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71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3716A KR20230133716A KR1020220031041A KR20220031041A KR20230133716A KR 20230133716 A KR20230133716 A KR 20230133716A KR 1020220031041 A KR1020220031041 A KR 1020220031041A KR 20220031041 A KR20220031041 A KR 20220031041A KR 20230133716 A KR20230133716 A KR 202301337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level
- level sensor
- case
- pu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수위 센서부가 물통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케이스에 고정되기 때문에 물통의 착탈 여부와 무관하게 수위 센서부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을 높이고, 수위 센서부의 상면이 물통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잔수에 의한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부의 오작동을 감소시키고 작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를 냉장실이나 냉동실과 같은 저장실에 공급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관 대상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실에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는 냉기에 의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장치를 포함하며, 제빙 장치는 일정량의 얼음을 미리 제조하여 보관할 수 있다.
제빙 장치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제빙 장치에 물이 공급되어야 하고, 제빙 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2가지 방식을 예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도와 같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플러밍(Plumbing) 방식과 사용자가 물을 채워넣은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넌플러밍(Non-Plumbing) 방식이 있다.
넌플러밍 방식의 경우 제빙 장치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수위 센서부를 포함한다.
제빙 장치에 물이 급수되면 물통의 물은 점점 감소하게 되는데, 수위 센서부를 통해서 물통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물 부족 시점까지는 급수를 진행하되 그 이후의 시점에서는 급수를 중단하여 사용자에게 물 부족 안내를 할 수 있다.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스프링과 같은 탄성 가압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위 센서부는 물통의 측면에 배치되어, 물통의 착탈 여부에 따라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물통의 측면에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넌플러밍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물통에 물을 직접 채워넣어야 하기 때문에, 물통은 매우 많은 횟수로 착탈이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물통의 착탈이 반복됨에 따라 수위 센서부를 이동시키는 스프링의 탄성이 변화하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수위 센서부의 작동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물통의 측면에서 수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수위 센서부의 하부 끝단과 물의 경계선 부근에서 수위 센서부의 수위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오작동에 대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부의 오작동을 감소시키고 작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손을 최소화하도록 수위 센서 케이스의 내측에 수위 감지 센서가 결합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과 수위 센서부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물통을 고정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의 물을 제빙 장치로 이동시키는 펌프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로부터 유동된 물이 이동하는 튜브의 탈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홀더 브라켓 내에 삽입되는 펌프가 몰딩액의 부력에 의해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을 수용하는 케이스가 물통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납부의 이동도 안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는,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부가 물통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케이스에 고정되고, 수위 센서부의 상면은 물통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위 센서부가 물통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케이스에 고정되기 때문에 물통의 착탈 여부와 무관하게 수위 센서부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을 높이고, 수위 센서부의 상면이 물통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잔수에 의한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은 상기 물통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물통은 후방 하부 영역에 상기 수위 센서부를 수용하도록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유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유로 덕트 냉기 유입구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물통의 하면은 상기 수위 센서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바닥면과 상하 방향으로 상기 수위 센서부와 중첩되지 않는 제2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면은 상기 물통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바닥면은 상기 제2 바닥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위 센서부가 고정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수위 센서부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수위 센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상기 수위 센서 케이스의 전면 내측에 배치된 센서 전면 걸이부와, 상기 수위 센서 케이스의 양 측면 내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센서 측면 걸이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텐션 리브에 의해서 상기 수위 센서 케이스의 상면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과 상기 제1 바닥면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과 상기 제1 바닥면 사이의 거리는 2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물통의 하면은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을 연결하는 바닥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부의 전면과 상기 바닥 연결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과 상기 제1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물통을 수용하는 물통 수용부, 상기 펌프를 수용하는 펌프 수용부, 및 상기 물통 수용부와 상기 펌프 수용부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케이스는 냉장실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구획벽은, 상기 물통 수용부와 상기 펌프 수용부를 구분하는 제1 구획벽, 상기 제1 구획벽의 일측 끝단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2 구획벽, 및 상기 제1 구획벽의 상측 끝단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3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벽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물통은 상기 냉장실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 구획벽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펌프는 상기 냉장실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물통을 수용하는 물통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 수용부는, 상기 물통의 후방 측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제1 측면 고정부, 상기 물통의 전방 측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제2 측면 고정부, 및 상기 물통의 전방 하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하면 고정부 중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물통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한 쌍의 상기 제1 측면 고정부는 상기 물통의 양 측면에 있는 한 쌍의 측면 함몰부와 결합하여 상기 물통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물통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제2 측면 고정부는 상기 물통의 착탈시 상기 물통의 측면에 있는 물통 가이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하면 고정부는 상기 물통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통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감싸는 홀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펌프를 수용하는 펌프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수용부는 상기 홀더 브라켓을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브라켓은 상기 제2 체결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관통구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관통구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에는 상기 제2 체결부를 감싸는 댐퍼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일측이 절개된 상기 관통구는 상기 관통구의 내측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된 끼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외측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된 가이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결합부가 상기 끼움 가이드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댐퍼는 일측이 절개된 상기 관통구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체결 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에는 와셔가 위치하고, 상기 와셔의 일면은 상기 제2 체결 부재와 접촉하되, 상기 와셔의 타면은 상기 제2 체결부 및 상기 댐퍼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감싸는 홀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브라켓은 상기 펌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펌프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돌출된 고정 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물통으로부터 급수된 물을 이동시키는 제3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3 튜브와 각각 서로 다른 힘 방향으로 걸림 결합을 하는 제1 걸림부, 제2 걸림부, 및 제3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수위 센서부가 물통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케이스에 고정되기 때문에 물통의 반복적인 착탈 여부와 무관하게 수위 센서부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부의 상면이 물통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잔수가 고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잔수에 의한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수위 감지 센서가, 수위 센서 케이스의 센서 전면 걸이부에 1차적으로 고정되고 센서 측면 걸이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텐션 리브에 의해서 2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수위 감지 센서의 파손을 감소시키면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위 감지 센서는 수위 센서 케이스의 상면 내측에 갭을 최소화하도록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케이스의 물통 수용부에 수용되는 물통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물통의 측면 및/또는 하면에 배치함으로써, 물통과 수위 센서부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물통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수위 감지 센서부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펌프를 감싸는 홀더 브라켓이 케이스의 제2 체결부에 제2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홀더 브라켓과 제2 체결부 사이에 제2 체결부를 감싸는 댐퍼가 배치됨으로써, 펌프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펌프와 연결되어 물이 이동하는 튜브를 각각 서로 다른 힘 방향으로 걸림 결합을 하는 복수의 걸림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작업 및 부품 이동간 튜브의 탈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홀더 브라켓의 몸체부 내측에 펌프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돌출된 고정 리브를 배치함으로써, 홀더 브라켓 내부에 몰딩액을 주입하는 경우 부력에 의해 펌프가 부상하여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물통이 착탈되는 케이스의 일측면에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부를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물통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납부의 이동도 안내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 케이스, 수위 센서부, 펌프, 및 홀더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스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물통이 수용된 물통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스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펌프가 수용된 펌프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수위 센서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케이스에 물통이 분해된 상태에서 물통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측면 고정부와 하면 고정부를 보여주도록 상하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측면 고정부와 측면 함몰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좌우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케이스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펌프가 수용된 펌프 수용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펌프가 삽입된 홀더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펌프가 삽입된 홀더 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B-B'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 케이스, 수위 센서부, 펌프, 및 홀더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스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물통이 수용된 물통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스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펌프가 수용된 펌프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수위 센서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케이스에 물통이 분해된 상태에서 물통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측면 고정부와 하면 고정부를 보여주도록 상하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측면 고정부와 측면 함몰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좌우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케이스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펌프가 수용된 펌프 수용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펌프가 삽입된 홀더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펌프가 삽입된 홀더 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B-B'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캐비닛(2)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은 냉장고(1)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와 내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30)는 서로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격된 공간 내에는 단열재가 발포되어 빈 공간은 단열재로 채울 수 있다.
내부 케이스(30)는 복수의 오픈된 박스 형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냉장실(41)과 냉동실(42)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실(41)이 냉동실(42)의 상부에 배치되는 형태를 일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캐비닛(2)의 전면에는 도어(미도시)가 연결되어 냉장고(1)를 개폐할 수 있다.
냉장실(41)과 냉동실(42)에는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이동하는 복수의 수납부(51)와, 복수의 선반부(52)들이 구비되어 보관 대상물을 용이하게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다.
냉동실(42)에는 얼음을 생성하고 보관할 수 있는 제빙 장치(5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빙 장치(500)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물이 공급되어야 한다.
냉장실(41)에는 물통(100)이 위치하고, 물통(100)의 물은 제빙 장치(500)로 급수될 수 있다.
물통(100)은 하나 이상의 수납부(5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 케이스, 수위 센서부, 펌프, 및 홀더 브라켓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물통(100)과 물통(100)을 수용하는 케이스(200)는 냉장실(41)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하나 이상의 구획벽(230)을 통해서 물통(100)을 수용하는 물통 수용부(210)와 펌프(400)를 수용하는 펌프 수용부(220)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벽은 물통 수용부(210)와 펌프 수용부(220)를 구분하는 제1 구획벽(2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획벽(231)의 일측 끝단면에서 후방으로 제2 구획벽(232)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벽(231)의 상측 끝단면에서 후방으로 제3 구획벽(233)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획벽(232)의 상측 끝단면은 제3 구획벽(233)의 일측 끝단면과 맞닿게 된다.
케이스(200)는 내부 케이스(30)에 밀착 고정되어, 제1 구획벽(231), 제2 구획벽(232), 및 제3 구획벽(233)에 의해서 형성되는 펌프 수용부(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획벽(231)의 후방에 위치하는 펌프(400)는 냉장실(41)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어, 냉장실(41)의 미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2 구획벽(232)의 후측 끝단면을 따라 마감벽(234)이 추가로 형성되어 내부 케이스(30)와의 고정력과 밀착력을 높이고, 미관상 마감재 역할을 할 수 있다.
펌프 수용부(220)에는 제1 구획벽(231)의 상측에 형성된 연통구(231a)와 일측이 연결되는 제1 튜브(410)와, 제1 튜브(410)의 타측에 연결되는 펌프(400), 펌프(4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튜브(420), 및 펌프(400)를 감싸는 홀더 브라켓(4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획벽(231)의 전방에 위치하는 물통(100)은 냉장실(41)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물통(100)을 케이스(200)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통(100)을 수용하는 물통 수용부(210)는 제1 구획벽(231)과 제1 구획벽(231)의 일측 끝단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 측벽(235) 및 타측 끝단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2 측벽(236)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물통(100)은 케이스(200)의 물통 수용부(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물통(1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부(300)는 수위 감지 센서(320)와 수위 감지 센서(320)의 외관 보호 역할을 하는 수위 센서 케이스(310)를 포함하여, 물통 수용부(210)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00)에 고정될 수 있다.
물통(100)은 물을 저장하는 물통 저장부(110)와 물통 저장부(110)의 상부를 덮는 물통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커버(120)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된 물통 캡(121)이 추가로 형성되어 물을 버리거나 채울 때 개폐될 수 있다.
물통 저장부(110)의 전방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 하부 영역이 상부 방향으로 인입된 손잡이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물통 저장부(110)의 내측에는 급수관(130)이 배치되어, 물통(100)의 물을 연통구(231a)를 통해 연결된 제1 튜브(410)로 유동시킬 수 있다.
물통 저장부(110)의 후방 하부 영역에는 수위 센서부(300)를 수용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인입된 인입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20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1 측벽(235)에는 물통(100)과 나란히 배치되는 수납부(5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부(280)가 케이스(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280)는 수납부(51)의 일단을 지지하는 레일(281)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281)은 제1 측벽(235)의 상측에 설치되며, 수납부(51)의 일 측을 지지할 수 있다.
레일(281)은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소정 두께를 갖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납부(5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중공의 레일(281)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280)는 케이스(200)를 내부 케이스(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측벽(235)의 바닥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바닥 고정부(284a)와 제2 바닥 고정부(2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 고정부(284a)는 제1 측벽(235)의 후단에 배치되고, 제2 바닥 고정부(284b)는 제1 측벽(235)의 선단에 배치되어 고정 강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레일(281)의 전방에는 제1 측벽(235)에 롤러(283)가 형성되어, 수납부(51)의 일단이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레일(281)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가이드 홈(282)이 형성되어 수납부(51)의 바퀴 등이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물통(100)이 착탈되는 케이스(200)의 일측면에 수납부(5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부(280)를 케이스(200)와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물통(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납부(51)의 이동도 안내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센서부(300)와 물통(100)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물통(100)의 내측에 저장된 물(101)은 제빙 장치(500)에서 급수를 요청하는 경우 작동하는 펌프(400)에 의해서, 급수관(130)을 통해서 제1 튜브(410), 제2 튜브(420), 및 제3 튜브(260)를 거쳐 제빙 장치(5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튜브(410)를 통해 급수관(130)과 펌프(400)는 연통되고, 제2 튜브(420)를 통해서 펌프(400)와 제3 튜브(260)는 연통될 수 있다.
제3 튜브(260)와 제빙 장치(500) 사이에는 밸브(미도시)가 배치되어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고, 밸브(미도시)는 냉장고(1)의 기계실(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수위 센서부(300)는 물통(100)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케이스(2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100)의 하면은 수위 센서부(3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바닥면(111)과, 수위 센서부(3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2 바닥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면(111)은 제2 바닥면(112)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제1 바닥면(111)과 제2 바닥면(112)은 바닥 연결면(113)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통(100)의 인입부(140)는 제1 바닥면(111)과 바닥 연결면(113)에 의해서 형성되는 물통(100) 외측의 하부 빈 공간일 수 있다.
케이스(200)는 수위 센서부(300)가 고정되도록 개구된 개구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01)는 수위 센서부(300)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부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01)는 물통(100)의 인입부(14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서(320)는 수위 센서 케이스(310)의 전면 내측에 배치되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센서 전면 걸이부(311)에 의해 1차적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감지 센서(320)의 일측은 센서 전면 걸이부(311)와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 사이에 걸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수위 감지 센서(320)는 수위 센서 케이스(310)의 양 측면 내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센서 측면 걸이부(312)를 포함하는 한 쌍의 텐션 리브(314)에 의해서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 내측에 2차적으로 걸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센서 측면 걸이부(312)는 텐션 리브(314)의 중앙 영역에 연결되어 수위 센서 케이스(3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을 갖는 텐션 리브(314)는 수위 센서부(300)의 측면(300e)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감지 센서(320)를 센서 측면 걸이부(312)와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 내측 사이에 걸림 결합하려고 하는 경우, 양 쪽의 텐션 리브(314)가 수위 센서부(300)의 측면(300e)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벌어질 수 있어 수위 감지 센서(32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측면 걸이부(312)는 수위 감지 센서(320)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어, 수위 감지 센서(320)의 결합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위 감지 센서(320)는, 수위 센서 케이스(310)의 센서 전면 걸이부(311)에 1차적으로 고정되고 센서 측면 걸이부(312)를 포함하는 한 쌍의 텐션 리브(314)에 의해서 2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위 감지 센서(320)의 파손을 감소시키면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서(320)는 물통(100) 내부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물통(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 감지 센서(320)는 물통(100) 내부의 물(101)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물통(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보다 수위 감지의 오류를 감소시키고, 감지가 가능한 최소 거리의 확보를 위하여 최대한 수위 감지 센서(320)와 물통(100)의 거리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로 인하여 수위 감지 센서(320)는 수위 센서 케이스(310)의 상면(300a)의 내측 배면에 갭이 최소화되도록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바, 수위 감지 센서(320)의 감도를 높이고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위 센서부(300)의 전면(300c) 중앙 영역에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케이스 고정 후크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고정 후크부(313)는 케이스(200)의 개구부(201)에 형성된 후크 걸림홀(202)에 후크 결합되어, 수위 센서부(300)의 전면(300c)을 개구부(20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 케이스(310)의 후면(300d)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케이스 고정 연장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고정 연장부(317)에는 연장부 관통홀(318)이 형성되어, 케이스(200)의 개구부(201)에 형성된 제1 체결부(203)와 제1 체결 부재(330)의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위 센서부(300)의 후면(300d)은 개구부(20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부재(330)는 볼트일 수 있으며, 케이스 고정 연장부(317)는 제1 체결부(203)와 제1 체결 부재(33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체결 부재(330)와 제1 체결부(203)의 스크류 체결에 의해서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03)는 하부 방향을 향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어, 제1 체결 부재(330)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스크류 체결이 될 수 있다.
수위 센서부(300)의 양 측면(300e)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한 쌍의 측면 가이드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 가이드부(315)는 수위 센서 케이스(310)의 측면(300e)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바, 측면 가이드부(315)의 측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케이스 안착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가이드부(315)는 수위 센서부(300)를 케이스(200)의 개구부(201)에 결합시킬 때 결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안착부(316)는 개구부(201)와 접촉하여 고정되는 영역이며, 케이스 안착부(316)와 개구부(201)의 접촉에 의해서 수위 센서부(30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센서부(300)는 제1 체결 부재(330)와 제1 체결부(203)의 결합과, 케이스 안착부(316)와 개구부(201)의 결합 시 받는 힘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갖기 때문에 케이스(200)에 더욱 강하게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센서부(300)는 물통(100)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케이스(200)에 강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물통(100)의 반복적인 착탈 여부와 무관하게 수위 센서부(300)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개구부(201)에 결합되는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은 개구부(201)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은 물통(100)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물통(100)을 착탈하는 과정에서 물통(100)의 물이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에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수위 감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이 물통(100)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잔수가 고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잔수에 의한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에 대응되는 물통(100)의 제1 바닥면(111)도 물통(100)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과 물통(100)의 제1 바닥면(11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물통(100)의 제1 바닥면도 물통(100)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물통(100) 내부에서도 잔수가 고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수위 센서부(300)가 물통(100) 내부의 잔수에 의해서 오작동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과 제1 바닥면(111)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수위 센서부(300)의 센서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반복되는 물통(100)의 착탈 과정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의 파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과 제1 바닥면(111) 사이의 거리가 2mm 이하가 되도록 소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과 제1 바닥면(111) 사이의 거리가 2mm를 초과하는 경우 수위 센서부(300)의 센서 감도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부(300)의 전면(300c)과 바닥 연결면(113) 사이의 거리는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과 제1 바닥면(111)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수위 센서부(300)의 경우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수위 감지 센서(320)에 의해서 제1 바닥면(111)에 형성되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수위 센서부(300)의 전면(300c)과 바닥 연결면(113)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과 제1 바닥면(111)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짧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닥면(111)보다 수위가 내려가서 바닥 연결면(113)에 수위가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바닥 연결면(113)에 가까운 수위 감지 센서(320)의 일끝단이 바닥 연결면(113)에 접촉하는 물(101)의 존재를 감지하게 되어, 미리 설정된 물 부족 단계를 안내하지 못하는 감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위 센서부(300)의 전면(300c)과 바닥 연결면(113) 사이의 거리를 수위 센서부(300)의 상면(300a)과 제1 바닥면(111)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형성함으로써, 수위 감지 센서(320)의 오작동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위 센서부(300)의 전면(300c)과 바닥 연결면(113) 사이의 거리는 2mm를 초과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추가로 참고하여 물통(100)을 고정시키는 케이스(200)의 고정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200)의 물통 수용부(210)는, 물통(100)의 후방 측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제1 측면 고정부(211), 물통(100)의 전방 측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제2 측면 고정부(212), 및 물통(100)의 전방 하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하면 고정부(213) 중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200)의 물통 수용부(210)에 수용되는 물통(100)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물통(100)의 측면 및/또는 하면에 배치함으로써, 물통(100)과 수위 센서부(300)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물통(100)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수위 센서부(300)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한 쌍의 상기 제1 측면 고정부(211)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착탈 발걸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측면 고정부(211)는 물통(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물통(100)의 양 측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면 함몰부(150)와 결합됨으로써 물통(1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면 고정부(211)는 각각 제1 측벽(235)과 제2 측벽(236)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측면 고정부(212)는 전후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을 갖되, 물통()의 장착시 가이드가 용이하도록 전방의 경우 상부 방향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측면 고정부(212)는 물통의 물통 가이드부(16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물통(100)의 착탈시 물통(1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물통(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면 고정부(213)는 물통(100)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물통(1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추가로 참조하여 펌프(400)와 펌프(400)를 감싸는 홀더 브라켓(43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펌프(400)는 홀더 브라켓(430)에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홀더 브라켓(430)은 펌프(400)를 수용하는 몸체부(431)와 몸체부(431)의 상측에서 양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날개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31)는 펌프(400)를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펌프(4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431)에 고정되는 펌프(400)는 스크류 결합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431)는 펌프(400)가 삽입되도록 일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431)에 삽입된 펌프(400)는 제1 튜브(410) 및 제2 튜브(420)와 각각 연결되는 일부 영역의 경우 몸체부(431)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몸체부(431)에 펌프(400)가 삽입되고 나면 고정을 위하여 몰딩액을 몸체부(431)에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400)는 몰딩액의 주입으로 인한 부력에 의해서 외부 방향으로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431)의 내측에는 몸체부(431)에 삽입된 펌프(40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돌출된 고정 리브(43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리브(435)는 펌프(40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결합된 이후에는 탈거가 어렵도록, 펌프(4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브라켓(430)의 몸체부(431) 내측에 펌프(40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돌출된 고정 리브(435)를 배치함으로써, 홀더 브라켓(430) 내부에 몰딩액을 주입하는 경우 부력에 의해 펌프(400)가 부상하여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 브라켓(430)의 날개부(432)의 양 측 끝단에는 일측이 절개된 관통구(43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432)의 양 측 끝단이 개구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관통구(433)는 일부 영역이 절단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측이 절개된 관통구(433)의 내측 둘레 방향을 따라 끼움 가이드(434)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 가이드(434)는 날개부(43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관통구(433)의 내측 둘레 방향 중심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제2 구획벽(232)에는 홀더 브라켓(430)을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체결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460)는 홀더 브라켓(430)의 관통구(433)를 통과하여 홀더 브라켓(430)을 제2 체결부(2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460)는 스크류 볼트일 수 있으며, 제2 체결 부재(460)와 제2 체결부(240)는 볼트 체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240)와 관통구(433)는 제2 체결 부재(460)에 의해 체결되되, 관통구(433)와 제2 체결부(240) 사이에는 제2 체결부(240)를 감싸는 댐퍼(4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부(240)의 돌출된 선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는 댐퍼(450)는 원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형상을 갖는 댐퍼(450)는 외측 둘레 방향 중심부를 따라 함몰된 가이드 결합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댐퍼(450)의 가이드 결합부(451)는 홀더 브라켓(430)의 끼움 가이드(434)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가이드(434)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450)는 일측이 절개된 관통구(433)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결합부(451)가 끼움 가이드(43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댐퍼(450)는 펌프(400)의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탄성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430)이 케이스(200)의 제2 체결부(240)와 제2 체결 부재(460)에 의해 체결되되, 홀더 브라켓(430)과 제2 체결부(240) 사이에 제2 체결부(240)를 감싸는 댐퍼(450)가 배치됨으로써, 펌프(400)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 부재(460)와 제2 체결부(240) 사이에는 와셔(47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셔(470)의 일면은 제2 체결 부재(460)와 접촉하되, 와셔(470)의 타면은 제2 체결부(240) 및 댐퍼(450)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결합 마찰력을 증가시켜 홀더 브라켓(430)이 더욱 강하게 제2 체결부(2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통(100)으로부터 급수된 물은 제1 튜브(410), 펌프(400), 및 제2 튜브(420)를 거쳐, 제3 튜브(260)와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제3 튜브(260)는 긴 관 형태의 호스일 수 있으며, 밸브(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제2 구획벽(232)에는 제3 튜브(260)를 고정시키되, 제3 튜브(260)와 각각 서로 다른 힘 방향으로 걸림 결합을 하는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2), 및 제3 걸림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2), 및 제3 걸림부(253)는 제2 구획벽(232)으로부터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2), 및 제3 걸림부(253)의 경우 절곡된 형상을 갖는 방향이 서로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기준으로, 제1 걸림부(251)는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제2 걸림부(252)는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제3 걸림부(253)는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의 절곡 형상을 갖는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2), 및 제3 걸림부(253)에 걸림 결합되는 제3 튜브(260)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걸리도록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251), 제2 걸림부(252), 및 제3 걸림부(253) 중 하나 이상은, 제3 튜브(260)를 꺾임 없이 가이드할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튜브(260)는 곡선 형태의 걸림부에 걸림 결합되어 꺾임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프(400)와 연결되어 물이 이동하는 제3 튜브(260)를 각각 서로 다른 힘 방향으로 걸림 결합을 하는 복수의 걸림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작업 및 부품 이동간 튜브의 탈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냉장고
2: 캐비닛
10: 외부 케이스
30: 내부 케이스
41: 냉장실
42: 냉동실
51: 수납부
52: 선반부
100: 물통
101: 물
110: 물통 저장부
111: 제1 바닥면
112: 제2 바닥면
113: 바닥 연결면
120: 물통 커버
121: 물통 캡
130: 급수관
140: 인입부
150: 측면 함몰부
160: 물통 가이드부
170: 손잡이부
200: 케이스
201: 개구부
202: 후크 걸림홀
203: 제1 체결부
210: 물통 수용부
211: 제1 측면 고정부
212: 제2 측면 고정부
213: 하면 고정부
220: 펌프 수용부
230: 구획벽
231: 제1 구획벽
231a: 연통구
232: 제2 구획벽
233: 제3 구획벽
234: 마감벽
235: 제1 측벽
236: 제2 측벽
240: 제2 체결부
251: 제1 걸림부
252: 제2 걸림부
253: 제3 걸림부
260: 제3 튜브
280: 가이드 레일부
281: 레일
282: 가이드 홈
283: 롤러
284a: 제1 바닥 고정부
284b: 제2 바닥 고정부
300: 수위 센서부
300a: 수위 센서부 상면
300c: 수위 센서부 전면
300d: 수위 센서부 후면
300e: 수위 센서부 측면
310: 수위 센서 케이스
311: 센서 전면 걸이부
312: 센서 측면 걸이부
313: 케이스 고정 후크부
314: 텐션 리브
315: 측면 가이드부
316: 케이스 안착부
317: 케이스 고정 연장부
318: 연장부 관통홀
320: 수위 감지 센서
330: 제1 체결 부재
400: 펌프
410: 제1 튜브
420: 제2 튜브
430: 홀더 브라켓
431: 몸체부
432: 날개부
433: 관통구
434: 끼움 가이드
435: 고정 리브
450: 댐퍼
451: 가이드 결합부
460: 제2 체결 부재
470: 와셔
500: 제빙 장치
2: 캐비닛
10: 외부 케이스
30: 내부 케이스
41: 냉장실
42: 냉동실
51: 수납부
52: 선반부
100: 물통
101: 물
110: 물통 저장부
111: 제1 바닥면
112: 제2 바닥면
113: 바닥 연결면
120: 물통 커버
121: 물통 캡
130: 급수관
140: 인입부
150: 측면 함몰부
160: 물통 가이드부
170: 손잡이부
200: 케이스
201: 개구부
202: 후크 걸림홀
203: 제1 체결부
210: 물통 수용부
211: 제1 측면 고정부
212: 제2 측면 고정부
213: 하면 고정부
220: 펌프 수용부
230: 구획벽
231: 제1 구획벽
231a: 연통구
232: 제2 구획벽
233: 제3 구획벽
234: 마감벽
235: 제1 측벽
236: 제2 측벽
240: 제2 체결부
251: 제1 걸림부
252: 제2 걸림부
253: 제3 걸림부
260: 제3 튜브
280: 가이드 레일부
281: 레일
282: 가이드 홈
283: 롤러
284a: 제1 바닥 고정부
284b: 제2 바닥 고정부
300: 수위 센서부
300a: 수위 센서부 상면
300c: 수위 센서부 전면
300d: 수위 센서부 후면
300e: 수위 센서부 측면
310: 수위 센서 케이스
311: 센서 전면 걸이부
312: 센서 측면 걸이부
313: 케이스 고정 후크부
314: 텐션 리브
315: 측면 가이드부
316: 케이스 안착부
317: 케이스 고정 연장부
318: 연장부 관통홀
320: 수위 감지 센서
330: 제1 체결 부재
400: 펌프
410: 제1 튜브
420: 제2 튜브
430: 홀더 브라켓
431: 몸체부
432: 날개부
433: 관통구
434: 끼움 가이드
435: 고정 리브
450: 댐퍼
451: 가이드 결합부
460: 제2 체결 부재
470: 와셔
500: 제빙 장치
Claims (22)
-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물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은 상기 물통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후방 하부 영역에 상기 수위 센서부를 수용하도록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하면은 상기 수위 센서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바닥면과 상하 방향으로 상기 수위 센서부와 중첩되지 않는 제2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닥면은 상기 물통의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냉장고.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면은 상기 제2 바닥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위 센서부가 고정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냉장고.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부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수위 센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상기 수위 센서 케이스의 전면 내측에 배치된 센서 전면 걸이부와,
상기 수위 센서 케이스의 양 측면 내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센서 측면 걸이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텐션 리브에 의해서 상기 수위 센서 케이스의 상면 내측에 고정되는, 냉장고.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과 상기 제1 바닥면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냉장고.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과 상기 제1 바닥면 사이의 거리는 2mm 이하인, 냉장고.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하면은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을 연결하는 바닥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부의 전면과 상기 바닥 연결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위 센서부의 상면과 상기 제1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먼,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물통을 수용하는 물통 수용부;
상기 펌프를 수용하는 펌프 수용부; 및
상기 물통 수용부와 상기 펌프 수용부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냉장실 내에 위치하는, 냉장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물통 수용부와 상기 펌프 수용부를 구분하는 제1 구획벽;
상기 제1 구획벽의 일측 끝단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2 구획벽; 및
상기 제1 구획벽의 상측 끝단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3 구획벽;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벽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물통은 상기 냉장실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 구획벽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펌프는 상기 냉장실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물통을 수용하는 물통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 수용부는, 상기 물통의 후방 측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제1 측면 고정부, 상기 물통의 전방 측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제2 측면 고정부, 및 상기 물통의 전방 하면을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하면 고정부 중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한 쌍의 상기 제1 측면 고정부는 상기 물통의 양 측면에 있는 한 쌍의 측면 함몰부와 결합하여 상기 물통의 이동을 구속하는, 냉장고.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제2 측면 고정부는 상기 물통의 착탈시 상기 물통의 측면에 있는 물통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냉장고.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고정부는 상기 물통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통의 이동을 구속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펌프와 상기 펌프를 감싸는 홀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펌프를 수용하는 펌프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수용부는 상기 홀더 브라켓을 고정하는 한 쌍의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브라켓은 상기 제2 체결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관통구는 제2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관통구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에는 상기 제2 체결부를 감싸는 댐퍼가 배치되는, 냉장고. - 제17항에 있어서,
일측이 절개된 상기 관통구는 상기 관통구의 내측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된 끼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외측 둘레 방향을 따라 함몰된 가이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결합부가 상기 끼움 가이드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댐퍼는 일측이 절개된 상기 관통구 내에 삽입된, 냉장고.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에는 와셔가 위치하고,
상기 와셔의 일면은 상기 제2 체결 부재와 접촉하되, 상기 와셔의 타면은 상기 제2 체결부 및 상기 댐퍼와 접촉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펌프와 상기 펌프를 감싸는 홀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브라켓은 상기 펌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펌프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돌출된 고정 리브가 배치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으로부터 급수된 물을 이동시키는 제3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3 튜브와 각각 서로 다른 힘 방향으로 걸림 결합을 하는 제1 걸림부, 제2 걸림부, 및 제3 걸림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1041A KR20230133716A (ko) | 2022-03-11 | 2022-03-11 | 냉장고 |
US18/117,090 US20230314066A1 (en) | 2022-03-11 | 2023-03-03 | Refrigerator |
EP23160878.7A EP4242561A1 (en) | 2022-03-11 | 2023-03-09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1041A KR20230133716A (ko) | 2022-03-11 | 2022-03-11 |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3716A true KR20230133716A (ko) | 2023-09-19 |
Family
ID=8555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1041A Pending KR20230133716A (ko) | 2022-03-11 | 2022-03-11 | 냉장고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14066A1 (ko) |
EP (1) | EP4242561A1 (ko) |
KR (1) | KR20230133716A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7451B1 (ko) * | 2011-11-29 | 2018-03-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674196B1 (ko) * | 2017-01-03 | 2024-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TR201909987A2 (tr) * | 2019-07-04 | 2021-01-21 |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Alkali su üretme fonksiyonu içeren bir su sebili, söz konusu su sebilini içeren bir soğutucu cihaz ve ilgili yöntem. |
EP4549858A3 (en) * | 2020-06-17 | 2025-07-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
2022
- 2022-03-11 KR KR1020220031041A patent/KR20230133716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03-03 US US18/117,090 patent/US20230314066A1/en active Pending
- 2023-03-09 EP EP23160878.7A patent/EP4242561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42561A1 (en) | 2023-09-13 |
US20230314066A1 (en) | 2023-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22722B2 (en) |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 |
EP3945273B1 (en) | Refrigerator | |
KR101837451B1 (ko) | 냉장고 | |
US20070012611A1 (en) | Water purification filter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US11982488B2 (en) | Refrigerator | |
KR102519048B1 (ko) | 냉장고 | |
US11674747B2 (en) | Refrigerator | |
US8235480B2 (en) | Door hinge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US20230083329A1 (en) | Refrigerator | |
KR20210156195A (ko) | 냉장고 | |
KR20230133716A (ko) | 냉장고 | |
KR102737005B1 (ko) | 냉장고 | |
KR101639442B1 (ko) | 냉장고 | |
KR100568203B1 (ko) | 냉장고 | |
CN220454051U (zh) | 一种储水盒及冰箱 | |
JP2003028547A (ja) | 冷蔵庫の給水装置 | |
JP2505732Y2 (ja) | 冷蔵庫の給水装置 | |
KR100547432B1 (ko) |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급수탱크 장착구조 | |
KR20250112491A (ko) | 냉장고 | |
KR20130017010A (ko) | 냉장고 | |
KR20050003863A (ko) |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높이조절장치 | |
KR200314305Y1 (ko) | 냉장고 | |
JP2001355949A (ja) | 冷蔵庫 | |
CN118049812A (zh) | 带可拆卸壳体底部模块的家用制冷设备的液体和/或冰输出单元的供水装置及家用制冷设备和方法 | |
JPH08303915A (ja) |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