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874A -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0874A KR20230130874A KR1020220028015A KR20220028015A KR20230130874A KR 20230130874 A KR20230130874 A KR 20230130874A KR 1020220028015 A KR1020220028015 A KR 1020220028015A KR 20220028015 A KR20220028015 A KR 20220028015A KR 20230130874 A KR20230130874 A KR 202301308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steering
- display
- steering wheel
- reaction fo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62D1/105—Non-rotatable hubs, e.g. the central part of the steering wheel not rot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62D5/005—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 B62D5/006—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power actu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2—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steering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816—Fastening of displays or touch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휠(100); 상기 조향휠(100)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00);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고정하는 어댑터(210); 상기 조향휠(100) 및 상기 어댑터(210)와 연결되며, 회전되지 않는 고정부와 회전되는 회전부를 갖는 조향 반력 장치(500); 및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 내부 중심부에 위치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휠(100)은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210)는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고정부에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SbW(Steer-by-Wire) 조향 시스템의 조향휠에 장착되어 조향휠이 회전되더라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조향 시스템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마련된 조향휠을 조작하여 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전자 제어에 의하여 조향모터가 필요한 조향력을 제공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 이하 'EPS'라 함)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EPS 장치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향휠에 인가되는 조향토크에 따라 EPS 조향모터를 구동하여, 조향칼럼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그에 연결된 랙바를 이동시키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EPS 장치는 EPS 조향모터와, 조향모터를 제어하는 조향 ECU(전자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며, 조향모터에는 감속기가 연결되고, 감속기는 조향칼럼 또는 랙바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한편, 차량이 운송 수단에서 모빌리티 공간으로 변화하는 흐름에서 자유로운 레이아웃으로 부품 공용화 요구에 부합하고, 스케이트 보드 형태와 같이 다양한 차량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SbW(Steer-by-Wire) 시스템이 미래 조향 장치로서 관심을 받고 있는 추세다.
SbW(Steer-by-Wire) 시스템은 운전자 조향휠과 차륜 사이의 기구적 연결없이 전기적인 신호로 운전자의 조향 의지를 전달하여 제어하는 전기 신호식 지능 조향 시스템이다. 즉, SbW 조향시스템은 조향휠과 차륜 사이의 스티어링 칼럼이나 유니버설 조인트 혹은 피니언 샤프트와 같은 기계적인 연결 장치를 제거하고, 대신 모터와 같은 전동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SbW는 운전자의 조향 의도를 차량 바퀴에 전달하여 바퀴를 움직이는 액추에이터인 RWA(Road Wheel Actuator)와 운전자에게 조향휠의 반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인 SFA(Steering Feedback Actuator)로 구성된다(도 1 참조). SFA는 조향 반력 장치라고도 칭한다.
SbW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bW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위단 장치(SFA로 표현됨)와 하위단 장치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위단 장치(SFA)는 조향휠에 연결되어 조향휠에 인가되는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감지부와, 하부의 랙바를 통한 조향에 따라 조향휠에 반력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모터 장치로서의 반력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하위단 장치는 조향휠에 인가되는 조향 토크에 비례하는 조향 보조 토크 신호를 생성하고, 조향 보조 토크 신호를 이용하여 차륜의 타이로드에 연결된 랙바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언 기어 또는 볼너트 기구부를 구동하는 조향 구동 모터 또는 조향 구동 엑추에이터(RWA)를 제어한다.
한편, 자동차의 운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조향휠 상에 구비될 수 있는데, 기존 조향휠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는 운전자가 조향시 조향휠과 함께 회전가여 운전자가 디스플레이 정보를 보기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3026호)에는 조향휠을 회전시키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향 장치가 제시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향장치(1)는 스티어링 컬럼(10), 스티어링 휠(20), 지지대(30) 및 디스플레이 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티어링 컬럼(10)은 그 상단부에 스티어링 휠(20)이 결합되어, 스티어링 휠(20)의 회전력을 조향기어박스의 조향축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30)는 스티어링 컬럼(10)과 동일한 축을 가지고 형성되며, 스티어링 컬럼(10)이 스티어링 휠(20) 따라 회전하더라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지지대(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20)의 중앙에 위치하고, 스티어링 휠(2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조향장치에서는 스티어링 휠(20)의 회전력을 조향축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컬럼(10)에 스티어링 휠(20)이 결합되어 같이 회전하고,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지지대(30)에 디스플레이 유닛(40)이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20)이 회전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유닛(40)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은 스티어링 휠(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 컬럼(10)과,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지지대(30)가 있는 조향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어서, 스티어링 컬럼(10) 및 지지대(30)가 구비되지 않는 SbW 시스템에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향 반력 장치(SFA)가 적용된 차량에서 복잡한 구조물 없이 조향휠이 회전하여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는, 조향휠; 상기 조향휠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어댑터; 상기 조향휠 및 상기 어댑터와 연결되며, 회전되지 않는 고정부와 회전되는 회전부를 갖는 조향 반력 장치; 및 상기 조향 반력 장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휠은 상기 조향 반력 장치의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조향 반력 장치의 고정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조향 반력 장치의 고정부에 포함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조향휠을 향하는 부위에 제1 샤프트, 상기 조향휠 반대측을 향하는 부위에 제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의 일단이 상기 제1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휠과 반대되는 쪽 단부에서 상기 제2 샤프트는 차량 마운트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향휠은 차량 전방 및 상기 조향휠의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휠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휠 프레임이 상기 조향 반력 장치의 회전부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대향하여 평평하게 형성된 거치판, 상기 거치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샤프트를 향하여 연장된 축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 고정부가 상기 제1 샤프트와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 고정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단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단은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안착부가 상기 축 고정부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단 내부에는 탭이 형성되고, 토션바가 상기 탭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샤프트 일단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 내부에는 토션바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우측단이 상기 차량 마운트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향 반력 장치의 고정부는 상기 제1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 상기 차량 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 반력 장치의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 외측에 배치된 하우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제1 베어링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어링의 내륜은 상기 고정부에 포함되고 외륜은 상기 회전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제2 베어링이 배치되며, 상기 제2 베어링의 내륜은 상기 고정부에 포함되고 외륜은 상기 회전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는 복잡한 구조물 없이 조향 반력 장치의 고정 샤프트에 디스플레이를 연결함으로써 조향휠이 회전하여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조향 반력 장치(SFA)와 로드 휠 액추에이터(RWA)로 구성된 SbW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2는 종래 조향휠이 회전하여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향 장치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에서 조향휠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부분과 회전하지 않는 부분을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에서 디스플레이와 어댑터의 결합관계, 어댑터와 샤프트의 결합관계, 샤프트와 차량 마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확대한 도,
도 8은 도 6의 B 영역을 확대한 도,
도 9는 도 6의 C 영역을 확대한 도이다.
도 2는 종래 조향휠이 회전하여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향 장치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에서 조향휠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부분과 회전하지 않는 부분을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에서 디스플레이와 어댑터의 결합관계, 어댑터와 샤프트의 결합관계, 샤프트와 차량 마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확대한 도,
도 8은 도 6의 B 영역을 확대한 도,
도 9는 도 6의 C 영역을 확대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차량의 차륜을 조향하기 위한 조향휠(100)의 중심부에 각종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0)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조향휠(100)이 회전되더라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조향 반력 장치(SFA)(500)가 적용된 차량의 조향장치에서 디스플레이가(200)가 차량내 운전자를 향하도록 어댑터(210)를 통해서 조향휠(100)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어댑터(210)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조향휠(100)은 상기 디스플레이(200) 및 상기 어댑터(210)에 대해서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향휠(100) 및 상기 어댑터(210)는 각각 조향 반력 장치(500)에 연결된다.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는 조향휠(100)에 인가되는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감지부와, 하부의 랙바를 통한 조향에 따라 조향휠에 반력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모터 장치로서의 반력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는 상기 조향휠(100)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와 회전하지 않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향휠(100)은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210)는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고정부에 연결된다.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는 내부 중심부에 토션바(400), 상기 어댑터(210)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토션바(400)를 둘러싸는 제1 샤프트(310), 상기 어댑터(210)와 반대되는 위치의 차량 마운트에 인접하여 상기 토션바(400)를 둘러싸는 제2 샤프트(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는 상기 제1 샤프트(310), 상기 제2 샤프트(320) 및 다른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둘러싸는 하우징(520)을 포함한다. 최외곽에는 커버(510)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1 샤프트(310)과 상기 하우징(520) 사이에는 제1 베어링(530)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샤프트(320)과 상기 하우징(520) 사이에는 제2 베어링(530)이 배치된다.
상기 토션바(400)와 상기 제2 샤프트(320)는 서로 상대 회전운동이 되지 않도록 핀과 같은 고정기구로 고정되며, 상기 토션바(400) 및 상기 제2 샤프트(320)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차량 마운트(60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샤프트(310)는 상기 토션바(400)에 핀과 같은 고정기구로 고정되어 마찬가지로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어댑터(210)는 상기 제1 샤프트(310)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차량 마운트(600), 이 차량 마운트(600)에 고정된 상기 토션바(400), 이 토션바(400)에 고정된 상기 제1 샤프트(310), 이 제1 샤프트(310)에 고정된 어댑터(210), 이 어댑터(210)에 고정된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조향휠(100)의 회전에 관계없이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마운트(600), 상기 토션바(400), 상기 제1 샤프트(310), 상기 제2 샤프트(320)는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고정부를 이룬다.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에서 상기 고정부 외부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520), 상기 커버(51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 외측에 위치한 구성요소들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대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를 이룬다.
상기 조향휠(100)은 차량 전방을 향하여 중심부로 모아지도록 형성된 휠 프레임(110)을 포함하며, 상기 휠 프레임(110)은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휠(1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는 함께 회전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회전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에서 상기 조향휠(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부분과 회전하지 않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붉은색 점선 내부에 위치한 부분이 회전하는 부분이고 그 외부에 위치한 부분이 회전하지 않는 부분이다.
즉, 회전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200), 상기 어댑터(210), 상기 제1 샤프트(310), 상기 토션바(400), 상기 제2 샤프트(320), 상기 차량 마운트(600)를 포함하며, 회전하는 부분은 상기 조향휠(100), 상기 휠 프레임(110), 상기 하우징(520), 상기 커버(51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베어링(530) 및 상기 제2 베어링(540)의 각 내륜은 각각 상기 제1 샤프트(310) 및 상기 제2 샤프트(320)에 밀착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하지 않는 부분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어링(530) 및 상기 제2 베어링(540)의 각 외륜은 상기 하우징(520)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520)과 함께 회전되는 부분에 포함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조향휠(100)이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조향휠(100)은 회전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차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휠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상기 휠 프레임(110)은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의 일정 영역에 복수개의 고정부재(110a)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110a)는 볼트가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으며, 볼트 이외에도 여러가지 공지의 결합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휠(100)이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에 결합고정됨으로써 상기 조향휠(100)과 상기 회전부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와 어댑터의 결합관계, 어댑터와 샤프트의 결합관계, 샤프트와 차량 마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도 6에서 A 영역은 디스플레이(200)가 어댑터(210)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A 영역을 보다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어댑터(210)는 몸체(213), 상기 몸체(213)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향하여 평평하게 형성된 거치판(212), 상기 거치판(212)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고정하는 거치부(211), 상기 몸체(213)에서 샤프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축 고정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어댑터(210)의 거치판(212)에 대향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211)에 의해 양단이 눌리면서 고정된다.
도 7에서 B 영역은 상기 어댑터(210)와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어댑터(210)의 축 고정부(214)가 제1 샤프트(310)와 결합된다.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어댑터(210)의 우측단에 축 고정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14)는 제1 샤프트(310)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샤프트(310)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의 결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 샤프트(310)의 일단은 상기 축 고정부(214)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외주면을 갖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안착부(311)가 상기 축 고정부(214)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샤프트(310)의 일단 내부에는 탭이 형성되어 토션바(400)가 이 탭을 관통하여 제1 샤프트(310) 일단 내부에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핀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도 7에서 C 영역은 샤프트와 차량 마운트(6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9에는 C 영역이 보다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토션바(400)의 우측에서 상기 토션바(400)를 감싸는 제2 샤프트(320)의 우측단이 상기 차량 마운트(600)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핀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향휠
110: 휠 프레임
110a: 고정부재
200: 디스플레이
210: 어댑터
211: 거치부
212: 거치판
213: 몸체
214: 축 고정부
310: 제1 샤프트
311: 안착부
312: 탭
320: 제2 샤프트
400: 토션바
500: 조향 반력 장치
510: 커버
520: 하우징
530: 제1 베어링
540: 제2 베어링
600: 차량 마운트
110: 휠 프레임
110a: 고정부재
200: 디스플레이
210: 어댑터
211: 거치부
212: 거치판
213: 몸체
214: 축 고정부
310: 제1 샤프트
311: 안착부
312: 탭
320: 제2 샤프트
400: 토션바
500: 조향 반력 장치
510: 커버
520: 하우징
530: 제1 베어링
540: 제2 베어링
600: 차량 마운트
Claims (14)
- 조향휠(100);
상기 조향휠(100)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00);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고정하는 어댑터(210);
상기 조향휠(100) 및 상기 어댑터(210)와 연결되며, 회전되지 않는 고정부와 회전되는 회전부를 갖는 조향 반력 장치(500); 및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 내부 중심부에 위치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휠(100)은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210)는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고정부에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고정부에 포함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조향휠(100)을 향하는 부위에 제1 샤프트(310), 상기 조향휠(100) 반대측을 향하는 부위에 제2 샤프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210)의 일단이 상기 제1 샤프트(31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100)과 반대되는 쪽 단부에서 상기 제2 샤프트(320)는 차량 마운트(600)에 고정결합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100)은 차량 전방 및 상기 조향휠(100)의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휠 프레임(110)을 포함하고,
상기 휠 프레임(110)이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에 고정결합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10)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와 대향하여 평평하게 형성된 거치판(212), 상기 거치판(212)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고정하는 거치부(21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10)는 상기 제1 샤프트(310)를 향하여 연장된 축 고정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축 고정부(214)가 상기 제1 샤프트(310)와 고정결합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 고정부(214)는 상기 제1 샤프트(310)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310)의 일단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310)의 일단은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안착부(311)가 상기 축 고정부(214)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310)의 일단 내부에는 탭이 형성되고,
토션바(400)가 상기 탭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샤프트(310) 일단 내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310) 및 상기 제2 샤프트(320) 내부에는 토션바(400)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2 샤프트(320)의 우측단이 상기 차량 마운트(600)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고정부는 상기 제1 샤프트(310), 상기 제2 샤프트(320), 상기 차량 마운트(6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반력 장치(500)의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 외측에 배치된 하우징(520), 커버(5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310)와 상기 하우징(520) 사이에 제1 베어링(530)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어링(530)의 내륜은 상기 고정부에 포함되고 외륜은 상기 회전부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320)와 상기 하우징(520) 사이에 제2 베어링(540)이 배치되며, 상기 제2 베어링(540)의 내륜은 상기 고정부에 포함되고 외륜은 상기 회전부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8015A KR20230130874A (ko) | 2022-03-04 | 2022-03-04 |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US18/117,361 US11999404B2 (en) | 2022-03-04 | 2023-03-03 | Steering device equipped with dis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8015A KR20230130874A (ko) | 2022-03-04 | 2022-03-04 |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0874A true KR20230130874A (ko) | 2023-09-12 |
Family
ID=8785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8015A Pending KR20230130874A (ko) | 2022-03-04 | 2022-03-04 |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999404B2 (ko) |
KR (1) | KR2023013087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1044635S1 (en) * | 2021-09-06 | 2024-10-01 | Lg Display Co., Ltd. | Steering wheel for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3026A (ko) | 2015-09-16 | 2017-03-24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된 스티어링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65632A (en) * | 1994-05-05 | 1995-11-14 | Oki; T. Jack | Steering wheel having a stationary display |
DE102005053176A1 (de) * | 2005-11-03 | 2007-05-10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Lenkrad |
US20190092373A1 (en) * | 2017-09-28 | 2019-03-28 | Dura Operating, Llc | Steering control assembly for a vehicle steer-by-wire system |
FR3086254B1 (fr) * | 2018-09-26 | 2020-12-18 | Psa Automobiles Sa | Equipement de commande de direc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
US11407436B2 (en) * | 2019-03-04 | 2022-08-09 | Byton North America Corporation | Steering wheel with fixed center |
CN111845909A (zh) * | 2020-08-28 | 2020-10-30 | 昆山富邦机械有限公司 | 一种新型回转支承方向盘 |
-
2022
- 2022-03-04 KR KR1020220028015A patent/KR20230130874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03-03 US US18/117,361 patent/US1199940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3026A (ko) | 2015-09-16 | 2017-03-24 |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된 스티어링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278620A1 (en) | 2023-09-07 |
US11999404B2 (en) | 2024-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36256B2 (ja) | 転舵装置 | |
US6688645B2 (en) | Turn-limited column assembly | |
JP5578357B2 (ja) | 車両用操舵装置 | |
US20110011667A1 (en) | Torque angl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07055409A5 (ko) | ||
EP1247719B1 (en) | Intermediate steering shaft for motor vehicle | |
WO2019044361A1 (ja) | ステアリング装置 | |
KR20220120219A (ko) |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 |
CN114633795A (zh) | 助力组件 | |
KR20230130874A (ko) |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조향장치 | |
US11952056B2 (en) | Electric powered recirculating ball assembly | |
US20220212715A1 (en) | Steering device | |
KR20100102347A (ko)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 |
KR20080004177A (ko) | 자동차의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 |
EP1905672B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
KR20110060573A (ko) |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 |
KR102638067B1 (ko)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 |
KR101251241B1 (ko)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 |
JP4114560B2 (ja) |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US20230286579A1 (en) | Torsion limiting tie rod for vehicle steering system | |
JP2020075638A (ja) | 操舵装置 | |
JP4620478B2 (ja) | 不整地走行用車両の電動舵取補助装置の操舵軸支持構造 | |
JP3804506B2 (ja) | 車両用操舵装置 | |
KR101204189B1 (ko)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 |
JP2025007953A (ja) | ステアリン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03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