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43692A -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Google Patents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692A
KR20230143692A KR1020220042624A KR20220042624A KR20230143692A KR 20230143692 A KR20230143692 A KR 20230143692A KR 1020220042624 A KR1020220042624 A KR 1020220042624A KR 20220042624 A KR20220042624 A KR 20220042624A KR 20230143692 A KR20230143692 A KR 2023014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lighting
communication
unit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소연
김장섭
배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692A/en
Publication of KR2023014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692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clos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e.g. to facilitate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illuminating the way asymme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40Welcome lights, i.e. specific or existing exterior lamps to assist leaving or approach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제1 통신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기기와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각각의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복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위치 및 상기 제1 통신기기와 상기 복수의 조명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한다.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amp mounted on a vehicle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ing the vehicle; and a processor that receives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and controls operation of the lamp based on the received communi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lamp is located at different locations of the vehicle. is disposed i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each communication unit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nd uses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provide the firs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n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re changed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차량용 조명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Vehicle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실시 예는 차량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위치에 따라 제어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vehicle lighting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 vehicle ligh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s loc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발광 다이오드(LED)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각종 표시 장치, 실내등 또는 실외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Light-emitting diodes (LEDs) have advantage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semi-permanent lifespan, fast response speed, safe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mpared to existing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ights and incandescent lights. These light emitting diodes are applied to various lighting devices such as various display devices, indoor lights, or outdoor lights.

또한, 차량용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는 램프가 제안되고 있다. 백열등과 비교하면, 발광 다이오드는 소비 전력이 작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수 있고 반 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있다.Additionally, a lamp employing a light emitting diode as a light source for vehicles has been proposed. Compared to incandescent lamps, light emitting diodes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y consume less power. In addition, because the light emitting diode is small in size, it can increase the freedom of design of the lamp and is economical due to its semi-permanent lifespan.

한편, 차량이 점차 고급화되고, 스마트 키(FOB 키를 포함함)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운전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고급 차종에 적용되는 웰컴 라이트(Welcome Light) 기능도 그 중 하나이다. 웰컴 라이트 기능은 운전자가 Tx Lock 또는 패시브 Lock(스마트키 기능)으로 차량을 떠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스마트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으로 다가오면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 웰컴 라이트 기능은 운전자의 안전한 차량 진입을 도모하고, 상기 운전자가 해당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해당 차량의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를 소등시켜 운전자의 안전한 차량 이탈을 도모하는 부가 기능이다.Meanwhile, as vehicles become increasingly more advanced and the use of smart keys (including FOB keys) increases, various functions are provided to provide driver convenience. The Welcome Light function applied to luxury car models is one of them. The welcome light function turns on the interior light or puddle lamp when a driver with a smart key approaches the vehic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driver leaves the vehicle using Tx Lock or passive lock (smart key function). Accordingly, the welcome light function is an additional function that promotes the driver's safe entry into the vehicle and, when the driver moves away from the vehicle, turns off the vehicle's interior lights or puddle lamps to facilitate the driver's safe departure from the vehicle.

웰컴 라이트 기능의 실현을 위해서 스마트 키와 연동하여 이모빌라이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스마트키 제어부(SMK Controller)가 특정 조건에서 해당 차량의 도어 핸들에 장착되어 있는 LF(Low Frequency) 안테나를 제어하여 상기 LF 안테나를 통해 주기적으로 LF 신호를 방사하고,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전송되면 그 응답 신호를 근거로 차량 램프를 온(on) 시킨다.To realize the welcome light function, the smart key controller (SMK Controller) installed in the vehicle to perform immobilizer communi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key controls the LF (Low Frequency) antenna mounted on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under specific conditions. Thus, an LF signal is periodically radiated through the LF antenna, and when a response to the LF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the vehicle lamp is turned on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그러나 종래의 웰컴 라이트 기능은 단순히 운전자의 접근 또는 멀어짐을 감지하여 차량 램프를 제어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전자와 차량 사이의 거리에 따라 차량 램프의 밝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나, 상기 차량 램프의 밝기 제어는 운전자의 접근 방향 또는 이동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공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welcome light function simply detects the driver's approach or distance and controls the vehicle lamp. Additionally, recently, a function has been provided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vehicle lamp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vehicle, but the brightness control of the vehicle lamps is provided without considering the driver's approach or movement direction.

이에 따라 운전자의 위치나 이동 또는 접근 방향성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명 제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lighting control method that can increase driver convenience by considering the driver's location, movement, or approach direction.

(특허문헌 1) KR 10-2010-0022755 A (Patent Document 1) KR 10-2010-0022755 A

실시 예는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을 활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웰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vehicle lighting device that can provide a welcome function with increased user convenience by utiliz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ounted on the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또한, 실시 예는 사용자 위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provides a vehicle light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user's location.

또한, 실시 예는 복수의 광원 중 사용자 위치에 대응되는 광원을 구동시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provides a vehicle light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can improve user accessibility by driving a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amo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또한, 실시 예는 사용자의 이동 또는 접근 방향성에 따라 복수의 광원의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provides a vehicle lighting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at can change the operating state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or approach direction.

또한, 실시 예는 차량의 광원의 동작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이동 또는 접근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provides a vehicle light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can easily determine the user's location and the user's movement or approach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s light source.

또한, 실시 예는 복수의 사용자의 접근 시에 선별적으로 차량의 광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provides a vehicle light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can selectively control the light source of the vehicle when multiple users approach.

또한, 실시 예는 사용자의 위치뿐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예를 들어, 키)을 감지하여 복수의 광원의 밝기나 조사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provides a vehicle lighting device that can control the brightness or irradiation angle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by detecting not only the user's location but als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eg, heigh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challenges to be achieved in the proposed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제1 통신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기기와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각각의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복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위치 및 상기 제1 통신기기와 상기 복수의 조명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한다.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amp mounted on a vehicle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ing the vehicle; and a processor that receives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and controls operation of the lamp based on the received communi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lamp is located at different locations of the vehicle. is disposed i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each communication unit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nd uses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provide the firs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n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re changed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기판상에 상기 광원과 이격되고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Additionally,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includes a substrate, at least one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n antenna pattern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on the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는 상기 통신부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구비한 조명부를 통해 획득한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를 구비하지 않는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light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does not have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rocessor controls driving of the lighting unit not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lighting unit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제1 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1 조명부가 제1 밝기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located at the first location, the processor controls the first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first lo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o be driven at a first brightness.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명부와 상기 제1 통신기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명부의 상기 제1 밝기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밝기는 상기 제1 통신기기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증감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first brightness of the first lighting unit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ghting uni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first brightness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creases and decreases proportionally.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제1 조명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부가 상기 제1 밝기보다 작은 제2 밝기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controls at least one second lighting unit adjacent to the first light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o be driven at a second brightness that is less than the first brightness.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명부의 발광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발광 방식은, 점멸 방식, 복수의 광원의 순차적 발광 방식 및 계속적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determines a light emission method of the first lighting unit, and the light emission method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inking method, a sequential light emission method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continuous light emission method.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접근이 인식되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기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가 기등록된 기기이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가 미등록된 기기이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등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등록 정보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기기에 대응하는 조명부의 구동 조건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우선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recognizes the appro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lready registered, and i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 pre-registered device,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i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is controlled, and i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n unregistered device, a control signal for regist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output, and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dentifie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priority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접근한 상태에서, 기등록된 제2 통신기기가 접근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통신기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기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a pre-registered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es 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pproaching, the processor determines a relatively high priority based on the prior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is controll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2 위치와 가장 인접한 제2 조명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구동 중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oves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the processor stops driving the first lighting unit and controls the second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second location to be driven. And, the first lighting unit stops operating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제1 조명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의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 구동되도록 제어한다.Additionally, the first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the processor controls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of the first lighting unit to be sequentially driven in correspondenc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복수의 램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통신기기 사이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를 획득하고, 상기 배치 높이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의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amp units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placement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units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s to drive at least one lamp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of the first lighting unit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heigh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의 조사 각도를 조절한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adjusts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at least one lamp unit based o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부에서 통신기기의 접근이 인식되는 단계; 상기 통신기기와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의 제1 위치 및 상기 통신기기와 상기 복수의 조명부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제1 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구동 조건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통신기기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고, 상기 제2 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2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조건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approach of a communication device from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Obtaining a first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determining driving conditions of a first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fir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Driving the first lighting unit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driving conditions; detecting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a second location; chang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first lighting unit in respons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second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second location; and driving the first ligh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in response to the driving conditions.

또한, 상기 제1 조명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의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chang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first lighting unit allows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of the first lighting unit to be sequentially driven in correspondenc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또한,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명부의 복수의 램프 유닛과 상기 통신기기 사이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구동될 램프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determin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first lighting unit may include obtaining a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lamp units of the first light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selecting a lamp unit to be driven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based o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램프 유닛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step of determining driving conditions for the first lighting unit includes determining an irradiation angle of the selected lamp unit based o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실시 예의 차량용 조명 장치는 램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는 통신기기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 및 거리에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실시 예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 내에 상기 통신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조명부의 하우징 내에 상기 광원과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조명부의 실제 장착 위치에서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 및 거리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에 최적화된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만족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utomotive lighting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lamp and a processor. The lamp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embodiment control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light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a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es.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in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For example,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disposed within a housing that forms an exterior appearance.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light source within the housing of the lighting uni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lamp driving control optimized for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performed by measuring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actual mounting location of the lighting uni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user satisfaction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가 감지되면,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통신기기와 가장 인접한 조명부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통신기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부의 구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when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cted, the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riven,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users approaching the vehicle.

더욱이, 실시 예는 상기 발광 동작을 하는 조명부와 상기 통신기기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최적화된 웰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embodiment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ing unit performing the light-emitting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an optimized welcome function can be provided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of the vehicle.

한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 조명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만족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when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cte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re driven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one particular illumination includes multiple light sources. 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when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cte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sequentially emitted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user satisfaction and user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실시 예에서의 특정 조명부는 복수의 램프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적어도 2개의 램프 유닛 각각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는 상기 2개의 램프 유닛을 통해 획득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는 상기 판단한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실제 구동 동작을 할 램프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개의 램프 유닛은 차량의 좌측 전조등 및 좌측 안개등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좌측 안개등이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상기 좌측 전조등이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사용자에 최적화된 웰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pecific lighting unit in th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amp units. In addition, each of at least two lamp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may be provided wit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wo lamp units.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select a lamp unit to perform an actual driving oper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based on the determined placement height. For example, the two lamp units may be the left headlight and left fog light of the vehicle. And, in an embodiment, whe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relatively low, the left fog light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and whe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relatively high, the left headlamp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You can. Accordingly, the embodiment can provide a welcome function optimized for users, thereby maximizing user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판단되면, 상기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의 경우, 조사 각도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판단되면,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대응하는 조사 각도를 가지고 상기 조명부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nce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mined,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ing unit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placement height. For example, in the case of headlights, the irradiation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And, in an embodiment, whe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mined, the lighting unit can be made to emit light at an irradi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ly, the embodiment can further maximize user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또한, 실시 예는 복수의 통신기기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기기에 개별적으로 맞춤화된 웰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는 복수의 통신기기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기기의 웰컴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allows registration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provides an individually customized welcome function to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Furthermore, the embodiment sets priorities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selectively provides welcome functions to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the set priorities. Accordingly, the embodiment can further maximize user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차량 램프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차량 램프의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 및 도 4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과 광원 배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갖는 램프가 적용된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명부의 제1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조명부의 제2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조명부의 제3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명부의 제1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조명부의 제2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 등록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설정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조사 각도 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of FIG. 1.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hicle lamp of Figure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lamp of Figure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antenna pattern and light source arrangement arranged in FIGS. 3 and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plan view of a vehicle to which a lamp hav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pplied.
Figure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 by step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plan view of a vehicle lighting system for explaining the first driv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7 .
FIG. 9 is a plan view of a vehicle lighting system for explaining the second driv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7 .
FIG. 10 is a plan view of a vehicle lighting system for explaining the third driv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7 .
Figure 11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rst driv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11.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cond driv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11.
Figure 14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a communication device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5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using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6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prio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7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irradiation angle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차량 램프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차량 램프의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 및 도 4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과 광원 배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갖는 램프가 적용된 차량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of FIG. 1, and FIG. 3 shows the vehicle lamp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lamp of FIG.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antenna pattern and light source arrangement form arranged in FIGS. 3 and 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6 is a plan view of a vehicle to which a lamp hav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ppli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제어 시스템은 램프(100)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200)를 구비한 차량(300)과, 상기 차량(30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기기(400)를 포함한다.1 to 6, a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vehicle 300 equipped with a vehicle lighting device 200 including a lamp 100, and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300. Includes communication device 400.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차량(300)의 조명 장치(200)에 구비된 램프(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lamp 100 provided in the lighting device 200 of the vehicle 300.

상기 통신기기(400)는 통신기기(400)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기기(400)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hip configured to receive wireless signals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예를 들어, 상기 통신기기(400)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을 구현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connected to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At least one radio selected from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implements Internet technology.

또한, 상기 통신기기(400)에 구비된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차량(300)의 조명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perform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lighting device 200 of the vehicle 300.

상기 통신기기(400)의 근거리 통신부(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ncludes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and NFC (Near). It can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of at least one of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차량(300)의 조명 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차량(3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기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lighting device 200 of the vehicle 300.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vehicle 300.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차량(300)의 제어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기기(4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컴퓨터(computer), 모니터(monitor),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비디오 게임(video gam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오토모티브(Automotive) 등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terminal granted control authority of the vehicle 3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digital video camera, a digital still camera, or a network system. ), computer, monitor, tablet, laptop, netbook, television, video game, smart watch, automotive It may be, etc.

이와 다르게,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차량(300)의 제어 권한이 부여된 디지털키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통신 모듈이 구비된 카드 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통신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 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통신기기(400)는 키 팝(Key pob)일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량(3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의 부여가 가능하면서, 상기 차량(300)의 조명 장치(200)의 램프(100)와 통신 기능한 통신 모듈이 구비된 것이라면, 상기 통신기기(400)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digital key granted control authority for the vehicle 300.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card key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smart key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key pob.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granting control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3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lamp 100 of the lighting device 200 of the vehicle 300 If provided, it may b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차량(300)은 일반 자동차,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일 수 있다. 상기 차량(300)이 전기 자동차인 경우, 이는 일렉트릭 카(electric car), 일렉트릭 오토모바일(electric automobile), ERV(electric road vehicle), PV(plug-in vehicle), xEV(plug-in vehicle)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xEV는 BEV(plug-in all-electric vehicle 또는 battery electric vehicle), PEV(plug-in 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HPEV(hybrid plug-in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등으로 지칭되거나 구분될 수 있다.The vehicle 300 may be a regular car, an electric vehicle (EV), 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If the vehicle 300 is an electric vehicle, it may be an electric car, electric automobile, electric road vehicle (ERV), plug-in vehicle (PV), plug-in vehicle (xEV), etc. It may be referred to as a BEV (plug-in all-electric vehicle or battery electric vehicle), PEV (plug-in electric vehicle), HEV (hybrid electric vehicle), HPEV (hybrid plug-in electric vehicle), and PHEV. It may be referred to or classified a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etc.

상기 차량(300)에는 램프(100)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200)가 구비된다.The vehicle 300 is equipped with a vehicle lighting device 200 including a lamp 100.

상기 램프(100)는 상기 차량(300)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100)는 상기 차량(300)의 차체의 복수의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10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명부'와 동일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100)는 상기 차량(300)의 외부에 구비된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안개등, 차폭등, 후진등, 퍼들 램프 및 주간 주행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램프(100)는 상기 차량(300)의 내부에 구비된 실내등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A plurality of lamps 100 may be arranged in the vehicle 300 . For example, the lamp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s dispos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body of the vehicle 300. The lamp 10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lighting unit'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lamp 100 may include headlights, tail lights, brake lights, turn signals, fog lights, side lights, reverse lights, puddle lights, and daytime running lights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300.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amp 100 may include an interior light provided inside the vehicle 300.

상기 램프(100)는 통신부(추후 설명)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는 상기 램프(1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100)의 통신부는 상기 램프(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amp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lamp 1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may be provided in a housing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lamp 100.

상기 램프(100)의 통신부는 상기 통신기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100)는 상기 통신기기(4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일 수 있다. 상기 램프(100)는 상기 통신기기(4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램프(10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램프(100)의 통신부는 UWB(Ultra Wideband)기술이 적용된 통신부일 수 있다. 상기 램프(100)의 통신부는 상기 통신기기(400)와 통신하여,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100)의 통신부는 상기 통신기기(400)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100)의 통신부는 상기 송신한 신호와 상기 수신한 응답 신호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램프(100)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For example, the lamp 100 may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he lamp 1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he lamp 100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may be a communication unit to which UWB (Ultra Wideband) technology is applie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o provide a positioning function that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receive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can measure the arrival time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lamp 10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based on this.

이때, 실시 예에서의 상기 램프(100)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램프(100)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램프에는 상기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복수 개의 램프(100)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는 상기 통신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량(300)에 구비된 모든 램프에는 상기 통신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lamps 100 are provided. In addition, at least three lamps among the plurality of lamps 100 may be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In other words, at least one lamp among the plurality of lamps 100 may not be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ll lamps provided in the vehicle 300 may be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램프(100)와 연결되고, 상기 램프(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차량(300)의 메인 제어부(추후 설명)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의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차량(300)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차량(300)의 ECU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차량(300)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light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lamp 100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100. For example, the lighting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main control unit (described later) of the vehicle 300. Additionally, the lighting device 2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100 based on the results of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 unit. The main control unit may be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vehicle 300. Additionally, the lighting device 200 may obtai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by communicating with the ECU of the vehicle 300. Additionally, the lighting device 200 may control at least one lamp among the plurality of lamps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300.

한편,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램프(100)를 통해 획득한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램프(100)에서 상기 통신기기(400)와 수행한 통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정보는 상기 송신 신호의 상기 수신 신호 사이의 도달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정보는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ing device 200 may receive measureme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lamps 100. For example, the lighting device 200 may receive communication information performed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by the plurality of lamps 100.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rrival time information between the transmitted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received signal strength identifier (RSSI) of the received signal.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통신기기(4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20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using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하나의 램프를 통해 획득한 통신 정보를 이용하면, 상기 램프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램프(바람직하게 적어도 3개의 램프)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면, 상기 복수의 램프의 각각과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 정보뿐 아니라,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까지 획득이 가능하다. 이는, 일반적인 측위 시스템의 측위 기술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example, by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one lamp,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lamp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can be obtained. Furthermore, by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lamps (preferably at least three lamps), not only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lamps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but als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t is possible to obtain it. This is a positioning technology of a general positioning system,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 및 거리 정보가 획득되면, 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램프(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re obtained, the lighting device 2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amps 100 based on them.

예를 들어,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램프(100) 중 구동될 램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램프를 상기 구동될 램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200)는 상기 통신기기(400)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램프의 구동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램프의 밝기나 발광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방식은 점멸 발광 방식, 순차적 발광 방식 및 일반적인 계속적 발광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ghting device 200 may select a lamp to be driven among the plurality of lamps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For example, the lighting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lamp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s the lamp to be driven. Additionally, the lighting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determined driving conditions of the lamp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he driving conditions may include brightness or light emission method of the lamp. The light emission method may include a blinking light emission method, a sequential light emission method, and a general continuous light emission method.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 및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램프(100)의 구동 제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riving control of the lamp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한편, 본원에서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보다 정확한 위치 측정을 위해서, 상기 램프(100) 내에 상기 통신기기(4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마련된다.Meanwhile, in this application, in order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s provided within the lamp 100.

이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램프(100)가 아닌 차량의 차체의 특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신부가 램프(100)가 아닌 차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나 거리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지만,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에 가장 인접한 램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laced in a specific area of the vehicle body rather than the lamp 100. However,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placed on the vehicle body rather than the lamp 100, it is possible to obtain location or distanc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bu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amp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can be difficult.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 및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더욱 직관적이고 정확한 차량의 램프(100)의 제어를 위해 상기 통신부가 상기 램프(100) 내에 구비되도록 한다.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lamp 100 for more intuitive and accurate control of the lamp 100 of the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차량용 조명장치(200)는 입력부(210), 메모리(220), 제1 조명부(100a), 제2 조명부(100b), 프로세서(250), 인터페이스부(230),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unit 210, a memory 220, a first lighting unit 100a, a second lighting unit 100b, a processor 250, an interface unit 230,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240.

입력부(210)는, 차량용 조명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차량(3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터치식 입력 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상기 제1 조명부(100a) 또는 제2 조명부(100b)의 전원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제1 조명부(100a) 또는 제2 조명부(100b)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차량용 조명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10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The input unit 2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300. The input unit 210 may include a touch input means or a mechanical input means. The input unit 2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or the second lighting unit 100b. The input unit 210 may receive user input that can control various operations of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or the second lighting unit 100b. The input unit 210 may receive a user input that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메모리(220)는, 차량용 조명장치(200) 각 유닛에 대한 기본 데이터, 각 유닛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차량용 조명장치(200)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5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용 조명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20 may store basic data for each unit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and data input/output to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In terms of hardware, the memory 220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The memory 220 may store various data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motive lighting device 200, such as programs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250.

제1 조명부(100a)는 근거리 통신부(150), 안테나 패턴(155), 광원 구동부(160a), 및 광원(165a)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ighting unit 100a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an antenna pattern 155, a light source driver 160a, and a light source 165a.

광원 구동부(160a)는, 프로세서(250)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165a)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구동부(160a)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165a)로 구동 전류를 인가한다. 광원 구동부(160a)에서 인가되는 구동 전류에 따라, 광원(165a)에서 발광되는 빛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65a)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고, 광원 구동부(160a)는 LED 드라이버(driver)일 수 있다. 안테나 패턴(155)은 상기에 개시된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qn(100a)는 안테나 패턴(155)를 구동하는 근거리 통신부(150)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부(15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driver 160a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165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250. Specifically, the light source driver 160a applies a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source 165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65a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applied from the light source driver 160a. Here, the light source 165a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ght source driver 160a may be an LED driver. The antenna pattern 155 may be the antenna pattern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isclosed above. The first lighting qn (100a) may further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that drives the antenna pattern 155, or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상기 제1 조명부(100a)는 상기와 같이 안테나 패턴(155) 및 광원 구동부(160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명부(100a)는 상기 램프(100) 중 상기 통신기기(400)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가 내장된 램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조명부(100a)는 상기 차량(300)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조명부(100a)는 상기 차량(300)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lighting unit 100a includes the antenna pattern 155 and the light source driver 160a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may refer to a lamp with a built-in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mong the lamps 100. 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rst lighting units 100a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300 . Preferably,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may be provided in at least three vehicles 300 or more.

프로세서(250)는, 안테나 패턴(155)를 제어하는 근거리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that controls the antenna pattern 155.

한편, 제1 조명부(100a)는 통신 기능과 조명 기능을 위해, 차량의 각 모서리 부분의 램프, 또는 미러 램프, 로우 빔 또는 하이빔 발광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 장치(100a)는 차량 내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may be implemented as a lamp at each corner of the vehicle, or at least one of a mirror lamp, low beam, or high beam light emitting module for communication and lighting functions. The first lighting device 100a may be disposed in plural numbers in the vehicle.

제2 조명부(100b)는 광원 구동부(160b), 광원(165b), 리플렉터(미도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이 없는 즉, 안테나 패턴이 없는 발광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조명부(100b)는 차량 내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램프(100)는 모두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제1 조명부(100a)로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cond lighting unit 100b may include a light source driver 160b, a light source 165b, a reflector (not shown), and a lens (not show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emitting module without a communication function, that is, without an antenna pattern. You can. A plurality of second lighting units 100b may be arranged within the vehicle.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lamp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광원 구동부(160b)는, 프로세서(250)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165b)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구동부(160b)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165b)로 구동 전류를 인가한다. 광원 구동부(160b)에서 인가되는 구동 전류에 따라, 광원(165b)에서 발광되는 빛이 제어될 수 있다. 광원(165b)은 빛을 생성시킬 수 있다. 광원(165b)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2 조명 장치(100b)은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driver 160b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165b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250. Specifically, the light source driver 160b applies a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source 165b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65b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applied from the light source driver 160b. The light source 165b can generate light. The light source 165b can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lighting device 100b may include a lens (not shown).

한편, 차량용 조명장치(200)는 커버 렌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렌즈는 차량용 램프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미도시)의 오픈부를 덮는다. 커버 렌즈(미도시)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우수한 ALDC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lens (not shown). The cover lens covers the open portion of the housing (not shown)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vehicle lamp. The cover lens (not shown) is made of transparent plastic or glass.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LDC plastic material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프로세서(250)는, 차량용 조명장치(2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근거리 통신부(1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안테나 패턴(155)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25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within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The processor 25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to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the antenna pattern 155.

프로세서(250)는 차량(300)의 메인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50 may be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unit 310 of the vehicle 300. In terms of hardware, the processor 25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processors (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인터페이스부(230)는 차량 관련 데이터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프로세서(25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2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310), 센싱부(320), 차량 보조 장치(33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30 may receive vehicle-related data or user input, or transmit signals processed or generated by the processor 250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interface unit 23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310, the sensing unit 320,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330, etc. inside the vehicl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한편,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310) 또는 센싱부(32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속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face unit 230 may receiv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310 or the sensing unit 320. Here, sensor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tilt information, vehicle forward/backward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and vehicle lamp.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hicle interior humidity information. This sensor information includes heading sensor, yaw sensor, gyro sensor, position module, vehicle forward/reverse sensor, wheel sensor, vehicle speed sensor, It can be obtained from a vehicle body tilt sensor, battery sensor, fuel sensor, tire sensor, steering sensor by steering wheel rot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sensor, vehicle interior humidity sensor, etc. Meanwhile, the position module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Meanwhile, among sensor information,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tilt information, etc. related to vehicle driving may be referred to a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한편,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310) 또는 차량 보조 장치(330)로부터 차량 보조 장치(330)에서 검출된 오브젝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보조 장치(330)는 획득되는 차량(300) 전방 영상을 기초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 PD), 불빛 검출(Bright 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30)는 검출된 오브젝트 정보를 차량 보조 장치(3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230)는 검출된 오브젝트 정보를 제어부(31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face unit 230 may receive object information detected in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330 from the control unit 310 or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330.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330 detects lane detection (LD), surrounding vehicle detection (VD), pedestrian detection (PD), and light detection (Bright) based on the acquired front image of the vehicle 300. Spot Detection (BD),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and road surface detection can be performed. The interface unit 230 may receive detected object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330. Alternatively, the interface unit 230 may receive detected object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310.

예를 들면, 차량 보조 장치(330)가 차량 전방의 대향차를 검출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대향차 검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대향차 검출 정보는, 대향차의 위치 정보, 대향차와 차량(300)의 상대거리,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40)는,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용 조명장치(200) 각 유닛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240)는, 차량(300)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330 detects an oncoming vehicl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interface unit 230 may receive the oncoming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Here, the oncoming car det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ncoming car,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oncoming car and the vehicle 300, and relative speed information. The power supply unit 240 can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50.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inside the vehicle 300, etc.

상기 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차량의 내부의 전자 장치들과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30)는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이더넷(Ethernet)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in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230 i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ased 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mong CAN (Controller Area Network), LIN (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FlexRay, and Ethernet. may include.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조명부(100a)의 근거리 통신부(150)로부터 통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통신정보는 상기 제1 조명부(100a)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에서 수행된 통신 신호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정보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 사이의 도달 시간 정보나, 수신 신호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50 may obtain commun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communication signal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rrival time information between a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d signal, or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조명부(100a) 및 제2 조명부(100b)를 제어한다.And, the processor 250 controls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100b using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상기 프로세서(25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Specific operations of the processor 2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상기 프로세서(250)의 설명에 앞서, 실시 예의 램프(100), 바람직하게 제1 조명부(100a)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부(15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Before explaining the processor 250, the structur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provided in the lamp 100 of the embodiment, preferably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부(100-1)는 기판(110), 상기 기판(110) 상에 배치된 광원(101), 상기 기판(110) 상에서 상기 광원(101)을 덮는 레진층(130), 및 상기 레진층(130) 상에 광학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00-1)는 상기 기판(110)과 상기 레진층(130) 사이에 배치된 반사 부재(120) 및 상기 반사 부재(120)와 상기 기판(110) 사이의 제1영역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15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lighting unit 10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10, a light source 101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and the light source 101 on the substrate 110. It may include a covering resin layer 130 and an optical member 140 on the resin layer 130. The lighting unit 100-1 includes a reflective member 120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resin layer 130 and a first region between the reflective member 120 and the substrate 110. It may include an antenna pattern 155.

상기 조명부(100-1)는 상기 광원(101)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면광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101)은 상기 기판(110) 상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101)들은 1행 이상 및 1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1)들은 n행 및 m열로 배치될 수 있다(n,m = 2 이상). 상기 조명부(100-1)는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 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산업용 조명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용 램프에 적용되는 조명 모듈의 경우, 헤드 램프, 차폭등, 사이드 미러등, 안개등, 후미등(Tail lamp),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 후진등(back up lamp), 제동등(stop lamp),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right), 차량 실내 조명, 도어 스카프(door scarf),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백업 램프 등에 적용 가능하다. The lighting unit 100-1 may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1 as surface light. The light sources 101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on the substrate 110, and the light sources 101 may be arranged in one or more rows and one or more columns. The light sources 101 may be arranged in n rows and m columns (n, m = 2 or more). The lighting unit 100-1 can be applied to various lamp devices that require lighting, such as vehicle lamps, household lighting devices, and industrial lighting devic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lighting modules applied to vehicle lamps, head lamps, side lights, side mirror lights, fog lights, tail lamps, turn signal lamps, back up lamps, and stop lamps. , It can be applied to daytime running lights, vehicle interior lighting, door scarf, rear combination lamp, backup lamp, etc.

상기 기판(110)은 상기 광원(101) 및 레진층(130)의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 부재 또는 지지 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예를 들어, 수지 계열의 인쇄회로기판(PCB),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또는 FR-4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예컨대, 연성 PCB 또는 경성(rigid)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의 상면은 X축-Y축 평면을 가지며, 상기 기판(110)의 두께는 X 방향과 Y 방향에 직교하는 Z 방향의 높이일 수 있다. 여기서, X 방향은 제1방향이며, Y 방향은 X 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이며, 상기 Z 방향은 X 방향과 Y 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일 수 있다.The substrate 110 may function as a base member or support member located below the light source 101 and the resin layer 130. The substrate 11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board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resin-based printed circuit board (PCB), a metal core PCB, a flexible PCB, a ceramic PCB, or an FR-4 board. . The substrate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flexible PCB or a rigid PCB.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has an X-axis-Y axis plane, and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10 may be the height of the Z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 and Y directions. Here, the X direction may be a first direction, the Y direction may be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 direction, and the Z direction may be a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 and Y directions.

상기 기판(110)은 상부에 배선층(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층은 광원(101)들과 상기 안테나 패턴(1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1)들은 상기 기판(110)의 배선층에 의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1)들은 2개 이상을 갖는 그룹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거나, 상기 그룹들 간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층은 수직하게 관통되는 비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배선층 또는 비아를 통해 구동 모듈(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bstrate 110 includes a wiring layer (not shown) on the top, and the wiring lay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s 101 and the antenna pattern 155. The light sources 101 may be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by the wiring layer of the substrate 110. The light sources 101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in groups of two or more, or the group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he wiring layer may include a vertically penetrating via, and the antenna patter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150 through the wiring layer or via.

상기 기판(110)의 두께는 0.5 mm 이하 예컨대, 0.3 mm 내지 0.5 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의 두께를 얇게 제공하므로, 조명 모듈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플렉시블한 모듈을 지지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10 may be 0.5 mm or les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3 mm to 0.5 mm. Since the substrate 110 is provided with a thin thickness, the flexible module can be support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lighting module.

상기 기판(110)은 탑뷰 형상이 직사각형이거나, 정사각형이거나, 다른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곡면 형상을 갖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상부에 보호 층 또는 반사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층 또는 반사 층은 솔더 레지스트 재질을 갖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솔더레지스트 재질은 백색 재질로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재질의 기판(110)이 제공되므로, 상기 광원(101)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기판(110)의 상면 방향 및 하면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10 may have a top view shape of a rectangle, a square, or another polygonal shape, or may have a curved bar shape. The substrate 110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or a reflective layer on top. The protective layer or reflective layer may include a member made of a solder resist material, and the solder resist material is a white material and can reflect incident light. As another example, the substrate 110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Since the substrate 1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1 can be emitt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substrate 110.

상기 광원(101)은 상기 기판(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레진층(13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101)은 상기 레진층(130)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1)의 측면 및 상면에는 상기 레진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은 상기 광원(101)들을 밀봉하며 상기 기판(110)의 상면 또는/및 반사부재(120)와 접촉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01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and sealed by the resin layer 130.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1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sin layer 130. The resin lay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and top surfaces of the light source 101. The resin layer 130 seals the light sources 101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and/or the reflective member 120.

상기 광원(101)로부터 방출된 광은 상기 레진층(130)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1)은 출사면(11)을 통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101)은 내부에 LED 칩을 갖는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이드 뷰 타입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광원(101A)은 다수의 측면들을 통해 광을 방출하는 LED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110) 상에 플립 칩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조명부(100-2)는 기판(110) 상에 광원(101A)들이 제1,2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각 광원(101A)들은 LED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각 광원(101A)들은 레진층(130)에 의해 밀봉되며, 상부에 차광부(145) 또는 차광 구조(캐비티, 리세스)가 배치될 수 있다.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1 may be emitted through the resin layer 130. The light source 101 may emit light through the emission surface 11. That is, the light source 101 may be implemented as a package with an LED chip inside, for example, as a side view type package. As shown in FIG. 4 , the light source 101A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chip that emits light through multiple side surfaces and may be placed on the substrate 110 in the form of a flip chip. The lighting unit 100-2 of FIG. 4 may have light sources 101A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on the substrate 110, and each light source 101A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chip. Each of the light sources 101A is sealed by a resin layer 130, and a light blocking portion 145 or a light blocking structure (cavity, recess) may be disposed on the top.

상기 광원(101,101A)은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며, 청색, 적색, 녹색, 백색, 자외선(UV), 또는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광원(101,101A)은 예컨대 청색, 적색, 녹색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하며, 상기 조명부(100-1,100-2)의 표면을 통해 청색, 적색, 녹색 또는 백색의 광이 발광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chip and may emit at least one of blue, red, green, white, ultraviolet (UV), or infrared light.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emi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blue, red, and green, and blue, red, green, or white light may be emitt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lighting units 100-1 and 100-2.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레진층(130)은 상기 기판(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101, 101A)을 밀봉하게 된다. 상기 레진층(130)은 투명한 수지 재질 예컨대, UV(Ultra violet) 레진(Resin), 실리콘, 에폭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에는 불순물이 첨가되지 않는 투명한 재질의 층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은 불순물이 없으므로 광이 직진 성을 갖고 투과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레진층(130)은 내부에 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resin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and seals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The resin layer 1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such as UV (Ultra violet) resin, silicone, epoxy, o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resin layer 130 may be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to which no impurities are added. Since the resin layer 130 is free of impurities, light can pass through the resin layer 130 in a straight line. As another example, the resin layer 130 may include a diffusion agent therein.

상기 레진층(130)은 굴절률이 1.70 이하 예컨대, 1.25 내지 1.7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광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각 광원(101, 101A)은 하부에 본딩부가 배치되며 상기 기판(110)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은 청색, 적색, 녹색, 자외선(UV)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광원(101)은 백색, 청색, 적색, 녹색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광원(101, 101A)은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in layer 130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1.70 or les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25 to 1.70. I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sin layer 130 is outside the above rang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Each of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has a bonding portion disposed at the bottom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d of the substrate 110. The light-emitting chip may emit at least one of blue, red, green, and ultraviolet (UV) light. The light source 101 may emit at least one of white, blue, red, and green.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may include phosphors.

상기 레진층(130)은 상기 광원(101,101A)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의 두께는 상기 기판(11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의 두께는 상기 기판(110)의 두께보다 5배 이상 예컨대, 5배 내지 9배 범위로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레진층(130)은 상기의 두께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기판(110) 상에서 광원(101, 101A)을 밀봉하며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기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과 상기 기판(110)은 연성 플레이트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의 두께는 2.7 mm 이하 예컨대, 1.8 mm 내지 2.7 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0)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광원(101, 101A)과 광학 부재(1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확산을 위한 층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모듈 두께가 증가되거나 광도가 저하될 수 있다. The resin layer 130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130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10.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130 may be at least 5 ti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10, for example, in the range of 5 to 9 times. By being disposed with the above thickness, the resin layer 130 can seal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on the substrate 110,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and support the substrate 110. The resin layer 130 and th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as flexible plates.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130 may be 2.7 mm or les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8 mm to 2.7 mm. If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130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gap between the light source (101, 101A) and the optical member 140 may be reduced or the thickness of the layer for diffusion may be thick, and if it is greater than the above range, the module Thickness may increase or luminosity may decrease.

상기 레진층(130)은 상기 기판(110)과 광학부재(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101,101A)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가이드하고 상부 방향으로 면 광을 출사하게 된다. 상기 광학 부재(140)은 상기 레진층(130)의 광을 균일한 분포의 면 광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e resin lay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optical member 140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and emit surface light in an upward direction. The optical member 140 may emit light from the resin layer 130 as uniformly distributed surface light.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광학 부재(140)는 상기 레진층(130)의 상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레진층(13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140)는 확산제, 형광체 및 잉크 입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을 갖는 수지 층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140)은 단일 층을 배치되거나,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3 and 4, the optical member 14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sin layer 130 o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130. The optical member 140 may be a resin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r two types of diffusion agent, phosphor, and ink particles. The optical member 140 may be arranged as a single layer or may be stacked as a plurality of layers.

상기 광학 부재(140)에 첨가된 확산제의 함량은 수지 재질 내에 2wt% 내지 5wt%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확산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핫 스팟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광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제는 광을 확산시켜 주어 광 투과율의 저하 없이 핫 스팟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확산제는 PMMA(Poly Methyl Meth Acrylate) 계열, TiO2, SiO2, Al2O3, 실리콘 계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diffusion agent added to the optical member 140 may range from 2 wt% to 5 wt% in the resin material. If the content of the diffusion ag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limit to lowering the hot spot, and if it is greater than the above range, light transmittance may be reduced. Therefore, the diffusion agent can diffuse light and reduce hot spots without reducing light transmittance. The diffusion ag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MMA (Poly Methyl Meth Acrylate) series, TiO 2 , SiO 2 , Al 2 O 3 , and silicon series.

상기 광학 부재(140) 내부에 형광체를 갖는 경우, 상기 형광체의 함량은 상기 광학 부재(140)를 이루는 수지 재질과 동일한 양으로 첨가되거나, 광학 부재(140)의 수지 재질과의 비율이 40% 내지 60% 대비 40% 내지 60%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는 적색 형광체 및 황색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having a phosphor inside the optical member 140, the content of the phosphor is added in the same amount as the resin material forming the optical member 140, or the ratio with the resin material of the optical member 140 is 40% to 40%. It may be added at a ratio of 40% to 60% of 60%. The phosph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d phosphor and a yellow phosphor.

상기 광학 부재(140)는 내부에 잉크 입자를 갖는 경우, 상기 잉크입자는 금속잉크, UV 잉크, 또는 경화잉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입자의 종류는 PVC(Poly vinyl chloride) 잉크, PC (Polycarbonate) 잉크,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잉크, UV 레진 잉크, 에폭시 잉크, 실리콘 잉크, PP(polypropylene) 잉크, 수성잉크, 플라스틱 잉크,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잉크, PS (Polystyrene) 잉크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잉크입자의 너비 또는 직경은 5㎛ 이하이거나, 0.05㎛ 내지 1㎛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잉크입자 중 적어도 하나는 광의 파장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잉크입자는 금속잉크, UV 잉크, 또는 경화잉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입자의 크기는 상기 형광체의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잉크입자 중 적어도 하나는 광의 파장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잉크입자의 표면 컬러는 녹색, 적색, 황색, 청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When the optical member 140 has ink particles therein, the ink 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l ink, UV ink, or curing ink. The types of ink particles include PVC (poly vinyl chloride) ink, PC (polycarbonate) ink,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ink, UV resin ink, epoxy ink, silicone ink, PP (polypropylene) ink, water-based ink, and plastic ink. ,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ink, or PS (polystyrene) ink. Here, the width or diameter of the ink particles may be 5㎛ or less or in the range of 0.05㎛ to 1㎛. At least one of the ink particles may be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The ink 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llic ink, UV ink, or curing ink. The size of the ink particles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hosphor. At least one of the ink particles may be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The surface color of the ink particles may be any one of green, red, yellow, and blue.

상기 광학 부재(140)의 내부에 확산제 없이, 형광체 및 잉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형광체는 적색 파장을 발광하며, 상기 잉크입자는 적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잉크입자의 적색 색감은 상기 형광체 또는 광의 파장의 색감보다는 짙을 수 있다. 상기 잉크입자는 상기 광원(101, 101A)로부터 방출된 광의 컬러와 다른 컬러일 수 있다. 상기 잉크입자는 입사되는 광을 차광하거나 차단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140)는 상기 형광체의 함량이 23wt% 이하 또는 10wt% 내지 23wt%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잉크입자가 12wt% 이하 예컨대, 4wt% 내지 12wt%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140)에서의 형광체 함량은 상기 잉크입자의 함량보다 3wt% 이상이거나, 3wt% 내지 13wt%의 범위로 높게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잉크입자의 중량이 형광체의 중량보다 더 작아 상기 잉크입자는 상기 형광체보다 상기 레진층의 표면에 인접한 영역에 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부재(140)의 표면의 색감은 잉크 입자의 색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잉크 입자에 의해 광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어, 핫 스팟은 낮출 수 있다.The optical member 140 may contain phosphor and ink particles without a diffusion agent. In this case, the phosphor emits a red wavelength, and the ink particles may contain red. For example, the red color of the ink particles may be darker than the color of the phosphor or the wavelength of light. The ink particles may have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The ink particles can have the effect of blocking or blocking incident light. The optical member 140 may have the phosphor content added in a range of 23 wt% or less or 10 wt% to 23 wt%, and the ink particles may be added in a range of 12 wt% or less, for example, 4 wt% to 12 wt%. . The phosphor content in the optical member 140 may be 3 wt% or more than the content of the ink particles, or may be added as high as 3 wt% to 13 wt%. Since the weight of the ink particle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hosphor, the ink particles may be distributed in an area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than the phosphor. Accordingly, the color of the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140 can be provided as the color of ink particles. Transmission of light can be suppressed by these ink particles, and hot spots can be reduced.

상기 광학 부재(140)는 상기 레진층(130)의 표면에 접착제(147)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147)는 투명한 재질로서, UV 접착제,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140)는 수지 재질 예컨대, 실리콘, 에폭시, 또는 폴리에스테르(P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member 140 may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130 using an adhesive 147. The adhesive 147 is a transparent material and may be an adhesive such as UV adhesive, silicone, or epoxy. The optical member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silicone, epoxy, or polyester (PET).

도 3과 같이, 상기 광학 부재(140)의 하부에 차광부(1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부(145)는 상기 광학 부재(140)의 하면에 인쇄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부(145)는 상기 광원(101)들 각각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광원(101)의 출사면(11)보다 더 출사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147)는 상기 차광부(145)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레진층(130)과 상기 광학 부재(140) 사이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부(145)는 상기 레진층(130) 상에서 상기 광원(101)을 통해 방출된 광 중에서 세기가 높은 광들 차광하여, 핫 스팟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차광부(145)는 상기 광원(101A)의 상부 및 그 주변을 커버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light blocking portion 145 may be disposed below the optical member 140. The light blocking portion 145 may be printed or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140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light blocking portion 145 may overlap each of the light sources 101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ay extend further toward the emission side than the emission surface 11 of each light source 101. The adhesive 147 is disposed arou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145 and may be adhered between the resin layer 130 and the optical member 140. Here, the light blocking portion 145 can prevent hot spots by blocking light with high intensity among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source 101 on the resin layer 130. The light blocking portion 145 of FIG. 2 may be provided in a size that covers the top and surrounding area of the light source 101A.

상기 차광부(145)는 2중 이상의 백색 물질 층 또는 3중 이상의 백색 물질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광부(145)는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차광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확산패턴과, Al 또는 Al과 TiO2의 혼합물질을 포함하는 차광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된 차광패턴의 중첩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차광부(135)는 제1확산 패턴, 차광 패턴 및 제2확산 패턴의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portion 145 may be made of two or more white material layers or three or more white material layers. The light-shielding portion 145 includes a diffusion pattern formed using a light-shielding ink containing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iO 2 , CaCO 3 , BaSO 4 , Al 2 O 3 , and Silicon, and Al or Al and TiO 2 It can be implemented as an overlapping structure of light-shielding patterns formed using light-shielding ink containing a mixture. The light blocking portion 135 may be arranged in a stacked structure of a first diffusion pattern, a light blocking pattern, and a second diffusion pattern.

조명부(100-1,100-2)는 다른 예로서, 광원(101,101A) 및 상기 기판(110) 상에 다수의 레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레진층은 예컨대, 2층 이상 또는 3층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레진층은 불순물을 갖지 않는 층, 형광체가 첨가된 층, 및 확산제를 갖는 층, 형광체/확산체가 첨가된 층 중에서 적어도 두 층 또는 세 층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레진층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확산제, 형광체 및 잉크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형광체와 상기 확산제는 서로 별도의 레진층에 첨가되거나, 서로 혼합되어 하나의 레진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은 형광체, 확산제, 또는 잉크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와 상기 확산제가 각각 구비한 층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와 상기 확산제가 배치된 층이 서로 분리된 경우, 상기 형광체가 배치된 층이 상기 확산제가 배치된 층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와 잉크입자는 서로 동일한 층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크입자가 첨가된 레진층은 형광체가 첨가된 레진층보다 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lighting units 100-1 and 100-2 may include light sources 101 and 101A and a plurality of resin layers on the substrate 110. The plurality of resin layers may include, for example, two or more layers or three or more layers. The plurality of resin layers may optionally include at least two or three layers among a layer without impurities, a layer to which a phosphor is added, a layer with a diffusion agent, and a layer to which a phosphor/diffuser is adde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sin layers may optionall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ffusion agent, a phosphor, and ink particles. That is, the phosphor and the diffuser may be added to separate resin layers, or may be mixed with each other and placed in one resin layer. The impurities may include phosphors, diffusion agents, or ink particles. The layers provided with the phosphor and the diffusion agen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phosphor and the layer on which the diffusion agent is dispos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layer on which the phosphor is disposed may be disposed above the layer on which the diffusion agent is disposed. The phosphor and ink particles may be placed on the same layer or may be placed on different layers. The resin layer to which the INK particles are added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resin layer to which the phosphor is added.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부(100-1,100-2)는 안테나 패턴(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155)는 상기 기판(110)의 상면의 제1영역 예컨대, 상기 기판(110)의 상면과 상기 반사 부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복수의 광원(101, 101A)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또는 서로 다른 광원(101, 101A)들의 일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인접한 두 광원(101, 101A)들 사이의 영역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3 to 5, the lighting units 100-1 and 10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may include an antenna pattern 155. The antenna pattern 155 may be disposed in a first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for exampl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and the reflective member 120. The first area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1 and 101A or on one side of different light sources 101 and 101A. The first area may be disposed below an area between two adjacent light sources 101 and 101A.

상기 안테나 패턴(155)은 상기 반사 부재(120)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155)의 표면 전체는 상기 반사 부재(120)로 배치될 수 있으며, Cu, Au, Ag, Ni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155)은 상기 기판(110)의 배선층의 재질과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배선층의 일부 영역이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ntenna pattern 155 may be covered by the reflective member 120. The entire surface of the antenna pattern 155 may be disposed as the reflective member 120,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Cu, Au, Ag, and Ni. The antenna pattern 155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wiring layer of the substrate 110, and for example, a partial area of the wiring layer may be formed into a pattern.

상기 안테나 패턴(155)의 두께는 상기 반사 부재(12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155)이 배치된 제1영역에서 상기 반사 부재(120)의 두께는 상기 안테나 패턴이 없는 제2영역에서 상기 반사 부재(12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반사 부재(120)는 상기 제1영역에서 오목한 리세스를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에 상기 안테나 패턴(155)이 배치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antenna pattern 155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member 120.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member 120 in the first area where the antenna pattern 155 is disposed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member 120 in the second area without the antenna pattern. To this end, the reflective member 120 has a concave recess in the first area, and the antenna pattern 155 can be disposed in the recess.

상기 안테나 패턴(155)이 상기 반사 부재(120)의 아래에 배치되므로, 상기 광원(101,101A)을 통해 방출된 광의 경로에 간섭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155)이 상기 반사 부재(120)의 아래에 배치되므로, 방수 및 방진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155)이 상기 반사 부재(120)와 상기 기판(110) 사이에 배치되고 얇은 두께의 조명부(100-1,100-2) 내에 제공되므로,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의 송신 효율 또는 수신 효율의 저하를 줄일 수 있다. 즉, 조명부(100-1,100-2) 상에 전파 방해 요소가 없으므로, 안테나 패턴(155)을 통해 무선 통신을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Since the antenna pattern 155 is disposed below the reflective member 120,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path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Additionally, since the antenna pattern 155 is disposed below the reflective member 120, it can provide a waterproof and dustproof effect. Since the antenna pattern 155 is disposed between the reflective member 120 and the substrate 110 and is provided within the thin lighting unit 100-1, 100-2,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r reception efficiency of the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reduced. Deterioration can be reduced. That is, since there are no radio interference elements on the lighting units 100-1 and 100-2,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effectively carried out through the antenna pattern 155.

상기 안테나 패턴(155)은 인접한 광원(101, 101A)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각형 형상으로 형상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155)은 타측 폭(C2)이 일측 폭(C1)보다 작을 수 있으며, 타측의 에지측 경사진 면에 의해 최대 길이(C3)보다 변(C4)의 길이가 작을 수 있다. 상기 일측 폭(C1)은 최대 길이(C3)보다 작을 수 있으며, 3mm 이상 예컨대, 3mm 내지 4mm 범위일 수 있으며, 최대 길이(C3)는 4mm 이상 예컨대, 4mm 내지 5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타측 폭(C2)은 2mm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경사진 면의 각도(R1)는 100도 이상 예컨대, 100도 내지 150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패턴(155)는 일측 폭(C1) 및 최대 길이(C3)가 광원(101, 101A)들 간의 간격보다 작고 반사 부재(120)에 의해 밀봉되므로, 광 경로의 간섭이 제거될 수 있고, 무선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antenna pattern 155 may be placed in an area between adjacent light sources 101 and 101A and may be shaped like a polygon. The other side width C2 of the antenna pattern 155 may be smaller than the one side width C1, and the length of the side C4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length C3 due to the inclined surface on the edge side of the other side. The one-side width (C1)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length (C3), and may be 3 mm or mor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3 mm to 4 mm, and the maximum length (C3) may be 4 mm or mor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4 mm to 5 mm. The other side width C2 may be 2 mm or less, and the angle R1 of the inclined surface may be 100 degrees or mor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0 to 150 degrees. This antenna pattern 155 has a width (C1) on one side and a maximum length (C3) that is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light sources (101, 101A) and is sealed by the reflective member 120, so that interference in the optical path can be eliminated, Deterioration in transmission or reception efficiency of wireless signals can be prevented.

상기 조명부(100-1, 100-2)의 외측에 구동 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듈(150)은 광원 구동부(152)와 근거리 통신부(1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 구동부(152)는 상기 광원(101, 101A)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광원(101, 101A)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54)는 상기 안테나 패턴(155)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듈(150)의 일측 또는/및 상기 기판(110)의 하부에는 방열 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A driving module 15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lighting units 100-1 and 100-2. The driving module 150 may include a light source driver 152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and the light source driver 15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and the light source 101 and 101A. ) can be controlle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antenna pattern 155. A heat sink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module 150 and/or under the substrate 110.

여기서, 상기 광원 구동부(152)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154)는 구동 전원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듈(150)은 조명부(100-1,100-2)가 배치된 위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므로, 설치 위치가 자유롭고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조명부(100-1,100-2)의 후방에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light source driver 152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may use a common driving power source. Since this drive module 150 is installed directly or indirectly at the location where the lighting unit 100-1,100-2 is place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free and can be free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ighting unit 100-1,100-2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It can be.

상기 근거리 통신부(154)는 상기 안테나 패턴(155)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같은 이동체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54)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can form a wireless area network through the antenna pattern 155 and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a moving object such as a vehicle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 (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an be suppor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또한, 근거리 통신부(154)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54)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can exchange data wirelessly with a mobile termina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TPEG)) from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a user boards a vehicle,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may pair with each other automatically or by executing the user's application.

상기 근거리 통신부(154) 또는 상기 조명부(100-1,100-2)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부(154)는 광 통신을 통해 타 차량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or the lighting unit 100-1, 100-2 may be integrated with a lamp provid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a headlight, a tail light, a brake light, a turn signal light, and a sidelight. You can.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4 can exchange data with other vehicles through optical communication.

발명의 실시 예는 광원(101, 101A)들이 배열된 모듈과 광원(101, 101A) 및 통신용 구동을 위한 구동 모듈(150)이 통합 구현되므로 기구물의 공간 자유도가 상승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module in which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are arranged and a driving module 150 for driving the light sources 101 and 101A and communication are integrated,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patial degree of freedom of the device.

상기 구동 모듈(150)은 기판(110)의 하부에서 기판 하면과 직접 접착되거나 기판의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듈(150)은 기판(110)의 하면 또는 외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기판(110)의 커넥터(미도시)와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신호 케이블로서, 와이어 하네스(harness)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5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bstrate 110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of the substrate. Additionally, the driving module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r outside of the board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oard 110 through a connector (not shown) and a cable (not shown). The cable is a signal cable and may include a wire harness.

한편, 차량(300)에서 램프(100)는 하나 이상의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조명 장치의 구동 시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통상적인 전조등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차량 도어를 오픈한 경우 웰컴등 또는 셀레브레이션(Celebration) 효과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주간주행등, 상향등, 하향등, 안개등 또는 방향 지시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램프(100a1, 100a2)의 조명부는 상기와 같은 조명(L1) 또는/및 근거리 무선 통신(L2)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vehicle 300, the lamp 100 may include one or more lighting units, and the operating timing of these lighting devices is individually controlled to not only function as a normal headlamp, but also as a welcome light when the driver opens the vehicle door. Alternatively,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elebration effects can be provided. The lamp may be applied to daytime running lights, high beams, low beams, fog lights, or turn signal lights. The lighting units of the front lamps 100a1 and 100a2 may perform lighting (L1) and/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2) as described above.

차량(300)에서 후미등(100a5, 100a6)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램프 유닛(미도시)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램프 유닛들은 외측에 배치된 제1램프 유닛(미도시), 상기 제1램프 유닛(미도시)의 내측 둘레에 배치된 제2램프 유닛(미도시), 상기 제2램프 유닛(미도시)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제3 및 제4램프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램프 유닛(미도시)은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 장치의 외측에 상기 램프 유닛(미도시)의 조명 특성을 위해 적색 렌즈 커버 또는 백색 렌즈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램프 유닛(미도시)에 적용된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 장치는 면광을 균일한 분포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후미등(100a5, 100a6)의 조명 장치는 상기와 같은 조명(L1) 또는/및 근거리 무선 통신(L2)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유닛들은 곡면 형상, 직선 형상, 각진 형상, 경사 형상, 또는 평면형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램프 유닛들은 각 후미등에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램프 유닛은 미등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2램프 유닛은 제동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램프 유닛은 후진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4램프 유닛은 턴 시그널 램프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e vehicle 300, the tail lights 100a5 and 100a6 may be arranged as a plurality of lamp units (not shown) supported by a housing. For example, the lamp units include a first lamp unit (not shown) disposed on the outside, a second lamp unit (not shown) disposed around the inside of the first lamp unit (not shown), and the second lamp unit (not shown). It may include third and fourth lamp units (not shown)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lamp unit. The first to fourth lamp units (not shown) can selectively apply the lighting unit disclosed in the embodiment, and a red lens cover or a white lens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lighting device for lighting characteristics of the lamp unit (not shown). A cover may be placed. The lighting device disclosed in this embodiment applied to the lamp unit (not shown) may emit surface light in a uniform distribution. The lighting devices of the tail lights 100a5 and 100a6 may perform lighting (L1) and/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2) as described above. The lamp units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curved shape, a straight shape, an angled shape, an inclined shape, or a flat shape, or a mixed structure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lamp units may be arranged one or more in each taillight. The first lamp unit may be provided as a tail light, the second lamp unit may be provided as a brake light, the third lamp unit may be provided as a reversing light, and the fourth lamp unit may be provided as a turn signal lamp. can be provided.

여기서, 실시 예에 개시된 조명 장치는 차량의 전방 코너, 전방 중심, 후방 코너, 후방 중심, 사이드 미러(100a4)의 램프 유닛 중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조명(L1)과 함께 외부 기기와 통신(L2)할 수 있다.Here, the lighting device disclosed in the embodiment is installed in at least three different areas among the lamp units of the front corner, front center, rear corner, rear center, and side mirror 100a4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d illuminates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light L1. Can communicate (L2) with the device.

상기와 같이, 실시 예의 램프(100)는 위치에 따라 크게 6개의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mp 100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six lighting units depending on the location.

예를 들어, 상기 램프(100)는 차량의 전방 좌측에 배치된 제1 조명부(100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부(100a1)은 복수의 램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명부(100a1)은 전조등, 미등, 방향 지시등, 안개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150)는 상기 제1 조명부(100a)의 각각의 램프 유닛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어느 하나의 램프 유닛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lamp 100 may include a first lighting unit 100a1 dispos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vehicle.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 units. For example,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may include a headlight, a taillight, a turn signal light, a fog light, etc. Additional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placed within each lamp unit of the first lighting unit 100a, or alternatively, may be placed within any one lamp unit.

상기 램프(100)는 차량의 전방 우측에 배치된 제2 조명부(100a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명부(100a2)은 복수의 램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명부(100a2)은 전조등, 미등, 방향 지시등, 안개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150)는 상기 제2 조명부(100a2)의 각각의 램프 유닛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어느 하나의 램프 유닛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lamp 100 may include a second lighting unit 100a2 disposed o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 units. For example,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may include a headlight, a taillight, a turn signal light, a fog light, etc.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placed within each lamp unit of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or alternatively, may be placed in any one lamp unit.

상기 램프(100)는 차량의 중앙 좌측에 배치된 제3 조명부(100a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조명부(100a3)는 차량의 좌측 사이드미러에 배치된 램프 유닛이나, 차량의 운전석 도어 또는 좌측 뒷좌석 도어에 구비된 램프 유닛일 수 있다.The lamp 100 may include a third lighting unit 100a3 disposed on the center left side of the vehicle. The third lighting unit 100a3 may be a lamp unit disposed on the left side mirror of the vehicle, or a lamp unit provided on the driver's seat door or the left rear seat door of the vehicle.

상기 램프(100)는 차량의 중앙 우측에 배치된 제4 조명부(100a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조명부(100a4)는 차량의 우측 사이드미러에 배치된 램프 유닛이나, 차량의 조수석 도어 또는 우측 뒷좌석 도어에 구비된 램프 유닛일 수 있다.The lamp 100 may include a fourth lighting unit 100a4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may be a lamp unit disposed on the right side mirror of the vehicle, or a lamp unit provided on the passenger door or right rear seat door of the vehicle.

상기 램프(100)는 차량의 후방 좌측에 배치된 제5 조명부(100a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조명부(100a5)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제4 램프 유닛에 미등, 제동등, 후진등 및 턴 시그널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amp 100 may include a fifth lighting unit 100a5 disposed on the rear left side of the vehicle. The fifth lighting unit 100a5 may include a tail light, a brake light, a reversing light, and a turn signal lamp in addition to the first to fourth lamp units as described above.

상기 램프(100)는 차량의 후방 우측에 배치된 제6 조명부(100a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조명부(100a6)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제4 램프 유닛에 미등, 제동등, 후진등 및 턴 시그널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amp 100 may include a sixth lighting unit 100a6 disposed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vehicle. The sixth lighting unit 100a6 may include a tail light, a brake light, a reversing light, and a turn signal lamp in addition to the first to fourth lamp units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램프(100)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부(150)를 통해 획득된 통신 정보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프로세서(250)에 의해 상기 램프(100)의 조명부들의 구동 제어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s of the lamp 100 by the processor 250, which is performed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50 provided in the lamp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o.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의 조명부의 제1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조명부의 제2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조명부의 제3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lighting system for explaining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7, and FIG. 9 is This is a top view of a vehicle lighting system for explaining the second driv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7 , and FIG. 10 is a top view of the vehicle lighting system for explaining the third driv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7 .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차량(300)의 주변 영역에 통신기기(4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접근하였을 상황에서의 램프(1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a method of operating the lamp 100 in a situation where a user carrying a communication device 400 approaches the surrounding area of the vehicle 300 will be described.

도 7의 설명에 앞서, 실시 예의 램프(100)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3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 장착 또는 배치된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에 모두 근거리 무선 통신(L2)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에는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는 중어도 하나는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조명부일 수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조명부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구비한 무선 조명부에서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조명부뿐 아니라, 상기 일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는 복수의 램프 유닛 또는 조명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특정 조명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램프 유닛 또는 복수의 조명 유닛에 각각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제1 조명부(100a1)는 좌측 전조등에 대응하는 제1 램프 유닛, 좌측 방향 지시등에 대응하는 제2 램프 유닛, 좌측 미등에 대응하는 제3 램프 유닛, 및 좌측 안개등에 대응하는 제4 램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 유닛 중 적어도 2개의 램프 유닛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에 각각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된 상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 7, the lamp 10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may includ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respectively installed, mounted, or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300. . In addition,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2) is performed in all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may not be equipped with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one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may be a wireless lighting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ped with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nd at least the other one may hav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It may be a general lighting unit that is not provided. In an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lighting unit as well as the general lighting unit is controlled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lighting unit equipped wit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Additionall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mp units or lighting units.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lamp units or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onstituting the specific lighting unit. As an example,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includes a first lamp unit corresponding to the left headlamp, a second lamp unit corresponding to the left turn signal lamp, a third lamp unit corresponding to the left taillight, and a fourth lamp unit corresponding to the left fog lamp. It may include a lamp unit. In addition, at least two lamp units among the first to fourth lamp units may be provided wit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hen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are each equipped with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조명부에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는 차량(300)의 주변에 접근한 통신기기(400)를 인식할 수 있다(S100). 이때,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차량용 조명 장치(200)에 기등록된 통신기기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미등록된 통신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등록된 통신기기가 인식되면, 상기 차량용 조명 장치(200)의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는 상기 통신기기(40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a state wher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 400) can be recognized (S10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a communication device already registered with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or may be an un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And, when the pre-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is recognized,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respectively.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기등록된 사용자(500)가 소지한 통신기기(400)가 상기 차량(300)의 주변으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의 일 예로,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에 각각 구비된 근거리 통신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에 각각 구비된 근거리 통신부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조명 장치(200)의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통신 연결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연결 시도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통신 연결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wned by the registered user 500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vehicle 300,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displays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and 100a2. , 100a3, 100a4, 100a5, 100a6). As an example of this,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recogniz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attemp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Additionally, the processor 25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may detect a communication connection attempt by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connection attempt, the processor 250 establishes a connection between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established.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프로세서(25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기기(400)의 통신 모듈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통신기기(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10). 여기에서 통신 수행이란,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상기 통신기기(400)로 송신 신호가 전송되는 것과, 상기 통신기기(400)에서서의 신호 송신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수신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50. You can. And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110). Here, communication performance means that a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 Depending on the signal transmission from 400), a reception signal may be received from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이후,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통신기기(400)와의 통신 결과에 따른 통신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2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프로세서(25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및 플렉스레이(FlexRay)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after,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provides commun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o the processor 250. You can. At this time, each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and the processor 250 are connected to CAN (Controller Area Network), LIN (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and FlexRay. (FlexRay), etc.,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음으로,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제공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5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명확하게,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제공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500)가 소유한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차량(300)의 주변 영역 중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가 어느 영역에 위치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가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중 어느 조명부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부 각각과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 사이의 인접 정도에 따라 제1 내지 제6 순위의 조명부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Next, the processor 250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user 500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You can do it (S120). Specifically, the processor 250 uses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can be obtained.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area of the surrounding area of the vehicle 300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is located. Using this, the processor 250 positions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closest to any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You can judge whether it was done or not.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first to sixth priority lighting uni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ximity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You can.

또한,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와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조명부(100a1)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제1 거리 정보, 상기 제2 조명부(100a2)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제2 거리 정보, 상기 제3 조명부(100a3)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제3 거리 정보, 상기 제4 조명부(100a4)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제4 거리 정보, 상기 제5 조명부(100a5)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제5 거리 정보, 상기 제6 조명부(100a6)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제6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50 uses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provid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can be obtained.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include first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nformation, thir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third lighting unit (100a3)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fourth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the fifth lighting unit (100a5) )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he fifth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ixth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sixth lighting unit 100a6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can be obtained.

이후,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중 구동될 또는 발광 동작을 할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선택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와 인접한 조명부를 구동될 조명부 또는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와 가장 인접한 1개의 조명부를 상기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와 인접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조명부를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로 선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250 use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to be driven or emit light. You can select the lighting part (S130). For examp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250 may select a lighting unit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as a lighting unit to be driven or a lighting unit to emit light. At this tim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250 may select the one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as the lighting unit to perform the light-emitting operation. Alternatively, the processor 250 may select at least two lighting units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as lighting units to emit ligh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선택한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선택한 조명부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한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선택한 조명부의 밝기 및 발광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방식은 점멸 발광 방식, 순차적 발광 방식 및 일반적인 계속적 발광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조건은 상기 선택한 조명부의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한 조명부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어느 색상의 램프 유닛을 구동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Next, the processor 250 can set driving conditions for the selected lighting unit (S140). Specifically, the processor 250 may set driving conditions for the selected lighting unit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selected light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t this time, the driving conditions may include the brightness and light emission method of the selected lighting unit. The light emission method may include a blinking light emission method, a sequential light emission method, and a general continuous light emission method. Additionally, the driving condition may include the color of the selected lighting unit. Specifically, when the selected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amp units having different colors,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which color lamp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to drive.

이후,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선택된 조명부가 상기 설정된 구동 조건에 기초하여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0). 이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는 상기 구동 조건에 대응하게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동작은 상기 측정한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 및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after,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selected lighting unit to emit light based on the set driving conditions (S150). Accordingly, at least one lighting unit selected among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may perform a light-emitt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driving condition. In addition, the light-emit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measured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상기 조명부 선택 및 구동 조건 설정에 대한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lighting unit and setting operating conditions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제1 실시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500)는 상기 차량(300)의 우측 영역(명확하게, 조수석 도어에 인접한 영역)에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500)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500)가 소유한 통신기기(400)는 상기 차량(300)의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에 각각 구비된 근거리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 및 거리 정보는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위치 정보 및 거리 정보는 도달 시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적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 firs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 the user 500 may access the vehicle 300 from an area on the right side (specifically, an area adjacent to the passenger door). And, as the user 500 approaches,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wned by the user 500 illuminates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of the vehicle 300.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each 100a6).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n one embodiment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may be measured based on arrival time information, etc.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s products measur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이때, 상기 통신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에 구비된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통신기기(400)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각각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기기(400)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조명부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의 세기는 다른 조명부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수신한 수신신호의 세기보다 클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신호 세기는 상기 통신기기(400)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You can. In addition, the processor 250 can check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At this time,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lighting unit relatively clos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will be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another lighting unit. For example,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creases as the distanc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becomes shorter.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각각 수신한 수신신호의 세기 중, 상기 제4 조명부(100a4)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수신한 수신신호의 세기(RSSI1)가 다른 조명부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수신한 수신신호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above situation, among the strengths of the received signals respectively received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s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that of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RSSI1) receiv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another lighting unit.

이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와 가장 인접한 조명부를 상기 제4 조명부(100a4)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4 조명부(100a4)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통신에 의해 획득한 통신 정보뿐 아니라, 다른 조명부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통신에 의해 획득된 통신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통신기기(400)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250 can determine the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as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In addition, the processor 250 not only provides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but also obtains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another light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the exact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can be measured.

이때, 제1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통신기기(40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1개의 조명부만을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은 상황에서,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중 상기 통신기기(400)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 제4 조명부(100a4)만을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로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first embodiment, only one lighting unit disposed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an be selected as the lighting unit to emit light. For example,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8, the processor 250 selects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 located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4 Only the lighting unit 100a4 can be selected as the lighting unit to perform the light-emitting operation.

이후,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4 조명부(100a4)와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4 조명부(100a4)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 정보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정보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나 도달 시간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250 may check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Here,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utilize received signal strength or arrival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4 조명부(100a4)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동작을 할 상기 제4 조명부(100a4)의 밝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조명부와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the brightness of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to perform the light-emitting operation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may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통신기기(400)가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의 밝기를 증가시켜, 상기 먼 위치에서 접근하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차량으로 접근하도록 도울 수 있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400 is located in a relatively distant location,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to perform the light-emitting operation may be increased to help the user approaching from the distant location safely approach the vehicle. there is.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4 조명부(100a4)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인 경우, 상기 제4 조명부(100a4)가 제1 밝기(La4-1)로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s the first distance,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operates to emit light at the first brightness La4-1. You can control it to do so.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4 조명부(100a4)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운 제2 거리인 경우, 상기 제4 조명부(100a4)가 상기 제1 밝기(La4-1)보다 작은 제2 밝기(La4-2)로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nd, in the embodimen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s a second distance closer than the first distance,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has the first brightness (La4- 1), it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with a second brightness (La4-2) that is smaller than 1).

상기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 조명부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게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실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부가 구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와 차량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증감시킴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can be recognized, and only the lighting unit located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can be drive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in an embodiment,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may be adjust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ing unit to perform the light-emitting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the user's stability can be improved as the ligh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actual user's location is driven. Furthermore, in an embodiment, user satisfa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vehicle.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1개의 조명부가 아닌 복수의 조명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i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rather than one lighting unit, can be driven.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사용자(500)의 통신기기(40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통신기기(400)와 인접한 복수의 조명부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may be select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of the user 500.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500)가 차량(300)의 우측 영역에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4 조명부(100a4)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수신한 수신신호의 세기가 가장 클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4 조명부(100a4) 이외의 제2 조명부(100a2) 및 제6 조명부(100a6)의 근거리 통신부에서 각각 수신한 수신신호의 세기가 다음 순위로 클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500 approaches from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300,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of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will be the greatest. In additio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s of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and the sixth lighting unit 100a6 other than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may be the next highest.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400)와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조명부를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400)와 가장 인접한 제4 조명부(100a4)와, 상기 통신기기(400)와 다음 순위로 인집한 제2 조명부(100a2) 및 제6 조명부(100a6)를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로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at least two lighting units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be selected as lighting units to emit light.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which is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and the sixth lighting unit 100a6, which are nex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re used. You can select the lighting unit that will emit light.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선택된 제2 조명부(100a2), 제4 조명부(100a4) 및 제6 조명부(100a6)가 각각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발광 동작을 하는 각각의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각각의 조명부와 상기 통신기기(400)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And, in the embodiment, the selected second lighting unit 100a2,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sixth lighting unit 100a6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processor 250 can set driving conditions for each lighting unit that emits light.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set the driving conditions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each light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즉,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제4 조명부(100a4)가 제1 밝기(LA4-1)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250 can control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disposed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o emit light at the first brightness LA4-1.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4 조명부(100a4) 대비 상대적으로 상기 통신기기(400)와 멀리 배치된 제2 조명부(100a2)가 제2 밝기(La2-1)로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제6 조명부(100a6)가 상기 제3 밝기(La6-1)로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50 causes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which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o emit light at a second brightness La2-1 compared to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and the sixth lighting unit 100a4 causes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to emit light at a second brightness La2-1. The lighting unit 100a6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at the third brightness La6-1.

이때, 상기 제2 밝기(La2-1) 및 상기 제3 밝기(La6-1)는 상기 제1 밝기(La4-1)와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밝기(La2-1) 및 상기 제3 밝기(La6-1)는 상기 제1 밝기(La4-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4 조명부(100a4)가 가장 큰 밝기로 발광되도록 하고, 이와 인접한 제2 조명부(100a2) 및 제6 조명부(100a6)가 상대적으로 작은 밝기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상기 통신기기(400)를 소유한 사용자(5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접근 방향, 그리고 상기 통신기기(400)를 소유한 사용자(500)의 접근 방향에 대응하는 조명부가 상대적으로 큰 밝기로 발광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brightness (La2-1) and the third brightness (La6-1)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brightness (La4-1). Preferably, the second brightness (La2-1) and the third brightness (La6-1)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brightness (La4-1).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emits light with the greatest brightness,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and the sixth lighting unit 100a6 adjacent thereto emit relatively bright light. It can be made to emit light with low brightness. Accordingly, the embodiment may provid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500 who owns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user 500 owning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performs a light-emitting operation with relatively high brightness.

한편,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한 후, 상기 통신기기(400)가 상기 차량(300)에 근접한 경우, 추가적인 조명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afte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first,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pproaches the vehicle 300, an additional ligh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예를 들어, 상기 통신기기(400)가 차량(300)의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조명부(100a1), 제2 조명부(100a2), 제3 조명부(100a3), 제4 조명부(100a4), 제5 조명부(100a5) 및 제6 조명부(100a6)가 모두 발광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300)의 주변을 강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vehicle 300, the processor 250 operates on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the second lighting unit 100a2, the third lighting unit 100a3, By allowing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the fifth lighting unit 100a5, and the sixth lighting unit 100a6 to all emit light,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300 can be emphasized.

또한,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통신기기(400)가 상기 차량(300)의 내부로 이동한 경우, 상기 차량(300)의 실내 등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can control the interior lights of the vehicle 300 to emit light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oves inside the vehicle 300.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조명부의 제1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의 조명부의 제2 구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1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of the lighting unit of FIG. 11, and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ighting unit of FIG. 11.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second driving condition.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의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근거리 통신부의 통신 정보를 계속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기기(400)의 이동 여부 및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processor 250 in the embodiment continues to receive commun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Additionally, the processor 250 can use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s moving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이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있는 통신기기(400)에 대응하게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제1 위치에 있는 통신기기(400)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위치와 가장 인접한 조명부가 제1 밝기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S200).For examp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drawing, the processor 250 uses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to correspon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t the first position. ) operation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s detected at a first location, the processor 250 may cause the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first location to be driven at the first brightness (S200).

이후,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가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내지 제6 조명부(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100a6)의 통신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 세기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상기 수신 신호 세기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250 may periodically check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has moved (S210).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whether a change in received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o sixth lighting units 100a1, 100a2, 100a3, 100a4, 100a5, and 100a6 has occurred. Additionally, when a change i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ccurs,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that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has moved.

다음으로, 상기 통신기기(400)의 위치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20). 여기에서,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이동된 제2 위치 정보 및 상기 통신기기(400)의 이동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has moved, the processor 250 may obtai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S220). Here, the mov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moved second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nd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이동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S230).Then, when the movement information is acquired, the processor 250 can change the lighting unit to emit light and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acquired movement information (S230).

이후,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변경된 구동 조건에 대응하게 상기 발광 동작을 할 조명부가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40).Thereafter,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lighting unit to emit light in response to the changed driving conditions (S240).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제4 조명부(100a4)에 가장 인접한 제1 위치에 존재하고, 이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제1 위치에 가장 인접한 상기 제4 조명부(100a4)가 제1 밝기의 광을 발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exists in the first position closest to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whereby the processor 250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closest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4 The lighting unit 100a4 may generate light of first brightness.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4 조명부(100a4)에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 세기가 감소하면서, 상기 제6 조명부(100a6)에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 세기가 증가하는 것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2, the processor 250 may detect that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has moved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This can be detected as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decreases and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sixth lighting unit 100a6 increases.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4 조명부(100a4)의 발광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때, 상기 발광 동작의 중지는 즉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점진적으로 밝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or 250 stops the light-emitting operation of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t this time, the cessation of the light-emitting operation can be done immediately, or alternatively, the brightness can be gradually reduced.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제2 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6 조명부(100a6)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50 can control the sixth lighting unit 100a6 closest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o emit light.

이때,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이동 방향(MD)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s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M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즉,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이동 방향(MD)에 대응하게 복수의 조명부가 순차적인 발광 동작을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250 can cause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o sequentially emit light in response to the moving direction (M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예를 들어, 상기 통신기기(4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위치와 가장 인접한 조명부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상기 제2 위치와 가장 인접한 조명부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이동 방향(MD)에 대응하는 조명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processor 250 gradually reduces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first position, while The brightness of the closest lighting unit can be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user satisfa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by performing a light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M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또한, 프로세서(250)는 하나의 조명부 내에서 상기 통신기기(400)의 이동 방향(MD)을 고려한 발광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250 can enable a light-emitting ope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moving direction (M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within one lighting unit.

예를 들어, 하나의 조명부에는 복수의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명부에는 제1 내지 제5 광원(100a41, 100a42, 100a43, 100a44, 100a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기기(400)는 상기 제1 광원(100a41)에서 상기 제5 광원(100a45)을 향하는 제1 이동 방향(M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5 광원(100a41, 100a42, 100a43, 100a44, 100a45)을 포함하는 조명부는 상기 통신기기(400)의 이동 전의 제1 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4 조명부(100a4)를 나타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disposed in one lighting uni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one lighting unit may include first to fifth light sources 100a41, 100a42, 100a43, 100a44, and 100a45.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ay move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MD1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00a41 toward the fifth light source 100a45. At this time, the lighting unit including the first to fifth light sources (100a41, 100a42, 100a43, 100a44, 100a45) may represent the fourth lighting unit (100a4) closest to the first position befor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이동 방향(MD)에 대응하게, 상기 제1 내지 제5 광원(100a41, 100a42, 100a43, 100a44, 100a45)이 순차적으로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ocessor 250 can control the first to fifth light sources 100a41, 100a42, 100a43, 100a44, and 100a45 to sequentially emit ligh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direction MD.

예를 들어,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기기(400)가 제1 이동 방향(MD1)으로 이동한 경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이동 방향(MD1)에 대응하게, 제1 광원(100a41)->제2 광원(100a42)->제3 광원(100a43)-> 제4 광원(100a44)->제5 광원(100a45) 순으로 발광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나의 조명부의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13,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oves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MD1), the processor 250 corresponds to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MD1). In other words,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light source (100a41) -> second light source (100a42) -> third light source (100a43) -> fourth light source (100a44) -> fifth light source (100a45).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heck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of the one lighting unit.

예를 들어, 도 13의 (b)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기기(400)가 제2 이동 방향(MD2)으로 이동한 경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2 이동 방향(MD2)에 대응하게, 제5 광원(100a45)->제4 광원(100a44)->제3 광원(100a43)-> 제2 광원(100a42)->제1 광원(100a41) 순으로 발광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나의 조명부의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13,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moves in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MD2), the processor 250 moves in response to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MD2). ,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fifth light source (100a45) -> fourth light source (100a44) -> third light source (100a43) -> second light source (100a42) -> first light source (100a41).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heck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ser of the one lighting unit.

한편, 실시 예는 통신기기 등록을 통해 사용자 맞춤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embodiments may provide user-customized lighting through communication device registration.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 등록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14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a communication device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램프(100)는 특정 통신기기의 접근을 인식하고, 상기 통신기기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300). 이때, 상기 램프(100)의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기기와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기기가 가지는 고유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유 정보는 MAC 주소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4, the lamp 100 including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embodiment may recognize the approach of a specific communication device and attempt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S300). At this tim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ttempting the connec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unique information hel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attempting the connection. For example, the unique information may be MAC address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프로세서(250)는 상기 램프(100)를 통해 상기 통신기기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기기가 이전에 등록된 통신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최초 연결된 통신기기에 대해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기 통신기기의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연결을 시도한 통신기기가 기등록된 통신기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obtained through the lamp 100,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previously 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S310).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itially connected communication device in the memory and proceed with regist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dditionally,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device attempting the connection is a pre-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by determining whether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통신기기가 미등록된 통신기기이면, 상기 통신기기의 등록 진행을 위한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S320).Next, i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n un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or 250 displays a registration screen to proceed with regist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S320).

이후, 프로세서(250)는 상기 등록 화면에서 설정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S330), 상기 입력된 설정 정보와 함께 상기 통신기기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340).Thereafter, the processor 250 allows setting information to be input on the registration screen (S330)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n memory along with the input setting information (S340).

이때,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통신기기의 접근 시에 적용할 조명의 제어 조건과 같은 구동 정보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lighting control conditions to be applied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es.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통신기기의 접근 시에 동작할 램프 종류, 상기 통신기기의 인식 거리, 조명의 점등 주기, 점등 횟수 및 조명 밝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of lamp to be operated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es, the recognition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lighting cycle, the number of lighting times, and lighting brightn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등록된 통신기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저장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기기의 접근에 대응하게 상기 램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nd, when the approach of the 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is detected, the operation of the lamp 100 can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approach of th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이때, 실시 예의 차량용 조명 장치(200)에는 복수의 통신기기가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등록된 복수의 통신기기가 서로 다른 시점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250)는 현재 접근된 통신기기의 설정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램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registered in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of the embodiment. At this time, when the plurality of 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s approach at different times,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100 by reflecting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accessed communication device.

이와 다르게, 상기 등록된 복수의 통신기기가 동일 시점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복수의 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의 통신기기의 설정정보만을 반영하여, 해당 통신기기의 위치 정보, 거리 정보 및 이동 정보에 기초한 램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복수의 통신기기의 등록 과정에서, 각각의 통신기기의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Differently, when the plurality of 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s approach at the same time, the processor 250 reflects only the setting informa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Lamp control can be performed based on information and movement information. To this end, the processor 250 allows the priority of each communication device to be set during the registration process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제1 및 제2 통신기기가 상기 차량(300)의 주변으로 동시 접근한 경우, 상기 제1 및 2 통신기기 중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기기의 설정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램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통신기기의 설정 정보는 선택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simultaneously approach the vicinity of the vehicle 300, the processor 250 reflects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 higher priority among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operation of the lamp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setting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with relatively low priority may be selectively reflected.

일 예로,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통신 기기의 설정 정보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로세서(250)는 상기 램프와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통신기기 사이에서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As an example, setting information of the low-priority communication device may not be reflected. That is, the processor 250 may releas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o that communicat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 lamp and the low-priority communication device.

다른 일 예로,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통신기기의 설정 정보는 선택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50)는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통신기기의 위치, 거리 및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램프(100)의 구동을 우선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250)는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통신기기의 위치, 거리 및 이동 방향에 대해서는 이를 선택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램프(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통신기기에 대해서는, 해당 통신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에만 상기 램프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setting information of the low-priority communication device may be selectively reflected. That is, the processor 250 preferenti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mp 100 by considering the location, distanc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 relatively high priority. In addition, the processor 2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100 by selectively considering the location, distance, and movement direc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with relatively low priority. For example, for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relatively low priority,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lamp to be driven only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설정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15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using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50)는 램프(100)의 근거리 통신부에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기기(400)를 인식할 수 있다(S400).Referring to FIG. 15, the processor 250 may recognize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S400).

상기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기기가 인식되면, 상기 램프(100)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프로세서(250)에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attempting the connection is recognized, the lamp 1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 this to the processor 250.

이후, 프로세서(250)는 상기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S410). 이를 위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기기의 등록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기기가 등록된 통신기기이면, 상기 등록된 통신기기의 설정 정보를 메모리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기기가 미등록된 통신기기이면, 도 14의 단계 S320으로 진입하여 상기 미등록된 통신기기의 등록을 우선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rocessor 250 may extrac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S410). To this end, the processor 250 may preferentially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Additionally, if the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or 250 may extract setting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memory. Additionally, if the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un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or 250 may enter step S320 of FIG. 14 and first perform registration of the unregistered communication device.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설정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통신기기와 램프(100)의 근거리 통신부의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 거리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W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extracted, the processor 250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distanc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communication result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 S420).

이후,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추출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 거리 및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램프(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S430).Thereafter,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10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distanc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extracted setting information (S430).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16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prio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차량용 조명장치의 램프(100)는 근거리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300)의 주변에 접근한 제1 통신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S500).Referring to FIG. 16, the lamp 10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can recognize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vehicle 300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S500).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인식되고, 상기 제1 통신기기가 등록된 기기이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한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위치, 거리 및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램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And, i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recognize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 registered device, the processor 250 may perform lamp driving control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510).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by considering the location, distanc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다음으로, 상기 램프(100)의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신기기의 접근 및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연결 시도를 인식할 수 있다(S520).Nex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100 may recognize the approach of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nection attemp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S520).

이때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연결 시도가 인식되면,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기기가 기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통신기기가 미등록된 기기이면, 상기 제2 통신기기의 연결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processor 250 recognizes the connection attemp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a pre-registered de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dditionally, i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an unregistered device, connection attempts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may be restricted.

또한,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2 통신기기기 기등록된 기기이면, 상기 제1 통신기기와 제2 통신기기의 각각의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S530). 상기 우선순위는 각각의 통신기기의 등록 과정에서 설정된 설정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s a pre-registered device,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the respective priorities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S530). The priority may be included in setting information set during the registration process of each communication device.

이후,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판단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기기 및 제2 통신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기기에 대응하는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S530).Thereafter, the processor 250 performs lamp driving contro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the determined priority (S530).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우선순위가 제2 통신기기의 우선순위보다 높다면,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기기와의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priority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or 250 may perform lamp driving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re is.

이때,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2 통신기기와의 통신 정보는 선택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At this time,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a relatively low priority may be selectively reflected.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2 통신기기의 통신 정보는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50)는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2 통신기기에 대해서는 상기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2 통신기기와 상기 램프(100) 사이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ignore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a relatively low priority.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not perform the lamp driving control for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with a relatively low priority. At this time, the processor 250 may disconnec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amp 100.

이와 다르게, 상기 프로세서(250)는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2 통신기기의 통신 정보를 선택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위치, 거리 및 이동 방향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제2 통신기기의 통신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2 통신기기가 차량(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에만 상기 제2 통신기기와의 통신 정보를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250 may selectively reflect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with a relatively low priority. For exampl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location, distanc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or 250 may perform the lamp driving control by reflect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the processor 250 may perform the lamp driving control by selectively reflect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only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300. .

한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반영하여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키(height)일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lamp driving control may be performed by reflect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may be the user's height.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조사 각도 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17 is a flowchart for step-by-step explain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irradiation angle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7을 참조하면, 차량용 조명 장치(200)의 램프(100)는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차량(300)의 주변에 접근한 제1 통신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S600).Referring to FIG. 17, the lamp 10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ing the vicinity of the vehicle 3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S600).

이후,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인식되면, 상기 램프와 상기 제1 통신기기 사이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위치 및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위치 및 거리를 판단하면,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제1 통신기기와 인접한 조명부의 통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와 가장 인접한 조명부가 제1 조명부(100a1)이면, 상기 제1 조명부(100a1)를 구성하는 복수의 램프 유닛의 통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명부(100a1)를 구성하는 복수의 램프 유닛은 좌측 미등 유닛, 좌측 전조등 유닛, 좌측 방향지시등 유닛, 좌측 주행등 램프 유닛, 및 좌측 안개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적어도 2개의 램프 유닛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좌측 전조등 유닛과, 좌측 안개등 유닛에 각각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recognized,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amp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n, when the processor 250 determines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t can receive communication information on a lighting unit adjacent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mong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S610).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if the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lamp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can be obtained.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lamp units constituting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may include a left taillight unit, a left headlamp unit, a left turn signal light unit, a left running light lamp unit, and a left fog light unit. In addition, at least two lamp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may each be provided wit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left headlight unit and the left fog lamp unit.

다음으로, 프로세서(250)는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통신기기 사이의 통신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위치 및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S620). 예를 들어, 상기 좌측 전조등 유닛과 상기 좌측 안개등 유닛은 상기 차량(300)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 또는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기기(400)가 상기 제1 조명부(100a1)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기기(400)의 높이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100a1)를 구성하는 복수의 램프 유닛에서 수신한 통신 정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좌측 전조등 유닛에서 획득한 통신 정보의 수신신호 세기보다 상기 좌측 안개등 유닛에서 획득한 통신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클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상기 좌측 안개등 유닛에서 획득한 통신 정보보다 상기 좌측 전조등 유닛에서 획득한 통신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50)는 상기 하나의 조명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닛의 각각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를 추측할 수 있다.Next, the processor 250 may obtain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units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use this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S620). For example, the left headlight unit and the left fog light unit are installed or mount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vehicle 300.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4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400. There may b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multiple lamp units.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relatively low,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eft fog light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eft headlamp unit. Conversely,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relatively hig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eft headlamp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eft fog light unit. Accordingly, the processor 250 can estimate the placement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using each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units constituting the one lighting unit.

이후,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기기(400)의 위치 및 거리에 대응하게 복수의 조명부 중 발광 동작을 수행할 조명부를 선택할 수 있다(S630).Thereafter, the processor 250 may select a lighting unit to perform a light-emitting operation among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400 (S630).

또한,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기기(400)의 높이에 대응하게, 상기 선택된 조명부의 조사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상기 결정된 조명부는 상기 제1 조명부(100a1)에서의 좌측 전조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250)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대응하게, 상기 좌측 전조등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다면 상기 조명부의 조사각도를 높이고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다면, 상기 조명부의 조사 각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높다 또는 낮다는 상기 차량(300)의 본넷(미도시) 높이보다 높다 또는 낮다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250 may determine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selected ligh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400 (S640). For example, the determined lighting unit may be the left headlamp of the first lighting unit 100a1. At this time, the processor 250 may adjust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eft headlamp to correspond to the placement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if the placement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relatively high,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ing unit can be increased, and if the placement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relatively low,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ing unit can be lowered. Here, the relatively high or low may mean higher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nnet (not shown) of the vehicle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 예의 차량용 조명 장치는 램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는 통신기기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 및 거리에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실시 예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 내에 상기 통신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조명부의 하우징 내에 상기 광원과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조명부의 실제 장착 위치에서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 및 거리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에 최적화된 램프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만족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utomotive lighting devic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lamp and a processor. The lamp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embodiment control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light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a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es.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in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For example,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disposed within a housing that forms an exterior appearance.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light source within the housing of the lighting uni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lamp driving control optimized for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performed by measuring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actual mounting location of the lighting uni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user satisfaction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위치가 감지되면,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통신기기와 가장 인접한 조명부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통신기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부의 구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when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cted, the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riven,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users approaching the vehicle.

더욱이, 실시 예는 상기 발광 동작을 하는 조명부와 상기 통신기기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최적화된 웰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embodiment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ing unit performing the light-emitting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an optimized welcome function can be provided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of the vehicle.

한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 조명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만족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when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cte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re driven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one particular illumination includes multiple light sources. 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when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cte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sequentially emitted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user satisfaction and user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실시 예에서의 특정 조명부는 복수의 램프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적어도 2개의 램프 유닛 각각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는 상기 2개의 램프 유닛을 통해 획득한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는 상기 판단한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실제 구동 동작을 할 램프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개의 램프 유닛은 차량의 좌측 전조등 및 좌측 안개등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좌측 안개등이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상기 좌측 전조등이 발광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사용자에 최적화된 웰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pecific lighting unit in th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amp units. In addition, each of at least two lamp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may be provided wit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wo lamp units.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select a lamp unit to perform an actual driving operation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based on the determined placement height. For example, the two lamp units may be the left headlight and left fog light of the vehicle. And, in an embodiment, whe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relatively low, the left fog light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and whe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relatively high, the left headlamp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You can. Accordingly, the embodiment can provide a welcome function optimized for users, thereby maximizing user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판단되면, 상기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의 경우, 조사 각도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가 판단되면,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대응하는 조사 각도를 가지고 상기 조명부가 발광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nce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mined,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ing unit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placement height. For example, in the case of headlights, the irradiation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And, in an embodiment, whe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mined, the lighting unit can be made to emit light at an irradi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ly, the embodiment can further maximize user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또한, 실시 예는 복수의 통신기기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기기에 개별적으로 맞춤화된 웰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는 복수의 통신기기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기기의 웰컴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allows registration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provides an individually customized welcome function to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Furthermore, the embodiment sets priorities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selectively provides welcome functions to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the set priorities. Accordingly, the embodiment can further maximize user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example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abov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You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appl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제1 통신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기기와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각각의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복수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위치 및 상기 제1 통신기기와 상기 복수의 조명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A lamp mounted on a vehicle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ing the vehicle; and
A processor that receives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mp and controls operation of the lamp based on the received communication information,
The lamp i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he processor,
Recei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each communication unit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us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hanges driving cond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oves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기판상에 상기 광원과 이격되고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substrate,
At least one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n antenna pattern on the substrat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는 상기 통신부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구비한 조명부를 통해 획득한 통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를 구비하지 않는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least one light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does not include the communication unit,
The processo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 without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communi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lighting unit with the communic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제1 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1 조명부가 제1 밝기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cessor,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ontrols,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 first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fir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o be driven at a first brightnes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명부와 상기 제1 통신기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명부의 상기 제1 밝기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밝기는 상기 제1 통신기기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증감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processor,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ghting uni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 the first brightness of the first lighting unit,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first brightness increases or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제1 조명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부가 상기 제1 밝기보다 작은 제2 밝기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processor,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at least one second lighting unit adjacent to the first light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is controlled to be driven at a second brightness that is less than the first brightnes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명부의 발광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발광 방식은, 점멸 방식, 복수의 광원의 순차적 발광 방식 및 계속적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processor,
Determining a light emission method of the first lighting unit,
The light emission method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inking method, a sequential light emission method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continuous light emission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접근이 인식되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기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가 기등록된 기기이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기기가 미등록된 기기이면,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등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등록 정보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기기에 대응하는 조명부의 구동 조건 정보, 및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우선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In clause 7,
The processor,
When the appro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recognized,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has already been registered,
I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 pre-registered device,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based on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n unregistered device, output a control signal for regist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priority inform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접근한 상태에서, 기등록된 제2 통신기기가 접근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통신기기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기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processor,
When a pre-registered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pproaches 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s approaching, based on the prior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relatively higher priority is selected.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2 위치와 가장 인접한 제2 조명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구동 중지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processor,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oves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light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econd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second location to be driven,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first lighting unit stops operating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의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e processor controls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of the first lighting unit to be driven sequentially in respons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복수의 램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통신기기 사이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를 획득하고,
상기 배치 높이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의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rst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amp units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he processor is
Obtaining the placement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units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ontrols at least one lamp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of the first lighting unit to be driven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heigh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processor,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adjusts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at least one lamp unit based o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부에서 통신기기의 접근이 인식되는 단계;
상기 통신기기와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의 제1 위치 및 상기 통신기기와 상기 복수의 조명부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조명부 중 상기 제1 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구동 조건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통신기기의 제2 위치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고, 상기 제2 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2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조건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
Recognizing the approach of a communication device from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Obtaining a first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determining driving conditions of a first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fir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Driving the first lighting unit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driving conditions;
detecting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a second location;
chang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first lighting unit in respons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second lighting unit closest to the second loc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driving the first ligh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ing unit in response to the driving conditio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통신기기의 이동방향에 대응하게 상기 제1 조명부의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The first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Chang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first lighting unit,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llow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of the first lighting unit to be sequentially driven in correspondenc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명부의 복수의 램프 유닛과 상기 통신기기 사이의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램프 유닛 중 구동될 램프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first lighting unit is,
Obtaining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amp units of the first light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a lamp unit to be driven among the plurality of lamp units based o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기기의 배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램프 유닛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first lighting unit is,
A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determining an irradiation angle of the selected lamp unit based on the placement heigh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KR1020220042624A 2022-04-06 2022-04-06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Pending KR202301436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24A KR20230143692A (en) 2022-04-06 2022-04-06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24A KR20230143692A (en) 2022-04-06 2022-04-06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692A true KR20230143692A (en) 2023-10-13

Family

ID=8828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624A Pending KR20230143692A (en) 2022-04-06 2022-04-06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6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587B2 (en) Fiber optic lighting device with plural light inputs
US20110068910A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lighting method
EP3270042A1 (en)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403825A1 (en) Lighting apparatus and vehicle lamp comprising same
CN107031495A (en) Vehicle lamp and the vehicle including the vehicle lamp
EP3380361B1 (en) Lighting systems for windows having plastic glazing
US11696383B2 (en) Continuous safety light
CN107300146A (en) Lighting device and the method for setting lighting device
EP3425266A1 (en) Covered fiber bundle for lighting modules
US10240745B2 (en) Fiber optic light panel device with plural outputs
US20160033103A1 (en) Lighting apparatus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US10182482B2 (en) Lamp kit for installation in a motor vehicle, and a motor vehicle
KR20230143692A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N210624423U (en) Matrix type intelligent vehicle lighting system
KR101361092B1 (en) Automotive lamp
US10989387B2 (en) Automotive light device with homogeneous emitting surface
CN100572897C (en) LED car light capable of adjusting lighting color and point light source thereof
TWI479680B (en) Vehicle light emitting diode lamps and their luminous methods
KR1024209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ng of traffic signal information
WO2021134845A1 (en) Illumination detection module
CN211457468U (en) Vehicle lamp control system
CN105333371A (en) LED light emitting device
CN218986473U (en) Novel intelligent ceiling lamp system
US20130215630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ular lamp
CN221611193U (en) Self-adaptive multi-light type lamp based on laser rang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