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47267A -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267A
KR20230147267A KR1020220046048A KR20220046048A KR20230147267A KR 20230147267 A KR20230147267 A KR 20230147267A KR 1020220046048 A KR1020220046048 A KR 1020220046048A KR 20220046048 A KR20220046048 A KR 20220046048A KR 20230147267 A KR20230147267 A KR 2023014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sensor
combined
sensor dev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홍조
김성혁
김현우
김주민
정치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267A/ko
Priority to PCT/KR2022/007126 priority patent/WO2023200040A1/ko
Priority to EP22937553.0A priority patent/EP4492014A1/en
Priority to US17/881,269 priority patent/US20230329516A1/en
Publication of KR2023014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26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69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ch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센서 모듈과 결합하는 커넥터부; 및 센서 모듈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펌웨어 파일을 기초로 센서 모듈을 업데이트하고,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에 따라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EDG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EXTERNAL SOFTWARE INTERWORKING}
본 개시는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기기를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모듈 각각과 결합되어 센싱을 할 수 있는 결합형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전 제품들의 스마트화가 지속됨으로 인하여 새로 출시되는 제품들에 신규 센서들이 추가되고 있다. 또한, 신규 센서들이 추가됨에 따라 가전 제품에 새로운 기능들도 추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출시된 가전 제품들은 신규 센서들을 하드웨어적으로 추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신규 센서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가전 제품을 분해한 후 신규 센서를 추가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새로운 센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가전 제품마다 특화된 센서 모듈을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결합형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결합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결합형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결합된 센서 모듈의 종류에 따라 통신 설정을 다르게 설정하여 제품 사용 환경에 따른 통신 끊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결합형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센서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센서 모듈과 결합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펌웨어 파일을 기초로 상기 센서 모듈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에 따라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고유 저항 값을 갖는 고유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형 센서 장치는, 소정의 고정된 저항 값을 갖는 고정 저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유 저항부와 고정 저항부가 연결되는 경우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를 식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 모듈은 특정 제품에 특화된 특화 센서를 포함하는 특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 모듈이 세탁기용 센서 모듈인 경우 상기 특화 센서부는 탁도 센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형 센서 장치는 제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공통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가 제1 센서 모듈인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TX 파워(BLE tx power)를 최대치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서로 다른 방향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방향성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안테나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끊김 현상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다른 제2 안테나로 스위칭 제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의 모드 설정을 코디드 파이(Coded PHY) 모드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합형 센서 장치에서 생성된 센싱 정보를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이 끊긴 후에 다시 연결되면 상기 버퍼에 저장된 센싱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시 전송하는 배치 모드를 활성화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파수 감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모드를 활성화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가 제2 센서 모듈인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TX 파워(BLE tx power)를 최소치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안테나 스위칭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의 모드 설정을 1M 파이(1M PHY) 모드로 설정하고, 배치 모드를 비활성하고, 자동 연결 모드를 비활성화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센서 장치는 다양한 가전 제품마다 특화된 센서 모듈을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센서 장치는 결합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센서 장치는 결합된 센서 모듈의 종류에 따라 통신 설정을 다르게 설정하여 제품 사용 환경에 따른 통신 끊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과 결합형 센서 장치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 및 결합형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센서 모듈 관리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 모듈이 결합된 경우 통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 모듈이 결합된 경우 통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센싱 시스템(10)은 센서 모듈(100), 결합형 센서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0)은 특정 제품에 특화된 특화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용 센서 모듈은 세탁기 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탁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냉장고용 센서 모듈은 냉장고 내의 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컨용 센서 모듈은 사용자 재실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제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하고, 특정 제품에 대하여는 특정 센서 모듈(100)과 결합하여 센서 모듈(100)이 포함하는 특화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센서 모듈(100) 및 결합형 센서 장치(200)의 각종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결합형 센서 장치(20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결합형 센서 장치(200)를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과 결합형 센서 장치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복수의 센서 모듈(100_1, 100_2, 100_3) 각각은 결합형 센서 장치(200)와 결합하여 특정 제품에 이용될 수 있는 결합형 센서 장치(200_1, 200_2, 200_3)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탁도 센서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센서 모듈(100_1)과 결합하여 세탁기용 결합형 센서 장치(200_1)가 될 수 있다. 또한,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냉장고 내의 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센서 모듈(100_2)과 결합하여 냉장고용 결합형 센서 장치(200_2)가 될 수 있다. 또한,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사용자 재실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컨용 센서 모듈(100_3)과 결합하여 에어컨용 결합형 센서 장치(200_3)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 및 결합형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센서 모듈(100)은 고유 저항부(110) 및 특화 센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저항부(110)는 센서 모듈(100)이 결합형 센서 장치(200)와 결합하였을 때 결합형 센서 장치(200)에서 센서 모듈(10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고유한 저항 값을 갖는 고유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용 센서 모듈(100_1), 냉장고용 센서 모듈(100_2) 및 에어컨용 센서 모듈(100_3) 각각은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고유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용 센서 모듈(100_1), 냉장고용 센서 모듈(100_2) 및 에어컨용 센서 모듈(100_3) 각각은 200kΩ, 300kΩ 및 100kΩ의 저항 값을 갖는 고유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센서 모듈(100)의 고유 저항부(110)의 고유 저항 값을 기초로 센서 모듈(10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특화 센서부(120)는 특정 제품에 특화된 특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용 센서 모듈(100_1)은 특화 센서부(120)가 세탁기 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탁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탁도 센서는 TDS(Total Dissolved Solids)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냉장고용 센서 모듈(100_2)은 냉장고 내의 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센서는 냉장고 내에 보관된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에어컨용 센서 모듈(100_3)은 사용자 재실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더 센서는 밀리미터웨이브(mmWave)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커넥터부(210), 고정 저항부(220), 공통 센서부(230), 통신부(240), 메모리(250), 출력부(26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210)는 센서 모듈(100)과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저항부(220)는 고정된 저항 값을 갖는 고정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저항부(220)는 센서 모듈(100)이 결합형 센서 장치(200)와 결합하였을 때 센서 모듈(100)의 고유 저항 값에 따라 변동되는 전압을 출력하기 위하여 고정된 저항 값을 갖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통 센서부(230)는 제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센서부(230)는 압력 센서,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4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 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4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 프로토콜(BLE, 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메모리(250)는 결합형 센서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25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26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결합형 센서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결합형 센서 장치(2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센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결합형 센서 장치(270)의 프로세서(270)는 센서 모듈(100)의 결합을 인식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센서 모듈(100)과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결합형 센서 장치(270)의 커넥터부(21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센서 모듈(100)과 결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센서 모듈(10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S402).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센서 모듈(100)는 고유 저항부(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 저항부(110)는 센서 모듈(100)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고유 저항부(110)의 고유 저항 값은 복수의 센서 모듈(100) 각각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용 센서 모듈(100_1), 냉장고용 센서 모듈(100_2) 및 에어컨용 센서 모듈(100_3) 각각은 200kΩ, 300kΩ 및 100kΩ의 저항 값을 갖는 고유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서 모듈(100)과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커넥트부(21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형 센서 장치(200)의 고정 저항부(220)는 센서 모듈(100)의 고유 저항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고유 저항부(110)와 고정 저항부(220)가 연결되는 경우, 센서 모듈(100)의 참조 전압()은 고유 저항부의 고유 저항 값에 따라 결합형 센서 장치(200)에서 표 1과 같은 출력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센서 모듈 종류 고유 저항 값 출력전압()
에어컨용 센서 모듈 100kΩ 1/3*
세탁기용 센서 모듈 200kΩ 2/3*
냉장고용 센서 모듈 300kΩ 3/3*
결합형 센서 장치(200)의 프로세서(270)는 고유 저항부(110)와 고정 저항부(220)가 연결되는 경우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결합된 센서 모듈(10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S403).
사용자 단말(300)은 결합형 센서 장치(200)로부터 센서 모듈 종류 정보를 수신하고, 결합형 센서 장치(200)를 관리할 수 있는 센서 모듈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센서 모듈 관리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센서 모듈 관리 인터페이스(700)는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센서 모듈 종류 정보(710)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센서 모듈 종류에 따라 펌웨어 소프트웨어에 관한 펌웨어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센서 모듈에 맞는 펌웨어 파일을 결합형 센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40)를 통해 펌웨어 파일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04).
한편, 프로세서(270)는 펌웨어 파일을 기초로 센서 모듈(10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405).
따라서,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최신의 펌웨어 업데이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에 따라 통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S460).
예를 들어, 결합형 센서 장치(200)가 세탁기용 센서 모듈(100_1)과 결합하는 경우, 결합형 센서 장치(200)는 세탁기 내부에서 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기의 사용 환경이 물이 많고 세탁물이 많아 지는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BLE, Bluetooth Low Energy)이 끊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모듈(100)의 종류에 따라 통신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용 센서 모듈(100_1) 등과 같이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물로 인해 통신에 문제가 발생하는 제품에 특화된 제1 센서 모듈이 결합형 센서 장치(200)에 결합되는 경우의 통신 설정과, 냉장고용 센서 모듈(100_2) 또는 에어컨용 센서 모듈(100_3) 등과 같이 물로 인한 통신 문제 발생이 적은 제품에 특화된 제2 센서 모듈이 결합형 센서 장치(200)에 결합되는 경우의 통신 설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40)에서 제공되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 설정을 제1 센서 모듈 또는 제2 센서 모듈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 모듈이 결합된 경우 통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270)는 결합된 센서 모듈을 식별하고,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가 제1 센서 모듈인 경우 제1 통신 설정을 할 수 있다. 제1 센서 모듈에는 세탁기용 센서 모듈(100_1)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40)에서 제공되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 설정을 제1 센서 모듈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저전력 블루투스 TX 파워(BLE tx power: BLE Transmit Power)를 최대치로 설정할 수 있다(S801). 저전력 블루투스 TX 파워의 최대치는 각 국가별로 달리 설정될 수 있으나 8dbm에서 10db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안테나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S802).
예를 들어, 통신부(24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복수의 안테나 각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의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안테나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하고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끊김(Disconnect) 현상이 발생할 때마다 스위치를 제어하여 다른 제2 안테나로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코디드 파이(Coded PHY)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803).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40)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의 모드 설정을 코디드 파이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코디드 파이(Coded PHY) 모드는 블루투스 5.0에 추가된 프로토콜로서 RX 감도를 향상시키고 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코디드 파이(Coded PHY) 모드는 패킷에 FEC(Forward Error Correction)을 적용하여 수신 측에서 비트 오류를 교정하여 비트 오류율을 낮추고 패킷에 패턴 맵퍼를 적용하여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배치 모드(Batching mode)를 활성화할 수 있다(S804).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40)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의 모드 설정을 배치 모드(Batching mode)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배치 모드(Batching mode)를 활성화하고, 센서 모듈 또는 결합형 센서 장치에서 생성된 센싱 정보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배치 모드(Batching mode)를 활성화하고 센서 모듈(100)의 특화 센서부(120)에서 생성되는 제1 센싱 정보 및 결합형 고정 장치(200)의 공통 센서부(230)에서 생성되는 제2 센싱 정보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단말(300)과의 통신이 끊긴 후에 다시 연결되면 버퍼에 저장된 센싱 정보들을 통신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자동 연결 모드(Auto connection mode)를 활성화할 수 있다(S805).
제1 센서 모듈은 통신에 문제가 발생하는 제품에 특화된 센서 모듈이기 때문에 통신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40)와 사용자 단말(300)의 주파수(Radio Frequency) 감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통신부(240)가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이 끊긴 경우에도 다시 통신 연결이 가능한 감도가 수신되는 경우 통신 연결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 모듈이 결합된 경우 통신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270)는 결합된 센서 모듈을 식별하고,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가 제2 센서 모듈인 경우 제2 통신 설정을 할 수 있다. 제1 센서 모듈에는 냉장고용 센서 모듈(100_2) 또는 에어컨용 센서 모듈(100_3)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40)에서 제공되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 설정을 제2 센서 모듈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저전력 블루투스 TX 파워(BLE tx power: BLE Transmit Power)를 최소치로 설정할 수 있다(S901). 예를 들어, 저전력 블루투스 TX 파워의 최소치는 0db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안테나 스위칭 동작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S902).
제 2 센서 모듈이 냉장고용 센서 모듈(100_2) 또는 에어컨용 센서 모듈(100_3)인 경우, 제품 동작 중 결합형 센서 장치(20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 스위칭 동작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1M 파이(1M PHY)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903).
1M 파이(1M PHY) 모드는 PHY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1 Mbps로 고정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배치 모드(Batching mode)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904).
프로세서(270)는 배치 모드(Batching mode)를 비활성화하고 센서 모듈(100)의 특화 센서부(120)에서 생성되는 제1 센싱 정보 및 결합형 고정 장치(200)의 공통 센서부(230)에서 생성되는 제2 센싱 정보를 지속적으로 통신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자동 연결 모드(Auto connection mode)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905).
제2 센서 모듈은 통신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은 제품에 특화된 센서 모듈이기 때문에 통신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빈도가 적으므로, 프로세서(270)는 자동 연결 모드를 비활성화하여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센서 모듈과 결합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펌웨어 파일을 기초로 상기 센서 모듈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식별된 센서 모듈의 종류에 따라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고유 저항 값을 갖는 고유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형 센서 장치는,
    소정의 고정된 저항 값을 갖는 고정 저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유 저항부와 고정 저항부가 연결되는 경우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를 식별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특정 제품에 특화된 특화 센서를 포함하는 특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이 세탁기용 센서 모듈인 경우 상기 특화 센서부는 탁도 센서를 포함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형 센서 장치는,
    제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공통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가 제1 센서 모듈인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TX 파워(BLE tx power)를 최대치로 설정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서로 다른 방향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방향성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안테나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끊김 현상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다른 제2 안테나로 스위칭 제어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의 모드 설정을 코디드 파이(Coded PHY) 모드로 설정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합형 센서 장치에서 생성된 센싱 정보를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이 끊긴 후에 다시 연결되면 상기 버퍼에 저장된 센싱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시 전송하는 배치 모드를 활성화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파수 감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 연결 모드를 활성화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의 종류가 제2 센서 모듈인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TX 파워(BLE tx power)를 최소치로 설정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안테나 스위칭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의 모드 설정을 1M 파이(1M PHY) 모드로 설정하고, 배치 모드를 비활성하고, 자동 연결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결합형 센서 장치.
KR1020220046048A 2022-04-14 2022-04-14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Pending KR20230147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048A KR20230147267A (ko) 2022-04-14 2022-04-14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PCT/KR2022/007126 WO2023200040A1 (ko) 2022-04-14 2022-05-18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EP22937553.0A EP4492014A1 (en) 2022-04-14 2022-05-18 Combination-type sensor device in which sensor module is combined
US17/881,269 US20230329516A1 (en) 2022-04-14 2022-08-04 Combined type sensor device combined with senso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048A KR20230147267A (ko) 2022-04-14 2022-04-14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267A true KR20230147267A (ko) 2023-10-23

Family

ID=8830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048A Pending KR20230147267A (ko) 2022-04-14 2022-04-14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29516A1 (ko)
EP (1) EP4492014A1 (ko)
KR (1) KR20230147267A (ko)
WO (1) WO20232000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1284B1 (en) * 1996-10-04 2005-02-09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Process control network with redundant field devices and busses
JP3553050B2 (ja) * 2002-05-28 2004-08-11 株式会社エイティング テレビ電話監視システム
TW200416552A (en) * 2002-12-09 2004-09-01 Kokuyo Kk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device, containing tool guarding device and program.
KR20130062867A (ko) * 2011-12-05 2013-06-13 주식회사 이노튜브 센서 인식을 위한 데이터 변환 장치
KR102554759B1 (ko) * 2016-02-19 202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794290B1 (ko) * 2016-03-04 2017-11-06 노건욱 출입구용 비콘송신장치 및 비콘송신방법
WO2019156681A1 (en) * 2018-02-09 2019-08-15 NanoThings, Inc. Item status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1788474B1 (ko) * 2016-11-30 2017-10-1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센서 통신 장치 및 이의 센서모듈 식별 방법
KR101757417B1 (ko) * 2017-04-19 2017-07-12 주식회사 주빅스 무선통신에서의 통신노드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PT3912312T (pt) * 2019-01-15 2022-08-04 Ericsson Telefon Ab L M Disponibilização de serviços de comunicação utilizando conjuntos de dispositivos de 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29516A1 (en) 2023-10-19
EP4492014A1 (en) 2025-01-15
WO2023200040A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317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BWP,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9892634B2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US98077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US20190394664A1 (en) Beam management information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WO2011097984A1 (zh) 无线局域接入网的路由设备以及信号发射方法
US82710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801158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14630305A (zh) 用于在设备之间建立双向链路的设备、系统和方法
CN110190871B (zh) 一种控制天线间干扰的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US10452877B2 (en) Methods to combine and auto-configure wiegand and RS485
KR20230147267A (ko) 센서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형 센서 장치
US11699926B2 (en) Smart hub
US202400396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energy saving
WO20151064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eak power capability
WO2022015289A1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s
CN203326990U (zh) 无线通信装置
CN106571878A (zh) 一种射频故障的检测方法和装置
JP6281584B2 (ja) 通信システム
US11870131B2 (en) Electronic device
CN110514905B (zh) 一种移动终端及检测电容的方法
CN210428812U (zh) 一种具有wifi放大功能的线控器
CN112882393A (zh) 电气设备、控制电气设备的方法和控制器
EP3808134A1 (en) Client device, network access node and methods for beam management in power saving state
WO2022186246A1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無線装置
JP6975242B2 (ja) 電子機器、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