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41328A -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328A
KR20230141328A KR1020220040756A KR20220040756A KR20230141328A KR 20230141328 A KR20230141328 A KR 20230141328A KR 1020220040756 A KR1020220040756 A KR 1020220040756A KR 20220040756 A KR20220040756 A KR 20220040756A KR 20230141328 A KR20230141328 A KR 2023014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forcement
information
crackdown
data
adv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은성
류제필
홍명진
Original Assignee
동은성
류제필
홍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은성, 류제필, 홍명진 filed Critical 동은성
Priority to KR102022004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328A/ko
Publication of KR2023014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32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태료가 발생되기 전에 사전 알림 서비스 및 인근 주차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이동을 유도하여 해당지역의 교통질서를 확립함과 동시에 민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Illegal parking enforcement advance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법주정차 1차 단속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고 인근 주차장 요금 및 유휴면 정보를 제공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이동을 유도하여 해당지역의 교통질서를 확립함과 동시에 민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법 주정차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상에서 차량의 정상적인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고,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어, 교통량이 많은 도로 등에 주정차 단속구간을 설정하고, 이 구역 내에서 불법 주정차한 차량에 대하여 고정식 CCTV 또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식 차량을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2회 단속하고 2회 연속 동일장소에서 위반한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고정식 CCTV 및 이동식 카메라에 의한 단속의 경우 인력단속의 경우와 달리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인력단속의 경우 불법 주정차 단속시 주차위반 과태료 표지를 차량에 부착하여 단속 유무를 현장에서 즉시 인지할 수 있으나, 무인단속 CCTV의 경우 단속스티커를 차량에 부착하지 않고 카메라로 일정시간의(자치단체마다 상이함) 시차를 두고 2회 촬영하는 방식으로 단속하고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의 단속유무를 확인할 수 없어 계속하여 불법 주정차하여 타 차량 소통에 장애를 주고 있다.
또한, 무인단속CCTV의 경우 불법 주정차 위반차량에 대한 "과태료 부과 사전통지서"의 송달에 소요되는 기간이 평균 5일정도 소요되는 관계로 동일장소에서 계속하여 불법주정차하여 여러 건 단속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단속사실을 미리 알려주지 않았다는 등의 민원인의 불만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불법주정차 감시지역 내에서 최초 주정차 위반에 단속된 경우 차량정보를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알림 시스템"을 전달하고 해당차량에 대한 서비스 신청 정보가 있는 경우 서비스 신청자에게 불법 주정차 단속 사전경고를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차량의 이동을 유도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불법주정차단속 사전경고에 의해 어느 정도 교통질서를 확립시킬 수 있겠으나, 불법주정차단속 사전 경고를 악의적으로 이용하거나, 주변에 주차할 공간을 찾다가 못 찾아 다시 그 자리에 주정차단속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불법주정차를 하고 차량을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차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76868]에서는 불법주정차단속 무인카메라와 이동식카메라의 단속데이터와 차적조회시스템을 연계한 실시간 불법주정차단속 사전경고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불법주정차단속은 기초자치단체의 사무로써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초자치단체에 개별적으로 서비스를 신청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76868](공개일자: 2009년07월1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과태료가 발생되기 전에 사전 알림 서비스 및 인근 주차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이동을 유도하여 해당지역의 교통질서를 확립함과 동시에 민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초자치단체의 불법주정차단속 정보를 통합 수집하여 한 번의 서비스 신청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초자치단체의 불법주정차단속 사전알림서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은,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로부터 수집, 및 가공된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의 단속표준화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 운전자단말(900)을 이용하여 회원으로 가입된 운전자의 아이디, 차량번호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관리부(200); 상기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로부터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회원관리부(200)로부터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의 차량번호에 해당되는 회원이 확인되면,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알림을 위한 단속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인근 주차장을 검색하여 주차장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속알림정보 및 주차장안내정보를 운전자단말(900)에 전송하는 사전단속알림부(500); 및 상기 단속알림정보를 수신하여, 알람을 표출시키는 운전자단말(9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는 고정형 단속기기, 이동형 단속기기 및 모바일 단속기기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속기기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하는 통합수집부(110);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로부터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추출부(120); 및 영상, 장소, 시간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단속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의 단속표준화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상기 단속알림정보를 먼저 전송 후,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주차장안내정보의 요청을 받는 경우, 상기 주차장안내정보를 운전자단말(9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에이전트(Agent)인증이 완료된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에 토큰(Token)을 발행하며,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로부터 토큰을 발급받은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로부터만 단속표준화데이터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는 신고자단말(800)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신고자의 연락처 정보를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이동완료정보를 받은 경우, 상기 신고자의 연락처로 이동완료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주차장까지의 거리, 주차장까지의 경로, 주차비용 및 빈자리 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주차장 예약 요청을 받으면, 해당 주차장단말과 통신하여 주차장 예약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에 의하면, 과태료가 발생되기 전에 사전 알림 서비스 및 인근 주차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불법 주정차 차량의 이동을 유도하여 해당지역의 교통질서를 확립함과 동시에 민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속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의 단속표준화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사별, 지자치단체별로 상이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을 표준화시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단속알림정보를 먼저 전송 후 주차장안내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단속알림정보를 전송하여, 보다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이전트인증이 완료된 기기에 토근을 발행하여 허가된 장치에서만 단속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신고자단말로 이동완료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원활히 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주차장 안내 및 예약이 가능함으로써, 주차장 까지의 이동주차를 보다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표준화데이터변환부의 세부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준화데이터변환부의 세부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은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 회원관리부(200), 사전단속알림부(500) 및 운전자단말(900)을 포함한다.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는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로부터 수집, 및 가공된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의 단속표준화데이터로 변환한다.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는 단속영상(이미지), 단속장소 및 단속시간을 포함한다. 단속 영상은 동영상 데이터 일 수도 있고, 사진 데이터 일 수도 있다.
단속표준화데이터는 사전단속알림부(500)에 보내는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통일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말한다.
고정식 CCTV, 이동식 카메라, 인력단속 단말기 등에 의해 수집된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는 각 기기마다 서로다른 형식의 데이터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사전단속알림부(500)에서 통합관리하기위해서는 통일된 형식의 데이터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가 수집한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변환한다.
회원관리부(200)는 운전자단말(900)을 이용하여 회원으로 가입된 운전자의 차량번호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회원관리부(200)는 회원가입된 가입자에게 사전단속 알림을 하기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차량번호, 연락처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상기 가입자 정보로 비밀번호, 차량종류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연락처로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주소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단말(900)에 상기 회원관리부(20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할 수 있는 어플을 설치할 수 있고, 해당 어플을 실행하면 가입할 때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200)가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추후 불법주정차 단속에 걸린 데이터와 대조하여 불법주정차 사전 단속 알림을 할 수 있으니, 상기 회원관리부(200)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해야 한다.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상기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로부터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회원관리부(200)로부터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의 차량번호에 해당되는 회원이 확인되면,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알림을 위한 단속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인근 주차장을 검색하여 주차장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속알림정보 및 주차장안내정보를 운전자단말(900)에 전송한다.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단속표준화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의 차량번호에 해당되는 회원 있는지 상기 회원관리부(200)를 통해 확인하고, 해당되는 회원이 있다면,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알림을 위한 단속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인근 주차장을 검색하여 주차장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속알림정보 및 주차장안내정보를 운전자단말(9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운전자단말(900)에 모바일 메시지,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 등), 이메일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단말(900)은 상기 단속알림정보를 수신하여, 알람을 표출시킨다.
상기 운전자단말(900)은 모바일기기, 스마트기기 등 통신이 가능하며, 운전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말하며, 단속알림정보를 수신받으면, 알람을 표출시킨다. 알람은 시각(화면상의 표시)적, 청각(소리)적, 촉각(진동)적 수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은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은 불법주정차 과태료가 발생되기 전에, 상기 회원관리부(200)에 회원으로 가입된 운전자(회원)의 운전자단말(900)로 단속알림정보 및 주차장안내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불법주정차 단속지역에 주차된 차량을 인근 주차장으로 이동주차 시킬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의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는 통합수집부(110), 번호추출부(120) 및 데이터변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수집부(110)는 고정형 단속기기, 이동형 단속기기 및 모바일 단속기기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속기기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고정형 단속기기는 지정된 주정차 단속구간을 촬영하도록 고정식으로 설치된 CCTV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이동형 단속기기는 이동식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단속기기는 사람이 들고 다니면서 불법 주정차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스마트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속기기는 불법 주정차 단속원이 사용하는 전용기기일 수도 있고, 신고자가 사용하는 모바일기기, 스마트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합수집부(110)는 각종 단속기기들로부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한다.
번호추출부(120)는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로부터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상기 번호추출부(120)는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에 포함된 단속영상(이미지)에 포함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근거로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데이터변환부(130)는 영상, 장소, 시간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단속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의 단속표준화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변환부(130)는 상기 통합수집부(110)로부터 수집된 영상, 장소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단속 데이터와 상기 번호추출부(120)로부터 추출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단속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의 단속표준화데이터로 변환한다.
단속기기로 수집한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은 단속기기로 촬영한 영상(이미지)이고, 장소는 단속기기에 내장된 위치추적시스템(GPS 등) 등으로 확인 가능한 위치 정보이고, 시간은 단속기기에 내장된 시계 등으로 확인 가능한 영상 확보 시간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의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상기 단속알림정보를 먼저 전송 후,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주차장안내정보의 요청을 받는 경우, 상기 주차장안내정보를 운전자단말(9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가 상기 단속알림정보를 먼저 전송 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빨리 단속알림정보를 전송하여 빠른 이동주차가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빠르게 단속알림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먼저 전송하는 단속알림정보에는 단속 장소, 시간 및 차량번호 등 텍스트 정보를 먼저 전송할 수 있고, 후에 운전자가 운전자단말(900)로 영상정보를 요청할 경우 영상정보를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운전자가 이동주차가 필요하다 판단하고, 운전자단말(900)로 주차장안내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가 주차장안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의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에이전트(Agent)인증이 완료된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에 토큰(Token)을 발행하며,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로부터 토큰을 발급받은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로부터만 단속표준화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다수의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로부터 단속표준화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이때, 허가된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에서만 단속표준화데이터를 발신할 수 있도록 에이전트(Agent)인증 후 토큰(Token)을 발행할 수 있다.
토큰(Token)은 접근토큰(Access Token)과 재생토큰(Refresh Token)을 포함할 수 있다.
접근 토큰은 사용자의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자격증명으로서 사용자가 특정 앱에게 부여한 권한에 대한 정보가 담긴 문자열이다. 접근 토큰에는 접근할 수 있는 특정 scope들과 접근 가능한 기간 등 사용자가 동의한 사항들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이 정보에 기반하여 권한 제공기관 및 데이터 제공기관은 앱의 요청에 응하게 된다.
유효한 접근 토큰을 보유하면 통제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근 토큰이 노출될 리스크를 감안해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접근 토큰의 유효기간을 짧게 설정한다.
접근 토큰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를 대비하여 앱 개발자는 재생 토큰을 사용할 수 있다. 재생 토큰을 활용하면 사용자에게 인증을 반복하게 하지 않고도 접근 토큰을 새로 발급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의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는 신고자단말(800)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신고자의 연락처 정보를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이동완료정보를 받은 경우, 상기 신고자의 연락처로 이동완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완료정보는 불법 주정차 구간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운전자가 해당 차량에 탑승하고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지, 안내받은 주차장안내정보에 해당되는 주차장에 주차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신고자단말(800)은 개인 스마트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인 차량 앞을 다른 차량이 막고 있는 등, 불법 주정차구역에 주정차 되어있는 차량으로 불편을 받는 사람의 경우, 해당 차량이 이동하였는지를 빠르게 확인하고 싶어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신고자가 발생할 경우, 상기 이터변환부(100)는 신고자의 연락처 정보를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에 포함시키고, 후에 개인 신고자의 신고자단말(800)로 이동완료정보를 전송할 때, 신고자의 연락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단말(900)에 전송하는 단속알림정보에는 신고자의 연락처 정보를 제외하고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고자단말(800)로 전송하는 이동완료정보는 차량이 이동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되, 해당 차량 운전자의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인적인 시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의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주차장까지의 거리, 주차장까지의 경로, 주차비용 및 빈자리 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주차장 예약 요청을 받으면, 해당 주차장단말과 통신하여 주차장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인근 주차장을 검색하며, 상기 주차장안내정보에는 주차장까지의 거리, 주차장까지의 경로, 주차비용 및 빈자리 수 등 주차장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상기 운전자단말(900)로 안내된 주차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 및 결제가 진행된 경우, 비용할인 또는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주차장 예약 및 결제에 대해 혜택을 주는 것은, 단속만을 피하기 위한 편법적인 이동이 아닌, 실질적인 교통질서를 확립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동기를 부여하여, 이러한 행동이 자연스러워 지도록 함으로써, 본질적인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표준화데이터변환부
110: 통합수집부
120: 번호추출부
130: 데이터변환부
200: 회원관리부
500: 사전단속알림부
800: 신고자단말
900: 운전자단말

Claims (6)

  1.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로부터 수집, 및 가공된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의 단속표준화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
    운전자단말(900)을 이용하여 회원으로 가입된 운전자의 아이디, 차량번호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관리부(200);
    상기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로부터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회원관리부(200)로부터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의 차량번호에 해당되는 회원이 확인되면,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알림을 위한 단속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인근 주차장을 검색하여 주차장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단속알림정보 및 주차장안내정보를 운전자단말(900)에 전송하는 사전단속알림부(500); 및
    상기 단속알림정보를 수신하여, 알람을 표출시키는 운전자단말(900);
    을 포함하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는
    고정형 단속기기, 이동형 단속기기 및 모바일 단속기기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속기기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하는 통합수집부(110);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로부터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추출부(120); 및
    영상, 장소, 시간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단속 데이터를 표준화된 형식의 단속표준화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130);
    를 포함하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상기 단속알림정보를 먼저 전송 후,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주차장안내정보의 요청을 받는 경우, 상기 주차장안내정보를 운전자단말(900)에 전송하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에이전트(Agent)인증이 완료된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에 토큰(Token)을 발행하며,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로부터 토큰을 발급받은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로부터만 단속표준화데이터를 수신받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데이터변환부(100)는
    신고자단말(800)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단속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신고자의 연락처 정보를 상기 단속표준화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이동완료정보를 받은 경우, 상기 신고자의 연락처로 이동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단속알림부(500)는
    주차장까지의 거리, 주차장까지의 경로, 주차비용 및 빈자리 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운전자단말(900)로부터 주차장 예약 요청을 받으면, 해당 주차장단말과 통신하여 주차장 예약을 진행하는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KR1020220040756A 2022-03-31 2022-03-31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Ceased KR20230141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756A KR20230141328A (ko) 2022-03-31 2022-03-31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756A KR20230141328A (ko) 2022-03-31 2022-03-31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328A true KR20230141328A (ko) 2023-10-10

Family

ID=8829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756A Ceased KR20230141328A (ko) 2022-03-31 2022-03-31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3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5473B1 (ko) 2024-04-01 2024-11-04 주식회사 알씨 다중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868A (ko) 2009-06-18 2009-07-13 (주)아이티코어 불법주정차단속 무인카메라와 이동식카메라의 단속데이터와 차적조회시스템을 연계한 실시간 불법주정차단속 사전경고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868A (ko) 2009-06-18 2009-07-13 (주)아이티코어 불법주정차단속 무인카메라와 이동식카메라의 단속데이터와 차적조회시스템을 연계한 실시간 불법주정차단속 사전경고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5473B1 (ko) 2024-04-01 2024-11-04 주식회사 알씨 다중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693B2 (en) Managed access system for traffic flow optimization
EP2750116B1 (en) Automatic regulated parking system and method
JP6890094B2 (ja) 合法な駐車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RU2607043C1 (ru) Управлени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дного парковоч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для нескольки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посредством применения множества камер
US112224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9792818B2 (en) Centralized parking payment and monitoring system using geo location enabled devices
US20150221140A1 (en) Parking and tollgate payment processing based on vehicle remote identification
KR101773721B1 (ko) 차번인식방식과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별 주차장 예약제 무인 주차 관리시스템
US201203237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locations of vehicles therein
JP2016506561A (ja) 複数のカメラを用いた単一の複数車両用駐車スペースの使用制御
US201501029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forcing parking rules
KR102429515B1 (ko) 차량번호 모바일 인식 기반 주차관리시스템
Lotlikar et al. Smart parking application
Fikri et al. Smart parking area management system for the disabled using IoT and mobile application
KR101947874B1 (ko) 외부 서비스와 연동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5275A (ko) 지도 단속 처리 과정의 자동 안내가 가능한 영상촬영용 통신기기
KR20230141328A (ko) 불법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시스템
US20210241627A1 (en) Overdue parking warning
Sarangi et al. IoT aware automatic smart parking system for smart city
KR102499885B1 (ko) 단속 기능을 갖는 무인 주차 관리 장치
KR20010088909A (ko)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US20170053250A1 (en) Mobile method for preparing vehicle towing fees
Roopa et al. Road and Traffic Enforcement System Using GPS Enabled Mobile Cloud Computing
Gade Ict enabled smart parking system: Smartpark for smart cities
KR102672135B1 (ko) 복수의 회원제 주차장에 대한 위치 기반 차단기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