열번호 395, 및 서열번호 399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04, 서열번호 308, 서열번호 312, 서열번호 316, 서열번호 320, 서열번호 324, 서열번호 328, 서열번호 332, 서열번호 336, 서열번호 340, 서열번호 344, 서열번호 348, 서열번호 352, 서열번호 356, 서열번호 360, 서열번호 364, 서열번호 368, 서열번호 372, 서열번호 376, 서열번호 380, 서열번호 384, 서열번호 388, 서열번호 392, 서열번호 396, 및 서열번호 400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현 예의 일 구현 예로,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열번호 327, 서열번호 339, 및 서열번호 371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8, 서열번호 340, 및 서열번호 37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현 예의 일 구현 예로,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열번호 327로 구성되는 중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8로 구성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305, 서열번호 309, 서열번호 313, 서열번호 317, 서열번호 321, 서열번호 325, 서열번호 329, 서열번호 333, 서열번호 337, 서열번호 341, 서열번호 345, 서열번호 349, 서열번호 353, 서열번호 357, 서열번호 361, 서열번호 365, 서열번호 369, 서열번호 373, 서열번호 377, 서열번호 381, 서열번호 385, 서열번호 389, 서열번호 393, 서열번호 397, 및 서열번호 34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코딩되고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경쇄가변영역은 서열번호 306, 서열번호 310, 서열번호 314, 서열번호 318, 서열번호 322, 서열번호 326, 서열번호 330, 서열번호 334, 서열번호 338, 서열번호 342, 서열번호 346, 서열번호 350, 서열번호 354, 서열번호 358, 서열번호 362, 서열번호 366, 서열번호 370, 서열번호 374, 서열번호 378, 서열번호 382, 서열번호 386, 서열번호 390, 서열번호 394, 서열번호 398, 및 서열번호 402중 어느 하나에 의해 코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아래 식 (1) 내지 (3)으로 각각 표현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내지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아래 식 (4) 내지 (6)으로 각각 표현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내지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FTFX1X2X3X4MX5WVR (1)
상기 식에서,
X1= G 또는 S
X2= S, R 또는 D
X3= N 또는 Y
X4= Y, A, G 또는 H
X5= S 또는 H
X1ISX2SGX3X4TYYAX5 (2)
상기 식에서,
X1= T 또는 A
X2= G 또는 S
X3= T 또는 G
X4= S 또는 Y
X5= D 또는 E
YCAX1X2X3X4X5X6X7X8X9W (3)
상기 식에서,
X1= R 또는 S
X2= G 또는 S
X3= M, S, Y 또는 I
X4= W, Q, G 또는 R
X5= G 또는 L
X6= M, I 또는 P
X7= D, F 또는 L
X8= V 또는 D
X9= I, Y 또는 존재하지 않음
CX1X2X3X4X5X6X7X8X9X10X11VX12W (4)
상기 식에서,
X1= T 또는 S
X2= G 또는 R
X3= K, N 또는 S
X4= H, N 또는 S
X5= R, I 또는 G
X6= H, G 또는 I
X7= T, I 또는 S
X8= R, A, K, 또는 존재하지 않음
X9= R, S, G, 또는 존재하지 않음
X10= N 또는 존재하지 않음
X11= Y 또는 존재하지 않음
X12= N, H 또는 Q
X1X2X3X4RPSGVX5 (5)
상기 식에서,
X1= L, S, R 또는 E
X2= D, K 또는 N
X3= S 또는 N
X4= E, N, Q 또는 K
X5= P 또는 R
YCX1X2X3X4X5X6X7X8X9X10VF (6)
상기 식에서,
X1= Q, A, 또는 S
X2= S 또는 A
X3= Y 또는 W
X4= D 또는 A
X5= S, D 또는 G
X6= S, N 또는 T
X7= S, L, N 또는 K
X8= V, S, N 또는 G
X9= G, L, V 또는 존재하지 않음
X10 = P 또는 존재하지 않음.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 및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표 1에 도시되어 있는 CK1, CK2, CK3, CL4, CL5, CL6, CB201, CL8, CL9, CL10, SK11, SK12, SK13, SK14, SK15, SK16, SK17, SL18, CB301_H3L1_A10, CB301_H3L1_A12, CB301_H3L1_E6, CB301_H3L1_F4, CB301_H3L1_G11, CB301_OPALTL_B5 및 CB301_OPALTL_E6의 25종 중 하나 이상의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항체 | 파지 종류 | 도메인 | 아미노산 서열(CDR1, CDR2 및 CDR3는 순서대로 굵게 표시되고 밑줄 그어져 있음) | 서열 번호 | |
CK1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RYAMTWVR QAPGKGLEWVS SMSGTGGT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GAYGFDHW GQGTLVTVSS | 303 |
CDR1 | FTFSRYAMTWVR | 7 | |||
CDR2 | SMSGTGGTTYYAD | 8 | |||
CDR3 | YCARGAYGFDHW | 9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RASQSIGNYLNW YQQKPGQAPRLLIY DASNLET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SSAIPYTF GQGTKVEIK | 304 | ||
CDR1 | CRASQSIGNYLNW | 10 | |||
CDR2 | DASNLETGIP | 11 | |||
CDR3 | YCQQSSAIPYTF | 12 | |||
CK2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GMHWVR QAPGKGLEWVS AISGSGTSI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GGTAFDYW GQGTLVTVSS | 307 |
CDR1 | FTFSSYGMHWVR | 19 | |||
CDR2 | AISGSGTSIYYAD | 20 | |||
CDR3 | YCARGGTAFDYW | 21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RASQRSDNYLAW YQQKPGQAPRLLIY DASNRAT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SYSTPFTF GQGTKVETK | 308 | ||
CDR1 | CRASQRSDNYLAW | 22 | |||
CDR2 | DASNRATGIP | 23 | |||
CDR3 | YCQQSYSTPFTF | 24 | |||
CK3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AISWVR QAPGKGLEWVS ATSGSGRA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DTWWEGYFDLW GQGTLVTVSS | 311 |
CDR1 | FTFSSYAISWVR | 31 | |||
CDR2 | ATSGSGRATYYAD | 32 | |||
CDR3 | YCARDTWWEGYFDLW | 33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QASHISTHLNW YQQKPGQAPRLLIY GASSRAT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YNTYPPTF GQGTKVEIK | 312 | ||
CDR1 | CQASHISTHLNW | 34 | |||
CDR2 | GASSRATGIP | 35 | |||
CDR3 | YCQQYNTYPPTF | 36 | |||
CL4 | 람다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GSNYMSWVR QAPGKGLEWVS TISGSGTSTYYAD SL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GMWGMDVW GQGTLVTVSS | 315 |
CDR1 | FTFGSNYMSWVR | 43 | |||
CDR2 | TISGSGTSTYYAD | 44 | |||
CDR3 | YCARGMWGMDVW | 45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TGKHRHTVNW YQLLPGTAPKLLIY LDSE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QSYDSSSVVF GGGTKLTVL | 316 | ||
CDR1 | CTGKHRHTVNW | 46 | |||
CDR2 | LDSERPSGVP | 47 | |||
CDR3 | YCQSYDSSSVVF | 48 | |||
CL5 | 람다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AMHWVR QAPGKGLEWVS SISGGGYG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STVWAFDIW GQGTLVTVSS | 319 |
CDR1 | FTFSSYAMHWVR | 55 | |||
CDR2 | SISGGGYGTYYAD | 56 | |||
CDR3 | YCARSTVWAFDIW | 57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NNIGSKSVHW YQQLPGTAPKLLIY DVSKRPSERPD RFSGSKSGTSASLAISDLRSEDEADY YCQSFDSSGTWIF GGGTKLTVL | 320 | ||
CDR1 | CSGNNIGSKSVHW | 58 | |||
CDR2 | DVSKRPSERPD | 59 | |||
CDR3 | YCQSFDSSGTWIF | 60 | |||
CL6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GMH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VSGAGRGFFDYW GQGTLVTVSS | 323 |
CDR1 | FTFSSYGMHWVR | 67 | |||
CDR2 | AISGSGGSTYYAD | 68 | |||
CDR3 | YCAVSGAGRGFFDYW | 69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SSSNIGSNYVYW YQQLPGTAPKLLIY EDNK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SSYTSSSTVIF GGGTKLTVL | 324 | ||
CDR1 | CSGSSSNIGSNYVYW | 70 | |||
CDR2 | EDNKRPSGVP | 71 | |||
CDR3 | YCSSYTSSSTVIF | 72 | |||
CB201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RYAMS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SSQGIFDIW GQGTLVTVSS | 327 |
CDR1 | FTFSRYAMSWVR | 79 | |||
CDR2 | AISGSGGSTYYAD | 80 | |||
CDR3 | YCARSSQGIFDIW | 81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NNIGTRRVHW YQQLPDTAPKLLIY SKNN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AAWDDSLSGPVF GGGTKLTVL | 328 | ||
CDR1 | CSGNNIGTRRVHW | 82 | |||
CDR2 | SKNNRPSGVP | 83 | |||
CDR3 | YCAAWDDSLSGPVF | 84 | |||
CL8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AMS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NNSKNTLYLQMNSLRAEDTAVY YCARSGRYADLTSG GQGTLVTVSS | 331 |
CDR1 | FTFSSYAMSWVR | 91 | |||
CDR2 | AISGSGGSTYYAD | 92 | |||
CDR3 | YCARSGRYADLTSG | 93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SNSNIGNNYVSW YQQLPDTPPKLLIY DNNK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SSYTSSSTVMF GGGTKLTVL | 332 | ||
CDR1 | CSGSNSNIGNNYVSW | 94 | |||
CDR2 | DNNKRPSGVP | 95 | |||
CDR3 | YCSSYTSSSTVMF | 96 | |||
CL9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YWS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IDVYGFDIW GQGTLVTVSS | 335 |
CDR1 | FTFSSYYWSWVR | 103 | |||
CDR2 | AISGSGGSTYYAD | 104 | |||
CDR3 | YCARIDVYGFDIW | 105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STSNIGTNYVYW YQQLPGTAPKLLIY DNNN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QTWDSSTDVVF GGGTKLTVL | 336 | ||
CDR1 | CSGSTSNIGTNYVYW | 106 | |||
CDR2 | DNNNRPSGVP | 107 | |||
CDR3 | YCQTWDSSTDVVF | 108 | |||
CL10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GMH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SGYGLMDVW GQGTLVTVSS | 339 |
CDR1 | FTFSSYGMHWVR | 115 | |||
CDR2 | AISGSGGSTYYAD | 116 | |||
CDR3 | YCASGYGLMDVW | 117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TRSSGIIASNYVQW YQQLPGTAPKLLIY RNNQ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SSYAGNNNLVF GGGTKLTVL | 340 | ||
CDR1 | CTRSSGIIASNYVQW | 118 | |||
CDR2 | RNNQRPSGVP | 119 | |||
CDR3 | YCSSYAGNNNLVF | 120 | |||
SK11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TYGMH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GLSGLDYW GQGTLVTVSS | 343 |
CDR1 | FTFSTYGMHWVR | 127 | |||
CDR2 | AISGSGGSTYYAD | 128 | |||
CDR3 | YCARGLSGLDYW | 129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RSSQGITNYLAW YQQKPGQAPRLLIY DASNRAT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SYSTPLTF GQGTKVEIK | 344 | ||
CDR1 | CRSSQGITNYLAW | 130 | |||
CDR2 | DASNRATGIP | 131 | |||
CDR3 | YCQQSYSTPLTF | 132 | |||
SK12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AMHWVR QAPGKGLEWVS AISGSGGDTYH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TRGLSGFDYW GQGTLVTVSS | 347 |
CDR1 | FTFSSYAMHWVR | 139 | |||
CDR2 | AISGSGGDTYHAD | 140 | |||
CDR3 | YCTRGLSGFDYW | 141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RASQSISSYLNW YQQKPGQAPRLLIY DASNRAP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SYSIPITF GQGTKVEIKFSD | 348 | ||
CDR1 | CRASQSISSYLNW | 142 | |||
CDR2 | DASNRAPGIP | 143 | |||
CDR3 | YCQQSYSIPITF | 144 | |||
SK13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DYAMSWVR QAPGKGLEWVS SISSSSSYIYYT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GGYGFDYW GQGTLVTVSS | 351 |
CDR1 | FTFSDYAMSWVR | 151 | |||
CDR2 | SISSSSSYIYYTD | 152 | |||
CDR3 | YCARGGYGFDYW | 153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RASQSISSYLNW YQQKPGQAPRLLIY SASSRPQ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YDDLPFTF GQGTKVEIK | 352 | ||
CDR1 | CRASQSISSYLNW | 154 | |||
CDR2 | SASSRPQGIP | 155 | |||
CDR3 | YCQQYDDLPFTF | 156 | |||
SK14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NFAIAWVR QAPGKGLEWVS AISGRGT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GVSGFDSW GQGTLVTVSS | 355 |
CDR1 | FTFSNFAIAWVR | 163 | |||
CDR2 | AISGRGTSTYYAD | 164 | |||
CDR3 | YCARGVSGFDSW | 165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RASQSISSHLAW YQQKPGQAPRLLIY DTSNRAT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SYSTPFTF GQGTKVEIK | 356 | ||
CDR1 | CRASQSISSHLAW | 166 | |||
CDR2 | DTSNRATGIP | 167 | |||
CDR3 | YCQQSYSTPFTF | 168 | |||
SK15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AMHWVR QAPGKGLEWVS AIN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TNSLRAEDTAVY YCARGLQGFDYW GQGTLVTVSS | 359 |
CDR1 | FTFSSYAMHWVR | 175 | |||
CDR2 | AINGSGGSTYYAD | 176 | |||
CDR3 | YCARGLQGFDYW | 177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QASQDITNYLNW YQQKPGQAPRLLIY DASSLET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SYSTPITF GQGTKVEIK | 360 | ||
CDR1 | CQASQDITNYLNW | 178 | |||
CDR2 | DASSLETGIP | 179 | |||
CDR3 | YCQQSYSTPITF | 180 | |||
SK16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AMSWVR QAPGKGLEWVS AINGSGGSTL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GVSGFDSW GQGTLVTVSS | 363 |
CDR1 | FTFSSYAMSWVR | 187 | |||
CDR2 | AINGSGGSTLYAD | 188 | |||
CDR3 | YCARGVSGFDSW | 189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RISQSISSYLNW YQQKPGQAPRLLIY DASLRAT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 YYCQQSYKTPITF GQGTKVEIK | 364 | ||
CDR1 | CRISQSISSYLNW | 190 | |||
CDR2 | DASLRATGIP | 191 | |||
CDR3 | YYCQQSYKTPITF | 192 | |||
SK17 | 카파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YWSWVR QAPGKGLEWVS TITGSGGSTDYAN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TGGGIFDYW GQGTLVTVSS | 367 |
CDR1 | FTFSSYYWSWVR | 199 | |||
CDR2 | TITGSGGSTDYAN | 200 | |||
CDR3 | YCATGGGIFDYW | 201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EIVLTQSPGTLSLSPGERATLS CQASQTISNYLNW YQQKPGQAPRLLIY DASNRATGIP DRFSGSGSGTDFTLTISRLEPEDFAVY YCQQYNSYPPSF GQGTKVEIK | 368 | ||
CDR1 | CQASQTISNYLNW | 202 | |||
CDR2 | DASNRATGIP | 203 | |||
CDR3 | YCQQYNSYPPSF | 204 | |||
SL18 | 람다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DYHMHWVR QAPGKGLEWVS TISSSGGYTYYAE SVKS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SIRLPLDYW GQGTLVTVSS | 371 |
CDR1 | FTFSDYHMHWVR | 211 | |||
CDR2 | TISSSGGYTYYAE | 212 | |||
CDR3 | YCARSIRLPLDYW | 213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NNIGSKGVHW YQQLPGTAPKLLIY EDSKRPSGVR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QSYDSTKGVVF GGGTKLTVL | 372 | ||
CDR1 | CSGNNIGSKGVHW | 214 | |||
CDR2 | EDSKRPSGVR | 215 | |||
CDR3 | YCQSYDSTKGVVF | 216 | |||
CB301_H3L1_A10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SGGSLRLSCAASG FTFSSYGMH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VRGYGAMDVW GQGTLVTVSS | 375 |
CDR1 | FTFSSYGMHWVR | 223 | |||
CDR2 | AISGSGGSTYYAD | 224 | |||
CDR3 | YCVRGYGAMDVW | 225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TRSSGSIASNYVQW YQQLPGTAPKLLIY RNNQ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SSYTTSSTLVF GGGTKLTVL | 376 | ||
CDR1 | CTRSSGSIASNYVQW | 226 | |||
CDR2 | RNNQRPSGVP | 227 | |||
CDR3 | YCSSYTTSSTLVF | 228 | |||
CB301_H3L1_A12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AMH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KDTAVY YCASGYGLMDVW GQGTLVTVSS | 379 |
CDR1 | FTFSSYAMHWVR | 235 | |||
CDR2 | AISGSGGSTYYAD | 236 | |||
CDR3 | YCASGYGLMDVW | 237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TGTSSDVGNYNLVSW YQQLPGTAPKLLIY SNNQ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SSYTGSNALLF GGGTKLTVL | 380 | ||
CDR1 | CTGTSSDVGNYNLVSW | 238 | |||
CDR2 | SNNQRPSGVP | 239 | |||
CDR3 | YCSSYTGSNALLF | 240 | |||
CB301_H3L1_E6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AMS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WHYSFDYW GQGTLVTVSS | 383 |
CDR1 | FTFSSYAMSWVR | 247 | |||
CDR2 | AISGSGGSTYYAD | 248 | |||
CDR3 | YCARWHYSFDYW | 249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RGNNIGSKRVHW YQQLPGTAPKLLIY SYNHRPSGVP DRFSGSKSGTSASLAITGLRSEDEADY YCNTWDDSLEGPVF GGGTKLTVL | 384 | ||
CDR1 | CRGNNIGSKRVHW | 250 | |||
CDR2 | SYNHRPSGVP | 251 | |||
CDR3 | YCNTWDDSLEGPVF | 252 | |||
CB301_H3L1_F4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GYAMS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SPSGLFDYW GQGTLVTVSS | 387 |
CDR1 | FTFSGYAMSWVR | 259 | |||
CDR2 | AISGSGGSTYYAD | 260 | |||
CDR3 | YCARSPSGLFDYW | 261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GGNNIGSKRVHW YQQLPGTAPKLLIY NTSNKH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SSYLQQHSLF GGGTKLTVL | 388 | ||
CDR1 | CGGNNIGSKRVHW | 262 | |||
CDR2 | NTSNKHSGVP | 263 | |||
CDR3 | YCSSYLQQHSLF | 264 | |||
CB301_H3L1_G11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SSASSCAASG FTFSSYAMS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TRFVGAIGAFDYW GQGTLVTVSS | 391 |
CDR1 | FTFSSYAMSWVR | 271 | |||
CDR2 | AISGSGGSTYYAD | 272 | |||
CDR3 | YCTRFVGAIGAFDYW | 273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NNIGSRSVHW YQQLPGTAPKLLIY RNNQ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AAWDDSLSGPVF GGGTKLTVL | 392 | ||
CDR1 | CSGNNIGSRSVHW | 274 | |||
CDR2 | RNNQRPSGVP | 275 | |||
CDR3 | YCAAWDDSLSGPVF | 276 | |||
CB301_OPALTL_B5 | OPALTL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HYAMS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GWDSPTLTYFDSW GQGTLVTVSS | 395 |
CDR1 | FTFSHYAMSWVR | 283 | |||
CDR2 | AISGSGGSTYYAD | 284 | |||
CDR3 | YCARGWDSPTLTYFDSW | 285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TSSNIGNNDVSW YQQLPGTAPKLLIY QDTK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AAWDDSLSGPVF GGGTKLTVL | 396 | ||
CDR1 | CSGTSSNIGNNDVSW | 286 | |||
CDR2 | QDTKRPSGVP | 287 | |||
CDR3 | YCAAWDDSLSGPVF | 288 | |||
CB301_OPALTL_E6 | OPALTL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GMHWVR QAPGKGLEWVS AISGSGGY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WHYSFDYW GQGTLVTVSS | 399 |
CDR1 | FTFSSYGMHWVR | 295 | |||
CDR2 | AISGSGGYTYYAD | 296 | |||
CDR3 | YCARWHYSFDYW | 297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SSSNIGNNYVSW YQQLPGTAPKLLIY RNNQ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QSYDNSNVLF GGGTKLTVL | 400 | ||
CDR1 | CSGSSSNIGNNYVSW | 298 | |||
CDR2 | RNNQRPSGVP | 299 | |||
CDR3 | YCQSYDNSNVLF | 300 |
본 발명에 있어서, 가변 영역의 CDR은 Kabat 등에 의해 고안된 시스템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정되었으며(문헌[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5t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 참조) 본 발명에 사용된 CDR 넘버링은 Kabat 방법을 사용했지만, 이외에 IMGT 방법, Chothia 방법, AbM 방법 등 다른 방법에 따라 결정된 CDR을 포함하는 항체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항체가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IgG, IgA, IgD, IgE, IgM 유래 또는 이들의 조합(combination) 또는 이들의 혼성(hybrid)에 의한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조합(combination)"은 이량체 또는 다량체를 형성할 때, 동일 기원 단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암호화하는 폴리펩타이드가 상이한 기원의 단쇄 폴리펩타이드와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예로, IgG, IgA, IgD, IgE 및 IgM의 불변 영역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불변 영역으로부터 이량체 또는 다량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하이브리드(hybrid)"는 단쇄 면역 글로불린 중쇄 불변 영역 내에 2개 이상의 상이한 기원의 면역글로불린 중쇄 불변 영역에 해당하는 서열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그 예로 IgG, IgA, IgD, IgE 및 IgM의 CH1, CH2, CH3 및 CH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도메인의 하이브리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항체는 가변영역 및 불변영역의 유래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CDR, 이를 제외한 가변영역 및 불변영역의 유래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구현 예의 일 구현 예로, 상기 항-CD300c 항체 및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표 1에 제시된 CDR 서열 또는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영역 서열과 비교하여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단편이 본 발명과 동일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특성을 갖는 한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단편의 기능을 유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행하는 수준으로 제작된 변이체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는 분자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내로 적절한 변형을 도입함으로써 또는 펩티드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로부터의 잔기의 결실, 및/또는 그러한 아미노산 서열 내로의 잔기의 삽입 및/또는 그러한 아미노산 서열 내에서의 잔기의 치환을 포함한다. 최종 구성물에 도달하도록 결실, 삽입 및 치환의 임의의 조합이 수행될 수 있지만, 최종 구성물은 원하는 특성, 예를 들어, 항원-결합 특성을 보유해야 한다. 치환 돌연변이 유발을 위한 관심있는 부위는 중쇄 가변 영역(HVR) 및 골격 영역(FR)을 포함한다. 보존적 치환은 표 2에 "바람직한 치환"이라는 항목 아래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하에 아미노산 측쇄 부류 (1) 내지 (6)과 관련하여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아미노산 치환은 관심있는 분자 및 원하는 활성, 예를 들어, 유지/개선된 항원 결합, 감소된 면역원성, 또는 개선된 ADCC 혹은 CDC에 대해 스크리닝된 생성물에 도입될 수 있다.
원래 잔기 | 예시적 치환 | 바람직한 치환 |
Ala(A) | Val; Leu; Ile | Val |
Arg(R) | Lys; Gln; Asn | Lys |
Asn(N) | Gln; His; Asp; Lys; Arg | Gln |
Asp(D) | Glu; Asn | Glu |
Cys(C) | Ser; Ala | Ser |
Gln(Q) | Asn; Glu | Asn |
Glu(E) | Asp; Gln | Asp |
Gly(G) | Ala | Ala |
His(H) | Asn; Gln; Lys; Arg | Arg |
Ile(I) | Leu; Val; Met; Ala; Phe; Norleucine | Leu |
Leu(L) | Norleucine; Ile; Val; Met; Ala; Phe | Ile |
Lys(K) | Arg; Gln; Asn | Arg |
Met(M) | Leu; Phe; Ile | Ile |
Phe(F) | Trp; Leu; Val; Ile; Ala; Tyr | Tyr |
Pro(P) | Ala | Ala |
Ser(S) | Thr | Thr |
Thr(T) | Val; Ser | Ser |
Trp(W) | Tyr; Phe | Tyr |
Tyr(Y) | Trp; Phe; Thr; Ser | Phe |
Val(V) | Ile; Leu; Met; Phe; Ala; 노르류신(Norleucine) | Leu |
아미노산들은 통상적인 측쇄 성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그룹화될 수 있다:
(1) 소수성: 노르류신, Met, Ala, Val, Leu, Ile;
(2) 중성 친수성: Cys, Ser, Thr, Asn, Gln;
(3) 산성: Asp, Glu;
(4) 염기성: His, Lys, Arg;
(5) 쇄 배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 Gly, Pro;
(6) 방향족: Trp, Tyr, Phe.
비-보존적 치환은 이러한 부류 중 하나의 구성원을 다른 부류로 교환하는 것을 수반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는 모 항체 결합 분자(예를 들어, 인간화 혹은 인간 항체)의 하나 이상의 초가변 영역 잔기에 아미노산 치환이 존재하는 실질적인 변이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추가 연구를 위해 선택되고 생성된 변이체는 모 항체 결합 분자에 비해 특정한 생물학적 특성의 변형, 예컨대 개선(예를 들어, 증가된 친화도, 감소된 면역원성)을 갖고/갖거나 모 항원 결합 분자의 특정한 생물학적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것이다. 예시적인 치환 변이체는 친화도 성숙 항체이며, 이는, 예를 들어, 당업계에 공지된 파지 디스플레이-기반 친화도 성숙 기법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생성될 수 있다. 간략하게 말하면, 하나 이상의 HVR(Hyper-variable region) 잔기가 돌연변이되고, 변이체 항원 결합 분자가 파지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특정 생물학적 활성(예를 들어, 결합 친화도)이 스크리닝된다. 특정 구현 예로, 치환, 삽입 또는 결실은 그러한 변경이 항원에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분자의 능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HVR 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친화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는 보존적 변형(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보존적 치환)이 HVR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미노산 서열 삽입은, 단일 또는 다수의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내 삽입뿐만 아니라, 길이가 하나의 잔기에서 백 개 이상의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에 이르는 범위인 아미노-말단 및/또는 카르복실-말단 융합을 포함할 수 있다. 말단 삽입의 예에는 N-말단 메티오닐 잔기를 갖는 항체를 포함한다. 분자의 다른 삽입 변이체는 항체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폴리펩티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으로의 융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자의 다른 삽입 변이체는 뇌 혈관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폴리펩티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으로의 융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체 CK1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 항체 CK1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 내지 서열번호 6; 항체 CK1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9; 항체 CK1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 내지 서열번호 12; 항체 CK2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3 내지 서열번호 15; 항체 CK2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6 내지 서열번호 18; 항체 CK2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 내지 서열번호 21; 항체 CK2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2 내지 서열번호 24; 항체 CK3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5 내지 서열번호 27; 항체 CK3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8 내지 서열번호 30; 항체 CK3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1 내지 서열번호 33; 항체 CK3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4 내지 서열번호 36; 항체 CL4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7 내지 서열번호 39; 항체 CL4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0 내지 서열번호 42; 항체 CL4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3 내지 서열번호 45; 항체 CL4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6 내지 서열번호 48; 항체 CL5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9 내지 서열번호 51; 항체 CL5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2 내지 서열번호 54; 항체 CL5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5 내지 서열번호 57; 항체 CL5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8 내지 서열번호 60; 항체 CL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1 내지 서열번호 63; 항체 CL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4 내지 서열번호 66; 항체 CL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7 내지 서열번호 69; 항체 CL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0 내지 서열번호 72; 항체 CL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1 내지 서열번호 63; 항체 CL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4 내지 서열번호 66; 항체 CL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67 내지 서열번호 69; 항체 CL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0 내지 서열번호 72; 항체 CB201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3 내지 서열번호 75; 항체 CB201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6 내지 서열번호 78; 항체 CB201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79 내지 서열번호 81; 항체 CB201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2 내지 서열번호 84; 항체 CL8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5 내지 서열번호 87; 항체 CL8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8 내지 서열번호 90; 항체 CL8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1 내지 서열번호 93; 항체 CL8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4 내지 서열번호 96; 항체 CL9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97 내지 서열번호 99; 항체 CL9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0 내지 서열번호 102; 항체 CL9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3 내지 서열번호 105; 항체 CL9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6 내지 서열번호 108; 항체 CL10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09 내지 서열번호 111; 항체 CL10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12 내지 서열번호 114; 항체 CL10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15 내지 서열번호 117; 항체 CL10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18 내지 서열번호 120; 항체 SK11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1 내지 서열번호 123; 항체 SK11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4 내지 서열번호 126; 항체 SK11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27 내지 서열번호 129; 항체 SK11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30 내지 서열번호 132; 항체 SK12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33 내지 서열번호 135; 항체 SK12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36 내지 서열번호 138; 항체 SK12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39 내지 서열번호 141; 항체 SK12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42 내지 서열번호 144; 항체 SK13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45 내지 서열번호 147; 항체 SK13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48 내지 서열번호 150; 항체 SK13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51 내지 서열번호 153; 항체 SK13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54 내지 서열번호 156; 항체 SK14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57 내지 서열번호 159; 항체 SK14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60 내지 서열번호 162; 항체 SK14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63 내지 서열번호 165; 항체 SK14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66 내지 서열번호 168; 항체 SK15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69 내지 서열번호 171; 항체 SK15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72 내지 서열번호 174; 항체 SK15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75 내지 서열번호 177; 항체 SK15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78 내지 서열번호 180; 항체 SK1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81 내지 서열번호 183; 항체 SK1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84 내지 서열번호 186; 항체 SK1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87 내지 서열번호 189; 항체 SK1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0 내지 서열번호 192; 항체 SK17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3 내지 서열번호 195; 항체 SK17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6 내지 서열번호 198; 항체 SK17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99 내지 서열번호 201; 항체 SK17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02 내지 서열번호 204; 항체 SL18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05 내지 서열번호 207; 항체 SL18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08 내지 서열번호 210; 항체 SL18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11 내지 서열번호 213; 항체 SL18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14 내지 서열번호 216; 항체 CB301_H3L1_A10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17 내지 서열번호 219; 항체 CB301_H3L1_A10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20 내지 서열번호 222; 항체 CB301_H3L1_A10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23 내지 서열번호 225; 항체 CB301_H3L1_A10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26 내지 서열번호 228; 항체 CB301_H3L1_A12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29 내지 서열번호 231; 항체 CB301_H3L1_A12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32 내지 서열번호 234; 항체 CB301_H3L1_A12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35 내지 서열번호 237; 항체 CB301_H3L1_A12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38 내지 서열번호 240; 항체 CB301_H3L1_E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41 내지 서열번호 243; 항체 CB301_H3L1_E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44 내지 서열번호 246; 항체 CB301_H3L1_E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47 내지 서열번호 249; 항체 CB301_H3L1_E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50 내지 서열번호 252; 항체 CCB301_H3L1_F4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53 내지 서열번호 255; 항체 CB301_H3L1_F4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56 내지 서열번호 258; 항체 CB301_H3L1_F4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59 내지 서열번호 261; 항체 CB301_H3L1_F4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62 내지 서열번호 264; 항체 CB301_H3L1_G11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65 내지 서열번호 267; 항체 CB301_H3L1_G11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68 내지 서열번호 270; 항체 CB301_H3L1_G11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71 내지 서열번호 273; 항체 CB301_H3L1_G11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74 내지 서열번호 276; 항체 CB301_OPALTL_B5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77 내지 서열번호 279; 항체 CB301_OPALTL_B5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80 내지 서열번호 282; 항체 CB301_OPALTL_B5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83 내지 서열번호 285; 항체 CB301_OPALTL_B5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86 내지 서열번호 288; 항체 CB301_OPALTL_E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89 내지 서열번호 291; 항체 CB301_OPALTL_E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92 내지 서열번호 294; 항체 CB301_OPALTL_E6의 중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95 내지 서열번호 297; 및 항체 CB301_OPALTL_E6의 경쇄가변영역 CDR1 내지 CDR3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298 내지 서열번호 300에 나타내었다.
또한, 항체 CK1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K1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K1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K1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01 내지 304; 항체 CK2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K2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K2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K2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05 내지 308; 항체 CK3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K3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K3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K3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09 내지 312; 항체 CL4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4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4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L4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13 내지 316; 항체 CL5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5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5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L5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17 내지 320; 항체 CL6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6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6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L6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21 내지 324; 항체 CB201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201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201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B201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25 내지 328; 항체 CL8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8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8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L8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29 내지 332; 항체 CL9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9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9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L9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33 내지 336; 항체 CL10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10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L10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L10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37 내지 340; 항체 SK11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1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1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SK11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41 내지 344; 항체 SK12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2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SK12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SK12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45 내지 348; 항체 SK13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3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SK13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SK13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49 내지 352; 항체 SK14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4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SK14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SK14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53 내지 356; 항체 SK15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5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SK15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SK15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57 내지 360; 항체 SK16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6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6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SK16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61 내지 364; 항체 SK17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7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K17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SK17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65 내지 368; 항체 SL18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L18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SL18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SL18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69 내지 372; 항체 CB301_H3L1_A10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A10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A10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B301_H3L1_A10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73 내지 376; 항체 CB301_H3L1_A12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A12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A12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B301_H3L1_A12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77 내지 380; 항체 CB301_H3L1_E6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E6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E6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B301_H3L1_E6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81 내지 384; 항체 CB301_H3L1_F4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F4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F4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B301_H3L1_F4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85 내지 388; 항체 CB301_H3L1_G11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G11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H3L1_G11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B301_H3L1_G11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89 내지 392; 항체 CB301_OPALTL_B5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OPALTL_B5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OPALTL_B5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B301_OPALTL_B5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93 내지 396; 항체 CB301_OPALTL_E6의 중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OPALTL_E6의 경쇄가변영역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항체 CB301_OPALTL_E6의 중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항체 CB301_OPALTL_E6의 경쇄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97 내지 400; 및 CD300C ECD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401 및 40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CD300c 에 대한 결합(engagement)을 통해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촉진을 유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현 예의 일 구현예로, 항-CD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CD300c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CD300c의 세포외 도메인은 인간 CD300c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일 수 있으며, 서열번호 40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퇴행성 뇌 질환을 갖거나 이의 위험이 있는 대상체의 인지 기능을 회복하거나 개선하는 능력을 가지며, 상기 인지 기능은 인지력,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능력, 지남력, 수행능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는 단핵구로부터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촉진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및 면역치료제에 비해 상기 촉진능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및 면역치료제에 의해서도 치료되지 않은 퇴행성 뇌 질환 환자에도 유의미한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퇴행성 뇌 질환"은 신경세포의 손상에 의해 야기되는 뇌 질환을 의미하며, 인지 기능 장애를 수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지 기능 장애는 인지력 저하, 기억장애, 언어장애, 시공간능력 저하, 지남력 장애, 수행능력 장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헌팅턴 병, 파킨슨 병,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cerebral amyloid angiopathy), 아밀로이드성 뇌졸중, 더취(Dutch)형 아밀로이드증, 타우병증,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피질기저핵 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후부 대뇌 피질 위축(posterior cortical atrophy), 원발성 진행성 실어증(primary progressive aphasia),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피질기조퇴행(Corticobasal deteneration, CBD),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건망증, 학습장애 및 기억력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치매는 뇌의 손상 혹은 질환으로 야기된 인지 기능의 감퇴 혹은 점진적인 감퇴를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방향감각 상실, 기억, 판단력 및 지성의 손상, 불안정한 정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치매, 헌팅턴병 치매, 파킨슨병 치매, 뇌혈관성 치매, 뇌신경염증성 치매, 뇌경색성 치매, 노인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Dimentia with Lewy bodies, DLB), 다발성 경색 치매(Multi-Infarct Dementia, MID), 전두측두엽변성(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치매, 픽 병(Pick's disease) 치매, 피질기저핵 변성 치매, 정상압 뇌수두증에 의한 치매, 및 두부 외상으로 인한 치매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 예로,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퇴행성 뇌 질환 유발 5xFAD 마우스를 이용한 Y-미로 시험을 통해, 퇴행성 뇌 질환 유발에 의해 감소된 변경행동력이 항-CD300c 항체의 투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퇴행성 뇌 질환 유발 5xFAD 마우스는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을 통해 퇴행성 뇌 질환 유발에 의해 감소된 마우스의 인지능력 및 기억력이 항-CD300c 항체의 투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는 단핵구로부터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촉진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 질환은 단핵구로부터 MDM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및/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촉진에 의해 치료되는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예를 들어, 헌팅턴 병 및 파킨슨 병 등)도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퇴행성 뇌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으로서, 이에 포함되는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퇴행성 뇌 질환을 갖거나 이의 위험이 있는 대상체의 인지 기능을 회복하거나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약리학적 효과 및/또는 생리학적 효과를 수득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퇴행성 뇌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지연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뇌질환의 특성상 증상이 악화되지 않고 현재 상태가 유지되는 행위도 상기 치료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질병 및/또는 이러한 질병으로 인한 부작용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치유하는 점에서 치료적 효과를 가진다. 바람직한 치료적 효과는 질환의 발생 또는 재발 방지, 증상의 호전, 질환의 임의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의 축소, 질환 진행 속도의 감소, 질환 상태의 호전 또는 완화, 및 차도 또는 개선된 예후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예방적 치료, 즉 질병을 치료하기 보다는 예방하기 위한 효과를 수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예방은 질병 또는 이의 증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예방한다는 관점에서 목적하는 예방적인 약리학적 효과 및/또는 생리학적 효과를 수득함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예를 들어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대상체에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뇌질환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대상체"는 "환자" 및 "개체"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영장류(예: 인간), 반려 동물(예: 개, 고양이 등), 가축 동물(예: 소, 돼지, 말, 양, 염소 등) 및 실험실 동물(예: 랫트, 마우스, 기니피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 대상체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퇴행성 뇌 질환을 갖거나 이의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항-CD300c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퇴행성 뇌 질환, 대상체, 예방, 및 치료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대상체에 예방적 또는 치료적 목적(예컨대,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을 달성하기 위한 물질(예컨대,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국소 또는 전신 치료가 요망되는지 여부 및 치료될 영역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경구, 비경구, 흡입 또는 국소일 수 있다. 예컨대 비경구 투여는 정맥 내 투여, 피하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직장 투여, 질 투여, 척추강 내 투여, 심실 내 투여, 또는 뇌실 내 투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 예로,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적합한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혈액-뇌 장벽(Blood Brain Barrier, BBB)을 횡단하여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유효량 또는 효과적인 무독성 양은 통상적인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치료 활성량은 질환 단계, 질환의 중증도, 대상체의 연령, 성별, 의학적 합병증, 및 체중, 그리고 대상체에서 요망되는 반응을 유발하는 항체의 능력과 같은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투여량 및 투여요법은 최적 치료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분할 용량이 매일, 매주, 2주마다, 3주마다, 4주마다 등으로 투여될 수 있고/거나, 용량이 치료 상황의 긴박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제제와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제제에는 화합물, 유전자 치료제, 단백질(항체 포함) 등 퇴행성 뇌 질환을 호전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임의의 제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체 및/또는 항원 결합 단편이 다른 제제와 함께 투여되는 경우에, 이들은 동시 전달을 위해 단일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조성물(예를 들어 키트)로 개별적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각각의 성분은 다른 성분이 투여될 때와 상이한 시간에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 예로, 각각의 투여는 비-동시적으로(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주어진 기간에 걸쳐 여러 간격으로 주어질 수 있다. 또한, 개별 성분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경로에 의해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기존에 알려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와 병용 투여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CD300c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퇴행성 뇌 질환, 및 예방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상기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퇴행성 뇌 질환 발병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생존, 재발, 및/또는 치료제 내성이 감소되거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체, 건강기능식품 등의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 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CD300c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및 개선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개체, 예를 들어 소, 돼지, 양, 닭, 개,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조류 등을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외에도 약학적, 식품학적 또는 사료용으로 허용되는 공지의 담체, 안정화제, 또는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이 있고, 효용 증대를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향미제, 비단백질태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추출제, 올리고당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단위 동물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말 사료, 고형 사료, 건사료, 습식사료, 모이스트 펠릿 사료, 드라이 펠릿 사료, EP(Extruder Pellet) 사료, 날먹이 등 어떠한 사료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항-CD300c 항체 및/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일 구현 예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단핵구로부터 MDM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예방 또는 치료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항-CD300c 항체 및/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약품 등) 제조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항-CD300c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및 치료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 또는 분리된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핵구로부터 MDM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상체는 퇴행성 뇌 질환을 갖거나 이의 위험이 있는 대상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항-CD300c 항체 및/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MDM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촉진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MDM 또는 M1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촉진 방법 및/또는 용도는 in vitro 또는 in vivo일 수 있다.
상기 항-CD300c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대상체 등은 다른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CD300c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퇴행성 뇌 질환 관련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변이된 5xFAD 마우스를 이용한 Y-미로 시험 및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을 통하여, 상기 항-CD300c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 모델의 인지능력 및 기억력을 현저히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CD300c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약물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결합 ELISA를 이용하여 CD300c 항원에 대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 CL10, 및 SL18의 중쇄 가변영역 간의 서열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을 이용하여 CD300c 항원에 대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세포의 CD300c 항원에 대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세포 형태를 관찰하여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세포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인자의 분석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분화 마커(TNF-α, IL-1β 및 IL-8) 생성량 측정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8은 분화 마커(TNF-α) 생성량 측정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 CL10 및 SL18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세포 외 단백질 마커 분석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10은 마커 분석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in vivo).
도 11은 마커 분석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in vivo).
도 12는 나노스트링 면역 프로파일링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및 면역계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도 13은 Y-미로시험을 위한 동물모델 제작 및 실험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 시 촬영한 동영상 중 한 장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Y-미로시험 및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 결과를 정량화한 도이다.
도 2는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 CL10, 및 SL18의 중쇄 가변영역 간의 서열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을 이용하여 CD300c 항원에 대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세포의 CD300c 항원에 대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세포 형태를 관찰하여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세포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인자의 분석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분화 마커(TNF-α, IL-1β 및 IL-8) 생성량 측정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8은 분화 마커(TNF-α) 생성량 측정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 CL10 및 SL18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세포 외 단백질 마커 분석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10은 마커 분석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in vivo).
도 11은 마커 분석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in vivo).
도 12는 나노스트링 면역 프로파일링을 통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능 촉진 및 면역계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도 13은 Y-미로시험을 위한 동물모델 제작 및 실험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 시 촬영한 동영상 중 한 장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Y-미로시험 및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 결과를 정량화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불과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기술적인 사항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이면 충분히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항-CD300c 항체(CB201, CL10, 및 SL18)의 제조
CD300c 항원에 높은 결합력을 가지고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중쇄와 경쇄를 분리한 항체 발현용 벡터를 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표 3, 표 4, 및 서열목록에 도시된 CB201 CDR 서열(CB201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이용하여 pCIW3.3 벡터에 각각 중쇄와 경쇄를 발현할 수 있도록 유전자를 삽입하여 제작하였다. 벡터 제작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작한 CB201 중쇄와 경쇄 발현용 벡터를 PEI(polyethylenimine)와 1:1의 질량비로 섞어 293T(인간 대장암 세포주) 세포에 트랜스펙션하여 항체의 발현을 유도한 후 8 일차에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배양액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배양액은 여과 과정을 거친 후 0.1 M NaH2PO4 및 0.1 M Na2HPO4(pH 7.0)이 혼합되어 있는 용액을 이용하여 재현탁시켰다. 재현탁시킨 용액은 단백질 A 비드(GE healthcare)를 이용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최종적으로 용리 완충액(Thermofisher)을 이용하여 용출시켰다.
항체 | 파지 종류 | 도메인 | DNA 서열(CDR1, CDR2 및 CDR3는 순서대로 굵게 표시되고 밑줄 그어져 있음) | 서열 번호 | |
CB201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GAGGTGCAGCTGTTGGAGTCTGGTGGAGGCTTGGTACAGCCTGGAGGTTCTCTTCGCCTCTCCTGTGCAGCCTCCGGATTCACTTTC AGCCGCTACGCAATGAGCTGGGTCAGA CAGGCACCAGGTAAGGGACTGGAGTGGGTCTCT GCAATTAGCGGTAGCGGTGGTAGCACTTACTACGCAGAC AGCGTGAAGGGTCGCTTCACCATCTCACGCGACAACTCCAAGAACACCCTGTACCTGCAGATGAACAGCCTTCGCGCAGAGGACACTGCCGTGTATTAC TGCGCACGTAGCAGCCAGGGTATCTTCGACATCTGGGGA CAAGGTACTCTGGTCACTGTCTCCTCA | 325 |
CDR1 | AGCCGCTACGCAATGAGCTGGGTCAGA | 73 | |||
CDR2 | GCAATTAGCGGTAGCGGTGGTAGCACTTACTACGCAGAC | 74 | |||
CDR3 | TGCGCACGTAGCAGCCAGGGTATCTTCGACATCTGGGGA | 75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CAGTCTGTGCTGACTCAGCCACCTTCAGCATCTGGTACTCCAGGTCAGCGCGTCACCATCAGC TGCAGTGGTAACAATATCGGTACTAGACGCGTG CATTGGTATCAGCAACTCCCAGACACCGCTCCTAAGCTCCTGATTTACAGT AAGAACAACCGTCCTAGTGGTGTG CCTGATCGCTTTTCTGGGTCCAAGTCTGGCACCTCAGCCTCTCTGGCTATCAGTGGACTTCGCTCCGAGGACGAGGCTGACTATTAC TGCGCAGCATGGGACGACAGCCTGAGCGGTCCTGTGTTC GGCGGTGGGACCAAACTGACCGTCCTA | 326 | ||
CDR1 | TGCAGTGGTAACAATATCGGTACTAGACGCGTG | 76 | |||
CDR2 | AAGAACAACCGTCCTAGTGGTGTG | 77 | |||
CDR3 | TGCGCAGCATGGGACGACAGCCTGAGCGGTCCTGTGTTC | 78 |
항체 | 파지 종류 | 도메인 | 아미노산 서열(CDR1, CDR2 및 CDR3는 순서대로 굵게 표시되고 밑줄 그어져 있음) | 서열 번호 | |
CB201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RYAMS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SSQGIFDIW GQGTLVTVSS | 327 |
CDR1 | FTFSRYAMSWVR | 79 | |||
CDR2 | AISGSGGSTYYAD | 80 | |||
CDR3 | YCARSSQGIFDIW | 81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NNIGTRRVHW YQQLPDTAPKLLIY SKNN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AAWDDSLSGPVF GGGTKLTVL | 328 | ||
CDR1 | CSGNNIGTRRVHW | 82 | |||
CDR2 | SKNNRPSGVP | 83 | |||
CDR3 | YCAAWDDSLSGPVF | 84 |
항-CD300c 단클론 항체인 CL10 및 SL18 항체도 하기 표 5 내지 표 8을 이용하여 CB20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항체 | 파지 종류 | 도메인 | DNA 서열(CDR1, CDR2 및 CDR3는 순서대로 굵게 표시되고 밑줄 그어져 있음) | 서열 번호 | |
CL10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GAGGTGCAGCTGTTGGAGTCTGGTGGAGGCTTGGTACAGCCTGGAGGTTCTCTTCGCCTCTCCTGTGCAG CCTCCGGATTCACTT TCAGCAGCTACGGTATGCATTGGGTCAGACA GGCACCAGGTAAGGGACTGGAGTGGGTCT CTGCAATTAGCGGTAGCGGTGGTAGCACTTACTACGCAGACAG CGTGAAGGGTCGCTTCACCATCTCACGCGACAACTCCAAGAACACCCTGTACCTGCAGATGAACAGCCTTCGCGCAGAGGACACTGCCGTGTATT ACTGCGCAAGCGGTTACGGTCTGATGGACGTGTGGGGACA AGGTACTCTGGTCACTGTCTCCTCA | 337 |
CDR1 | TCAGCAGCTACGGTATGCATTGGGTCAGACA | 109 | |||
CDR2 | CTGCAATTAGCGGTAGCGGTGGTAGCACTTACTACGCAGACAG | 110 | |||
CDR3 | ACTGCGCAAGCGGTTACGGTCTGATGGACGTGTGGGGACA | 111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TCTGTGCTGACTCAGCCACCTTCAGCATCTGGTACTCCAGGTCAGCGCGTCACCATCA GCTGCACTCGTAGCAGCGGTATCATCGCAAGCAACTACGTGCA GTGGTATCAGCAACTCCCAGGCACCGCTCCTAAGCTCCTGATTTAC CGCAACAACCAGCGCCCTAGTGGTGTG CCTGATCGCTTTTCTGGGTCCAAGTCTGGCACCTCAGCCTCTCTGGCTATCAGTGGACTTCGCTCCGAGGACGAGGCTGACTATT ACTGCAGCAGCTACGCAGGTAACAACAACCTGGTGTTCGG CGGTGGGACCAAACTGACCGTCCTA | 338 | ||
CDR1 | GCTGCACTCGTAGCAGCGGTATCATCGCAAGCAACTACGTGCA | 112 | |||
CDR2 | CGCAACAACCAGCGCCCTAGTGGTGTG | 113 | |||
CDR3 | ACTGCAGCAGCTACGCAGGTAACAACAACCTGGTGTTCGG | 114 |
항체 | 파지종류 | 도메인 | 아미노산 서열(CDR1, CDR2 및 CDR3는 순서대로 굵게 표시되고 밑줄 그어져 있음) | 아미노산 서열번호 | |
CL10 | VH3VL1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E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SYGMHWVR QAPGKGLEWVS AISGSGGSTYYAD SVKG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SGYGLMDVW GQGTLVTVSS | 339 |
CDR1 | FTFSSYGMHWVR | 115 | |||
CDR2 | AISGSGGSTYYAD | 116 | |||
CDR3 | YCASGYGLMDVW | 117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TRSSGIIASNYVQW YQQLPGTAPKLLIY RNNQRPSGVP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SSYAGNNNLVF GGGTKLTVL | 340 | ||
CDR1 | CTRSSGIIASNYVQW | 118 | |||
CDR2 | RNNQRPSGVP | 119 | |||
CDR3 | YCSSYAGNNNLVF | 120 |
항체 | 파지 종류 | 도메인 | DNA 서열(CDR1, CDR2 및 CDR3는 순서대로 굵게 표시되고 밑줄 그어져 있음) | 서열 번호 | |
SL18 | 람다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CGAGTGCAGCTGCTGGAAAGTGGAGGTGGACTGGTGCAGCCTGGCGGCAGCCTGCGCCTGAGCTGTGCCG CCAGCGGAT TCACCTTCAGCGATTATCATATGCATTGGGTTCG CCAAGCACCTGGCAAAGGCCTGGAATGGGTGAGCACCA TCAGCAGCAGCGGCGGCTATACCTATTATGCCGA AAGCGTGAAAAGCCGCTTTACCATCAGCCGCGATAACAGCAAAAACACCCTGTATCTGCAGATGAACAGCCTGCGCGCCGAGGACACCGCAGTCTACTACTGTG CCCGATCGATACGCCTGCCTCTGGATTATTGGGG ACAAGGTACTCTGGTGACCGTGAGCAG CA | 369 |
CDR1 | TCACCTTCAGCGATTATCATATGCATTGGGTTCG | 205 | |||
CDR2 | TCAGCAGCAGCGGCGGCTATACCTATTATGCCGA | 206 | |||
CDR3 | CCCGATCGATACGCCTGCCTCTGGATTATTGGGG | 207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CAGAGCGTGCTGACCCAGCCTCCTAGCGCCTCCGGTACACCAGGACAGCGCGTGACTATTAGCTGTA GCGGCAACAACATCGGCAGCAAAGGCGTGCATTGGTA TCAGCAACTGCCTGGAACTGCACCTAAGCTGCTGATCT ATGAAGATAGCAAACGCCCTAGCGGCGTGCGTGA TCGCTTTAGCGGTAGCAAATCAGGCACCAGCGCCAGCCTGGCCATCAGCGGCCTTCGCTCCGAAGATGAAGCCGATTATTATTGTCAGA GCTATGATAGCACCAAAGGCGTGGTGTTTGGTGG CGGTACCAAGC GACCGTGCTG | 370 | ||
CDR1 | GCGGCAACAACATCGGCAGCAAAGGCGTGCATTGGTA | 208 | |||
CDR2 | ATGAAGATAGCAAACGCCCTAGCGGCGTGCGTGA | 209 | |||
CDR3 | GCTATGATAGCACCAAAGGCGTGGTGTTTGGTGG | 210 |
항체 | 파지종류 | 도메인 | 아미노산 서열(CDR1, CDR2 및 CDR3는 순서대로 굵게 표시되고 밑줄 그어져 있음) | 아미노산 서열번호 | |
SL18 | 람다 | 중쇄 가변 영역 | 전체 | RVQLLESGGGLVQPGGSLRLSCAASG FTFSDYHMHWVR QAPGKGLEWVS TISSSGGYTYYAE SVKSRFTISRDNSKNTLYLQMNSLRAEDTAVY YCARSIRLPLDYW GQGTLVTVSS | 371 |
CDR1 | FTFSDYHMHWVR | 211 | |||
CDR2 | TISSSGGYTYYAE | 212 | |||
CDR3 | YCARSIRLPLDYW | 213 | |||
경쇄 가변 영역 | 전체 | QSVLTQPPSASGTPGQRVTIS CSGNNIGSKGVHW YQQLPGTAPKLLIY EDSKRPSGVR DRFSGSKSGTSASLAISGLRSEDEADY YCQSYDSTKGVVF GGGTKLTVL | 372 | ||
CDR1 | CSGNNIGSKGVHW | 214 | |||
CDR2 | EDSKRPSGVR | 215 | |||
CDR3 | YCQSYDSTKGVVF | 216 |
실시예 2. CD300c 항원에 대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 확인 (I): 결합 ELISA
CD300c 항원(250 ug/mL)을 코팅 완충용액(0.1 M 탄산나트륨, pH 9.0)에 800 ng/mL의 농도로 희석한 것을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uL씩 넣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다. 다음날, PBST 200 uL로 마이크로플레이트를 3회 세척하였다. 그 후, 각 웰에 차단 완충용액(5% 스킴 밀크)을 200 uL씩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차단하였다.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을 PBS에 200 ug/mL로 희석하고 나노드롭(Nanodrop, 제품명: NanoDrop One/Onec)으로 농도를 확인하였다. 그 후, CB201을 PBS로 10 ug/mL로부터 4진 희석하여 각각 100 uL씩 각 웰에 첨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PBST 200 uL로 3회 세척하였다. 2차 항체(접합 항-Fc IgG)를 차단 완충용액에 1:10,000으로 희석한 것을 각 웰에 100 uL 첨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PBST 200 uL를 첨가하여 3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TMB와 과산화수소를 1:1로 섞고 각 웰에 100 uL씩 넣은 후 실온에서 7분 내지 9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1 N 황산 50 ul를 첨가하여 발색을 멈춘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제품명: Varioskan LUX)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나타나는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결합 친화도 결과를 얻었다.
또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 CL10 및 SL18 항체도 CB201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 친화도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 CL10, 및 SL18이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CD300c에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항-CD300c 단클론 항체인 CB201, CL10, 및 SL18이 모두 항원인 CD300c에 대해 우수한 결합력과 특이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로부터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CD300c에 대한 우수한 결합력과 특이성뿐만 아니라, 항체 CB201, CL10, 및 SL18은 모두 유사한 성질을 갖는 항-CD300c 단클론 항체임을 확인한 것으로서, 이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 항체의 가변영역 서열이 유사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실시예 3. CD300c 항원에 대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 확인 (II):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항원인 CD300c와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간의 결합 친화도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하여 표면 플라즈몬 공명 실험을 진행하였다.
CD300c를 CM5 칩에 고정하기 위하여 5 ug/ml의 CD300c를 10 mM 아세테이트 완충용액(pH 5.5)에 희석하였다. 그 후, 유량을 모두 동일하게 10 ml/분으로 하고, 각각 목표 RU(Resonance Units)를 300 RU로 설정하였다. 0.2 M EDC와 0.05 M NHS의 혼합물로 CM5 칩을 활성화하고 1 M 에탄올아민로 차단하여, CD300c의 최종 RU가 399.2 RU가 되도록 CM5 칩을 고정화하였다. 그 후, CB201을 PBST에 각각 0, 0.195, 0.39, 0.78, 1.56, 3.125, 및 6.25 ug/ml 농도로 희석하고, 결합 시간을 240초로, 해리 시간을 900 초로, 및 유량을 30 ul/분으로 설정하여 카이네틱스/친화도(Kinetics/Affinity)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후, 50 mM NaOH를 30 ul/분의 속도로 30초 동안 CD300c를 고정한 CM5 칩에 흘려 보내 표면을 재생시켰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KD 값은 5.199E-10 M로 분석되었고,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 친화도는 나노몰 이하(subnanomol) 수준인 0.52 nM로 확인되었다. 이는 항원에 대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4.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세포 항원 인식 확인
항-CD300c 단클론 항체(CB201)가 세포 항원을 인식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FACS 결합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93T 세포(ATCC)에서 CD300c를 과 발현시킨 후 이 세포를 각 미세 원심분리 튜브당 2x105 개의 세포로 분주하였다. 그 후, 10 ug/ml부터 3배로 연속 희석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30 분간 CO2 인큐베이터에서 세포와 반응시키고, FACS 완충액으로 튜브를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1:100으로 FACS 완충액에 희석한 FITC-접합 항 인간 IgG(H+L)을 30 분간 CO2 인큐베이터에서 세포에 결합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와 반응시키고, FACS 완충액으로 튜브를 2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Beckman coulter 사의 CytoFLEX 기기로 FITC 신호를 측정한 후, CytExper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FI 값을 구하였다. 이렇게 얻은 MFI 값을 사용하여 sigmaplot 프로그램에 의해 S자형 곡선(sigmoidal curve)을 그려 EC50(The effective concentration of drug that causes 50% of the maximum response)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293T 세포의 경우 2.7 nM의 EC50을 얻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ACS 결합의 결과에 따른 S자형 곡선에서 항-CD300c 단클론 항체는 강한 결합력으로 293T 세포 표면에서 과발현된 CD300c에 결합하였다. 따라서, 항-CD300c 단클론 항체는 세포 수준에서도 CD300c에 항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실시예 5.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으로의 분화능 촉진 확인 (I): 세포 형태 관찰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단핵구(monocyte)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단핵구로부터 MDM(Monocyte-derived macrophage)으로의 분화 양상을 세포 형태로 확인하기 위하여, 10 μg/ml의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이 처리된 THP-1 세포(인간 단핵구 세포주)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처리한 실험군(CB201)의 경우에 THP-1 세포의 형태가 부유 세포(suspension cell)에서 MDM의 형태인 원형의 부착 세포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처리에 의하여 단핵구 세포로부터 MDM으로의 분화가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MDM으로의 분화능 촉진 확인 (II): 세포 신호전달
항-CD300c 단클론 항체인 CB201을 THP-1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 단핵구로부터 MDM으로의 분화능이 증가한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하여, MDM 분화의 대표적인 신호인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및 NF-kB의 신호 전달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6-웰 플레이트에 8.8x105 세포/웰로 THP-1을 분주하고, 10 μg/mL의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인산염완충용액(PBS)을 동량 주사하였다. 이들을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MAPK 신호의 경우 인산화된 SAPK/JNK, 인산화된 ERK(p44/42), 및 인산화된 p38를 및 NF-kB 신호의 경우 인산화된 NF-kB를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도 6에 각각 MAPK 및 NF-Kb의 신호 전달을 확인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항-CD300c를 처리하였을 때에 인산화된 MAPK 및 NF-kB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처리하였을 때에 MDM으로 분화하는 세포 신호전달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으로의 분화능 비교: 3가지 분화 마커(TNF-α, IL-1β, 및 IL-8) 생성량 측정
항-CD300c 단클론 항체와 다른 항체의 MDM 분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6-웰 플레이트에 8.8x105 세포/웰로 THP-1을 분주하고, 10 μg/mL의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을 처리하였다. MDM 분화 마커인 TNF-α, IL-1β 및 IL-8의 생성량을 ELISA 키트로 확인하였다. 다른 항체로는 human IgG Isotype control을 1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고, TNF-α, IL-1β, 및 IL-8의 생성량은 ELISA 키트로 확인하였다.
또한, 항-CD300c 단클론 항체 CL10 및 SL18도 CB201과 동일한 방식으로 THP-1 세포에 처리하고 TNF-α의 생성량을 ELISA 키트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CB201)과 도 8(CL10 및 SL18)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type control을 단독으로 처리한 비교군보다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가 TNF-α, IL-1β 및 IL-8의 생성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사하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type control을 단독으로 처리한 비교군보다 항-CD300c 단클론 항체 CL10 및 SL18이 TNF-α의 생성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항-CD300c 단클론 항체 CL10 및 SL18이 CB201과 유사한 특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항-CD300c 단클론 항체가 단핵구를 MDM으로 분화시키는 분화능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으로의 분화능 촉진 확인 (III): 세포 외 단백질 발현마커 확인
항-CD300c 단클론 항체인 CB201을 단핵구에 처리하였을 때, 단핵구를 MDM으로 분화시키는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CB201을 처리한 THP-1 세포에서 FACS를 통해 MDM 분화 마커인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단핵구 마커인 CD11b, MDM 마커인 CD80, 및 M2 마크로파지 마커인 CD206을 인식하는 각각의 항체를 사용하여 각각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B201을 처리한 세포에서 MDM 마커인 CB80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항-CD300c 단클론 항체인 CB201을 단핵구에 처리하면 세포외 단백질 중 MDM 마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CB201이 단핵구를 MDM으로 분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퇴행성 뇌 질환 질병모델 마우스의 제조
암수 4~8주령 5xFAD 마우스(입수처: Jackson lab) 각 8 마리 및 암수 6주령 B6SJLF1/J(입수처: Jackson lab) 마우스 각 3마리를 구입하여 약 4~5개월의 순화기간을 거쳐 일반증상을 관찰함으로써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건강한 동물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5xFAD 마우스는 총 5개(Swedish (K670N/M671L), Florida(I716V), APP의 London(V717I) 돌연변이 및 PSEN1의 M146L, L286V 돌연변이)의 AD 관련 변이를 일으키는 인간 APP(Amyloid Precursor Protein) 및 PSEN1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변이된 마우스로서, 알츠하이머 증상 뿐만 아니라 치매 등을 포함한 신경세포 손상 질병과 관련된 병리연구에 적절한 모델로 선택하였다(Tatsuhiro Ayabe et al, The Neurosceince of Dementia, 2020, Vol. 2, 833-847). 환경조건은 온도 23±3℃, 상대습도 55±15%,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시간(오전 8시 점등~오후 8시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한 주식회사 노터스 제3 동물사육구역에서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 마우스 군(G1), 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 군(이하, 5xFAD 대조군; G2), 및 CB201 투여-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 군(이하, CB201 투여 군; G3)의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CB201 투여 군은 투여량 40 mg/kg으로 CB201이 투여된 것이며, 대조군(정상 마우스 군 및 5xFAD 대조군)은 PBS를 동량의 투여액량으로 각각 투여된 것이다. 투여는 시험물질 개시일(Day 0) 및 시험물질 투여 개시 후 25일째(Day 25)에 총 2회 복강 내 투여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마우스 군은 하기의 표 9을 참조한다.
군 | 성별 | 동물수 (마리) |
동물 번호 | 계통 | 투여물질 | 투여량 (mg/kg) |
투여액량 (mL/kg) |
정상 마우스(G1) | M/F | 3/3 | 1-3/12-14 | B6SJLF1/J | Vehicle | - | 10 |
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5xFAD 대조군, G2) | M/F | 4/4 | 4-7/15-18 | 5xFAD | Vehicle | - | 10 |
CB201 투여군(G3) | M/F | 4/4 | 8-11/19-22 | 5xFAD | CB201 | 40 | 10 |
실시예 10. 생체 내(
in vivo
)에서의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증가 효과 확인
항-CD300c 단클론 항체가 마우스 모델에서 MDM을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9의 방법으로 CB201을 투여한 마우스(CB201 투여군; G3)의 뇌 조직을 적출하고, MDM 마커인 iNOS와 M2 마크로파지 마커인 CD206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뇌 조직 내의 MDM 비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9의 CB201 투여군 제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5xFAD 마우스에 CB201 40 mg/kg 대신 PD-1 항체를 40 mg/kg 투여하여 항-PD-1 항체를 투여한 실험군 마우스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역치료제로서 퇴행성 뇌 질환 증상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항-PD-1 항체를 투여한 실험군 뇌 조직에서는 MDM이 대조군(표 9의 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 G2)과 비교하여 일부 증가(iNOS 일부 증가)되었으나, 항-CD300c 단클론 항체(CB201)를 투여한 실험군(표 9의 CB201 투여군; G3) 뇌 조직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MDM이 현저히 증가(iNOS 현저히 증가)되며 M2 마크로파지는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항-CD300c 단클론 항체 CB201이 다른 면역치료제에 비해 단핵구를 MDM으로 분화시키는 효과가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MDM 분화 유전자의 발현 증가 확인
항-CD300c 단클론 항체인 CB201이 뇌의 MDM에 미치는 영향을 생체 내 조건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9와 같이 제작한 CB201 투여군(표 9의 G3) 마우스의 뇌 조직을 적출하여 세포 생존도 확인용 염색액(DAPI), 총 단핵구 마커인 F4/80, 및 MDM 마커인 CD11b에 대한 항체(입수처:Invitrogen)로 세포를 염색하였다. 그 후, CytoFLEX 유세포 분석기로 데이터를 읽고, 도출된 데이터를 FlowJo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생존하는 세포 대비 각각의 마커를 정량화한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대비하여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 뇌 조직에서 단핵구 마커인 F4/80 발현량은 유사한 반면 MDM 분화 마커 CD11b의 발현량이 증가(도 11의 M1 MDM in CD11b+에 대응)함을 확인하였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항-CD300c 단클론 항체는 퇴행성 뇌 질환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전술한 결과는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투여를 통해 뇌 조직의 MDM 분화를 증가시킴으로써 퇴행성 뇌 질환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시사한다.
실시예 12. 나노스트링 면역 프로파일링
항-CD300c 단클론 항체(CB201)를 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 모델에 투여하였을 때 마우스 모델 내의 면역 세포 및 뇌 조직 환경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9와 같이 제작한 CB201 투여군(표 9의 G3) 마우스에서 뇌 조직을 적출하였다. 이로부터 RNA를 추출하여 정제한 후, 공지된 방법인 나노스트링 면역 프로파일링(nanostring immune profiling)을 통해 단핵구 마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를 대조군과 대비하여 관찰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CD300c 단클론 항체의 투여 시, MDM 분화 마커인 CD163, Siglec1, Lyve1, 및 C4b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뇌에서 퇴행성 뇌 질환 진행을 악화시키는 IL-10의 발현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뇌 조직의 MDM이 분화되고, 퇴행성 뇌 질환이 치료되는 방향으로 뇌의 면역계가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Y-미로 시험
6주령 5xFAD mouse를 구매하여 약 5개월의 순화기간을 거쳐 퇴행성 뇌 질환 증상을 포함한 신경세포 손상 질병과 관련된 증상을 나타내는 퇴행성 뇌 질환 질병모델로 제작하였다.
그 후, 퇴행성 뇌 질환 질병모델에 40 mpk의 항-CD300c 단클론 항체(CB201)를 I.P(복강 내)로 투여한 뒤 28째에 한번 더 투여하고, 31일째에 Y-maze test를 수행하였고, 대조군에는 동량의 PBS를 주사하였다. 이의 실험 시기는 도 13에 나타내었다.
Y-미로 시험을 위한 실험 장치는 검은 아크릴 판 (10 cm x 41 cm x 25 cm)으로 제작된 Y 형의 미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미로를 A, B, C 영역으로 정한 후 임의의 영역에 실험동물을 놓고 7 분간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였다. 각각의 실험동물이 각 미로에 들어간 횟수 및 순서를 측정하여 변경 행동력 (spontaneous alteration, %)을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이 세 곳의 다른 영역에 순차적으로 들어간 경우 1 점 (alteration, ABC, BCA, CAB 등의 순서)으로 인정하며, 순차적으로 들어가지 않은 경우는 점수로 인정하지 않았다. 변경 행동력 (% spontaneous alteration)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낸 대로, 실험 결과, 정상 마우스(G1; wild type)와 대비하여 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 변경행동력이 감소된 반면(G2; 5XFAD+Mock), 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 모델에 CB201을 투여했을 때(G3; 5XFAD+CB201) 정상 마우스(G1; wild type)의 87% 수준으로 변경행동력이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항-CD300c 단클론 항체는 퇴행성 뇌 질환으로 유발될 수 있는 인지저하 및 변경 행동력 감소 등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약물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14.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식으로 퇴행성 뇌 질환 질병모델 마우스에 CB201을 투여한 뒤, 35-40일차에 모리스 수중 미로 시험(Morris water maze test)을 수행하였다. 실험장비는 원형의 수조 (stainless steel, 지름 150 cm, 높이 45 cm), 도피대 (지름 10 cm, 높이 30 cm), 및 도피대의 위치를 기억할 수 있는 벽 면에 부착된 4 개의 표지물로 구성하였다. 수조를 온도 약 22 ± 2 ℃의 물로 채우고, 도피대는 실험 목적에 맞게 수면 위 1 cm, 또는 수면 아래 0.5~1.5 cm 밑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다. 수면 밑에 위치할 때는 육안으로 도피대가 보이지 않게 흰색 수성물감으로 물을 불투명하게 하였다. 수중미로는 사분면으로 나누어 북동 (NE), 북서 (NW), 남동 (SE) 및 남서 (SW)로 구분하며, 이중 북동 사분원의 중심부에 도피대를 놓고, 나머지 중 하나를 출발위치로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6 일간 진행하였으며 동물의 시작 사분면과 도피대의 위치 설정은 하기 표 10에 표기하였다.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
도피대 위치 | 시작 방향 | 도피대 위치: 남서, 시작 위치: 하기와 같음 | 도피대 없음 | ||||
시험 1 | 남서 | 남 | 서 | 북 | 북 | 동 | 북 |
시험 2 | 북서 | 북 | 남 | 서 | 동 | 남 | |
시험 3 | 북동 | 남 | 북 | 동 | 서 | 서 | |
시험 4 | 중심 | 동 | 동 | 서 | 남 | 동 | |
시험 5 | 남동 | 서 | 남 | 남 | 북 | 북 | |
1일차에는 도피대 위치와 시작 방향이 모두 변경되는 반면 2 내지 5일차에는 시작 방향이 변경되는 동안 도피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유의한다. 6일차에는 도피대는 없고 1회 시험한다. 6일차의 시작 방향은 이전 도피대의 위치(SW)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이전에 학습된 도피대 사분원에 들어가기 전에 일정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 |
1 일차에는 도피대를 보이게 하여 단서를 주는 cued learning을 수행하였다. 개체당 15 초 간격을 두고 5 번 시도하며 60 초를 제한 시간으로 설정하고, 60 초 이내 에 동물이 도피대를 찾을 경우 동물이 5 초간 도피대 위에 있는 것을 허용한 후 즉시 사육 케이지로 이동시켰고, 만약 60 초 이내에 도피대를 찾지 못할 시, 20 초간 도피대 위에 놓아 둔 후, 즉시 사육 케이지로 이동시켰다.
2 일차부터 5 일차에는 도피대를 수면 아래에 배치하여 숨기는 hidden platform을 수행하여 기억하도록 하였다. 개체당 15 초 간격을 두고 5 번 시도하였다. 60 초를 제한 시간으로 설정하고, 60 초 이내에 도피대를 찾을 경우 동물이 5 초간 도피대 위에 있는 것을 허용하고, 이후 즉시 사육 케이지로 이동시켰다. 만약 60 초 이내에 도피대를 찾지 못할 시, 20 초간 도피 대 위에 놓아 둔 후, 즉시 사육 케이지로 이동시켰다.
6 일차에는 Prospective randomized open blinded end-point (probe) Trial을 수행하였다. 도피대를 놓지 않고, 2 일차부터 5 일차 실험 시 도피대를 놓아둔 사분면에서 가장 먼 곳에 동물을 놓아 1회 실험하며 역시 60 초를 제한 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실험동물이 도피대를 찾아갈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탈출 잠복기 (escape latency)와, 도피대를 찾을 때까지 거치는 경로 길이를 cue learning과 hidden platform 수행 시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경로 길이를 탈출 잠복기로 나누어 수영 속도를 산출하였다. 6 일차의 probe trial시 동물이 기존에 도피대가 있었던 사분면에 머무는 시간을 기록하였다.
전술한 Y-미로 시험은 동영상으로 촬영하였으며, 이는 도 14와 같고, 도 14와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결과, 정상 마우스(G1; wild type)와 대비하여 퇴행성 뇌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 TSPQ (Time spent in platform quadrants)가 감소된 반면(G2; 5XFAD+Mock) 퇴행성 뇌 질환 동물모델에 CB201을 투여한 군(G3; 5XFAD+CB201)에서 TSPQ가 정상 마우스(G1; wild type)와 비교했을 때 107%로 회복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질병모델 마우스에 CB201 투여는 퇴행성 뇌 질환 질병모델 마우스의 인지능력 및 기억력을 회복시킴을 확인한 결과이다.
실시예 15. 통계학적 분석
시험 결과에 대하여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하고, 모수적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검정하며, 그 결과가 유의할 경우, 던네트 다중 비교 테스트(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시험군간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Prism 7.04(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며,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인지 기능 장애를 수반하는 질환인, 약학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기능 장애는 인지력 저하, 기억장애, 언어장애, 시공간능력 저하, 지남력 장애 및 수행능력 장애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헌팅턴 병, 파킨슨 병,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cerebral amyloid angiopathy), 아밀로이드성 뇌졸중, 더취(Dutch)형 아밀로이드증, 타우병증,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피질기저핵 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후부 대뇌 피질 위축(posterior cortical atrophy), 원발성 진행성 실어증(primary progressive aphasia),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피질기조퇴행(Corticobasal deteneration, CBD),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건망증, 학습장애 및 기억력장애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치매, 헌팅턴병 치매, 파킨슨병 치매, 뇌혈관성 치매, 뇌신경염증성 치매, 뇌경색성 치매, 노인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Dimentia with Lewy bodies, DLB), 다발성 경색 치매(Multi-Infarct Dementia, MID), 전두측두엽변성(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치매, 픽 병(Pick's disease) 치매, 피질기저핵 변성 치매, 정상압 뇌수두증에 의한 치매, 및 두부 외상으로 인한 치매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 질환은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i) 서열번호 7,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31, 서열번호 43, 서열번호 55, 서열번호 67, 서열번호 79, 서열번호 91, 서열번호 103, 서열번호 115, 서열번호 127, 서열번호 139, 서열번호 151, 서열번호 163, 서열번호 175, 서열번호 187, 서열번호 199, 서열번호 211, 서열번호 223, 서열번호 235, 서열번호 247, 서열번호 259, 서열번호 271, 서열번호 283 및 서열번호 29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32, 서열번호 44, 서열번호 56, 서열번호 68, 서열번호 80, 서열번호 92, 서열번호 104, 서열번호 116, 서열번호 128, 서열번호 140, 서열번호 152, 서열번호 164, 서열번호 176, 서열번호 188, 서열번호 200, 서열번호 212, 서열번호 224, 서열번호 236, 서열번호 248, 서열번호 260, 서열번호 272, 서열번호 284 및 서열번호 29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9, 서열번호 21, 서열번호 33, 서열번호 45, 서열번호 57, 서열번호 69, 서열번호 81, 서열번호 93, 서열번호 105, 서열번호 117, 서열번호 129, 서열번호 141, 서열번호 153, 서열번호 165, 서열번호 177, 서열번호 189, 서열번호 201, 서열번호 213, 서열번호 225, 서열번호 237, 서열번호 249, 서열번호 261, 서열번호 273, 서열번호 285 및 서열번호 29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ii)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34, 서열번호 46, 서열번호 58, 서열번호 70, 서열번호 82, 서열번호 94, 서열번호 106, 서열번호 118, 서열번호 130, 서열번호 142, 서열번호 154, 서열번호 166, 서열번호 178, 서열번호 190, 서열번호 202, 서열번호 214, 서열번호 226, 서열번호 238, 서열번호 250, 서열번호 262, 서열번호 274, 서열번호 286 및 서열번호 29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23, 서열번호 35, 서열번호 47, 서열번호 59, 서열번호 71, 서열번호 83, 서열번호 95, 서열번호 107, 서열번호 119, 서열번호 131, 서열번호 143, 서열번호 155, 서열번호 167, 서열번호 179, 서열번호 191, 서열번호 203, 서열번호 215, 서열번호 227, 서열번호 239, 서열번호 251, 서열번호 263, 서열번호 275, 서열번호 287 및 서열번호 29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24, 서열번호 36, 서열번호 48, 서열번호 60, 서열번호 72, 서열번호 84, 서열번호 96, 서열번호 108, 서열번호 120, 서열번호 132, 서열번호 144, 서열번호 156, 서열번호 168, 서열번호 180, 서열번호 192, 서열번호 204, 서열번호 216, 서열번호 228, 서열번호 240, 서열번호 252, 서열번호 264, 서열번호 276, 서열번호 288 및 서열번호 30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i) 서열번호 79, 서열번호 115 및 서열번호 2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0, 서열번호 116 및 서열번호 2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1, 서열번호 117 및 서열번호 21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ii) 서열번호 82, 서열번호 118 및 서열번호 21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3, 서열번호 119 및 서열번호 21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4, 서열번호 120 및 서열번호 2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i) 서열번호 79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0으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1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2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3으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4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
(ii) 서열번호 115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16으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117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118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119으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120으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 및
(iii) 서열번호 211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212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213으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214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215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216으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열번호 7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서열번호 8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2, 및 서열번호 8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아래 식 (1) 내지 (3)으로 각각 표현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내지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아래 식 (4) 내지 (6)으로 각각 표현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CDR1 내지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FTFX1X2X3X4MX5WVR (1)
상기 식에서,
X1= G 또는 S
X2= S, R 또는 D
X3= N 또는 Y
X4= Y, A, G 또는 H
X5= S 또는 H
X1ISX2SGX3X4TYYAX5 (2)
상기 식에서,
X1= T 또는 A
X2= G 또는 S
X3= T 또는 G
X4= S 또는 Y
X5= D 또는 E
YCAX1X2X3X4X5X6X7X8X9W (3)
상기 식에서,
X1= R 또는 S
X2= G 또는 S
X3= M, S, Y 또는 I
X4= W, Q, G 또는 R
X5= G 또는 L
X6= M, I 또는 P
X7= D, F 또는 L
X8= V 또는 D
X9= I, Y 또는 존재하지 않음
CX1X2X3X4X5X6X7X8X9X10X11VX12W (4)
상기 식에서,
X1= T 또는 S
X2= G 또는 R
X3= K, N 또는 S
X4= H, N 또는 S
X5= R, I 또는 G
X6= H, G 또는 I
X7= T, I 또는 S
X8= R, A, K, 또는 존재하지 않음
X9= R, S, G, 또는 존재하지 않음
X10= N 또는 존재하지 않음
X11= Y 또는 존재하지 않음
X12= N, H 또는 Q
X1X2X3X4RPSGVX5 (5)
상기 식에서,
X1= L, S, R 또는 E
X2= D, K 또는 N
X3= S 또는 N
X4= E, N, Q 또는 K
X5= P 또는 R
YCX1X2X3X4X5X6X7X8X9X10VF (6)
상기 식에서,
X1= Q, A, 또는 S
X2= S 또는 A
X3= Y 또는 W
X4= D 또는 A
X5= S, D 또는 G
X6= S, N 또는 T
X7= S, L, N 또는 K
X8= V, S, N 또는 G
X9= G, L, V 또는 존재하지 않음
X10 = P 또는 존재하지 않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퇴행성 뇌 질환을 갖거나 이의 위험이 있는 대상체의 인지 기능을 회복하거나 개선하는, 약학 조성물.
-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퇴행성 뇌 질환을 갖거나 이의 위험이 있는, 인간을 제외한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항-CD300c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434 | 2022-05-02 | ||
KR20220054434 | 2022-05-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5978A true KR20230155978A (ko) | 2023-11-13 |
Family
ID=8864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7374A Pending KR20230155978A (ko) | 2022-05-02 | 2023-05-02 | 항-CD300c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그의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4520770A1 (ko) |
KR (1) | KR20230155978A (ko) |
CN (1) | CN119451987A (ko) |
AU (1) | AU2023265269A1 (ko) |
WO (1) | WO2023214778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0355A (ko) | 2019-11-18 | 2021-05-26 | 주식회사 센트릭스바이오 |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506686A (ja) * | 2009-09-30 | 2013-02-28 | プレジデント アンド フェロウズ オブ ハーバード カレッジ | オートファジー阻害遺伝子産物の変調によりオートファジーを変調する方法 |
WO2016069461A1 (en) * | 2014-10-27 | 2016-05-06 |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A parkinson's disease diagnostic biomarker panel |
WO2020014097A1 (en) * | 2018-07-10 | 2020-01-16 | University of Conneticut | Reag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and autoimmune disease |
-
2023
- 2023-05-02 KR KR1020230057374A patent/KR20230155978A/ko active Pending
- 2023-05-02 CN CN202380049031.3A patent/CN119451987A/zh active Pending
- 2023-05-02 AU AU2023265269A patent/AU2023265269A1/en active Pending
- 2023-05-02 WO PCT/KR2023/005995 patent/WO202321477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5-02 EP EP23799659.0A patent/EP452077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0355A (ko) | 2019-11-18 | 2021-05-26 | 주식회사 센트릭스바이오 |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 Rosenzweig, N., Dvir-Szternfeld, R., Tsitsou-Kampeli, A., Keren-Shaul, H., Ben-Yehuda, H., Weill-Raynal, P., Cahalon, L., Kertser, A., Baruch, K., Amit, I., Weiner, A., & Schwartz, M. PD-1/PD-L1 checkpoint blockade harnesses monocyte-derived macrophages to combat cognitive impairment in a tauopathy mouse model. Nature Communications, 10(1) (20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23265269A1 (en) | 2024-11-21 |
WO2023214778A1 (ko) | 2023-11-09 |
CN119451987A (zh) | 2025-02-14 |
EP4520770A1 (en) | 2025-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641323B2 (ja) | 治療抗体およびその使用 | |
TWI596114B (zh) | 拮抗劑抗-il-7受體抗體及方法 | |
CN118772278A (zh) | Flt3的特异性抗体及其用途 | |
US20210380680A1 (en) | Anti-claudin antibodies and uses thereof | |
EP2417158B1 (en) | Dkk-1 antibodies | |
SA111320266B1 (ar) | أجسام مضادة مع ارتباط مولد مضاد يعتمد على الأس الهيدروجيني | |
TW201734047A (zh) | 抗cxcr4抗體及抗體-藥物結合物 | |
KR20160055253A (ko) | 변형된 항-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 |
WO2017161206A1 (en) | Conjugates containing conditionally active antibodies or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 |
US12227583B2 (en) | Anti-OX40 antibody,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nd the pharmaceutical use | |
CN109475625A (zh) | 用于治疗脊髓性肌肉萎缩症的组合物和方法 | |
CA3000167A1 (en) | Antibodies that bind human cannabinoid 1 (cb1) receptor | |
JP2024530368A (ja) | 抗体薬物複合体およびその用途 | |
JP2022502024A (ja) | 抗ヒトcd45rc抗体及びその使用 | |
EP4520770A1 (en) | Anti-cd300c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nd uses thereof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brain disease | |
US20210147566A1 (en) | Antibodies and uses thereof | |
US20170183399A1 (en) | Immunopotentiator containing anti-ang2 antibody | |
KR20240015200A (ko) | 뇌신경계 질환 치료하기 위한 병용투여용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 |
AU2014201648B2 (en) | Antagonist anti-il-7 receptor antibodies and meth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