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43580A -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580A
KR20230143580A KR1020230044332A KR20230044332A KR20230143580A KR 20230143580 A KR20230143580 A KR 20230143580A KR 1020230044332 A KR1020230044332 A KR 1020230044332A KR 20230044332 A KR20230044332 A KR 20230044332A KR 20230143580 A KR20230143580 A KR 2023014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osteoporosis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준
선은미
이홍구
조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3014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58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4Apocynaceae (Dogbane family), e.g. plumeria or periwi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8Cannabaceae
    • A61K36/3486Hu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1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64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증상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은 양의 호프를 사용하면서 우수한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lieving cardiovascular diseases or osteoporosis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hop and Cynanchum wilfordii}
본 발명은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식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상기 추출물의 용도, 상기 혼합 추출물의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 조직은 교원질, 당단백질과 같은 세포 기질과 조골세포, 파골세포 및 골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골수 내 간질세포(bone marrow stromal cell)로부터 유래한 조골세포는 골 형성에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골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서 골다공증은 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노년층,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있어서는 피할 수 없는 증상으로, 선진국에서는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골다공증 및 그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세계적인 각 연구 기관과 제약회사에서는 골질환 치료제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지금까지 여러 물질이 골다공증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그 중 골다공증 치료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스트로겐은 그 실제적인 효능이 아직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며 생애 동안 계속 복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장기간 투여하는 경우 유방암이나 자궁암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있다. 알렌드로네이트(alrendronate)도 그 효능이 명확하지 않고 소화관에서의 흡수가 더디며 위장과 식도점막에 염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칼슘제제는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치료제라기보다는 예방제에 해당한다. 그 외에 칼시토닌과 같은 비타민 D 제제가 알려져 있으나 아직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다.
심혈관계 질환(心血管系疾患, cardiovascular disease)은 심장, 혈관 등 순환계통 질환의 통칭이다.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 부정맥, 뇌졸중 등을 포함한다. 과거 여성 호르몬의 감소가 동맥경화증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과거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목적으로 여성호르몬 복용을 권장하기도 했는데,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폐경기에 여성호르몬 복용이 심장병의 발생을 줄이지 못했고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서도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오히려 심장병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호르몬 요법에 이용되는 소재들이 심혈관계 질환 치료, 개선에 반드시 효과적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호프는 강력한 식물성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 8-prenylnaringenin(프레닐나린제닌)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프는 홍조증상, 골다공증 등 여러 갱년기 증상들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소화불량, 변비, 복부팽만 등 소화기관에 도움이 되고 정신적으로는 숙면, 불면증 치유, 스트레스 완화, 불안감 상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갱년기장애의 호르몬 대체요법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쓴 맛과 함께, 과량 섭취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사용에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게 체내로 투여할 수 있는 소재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조성물, 바람직하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혼합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호프 추출물 및 백수오 추출물을 1: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호프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5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8 중량%, 0.05 내지 25중량%, 0.1 내지 23중량%, 0.5 내지 22중량%, 1 내지 20 중량%, 5 내지 18중량%, 8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조성물은 백수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5 내지 50 중량%, 0.01 내지 45 중량%, 0.05 내지 40중량%, 0.5 내지 38중량%, 1 내지 35중량%, 5 내지 33 중량%, 10 내지 32중량%, 15 내지 31 중량%, 20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및 부정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8-프레닐나린제닌 및 카우다틴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5 mg/g의 8-프레닐나린제닌을 포함하고, 0.05 내지 1.5 mg/g의 카우다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능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호프 추출물 및 백수오 추출물을 1: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8 내지 15 중량%의 호프 추출물을 포함하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의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또는 골다공증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및 부정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능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8-프레닐나린제닌 및 카우다틴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5 mg/g의 8-프레닐나린제닌을 포함하고, 0.05 내지 1.5 mg/g의 카우다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의 치료제로 그 활용도가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상기 혼합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호프 추출물 및 백수오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유효량 투여하는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치료, 예방,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뼈 생성 촉진 및/또는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사용, 상기 조성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호프와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은 호프 단독 시, 증상 개선을 위해 많은 양의 호프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자궁 비대 증상 등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적은 양의 호프를 사용해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다른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갈화(바람직하게 분갈화), 백수오 등의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상기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은 호프 및 백수오를 함께 적용했 때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더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게 나타날 수 있다.
호프(Hops, Humulus lupulus)는 유럽, 호주 및 북미 등지에서 자생하는 덩굴줄기 식물로서, 호프 추출물에 존재하는 여러 화합물들은 항암, 항산화, 미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호프의 순, 꽃, 꽃봉오리 또는 열매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호프의 꽃 또는 꽃봉오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호프 추출물은 8-프레닐나린제닌 (8-prenylnaringenin)을 비롯한 이소잔토휴몰 (isoxanthohumol) 등의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상기 호프는 동물 안전성 시험에서 과량 섭취 시 쥐의 자궁 무게가 증가해, 복용량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고, 관능 상 특유의 이취가 강하고 쓴맛이 매우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백수오는 백하수오라고도 불리며, 큰조롱(Cynanchum wilfordii) 의 덩이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 백수오의 뿌리를 약재로 사용해왔으며, 자양강장, 보혈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쓰고 달고 떫은 맛이 난다. 본 발명에서의 백수오 추출물은 백수오의 뿌리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혈관 이완을 위한 NO 생성 증가,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 또는 골조직 성분 생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개선,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원에서 사용된 심혈관계 질환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부정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골다공증이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전적 요인, 조기 폐경, 약제 또는 흡연 등이 원인이 된다. 특히 골다공증 중에서 여성의 폐경 등에 의하여 호르몬 생산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갱년기 골다공증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갱년기 골다공증이란 폐경기 여성에게서 호르몬 생산의 감소로 인해 뼈 형성에 관여하는 조골세포와 조직의 파괴와 흡수에 관여하는 파골세포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골다공 증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및/또는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및/또는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 또는 질병을 호전시키거나 사라지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및/또는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투여 전 보다 증세가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유효량'은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거나, 이미 나타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는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원의 '혼합 추출물'은 2 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2종, 3종, 또는 4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2 종 이상의 식물추출물을 추출물 상태로 혼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식물을 혼합한 후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건조 분말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원의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면 다양한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은 0.01 내지 65 중량%, 0.1 내지 60 중량%, 1 내지 55 중량%, 10 내지 52 중량%, 15 내지 51 중량%, 20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호프 추출물 및 백수오 추출물을 1: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1: 0.15 내지 8 중량비, 더 바람직하게 1: 0.5 내지 5 중량비로, 더욱 더 바람직하게 1: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혼합했을 때 본 발명의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섭취 시 나타날 수 있는 호프의 쓴 맛을 감소시키고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1g에 대하여 1mg 내지 1000 mg으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mg 내지 500mg 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본 발명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한국,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관련 법규, 규범 (예를 들어, 식품공전(한국), 식품첨가물공전(한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 위생 규범(중국)) 등에서 규정한 최대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또는 식품 조성물은 각국의 관련 법규, 규범에서 허용되는 함량 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식물체 등을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 증류추출, 용매추출, 압착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전기분해추출, 또는 초임계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방법을 2 이상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원의 혼합 추출물을 분획한 분획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의 희석이나 농축, 상기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물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물 자체와 추출물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은 사용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탄올은 35% ~ 95%에탄올을 이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 60~90% 에탄올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원물을 착즙 또는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이후 추가적인 과정, 예컨대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한 것, 또는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한 것일 수도 있다. 여과는 예를 들어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분무건조 하거나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하여 분말 상태의 혼합 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에 있어서, 호프 추출물은 호프를 초임계 추출 후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여 분말화하여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aturex(프랑스)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백수오 추출물은 백수오를 열수 추출 후 분말화하여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프 추출물 내 8-프레닐나린제닌(8-prenylnaringenin)이 추출물 1 g 당 0.1 내지 8mg, 바람직하게 0.5 내지 5mg, 더 바람직하게 1 내지 4mg 포함될 수 있다면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백수오 추출물 내 카우다틴(Caudatin)이 추출물 1g 당 0.1 내지 3 mg, 바람직하게 0.15 내지 1mg, 더 바람직하게 0.2 내지 0.5 mg 포함될 수 있다면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 추출할 때 혼합 추출물이 우수한 골다공증 또는 심혈관계 질환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호프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8-프레닐나린제닌(8-prenylnaringenin) 을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 g 당 0.1 내지 5 mg, 바람직하게 0.5 내지 3 mg, 더 바람직하게 0.6 내지 1.50 mg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백수오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카우다틴(Caudatin)을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 g 당 0.05 내지 1.5 mg, 바람직하게 0.1 내지 1 mg, 더 바람직하게 0.15 내지 0.5 mg, 더욱 더 바람직하게 0.16 내지 0.3 mg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가질 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개선 정도를 확인한 결과, 본원의 혼합 추출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콜레스테롤 합성 효소가 억제되고, 골조직 성분 생성능력이 탁월함을 확인 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뛰어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능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획용매는 물,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구체적으로 조추출액에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일 수 있다. 상기 분획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조추출액에 헥산, 플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순서로 가한 후에, 층 분리한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순차적으로 수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 또는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순도의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추출액을 같은 방법으로 1회 이상씩 더 추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의약품, 식품 또는 의약외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혼합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스 용액, 멜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루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증상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어, 경피, 비강, 복강, 근육, 피하 또는 정맥 등의 여러 가지 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증상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ee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천연 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또는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추가로 업계에서 식품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약효 성분 및/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티아민(비타민B1), 리보플라빈, 아스코르브산, 니아신, 및 비타민B6를 포함할 수 있고, 지방산으로서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약산 성분으로서는 글리콜산 및 초산을 포함할 수 있고, 아미노산으로서 트레오닌, 발린, 메티오닌, 이소루신, 루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리신의 필수아미노산 8종을 비롯하여, 아스파르트산,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시스테인, 티로신, 히스티딘, 알지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혼합 추출물을 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해조분말,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가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양태의 하나로,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골다공증 및/또는 심혈관계 질환이 발병되거나 또는 발병될 가능성이 있는 개체에 유효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또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골다공증 및/또는 심혈관계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분을 기준으로 1일 0.0001 내지 100 mg/체중 kg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0 mg/체중 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상기 권장 투여량을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양태의 하나로,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추출물을 심혈관계 질환, 및/또는 골다공증 증상 개선, 치료, 예방 또는 완화를 위한 식품, 치료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내의 %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혼합 추출물의 제조>
1. 호프 추출물의 제조
호프는 Humulus lupulus L의 꽃을 이용해 초임계 및 에탄올 추출하였다. 이후 농축 및 알칼리화, 중화, 분리, 건조 과정을 거친 후 분쇄하였다.
8-프레닐나린제닌이 2-3 mg/g 포함된 호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백수오 추출물의 제조
백수오는 Cynanchum wilfordii의 덩이뿌리를 이용해 열수추출 후, 여과, 농축을 거친 후 건조과정을 거쳐 분말화하였다.
카우다틴이 0.26-0.39 mg/g 포함된 백수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너지 효과 확인>
호프 추출물 또는 백수오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에 비해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콜레스테롤 합성 효소 억제능, NO 생성 촉진능, 조골세포 분화 촉진능, 및 골조직 성분 생성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는 효과(synergistic effect)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추출물간의 상호작용은 대한민국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기능성 원료 표준화 지침서의 복합물의 상승효과 검증방법 중 하나인, 콜비식((COLBY S. R., Calculating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15, 20-22, 1967)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혼합 추출물 처리에 의해 나타난 실제의 측정값(observed value)이 기대값(expected value, 수식 1에 의해 확인된 값) 보다 클 경우는 상승작용이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 수식 1은 하기의 식과 같이 나타내었다.
[수학식 1]
E= (X + Y) - XY/100
X는 활성 화합물 A (또는 추출물 A) 적용시의 비처리 대조군 대비 효율을,
Y는 활성 화합물 A (또는 추출물 B) 적용시의 비처리 대조군 대비 효율이며
E는 활성 화합물 A 및 B (추출물 A 및 추출물 B)를 적용하였을 경우 비처리 대조군 대비 효율(%)을 의미한다. 상기 E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승효과를 인정할 수 있다.
하기 실험예들의 측정값은 기대값을 초과하여 혼합 추출물은 단독 추출물보다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1.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능 평가>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조골세포-유사 Saos-2 세포(human osteoblast-like Saos-2 cell)에서 조골세포 분화 마커인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균일한 수의 Saos-2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RPMI1640 배지를 사용하여 24 well plate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2% charcoal stripped FBS 함유 phenol red free RPMI1640 배지로 바꿔주고 각 농도 별 시료를 처리하고 3일간 더 배양하였다. 이어서 Alkaline Phosphatase Assay Kit(Abcam, ab83369)으로 ALP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 배양액을 200 ㎕ 채취한 후 1000 rpm 으로 3분 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의 배지 20 ㎕ 와 pNPP 기질(substrate) 50 ㎕ 를 96 well plate에 넣어 30분간 반응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혼합 추출물을 사용했을 때, 호프 단독 사용에 비해 조골세포로의 분화 정도가 더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골성분 ( osteocalcin ) 생성 촉진 효능 평가>
골생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균일한 수의 Saos-2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RPMI1640 배지를 사용하여 24 well plate 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β-glycerophosphate 10mM, Dexamethasone 10nM, 2% charcoal stripped FBS이 함유된 phenol red free RPMI1640 배지로 바꿔주고 각 농도 별 시료를 처리한 후 3일 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방법으로 배지를 바꿔주고 시료를 처리한 후 4일 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총 7일을 배양한 후, 세포 배양액을 200 ㎕ 채취한 후 1000 rpm 으로 3분 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의 배지로, Human Osteocalcin DuoSet ELISA(R&D Systems, DY1419)를 이용해 정해진 프로토콜대로 Osteocalcin을 정량하였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혼합 추출물을 사용했을 때, 호프 단독 사용에 비해 골성분 생성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콜레스테롤 합성 효소 HMG - CoA reductase 활성 억제 평가>
콜레스테롤 합성의 rate-limiting enzyme인 HMG-CoA reductase 활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Abcam사의 HMG-CoA reductase activity assay(Abcam, AB204701)를 이용하였다. Assay kit에서 정해진 프로토콜대로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혼합 추출물을 사용했을 때, 호프 단독 사용에 비해 콜레스테롤 합성 효소의 활성이 더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혼합 추출물의 경우 혈중 지질 개선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혈관 이완물질인 Nitric Oxide(NO) 생성 촉진 평가>
산화질소(NO)는 일종의 신호전달 물질로서 면역 작용, 혈관 확장 및 신호 전달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에 관여한다. 특히, 신체의 다양한 활동을 유발하고 자극하는데 cGMP(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의 생성을 유발해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정상 수준 범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낮추고, 장기로 공급되는 혈류의 흐름을 개선해준다. 또한, 심혈관계에서 혈전이 혈관에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뇌졸중 예방을 예방하거나 특히 심근경색 등의 심장 발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각 시료의 NO 생성 촉진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제대 정맥 내피세포(HUVEC)를 적량의 FBS(Fetal Bovine Serum), p/s 항생제(penicillin, streptomycin)가 함유된 EGM-2 배지(Lonza, CC-3162)로 24 well plate(Falcon, 353047)에 well 당 1×105 개로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세포가 well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24 시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각 농도 별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Griess reagent(Sigma, G4410)를 이용하여 배지 속 NO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지 100 ㎕ 와 Griess reagent 100 ㎕ 섞은 후 UV 분광광도기(Biotek, Synergy H1MF)를 사용해 540nm 파장으로 측정한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혼합 추출물을 사용했을 때, 호프 단독 사용에 비해 NO 생성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혼합 추출물의 경우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의 흐름을 개선해주고, 심혈관계에서 혈전을 막아 뇌졸중 예방, 특히 심근경색 등의 심장 발작을 예방하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4의 결과는 하기 표로 나타냈다. 하기 결과는 비처리 대조군 대비 향상된 비율을 %로 나타냈다.
시료 처리 농도 심혈관 관련 마커 골다공증 관련 마커
콜레스테롤 합성 효소 억제능(%) 혈관 이완 NO 생성 촉진능(%) 조골세포 분화
촉진능(%)
골조직 성분
생성능(%)
호프 5ppm 17.80 16.35 12.52 11.99
10ppm 18.11 19.11 13.64 13.10
백수오 5ppm 12.26 12.01 17.71 16.29
10ppm 14.23 14.87 18.18 19.47
호프+백수오 (호프:백수오를 1:2의 중량비로 혼합) 5ppm 42.04 43.49 38.96 40.03
10ppm 44.27 45.48 43.39 42.73
(n=3)
<in-vivo 실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추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in- vivo 실험 방법
7주령 ICR 마우스를 (주)대한바이오링크(충북 음성)에서 구입하여 1주간 순화시키고 순화된 마우스에 대해 난소절제술을 시행한 후 일주일부터 난소 절제 동물에 해당 섭취량을 군 별로 7주 동안 경구 투여했다. 섭취 전, 7주 후 개체 별로 혈액을 채취한 후 혈중 총 콜레스테롤양을 DRI-CHEM NX-500i (FUJIFIL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 vivo 실험 방법
7주령 ICR 마우스를 (주)대한바이오링크(충북 음성)에서 구입하여 1주간 순화시키고 순화된 마우스에 대해 난소절제술을 시행한 후 일주일부터 난소 절제 동물에 해당 섭취량을 군 별로 7주 동안 경구 투여했다. 섭취 전후 개체 별로 혈청을 수집한 후 혈청 내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CP)의 양을 TRACP ELISA Kit (MyBioSource)를 이용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실험법 대로 실험을 수행했다.
In vivo 일일섭취량
(mg/kg)
심혈관계 질환 골다공증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능(%)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
호프 60 23.4 11.0
백수오 120 21.2 9.8
호프+백수오 20+40 50.0 21.5
호프+백수오
(콜비식 E값)
60+120 39.6 19.7
백수오와 호프의 혼합 추출물은 더 적은 양을 섭취하였음에도 더 높은 개선율을 보였다. 특히, 호프의 양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심혈관계 질환 및 골다공증 개선에 현저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따라 부작용없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관능 평가>
관능 검사 방법은 관능 훈련이 된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각 실시예는 하기 표 3에 있는 배합비율을 기준으로 분말 제조하여 1회 섭취 시 500 mg을 섭취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평가 항목은 총 4가지로 1)섭취 직후 느껴지는 쓴맛, 2)섭취 후 5분이 지난 뒤 느껴지는 쓴맛 후미 정도, 3)섭취 시 느껴진 향에 대한 선호도, 4)전반적 선호도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은 9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쓴맛 및 쓴맛 후미 정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쓴맛이 강하고, 향 및 전반적 선호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선호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원료 배합비율(%)
비교예 실시예
호프 36 12
백수오 - 24
식품첨가제 결정셀룰로오스 18
유당 20
해조분말 20
HPMC 1
가교 CMC-Na 3
이산화규소 1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실시예는 호프 추출물의 분말과 백수오 추출물의 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식품첨가제들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군 관능 점수
쓴맛 정도 쓴맛 후미 정도 향 선호도 전반적 선호도
호프(비교예) 7.9 7.1 3.8 2.1
호프+백수오(실시예) 5.2 4.8 5.5 5.4
호프 단독 사용 시에 쓴 맛이 강하고 선호도가 낮았다.
호프와 백수오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호프 단독 사용 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하면서 맛과 향 기호도가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호프 추출물 및 백수오 추출물을 1: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8 내지 15 중량%의 호프 추출물을 포함하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의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및 부정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능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8-프레닐나린제닌 및 카우다틴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5 mg/g의 8-프레닐나린제닌을 포함하고, 0.05 내지 1.5 mg/g의 카우다틴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호프 추출물 및 백수오 추출물을 1: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8 내지 15 중량%의 호프 추출물을 포함하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의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계 질환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및 부정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능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8-프레닐나린제닌 및 카우다틴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5 mg/g의 8-프레닐나린제닌을 포함하고, 0.05 내지 1.5 mg/g의 카우다틴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0230044332A 2022-04-04 2023-04-04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Pending KR20230143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720 2022-04-04
KR20220041720 2022-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580A true KR20230143580A (ko) 2023-10-12

Family

ID=882916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331A Pending KR20230143125A (ko) 2022-04-04 2023-04-04 호프 및 진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20230044332A Pending KR20230143580A (ko) 2022-04-04 2023-04-04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331A Pending KR20230143125A (ko) 2022-04-04 2023-04-04 호프 및 진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230372426A1 (ko)
JP (2) JP2023153109A (ko)
KR (2) KR202301431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6207B1 (en) * 2016-05-13 2024-05-22 Suntory Holdings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a hop processe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53108A (ja) 2023-10-17
KR20230143125A (ko) 2023-10-11
JP2023153109A (ja) 2023-10-17
US20230372426A1 (en) 2023-11-23
US20230372422A1 (en)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7757C2 (ru) НОВЫЕ ЭКСТРАКТЫ ИЗ CYNARA SCOLYMUS, COFFEA spp. И OLEA EUROPAEA ДЛЯ ЛЕЧЕНИЯ МЕТАБОЛИЧЕСКОГО СИНДРОМА
KR102081984B1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33633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JP4432069B2 (ja) 肥満抑制剤
EP2303297B1 (en) Water-soluble extracts of artemisia dracunculus (tarragon) for improvement of glucose metabolism
JP2003081824A (ja) 高血圧症予防・改善・治療剤
KR20230143580A (ko)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170054115A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98261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70054116A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65346B1 (ko) 구절초 및 꾸지뽕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891881B1 (ko)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JP2001316276A (ja) 植物由来抽出物を配合してなる咳止め用組成物
KR20210150867A (ko) 팥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2520B1 (ko)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JP2000060485A (ja) 抗酸化物質の製造法
KR20170014332A (ko)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1525222A (ja) 骨粗しょう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2010235532A (ja)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
JP5969308B2 (ja) 血管内皮細胞の一酸化窒素分泌促進剤又は分泌誘導剤
JP7604841B2 (ja) アドレノメデュリン遺伝子発現増強用組成物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TW202200176A (zh) 口服組成物及刺激味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6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