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28347A - 전기 장비 - Google Patents

전기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347A
KR20230128347A KR1020237026330A KR20237026330A KR20230128347A KR 20230128347 A KR20230128347 A KR 20230128347A KR 1020237026330 A KR1020237026330 A KR 1020237026330A KR 20237026330 A KR20237026330 A KR 20237026330A KR 20230128347 A KR20230128347 A KR 20230128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sealing member
electrical equipment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량 션
용홍 리
위 루
Original Assignee
썬그로우 파워 서플라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그로우 파워 서플라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그로우 파워 서플라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3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5Gaskets or se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2Seal includ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전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제공되는 전기 장비는 박스 본체, 디바이스 및 전자기 차단 기능 및 실링 기능 모두를 가지는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 박스 본체 및 디바이스 사이의 전도성 컨택의 전자기 차단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실링 부재가 박스 본체 및 디바이스의 실링 설치를 보장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디바이스의 베이스 표면이 박스 본체의 설치 표면에 가깝게 부착되게 할 수 있는 것을, 디바이스는 박스 본체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실링 부재는 박스 본체 및 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디바이스의 베이스 표면은 박스 본체의 설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를 사용하여 실링 성능을 보장하는 경우, 박스 본체 및 디바이스 사이의 전도성 컨택의 전자기 차단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전기 장비는 박스 본체 및 디바이스 사이에 추가적인 전도성 컨택 부품들을 추가할 필요가 없고, 그에 의해 공정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절약하고, 박스 본체 내부에 쇼트 회로를 유발하지 않고, 그리고 전기 장비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전기 장비
본 출원은 전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3월 10일에 중국국가지식산권국에 출원된, "ELECTRICAL EQUIPMENT"란 제목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20507224.7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은 여기에 전체로서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일반적으로, 리액터들, 방열 장치들, 커넥터들, 단자들 등의 외부 디바이스들이 전기 장비의 박스 본체에 장착된다. 전기 장비의 박스 본체의 실링을 보장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및 박스 본체 사이에 실링 부재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부재는 디바이스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그루브(groove)에 일반적으로 위치된다. 디바이스 및 박스 본체가 고정되게 장착된 이후에, 실링 부재가 디바이스의 베이스 표면 및 박스 본체 사이에 끼워지고, 따라서 디바이스 및 박스 본체 사이에서, 디바이스를 박스 본체와 효과적으로 컨택되지 못하게 하는, 간격이 유지되고, 따라서 전도성 컨택에 의한 전자기 차단 기능이 구현되지 못한다. 기술의 발달과 함께, 실링 기능 및 디바이스 및 박스 본체 사이의 전도성 컨택에 의한 전자기 차단 기능 모두를 구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돌기 실링 부재가 사용되고, 여기서 하나의 돌기는 전기 전도를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돌기는 실링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링 부재의 공정은 복잡하고, 전기 전도를 위한 돌기에는, 카본, 니켈, 은, 등 중 하나 이상과 같이, 비용이 많이 드는, 전도성 충진재(filler)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전기 전도를 위한 돌기는 장시간 사용 이후 노후화 및 취성파괴(brittle rupture)의 위험성이 있으며, 파괴에 의해 유발된 외부 이물질들은 전기 장비의 박스 본체 내부의 전기적 컴포넌트의 쇼트 회로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목적은 전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전기 장비는 박스 본체 및 디바이스 사이의 실링된 장착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박스 본체 및 디바이스 사이의 전자기 차단을 보장하는 실링 부재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비용을 절약하고, 전기 장비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술적 솔루션들이 제공된다.
전기 장비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디바이스; 및
전자기 차단 및 실링을 위해 구성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박스 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스의 베이스 표면은 상기 박스 본체의 장착 표면에 인접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에 장착 그루브(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 그루브는 위에서 아래 순으로 연결되는 제 1 그루브 섹션 및 제 2 그루브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루브 섹션의 폭은 상기 제 2 그루브 섹션의 폭보다 더 크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 2 그루브 섹션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제 2 그루브 섹션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은 상기 제 1 그루브 섹션의 위쪽 표면과 동일 평면 상(flush with)에 있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실링 부재는 접착제 디스펜싱 또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해 상기 제 2 그루브 섹션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에 계단식 표면(stepped surface)이 제공되고, 상기 계단식 표면 상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계단식 표면 상에 놓이고, 그 결과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그루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을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 또는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게 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실링 부재는 접착제 디스펜싱 또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해 상기 그루브로 고정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계단식 표면이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계단식 표면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계단식 표면으로 제공되지 않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 중 다른 하나의 표면의, 상기 계단식 표면의 바로 맞은편인, 위치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계단식 표면 상에 놓이고, 그 결과 상기 실링 부재의 두 표면들은 각각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에 인접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실링 부재는 접착제 디스펜싱 또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해 상기 계단식 표면으로 제공되지 않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 중 다른 하나의 표면의, 상기 계단식 표면의 바로 맞은편인, 위치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박스 본체의 및 상기 디바이스 모두는 컨덕터들이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은 전도성 컨택 상태에 있다.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상기 실링 부재는 실링 고무 스트립이다.
본 개시 내용의 유익한 효과들은 다음과 같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상기 전기 장비에서, 상기 박스 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실링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박스 본체 및 다바이스 사이에 체결(fastening) 장착 하에 압축되고, 그 결과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베이스 표면은 상기 박스 본체의 상기 장착 표면에 인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박스 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사이의 실링된 장착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박스 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사이의 전도성 컨택에 기인한 전자기 차단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장비에 상기 실링 부재를 사용하여 실링 성능을 보장하는 경우, 전도성 컨택을 위한 추가 컴포넌트가 상기 박스 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사이의 전도성 컨택에 기인한 전자기 차단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박스 본체 및 상기 디바이스 사이에 추가되도록 요구되지 않으며, 이는 공정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절약하고, 박스 본체 내부 전기적 컴포넌트들에 쇼트-회로 현상을 유발하지 않고, 그에 의해 전기 장비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전기 장비의 개략적인 제 1 구조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전기 장비의 개략적인 제 2 구조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박스 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의 전기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박스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전기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박스 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의 전기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박스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전기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박스 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의 전기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박스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전기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에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박스 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의 전기 장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본 개시 내용에 따라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하고, 채택되는 기술적 해법들 및 달성되는 효과들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본 개시 내용의 기술적 해법들은 도면들 및 실시예들과 함께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다.
본 출원 명세서의 설명에서, 명시적으로 다르게 특정되거나 한정되지 않는 한, "링크된(linked)", "연결된(connected)" 및 "고정된(fixed)"과 같은 용어들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고정되게 연결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통합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상기 용어들은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또한 해석될 수 있고; 상기 용어들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중간 매개물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상기 용어들은 두 컴포넌트들 사이의 내부적인 통신으로서 또는 두 컴포넌트들 간의 상호작용 관계로서 추가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출원 명세서에서의 용어들의 특정한 의미는 특정한 상황들에 비추어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다르게 정의되거나 또는 제한되지 않는 한, 제 1 피처(feature)가 제 2 피처의 "위에(above)" 또는 "아래에(below)" 있는 것은 제 1 및 제 2 피처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컨택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피처들이 그들 사이에 다른 피처를 통하여 서로 간접적으로 컨택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피처가 제 2 피처의 "위에(above)", "너머에(over)" 또는 "상에(on)"에 있는 것은 제 1 피처가 제 2 피처의 바로 위에 그리고 비스듬히 위에 있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단순히 제 1 피처가 제 2 피처보다 수평 높이가 더 높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 1 피처가 제 2 피처의 "아래에(below)", "하에(under)" 또는 "아래로(down)" 있는 것은 제 1 피처가 제 2 피처의 바로 아래 그리고 비스듬히 아래에 있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단순히 수평 높이에서 제 1 피처가 제 2 피처보다 낮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위(up)", "아래(down)", "좌측(left)", "우측(right)" 등의 용어들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적 또는 위치적 관계들은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방향적 또는 위치적 관계들에 기초하며, 단지 설명의 편이성 및 동작의 단순화를 위한 것이고, 이는 참조되는 디바이스 또는 엘리먼트가 특정한 방향에 있어야 하거나 또는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되고 동작됨을 표시하거나 또는 의미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에 대한 한정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용어들 "제 1" 및 "제 2"는 단지 설명하는 2개의 엘리먼트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별한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라 전기 장비가 제공되며, 이러한 전기 장비는 주로 인버터를 지칭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전기 장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 장비는 주로 박스 본체(1), 디바이스(2) 및 실링 부재(3)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 본체(1)는 박스 본체(1) 내부에 있는 전기적 컴포넌트들을 위한 보호 및 지지 역할을 수행한다. 디바이스(2)는 전기 리액터, 방열 디바이스, 커넥터, 단자, 등 일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이다. 디바이스(2)는 박스 본체(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박스 본체(1) 내부의 전기적 컴포넌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 결과 디바이스(2)의 기능이 구현된다. 실링 부재(3)는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에 배치되며, 그 결과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에 장착의 실링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장착 홀이 디바이스(2) 내에 정의되고, 제2 장착 홀이 박스 본체(1) 내에 정의되며, 그리고 패스너(fastener)가 디바이스(2)를 박스 본체(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 장착 홀 및 제 2 장착 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여기서 패스너는 스크류일 수 있으며, 스크류 연결은 분리 가능한 연결임을 유의해야 한다. 디바이스(2)가 고장 나거나 또는 손상된 경우, 유지보수를 위하여 박스 본체(1)로부터 손상된 디바이스(2)를 제거하고 새로운 디바이스(2)로 교체하기 편리하다. 또한, 스크류 연결은 강한 신뢰성 및 안정적인 장착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실링 부재(3)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2)의 장착 그루브(groove)에 위치된다. 디바이스(2)가 박스 본체(1)로 고정되게 장착된 이후에, 실링 부재(3)가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 및 박스 본체(1) 사이에 클램핑되고, 그리하여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 사이에 특정 간격이 형성되며, 이는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가 효과적인 전도성 컨택 상태에 있을 수 없고, 그리하여 전도성 컨택의 전자기 차단 기능이 구현될 수 없게 한다.
기술의 발달과 함께, 실링 기능 및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 사이의 전도성 컨택에 의한 전자기 차단 기능 모두를 보장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돌기 실링 부재가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여기서 하나의 돌기는 전기적 전도를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돌기는 실링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링 부재(3)의 공정은 복잡하고, 전기적 전도를 위한 돌기에는, 카본, 니켈, 은, 등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비용이 많이 드는, 전도성 충진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전기적 전도를 위한 돌기는 장시간 사용 이후 노후화 및 취성파괴의 위험성이 있으며, 파괴에 의해 유발된 외부 이물질들은 전기 장비의 박스 본체(1) 내부의 전기적 컴포넌트의 쇼트 회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의 실링 부재(3)는 전자기 차단 기능 및 실링 기능 모두를 가지며, 실링 부재(3)는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에 배치된다.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가 고정되게 장착된 후에, 실링 부재(3)는 압축되며, 그 결과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 및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은 서로 인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실링 부재(3)는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의 실링 장착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의 전도성 컨택의 전자기 차단 기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실링 부재(3)의 사용으로 실링 성능을 보장할 경우,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의 전도성 컨택에 기인한 전자기 차단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도성 컨택을 위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에 추가되도록 요구되지 않으며, 이는 공정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절약하고, 그리고 박스 본체(1) 내부의 전기적 컴포넌트들로 쇼트-회로 현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그리하여 전기 장비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의 전도성 컨택을 보장하기 위해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모두는 컨덕터들이고, 그리하여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의 전도성 컨택에 기인하여 전자기 차단 기능이 보장된다. 구체적으로,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가 서로 컨택된 이후 각각 전도성 공동(cavity)들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는 시트 금속 피스, 다이-캐스팅 피스, 가공 금속 피스, 또는 표면에 전도성 코팅이 된 비-금속 피스와 같은 금속 피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박스 본체(1) 및 디바이스(2) 사이의 제한된 컨택 부분이 전도성 컨택 상태이도록 보장되는 한,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 및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은 전도성 컨택 상태임을 유의해야 한다.
실링 부재(3)의 구체적인 배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 상에 장착 그루브(21)가 정의되고, 장착 그루브(21)는 위에서 아래 순으로 연결되는 제 1 그루브 섹션(211) 및 제 2 그루브 섹션(212)을 포함하고, 제 1 그루브 섹션(211)의 폭은 제 2 그루브 섹션(212)의 폭보다 더 크고, 그리고 실링 부재(3)는 제 2 그루브 섹션(212) 내에 배치된다.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가 고정되게 장착된 후에, 실링 부재(3)는 압축되고, 그 결과 실링 부재(3)의, 제 2 그루브 섹션(21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은 제 1 그루브 섹션(211)의 위쪽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게 되고, 그리하여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이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에 인접하도록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으로, 장착 그루브(21)는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 상에 정의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링 부재(3)는 실링 고무 스트립일 수 있으며, 실링 고무 스트립은 상대적으로 큰 변형량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의 압축 효과 하에서 제 1 그루브 섹션(211) 상에 놓이기에 편리하고, 이로 인해 실링 부재(3)의, 제 2 그루브 섹션(21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이 제 1 그루브 섹션(211)의 위쪽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보장한다. 또한, 실링 고무 스트립은 저비용, 높은 신뢰성 및 양호한 실현가능성의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링 고무 스트립은 접착제 디스펜싱에 의해 제 2 그루브 섹션(212)으로 고정되고, 이는 제 2 그루브 섹션(212)으로부터 실링 고무 스트립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링 고무 스트립 및 제 2 그루브 섹션(212) 사이의 고정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링 고무 스트립은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하여 제 2 그루브 섹션(2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를 따른 전기 장비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전기 장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 및 제 1 실시예에서의 전기 장비들 간의 차이점은 실링 부재(3)의 장착 형태에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 상에 계단식 표면(22)이 제공되고, 그루브(221)가 계단식 표면(22) 상에 정의되고, 그리고 실링 부재(3)가 그루브(221) 내에 배치된다.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가 고정되게 장착된 후, 실링 부재(3)는 압축되고, 그 결과 실링 부재(3)는 계단식 표면(22) 상에 놓이고, 그리고 실링 부재(3)의, 그루브(221)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은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그리하여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이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에 인접하도록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으로, 계단식 표면(22)은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가 고정되게 장착된 후, 실링 부재(3)는 압축되고, 그 결과 실링 부재(3)는 계단식 표면(22) 상에 놓이고, 그리고 실링 부재(3)의, 그루브(221)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은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디스펜싱에 의해 그루브(221)로 고정되고, 이는 그루브(221)로부터 실링 부재(3)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링 부재(3) 및 그루브(221) 사이의 고정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하여 그루브(221)에 고정된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전기 장비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 및 제 1 실시예에서의 전기 장비들 사이의 차이점은 실링 부재(3)의 장착 형태에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 상에 계단식 표면(22)이 제공되고, 실링 부재(3)는 계단식 표면(22) 상에 배치된다.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가 고정되게 장착된 후, 실링 부재(3)는 압축되고, 그 결과 실링 부재(3)는 계단식 표면(22) 상에 놓이고, 그리고 실링 부재(3)의, 계단식 표면(2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은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그리하여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이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에 인접하도록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으로, 계단식 표면(22)은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가 고정되게 장착된 후, 실링 부재(3)는 압축되고, 그 결과 실링 부재(3)는 계단식 표면(22) 상에 놓이고, 그리고 실링 부재(3)의, 계단식 표면(2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디스펜싱에 의해 계단식 표면(22) 상에 고정되고, 이는 계단식 표면(22)으로부터 실링 부재(3)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링 부재(3) 및 계단식 표면(22) 사이의 고정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하여 계단식 표면(2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의 구조는 제 3 실시예에서의 전기 장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서의 전기 장비들 사이의 차이점은 실링 부재(3)의 장착 위치에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 상에 계단식 표면(22)이 제공되고, 실링 부재(3)는 박스 본체(1) 상에 배치되고, 실링 부재(3)는 계단식 표면(22) 바로 맞은편에 놓인다. 디바이스(2) 및 박스 본체(1)가 고정되게 장착된 후, 실링 부재(3)는 압축되고, 그 결과 실링 부재(3)는 계단식 표면(22) 상에 놓이고, 그리고 실링 부재(3)의 두 표면들은 각각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 및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에 인접하고, 그에 의해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이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에 인접하도록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으로, 계단식 표면(22)은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실링 부재(3)는 디바이스(2) 상에 배치되고, 실링 부재(3)는 계단식 표면(22)의 바로 맞은편에 놓일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디스펜싱에 의해 박스 본체(1) 상에 고정되고, 이는 박스 본체(1)로부터 실링 부재(3)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링 부재(3) 및 박스 본체(1) 사이의 고정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하여 박스 본체(1) 상에 고정된다.
명백하게, 본 출원의 위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출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들이며, 본 출원의 구현들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상이한 형태들로의 다른 변경들 또는 수정들은 위에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구현들 모두를 나열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가능하지도 않다. 본 출원의 정신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변경들, 동등한 치환들 또는 개선들은 본 출원의 첨부되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1 : 박스 본체
2 : 디바이스
21 : 장착 그루브
211 : 제 1 그루브 섹션
212 : 제 2 그루브 섹션
22 : 계단식 표면
221 : 그루브
3 : 실링 부재

Claims (10)

  1. 전기 장비로서,
    박스 본체(1);
    상기 박스 본체(1)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디바이스(2); 및
    전자기 차단 및 실링을 위해 구성되는 실링 부재(3)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3)는 상기 박스 본체(1) 및 상기 디바이스(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바이스(2)의 베이스 표면은 상기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에 인접하는,
    전기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2)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에 장착 그루브(groove)(21)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 그루브(21)는 위에서 아래 순으로 연결되는 제 1 그루브 섹션(211) 및 제 2 그루브 섹션(21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루브 섹션(211)의 폭은 상기 제 2 그루브 섹션(212)의 폭보다 더 크고, 상기 실링 부재(3)는 상기 제 2 그루브 섹션(212)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부재(3)의, 상기 제 2 그루브 섹션(21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은 상기 제 1 그루브 섹션(211)의 위쪽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전기 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디스펜싱 또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해 상기 제 2 그루브 섹션(212)으로 고정되는,
    전기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2)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1)의 상기 장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에 계단식 표면(22)이 제공되고, 상기 계단식 표면(22) 상에 그루브(221)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 부재(3)는 상기 그루브(22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부재(3)의, 상기 그루브(221)로부터 떨어져 있는, 표면을 상기 디바이스(2)의 상기 베이스 표면 또는 상기 박스 본체(1)의 상기 장착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게 하도록 상기 실링 부재(3)는 상기 계단식 표면(22) 상에 놓이는,
    전기 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디스펜싱 또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해 상기 그루브(221)로 고정되는,
    전기 장비.
  6. 제 1 항에 있어서,
    계단식 표면(22)이 상기 디바이스(2)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1)의 상기 장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실링 부재(3)는 상기 계단식 표면(22)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실링 부재(3)는 상기 계단식 표면(22)으로 제공되지 않는 상기 디바이스(2)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1)의 상기 장착 표면 중 다른 하나의 표면의, 상기 계단식 표면(22)의 바로 맞은편인, 위치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3)는 상기 계단식 표면(22) 상에 놓이고,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3)의 두 표면들은 각각 상기 박스 본체(1)의 상기 장착 표면 및 상기 디바이스(2)의 상기 베이스 표면에 인접하는,
    전기 장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3)는 접착제 디스펜싱 또는 접착제 레이어 본딩에 의해 상기 계단식 표면(22) 상에 또는 상기 계단식 표면(22)으로 제공되지 않는 상기 디바이스(2)의 상기 베이스 표면 및 상기 박스 본체(1)의 상기 장착 표면 중 다른 하나의 표면의, 상기 계단식 표면(22)의 바로 맞은편인, 위치에 고정되는,
    전기 장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1) 및 상기 디바이스(2) 모두는 컨덕터들인,
    전기 장비.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1)의 장착 표면 및 상기 디바이스(2)의 상기 베이스 표면은 전도성 컨택 상태에 있는,
    전자 장비.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3)는 실링 고무 스트립인,
    전기 장비.
KR1020237026330A 2021-03-10 2021-12-02 전기 장비 Ceased KR20230128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0507224.7U CN214592686U (zh) 2021-03-10 2021-03-10 一种电气设备
CN202120507224.7 2021-03-10
PCT/CN2021/135032 WO2022188478A1 (zh) 2021-03-10 2021-12-02 一种电气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347A true KR20230128347A (ko) 2023-09-04

Family

ID=7831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330A Ceased KR20230128347A (ko) 2021-03-10 2021-12-02 전기 장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14669A1 (ko)
EP (1) EP4307851A4 (ko)
JP (1) JP2024505271A (ko)
KR (1) KR20230128347A (ko)
CN (1) CN214592686U (ko)
AU (1) AU2021432226A1 (ko)
WO (1) WO2022188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592686U (zh) * 2021-03-10 2021-11-0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8347A5 (de) * 1985-06-28 1988-12-15 Jakob Senn Dichtung an gehaeuseartigen einrichtungen mit elektrischen geraeten.
DE102007032045B4 (de) * 2007-07-10 2009-05-14 Abb Ag Dichtungsanordnung
CN201479512U (zh) * 2009-09-09 2010-05-19 山东超越数控电子有限公司 一种防水屏蔽atr机箱
CN203984831U (zh) * 2014-07-11 2014-12-03 常州博瑞电力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电磁屏蔽密封机箱
JP6414639B2 (ja) * 2015-06-30 2018-10-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142382A (zh) * 2015-09-17 2015-12-09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一种新型导电气密结构
CN205780853U (zh) * 2016-06-28 2016-12-07 深圳市飞荣达科技股份有限公司 多腔屏蔽密封胶条
DE102017101414A1 (de) * 2017-01-25 2018-07-26 Sma Solar Technology Ag Emv abschirmende dichtung und elektrisches oder elektronisches gerät mit einer dichtung
CN207369474U (zh) * 2017-09-24 2018-05-15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洛阳电光设备研究所 一种机载机箱导电密封圈安装结构
CN207560648U (zh) * 2017-11-08 2018-06-2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电磁屏蔽组件
CN109068555B (zh) * 2018-09-18 2024-07-26 北京梦之墨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屏蔽箱
CN209982918U (zh) * 2019-04-19 2020-01-21 赵德宝 一种新型电子信息设备机箱
CN214592686U (zh) * 2021-03-10 2021-11-0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592686U (zh) 2021-11-02
AU2021432226A1 (en) 2023-08-17
WO2022188478A1 (zh) 2022-09-15
EP4307851A1 (en) 2024-01-17
US20240114669A1 (en) 2024-04-04
EP4307851A4 (en) 2025-02-05
JP2024505271A (ja)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7262A (zh) 功率半导体模块系统
US9078358B2 (en) Assembly structure for injection molded substrate and for mounting component
CN104620377A (zh) 半导体装置
EP2706828B1 (en) Coupling assembly of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PC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28347A (ko) 전기 장비
US6574116B2 (en) Inverter capacitor module and inverter
US6707675B1 (en) EMI containment device and method
CN202121492U (zh) 一种电源及其电源外壳
US20150001702A1 (en) Semiconductor module and semiconductor device
KR20210116627A (ko) 레이저 모듈 및 전자 장치
JP2013179011A (ja) 回路基板
CN211210224U (zh) 一种在输出端背面散热的全密封金属外壳
US2010002910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functional pick up cap
CN221551873U (zh) 一种功率模块结构及电子设备
CN110719726A (zh) 一种屏蔽罩
CN216218298U (zh) 电路板固定结构及电子设备
CN220753834U (zh) 一种信号转接器及断路器
CN214672600U (zh) 一种静电保护结构及控制器
CN213694311U (zh) 一种电路板结构及具有其的移动终端
CN219204956U (zh) 一种散热金属板及防静电、浪涌结构
CN214592124U (zh) 一种防震动的抗干扰pcb板
CN213029102U (zh) 一种全电磁屏蔽结构
CN221407846U (zh) 一种电子连接器
CN223006720U (zh) 断路器取电测温模块及断路器
CN215453530U (zh) 一种通信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