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296A - Multipurpose supporter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suppor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4296A KR20230134296A KR1020220031426A KR20220031426A KR20230134296A KR 20230134296 A KR20230134296 A KR 20230134296A KR 1020220031426 A KR1020220031426 A KR 1020220031426A KR 20220031426 A KR20220031426 A KR 20220031426A KR 20230134296 A KR20230134296 A KR 202301342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bar
- coupled
- fixing plate
- plate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이나 바닥에 고정시키고 휴대폰, 테블릿, 책 등과 같은 거치물을 거치할 수 있어 침대나 쇼파 등에 사용자가 눕거나 착석한 상태로 편리하게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판 형태를 이루며 천정 또는 바닥에 일면이 고정되는 고정판; 일단이 고정판에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타단 측에 결합되고 거치물이 고정되는 거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봉의 일단은, 고정판과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게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and. In particular, it is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and can hold object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s, books, etc.,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view or use the objects while lying or sitting on a bed or sofa. A fixing plate that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has one side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so that it can be fixed; One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is adjustable;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holder, including a holder modul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and fixing an object, w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bar is detachably coupled to a fixing plate by magnetic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이나 바닥에 고정시키고 휴대폰, 테블릿, 책 등을 거치할 수 있어 침대나 쇼파 등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older, and in particular, to a multi-purpose holder that can be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and hold a mobile phone, tablet, book, etc.,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view or use the holder from a bed or sofa.
근래 휴대폰이나 테블릿을 책상이나 차량 등에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거치대를 비롯하여, 책을 거치하여 볼 수 있는 거치대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많이 판매되고 있다. Recently, a variety of stands have been manufactured and sold, including stands that can be used to hold a cell phone or tablet on a desk or vehicle, as well as stands that can be used to hold books.
이러한 거치대는 통상 책상, 차량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바닥이나 천정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이 불가능한바, 사용자가 침대나 바닥 등에 눕거나, 주변에 거치대를 놓을 공간이 없는 쇼파 등에 착석한 상태에서는 거치대를 이용할 수 없어, 사용자가 직접 휴대폰, 테블릿, 책 등과 같은 거치물을 손으로 파지하고 이용할 수 밖에 없다.These stands are usually installed on desks, vehicles, etc. so that the user can use them while seated.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use the stand by installing it on the floor or ceiling, so the user can lie down on a bed or floor, etc., or there is space to place the stand nearby. Since the user cannot use the stand while sitting on an empty sofa, etc.,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hold and use the stand, such as a cell phone, tablet, or book, by hand.
이처럼 거치물을 손으로 파지하고 이용함에 따라, 장시간 거치물을 보기 어려우며, 거치물을 양손으로 조작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른다.As the object is held and used by hand, it is difficult to look at the object for a long time and it is also difficult to manipulate the object with both hand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정이나 바닥에 고정시키고 휴대폰, 테블릿, 책 등과 같은 거치물을 거치할 수 있어 침대나 쇼파 등에 사용자가 눕거나 착석한 상태로 편리하게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can be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and hold object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s, books, etc.,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hold the objects while lying or sitting on a bed or sofa.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stand that can be viewed or us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는, 판 형태를 이루며 천정 또는 바닥에 일면이 고정되는 고정판; 일단이 고정판에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타단 측에 결합되고 거치물이 고정되는 거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봉의 일단은, 고정판과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게끔 결합된다.The present invention's multi-purpose hold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xing plate that is shaped like a plate and has one side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One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is adjustable; It includes a mounting modul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and fixing the object, w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ba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late by magnetic force.
또한, 상기 지지봉의 일단에는 제1 고정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타면에는, 비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지고 링 형태로 형성된 해제링이 가장자리와 인접한 지점에 구비되되, 상기 해제링은, 내주연이 고정판의 타면과 접하고 외주연이 고정판의 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fixed magne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rod,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a release ring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and formed in a ring shape is provided at a point adjacent to the edge, and the release ring has an inner periphery.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so as to contact the oth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and have an outer periphery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또한, 상기 지지봉은, 타단에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모듈은, 일면이 각도조절부재와 결합되고 타면 측에 거치물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ment member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angle at the other end, and one side of the moun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angle adjustment member and a mounting object can be fixed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거치모듈은, 판 형태를 이루는 거치판과, 거치판의 전면(前面)에 기대어진 거치물의 양측 전방을 감싸는 제1 이탈방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판은, 상단부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고 하단과 인접한 하측에 타단이 위치되며 타단에 끼움볼이 구비된 스트랩을 포함하며, 하단에 끼움볼이 거치판의 후방 측에 위치되게끔 스트랩이 지나는 통과홈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module includes a mounting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and a first escape prevention member surrounding both front sides of the object leaning on the front of the mounting plate, wherein the mounting plate has one en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It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adjacent to the lower end, and includes a strap with an insertion ball at the other end, and a passage groove through which the strap passes can be formed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insertion ball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또한, 상기 지지봉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종방향지지봉과, 종방향지지봉의 타단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지지봉을 포함하되, 상기 횡방향지지봉에는, 복수 개의 거치모듈이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ar includes a longitudinal support bar whose length is adjustable and a transverse support ba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support bar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transverse support bar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module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combined.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판이 천정 또는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력을 통해 거치모듈이 결합된 지지봉을 고정판에 결합시키고, 거치모듈에 휴대폰, 테블릿, 책 등과 같은 거치물을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침대나 쇼파 등에 사용자가 눕거나 착석한 상태로 편리하게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fixing plate is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the support bar to which the holding module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through magnetic force, and by fixing object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s, books, etc. to the holding module, the user Users can conveniently view or use the stand while lying down or sitting on a bed or sofa.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가 천정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에 적용된 볼조인트 결합 구조과, 지지봉의 길이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에 적용된 지지봉이 해제링을 통해 고정판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가 천정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가 천정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에 적용되는 제2 거치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가 천정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에 적용되는 제2 거치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에 적용되는 제2 거치모듈에 책이 거치되고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xed to the ceiling;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ball joint coupling structure and the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upport bar applied to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4 is an example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upport bar applied to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onnected from the fixing plate through a release rin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xed to the ceiling;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xed to the ceilin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unting module applied to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xed to the ceilin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unting module applied to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ok is placed and fixed on a second holder module applied to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ure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ures 13 to 15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 user viewing or using a holder using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천정이나 바닥에 고정시키고 휴대폰, 테블릿, 책 등과 같은 거치물을 거치할 수 있어 침대나 쇼파 등에 사용자가 눕거나 착석한 상태로 편리하게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판 형태를 이루며 천정 또는 바닥에 일면이 고정되는 고정판; 일단이 고정판에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타단 측에 결합되고 거치물이 고정되는 거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봉의 일단은, 고정판과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게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and can hold object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s, books, etc.,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view or use the object while lying down or sitting on a bed or sofa, etc. It is in the form of a plate. A fixing plate on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One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is adjustable; We propose a multi-purpose holder including a holder modul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and fixing the mount, w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bar is detachably coupled to a fixing plate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to 15.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0), 지지봉(200) 및 거치모듈(300)을 포함한다.The multipurpos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고정판(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일면이 천정 또는 바닥에 고정된다. 천정 또는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판(100)의 일면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은 양면 테이프 등일 수 있다. 다만, 고정판(100)이 바닥에 고정되는 경우,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하지 않고 평평한 일면에 의해 바닥에 고정될 수도 있다. The
지지봉(2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이 되지 않게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봉일 수 있으나, 사용 환경이나 사용자에 맞출 수 있게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봉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0)은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봉은 조임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조임수단을 풀어 전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한 후 조임수단을 조여 늘어나거나 줄어든 길이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봉(200)의 일단은 고정판(100)에 결합되며, 지지봉(200)의 타단에는 거치모듈(300)이 결합된다.The
특히, 본 발명에서의 지지봉(200)의 일단은, 고정판(100)과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게끔 결합된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0)의 일단에는 제1 고정자석(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판(100)은 철 등과 같은 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제1 고정자석(210)과 결합되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봉(200)은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고정판(100)의 중심부에 일단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one end of the
이처럼 고정판(100)과 지지봉(200)이 자력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할 시 거치모듈(300)이 결합된 지지봉(200)을 고정판(100)에 결합시키고, 본 발명을 이용치 않을 시 거치모듈(300)이 결합된 지지봉(200)을 고정판(1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As the
한편, 고정판(100)과 결합되는 제1 고정자석(210)은, 견고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강한 자력을 가지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바, 고정판(100)에는 지지봉(200)의 일단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100)의 타면에 구비되는 분리수단은, 일 예로 고무 등과 같은 비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지고 링 형태로 형성된 해제링(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해제링(1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0)의 타면에서 가장자리와 인접한 지접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내주연이 고정판(100)의 타면과 접하고 외주연이 고정판(100)의 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Meanwhile, the first fixed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판(100)의 타면 중앙에 자력으로 인해 결합된 지지봉(200)을 분리시키고자 할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0)을 기울여 제1 고정자석(210)의 일부가 고정판(100)의 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다음, 제1 고정자석(210)을 해제링(110)이 구비된 지점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후, 제1 고정자석(210)이 비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진 해제링(11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지지봉(200)이 고정판(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separate the
한편, 지지봉(200)에 대하여 지지봉(200)의 타단 측에 결합되는 거치모듈(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끔, 지지봉(200)은 타단에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거치모듈(300)은 일면에 각도조절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be a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각도조절부재(220)는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0)의 타단에 제2 고정자석(220a)이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된 제2 고정자석(220a)은, 각도가 조절된 후 볼을 가압하는 나사가 조여짐에 따라, 해당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220)는 다른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200)의 타단에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자유로운 각도 변형이 가능한 가변지지대(22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지지대(220b)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변형시 변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한편, 거치모듈(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봉(200)의 타단 측에 결합되고 거치물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의 거치물은, 휴대폰, 테블릿, 책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거치모듈(300)은 일면이 지지봉(200)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면 측에 거치물이 고정될 수 있다. 거치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자석(220a) 등에 의해 지지봉(200)의 타단과 탈착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지지대(220b) 등에 의해 지지봉(200)의 타단과 일체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ounting
휴대폰 등을 거치하기에 편리한 거치모듈(300)은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판(310a)과, 제3 고정자석(320a)을 포함하는 제1 거치모듈(300a)일 수 있다. 여기서의 거치판(310a)는 휴대폰 등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판(310a)의 일면에 지지봉(200)의 타단이 결합되고, 거치판(310a)의 타면에 휴대폰 등이 자력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제3 고정자석(320a)이 구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mounting
테블릿 등을 거치하기에 편리한 거치모듈(300)은, 일 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판(310b)과, 제4 고정자석(320b)을 포함하는 제2 거치모듈(300b)일 수 있다. 여기서의 거치판(310b)은 테블릿 등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판(310b)의 하단부는 종단면이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게끔 이탈방지턱(311b)이 형성되어, 거치판(310b)에 지지된 테블릿의 하단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거치판(310b)의 일면에 지지봉(200)의 타단이 결합되고, 거치판(310b)의 타면에 테블릿 등이 자력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제4 고정자석(320b)이 구비될 수 있다. The mounting
책 등을 거치하기에 편리한 거치모듈(300)은, 일 예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판(310c), 제1 이탈방지구(320c), 제2 이탈방지구(330c), 스트랩(340c)을 포함할 수 있는 제3 거치모듈(300c)일 수 있다. 여기서의 거치판(310c)은, 책 등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책 등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탈방지구(320c)는, 거치판(310c)의 전면(前面)에 기대어진 거치물의 양측 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2 이탈방지구(330c)는, 거치판(310c)의 전면(前面)에 기대어진 거치물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거치판(310c)의 하단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mounting
제1 이탈방지구(320c) 또는/및 제2 이탈방지구(330c)가 형성된 거치판(310c)에는, 제3 거치모듈(300c)이 어떠한 기울기를 가지더라도 거치물이 낙하되지 않게끔 거치물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스트랩(340c)이 구비될 수 있다. 스트랩(340c)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판(310c)의 상단부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고 하단과 인접한 하측에 타단이 위치되며 타단에 끼움볼(341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거치판(310c)의 하단에는, 끼움볼(341c)이 거치판(310c)의 후방 측에 위치되게끔 스트랩(340c)이 지나는 통과홈(311c)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따라서, 거치판(310c)의 전면(前面)에 기대어진 거치물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탈방지구(320c) 또는/및 제2 이탈방지구(330c)에 의해 일차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며, 스트랩(340c)이 거치물의 전면(前面)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끼움볼(341c)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스트랩(340c)에 의해 이차적으로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Accordingly, the object leaning against the front of the mounting
그리고 거치물이 거치판(310c)의 전면(前面)보다 작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스트랩(340c)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판(310c)의 전면(前面)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312c)이 함입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312c)의 하단은 통과홈(311c)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And considering that the mounting object may be smaller than the front of the mounting
한편,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는, 여러 명의 사용자가 본 발명을 통해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allow multiple users to view or use the holder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or to allow one user to view or use a plurality of holders.
일 예로, 지지봉(2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종방향지지봉(200a)과, 종방향지지봉(200a)의 타단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지지봉(20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횡방향지지봉(200b)에는, 복수 개의 거치모듈(300)이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횡방향지지봉(200b)에 복수 개의 거치모듈(300)이 결합됨에 있어, 각도조절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거치모듈(300)은 제1 거치모듈(300a) 또는/및 제3 거치모듈(300c)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다용도 거치대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0)이 천정 또는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력을 통해 거치모듈(300)이 결합된 지지봉(200)을 고정판(100)에 결합시키고, 거치모듈(300)에 휴대폰, 테블릿, 책 등과 같은 거치물을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침대나 쇼파 등에 사용자가 눕거나 착석한 상태로 편리하게 거치물을 보거나 이용할 수 있다.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ses the
100 : 고정판
110 : 해제링
200 : 지지봉
200a : 종방향지지봉
200b : 횡방향지지봉
210 : 제1 고정자석
220 : 각도조절부재
220a : 제2 고정자석
220b : 가변지지대
300 : 거치모듈
300a : 제1 거치모듈
310a : 거치판
320a : 제3 고정자석
300b : 제2 거치모듈
310b : 거치판
311b : 이탈방지턱
320b : 제4 고정자석
300c : 제3 거치모듈
310c : 거치판
311c : 통과홀
312c : 가이드홈
320c : 제1 이탈방지구
330c : 제2 이탈방지구
340c : 스트랩
341c : 끼움볼100: fixing plate 110: release ring
200:
200b: horizontal support bar 210: first fixed magnet
220:
220b: Variable support
300: Mounting
310a: Mounting
300b: second mounting
311b:
300c:
311c: Passing
320c: 1st
340c:
Claims (5)
일단이 고정판(100)에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봉(200);
상기 지지봉(200)의 타단 측에 결합되고 거치물이 고정되는 거치모듈(30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봉(200)의 일단은, 고정판(100)과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게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A fixing plate (100) that is shaped like a plate and has one side fixed to the ceiling or floor;
A support bar (200) whose length is adjustable and whose end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00);
Includes a mounting module 30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od 200 and on which the mounting object is fixed,
A multi-purpos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support rod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00) by magnetic force.
상기 지지봉(200)의 일단에는 제1 고정자석(21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100)의 타면에는, 비자성체 소재로 이루어지고 링 형태로 형성된 해제링(110)이 가장자리와 인접한 지점에 구비되되,
상기 해제링(110)은, 내주연이 고정판(100)의 타면과 접하고 외주연이 고정판(100)의 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fixed magnet 21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rod 200,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100, a release ring 110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and formed in a ring shape is provided at a point adjacent to the edge,
The release ring (110) is a multi-purpos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y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0) and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o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0).
상기 지지봉(200)은, 타단에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부재(220)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모듈(300)은, 일면이 각도조절부재(220)와 결합되고 타면 측에 거치물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upport rod 200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ment member 220 at the other end that can freely adjust the angle,
The mounting module 300 is a multi-purpos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angle adjustment member 220 and the mount is fixed to the other side.
상기 거치모듈(300)은, 판 형태를 이루는 거치판(310c)과, 거치판(310c)의 전면(前面)에 기대어진 거치물의 양측 전방을 감싸는 제1 이탈방지구(320c)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판(310c)은, 상단부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고 하단과 인접한 하측에 타단이 위치되며 타단에 끼움볼(341c)이 구비된 스트랩(340c)을 포함하며, 하단에 끼움볼(341c)이 거치판(310c)의 후방 측에 위치되게끔 스트랩(340c)이 지나는 통과홈(311c)이 함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ounting module 300 includes a mounting plate 310c in the form of a plate, and a first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320c surrounding both front sides of the object leaning on the front of the mounting plate 310c,
The mounting plate 310c includes a strap 340c, one end of which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the other end located on the lower side adjacent to the bottom, and the other end having an insertion ball 341c, and an insertion ball 341c at the lower end. A multi-purpos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passage groove (311c) through which a strap (340c) passes is recess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310c).
상기 지지봉(200)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종방향지지봉(200a)과, 종방향지지봉(200a)의 타단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지지봉(200b)을 포함하되,
상기 횡방향지지봉(200b)에는, 복수 개의 거치모듈(300)이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 bar 200 includes a longitudinal support bar 200a whose length is adjustable, and a transverse support bar 200b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support bar 200a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multi-purpos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der modules 300 are coupled to the transverse support bar 200b at a predetermined interv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1426A KR20230134296A (en) | 2022-03-14 | 2022-03-14 | Multipurpose suppor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1426A KR20230134296A (en) | 2022-03-14 | 2022-03-14 | Multipurpose suppor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4296A true KR20230134296A (en) | 2023-09-21 |
Family
ID=8818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1426A Pending KR20230134296A (en) | 2022-03-14 | 2022-03-14 | Multipurpose suppor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4296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5417A (en) | 2016-07-06 | 2018-01-16 | 장종환 | Ceiling fixed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2022
- 2022-03-14 KR KR1020220031426A patent/KR2023013429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5417A (en) | 2016-07-06 | 2018-01-16 | 장종환 | Ceiling fixed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62644B2 (en) | Hands-free holding device | |
US7856687B2 (en) | Adjustable pillow device | |
US7118080B2 (en) |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 |
US6161487A (en) | Computer office table structure | |
US20120091307A1 (en) | Stand and method for hands free reading and viewing | |
US5009379A (en) | Bed mounted television stand | |
US20200214408A1 (en) |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 |
US7210662B2 (en) | Display device with a foldable suspension arm | |
US6075190A (en) | Drum holder | |
US7066339B2 (en) | Adjustable hanging device | |
US20160198836A1 (en) | Portable hands-free bracket | |
KR20230134296A (en) | Multipurpose supporter | |
KR102332555B1 (en) | Suppor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KR101359323B1 (en) | Reading stand for attaching a desk | |
US20190061854A1 (en) | Adjustable structure for rear seat of bicycle | |
US7152840B2 (en) | Book holder | |
US20150041244A1 (en) | Universal Tablet Holder | |
CN210609260U (en) | Novel curved screen mobile phone screen amplifier | |
KR20100069927A (en) | Notebook computer supportor | |
CN214064510U (en) | An adjustable angle laptop stand | |
CN212546150U (en) | Sitting posture corrector | |
JP3700146B2 (en) | Stand for thin display | |
KR20180064244A (en) | Baby seat apparatus and baby carriage having the same | |
JPS60175A (en) | Television receiver support stand | |
JP3211107U (en) | Angle adjustable sepa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