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056A - managing apparatus for strainer - Google Patents
managing apparatus for str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1056A KR20230141056A KR1020220040123A KR20220040123A KR20230141056A KR 20230141056 A KR20230141056 A KR 20230141056A KR 1020220040123 A KR1020220040123 A KR 1020220040123A KR 20220040123 A KR20220040123 A KR 20220040123A KR 20230141056 A KR20230141056 A KR 202301410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iner
- pipe
- drain valve
- management device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름망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정된 배관의 내부에 물과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유충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하지 않고도 거름망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거름망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by expanding the area in contact with water inside a limited pipe, not only can a larger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larvae, be filtered out, but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filter the strainer without separating it. It relates to a washable strainer management device.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하천이나 댐의 물을 정수장에서 응집·침전·여과·소독과정의 표준정수처리 또는 표준정수처리에 오존 산화와 활성탄 흡착처리를 추가하는 고도정수처리 단계를 거쳐 정수한 후 배관을 통해 가정으로 공급되고 있다. In general, tap water is purified from water from rivers or dams through standard water treatment of coagulation, sedimentation, filtration, and disinfection at a water purification plant, or through advanced water purification stages that add ozone oxid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 standard water treatment, and is then purified through pipes. It is supplied to homes.
이러한 배관 내에 존재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배관내의 물 흐름방향 및 유속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배관에서 떨어져 나와 가정이나 저수조에 도달하여 적수를 유발한다.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 present in these pipes fall out of the pipes due to rapid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speed of water flow in the pipes and reach homes or water storage tanks, causing red water.
또한, 정수장이나 배수지에서의 각종 날벌레의 유입으로 염소 소독에도 사멸되지 않은 살아 움직이는 유충이나 사멸된 사체가 가정집에 공급되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례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have been cases where live larvae or dead corpses that were not killed by chlorine disinfection were supplied to homes due to the influx of various flying insects from water purification plants or drainage basins, which became a social issue.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3870호(2005.05.02.등록)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관로 사이에 몸체(11)가 결합되고, 내부에 디스크(12)를 상하 이동시켜 유체 통로를 단속하는 제수밸브(10)에 있어서, 상기 제수밸브(10)의 유체 배출구 쪽 몸체(11)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형성되는 스트레이너 삽입홈(21)과, 상기 스트레이너 삽입홈(21)에 끼워져 유체와 함께 흐르는 이물질을 걸러주고 타공망으로 W자 형상을 갖게 제작되는 스트레이너(20)와, 상기 스트레이너 삽입홈(21)의 상부를 패킹(26)을 대고 막아주고 내부의 스트레이너(20)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25)과, 상기 투명창(25)을 몸체(11)에 결합시키는 결합구(27)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83870 (registered on May 2, 2005) as shown in Figures 1 and 2 was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of which is the body (registered on May 2, 2005) between the pipes. 11) is coupled, and in the water control valve 10 that controls the fluid passage by moving the disk 12 inside up and dow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 on the fluid outlet side of the water control valve 10 is open. A strainer insertion groove 21 is formed, a strainer 20 that is inserted into the strainer insertion groove 2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lowing with the fluid and is manufactured to have a W shape with a perforated mesh, and the strainer insertion groove 21 It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25) that blocks the upper part with packing (26) and allows the internal strainer (20) to be seen, and a coupler (27) that couples the transparent window (25) to the body (11). It is characterized by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3870호(2005.05.02.등록)에 기재된 기술은 관로에 스트레이너(20)를 설치함으로써, 관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물질 및 유충 등을 걸러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스트레이너(20)에 유충이나 이물질이 많이 끼일 경우 이를 청소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20)를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83870 (registered on May 2, 2005) has the advantage of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and larvae moving along the pipe by installing a strainer (20) in the pipe. If there are a lot of larvae or foreign substances stuck in the strainer 20,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strainer 20 to clean them.
또한, 제수밸브(10)를 차단한 후 스트레이너(20)를 분리한다고는 하지만 스트레이너(20)를 분리할 경우 사이에 끼인 이물질 및 유충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물질 또는 유충이 반대편으로 이동될 수 있어 최악의 경우 배관의 타측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said that the strainer 20 is separated after blocking the water valve 10, when the strainer 20 is separated, not only is it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larvae caught between them, but also the foreign substances or larvae move to the other side. In the worst case, there is a problem of it flowing into the other side of the pip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과 같은 유체에 포함된 유충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을 배관의 일측에 설치하되, 거름망을 경사지도록 설치하여 유체와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거름망에 걸려 막히는 시간을 늦출수 있는 거름망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filter on one side of the pipe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larvae, contained in a fluid such as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e. By installing it at an angle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luid,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is provided that can delay the time when foreign substances become caught in the strainer and become clogg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름망의 하부에 분기관을 형성하고, 분기관에 퇴수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거름망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거름망의 후부에 중계탱크를 구비하고, 중계탱크의 내부에 월류 위어(越流 weir)를 설치하여 거름망의 전부에 설치되는 제수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퇴수 밸브를 개방하여 중계탱크에 수용된 유체가 역류하는 과정에서 거름망을 자동으로 세척하고 이물질을 분기관으로 배출할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거름망을 세척할 수 있는 거름망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ranch pipe at the bottom of the strainer and provide a drain valve on the branch pipe, so that foreign substances filtered by the strainer can be easily discharged, and the strain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can be easily discharged. A relay tank is provided at the rear, and an overflow weir is installed inside the relay tank to block the water drain valv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strainer and open the drain valve to allow the fluid contained in the relay tank to flow back. The aim is to provide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lean the strainer and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into the branch pipe, making it easier to clean the strain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거름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ipe that supplies fluid, and a strain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여기서, 상기 배관에는 상기 거름망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제수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에는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분기관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에는 퇴수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water drain valve is installed in the pipe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strainer, a branch pipe is formed in the pipe to be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rainer, and a drain valve is installed in the branch pipe.
그리고, 상기 배관에는 상기 거름망의 후부에 위치하도록 중계탱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계탱크의 내부에는 월류 위어(越流 weir)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lay tank located at the rear of the strainer, and an overflow weir is installed inside the relay tank.
이때, 상기 중계탱크는 상기 거름망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수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퇴수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중계탱크의 월류 위어 전부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분기관 방향으로 역류하여 상기 거름망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lay tank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lter, and the water drain valve is blocked and the discharge valve is opened to allow the fluid located in the entire overflow weir of the relay tank to flow back toward the branch pipe to clean the filter. It is characterized by:
한편, 상기 거름망은 배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strainer is installed to slope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pip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과 같은 유체에 포함된 유충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을 배관의 일측에 설치하되, 거름망을 경사지도록 설치하여 유체와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거름망에 걸려 막히는 시간을 늦출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strain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larvae, contained in a fluid such as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e, and the strainer is installed at an angle to wide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luid.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delaying the time when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in the filter and become clogg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름망의 하부에 분기관을 형성하고, 분기관에 퇴수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거름망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거름망의 후부에 중계탱크를 구비하고, 중계탱크의 내부에 월류 위어(越流 weir)를 설치하여 거름망의 전부에 설치되는 제수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퇴수 밸브를 개방하여 중계탱크에 수용된 유체가 역류하는 과정에서 거름망을 자동으로 세척하고 이물질을 분기관으로 배출할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거름망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ranch pipe at the bottom of the strainer and provide a drain valve on the branch pipe, so that foreign substances filtered by the strainer can be easily discharged, and the strain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can be easily discharged. A relay tank is provided at the rear, and an overflow weir is installed inside the relay tank to block the water drain valv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strainer and open the drain valve to allow the fluid contained in the relay tank to flow back. The filter can be automatically cleaned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branch pipe, making it easier to clean the filter.
도 1은 종래의 제수밸브 일체형 스트레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제수밸브 일체형 스트레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 관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 관리 장치의 세척 시작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 관리 장치의 세척 완료시의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water valve-integrated straine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water valve-integrated strainer.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at the start of cleaning of the strain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upon completion of cleaning of the strain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 관리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 관리 장치의 세척 시작시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 관리 장치의 세척 완료시의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trai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trai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tart of cleaning, and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trai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leaning is completed.
본 발명은 거름망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100)과 상기 배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거름망(20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and 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composition consists of a
그래서, 상기 거름망(200)을 통하여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게 됨으로써, 최종단에서 보다 깨끗한 상태의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through the
즉, 일 예로서 정수장이나 배수지에서의 각종 날벌레의 유입으로 염소 소독에도 사멸되지 않은 살아 움직이는 유충이나 사멸된 사체가 물에 포함되어 배관(100)을 통하여 가정집으로 공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100)에 거름망(200)을 구비하여 유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완전하게 걸러줄 수 있게 된다.That is, as an example, due to the influx of various flying insects from water purification plants or drainage basins, there was a problem that live larvae or dead corpses that were not killed even by chlorine disinfection were included in the water and supplied to homes through 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장 등에서 가정집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100)에는 유충이나 사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다수 포합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상기 거름망(20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여기서, 상기 거름망(200)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이 물의 흐름에 의해 거름망(200)의 표면에 부착되게 되며 상기 거름망(200)의 면적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거름망(200) 전체에 부착되게 되면 물의 흐름이 막히게 되는데, 정수장과 가정집을 연결하는 통상적인 배관(100)의 경우 물의 흐름이 막히는데 약 4시간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Here, foreign substances filtered by the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거름망(20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여 물과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고 그에 따라 거름망(200)을 통하여 걸러지는 이물질에 의해 거름망(200)이 막히는 시간을 늦출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 배관(100)에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제수 밸브(1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수 밸브(110)는 상기 거름망(200)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유체를 차단한 상태로 상기 거름망(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Meanwhile, a
여기서, 상기 배관(100)에는 하방을 향하도록 분기관(120)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분기관(120)은 상기 거름망(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거름망(20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 중에서 거름망(200)에 부착되지 못한 이물질이 상기 분기관(120)으로 모이게 된다.Here, a
이때, 상기 분기관(120)에는 퇴수 밸브(130)가 더 설치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수 밸브(110)를 통하여 유체를 차단한 후, 상기 퇴수 밸브(130)를 개방하여 상기 거름망(20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At this time, a
그리고, 상기 배관(100)에는 목적지와의 사이에 중계탱크(3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중계탱크(300)는 상기 거름망(200)의 후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목적지까지 공급하는 물의 버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중계탱크(300)는 상기 거름망(200)이 설치된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계탱크(300)의 내부에는 월류 위어(越流 weir, 310)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관(10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소정의 압력이 형성되어 상기 중계탱크(300)의 높이가 거름망(200)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고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Here, the
이렇게 상기 중계탱크(300)로 공급된 물은 수압에 의해 상기 월류 위어(310)를 넘어 중계탱크(300)에서 배출되는 배출 배관(320)을 통하여 목적지로 공급되게 된다.In this way, the water supplied to the
한편, 상기 중계탱크(300)는 상기 거름망(20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제수 밸브(110)를 차단하고 상기 분기관(120)에 설치된 퇴수 밸브(13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중계탱크(30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분기관(120) 방향으로 역류하게 된다.Meanwhile, the
여기서, 상기 중계탱크(300)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이므로 상기 중계탱크(30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역류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중계탱크(300)의 일측에 통기구(302)가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통기구(302)에는 외부로 유체가 배출될 수 없도록 역지변(미도시)이 형성된다.Here, since the
한편, 상기 중계탱크(300)의 내부에는 월류 위어(310)가 설치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월류 위어(310)의 전부에 위치하는 유체만이 역류하게 되고 상기 배출 배관(320)에 수용된 유체는 상기 월류 위어(310)에 의해 분기관(120)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an
이때, 상기 중계탱크(300)로부터 역류하는 유체는 상기 거름망(2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거름망(200)의 전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게 되고 이렇게 세척된 이물질은 상기 분기관(120)을 통하여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fluid flowing back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상기 거름망(200)을 제거하여 세척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수 밸브(110)와 퇴수 밸브(130)의 개폐만을 조절하여 역류하는 유체에 의해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름망(20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거름망(200)의 표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배관이 막히는데 걸리는 시간을 늦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lowing down the time it takes for the pipe to become clogg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수 밸브(110)와 퇴수 밸브(130)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배관(100)의 내부에 설치된 거름망(200)을 용이하게 세척하고 거름망(200), 제수 밸브(100) 및 퇴수 밸브(130) 사이에 잔류한 이물질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거름망(200)을 배관(100)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으로 거름망(200)의 내구성이 저하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above.
본 발명은 거름망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정된 배관의 내부에 물과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유충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하지 않고도 거름망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거름망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by expanding the area in contact with water inside a limited pipe, not only can a larger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larvae, be filtered out, but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filter the strainer without separating it. It relates to a washable strainer management device.
100 : 배관
110 : 제수 밸브
120 : 분기관
130 : 퇴수 밸브
200 : 거름망
300 : 중계탱크
310 : 월류 위어
320 : 배출 배관100: Piping 110: Water control valve
120: branch pipe 130: drain valve
200: strainer 300: relay tank
310: Overflow weir 320: Discharge pipe
Claims (5)
상기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거름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 관리 장치.
Piping that supplies fluid,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train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상기 배관에는 상기 거름망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제수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에는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분기관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에는 퇴수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ter drain valve is installed in the pipe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strainer,
A branch pipe is formed in the pipe to be located below the strainer,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rain valve is installed in the branch pipe.
상기 배관에는 상기 거름망의 후부에 위치하도록 중계탱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계탱크의 내부에는 월류 위어(越流 weir)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i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lay tank located at the rear of the strainer,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overflow weir is installed inside the relay tank.
상기 중계탱크는 상기 거름망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수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퇴수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중계탱크의 월류 위어 전부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분기관 방향으로 역류하여 상기 거름망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relay tank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trainer,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valve is blocked and the drain valve is opened to allow fluid located in the front of the overflow weir of the relay tank to flow back toward the branch pipe to clean the strainer.
상기 거름망은 배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 관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train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ner is installed to slope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0123A KR102743136B1 (en) | 2022-03-31 | 2022-03-31 | managing apparatus for str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0123A KR102743136B1 (en) | 2022-03-31 | 2022-03-31 | managing apparatus for str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1056A true KR20230141056A (en) | 2023-10-10 |
KR102743136B1 KR102743136B1 (en) | 2024-12-17 |
Family
ID=8829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0123A Active KR102743136B1 (en) | 2022-03-31 | 2022-03-31 | managing apparatus for str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31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6885B1 (en) * | 2023-12-04 | 2024-06-19 | 박동석 | plastic injection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66206A (en) * | 1995-09-04 | 1997-03-11 | Daiko:Kk | Filtration equipment for bathtub |
KR200383870Y1 (en) | 2005-02-16 | 2005-05-10 | 주식회사 삼진정밀 | Resilient seated sluice valve strainer |
KR20120065164A (en) * | 2010-12-10 | 2012-06-20 | 광주광역시환경시설공단 | Trainer establishment structure for waterworks piping |
KR20140038652A (en) * | 2012-09-21 | 2014-03-3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emi-auto filter system for removing residue in pipe |
KR102285468B1 (en) * | 2020-12-09 | 2021-08-03 | 주식회사 승원 | Water supply precision filter backwash system |
-
2022
- 2022-03-31 KR KR1020220040123A patent/KR1027431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66206A (en) * | 1995-09-04 | 1997-03-11 | Daiko:Kk | Filtration equipment for bathtub |
KR200383870Y1 (en) | 2005-02-16 | 2005-05-10 | 주식회사 삼진정밀 | Resilient seated sluice valve strainer |
KR20120065164A (en) * | 2010-12-10 | 2012-06-20 | 광주광역시환경시설공단 | Trainer establishment structure for waterworks piping |
KR20140038652A (en) * | 2012-09-21 | 2014-03-3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emi-auto filter system for removing residue in pipe |
KR102285468B1 (en) * | 2020-12-09 | 2021-08-03 | 주식회사 승원 | Water supply precision filter backwash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6885B1 (en) * | 2023-12-04 | 2024-06-19 | 박동석 | plastic inje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43136B1 (en) | 2024-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676055U (en) | A kind of fiber sewage process tank | |
CN109173423A (en) | A kind of vertical type backwashing filter device | |
CN104906855A (en) | Front-mounted backwash filter | |
CN103157317A (en) | Water filter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 |
KR20230141056A (en) | managing apparatus for strainer | |
KR101768117B1 (en) | Multifunctional Sewer | |
TWI696488B (en) | Reversible washing floating bed type reverse sewage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 |
KR101202895B1 (en) | Rainwater tank apparatus | |
CN204815881U (en) | Forward type back flush filter | |
CN105999803A (en) | Hydraulic-rotary-spraying automatic-adsorption filter for irrigation | |
CN116251391A (en) | An automatic pressure deslagging and slag discharge filter | |
CN205907147U (en) | A ecological ditch canal for sponge city construction | |
CN109260781A (en) | A kind of full-automatic gravity valveless filter | |
TWI580350B (en) | Landscape aquarium filtration system | |
CN210728814U (en) | Reverse back flush purifier | |
CN2452591Y (en) | Backwashing device of water filter | |
CN208511963U (en) | A kind of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electromagnetism liquid level auto-control back purge system | |
CN209638778U (en) | Pipeline structure is used in the cleaning of biological bacteria equipment water tank | |
CN209392837U (en) | Ceramic membrane and porcelain sand bilayer filter | |
CN217000052U (en) | Filtration formula municipal drainage structures | |
CN209307942U (en) | A water retention basin facility for municipal water utilization river interception system | |
CN206008143U (en) | A kind of purifying water process automatic backwash system | |
CN2222999Y (en) | fish pond automatic filter | |
CN208003539U (en) | The water purifier of automatic cleaning filter core | |
KR101106546B1 (en) | Pond Water Purific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