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91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2911A KR20230122911A KR1020220019739A KR20220019739A KR20230122911A KR 20230122911 A KR20230122911 A KR 20230122911A KR 1020220019739 A KR1020220019739 A KR 1020220019739A KR 20220019739 A KR20220019739 A KR 20220019739A KR 20230122911 A KR20230122911 A KR 202301229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housing
- connector
- protrusion
- fas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하우징(1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체결레버(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20)에는 상대 커넥터(6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22)와 클립(40)의 장착을 위한 클립체결돌기(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돌기(24)에는 결합바아 삽입공(26)이 형성되어 위치보장구(50)의 결합바아(54)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10)는 클립(40)의 장착을 위한 클립체결돌기(24)가 상대 커넥터(6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버(20)에 형성되어 클립(40)의 장착을 위한 구조와 상대 커넥터(60)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일체로 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의 하우징 내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커넥터조립체는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일측 커넥터에는 고정부에의 고정을 위한 클립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있고, 고정부에의 고정을 위한 클립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 있어야 한다. 이들 구성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 커넥터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과 클립과의 결합을 위?? 구성이 별도로 형성되면, 커넥터의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제조하는 금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일반적으로 클립을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하는 경우에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돌기는 클립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어느 정도 손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클립을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체결돌기 손상되므로 클립을 커넥터에 장착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돌기가 클립의 장착과정에서 손상되면 클립이 커넥터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에 구비되는 클립장착을 위한 구조와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일체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에 구비되는 클립장착을 위한 구조와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 및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위치를 보장하는 구조가 일체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에 클립을 고정하는 체결돌기가 클립장착과정에서 탄성변형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결합위치를 보장하는 위치보장구가 체결레버의 체결돌기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를 가지는 체결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에 형성된 클립체결돌기를 포함하여 클립을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클립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레버에서 상기 결합돌기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클립장착부는 클립의 장착베이스 양단이 걸어지는 한쌍의 걸이리브와, 상기 걸이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베이스가 위치되는 클립걸이공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상기 클립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걸이공간의 바닥은 클립안착베이스가 형성하고 상기 클립안착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클립걸이공간을 연통하며 상기 클립체결돌기가 위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돌기에는 결합바아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아 삽입공에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위치보장구의 결합바아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위치보장구가 1차락상태와 2차락상태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1차락공과 2차락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를 가지는 체결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에 형성된 클립체결돌기를 포함하여 클립을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클립장착부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위치보장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보장구에는 결합바아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바아는 상기 클립체결돌기에 형성된 결합바아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장착부 내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보장구는, 보장구몸체와, 상기 보장구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클립체결돌기의 결합바아 삽입공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바아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1차락공과 2차락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장착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장착부는 클립의 장착베이스 양단이 걸어지는 한쌍의 걸이리브와, 상기 걸이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베이스가 위치되는 클립걸이공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상기 클립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걸이공간의 바닥은 클립안착베이스가 형성하고 상기 클립안착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클립걸이공간을 연통하며 상기 클립체결돌기가 위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버에 클립의 장착을 위한 체결돌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체결레버를 사용하여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과 클립의 장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구조와 클립의 장착을 위한 구조가 일체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체결레버의 체결돌기에는 결합바아 삽입공이 형성되어 위치보장구와의 결합을 통해 체결레버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클립의 장착을 위한 구조,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구조 그리고 위치보장구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일체로 될 수 있어서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조를 위한 금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립의 장착을 위한 체결돌기가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에 의해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클립을 장착시킬 때 체결돌기가 클립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아, 클립을 장착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체결돌기는 클립의 장착과정에서 손상되는 일이 없게 되어, 클립의 장착이 완료되고 나면 체결돌기가 정위치에 있으면서 클립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클립의 장착을 위한 체결돌기에 결합바아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바아 삽입공에 위치보장구의 결합바아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아가 결합바아 삽입공에 삽입됨에 의해 체결돌기 뿐만 아니라 체결레버도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위치보장구에 의해 상대 커넥터 및 클립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커넥터에 클립과 위치보장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위치보장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클립이 장착되는 과정을 보이는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클립이 장착된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체결레버의 체결돌기 부분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와 클립 그리고 위치보장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위치보장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클립이 장착되는 과정을 보이는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클립이 장착된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체결레버의 체결돌기 부분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와 클립 그리고 위치보장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로서 3D프린터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상기 하우징(12)의 앞부분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4) 내에는 터미널설치부(14')가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4')와 상기 하우징(12)의 내면 사이에 상기 내부공간(14)이 형성되고, 이에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커넥터(6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4')를 관통하여서 터미널안착공간(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 내에는 터미널의 고정을 위한 랜스(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랜스(16')는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지지하여 상대 터미널과 터미널이 결합할 때 터미널안착공간(16) 외부로 터미널이 밀리지 않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은 프론트홀더이고, 19는 시일이다.
상기 하우징(12)의 일측에는 체결레버(2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20)는 대략 외팔보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20)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1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자유단부는 상기 하우징(12)의 뒤쪽 부분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20)의 자유단부에 가까운 쪽에는 결합돌기(2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2)는 상기 내부공간(14)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2)에는 자유단부 쪽을 향하도록 걸이면(23)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안내면(2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면(23)은 상기 체결레버(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23')은 자유단부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23')에는 상대 커넥터(60)의 상대 결합돌기(66)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걸이면(23)에는 상대 결합돌기(66)가 걸어져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60) 사이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20)에는 클립체결돌기(24)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돌기(24)는 상기 결합돌기(22)의 반대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돌기(24)는 상기 하우징(12)에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40)을 장착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클립체결돌기(24)는 상기 하우징(12)에서 내부공간(14) 반대쪽인 클립걸이공간(34)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돌기(24)는 클립(40)이 장착과는 과정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4)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클립(40)이 클립장착부(30)에 위치되면 클립(40)을 걸어서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클립체결돌기(24)에는 상기 체결레버(2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바아삽입공(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아삽입공(26)은 상기 클립체결돌기(2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아삽입공(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위치보장구(5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레버(20)의 자유단부 쪽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12)의 양측에는 1차락홀(28)과 2차락홀(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락홀(28)과 2차락홀(29)은 상기 하우징(12)의 양측 내면에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1차락홀(28)과 2차락홀(29)이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차락홀(28)과 2차락홀(2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위치보장구(50)가 결합되어, 위치보장구(50)가 하우징(12)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2)의 일측 외면에는 클립장착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장착부(30)는 상기 체결레버(20)가 위치되는 내부공간(14)에 대응되는 하우징(12)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장착부(3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되게 걸이리브(3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리브(32)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40)이 상기 하우징(12)에 장착되고 분리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이리브(32) 쌍의 사이에 클립(40)이 걸어져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걸이리브(32) 쌍의 사이에 클립걸이공간(34)이 형성되는데, 상기 클립걸이공간(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40)의 장착베이스(47)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립걸이공간(34)의 바닥을 안착베이스(36)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베이스(36)는 상기 클립걸이공간(34)의 바닥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2)의 외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베이스(36)의 일부에는 관통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37)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14)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관통부(37)를 통해 상기 체결레버(20)의 클립체결돌기(24)가 상기 클립걸이공간(34)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클립장착부(30)에 장착되는 클립(40)의 구조를 도 2 등을 참고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클립(40)은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10)를 고정부에 장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클립(40)의 골격을 클립몸체(4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42)의 일단부 양측에는 탄성날개(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날개(43)의 쌍은 고정부의 관통공에 동시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42)의 중간부분을 둘러서는 탄성장착편(4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장착편(45)은 상기 탄성날개(43)와 협력하여 고정부의 패널에 클립(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장착편(45)은 탄성변형된 상태로 패널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착편(45)이 패널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날개(43)가 패널의 관통공을 통해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패널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4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베이스(4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베이스(47)는 상기 탄성장착편(45)을 기준으로 상기 탄성날개(43)의 반대족에 있다. 상기 장착베이스(47)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걸이리브(32)에 각각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베이스(47)의 저면에는 걸림돌기(4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49)는 상기 클립체결돌기(24)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돌기(49)에는 상기 클립체결돌기(24)가 걸어지는 걸이면이 장착베이스(47)의 저면에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클립체결돌기(24)를 안내하는 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위치보장구(5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보장구(50)는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60)가 결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보장구(50)는 상기 하우징(12)에 1차락상태와 2차락상태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위치보장구(50)가 1차락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위치보장구(50)가 2차락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될 수 없다. 즉, 상기 체결레버(20)가 고정된 상태가 되어 상기 체결레버(20)의 결합돌기(22)에 의해 상대 커넥터(60)가 결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체결레버(20)가 고정된 상태가 됨에 의해 상기 클립체결돌기(24)도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어 상기 클립(40)이 장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위치보장구(50)의 골격을 보장구몸체(5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장구몸체(52)는 상기 하우징(1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보장구몸체(52)의 일면 중앙에는 결합바아(5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바아(54)는 상기 보장구몸체(52)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장구몸체(52)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바아(54)와 나란히 연장되게 장착레버(5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레버(55)도 외팔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장착레버(55)의 자유단부에는 각각 장착돌기(5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56)는 양측의 장착레버(55)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56)는 상기 하우징(12)의 1차락공(28)이나 2차락공(29)에 선택적으로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56)들이 상기 1차락공(28)에 걸어져 있으면 상기 위치보장구(50)는 1차락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장착돌기(56)들이 상기 2차락공(29)에 걸어져 있으면 상기 위치보장구(50)는 2차락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보장구몸체(5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장착가이드(5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58)는 상기 위치보장구(40)가 상기 하우징(12)에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58)가 상기 하우징(1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2) 내면에 안내되어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58)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대 커넥터(60)는 상기 커넥터(10)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대 커넥터(60)는 외관과 골격을 상대 하우징(6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대하우징(62)의 내부에는 터미널설치공간(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는 터미널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는 상대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대 커넥터(60)의 상대 하우징(62) 일측에는 상대 체결레버(6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대 체결레버(64)에는 상대 결합돌기(6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상대 체결레버(64)는 외팔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상대 체결레버(64)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상대 하우징(62)의 외면에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대 결합돌기(66)는 상기 커넥터(10)의 체결레버(20)의 결합돌기(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10)에는 상기 위치보장구(50)가 먼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위치보장구(50)는 1차락상태로 상기 하우징(12)에 장착된다. 즉, 상기 장착레버(55)의 장착턱(56)이 하우징(12)의 1차락공(28)에 안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위치보장구(50)의 결합바아(54)가 상기 체결레버(20)의 클립체결돌기(24)에 결합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에 형성된 클립장착부(30)에는 클립(40)이 장착된다. 상기 클립(40)은 상기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60)와 결합되기 전에 상기 하우징(12)에 장착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기 클립(40)이 상기 커넥터(10)의 하우징(12)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클립(40)은 상기 장착베이스(47)가 상기 걸이리브(32) 쌍의 일측 끝부분에서 부터 상기 클립걸이공간(34)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장착베이스(47)의 일부가 상기 클립걸이공간(34)으로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착베이스(47)가 상기 걸이리브(32) 쌍의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클립체결돌기(24)는 상기 장착베이스(47)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49)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49)의 경사면에 상기 클립체결돌기(24)의 경사면이 서로 안내되면서 상기 클립체결돌기(24)가 형성된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됨에 의해 상기 클립체결돌기(24)는 상기 내부공간(14)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장착베이스(47)의 걸림돌기(49)가 상기 클립체결돌기(24)를 눌러주면서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베이스(47)가 상기 클립걸이공간(34)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상기 걸림돌기(49)가 상기 클립체결돌기(24)를 통과하여 상기 클립체결돌기(24)는 상기 클립걸이공간(34)으로 다시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49)의 일측이 상기 클립체결돌기(24)에 걸리게 되면서 클립(40)의 장착베이스(47)가 상기 클립걸이공간(34)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클립(40)을 상기 하우징(12)의 클립장착부(30)에서 빼내려면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클립체결돌기(24)를 조작하여 상기 걸림돌기(49)가 상기 클립체결돌기(24)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 6이나 도 7의 상태에서는 상기 위치보장구(50)가 1차락상태에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10)에 상대 커넥터(60)가 결합되는 것을 도 8에서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의 상태와 같이 커넥터(10)의 하우징(12)에 클립(40)과 위치보장구(50)가 1차락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60)가 결합된다. 도 7의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60)가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14)으로 삽입되면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상대 체결레버(20)의 결합돌기(22)를 향해 이동한다. 이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상기 결합돌기(22)의 안내면(23')에 안내되기 시작하면 상기 체결레버(20)는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체결레버(20)가 상기 클립(40) 쪽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클립체결돌기(24)가 상기 클립(40)의 장착베이스(47)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상기 체결레버(20)의 결합돌기(22)의 안내면(23')을 통과하여 걸이면(23)에 걸어진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상기 결합돌기(22)를 타고 넘어 상기 걸이면(23)에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걸어지면, 상기 커넥터(10)와 상기 상대 커넥터(60)는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대 결합돌기(66)와 상기 결합돌기(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보장구(50)를 2차락상태로 이동한다. 즉, 상기 위치보장구(50)의 장착레버(55)에 있는 장착돌기(56)가 상기 하우징(12)의 2차락공(29)에 결합되도록 위치보장구(5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위치보장구(50)의 이동은 상기 결합바아(54)가 상기 클립체결돌기(24)의 결합바아 삽입공(26)에 삽입되도록 한다. 도 10에는 상기 결합바아 삽입공(26)에 상기 결합바아(54)가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바아(54)가 상기 클립체결돌기(24)의 결합바아 삽입공(26)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20)는 탄성변형이 될 수 없다. 즉, 상기 위치보장구(50)에 의해 체결레버(20)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될 수 없도록 고정됨에 의해 상기 클립(50)이 상기 클립체결돌기(2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60)는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상기 체결레버(20)의 결합돌기(22)에서 빠질 수 없게 되어 상기 커넥터(10)에서 분리될 수 없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10)와 상기 상대 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위치보장구(50) 부터 1차락상태로 바꿔야 한다. 상기 위치보장구(50)의 장착레버(55)를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장착돌기(45)가 1차락홀(28)에 안착되도록 위치보장구(5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위치보장구(50)의 결합바아(54)가 상기 클립체결돌기(24)의 결합바아 삽입공(26)에서 빠지게 되고, 상기 체결레버(2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작업자는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상기 체결레버(20)의 결합돌기(22)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레버(20)를 탄성변형시키거나,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있는 부분의 상대 하우징(62) 또는 상기 상대 체결레버(64)를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상대 결합돌기(66)가 상기 체결레버(20)의 결합돌기(22)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커넥터(10)와 상기 상대 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커넥터
12: 하우징
14: 내부공간 14': 터미널설치부
16: 터미널설치공간 16': 랜스
18: 프론트홀더 19: 시일
20: 체결레버 22: 결합돌기
23: 걸이면 23': 안내면
24: 클립체결돌기 26: 결합바아 삽입공
28: 1차락공 29: 2차락공
30: 클립장착부 32: 걸이리브
34: 클립걸이공간 36: 안착베이스
37: 관통부 40: 클립
42: 클립몸체 43: 탄성날개
45: 탄성장착편 47: 장착베이스
49: 걸림돌기 50: 위치보장구
52: 보장구몸체 54: 결합바아
55: 장착레버 56: 장착돌기
58: 장착가이드 60: 상대 커넥터
62: 상대 하우징 64: 상대 체결레버
66: 상대 결합돌기
14: 내부공간 14': 터미널설치부
16: 터미널설치공간 16': 랜스
18: 프론트홀더 19: 시일
20: 체결레버 22: 결합돌기
23: 걸이면 23': 안내면
24: 클립체결돌기 26: 결합바아 삽입공
28: 1차락공 29: 2차락공
30: 클립장착부 32: 걸이리브
34: 클립걸이공간 36: 안착베이스
37: 관통부 40: 클립
42: 클립몸체 43: 탄성날개
45: 탄성장착편 47: 장착베이스
49: 걸림돌기 50: 위치보장구
52: 보장구몸체 54: 결합바아
55: 장착레버 56: 장착돌기
58: 장착가이드 60: 상대 커넥터
62: 상대 하우징 64: 상대 체결레버
66: 상대 결합돌기
Claims (13)
-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를 가지는 체결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에 형성된 클립체결돌기를 포함하여 클립을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클립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레버에서 상기 결합돌기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장착부는 클립의 장착베이스 양단이 걸어지는 한쌍의 걸이리브와, 상기 걸이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베이스가 위치되는 클립걸이공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상기 클립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걸이공간의 바닥은 클립안착베이스가 형성하고 상기 클립안착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클립걸이공간을 연통하며 상기 클립체결돌기가 위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체결돌기에는 결합바아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아 삽입공에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위치보장구의 결합바아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위치보장구가 1차락상태와 2차락상태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1차락공과 2차락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를 가지는 체결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에 형성된 클립체결돌기를 포함하여 클립을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클립장착부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위치보장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장구에는 결합바아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바아는 상기 클립체결돌기에 형성된 결합바아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커넥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장착부 내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커넥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장구는, 보장구몸체와, 상기 보장구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클립체결돌기의 결합바아 삽입공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바아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1차락공과 2차락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장착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장착부는 클립의 장착베이스 양단이 걸어지는 한쌍의 걸이리브와, 상기 걸이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베이스가 위치되는 클립걸이공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상기 클립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걸이공간의 바닥은 클립안착베이스가 형성하고 상기 클립안착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클립걸이공간을 연통하며 상기 클립체결돌기가 위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739A KR20230122911A (ko) | 2022-02-15 | 2022-02-15 |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739A KR20230122911A (ko) | 2022-02-15 | 2022-02-15 |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911A true KR20230122911A (ko) | 2023-08-22 |
Family
ID=8779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9739A Pending KR20230122911A (ko) | 2022-02-15 | 2022-02-15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22911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9055A (ko) | 2018-06-07 | 2019-12-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클립 |
KR20210084146A (ko) | 2019-12-27 | 2021-07-0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조립체 |
-
2022
- 2022-02-15 KR KR1020220019739A patent/KR20230122911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9055A (ko) | 2018-06-07 | 2019-12-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클립 |
KR20210084146A (ko) | 2019-12-27 | 2021-07-0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16914B2 (en) | Checkable plug-in connection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a plug-in connection | |
US6217358B1 (en) |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 |
KR200494031Y1 (ko) | 커넥터 | |
CN105284016B (zh) | 连接器组件 | |
KR200447848Y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JP2009541919A (ja) | 電気コネクタ | |
JPH08227750A (ja) | コネクタ | |
KR100796028B1 (ko) | 커넥터 록킹구조 | |
KR20140032289A (ko) | 커넥터 조립체 | |
KR20220091862A (ko) |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 |
JP4349186B2 (ja) | コネクタ | |
KR102667447B1 (ko) | 커넥터 | |
KR100952436B1 (ko) | 커넥터 | |
KR101899841B1 (ko) | 커넥터 조립체 | |
KR20230122911A (ko) | 커넥터 | |
JP3687537B2 (ja) | 分割コネクタ | |
KR0149884B1 (ko) | 상자형 전장부품의 부착구조 | |
KR20120120810A (ko) |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 |
JP4723321B2 (ja) | ブレーカ取付構造 | |
KR20210084146A (ko) | 커넥터 조립체 | |
KR20210064553A (ko) |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 |
KR20100022841A (ko) | 커넥터 | |
KR100955054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 |
KR20110032881A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20230005616A (ko) |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