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30931A - 리드 프레소 구조 - Google Patents

리드 프레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931A
KR20230130931A KR1020220028151A KR20220028151A KR20230130931A KR 20230130931 A KR20230130931 A KR 20230130931A KR 1020220028151 A KR1020220028151 A KR 1020220028151A KR 20220028151 A KR20220028151 A KR 20220028151A KR 20230130931 A KR20230130931 A KR 2023013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everage
coffee
presso
bas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조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우 filed Critical 조현우
Priority to KR102022002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931A/ko
Publication of KR2023013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93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 프레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드 프레소 구조로서,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 및 상기 컵 뚜껑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리드 프레소 구조에 따르면,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과, 컵 뚜껑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컵 뚜껑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의 하부로 형성되는 바스켓의 내부에 커피 또는 차를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커피 또는 다양한 차의 추출이 가능한 사용자 편리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드 프레소 구조에 따르면,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과, 뚜껑의 하부로 커피 또는 차를 내부에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리스타 등의 특별한 기술자가 없이도 카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요한 카페로 커피를 갈거나 하는 등 소음이 없는 고요한 카페의 매장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리드 프레소 구조에 따르면, 뚜껑의 바스켓 하부에 추출할 음료에 해당하는 커피 또는 차 재료를 투입하여 커피 또는 차의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추출 후 음료를 컵에 담고 컵 뚜껑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자원 절약으로 탄소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음료(커피 또는 차)가 뚜껑이 닫힌 상태로 추출됨에 따른 아로마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드 프레소 구조{LID PRESSO STRUCTURE}
본 발명은 리드 프레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과, 뚜껑의 하부로 커피 또는 차를 내부에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마시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원두커피의 경우 맛과 향취의 우수함으로 인해서 인스턴트커피에 비해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원두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인 커피제조기는 필터에 커피가루를 담은 후, 커피가루 위로 뜨거운 물을 부어서 추출해 내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대량의 커피를 추출해 낸 후 필요할 때마다 부어서 마시는 형태이다. 이는 자주 커피를 추출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커피를 장기간 보존하는 경우에는 향기가 손실될 뿐만 아니라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되어 커피의 맛이 변질되므로 커피 애호가들에게는 선호되는 방식은 아니다.
커피 애호가들의 경우 한잔 분량만의 커피를 그때그때 제조하여 마시게 되는데, 드립식 추출법이 많이 애용되고 있다. 드립식 추출법이란, 커피를 융이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작은 자루형태의 드리퍼에 커피가루를 담고 그 위에 물을 부어서 통과시켜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드립식 추출법은 뜨거운 물이 커피 및 필터를 통과하여 용기에 모일 때까지 시간이 걸리며 제조가 불편한 단점이 있지만, 신선한 커피를 그때그때 추출하여 마실 수 있어, 커피가 갖는 본래의 맛을 최대한 우려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하는 드리퍼의 재질에(플란넬 또는 종이) 따라서 미묘한 맛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애호가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유닛인 포터 필터(porta filter)와,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보일러와, 커피 원두에 온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며, 이러한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는 커피 전문점이나 산업체 및 회사, 가정 등에서 사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은 카페에서 볶은 커피를 원하는 크기로 갈고, 분쇄한 커피를 커피 추출 장치를 통해 추출한 후 컵에 담아 음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커피를 갈고 추출해야 하는 별도의 추출 장치를 구비하고, 바리스타 등의 특별한 기술자가 커피를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하는 것으로, 매장에서의 소음 발생과 함께 바리스타 등의 전문 자격자가 필요함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고, 추출 후에 음료를 일회용 컵에 담고 일회용 컵 뚜껑을 사용함에 따른 폐기 자원이 증가되고, 처리 비용이 증가되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과, 컵 뚜껑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컵 뚜껑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의 하부로 형성되는 바스켓의 내부에 커피 또는 차를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커피 또는 다양한 차의 추출이 가능한 사용자 편리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과, 뚜껑의 하부로 커피 또는 차를 내부에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리스타 등의 특별한 기술자가 없이도 카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요한 카페로 커피를 갈거나 하는 등 소음이 없는 고요한 카페의 매장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뚜껑의 바스켓 하부에 추출할 음료에 해당하는 커피 또는 차 재료를 투입하여 커피 또는 차의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추출 후 음료를 컵에 담고 컵 뚜껑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자원 절약으로 탄소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음료(커피 또는 차)가 뚜껑이 닫힌 상태로 추출됨에 따른 아로마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는,
리드 프레소 구조로서,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 및
상기 컵 뚜껑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컵 뚜껑은,
뚜껑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추출된 음료가 나오는 구멍을 형성하는 음료 배출구; 및
상기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 본체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물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물 투입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 배출구는,
상기 컵 뚜껑의 뚜껑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하되, 개폐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투입구는,
상기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 본체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물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챔버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멍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 바스켓은,
상기 컵 뚜껑의 하부에 형성하되, 내부 공간에 음료 추출을 위한 추출 재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면에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개의 타공으로 이루어진 음료 추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 바스켓은,
상기 컵 뚜껑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 포드(coffee pod)가 내장하여 수용되거나, 또는 바스켓 내부 공간에 거름종이 필터를 넣고, 그 위에 분쇄된 커피를 담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 바스켓은,
바스켓 내부 공간으로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 포드 또는 분쇄된 커피 이외에도, 허브차, 홍차를 포함하는 차 재료를 넣어 추출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드 프레소 구조는,
사탕수수 또는 종이 재질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리드 프레소 구조에 따르면,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과, 컵 뚜껑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컵 뚜껑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의 하부로 형성되는 바스켓의 내부에 커피 또는 차를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커피 또는 다양한 차의 추출이 가능한 사용자 편리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드 프레소 구조에 따르면,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과, 뚜껑의 하부로 커피 또는 차를 내부에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리스타 등의 특별한 기술자가 없이도 카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요한 카페로 커피를 갈거나 하는 등 소음이 없는 고요한 카페의 매장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리드 프레소 구조에 따르면, 뚜껑의 바스켓 하부에 추출할 음료에 해당하는 커피 또는 차 재료를 투입하여 커피 또는 차의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추출 후 음료를 컵에 담고 컵 뚜껑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자원 절약으로 탄소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음료(커피 또는 차)가 뚜껑이 닫힌 상태로 추출됨에 따른 아로마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컵 뚜껑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음료 바스켓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개략적인 컵 뚜껑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음료 바스켓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음료 바스켓의 개략적인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음료 바스켓의 음료 추출구가 형성된 하부 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컵 뚜껑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음료 바스켓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100)는,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110)과, 컵 뚜껑(110)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컵 뚜껑(110)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개략적인 컵 뚜껑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음료 바스켓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음료 바스켓의 개략적인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의 음료 바스켓의 음료 추출구가 형성된 하부 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컵 뚜껑(Cup Lid)(110)은,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뚜껑의 구성이다. 이러한 컵 뚜껑(11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추출된 음료가 나오는 구멍을 형성하는 음료 배출구(111)와, 음료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뚜껑 본체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물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물 투입구(11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음료 배출구(111)는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뚜껑(110)의 뚜껑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하되, 개폐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 투입구(112)는 음료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뚜껑 본체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물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챔버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멍으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물 투입구(112)의 물 투입구멍은 리드프레소 챔버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멍으로 사용될 수 있고, 리드 프레소 챔버 없이 사용 시에는 뚜껑 상부를 오픈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적용하여 일반적인 핸드드립 방법으로 쉽고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음료 바스켓(120)은, 컵 뚜껑(110)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컵 뚜껑(110)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스켓의 구성이다. 이러한 음료 바스켓(120)은 도 3, 도 6,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뚜껑(110)의 하부에 형성하되, 내부 공간에 음료 추출을 위한 추출 재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면에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개의 타공으로 이루어진 음료 추출구(12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음료 바스켓(120)은 컵 뚜껑(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 포드(coffee pod)(122)가 내장하여 수용되거나, 또는 바스켓 내부 공간에 거름종이 필터(123)를 넣고, 그 위에 분쇄된 커피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름종이 필터(123)는 커피 추출 시 뚜껑 본체의 하단에 커피를 담아 결합하는 바스켓 내부에 배치 사용되어, 카페스톨을 흡착 분리, 콜레스테롤 걱정을 덜어줄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때, 바스켓 안쪽에 거름종이 필터(123)를 넣고 그 위에 분쇄된 커피를 담아서 퍼콜레이션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료 바스켓(120)은 도 3, 도 6, 및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뚜껑(110)의 하부와 접착될 수 있는 컵 접착면(124)을 형성하고, 컵 접착면(124)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음료 포드 지지대(125)를 형성할 수 있으며, 컵 접착면(125)과 음료 포드 지지대(125)와 바스켓이 단차진 형태의 다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료 바스켓(120)은 바스켓 내부 공간으로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 포드(122) 또는 분쇄된 커피 이외에도, 허브차, 홍차를 포함하는 차 재료를 넣어 추출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음료 바스켓(120)의 바스켓 내부 공간에는 커피 이외에도 허브차, 홍차 등의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넣어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110)과, 컵 뚜껑(110)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컵 뚜껑(110)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120)을 포함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100)는 사탕수수 또는 종이 재질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드 프레소 구조(100)는 개별 질소 충전 포장으로 언제 어디서든 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리드 프레소 구조(100)는 기존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일회용 컵, 다회용 컵 등의 크기에 대응하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고, 소비자 스스로 유니크한 자신만의 스타일로 음료(커피)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프레소 구조(100)는 추출이 완료되면 리드프레소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음료를 마시고, 음용이 끝나면 버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는,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과, 컵 뚜껑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컵 뚜껑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의 하부로 형성되는 바스켓의 내부에 커피 또는 차를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커피 또는 다양한 차의 추출이 가능한 사용자 편리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음료 배출 구멍과 물 투입 구멍이 형성된 뚜껑과, 뚜껑의 하부로 커피 또는 차를 내부에 수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리스타 등의 특별한 기술자가 없이도 카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요한 카페로 커피를 갈거나 하는 등 소음이 없는 고요한 카페의 매장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뚜껑의 바스켓 하부에 추출할 음료에 해당하는 커피 또는 차 재료를 투입하여 커피 또는 차의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추출 후 음료를 컵에 담고 컵 뚜껑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자원 절약으로 탄소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음료(커피 또는 차)가 뚜껑이 닫힌 상태로 추출됨에 따른 아로마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소 구조
110: 컵 뚜껑(Cup Lid)
111: 음료 배출구
112: 물 투입구
120: 음료 바스켓
121: 음료 추출구
122: 커피 포드(coffee pod)
123: 거름종이 필터
124: 컵 접착면
125: 음료 포드 지지대

Claims (8)

  1. 리드 프레소 구조(100)로서,
    음료 추출을 위한 물 투입이 가능한 컵 뚜껑(Cup Lid)(110); 및
    상기 컵 뚜껑(110)의 하부에 접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 뚜껑(110)으로 투입되는 물을 통해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음료 바스켓(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110)은,
    뚜껑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추출된 음료가 나오는 구멍을 형성하는 음료 배출구(111); 및
    상기 음료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뚜껑 본체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물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물 투입구(11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배출구(111)는,
    상기 컵 뚜껑(110)의 뚜껑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하되, 개폐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투입구(112)는,
    상기 음료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뚜껑 본체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어 물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챔버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멍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바스켓(120)은,
    상기 컵 뚜껑(110)의 하부에 형성하되, 내부 공간에 음료 추출을 위한 추출 재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면에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개의 타공으로 이루어진 음료 추출구(121)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바스켓(120)은,
    상기 컵 뚜껑(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 포드(coffee pod)(122)가 내장하여 수용되거나, 또는 바스켓 내부 공간에 거름종이 필터(123)를 넣고, 그 위에 분쇄된 커피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바스켓(120)은,
    바스켓 내부 공간으로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 포드(122) 또는 분쇄된 커피 이외에도, 허브차, 홍차를 포함하는 차 재료를 넣어 추출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소 구조(100)는,
    사탕수수 또는 종이 재질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소 구조.
KR1020220028151A 2022-03-04 2022-03-04 리드 프레소 구조 Ceased KR20230130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51A KR20230130931A (ko) 2022-03-04 2022-03-04 리드 프레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51A KR20230130931A (ko) 2022-03-04 2022-03-04 리드 프레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931A true KR20230130931A (ko) 2023-09-12

Family

ID=8801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151A Ceased KR20230130931A (ko) 2022-03-04 2022-03-04 리드 프레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9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JP6386529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カプセル
KR101173173B1 (ko)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주입 프레스
US8012523B2 (en)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IL32412A (en) Device for infusing a drink in a pot
US6726946B1 (en) Method of infusing a drink
KR101860740B1 (ko) 콜드 브루용 캡슐
US20170251866A1 (en) Multiple-pod brewing apparatus and system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KR20230130931A (ko) 리드 프레소 구조
US20240389784A1 (en) Systems for brewing a beverage,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US20040083897A1 (en) Instant coffee-brewing container for preparing freshly brewed coffee
JP5105565B1 (ja) 簡易コーヒーバッグ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102337485B1 (ko)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CN210138072U (zh) 瓶型便携式手冲器具
CN205197788U (zh) 一种中式咖啡壶
KR200353233Y1 (ko) 필터가 구비된 휴대용 컵
KR200390548Y1 (ko) 드립식 여과컵을 구비한 천연차류의 패키지
KR102329516B1 (ko) 이중 분할 필터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4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4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4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