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195A - Roof airbag apparatus for mobility - Google Patents
Roof airbag apparatus for mo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0195A KR20230140195A KR1020220039052A KR20220039052A KR20230140195A KR 20230140195 A KR20230140195 A KR 20230140195A KR 1020220039052 A KR1020220039052 A KR 1020220039052A KR 20220039052 A KR20220039052 A KR 20220039052A KR 20230140195 A KR20230140195 A KR 202301401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central
- dead
- mobility
- roo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92—Roof bags, i.e. protecting the occupant in a roll-over situ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가 보호되고, 전개된 에어백의 형상이 유지되며 위치 변동이 최소화됨에 따라 탑승자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is introduced in which the airbag is deployed downward from the indoor roof to protect occupants seated in the seat, the shape of the deployed airbag is maintained, and position changes are minimized, thereby safely protecting the occupants from impact. .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를 보호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in which an airbag is deployed downward from an indoor roof to protect occupants seated in a seat.
일반적으로 모빌리티에는 충돌, 전복 등의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로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와 탑승자가 모빌리티에 부딪히는 충격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백이 있다. 이러한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등 필요에 따라 모빌리티의 각 부위에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safety devices are installed in mobility to safely protect passengers from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and rollovers. These safety devices include seat belts that restrain the body of the occupants and airbags that relieve the impact of the occupants hitting the mobility. there is. These airbags are installed in various parts of mobility according to need, such as a driver's airbag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and a passenger airbag installed on the passenger's instrument panel.
한편, 모빌리티는 앞좌석 탑승자가 있는 전방 공간과 뒷좌석 탑승자가 있는 후방 공간으로 구분되는데, 모빌리티의 충돌시 뒷좌석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내부 탑승자간 충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mobility is divided into a front space for front seat passengers and a rear space for rear seat passengers. However, in the event of a mobility collision, the rear seat passengers are moved forward by inertia, causing a collision between internal passengers.
특히, 최근에는 자율 주행 모빌리티가 증가되고 있으며, 자율 주행 모빌리티의 경우 시트의 위치가 360도 방향으로 다양하게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앞좌석 탑승자와 뒷좌석 탑승자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가 가능한데, 앞좌석 탑승자와 뒷좌석 탑승자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모빌리티의 충돌 발생시 탑승자 간의 충돌에 의해 상해가 발생될 수 있다.In particular, autonomous driving mobility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and in the case of autonomous driving mobility, the position of the seat is configured to be variously adjusted in 360 degre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front seat occupants and the rear seat occupants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However, if a mobility collision occurs with the front seat occupants and rear seat occupants facing each other, injuries may occur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occupant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recognit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가 보호되고, 전개된 에어백의 형상이 유지되며 위치 변동이 최소화됨에 따라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The airbag deploys downward from the indoor roof to protect occupants seated in the seat, and the shape of the deployed airbag is maintained and position changes are minimized, thereby keeping occupants safe from impac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oof airbag device that protects mobil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동력 제어 시스템은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개시 하방으로 전개되는 일측 쿠션부 및 타측 쿠션부와, 일측 쿠션부와 타측 쿠션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중앙 쿠션부로 이루어진 에어백쿠션; 일단이 일측 쿠션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타단이 일측 쿠션부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타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거동제어테더; 및 일단이 타측 쿠션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타단이 타측 쿠션부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일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거동제어테더;를 포함한다.The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on the indoor roof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one cushion portion and the other cushion portion that deploys downward when deployed, and one cushion portion and the other cushion portion. An airbag cushion consisting of a central cushion part connected in communication; A first motion control tether, one end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cushion to one side and installed on the indoor roof,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ushion to limit movement of the other side of the airbag cushion; and a second motion control tether, one end of which is spac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to the other side and installed on the indoor roof,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to restrict movement of the airbag cushion to one side.
중앙 쿠션부는 팽창시 일측 쿠션부와 타측 쿠션부가 실내 루프에서 이격된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cush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inflated, one side cushion part and the other side cushion part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separated from the indoor roof.
중앙 쿠션부는 일측 쿠션부와 타측 쿠션부의 끝단에 연통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cush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nds of one cushion portion and the other cushion portion.
일측 쿠션부와 중앙 쿠션부의 연결 부위 및 타측 쿠션부와 중앙 쿠션부의 연결 부위에는 테두리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꺾임 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dge is depressed inward to form a bending inducing portion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one cushion portion and the central cushion portion and at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other cushion portion and the central cushion portion.
일측 쿠션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제1외측쿠션부와 제1외측쿠션부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1데드부로 이루어지고, 타측 쿠션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제2외측쿠션부와 제2외측쿠션부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2데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cushion part consists of a first outer cushion part that extends along the edge and is inflated when deployed, and a first dead part that is uninflat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outer cushion part, and the other cushion part is a second outer cushion part that extends along the edge and is inflated when deploy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ushion part and a second dead part that is unexpanded inside the second outer cushion part.
중앙 쿠션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일측 쿠션부의 제1외측쿠션부와 타측 쿠션부의 제2외측쿠션부에 연통되는 제3외측쿠션부 및 제3외측쿠션부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3데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cushion portion extends along the edge and consists of a third outer cushion portion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uter cushion portion of one cushion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cushion portion of the other cushion portion, and a third dead portion that is unexpanded inside the third outer cush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중앙 쿠션부는 제3외측쿠션부에서 제3데드부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지쿠션부가 연장됨에 따라, 제3데드부가 지지쿠션부에 의해 일측 데드존과 타측 데드존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cush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dead part is divided into one dead zone and the other dead zone by the support cushion part as the support cushion part extending horizontally across the third dead part from the third outer cushion part.
중앙 쿠션부에는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일측 데드존에 연결된 제1형상유지테더와,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 데드존에 연결된 제2형상유지테더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cushion part is characterized by a first shape-maintaining tethe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indoor loo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dead zone on one side, and a second shape-maintaining tethe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indoor loo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dead zone. .
지지쿠션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격된 상태에서 대칭되게 연장됨에 따라 지지쿠션부 사이로 중앙 데드존이 형성되며, 중앙 쿠션부에는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앙 데드존에 연결된 제3형상유지테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cushion parts are composed of a pair and extend symmetrically while being spaced apart, forming a central dead zone between the support cushion parts. The central cushion part has a third shape-maintaining structure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indoor loo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entral dead zon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 tether.
제1거동제어테더는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제1데드부의 외측면에 연결되며, 제2거동제어테더는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제2데드부의 외측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ehavior control teth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ead part, and the second behavior control teth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ead part. Do it as
제1거동제어테더는 제1데드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제2거동제어테더는 제2데드부의 하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ehavior control teth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ead part, and the second behavior control teth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ead par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는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가 보호되고, 전개된 에어백의 형상이 유지되며 위치 변동이 최소화됨에 따라 탑승자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Mobility's roof airbag device, which has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deploys the airbag downward from the indoor roof to protect occupants seated in the se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deployed airbag, and minimizes positional changes, thereby keeping occupants safe from impact. prot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bility roof airbag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bility roof airbag device shown in FIG. 1.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ooked at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bility roof airbag device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3 is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shown in Figure 1. This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루프(R)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개시 하방으로 전개되는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와,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에 연통되게 연결된 중앙 쿠션부(130)로 이루어진 에어백쿠션(100); 일단이 일측 쿠션부(110)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실내 루프(R)에 설치되고, 타단이 일측 쿠션부(11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100)의 타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거동제어테더(200); 및 일단이 타측 쿠션부(120)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실내 루프(R)에 설치되고, 타단이 타측 쿠션부(12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100)의 일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거동제어테더(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bility roof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door roof (R)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one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쿠션은 실내 루프(R)에 설치되며, 인플레이터(I)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실내 루프(R)에서 하방으로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은 루프 에어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개시 실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좌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bag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door roof (R), receives gas from the inflator (I), and deploys downward from the indoor roof (R) to protect the occupants. Accordingly, the airbag cushion may be configured as a roof airbag, and may be placed between a plurality of seats provided indoors when deployed.
즉,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는 실내 루프(R)에 설치되고, 팽창시 하방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중앙 쿠션부(130)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A)은 팽창시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하방으로 전개된 후 중앙 쿠션부(130)가 팽창됨으로써, 중앙 쿠션부(130)에 의해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의 전개 형상 및 전개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에어백쿠션(100)은 중앙 쿠션부(130)에 의해,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의 비정상 전개가 방지되며,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에 의한 탑승자의 보호가 수행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여기서, 중앙 쿠션부(130)는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의 끝단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100)은 전개시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인플레이터(I)의 가스에 의해 팽창되고, 중앙 쿠션부(130)가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를 통과한 가스를 공급받아 팽창된다.Here, the
이에 따라,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는 전개속도가 확보되고,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가 전개된 후 중앙 쿠션부(130)가 팽창되면서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의 전개 형상 및 전개 위치를 유지시킴에 따라,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정위치로 정확히 전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ployment speed of the one
또한, 중앙 쿠션부(130)는 팽창시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실내 루프(R)에서 이격된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실내 루프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의 각 설치 위치에 따른 이격거리가 중앙 쿠션부(130)의 팽창시 길이보다 짧게 구성됨으로써,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의 전개가 완료되면 중앙 쿠션부(130)에 의해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사선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된다.That is, in a state where one
이로 인해, 모빌리티의 충돌 발생에 의해 탑승자가 일측 쿠션부(110) 또는 타측 쿠션부(120)에 로드시, 사선으로 배치된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탑승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쿠션부(130)가 일측 쿠션부(110) 또는 타측 쿠션부(120)에 대해 지지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일측 쿠션부(110) 또는 타측 쿠션부(120)에 로드된 탑승자를 구속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Due to this, when a collision occurs in mobility and the passenger loads on one
즉, 모빌리티에 충돌이 발생되어 탑승자가 일측 쿠션부(110)에 로드되는 경우, 일측 쿠션부(110)가 탑승자의 상체에 접촉되고, 중앙 쿠션부(130)가 탑승자의 하체에 접촉됨으로써 탑승자의 상체 부분과 하체 부분이 일측 쿠션부(110)와 중앙 쿠션부(130)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구속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collision occurs in mobility and the passenger is loaded onto one side of the
특히, 본 발명의 에어백쿠션(100)은 제1거동제어테더(200)와 제2거동제어테더(300)에 의해 전개된 위치의 변동이 최소화된다.In particular, the change in the deployed position of the
즉, 제1거동제어테더(200)는 일단이 일측 쿠션부(110)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타단이 일측 쿠션부(110)의 외측면에 연결됨으로써, 에어백쿠션(100)이 타측으로 과도한 이동시 당김력을 형성하여 에어백쿠션(100)이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한다.That is, the first
또한, 제2거동제어테더(300)는 일단이 타측 쿠션부(120)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타단이 타측 쿠션부(120)의 외측면에 연결됨으로써, 에어백쿠션(100)이 일측으로 과도한 이동시 당김력을 형성하여 에어백쿠션(100)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한다.In addition, the second
예를 들어, 종래에는 모빌리티에 충돌이 발생된 경우, 충돌 관성에 의해 에어백쿠션(100)이 어느 한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에어백쿠션(100)이 탑승자와 충돌하여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n the past, when a collision occurs in mobility, th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방향인 후방에서 모빌리티에 충돌이 발생된 경우, 충돌 관성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려는 에어백쿠션(100)이 제1거동제어테더(200)에 의해 이동이 억제됨으로써, 일측에 착좌한 탑승자가 에어백쿠션(1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타측에 착좌한 탑승자에 대해서도 에어백쿠션(100)에 과도하게 접촉됨에 따른 상해가 회피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3, when a collision occurs in the mobility from the rear in the other direction,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제1거동제어테더(200)와 제2거동제어테더(300)에 의해 전개된 에어백쿠션(100)의 위치 변동이 최소화됨으로써, 에어백쿠션(100)을 통한 탑승자의 보호 성능이 확보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일측 쿠션부(110)와 중앙 쿠션부(130)의 연결 부위 및 타측 쿠션부(120)와 중앙 쿠션부(130)의 연결 부위에는 테두리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꺾임 유도부(A)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edges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one
이처럼, 일측 쿠션부(110), 타측 쿠션부(120), 중앙 쿠션부(130)의 테두리에서, 일측 쿠션부(110)와 중앙 쿠션부(130)의 연결 부위 및 타측 쿠션부(120)와 중앙 쿠션부(130)의 연결 부위에 꺾임 유도부(A)가 형성됨으로써, 에어백쿠션(100)은 꺾임 유도부(A)를 기점으로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에서 중앙 쿠션부(130)가 꺾이는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way, at the edges of the one
여기서, 꺾임 유도부(A)는 에어백쿠션(100)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에어백쿠션(100)은 꺾임 유도부(A)를 기점으로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에서 중앙 쿠션부(130)가 꺾이도록 변형됨에 따라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고, 중앙 쿠션부(130)가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형태가 된다.Here, the bending inducing portion (A) is formed by the edge of the
한편, 일측 쿠션부(110)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제1외측쿠션부(111)와 제1외측쿠션부(111)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1데드부(112)로 이루어지고, 타측 쿠션부(120)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제2외측쿠션부(121)와 제2외측쿠션부(121)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2데드부(122)로 이루어진다.Meanwhile, one
즉,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는 팽창되는 영역과 미팽창되는 영역이 구분된다.That is, one side of the
상세하게,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의 팽창영역으로서, 일측 쿠션부(110)는 테두리를 따라 제1외측쿠션부(111)가 연장되고, 타측 쿠션부(120)는 테두리를 따라 제2외측쿠션부(121)가 연장된다.In detail, as the expansion area of the one
또한,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의 미팽창영역으로서, 일측 쿠션부(110)에는 제1외측쿠션부(111)의 내측으로 제1데드부(112)가 형성되고, 타측 쿠션부(120)에는 제2외측쿠션부(121)의 내측으로 제2데드부(12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an unexpanded area of one
이에 따라, 에어백쿠션(100)은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에서, 테두리를 이루는 제1외측쿠션부(111)와 제2외측쿠션부(121)만 팽창됨에 따라 팽창속도가 확보되고, 에어백쿠션(100)의 전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쿠션(100)의 팽창시, 일측 쿠션부(110)의 제1데드부(112) 또는 타측 쿠션부(120)의 제2데드부(122)가 탑승자의 상체에 접촉되고, 제1외측쿠션부(111) 및 제2외측쿠션부(121)의 하부와 함께 중앙 쿠션부(130)가 탑승자의 하체에 접촉됨에 따라, 탑승자의 상체 부분과 하체 부분이 각 쿠션부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구속된다.Accordingly, the
여기서, 중앙 쿠션부(130)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일측 쿠션부(110)의 제1외측쿠션부(111)와 타측 쿠션부(120)의 제2외측쿠션부(121)에 연통되는 제3외측쿠션부(131) 및 제3외측쿠션부(131)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3데드부(132)로 이루어진다.Here, the
이렇게, 중앙 쿠션부(130)는 제3외측쿠션부(131)와 제3데드부(132)로 구성되며, 제3외측쿠션부(131)가 일측 쿠션부(110)의 제1외측쿠션부(111) 및 타측 쿠션부(120)의 제2외측쿠션부(121)와 연통됨으로써 제1외측쿠션부(111)와 제2외측쿠션부(121)를 통해 가스를 전달받아 팽창된다. 즉, 중앙 쿠션부(130)는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가 팽창된 후 최종적으로 팽창됨에 따라, 중앙 쿠션부(130)에 의해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의 전개 형상 및 전개 위치가 정상화된다.In this way, the
아울러, 중앙 쿠션부(130)는 제3데드부(132)에 의한 미팽창영역에 의해 제3외측쿠션부(131)만 팽창됨에 따라 팽창속도가 확보된다.In addition, the expansion speed of the
한편, 중앙 쿠션부(130)는 제3외측쿠션부(131)에서 제3데드부(132)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지쿠션부(133)가 연장됨에 따라, 제3데드부(132)가 지지쿠션부(133)에 의해 일측 데드존(132a)과 타측 데드존(132b)으로 구획된다.Meanwhile, the
즉, 지지쿠션부(133)는 중앙 쿠션부(130)에서 팽창영역으로서, 제3외측쿠션부(131)에 연결되어 제3외측쿠션부(131)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팽창된다. 이러한 지지쿠션부(133)는 팽창되는 힘에 의해 제3외측쿠션부(131)와 함께 중앙 쿠션부(130)의 전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쿠션부(133)는 제3외측쿠션부(13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중앙 쿠션부(130)에는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일측 데드존(132a)에 연결된 제1형상유지테더(400)와,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 데드존(132b)에 연결된 제2형상유지테더(500)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에어백쿠션(100)에는 실내 루프와 중앙 쿠션부(130)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100)의 전개 형상을 가이드하는 제1형상유지테더(400)와 제2형상유지테더(500)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중앙 쿠션부(130)는 제1형상유지테더(400) 및 제2형상유지테더(500)의 길이만큼 전개가 제한되어 하방으로 처짐이 방지되고, 중앙 쿠션부(130)의 전개 형상이 가이드됨에 따라 중앙 쿠션부(130)에 의해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의 전개 형상 및 전개 위치가 서포트되어 정상 전개되도록 한다.That is, the
또한, 제1형상유지테더(400) 및 제2형상유지테더(500)는 중앙 쿠션부(130)의 일측 데드존(132a) 및 타측 데드존(132b)에서, 타단이 각각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에 인접하게 연결됨에 따라,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에서 중앙 쿠션부(130)가 꺾이는 형상이 가이드된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100)은 팽창시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에서 중앙 쿠션부(130)가 꺾이는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hape-maintaining
한편, 지지쿠션부(133)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격된 상태에서 대칭되게 연장됨에 따라 지지쿠션부(133) 사이로 중앙 데드존(132c)이 형성되며, 중앙 쿠션부(130)에는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앙 데드존(132c)에 연결된 제3형상유지테더(600)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이렇게, 지지쿠션부(133)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됨에 따라 중앙 데드존(132c)이 형성됨으로써, 제3형상유지테더(600)는 중앙 데드존(132c)을 통해 중앙 쿠션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3형상유지테더(600)는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앙 쿠션부(130)의 중앙 데드존(132c)을 통해 연결되어, 중앙 쿠션부(130)의 팽창 형상이 유도된다.In this way, the
또한, 제3형상유지테더(600)는 중앙 쿠션부(130)에서 미팽창영역인 중앙 데드존(132c)에 쏘잉되어 고정됨으로써, 에어백쿠션(100)의 전개시 중앙 쿠션부(130)의 파손이 회피된다. 아울러, 제3형상유지테더(600)는 중앙 쿠션부(130)에서 중앙 데드존(132c)이 위치되는 중앙에 연결됨으로써, 중앙 쿠션부(130)가 어느 한쪽으로 편측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를 가이드함에 따라 중앙 쿠션부(130)에 연결되는 일측 쿠션부(110) 및 타측 쿠션부(120)의 전개 위치가 설계된 정상 위치로 전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거동제어테더(200)는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제1데드부(112)의 외측면에 연결되며, 제2거동제어테더(300)는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제2데드부(122)의 외측면에 연결된다.Meanwhile,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first
이렇게, 제1거동제어테더(200)와 제2거동제어테더(300)는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각각 일측 쿠션부(110)와 타측 쿠션부(120)에 대해 선접촉되어 결합성이 확보된다. 또한, 모빌리티에 충돌 발생에 따른 에어백쿠션(100)의 관성 작용시,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거동제어테더(200)와 제2거동제어테더(300)에 의해 에어백쿠션(100)이 측방으로 뒤틀리거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거동이 제한되어 전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아울러, 제1거동제어테더(200)는 제1데드부(112)의 외측면에서 하측에 연결되고, 제2거동제어테더(300)는 제2데드부(122)의 외측면에서 하측에 연결됨으로써, 제1거동제어테더(200)와 제2거동제어테더(300)가 탑승자를 보호하는 팽창 영역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제1거동제어테더(200)와 제2거동제어테더(300)가 에어백쿠션(100)에 연결되는 위치가 최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임에 따라, 에어백쿠션(100)이 관성에 의한 자체 변형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100)을 통한 탑승자의 보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는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가 보호되고, 전개된 에어백의 형상이 유지되며 위치 변동이 최소화됨에 따라 탑승자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Mobility's roof airbag device, which has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deploys the airbag downward from the indoor roof to protect occupants seated in the se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deployed airbag, and minimizes positional changes, thereby keeping occupants safe from impact. protect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This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100:에어백쿠션 110:일측 쿠션부
111:제1외측쿠션부 112:제1데드부
120:타측 쿠션부 121:제2외측쿠션부
122:제2데드부 130:중앙 쿠션부
131:제3외측쿠션부 132:제3데드부
132a:일측 데드존 132b:타측 데드존
133:지지쿠션부 200:제1거동제어테더
300:제2거동제어테더 400:제1형상유지테더
500:제2형상유지테더 600:제3형상유지테더
I:인플레이터 A:꺾임 유도부100: Airbag cushion 110: One side cushion part
111: First outer cushion part 112: First dead part
120: Other side cushion part 121: Second outer cushion part
122: Second dead part 130: Central cushion part
131: Third outer cushion part 132: Third dead part
132a: Dead zone on one
133: Support cushion part 200: First movement control tether
300: 2nd movement control tether 400: 1st shape maintenance tether
500: 2nd shape maintenance tether 600: 3rd shape maintenance tether
I: Inflator A: Bend guide unit
Claims (11)
일단이 일측 쿠션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타단이 일측 쿠션부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타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거동제어테더; 및
일단이 타측 쿠션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어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타단이 타측 쿠션부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일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거동제어테더;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An airbag cushion installed on the indoor ro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sisting of one cushion portion and the other cushion portion that deploys downward when deployed, and a central cushion portion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ne cushion portion and the other cushion portion;
A first motion control tether, one end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cushion to one side and installed on the indoor roof,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ushion to limit movement of the other side of the airbag cushion; and
A second motion control tether, one end of which is spac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to the other side and installed on the indoor roof,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ushion to limit movement of the airbag cushion on one side. A roof airbag device for mobility including a second motion control tether.
중앙 쿠션부는 팽창시 일측 쿠션부와 타측 쿠션부가 실내 루프에서 이격된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1,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cushion por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one cushion portion and the other cushion portion in the indoor roof when inflated.
중앙 쿠션부는 일측 쿠션부와 타측 쿠션부의 끝단에 연통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1,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cushion part is connected to the ends of one cushion part and the other cushion part in communication.
일측 쿠션부와 중앙 쿠션부의 연결 부위 및 타측 쿠션부와 중앙 쿠션부의 연결 부위에는 테두리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꺾임 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1,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is depressed inward to form a bending induction portion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one cushion portion and the central cush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ther cushion portion and the central cushion portion.
일측 쿠션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제1외측쿠션부와 제1외측쿠션부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1데드부로 이루어지고,
타측 쿠션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제2외측쿠션부와 제2외측쿠션부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2데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1,
One cushion part extends along the edge and consists of a first outer cushion part that expands when deployed and a first dead part that is uninflat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outer cushion part,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cushion part extends along the edge and consists of a second outer cushion part that is inflated when deployed and a second dead part that is uninflat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outer cushion part.
중앙 쿠션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일측 쿠션부의 제1외측쿠션부와 타측 쿠션부의 제2외측쿠션부에 연통되는 제3외측쿠션부 및 제3외측쿠션부의 내측에서 미팽창되는 제3데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5,
The central cushion portion extends along the edge and consists of a third outer cushion portion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uter cushion portion of one cushion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cushion portion of the other cushion portion, and a third dead portion that is unexpanded inside the third outer cushion portion. Features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중앙 쿠션부는 제3외측쿠션부에서 제3데드부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지쿠션부가 연장됨에 따라, 제3데드부가 지지쿠션부에 의해 일측 데드존과 타측 데드존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6,
As the central cushion part extends from the third outer cushion part to the support cushion part horizontally crossing the third dead part, the third dead part is divided into one dead zone and the other dead zone by the support cushion part. Roof airbag device.
중앙 쿠션부에는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일측 데드존에 연결된 제1형상유지테더와,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 데드존에 연결된 제2형상유지테더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7,
The central cushion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shape-maintaining tethe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indoor loo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dead zone on one side, and a second shape-maintaining tethe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indoor loo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dead zone. Mobility’s roof airbag device.
지지쿠션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격된 상태에서 대칭되게 연장됨에 따라 지지쿠션부 사이로 중앙 데드존이 형성되며,
중앙 쿠션부에는 일단이 실내 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앙 데드존에 연결된 제3형상유지테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7,
The support cushion parts are composed of a pair and extend symmetrically while being spaced apart, forming a central dead zone between the support cushion parts.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cushion part is provided with a third shape maintenance teth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door roof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entral dead zone.
제1거동제어테더는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제1데드부의 외측면에 연결되며,
제2거동제어테더는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제2데드부의 외측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5,
The first behavior control teth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ead portion,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ehavior control teth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ead portion.
제1거동제어테더는 제1데드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제2거동제어테더는 제2데드부의 하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In claim 10,
A mobility roof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ehavior control teth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ead part, and the second behavior control teth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ead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052A KR20230140195A (en) | 2022-03-29 | 2022-03-29 | Roof airbag apparatus for mo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052A KR20230140195A (en) | 2022-03-29 | 2022-03-29 | Roof airbag apparatus for mobil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0195A true KR20230140195A (en) | 2023-10-06 |
Family
ID=8829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9052A Pending KR20230140195A (en) | 2022-03-29 | 2022-03-29 | Roof airbag apparatus for mo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40195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3743A (en) | 2010-09-30 | 2012-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oof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
2022
- 2022-03-29 KR KR1020220039052A patent/KR2023014019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3743A (en) | 2010-09-30 | 2012-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oof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81089B1 (en) | Roof curtain airbag for vehicle | |
KR102542937B1 (en) | Center curtain airbag for vehicle | |
KR102452467B1 (en) | Airbag for vehicle | |
KR102399622B1 (en) | Side airbag of vehicle | |
KR102789237B1 (en) |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2064842B1 (en) | Airbag apparatus of vehicle | |
KR102602954B1 (en) | Airbag device of vehicle | |
KR20190109812A (en) | Airbag for vehicle | |
KR102427805B1 (en) | Curtain airbag system of vehicle | |
US11926279B2 (en) | Roof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 |
US12128848B2 (en) | Roof airbag for vehicle | |
KR102623949B1 (en) | Roof airbag for vehicle | |
KR102767230B1 (en) | Seat airbag for vehicle | |
US20190263347A1 (en) |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70051824A (en) | Center airbag apparatus | |
KR102635925B1 (en) | Front airbag for vehicle | |
KR20190070174A (en) | Curtain airbag of vehicle | |
US11590924B1 (en) | Airbag apparatus of mobility | |
US12030454B2 (en) | Airbag device | |
KR20230140195A (en) | Roof airbag apparatus for mobility | |
KR20230055159A (en) | Roof airbag apparatus for mobility | |
KR20240088374A (en) | Roof air bag apparatus for mobility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626944B1 (en) | Far side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and folding method thereof | |
EP4477479A1 (en) | Vehicle airbag | |
KR20230026221A (en) | Roof airbag apparatus for mo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