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49588A -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588A
KR20230149588A KR1020220048983A KR20220048983A KR20230149588A KR 20230149588 A KR20230149588 A KR 20230149588A KR 1020220048983 A KR1020220048983 A KR 1020220048983A KR 20220048983 A KR20220048983 A KR 20220048983A KR 20230149588 A KR20230149588 A KR 2023014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bar
fixing
doo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54201B1 (ko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102022004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4201B1/ko
Publication of KR2023014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42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87Performing extra functions
    • E06B2003/26389Holding sealing strips or forming sealing abu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리의 상부와 하부 및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가로바와 도어세로바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도어가로바와 도어세로바에 유리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유리의 상부, 하부 및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유리가스켓과; 복수의 유리가스켓이 설치된 유리에 도어프레임의 도어가로바와 도어세로바를 결합한 상태에서 유리의 상부, 하부 양측면에 각각에 설치되는 유리고정바와; 유리고정바를 도어가로바와 도어세로바에 고정하는 고정바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리고정바의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할 시에 유리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볼트 체결에 의해 수직, 수평 지지력이 증가되어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프레임 체결구조{Door frame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의 체결 및 분해가 용이한 것은 물론 유리지지부재를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공구로 유리의 고정이 용이하고, 볼트 체결에 의해 수직, 수평 지지력이 증가되도록 한 도어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과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창문이 형성된다.
이러한 출입문과 창문 등의 창호물은 건물의 내측과 외측에 모두 노출되어지는 것으로 건물의 조형미를 완성하고 거주자에게는 편안한 느낌 속에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소재나 형상의 선정에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창호물을 제조하기 위한 소재로는 목재와 알루미늄을 많이 사용하여왔으나 목재는 가공이 어려워 작업효율이 높지 못하고 원자재의 소모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그 사용 정도가 미미하다.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창호의 공급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알루미늄 표면에 녹이 쉽게 발생되어 미관을 해치고 창호의 동작이 여의치 않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피브이시(Poly Vinyl Chloride) 등의 합성수지를 창과 창틀, 문 및 문틀 등 원하는 형상을 갖도록 성형 제작하여 주로 사용하고 있다. 피브이시 창호물은 사출 또는 압출 성형 등의 제작방법에 따라 제작되는 것으로 원자재의 소모가 적어 경제적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습기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녹 발생이 없는 등 그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알루미늄 재질과 피브이시 재질의 장점을 살려 두 가지를 결합시킨 복합 재질의 창호물도 제작되기도 한다.
한편, 사각 프레임 형상의 창호 내부에는 유리판이 결합되는데, 유리판은 사각 가장자리가 프레임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종래의 창호의 구조는 유리판의 두께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좌우에 일체로 형성되며 유리판의 가장자리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유리판의 두께면 사이에는 지지블록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블록은 완충을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진동이 유리판으로 전달되거나 유리판의 진동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 끼워지는 유리판과 프레임이 접하는 가장자리에는 실리콘 처리를 하여 유리판을 프레임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창호의 내외부를 완전히 차단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창호는 유리판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지지블록이 구비되고, 실리콘에 의해 창호 내외부가 차폐된다. 이러한 구조에서의 창호를 시공하는 과정은 지지블록을 먼저 안착부에 삽입하고, 유리판을 프레임의 안착부에 삽입시키며 다시 유리판의 내외 측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콘 처리를 하여야 하므로, 창호의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유리판은 실리콘에 의해 프레임에 완전히 접합되므로 해체시,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자칫 유리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 제2011-072227호(2011.06.29. 공개일)는 사각 형상의 유리판 내측에 상기 유리판이 고정되기 위한 홈 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 및 'U'형상으로 상기 유리판과 프레임의 안착부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의 안착부에 끼워지고, 내측에는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패킹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패킹 부재에 의해 상기 유리판과 프레임 사이의 진동 전달을 차단하고, 창호의 내외부를 차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문헌은 유리판의 하부에 패드부재가 결합되어 프레임의 안착부에 안착시킨 상태로만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리판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없는 것은 물론 유리판의 파손에 의해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 제2011-072227호(2011.06.29. 공개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프레임의 체결, 분해가 용이하여 조립시간의 단축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한 목적과;
유리고정바의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공구로 유리의 고정이 용이하고, 볼트 체결에 의해 수직, 수평 지지력이 증가되도록 한 도어프레임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리의 상부와 하부 및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가로바와 도어세로바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도어가로바와 도어세로바에 유리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유리의 상부, 하부 및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유리가스켓과; 복수의 유리가스켓이 설치된 유리에 도어프레임의 도어가로바와 도어세로바를 결합한 상태에서 유리의 상부, 하부 양측면에 각각에 설치되는 유리고정바와; 유리고정바를 도어가로바와 도어세로바에 고정하는 고정바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의 도어가로바는, 전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가로바몸체와; 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결합되게 수평볼트결합공을 가지며 도어가로바몸체에 형성되는 복수로 형성되는 수평결합돌기와; 도어세로바를 도어가로바에 고정시킬 시에 체결볼트가 결합되게 도어가로바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수평볼트체결공은, 볼트의 결합이 용이하게 소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의 도어세로바는, 전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어세로바몸체와; 유리를 고정하는 유리고정바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세로바몸체의 일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턱과; 도어세로바몸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볼트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수직볼트결합공은, 볼트의 결합이 용이하게 소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유리고정바는, 도어가로바과 도어세로바에 각각 고정되어 유리의 양측에 지지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몸체와; 유리의 일면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바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착돌기와; 도어가로바 및 도어세로바에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바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바몸체는, 도어가로바과 도어세로바에 볼트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의 체결, 분해가 용이하여 조립시간의 단축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관리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고정바의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할 시에 유리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볼트 체결에 의해 수직, 수평 지지력이 증가되어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 체결구조에 의해 제조된 도어의 일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체결구조가 적용된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체결구조가 적용된 도어의 A-A선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체결구조가 적용된 도어의 B-B선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가로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세로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유리가스켓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유리고정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 체결구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 체결구조는 유리(210)의 상부와 하부 및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100)의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에 유리(21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유리(210)의 상부, 하부 및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유리가스켓(200)과; 복수의 유리가스켓(200)이 설치된 유리(210)에 도어프레임(100)의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유리(210)의 상부, 하부 양측면에 각각에 설치되는 유리고정바(300)와; 유리고정바(300)를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에 고정하는 고정바고정볼트(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 체결구조가 적용된 도어의 일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 체결구조에 의해 제조된 도어의 일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체결구조가 적용된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체결구조가 적용된 도어의 A-A선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체결구조가 적용된 도어의 B-B선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가로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세로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유리가스켓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유리고정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프레임 체결구조는 도어프레임(100), 유리가스켓(200), 유리고정바(300) 및 고정바고정볼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00)은 유리(2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복수의 도어가로바(110)가 각각 설치되며, 유리(210)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도어세로바(12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도어가로바(110)는 전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가로바몸체(111)가 구성되며, 상기 도어가로바몸체(111)에는 유리(210)를 고정하는 유리고정바(300)를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결합되는 수평볼트결합공(112-1)이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결합돌기(112)가 형성되고, 도어세로바(120)를 도어가로바(110)에 고정시킬 시에 체결볼트가 결합되게 도어가로바몸체(111)의 길이방향으로 체결공(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로바(110)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부 내측으로 호차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평볼트결합공(112-1)은 볼트를 이용하여 유리고정바(300)를 고정시킬 시에 유리에 의해 공구가 방해받지 않고 조립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도어세로바(120)는 전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어세로바몸체(121)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세로바몸체(121)의 일면 양측단에 각각 고정턱(122)이 형성되어 유리(210)를 고정하는 유리가스켓(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도어세로바몸체(121)에는 유리를 고정하는 유리고정바(300)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의 수직볼트결합공(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세로바(120)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되는 유리(210), 즉 2중창 3중창에 따라 폭의 길이가 다른 도어세로바(1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2중창의 유리(210)가 설치되는 도어세로바(120)의 폭 보다 3중창이 설치되는 도어세로바(120)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3중창으로 형성된 유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직볼트결합공(123)은 볼트를 이용하여 유리고정바(300)를 고정시킬 시에 유리(210)에 의해 공구가 방해받지 않고 조립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유리(210)를 중심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도어가로바(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도어세로바(120)를 도어가로바(110)의 양측단에 각각 밀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데, 이때 도어세로바(120)의 일측에서 도어가로바(110)의 체결공(113)으로 인입되게 체결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형성한다.
상기 유리(210)의 상하좌우에 각각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유리(21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유리(210)의 둘레와 앞뒤에 각각 유리가스켓(200)을 결합한다.
상기 유리가스켓(200)은 전체 형상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벽면에 유리와의 밀착면적을 늘려 밀착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등간격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리가스켓(200)은 실리콘, 고무 재질과 같이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져 형태의 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유리고정바(300)에 고정될 시에 유리와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리고정바(300)는 도어가로바(110)과 도어세로바(120)의 각각 고정되어 유리(210)의 양측에 지지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고정바몸체(310)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210)의 일면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바몸체(310)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밀착돌기(31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가로바(110) 및 도어세로바(120)에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바몸체(310)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지지돌기(312)가 형성된다.
상기 유리고정바(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로 체결할 시에 고정바몸체(310)의 일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공구가 유리에 방해를 받지 않고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가 적용된 도어의 조립과정을 보면,
먼저, 도어를 형성하기 위해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의 길이를 설정하여 절단한 상태에서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가 위치되는 폭과 길이에 맞게 유리(210)를 재단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의 사이에 위치되게 재단된 유리(210)의 상하좌우 각각에 유리가스켓(200)을 설치한다.
상기 유리가스켓(200)이 설치된 유리(210)의 상부와 하부쪽에 도어가로바(1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유리(210)의 양측에 도어세로바(120)를 밀착시켜 공구와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리(210)의 앞뒤 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어세로바(120)의 고정턱(122)에 고정바몸체(310)의 일측 즉 고정바몸체(310)의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의 일측단이 지지되도록 하여 밀착돌기(311)가 유리(210)의 일면에 위치되면서 지지돌기(312)가 도어세로바(120)에 밀찰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에 의해 유리고정바(300)를 고정시킨다.
상기 볼트는 도어세로바몸체(121)에 형성된 수직볼트결합공(123)으로 인입되면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공구에 의해 유리고정바(300)가 도어세로바(120)에 고정될 시에 도어세로바(120)의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의해 유리(210)와 공구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유리고정바(300)의 고정이 용이하다.
상기 도어가로바(110)를 유리고정바(300)의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어가로바(110)의 일측에 유리고정바(300)를 위치시키는데, 이때 밀착돌기(311)를 유리(210) 쪽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돌기(312)를 도어가로바(110) 쪽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를 공구로 고정한다.
이때 도어가로바몸체(111)에 경사지게 형성된 수평볼트결합공(112-1)에 볼트가 인입되면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볼트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에 유리고정바(300)가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00)의 체결, 분해가 용이하여 조립시간의 단축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유리고정바(300)의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할 시에 유리(21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볼트 체결에 의해 수직, 수평 지지력이 증가되어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어프레임 110: 도어가로바
111: 도어가로바몸체 112: 수평결합돌기
112-1: 수평볼트결합공 113: 체결공
120: 도어세로바 121: 도어세로바몸체
122: 고정턱 123: 수직볼트결합공
200: 유리가스켓 210: 유리
300: 유리고정바 310: 고정바몸체
311: 밀착돌기 312: 지지돌기
400: 고정바고정볼트

Claims (7)

  1. 유리(210)의 상부와 하부 및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100)의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에 유리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유리(210)의 상부, 하부 및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유리가스켓(200)과;
    복수의 유리가스켓(200)이 설치된 유리에 도어프레임(100)의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유리(210)의 상부, 하부 양측면에 각각에 설치되는 유리고정바(300)와;
    유리고정바(300)를 도어가로바(110)와 도어세로바(120)에 고정하는 고정바고정볼트(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도어가로바(110)는,
    전체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가로바몸체(111)와;
    유리(210)와 유리가스켓(20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결합되게 수평볼트결합공(112-1)을 가지며 도어가로바몸체(111)에 형성되는 복수로 형성되는 수평결합돌기(112)와;
    도어세로바(120)를 도어가로바(110)에 고정시킬 시에 체결볼트가 결합되게 도어가로바몸체(1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공(113)은,
    체결볼트의 결합이 용이하게 소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도어세로바(120)는,
    전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도어세로바몸체(121)와;
    유리(210)를 고정하는 유리가스켓(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세로바몸체(121)의 일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턱(122)과;
    도어세로바몸체(121)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볼트결합공(1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볼트결합공(123)은,
    볼트의 결합이 용이하게 소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리고정바(300)는,
    도어가로바(110)과 도어세로바(120)에 각각 고정되어 유리(210)의 양측에 지지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몸체(310)와;
    유리(210)의 일면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바몸체(310)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착돌기(311)와;
    도어가로바(110) 및 도어세로바(120)에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바몸체(310)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돌기(3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몸체(310)는,
    도어가로바(110)과 도어세로바(120)에 볼트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KR1020220048983A 2022-04-20 2022-04-20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Active KR10275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83A KR102754201B1 (ko) 2022-04-20 2022-04-20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83A KR102754201B1 (ko) 2022-04-20 2022-04-20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88A true KR20230149588A (ko) 2023-10-27
KR102754201B1 KR102754201B1 (ko) 2025-01-14

Family

ID=8851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983A Active KR102754201B1 (ko) 2022-04-20 2022-04-20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42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12Y1 (ko) * 2002-10-22 2003-01-30 용 해 이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KR20110072227A (ko) 2009-12-22 2011-06-29 해주디엔지 주식회사 유리창의 창호 구조
KR101265743B1 (ko) * 2011-11-17 2013-05-20 장성덕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유리창 결합장치
KR20180137448A (ko) * 2018-11-30 2018-12-27 정영호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20200102211A (ko) * 2019-02-21 2020-08-31 안중식 칸막이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12Y1 (ko) * 2002-10-22 2003-01-30 용 해 이 창짝 프레임의 단층유리 결합구
KR20110072227A (ko) 2009-12-22 2011-06-29 해주디엔지 주식회사 유리창의 창호 구조
KR101265743B1 (ko) * 2011-11-17 2013-05-20 장성덕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유리창 결합장치
KR20180137448A (ko) * 2018-11-30 2018-12-27 정영호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KR20200102211A (ko) * 2019-02-21 2020-08-31 안중식 칸막이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4201B1 (ko) 202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347A (en) Standardized profiles for window or door frame partitions and method of assembly
US4899508A (en) Panel and glass curtain wall system
US20050005543A1 (en) Structural Element System and Structural Elements of Such System for Curtain Facades, Facade Linings, Sun Rooms, Soundproofing Walls, Fair Buildings and the Like
US6412239B1 (en) Window frame system
US10202797B1 (en) Infill Panel and operable fenestration frame adjustment device
UA26350C2 (uk) Гідроізолююча коhструкція для вікоh
ITTV20030143A1 (it) Struttura di serramento particolarmente per finestre o vetrofacciate.
CN109496246B (zh) 用于紧固窗格玻璃的装置
CA1050825A (en) Glazing system
KR20230149588A (ko) 도어프레임 체결구조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DE50211506D1 (de) Aus zusammengesetzten Rahmenelementen bestehende Pfosten- Riegelkonstruktion
KR20110072227A (ko) 유리창의 창호 구조
ITMI920698A1 (it) Struttura di profilati con taglio termico, per la realizzazione di infissi ad ante scorrevoli.
EP0250233A3 (en) Conservatory construction
HUP0401673A2 (en) Connector element for a glazed support bar construction
US20190301233A1 (en) Frame assembly for sheet material
US6301852B1 (en) Window glazing assembly
CN222414668U (zh) 一种门窗的中梃型材结构及门窗结构
CN214090814U (zh) 高强度钢化玻璃
PL360595A1 (en)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glazing rebate of a façade or a transparent roof
EP1654432B1 (en) Profile of a window frame or the like
RU2000114508A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внешних светопрозрач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KR200322796Y1 (ko) 창문용 프레임
KR200355664Y1 (ko) 미닫이 문틀 및 창문틀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