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53340A -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 Google Patents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340A
KR20230153340A KR1020230144569A KR20230144569A KR20230153340A KR 20230153340 A KR20230153340 A KR 20230153340A KR 1020230144569 A KR1020230144569 A KR 1020230144569A KR 20230144569 A KR20230144569 A KR 20230144569A KR 20230153340 A KR20230153340 A KR 20230153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ignal
driving signal
cable
nostr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4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74262B1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3014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262B1/en
Publication of KR2023015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340A/en
Priority to KR1020240073781A priority patent/KR1027941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26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6Nas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0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for promoting a biological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7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rosthes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tril insertion device which comprises: an inser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insertion part and a second insertion part, each of which is inserted into a different nostril of a user; a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a signal supply part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insertion device and the power supply device.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de which receives the driving signal and provides an electromagnetic wav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ignal. Accordingly, the nostril inser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to a nasal cavity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전극이 구비된 비공 삽입 장치{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Nostril insertion device with electrodes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본 발명은 전극을 이용해 미세전류 특수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비공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tril insertion device that generates special microcurrent electromagnetic waves using electrodes.

비염(Rhinitis)이란 코 안(비강 내)의 염증을 뜻하는 질병으로, 크게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 비염으로 나뉘며, 두가지 비염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기준은 없다. 비염 자체는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보기는 어려우나 완치가 매우 어려우며, 삶의 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Rhinitis is a disease that refers to inflammation inside the nose (intranasal cavity). It is largely divided into allergic rhinitis and chronic rhinitis, and there is no standard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ypes of rhinitis. Rhinitis itself is difficult to consider a life-threatening, fatal diseas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cure and can be said to be a disease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quality of life.

실제로 알레르기성 비염의 경우 서양에서는 10~20%, 한국에서는 15%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대기오염이나 식품첨가물의 사용증가, 도시화 등의 환경적인 변화로 인해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비염은 일상생활에서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비염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 비염에 의한 증상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이 중요하다.In fact, allergic rhinitis has a prevalence of 10-20% in the West and 15% in Korea, and the prevalence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air pollution, increased use of food additives, and urbanization. Therefore, management of rhinitis in daily life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resolve the fundamental cause of rhinitis and alleviate symptoms caused by rhinitis by improving lifestyle habits.

통상적으로 비염 증상의 완화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염치료기로, 치료용 약물, 예컨대 식염수, 염화벤젠토늄, 알코올 등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작은 알갱이의 증기로 만들어 분무하는 초음파 분무방식과, 치료용 약물이나 식염수를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발생되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수증기가 팽창되면서 분출되는 압축 공기 분무방식으로 제작된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t is a rhinitis treatment device commonly used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and treating rhinitis symptoms. It is an ultrasonic spray method that sprays therapeutic drugs such as saline solution, benzenthonium chloride, alcohol, etc. into small vapor particles using ultrasonic waves, and therapeutic drugs. Products manufactured using the compressed air spray method, which uses water vapor generated by heating saline solution to a certain temperature and blows out as the water vapor expands, are widely used.

이중에서 압축공기 분무방식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치료약물을 미세하고 강력하게 분무시킴으로써, 초음파 분무 방식에 비하여 치료효과가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Among these, the compressed air spray method uses air pressure to finely and powerfully spray the therapeutic drug, and is generally used because it has superior therapeutic effects compared to the ultrasonic spray method.

다만 초음파 분무방식과 압축공기 분무방식으로 제작된 비염치료기들은 매 사용 시 마다 과량의 약품이 소비될 수 있으며, 또한 비염치료기들은 결과적으로 코 속의 환부에 이물질인 액상의 약물을 직접 분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분사할 때의 충격으로 인하여 코 속에 자극을 주게 되어 또 다른 비염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등 사용감이 좋지 않아 상대적으로 비염질환이 많은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정한 공간에 비치해 놓은 상태에서 사용해야 되므로 사용상 제약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rhinitis treatment devices manufactured using ultrasonic spraying and compressed air spraying methods may consume excessive amounts of medication each time they are used, and in addition, rhinitis treatment devices are designed to spray liquid drugs, which are foreign substances, directly into the affected area in the nose. The shock when spraying causes irritation inside the nose, which can cause other rhinitis diseases. As a result, it is not comfortable to use, so children and the elderly who have relatively many rhinitis diseases avoid using it. Since it must be used in certain conditions, it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limitations in use.

최근에는 저출력 레이저 요법(LLLT:Low Level Laser Therapy)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를 비강에 조사하여 레이저의 생체촉진효과에 의해 알레르기성 비염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레이저 비염치료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레이저의 직진성 때문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치료범위가 좁으며 그에 따라 치료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Recently, a laser rhinitis treatment device has been developed through low-level laser therapy (LLLT) to irradiate a semiconductor laser into the nasal cavity to improve allergic rhinitis symptoms through the biostimulatory effect of the laser. However, due to the direct nature of the la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eatment range in which the laser is irradiated is narrow and treatment efficiency is therefore low.

이상과 같이 비강 내 다양한 자극들이 비염의 치료를 돕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stimulations within the nasal cavity are used to help treat rhinitis.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파를 제공하는 비공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that provides electromagnetic wav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C 신호와 DC 신호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를 이용하는 비공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that uses a driving signal generated by mixing AC signals and DC signal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 내부에 광을 조사하는 비공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dditional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that irradiates light into the no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고정력이 우수한 구조의 비공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with a structure that is easy to wear and has excellent fixation for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각각이 사용자의 서로 다른 비공(鼻孔) 내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삽입 장치;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및 상기 삽입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 각각은,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비공 삽입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each of which is inserted into different nostrils of the user; a power device including a signal supply unit that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insertion unit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insertion device and the power supply; It includes a nostril insertion device, wherein each of the first insertion unit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de that receives the drive signal and provides electromagnetic waves corresponding to the drive signal.

또한,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 각각은, 상기 전극이 배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헤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each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includes a body on which the electrode is disposed; and a hea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You can.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전극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전극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ody includes a first opening expo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opening exposing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 장치와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길이 조절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케이블;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길이 조절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케이블; 상기 전원 장치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길이 조절부 및 상기 연결 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블, 상기 제2 케이블 및 상기 제3 케이블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제3 케이블은 상기 길이 조절부를 거치면서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로 분기된 것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insertion device; a first cable located between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a second cable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power supply; and a third cable located between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t includes, and as the position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changes, the lengths of the first cable, the second cable, and the third cable are adjusted, and the third cable passes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unit, and the first cable and the third cable pass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unit. It may be branched into a second cable.

또한, 상기 삽입 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쌍의 홀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nd has a pair of holes formed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can be inserted.

또한, 사용자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신호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ignal supply unit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user control;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구동 신호의 특성은 진폭 및 DC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may include amplitude and DC offset.

또한, 상기 제1 삽입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의 특성과 상기 제2 삽입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의 특성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supplied to the second insertion part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 삽입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비공(鼻孔)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삽입부; 및 AC 신호와 DC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전극에 공급하는 신호 공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ostril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ser's nostril, and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de that receives a drive signal and provides electromagnetic waves corresponding to the drive signal. wealth; and a signal supply unit that generates the driving signal by mixing an AC signal and a DC signal and supplies the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파를 비강 내에 제공할 수 있는 비공 삽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electromagnetic waves into the nasal cavity.

또한, AC 신호와 DC 신호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비공 삽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that can provide a driving signal generated by mixing AC signals and DC signals.

또한, 코 내부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비공 삽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nostril insertion device capable of irradiating light into the nose can be provided.

또한,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고정력이 우수한 구조의 비공 삽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with a structure that is easy to wear and has excellent fixation pow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공 삽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AC 신호와 DC 신호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의 바이오 필름 제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삽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전극과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호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s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a nostril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are diagrams to explain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a driving signal generated by mixing AC signals and DC signals.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insertion device shown in FIG. 1.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body shown in Figure 4.
Figures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the electrode and light emitting unit shown in Figure 4.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diagrams showing the waveform of 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a and 11b are diagrams showing a signal suppl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결합" 또는 "접속"의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lements. In the case of "connection", "coupling" or "connection", it is understood to be physical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as well as electrical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as required. It can be.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unit”, “unit”, “character”, and “module” us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us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be clear that the division of componen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according to the main function each component is responsible for.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for more detailed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it is responsible for, each of the component parts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handled by other components,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may be performed by other components. Of course, it can also be carried out exclusively by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공 삽입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nostril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relat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공 삽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및 3b는 AC 신호와 DC 신호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의 바이오 필름 제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a nostril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a driving signal generated by mixing AC signals and DC signals.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공 삽입 장치(1)는, 삽입 장치(10), 전원 장치(20), 및 삽입 장치(10)와 전원 장치(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nostril inser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device 10, a power supply 20,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insertion device 10 and the power supply 20. (30) may be included.

삽입 장치(10)는 전원 장치(20)로부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장을 생성하는 전극(11a, 11b;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ertion device 10 may include electrodes 11a and 11b (see FIG. 4) that receive a driving signal from the power supply 20 and generate an electric fiel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ignal.

전원 장치(20)는 신호 공급부(40; 도 8 참조)와 배터리(50;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공급부(40)는 배터리(50)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ower device 20 may include a signal supply unit 40 (see FIG. 8) and a battery 50 (see FIG. 8), and the signal supply unit 40 provides a driving signal using the battery voltage supplied from the battery 50. can be created.

특히, 신호 공급부(40)는 AC(Alternating Current) 신호와 DC(Direct Current) 신호를 혼합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구동 신호에는 AC 성분과 DC 성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AC 성분과 DC 성분의 동시 적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 및 공진이 발생하여 염증 발생의 원인이 되는 바이오필름(biofilm)의 제거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ignal supply unit 40 generates a driving signal by mixing an Alternating Current (AC) signal and a Direct Current (DC) signal. Accordingly, the driving signal contains both AC and DC components, and a synergy effect and resonance occurs due to simultaneous application of AC and DC components, increasing the effect of removing biofilm, which causes inflammation. It can be.

도 3a를 참조하면, DC 성분에 의한 전기장은 국소적인 전하량 분포의 불균형을 유도하여 바이오필름의 구조적인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AC 성분에 의한 전기장은 특이적인 진동 발생을 통해 외부 보호체의 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a, the electric field due to the DC component increases the structural stress of the biofilm by inducing an imbalance in the local charge distribution, and the electric field due to the AC component increases the permeability of the external protector through the generation of specific vibrations. You can do it.

이러한 AC 성분과 DC 성분의 시너지 효과는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AC 성분에 의한 전기장과 DC 전압에 의한 전기장을 각각 단독으로 제공하였을 때의 바이오필름 제거 효과에 비해, AC 성분에 의한 전기장과 DC 전압에 의한 전기장을 중첩하여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바이오필름의 제거 효과가 월등히 우세함을 알 수 있다.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se AC and DC components can be seen in Figure 3b. In other words, compared to the biofilm removal effect when the electric field by the AC component and the electric field by the DC voltage are provided separately, the removal of biofilm is achieved when the electric field by the AC component and the electric field by the DC voltage are provided simultaneously.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is significantly superi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호 공급부(40)가 공급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DC 성분에 의한 전기장과 AC 성분에 의한 전기장이 전극(11a, 11b)으로부터 동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이오필름에 대한 증폭된 제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supplied by the signal supply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field due to the DC component and the electric field due to the AC component can be provided simultaneously from the electrodes 11a and 11b, so that the biofilm described above Amplified removal effect can be achieved.

또한, 구동 신호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이 중첩된 형태로 설정됨으로써, 직류 전압만을 인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신체의 감전 위험과 신체에 유발할 수 있는 통증을 줄여줄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driving signal is set to overlap alternating current and direct current voltage as described above, the risk of electric shock to the body and pain that may be caused to the body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direct current voltage is applied.

다음으로, 연결부(30)는 삽입 장치(10)와 전원 장치(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제1 케이블(311), 제2 케이블(312), 제3 케이블(313), 길이 조절부(320), 지지부(330), 및 연결 단자(34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nnection part 30 electrically connects the insertion device 10 and the power supply 20, and includes the first cable 311, the second cable 312, the third cable 313, and the length adjustment unit ( 320), a support portion 330, and a connection terminal 340.

먼저, 지지부(330)에는 삽입 장치(1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 장치(10)는 지지부(33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즉, 지지부(330)와 삽입 장치(10)는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노후화 등에 의해 삽입 장치(1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기존 삽입 장치(10)를 신규 삽입 장치(10)로 간편히 교체할 수 있다. First, the insertion device 10 may be coupled and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330, and as shown in FIG. 2, the insertion device 10 may be detachable from the support portion 330. That is, the support portion 330 and the insertion device 10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device 10 needs to be replaced due to aging, etc., the user can replace the existing insertion device 10 with a new insertion device ( 10) It can be easily replaced.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 신호를 삽입 장치(10)에 전달하기 위하여, 지지부(330)에는 지지부(330)와 삽입 장치(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order to transmit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to the insertion device 10, the support portion 330 includes a support portion 330 and an insertion device ( 10) may include a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연결 단자(340)는 전원 장치(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 단자(340)는 전원 장치(2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즉, 연결 단자(340)와 전원 장치(20)는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노후화, 고장 등에 의해 연결부(30) 또는 전원 장치(2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기존 연결부(30) 또는 전원 장치(20)를 신규 연결부(30) 또는 전원 장치(20)로 간편히 교체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terminal 340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power device 20,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on terminal 340 may be detachable from the power device 20. That is, the connection terminal 340 and the power device 20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ly, when replacement of the connection part 30 or the power device 20 is required due to aging, failure, etc., the user can connect the existing connection ( 30) or the power supply 20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new connection part 30 or the power supply 20.

연결 단자(340)를 통해 전원 장치(20)에서 생성된 구동 신호가 제3 케이블(313)로 전달될 수 있다.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20 may be transmitted to the third cable 313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340.

제1 케이블(311)의 일단은 지지부(330)에 연결되고 타단은 길이 조절부(320)에 연결됨에 따라, 제1 케이블(311)은 지지부(330)와 길이 조절부(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s one end of the first cable 31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ment part 320, the first cable 311 is located between the support part 330 and the length adjustment part 320. can do.

또한, 제2 케이블(312)의 일단은 지지부(330)에 연결되고 타단은 길이 조절부(320)에 연결됨에 따라, 제2 케이블(312)은 지지부(330)와 길이 조절부(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one end of the second cable 312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ment part 320, the second cable 312 is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art 330 and the length adjustment part 320. It can be located in .

제3 케이블(313)의 일단은 길이 조절부(3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 단자(340)에 연결됨에 따라, 제3 케이블(313)은 길이 조절부(320)와 연결 단자(3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케이블(313)은 길이 조절부(320)를 거치면서 제1 케이블(311)과 제2 케이블(312)로 분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third cable 313 is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ment unit 3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340, so that the third cable 313 is connected between the length adjustment unit 32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40. It can be located in . Additionally, the third cable 313 may be branched into a first cable 311 and a second cable 312 while passing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unit 320.

연결부(30)는 제1 케이블(311)과 제2 케이블(312)을 귀에 걸어서 착용할 수 있도록 목걸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이 길이 조절부(320)로부터 각각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 즉 두 가닥으로 분기된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는 비공 삽입 장치(1) 사용 시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 각각을 귀에 걸어서 착용할 수 있고,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귀 위에서 귀 뒤를 감쌀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30 may have the shape of a necklace so that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can be worn by hanging on the ear. Specifically, the cable has a shape branched into two strands, that is, a first cable 311 and a second cable 312, respectively, from the length adjusting unit 320, and the user uses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when using the nostril insertion device 1. Each of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can be worn by hooking it around the ea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can be wrapped above the user's ear and behind the ear.

즉, 사용자가 비공 삽입 장치(1)를 사용하는 동안 삽입 장치(10)가 사용자의 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That is, while the user uses the nostril insertion device 1, the insertion device 10 can be fixed so that it does not come off the user's nose.

제1 케이블(311), 제2 케이블(312), 및 제3 케이블(313)의 길이는 길이 조절부(32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The lengths of the first cable 311, the second cable 312, and the third cable 313 can be changed by the length adjuster 320.

길이 조절부(320)는 제1 케이블(311), 제2 케이블(312), 및 제3 케이블(31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의 길이가 짧아지면 제3 케이블(313)의 길이는 길어지고,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의 길이가 길어지면 제3 케이블(313)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The length adjusting unit 320 can adjust the lengths of the first cable 311, the second cable 312, and the third cable 313,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If becomes shorter, the length of the third cable 313 may become longer, and as the length of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becomes longer, the length of the third cable 313 may become shorter.

길이 조절부(320)가 연결 단자(3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의 길이는 짧아지고, 길이 조절부(320)가 연결 단자(3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When the length adjustment unit 32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340, the lengths of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become shorter, and the length adjustment unit 320 moves closer to the connection terminal 340. When moving in a direction closer to , the length of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may become longer.

즉 비공 삽입 장치(1)를 착용할 때는 길이 조절부(3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의 길이를 길게 하여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착용 후에는 길이 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제1 케이블(311) 및 제2 케이블(312)의 길이를 짧게 조정함으로써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That is, when wearing the nostril insertion device 1, the length of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is lengthen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320 to make it easy to wear, and after wearing, the length is adjusted. The fixing force can be increased b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first cable 311 and the second cable 312 using the adjuster 320.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삽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삽입부의 바디와 헤드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insertion device shown in Figure 1,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ody and head of the first insertion part are shown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삽입 장치(10)는 한 쌍의 삽입부(10a, 10b), 및 한 쌍의 삽입부(10a, 10b)를 고정하는 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insertion device 10 may include a pair of insertion parts 10a and 10b, and a cover 150 that secures the pair of insertion parts 10a and 10b.

한 쌍의 삽입부(10a, 10b)는 각각 서로 다른 비공(鼻孔)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0a)와 제2 삽입부(1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삽입부(10a)의 일부는 오른쪽 비공에 삽입되고, 제2 삽입부(10b)의 일부는 왼쪽 비공에 삽입될 수 있다.A pair of insertion parts (10a, 10b)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part (10a) and a second insertion part (10b) each inserted into different nostrils, for example, the first insertion part ( A portion of 10a) may be inserted into the right nostril, and a portion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0b may be inserted into the left nostril.

커버(150)에는 제1 삽입부(10a) 및 제2 삽입부(10b)의 일부가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쌍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pair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ver 150 so that parts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10b can be inserted through it.

또한, 커버(150)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장치(10)가 사용자의 코 속에 삽입될 때 사용자의 코 형상에 대응하여 커버(150)가 변형됨에 따라 제1 삽입부(10a) 및 제2 삽입부(10b) 간 간격 등이 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코로부터 삽입 장치(10)을 제거하면 변형된 커버(150)의 형상이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 때, 커버(150)와 결합되는 연결부(30)의 지지부(330) 또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ver 150 may have elasticity, and for this purpose, i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when the insertion device 10 is inserted into the user's nose, the cover 150 is deformed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user's nose, so the gap between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10b, etc. This may change, and when the insertion device 10 is removed from the user's nose, the deformed shape of the cover 150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330 of the connection portion 30 coupled to the cover 150 may also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제1 삽입부(10a) 및 제2 삽입부(10b) 각각은, 바디(120), 및 바디(120)의 상면을 덮는 헤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10b may include a body 120 and a head 13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0.

바디(120) 및 헤드(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에 그래핀(graphene)이 일부 첨가됨으로써 항균성, 원적외선 방출 기능, 및 발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헤드(130)의 경우 발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120 and the head 13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by adding some graphene to the synthetic resin, antibacterial properties, far-infrared ray emission function, and water repellent function can be implemented. Additionally, the head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 to pass through,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바디(120)에는 전극(11a, 11b) 및 발광부(12)가 구비되며, 전극(11a, 11b)은 바디(120)의 상단부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부(12)는 바디(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120 is provided with electrodes 11a and 11b and a light emitting unit 12. The electrodes 11a and 11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2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2 is provided on the body 120. )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발광부(12)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살균 등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기 설정된 파장 값을 갖도록 발광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2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may emit light with a preset wavelength value to demonstrate effects such as sterilization.

예를 들어, 발광부(12)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파장 대역은 380 ~ 420nm 및/또는 450 ~ 500nm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405nm 및/또는 475nm 파장 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velength band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 may be set to 380 to 420 nm and/or 450 to 500 nm,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set to 405 nm and/or 475 nm wavelength band.

전극(11a, 11b)은 구동 신호의 전기 에너지를 기초로 전자기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파는 사용자에 전기적 영향을 줄 수 있다.The electrodes 11a and 11b may provide electromagnetic waves based on the electrical energy of the driving signal, and these electromagnetic waves may have an electrical effect on the user.

전극(11a, 11b)은 황동(brass), 알루미늄(Aluminum), 전도성 고분자(Conducting polymer), 전도성 실리콘(Conducting Silicon),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물질이라면 전극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electrodes 11a and 11b may be formed of materials such as brass, aluminum, conducting polymer, conducting silicon, and stainless ste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ny conductive material can be used as an electrode material.

전극(11a, 11b)은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전극은 구동 신호를 인가 받고 나머지 전극은 접지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electrodes 11a and 11b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a and a second electrode 11b. One electrode may receive a driving signal and the remaining electrode may serve as a ground electrode.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바디(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의 일부는 바디(12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바디(120)에는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are disposed inside the body 12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are separated from the body 120. may be exposed. To this end, the body 12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that allows part of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to be exposed.

이러한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은 신호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전자기파를 제공할 수 있다. These first electrodes 11a and second electrodes 11b can provide electromagnetic waves by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signal supply unit 40.

여기서 어느 하나의 삽입부(예를 들어, 제1 삽입부(10a))에 구비된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 간 간격(G)은 0.1 mm ~ 20 mm 일 수 있다.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 간 간격(G)이 0.1 mm 미만이거나 20 mm을 초과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전극(11a, 11b)에서 생성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바이오필름 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Here, the gap G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provided in one insertion part (for example,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may be 0.1 mm to 20 mm. If the gap (G)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is set to be less than 0.1 mm or more than 20 mm, expect a biofilm removal effect b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electrodes (11a, 11b). It can be difficult.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은 사용자의 비공에 넣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바디(120) 내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부(10a)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11a, 11b)의 폭(W)은 0.1 mm ~ 10 mm 일 수 있으며, 전극(11a, 11b)의 길이(L)는 0.1 mm ~ 50mm일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1b)과 제1 전극(11a)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may be formed to a size suitable for being placed in the body 120 of a size suitable for use in a user's nostril. For example, the width (W) of the electrodes (11a, 11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0a) may be 0.1 mm to 10 mm, and the length (L) of the electrodes (11a, 11b) may be 0.1 mm. It can be from mm to 50 mm. Additionally, the second electrode 11b and the first electrode 11a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한편,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의 폭 및 길이가 0.1 mm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 전기장에 의한 구강 관리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are set to less than 0.1 mm, the oral care effect by the electric field may be weak.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11a) 및 제2 전극(11b)은 바디(120)로부터 일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전극(11a)은 바디(120)의 표면을 기준으로 0.1 mm 내지 15 mm의 높이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11b)은 제1 전극(11a)과 동일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may have a shape that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body 120.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1a is connected to the body 120. It may be in a form that protrudes to a height of 0.1 mm to 15 mm based on the surface.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11b may be set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electrode 11a.

만약 전극(11a, 11b)의 높이가 0.1mm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 인서트 사출(Insert Injection Molding) 공정 진행 시 전극(11a, 11b)이 바디(120)의 내부에 묻혀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If the height of the electrodes (11a, 11b) is set to less than 0.1 m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lectrodes (11a, 11b) may be buried inside the body 120 during the insert injection molding process. .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전극과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는 제1 삽입부(10a)에 구비된 바디(120) 만을 도시하였고, 도 6 및 도 7에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전극과 발광부를 도시하되, 제1 삽입부(10a)에 구비된 전극(11a, 11b)과 발광부(12) 만을 도시하였으며, 제2 삽입부(10b)에 구비된 바디(120), 전극(11a, 11b), 및 발광부(1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body shown in FIG. 4, and FIGS.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the electrode and light emitting unit shown in FIG. 4.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body 120 provided in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is shown in Figure 5, and Figures 6 and 7 show the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part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but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is shown in Figure 5. Only the electrodes 11a and 11b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2 provided in (10a) are shown, and the body 120, electrodes 11a and 11b,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2 provid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0b are shown. may be the same as shown in FIGS. 6 and 7.

도 5를 참조하면, 바디(120)는 상단부 측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121) 및 제2 개구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개구부(121)는 제1 전극(11a)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하고, 제2 개구부(122)는 제2 전극(11b)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body 12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21 and a second opening 122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end, and the first opening 121 forms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a.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opening 122 may expose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11b to the outside.

제1 전극(11a)의 제1 단부(111a, 도 6 및 7 참조) 및 제2 단부(112a, 도 6 및 7 참조)는 제1 개구부(121)를 통해 바디(120)의 상단부 양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first end 111a (see FIGS. 6 and 7) and the second end 112a (see FIGS. 6 and 7) of the first electrode 11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20 through the first opening 121. 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제2 전극(11b)의 제1 단부(111b, 도 6 및 7 참조) 및 제2 전극(11b)의 제2 단부(112b, 도 6 및 7 참조)는 제2 개구부(122)를 통해 바디(120)의 상단부 양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nd 111b of the second electrode 11b (see FIGS. 6 and 7) and the second end 112b of the second electrode 11b (see FIGS. 6 and 7) ar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2. The upper part of the body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both sides.

바디(120)는 상면에 형성된 제3 개구부(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개구부(123)는 발광부(12)를 수용하고 발광부(1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The body 120 may include a third opening 1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third opening 123 may accommodate the light emitting unit 12 and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2 to the outside.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전극(11a)은 제1 단부(111a), 제2 단부(112a), 및 제3 단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111a)와 제2 단부(112a)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단부(113a)는 제1 단부(111a)와 제2 단부(11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first electrode 11a may include a first end 111a, a second end 112a, and a third end 113a. The first end 111a and the second end 112a may b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third end 113a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end 111a and the second end 112a. .

구체적으로, 제1 단부(111a)는 제1 전극(11a)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 영역의 일단이고, 제2 단부(112a)는 제1 전극(11a)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 영역의 일단이며, 제3 단부(113a)는 제1 전극(11a)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측(상기 일 방향 및 상기 타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 영역의 일단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1a)의 중심 영역은 후술할 제1 연결 전극(131)의 일단과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end 111a is one end of the electrode area protruding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nd 112a is from the center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a. It is one end of the electrode area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 an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third end 113a is located above the center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It may be one end of the electrode area formed by protruding and extending. Here, the central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a may be an are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단부(111a) 및 제2 단부(112a)는 바디(120)에 마련된 제1 개구부(121)로 노출되고, 제3 단부(113a)는 발광부(12)와 접촉할 수 있다. The first end 111a and the second end 112a are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21 provided in the body 120, and the third end 113a may be in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12.

제2 전극(11b)은 제1 전극(11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단부(111b) 및 제2 단부(112b)를 포함하며, 제1 단부(111b) 및 제2 단부(112b)는 바디(120)에 마련된 제2 개구부(122)로 노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1b)은, 제1 단부(111b) 및 제2 단부(112b) 사이에 위치하며, 발광부(12)와 접촉하는 제3 단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1b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lectrode 11a and includes a first end 111b and a second end 112b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first end 111b And the second end 112b may be an area exposed to the second opening 122 provided in the body 120. Additionally, the second electrode 11b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end 111b and the second end 112b and may include a third end 113b that contacts the light emitting unit 12.

즉, 제1 전극(11a) 및 제2 전극(11b)의 적어도 일부는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may have a 'T' shape.

한편, 제1 전극(11a) 및 제2 전극(11b) 각각에 제1 연결 전극(131) 및 제2 연결 전극(132)이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연결 전극(131)의 일단이 제1 전극(11a)의 중심 영역과 연결되고, 제2 연결 전극(132)의 일단이 제2 전극(11b)의 중심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connection electrode 131 and a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32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and 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31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It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a,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32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11b.

또한, 제1 연결 전극(131)과 제2 연결 전극(132)은 전원 장치(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바디(120)의 말단부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커버(150)에 내 배치된 회로 기판(미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전극(131)의 말단부가 제1 연결 단자(151)와 연결되고, 제2 연결 전극(132)의 말단부가 제2 연결 단자(152)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31 and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32 are formed to extend long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body 120 so as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device 20, and are disposed in the cover 150.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not shown). Specifically, the distal end of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1, and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3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52.

제조 편의를 위하여, 제1 연결 전극(131)과 제1 전극(11a)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연결 전극(132)과 제2 전극(11b)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or manufacturing convenience,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31 and the first electrode 11a may be formed integrally, and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may also be formed integrally.

또한, 제1 연결 전극(131)과 제2 연결 전극(132)은 앞서 설명한 전극(11a, 11b)의 재료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31 and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3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s 11a and 11b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발광부(12)는 제1 단자(12a)와 제2 단자(1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단자(12a)는 제1 전극(11a)과 접촉하고, 제2 단자(12b)는 제2 전극(11b)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12a) 및 제2 단자(12b)는 제1 전극(11a)과 제2 전극(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Next, the light emitting unit 12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2a and a second terminal 12b, where the first terminal 12a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terminal 12b )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11b. Additionally, the first terminal 12a and the second terminal 12b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이 경우, 발광부(12)는 전극(11a, 11b)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 신호를 인가 받아 동작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12 can operate by receiving a driv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lectrodes 11a and 11b.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부(12)는 별도로 마련된 연결선을 통해 별도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12)와 전극(11a, 11b)이 통전되지 않도록 제1 단자(12a) 및 제2 단자(12b)는 제1 전극(11a) 및 제2 전극(11b)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사이에 별도의 절연 부재가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12)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공급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2 can receive a separate driving signal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connection line.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2a and the second terminal 12b ar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b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12 and the electrodes 11a and 11b do not conduct electricity. It can be done, and a separate insulating member may be located between them. In addition, a signal supply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1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9a에서는 필터링된 AC 신호(Sac’)를 도시하였고, 도 9b에서는 DC 신호(Sdc)를 도시하였으며, 도 9c에서는 필터링된 AC 신호(Sac’)와 DC 신호(Sdc)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Vd)를 도시하였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to 9C are diagrams showing the waveform of 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ure 9a shows a filtered AC signal (Sac'), Figure 9b shows a DC signal (Sdc), and Figure 9c shows a mixture of the filtered AC signal (Sac') and DC signal (Sdc). The driving signal (Vd) is shown.

도 8을 참조하면, 전원 장치(20)는 신호 공급부(40) 및 배터리(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50)는 신호 공급부(40)로 배터리 전압(Vb)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power device 20 may include a signal supply unit 40 and a battery 50, and the battery 50 may provide a battery voltage (Vb) to the signal supply unit 40.

신호 공급부(40)는 DC-DC 컨버터(41), 신호 발생부(42), 필터(43), 및 캘리브레이션부(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전압 분배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supply unit 40 may include a DC-DC converter 41, a signal generator 42, a filter 43, and a calibration unit 44, and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ivider 45. there is.

DC-DC 컨버터(41)는 배터리(50)로부터 배터리 전압(Vb)을 공급받고, 배터리 전압(Vb)을 소정 레벨의 출력 전압(Vo)으로 변환시켜 출력할 수 있다. The DC-DC converter 41 can receive the battery voltage (Vb) from the battery 50, convert the battery voltage (Vb) into an output voltage (Vo) at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 it.

신호 발생부(42)는 DC-DC 컨버터(4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기초로 동작하며, DC-DC 컨버터(41)의 출력 전압(Vo)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AC 신호(Sac)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42 operates based on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DC-DC converter 41, and generates an AC signal (Sac) with a predetermined frequency using the output voltage (Vo) of the DC-DC converter 41. can be created.

신호 발생부(42)는 오실레이터(Oscillator),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 등과 같은 AC 신호를 생성 가능한 기 공지된 구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42 may be implemented using a known configuration capable of generating an AC signal, such as an oscillator or function generator.

예를 들어, AC 신호(Sac)는 1KHz ~ 1000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AC 신호(Sac)가 1KHz 미만의 저주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바이오 필름의 제거 효과가 떨어지며, AC 신호(Sac)가 1000MHz를 넘는 초고주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바이오 필름의 제거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AC 신호(Sac)의 주파수는 바이오 필름의 제거에 적합한 5MHz ~ 15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 signal (Sac) can be set to a frequency of 1KHz to 1000MHz. This is because when the AC signal (Sac) is set to a low frequency of less than 1 KHz, the biofilm removal effect is reduced, and even when the AC signal (Sac) is set to an ultra-high frequency exceeding 1000 MHz, the biofilm removal effect is reduced. Meanwhile, the frequency of the AC signal (Sac) can be set to a frequency of 5 MHz to 15 MHz, which is suitable for removal of biofilm.

또한, AC 신호(Sac)의 진폭은 바이오 필름의 제거에 적합한 0.1mV ~ 10V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C 신호(Sac)의 진폭이 0.1mV 미만인 경우 바이오 필름의 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Additionally, the amplitude of the AC signal (Sac) may be set to 0.1 mV to 10 V, which is suitable for removal of bio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ct a biofilm removal effect if the amplitude of the AC signal (Sac) is less than 0.1mV.

필터(43)는 신호 발생부(42)에 의해 생성된 AC 신호(Sac)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필터(43)는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포함하여, 톱니파(Sawtooth Wave) 형태의 AC 신호(Sac)를 사인파(Sine Wave) 형태의 AC 신호(Sac’)로 변환할 수 있다. 다만, 필터(43)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채용될 수 있다.The filter 43 may perform a filtering operation on the AC signal (Sac)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42. For example, the filter 43 includes a band pass filter and can convert an AC signal (Sac) in the form of a sawtooth wave into an AC signal (Sac') in the form of a sine wave. there is. However, the type of filter 43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types of filters may be employed depending on the design structure.

캘리브레이션부(44)는 필터(43)를 통해 공급된 AC 신호(Sac’)에 DC 신호(Sdc)를 혼합하여 구동 신호(Vd)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캘리브레이션부(44)는 AC 신호(Sac’)와 DC 신호(Sdc)의 합산(또는 중첩)이 가능한 연산 증폭기(operating amplifie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alibration unit 44 may generate a driving signal (Vd) by mixing the DC signal (Sdc) with the AC signal (Sac') supplied through the filter 43. For example, the calibration unit 44 may be implemented as an operating amplifier capable of summing (or overlapping) an AC signal (Sac') and a DC signal (Sd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AC 신호(Sac’)에는 DC 신호(Sdc)에 해당하는 오프셋(offset)이 발생되며, AC 성분과 DC 성분을 모두 보유한 구동 신호(Vd)가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n offset corresponding to the DC signal (Sdc) is generated in the AC signal (Sac'), and a driving signal (Vd) having both AC and DC components can be generated.

구동 신호(Vd)는 AC 신호(Sac)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구동 신호(Vd)는 1KHz ~ 1000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모공 내 노폐물의 제거에 보다 적합한 5MHz ~ 15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신호(Vd)의 진폭은 0.1mV ~ 10V로 설정될 수 있다.Since the driving signal (Vd) contains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 signal (Sac), the driving signal (Vd) can be set to a frequency of 1KHz to 1000MHz, and also a frequency of 5MHz to 15MHz, which is more suitable for removing wastes in pores. It can be set to . Additionally, the amplitude of the driving signal (Vd) can be set to 0.1 mV to 10 V.

도 9a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부(440)는 A 볼트(V)의 진폭을 갖는 AC 신호(Sac’)를 필터(43)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해당 AC 신호(Sac’)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B 볼트(V)의 DC 신호(Sdc)을 중첩함으로써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구동 신호(Vd)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the calibration unit 440 may receive an AC signal (Sac') having an amplitude of A volt (V) from the filter 43, and the AC signal (Sac') shown in FIG. 9B may be supplied. The final driving signal (Vd) as shown in FIG. 9C can be generated by superimposing the DC signal (Sdc) of B volts (V) as shown.

이때, DC 신호(Sdc)의 전압값은 AC 신호(Sac’)의 진폭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신호(Vd)의 전압값은 0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oltage value of the DC signal (Sdc)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mplitude of the AC signal (Sac’). Accordingly, the voltage value of the driving signal (Vd) may be set to 0 or more.

결국, 구동 신호(Vd)의 DC 오프셋 값은 구동 신호(Vd)의 진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Ultimately, the DC offset value of the driving signal (Vd) may be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mplitude of the driving signal (Vd).

구동 신호(Vd)의 DC 오프셋 값이 구동 신호(Vd)의 진폭 값 미만인 경우, 구동 신호(Vd)의 전압이 음의 값을 갖게 되는 구간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구간에서 전압이 음의 값을 갖게 됨에 따라 전기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DC offset value of the driving signal (Vd) is less than the amplitude value of the driving signal (Vd), a section occurs in which the voltage of the driving signal (Vd) has a negative value, and in this section, the voltage has a negative value. As a result, loss of electrical energy occurs.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구동 신호(Vd)의 DC 오프셋 값을 구동 신호(Vd)의 진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하게 되면, 구동 신호(Vd)의 전압이 항상 ‘0’ 이상이므로 전기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Howev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C offset value of the driving signal (Vd)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mplitude of the driving signal (Vd), the voltage of the driving signal (Vd) is always '0' or higher, Energy loss can be minimized.

한편, DC 신호(Sdc)는 전압 분배부(4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분배부(45)는 DC-DC 컨버터(41)의 출력 전압(Vo)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출력 전압(Vo)에 대한 전압 분배를 수행하여 DC 신호(Sdc)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C signal Sdc may be generated by the voltage divider 45. For example, the voltage divider 45 may receive the output voltage (Vo) of the DC-DC converter 41, and perform voltage division on the output voltage (Vo) to generate a DC signal (Sdc). You can.

전압 분배부(45)는 출력 전압(Vo)을 분배하기 위한 저항 스트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The voltage divider 45 may be composed of a resistor string to distribute the output voltage Vo, but is not limited thereto.

DC-DC 컨버터(41)의 출력 전압(Vo)이 구동 신호(Vd) 생성에 바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경우, 해당 출력 전압(Vo)이 DC 신호(Sdc)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압 분배부(45)는 생략될 수 있으며, DC-DC 컨버터(41)의 출력 전압(Vo)이 캘리브레이션부(44)로 입력될 수 있다.When the output voltage (Vo) of the DC-DC converter 41 is suitable for direct use in generating the driving signal (Vd), the corresponding output voltage (Vo) can serve as the DC signal (Sdc). In this case, the voltage divider 45 can be omitted, and the output voltage (Vo) of the DC-DC converter 41 can be input to the calibration unit 44.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20)에서는 신호 공급부(40)가 사용자의 제어에 대응하여 구동 신호(Vd)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장치(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신호 공급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power supply device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supply unit 40 may change at least one characteristic of the driving signal Vd in response to the user's control. Additionally, the power device 20 may additionally include a control unit 70 that controls the signal supply unit 40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구동 신호(Vd)의 특성은 구동 신호(Vd)의 진폭 및 DC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Vd may include the amplitude and DC offset of the driving signal Vd.

즉, 사용자는 구동 신호(Vd)의 진폭 및 DC 오프셋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구동 신호(Vd)를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set the optimal driving signal (Vd) suitable for the user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amplitude and DC offset of the driving signal (Vd).

이때, 구동 신호(Vd)의 특성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 방식은 전원 장치(20)에 설치된 스위치 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원 장치(20)에 설치된 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구동 신호(Vd)의 특성을 조절 또는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s input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Vd) may be through a switch installed in the power device 20, and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installed in the power device 20, etc. ) can be adjusted or set.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으로, 구동 신호(Vd)의 설정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0)는 구동 신호(Vd)가 입력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진폭 값 및 DC 오프셋 값을 갖도록 신호 공급부(4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riving signal (Vd) is input through a switch operation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70 sets the signal supply unit 40 so that the driving signal (Vd) has an amplitude value and a DC off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tting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제어부(70)는 신호 발생부(42)를 제어함으로써 AC 신호(Sac)의 진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DC-DC 컨버터(41)및/또는 전압 분배부(45)를 제어함으로써 DC 신호(Sdc)의 전압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구동 신호(Vd)의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can change the amplitude of the AC signal (Sac) by controlling the signal generator 42.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voltage value of the DC signal (Sdc) by controlling the DC-DC converter 41 and/or the voltage divider 45.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Vd may ultimately be changed.

이때, 제어부(70)는 DC 신호(Sdc)의 전압 값이 AC 신호(Sac')의 진폭 이상으로 설정되도록 전압 분배부(45)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 신호(Vd)의 전압 값은 0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voltage divider 45 so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DC signal (Sdc) is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mplitude of the AC signal (Sac'), and accordingly, the voltage value of the driving signal (Vd) may be set. can be set to 0 or mor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삽입부(10a)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Vd)의 특성과 제2 삽입부(10b)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Vd)의 특성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신호 공급부(40)에서 출력된 하나의 구동 신호(Vd)가 제1 삽입부(10a) 및 제2 삽입부(10b)에 입력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Vd) supplied to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Vd) supplied to the second insertion part (10b) are set to be the same. It can be. That is, one driving signal Vd output from the signal supply unit 40 may be input to the first insertion unit 10a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10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1 삽입부(10a)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Vd)의 특성과 제2 삽입부(10b)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Vd)의 특성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Vd) supplied to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Vd) supplied to the second insertion part (10b) are set differently. It can be.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신호 공급부(40)가 두 개 구비되어 하나의 신호 공급부(40)는 제1 삽입부(10a)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Vd)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다른 신호 공급부(40)는 제2 삽입부(10b)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Vd)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wo signal supply units 40 are provided, so that one signal supply unit 40 generates and outputs the driving signal Vd supplied to the first insertion unit 10a, and the other signal supply unit 40 generates and outputs the driving signal Vd supplied to the first insertion unit 10a. The signal supply unit 40 may generate and output a driving signal (Vd) supplied to the second insertion unit 10b.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삽입부(10a)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의 설정 정보와 제2 삽입부(10b)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의 설정 정보를 서로 다르게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70)는 각각의 신호 공급부(4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r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part 10a and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r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ertion part 10b differently, and the control unit 70 The signal supply unit 40 can be controlled.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호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s 11a and 11b are diagrams showing a signal supply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호 공급부(60)는 DC-DC 컨버터(61), 신호 발생부(62), 전압 강하부(63), 필터(64), 및 오프셋 조절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the signal supply unit 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C-DC converter 61, a signal generator 62, a voltage drop unit 63, a filter 64, and an offset adjustment unit 65.

DC-DC 컨버터(61)는 배터리 전압(Vb)을 공급받고, 배터리 전압(Vb)을 소정 레벨의 출력 전압(Vo)으로 변환시켜 출력할 수 있다. The DC-DC converter 61 can receive the battery voltage (Vb), convert the battery voltage (Vb) into an output voltage (Vo) at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 it.

신호 발생부(62)는 DC-DC 컨버터(6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기초로 동작하며, DC-DC 컨버터(61)의 출력 전압(Vo)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제1 AC 신호(Sa1)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62 operates based on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DC-DC converter 61, and uses the output voltage (Vo) of the DC-DC converter 61 to generate a first AC signal ( Sa1) can be generated.

신호 발생부(62)는 오실레이터(Oscillator),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 등과 같은 AC 신호를 생성 가능한 기 공지된 구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62 may be implemented using a known configuration capable of generating an AC signal, such as an oscillator or a function generator.

예를 들어, 제1 AC 신호(Sa1)는 1KHz ~ 1000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AC 신호(Sa1)가 1KHz 미만의 저주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바이오 필름의 제거 효과가 떨어지며, 제1 AC 신호(Sa1)가 1000MHz를 넘는 초고주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바이오 필름의 제거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제1 AC 신호(Sa1)의 주파수는 바이오 필름의 제거에 적합한 5MHz ~ 15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C signal Sa1 may be set to a frequency of 1 KHz to 1000 MHz. If the first AC signal (Sa1) is set to a low frequency of less than 1 KHz, the biofilm removal effect is reduced, and even if the first AC signal (Sa1) is set to an ultra-high frequency of more than 1000 MHz, the biofilm removal effect is reduced. Because. Meanwhile, the frequency of the first AC signal Sa1 may be set to a frequency of 5 MHz to 15 MHz suitable for removal of biofilm.

전압 강하부(63)는 신호 발생부(62)로부터 출력된 제1 AC 신호(Sa1)의 크기(예를 들어, 피크 투 피크 전압 등)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강하부(63)는 저항 소자(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AC 신호(Sa1)에 비해 크기가 감소된 제2 AC 신호(Sa2)가 전압 강하부(63)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The voltage drop unit 63 may be used to reduce the magnitude (eg, peak-to-peak voltage, etc.) of the first AC signal Sa1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62. For example, the voltage drop unit 63 may be implemented as a resistance element (R), through which the second AC signal (Sa2), whose size is reduced compared to the first AC signal (Sa1), is transmitted to the voltage drop unit 63. ) can be output from.

필터(64)는 전압 강하부(63)로부터 공급된 제2 AC 신호(Sa2)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64)는 커패시터 소자(C)를 포함한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로 설정될 수 있으며, 톱니파(Sawtooth Wave) 형태의 제2 AC 신호(Sa2)를 사인파(Sine Wave) 형태의 제3 AC 신호(Sa3)로 변환할 수 있다. The filter 64 may perform a filtering operation on the second AC signal Sa2 supplied from the voltage drop unit 63. For example, the filter 64 may be set as a low pass filter including a capacitor element (C), and converts the second AC signal (Sa2) in the form of a sawtooth wave into a sine wave. It can be converted into a third AC signal (Sa3) in the form of.

또한, 필터(64)를 통해 예기치 않은 제2 AC 신호(Sa2)의 DC 오프셋(DC offset)를 제거하여, 구동 신호(Vd)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recision of the driving signal Vd can be improved by removing the unexpected DC offset of the second AC signal Sa2 through the filter 64.

오프셋 조절부(65)는 DC 신호에 필터(64)로부터 출력된 제3 AC 신호(Sa3)를 혼합하여 구동 신호(V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셋 조절부(65)는 다수의 저항 소자(R1, R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전압(예를 들어, DC-DC 컨버터(61)의 출력 전압(Vo))에 대한 전압 분배를 수행하여 소정 레벨의 DC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offset adjuster 65 may generate the driving signal Vd by mixing the DC signal with the third AC signal Sa3 output from the filter 64. For example, the offset adjustment unit 65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ance elements (R1, R2) and may be adjusted to a specific voltage (e.g., the output voltage (Vo) of the DC-DC converter 61). A DC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can be generated by performing voltage division.

즉, 제1 저항 소자(R1)와 제2 저항 소자(R2)의 공통 노드(N)에 생성된 DC 신호에 필터(64)를 통해 공급된 제3 AC 신호(Sa3)가 중첩되어 최종 구동 신호(Vd)가 생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third AC signal (Sa3) supplied through the filter 64 is overlapped with the DC signal generated at the common node (N)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 elements (R1) and R2, resulting in a final driving signal. (Vd) can be generated.

이 경우, 구동 신호(Vd)의 진폭은 0.1mv ~ 10V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this case, the amplitude of the driving signal (Vd) may be set to 0.1mv to 10V,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비공 삽입 장치
10: 삽입 장치
11a: 제1 전극
11b: 제2 전극
12: 발광부
20: 전원 장치
30: 연결부
40: 신호 공급부
50: 배터리
1: Nostril insertion device
10: insertion device
11a: first electrode
11b: second electrode
12: light emitting part
20: power supply
30: connection part
40: signal supply unit
50: battery

Claims (10)

각각이 사용자의 서로 다른 비공(鼻孔) 내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삽입 장치;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및
상기 삽입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 각각은,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는,
AC 신호와 DC 신호를 혼합하여 생성된 것인, 비공 삽입 장치.
an inser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each inserted into a different nostril of the user;
a power device including a signal supply unit that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insertion unit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insertion device and the power supply; Includes,
Each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It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de that receives the driving signal and provides electromagnetic wave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ignal,
The driving signal is,
A nostril insertion device produced by mixing AC and DC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 각각은,
상기 전극이 배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헤드; 를 더 포함하는 비공 삽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 body on which the electrodes are disposed; and
A hea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nostril inser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비공 삽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electrode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 전극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전극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 를 포함하는 비공 삽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body is,
a first opening expo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opening exposing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econd electro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 장치와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길이 조절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케이블;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길이 조절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케이블;
상기 전원 장치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길이 조절부 및 상기 연결 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블, 상기 제2 케이블 및 상기 제3 케이블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제3 케이블은 상기 길이 조절부를 거치면서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로 분기된 것인 비공 삽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nection part is,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insertion device;
a first cable located between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a second cable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power supply; and
a third cable located between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ing,
As the position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changes, the lengths of the first cable, the second cable, and the third cable are adjusted,
The third cable is branched into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while passing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쌍의 홀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비공 삽입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insertion device is,
A nostril insertion device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having a pair of holes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can be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신호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비공 삽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ignal supply unit to change at least one characteristic of the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user control; A nostril inser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의 특성은 진폭 및 DC 오프셋을 포함하는 비공 삽입 장치.
In clause 7,
Nostril insertion device where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signal include amplitude and DC offs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의 특성과 상기 제2 삽입부로 공급되는 구동 신호의 특성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비공 삽입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nostril insertion devic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insertion uni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 signal supplied to the second insertion unit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비공(鼻孔)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삽입부; 및
AC 신호와 DC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전극에 공급하는 신호 공급부; 를 포함하는 비공 삽입 장치.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nostril and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de that receives a driving signal and provides electromagnetic wave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ignal; and
a signal supply unit that generates the driving signal by mixing an AC signal and a DC signal and supplies the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A nostril insertion device comprising a.
KR1020230144569A 2021-11-25 2023-10-26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Active KR102674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4569A KR102674262B1 (en) 2021-11-25 2023-10-26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KR1020240073781A KR102794107B1 (en) 2021-11-25 2024-06-05 Nostrils inser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573A KR102596327B1 (en) 2021-11-25 2021-11-25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KR1020230144569A KR102674262B1 (en) 2021-11-25 2023-10-26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573A Division KR102596327B1 (en) 2021-11-25 2021-11-25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73781A Division KR102794107B1 (en) 2021-11-25 2024-06-05 Nostrils inser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340A true KR20230153340A (en) 2023-11-06
KR102674262B1 KR102674262B1 (en) 2024-06-11

Family

ID=865397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573A Active KR102596327B1 (en) 2021-11-25 2021-11-25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KR1020230144569A Active KR102674262B1 (en) 2021-11-25 2023-10-26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KR1020240073781A Active KR102794107B1 (en) 2021-11-25 2024-06-05 Nostrils insertion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573A Active KR102596327B1 (en) 2021-11-25 2021-11-25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73781A Active KR102794107B1 (en) 2021-11-25 2024-06-05 Nostrils insertion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596327B1 (en)
WO (1) WO202309595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57817B2 (en) 2021-04-06 2025-07-15 Aerin Medical Inc. Nasal neuromodulation device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456Y1 (en) * 2006-02-09 2006-04-20 김병수 Rhinitis treatment device
KR20120011693A (en) * 2010-07-29 2012-02-08 이규준 Medical Laser Oral Irradiator
US10940310B2 (en) * 2016-02-19 2021-03-09 Oculeve, Inc. Nasal stimulation for rhinitis, nasal congestion, and ocular allergies
KR20220036286A (en) * 2020-09-15 2022-03-22 (주) 헥사이노힐 Complex Medical Device For Rhinitis Treatment And Pain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310Y1 (en) * 2004-11-11 2005-03-29 주식회사 평창웰빙칠백 Portable apparatus for curing rhinitis
KR101548693B1 (en) * 2015-06-12 2015-09-01 박종식 Massager device for improving of rhiniti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456Y1 (en) * 2006-02-09 2006-04-20 김병수 Rhinitis treatment device
KR20120011693A (en) * 2010-07-29 2012-02-08 이규준 Medical Laser Oral Irradiator
US10940310B2 (en) * 2016-02-19 2021-03-09 Oculeve, Inc. Nasal stimulation for rhinitis, nasal congestion, and ocular allergies
KR20220036286A (en) * 2020-09-15 2022-03-22 (주) 헥사이노힐 Complex Medical Device For Rhinitis Treatment And Pain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8649A (en) 2024-06-20
KR102596327B1 (en) 2023-10-31
KR102794107B1 (en) 2025-04-14
WO2023095958A1 (en) 2023-06-01
KR20230077376A (en) 2023-06-01
KR102674262B1 (en) 202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6324B2 (en) Electrical and magnetic stimulators used to treat migraine/sinus headache, rhinitis, sinusitis, rhinosinusitis, and comorbid disorders
KR102674262B1 (en)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DE602005014648D1 (en) Anti-inflammatory and demineralizing system for conductive medical devices
US20150265830A1 (en) Electrical and magnetic stimulators used to treat migraine/sinus headache, rhinitis, sinusitis, rhinosinusitis, and comorbid disorders
US8630714B1 (en) Bone growth stimulation using a constant current capacitively coupled stimulator
DE602004022302D1 (en) PORTABLE ELECTROTHERAPY DEVICE FOR CURING JOINT DISEASES
KR102821306B1 (en) Nostrils insertion with electrodes
KR20160095579A (en) Personal transcrania direct current stimulation minimizing abuse
CN113967317A (en)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dynamic frequency stimulation (TACS) systems and methods for Alzheimer's disease and dementia
KR20240015425A (en) Device for curing rhinitis
Li et al. An adaptive wireless powering and data telemetry system for optic nerve stimulation
KR20230154143A (en) Electric toothbrush
KR100554954B1 (en) Complex wave generator to response point
JP4133940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rhinitis treatment device
KR20210099735A (en) Eye rim beauty equipment for blood circulation
KR20200036357A (en) A skin care device
KR102499432B1 (en) plasma skin beauty device
KR20230126977A (en) Micro current stimulation apparatus for regenerating corneal tissue
KR200388350Y1 (en) electrode holder for high frequency medical machine
US20240008634A1 (en) Electric toothbrush
KR102260917B1 (en) Bluetooth earphone with improvement and prevention function of hearing loss and tinnitus
CN111315442A (en) Skin rejuvenation apparatus and method
CA2488563C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osite wave to reaction point
KR20240015424A (en) Gum care apparatus
KR20230054937A (en)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0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112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16457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