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294A - Manufacturing method of non-sewing composite sheet with embedded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non-sewing composite sheet with embedded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9294A KR20230119294A KR1020220015249A KR20220015249A KR20230119294A KR 20230119294 A KR20230119294 A KR 20230119294A KR 1020220015249 A KR1020220015249 A KR 1020220015249A KR 20220015249 A KR20220015249 A KR 20220015249A KR 20230119294 A KR20230119294 A KR 202301192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mold
- molding
- synthetic resin
- thermoplastic synthe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6—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not appli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39/12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 B29C70/2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the structure being shaped to form a three dimensional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시트(20)를 준비하는 단계;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 각각을 채워넣은 다음 그 상측부위에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안치하거나, 또는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한 다음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키는 단계;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여, 용융된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부직포시트(20)와 일체화되면서 부직포시트(20) 및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을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외피시트(1)의 제작 단계; 일정두께를 가지는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하는 단계; 제1성형부가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제1외피시트(1)의 일면부위를 제2외피시트(50)의 타면부위에 안치하는 단계;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여, 제2외피시트(5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제1성형부가 형성된 제1외피시트(1)의 일면부위가 제2외피시트(50)의 타면부위와 일체화된 복합시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nonwoven fabric sheet 20 having a certain thickness; After filling each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with a certain amount of the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r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Placing a certain amount of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on each of the other surface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molding spaces of the first mold 11 after being placed in the first mold 11; By heating the first and second molds 11 and 15 in a molded state, the molten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is integrated with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thereby form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and the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respectively. Manufacturing step of the first outer sheet (1) to form the shape of each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Plac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40 having a certain thickness in the first mold 11; Placing one surface of the first outer sheet 1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50 with the first molding part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The first and second molds 11 and 15 are heated in a molded state to form the on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50 into the shape of the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while forming the first outer shell in which the first molding part is formed.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in which one surface of the sheet 1 is integrated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50;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sewn composite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molding embedded there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형의 성형공간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그 입체 형상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을 담보할 있으며, 재봉 없이 다양한 질감을 가지는 외피가 내장된 성형물의 형상대로 재현하여 특정 부위를 입체 형상으로 두드러지게 표현할 수 있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sewn composite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molding embedded therein,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erfectly reproduce the three-dimensional shape no matter what shape the molding space of the mold is made in, and stable for a long time.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that can be guaranteed to be used and can express a specific part in a three-dimensional shape by reproducing the shape of a molding having a built-in outer skin having various textures without sewing.
신발이나 가방과 같은 스포츠 용품은 물론 옷과 같은 의류 등에는 제품의 출처를 표기하거나 또는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위한 디자인적 요소를 부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물이 마련된다. 종래 성형물이 마련되는 이러한 제품은, 임의 형상의 성형면이 형성되는 금형에 기재를 안치한 다음 합형된 금형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Sporting goods such as shoes and bags, as well as clothing such as clothes, are provided with three-dimensional moldings as a means for indicating the origin of the product or highlighting design elements for differentiation from other products. These products, which are conventionally prepared with moldings, were manufactured by placing a substrate in a mold in which a molding surface of an arbitrary shape is formed, and then injecting molten resin into the molded mold.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물이 기재 표면에서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외력이나 세탁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기재로부터 박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성형물 자체가 복수 개의 분할된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경우나, 또는 부위별로 두께를 달리지는 경우, 특히 그 두께가 매우 얇아지는 경우에는 이 방식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였다.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of being damaged or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by external force or washing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ddition, it was impossible to use this method itself when the molding itself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vided structures, or when the thickness varies for each part, especially when the thickness is very thin.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된 것이, 액상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성형물을 제작하는 PU 캐스팅 방식이다. 이 방식은,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의 성형공간에 과충전시킨 다음, 충전된 수지 중에서 불필요한 부위는 스크래퍼로서 제거하여 성형물을 제작한다는 점에서, 성형물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그 두께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이 있어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an alternative to this, a PU casting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article using a liquid synthetic resin is proposed.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limited by the specific shape or thickness of the molded product in that the synthetic resin is melted and the molding space of the mold is overfilled, and then unnecessary parts of the filled resin are removed as a scraper to produce the molded product. It is widely used in industry.
하지만, PU 캐스팅은 기재와 성형물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방식이 아니라 성형물 자체를 제작하는 기술로서, 이 방식을 통해 성형물이 제작되면 그 상측부위에 직물과 같은 기재를 안치한 상태에서 가압, 가열하여 기재와 일체화시킨다는 점에서, 제작된 성형물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다. 그런데, 이처럼 성형물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대동소이하게 발현될 수 있다. However, PU casting is no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se material and a molded article in one piece, but a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the molded article itself. When a molded article is produced through this method, pressurization and heating are performed while placing a base material such as a fabric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ed article. In terms of integration, the manufactured mold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By the way, if the molding is made of a configuration that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may be expressed in much the same way.
즉, 기재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성형물에 다양한 형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성형물 자체가 손상되거나 성형물 중 결합력이 약한 부위가 기재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합성수지가 가지는 물성적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질감이나 연성을 기대하기 곤란하며,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물의 특성상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디자인을 적용시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That is, when various types of external forces act on the molded article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molded article itself may be damaged or a portion of the molded article with weak bonding force may be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xpect various textures or ductility due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synthetic resins, and it is impossible to apply designs of various colors to the surfa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moldings made of three-dimensional shapes.
PU 캐스팅과 함께 신발의 갑피 제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 중에 무재봉(no saw) 방식이 있다. 이 기술은 재봉이라는 복잡한 수작업을 거치지 않더라도,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장식체를 기재 표면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부위별로 다른 형상이나 높이를 가지는 장식체를 제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장식체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란 점에서 PU 캐스팅 방식이 가지는 단점도 고스란히 안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적 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다.Along with PU casting, there is a no-saw method among technologies that are widely used in manufacturing shoe uppers. Thi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uple decorative objects having various shapes to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without going through a complicated manual process of sewing, but it is almost impossible to manufacture decorative objects having different shapes or heights for each part. In addition, it has the disadvantage of the PU casting method in that the decoration itself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it is time to develop an alternative technology.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입체 형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입체 형상의 표면에 임의 색상의 디자인을 부가할 수 있고,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장시간 동안 안정적인 내구성을 담보할 수 있는 무재봉 방식의 복합시트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express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as well as to add designs of arbitrary colors to the surface of three-dimensional shapes, and to provide various shapes desired by consumers. It is to provide a non-sewn composite sheet that can secure stable durability for a long time while satisfying the needs.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깊이를 달리하는 성형공간이 형성된 제1금형(11)을 준비하는 단계; 일정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시트(20)를 준비하는 단계;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 각각을 채워넣은 다음 그 상측부위에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안치하거나, 또는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한 다음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키는 단계;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하는 단계;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여, 용융된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부직포시트(20)와 일체화되면서 부직포시트(20) 및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을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외피시트(1)의 제작 단계; 제2금형(15)을 개방하여 제1성형부가 형성된 제1외피시트(1)를 제1금형(1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일정두께를 가지는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하는 단계; 제1성형부가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제1외피시트(1)의 일면부위를 제2외피시트(50)의 타면부위에 안치하는 단계;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하는 단계;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여, 제2외피시트(5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제1성형부가 형성된 제1외피시트(1)의 일면부위가 제2외피시트(50)의 타면부위와 일체화된 복합시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깊이를 달리하는 성형공간이 형성된 제1금형(11)을 준비하는 단계; 일정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시트(20) 및 제2외피시트(40)를 준비하는 단계;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하는 단계;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외피시트(4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킨 다음 그 상측부위에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안치하거나, 또는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제2외시트(40)의 타면부위에 안치한 다음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키는 단계;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하는 단계;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여, 용융된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부직포시트(20) 및 제2외피시트(40) 각각과 일체화되면서 제2외피시트(40), 부직포시트(20),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을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하는 복합시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Another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30)에는 발포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The thermoplastic
상기 복합시트가 제작되면, 일정두께를 가지는 내피시트(50)를 준비한 다음 내피시트(50)의 일면부위가 복합시트의 타면부위와 대향한 상태로 내피시트(50)를 제1외피시트(1)의 타면부위에 안치하고,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를 합형한 다음 제1, 2금형(11, 15)을 가열하여 내피시트(50)의 일면부위를 복합시트의 타면부위와 일체화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When the composite sheet is manufactured, an
상기 부직포시트(20)에는 폴리우레탄이 함침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The
상기 부직포시트(20)의 융점은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20)의 융점보다 높을 수 있다.The melting point of the
상기 제2외피시트(40)의 융점은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20)의 융점보다 높을 수 있다.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상기 제2외피시트(40)는 통기성이 없는 필름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로 그 일면부위가 제1금형(11)에 안치되며, 상기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일정량이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본 발명은 부직포시트와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조합하여, 용융된 열소소성 합성수지가 부직포시트로 스며들면서 부직포시트와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금형의 성형공간으로 성형시키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금형의 성형공간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그 입체 형상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in which a nonwoven fabric sheet and a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re combined, and the molten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permeates into the nonwoven fabric sheet to form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nonwoven fabric sheet and is molded into the molding space of the mold. Even if it is made of a shape, it is possible to perfectly reproduce the three-dimensional shape.
또한, 본 발명은 재봉 작업 없이도 금형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제조된 부직포시트와 열가소성 합성수지 조합체의 표면부위를 외피시트로서 마감하여, 성형부의 입체 형상은 외피시트를 통해 투영시키면서 성형부 자체는 외피시트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을 담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inishes the surface of the combination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produced in the shape of the molding space of the mold as an outer sheet without sewing work,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olding part is projected through the outer sheet while the molding part itself Since it can b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using it, it can guarantee stable use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이나 질감을 가지는 외피시트나, 다양한 색상이나 모양을 가지는 디자인이 형성된 외피시트를 부직포시트와 열가소성 합성수지 조합체와 결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외피시트를 통해 투영되는 입체 형상을 더욱 두드러지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of various shapes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 in that the outer sheet having various colors or textures or the outer sheet having a design having various colors or shapes can be combined with a combination of a nonwoven fabric sheet and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Not only is it possible to supply, but it is also possible to express the three-dimensional shape projected through the outer sheet more prominently, which can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내피시트를 부가하거나, 또는 특정 부위에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제품에 있어 소비자가 요구하는 편의성이나 기능성을 충분하게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satisfy the convenience or functionality required by consumers in various products in that a separate endothelial sheet made of various materials can be added or air permeability can be imparted to a specific area.
도 1a 내지 도 1g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서 복합시트의 개략적인 제조 단계도.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의 제조시 추가될 수 있는 개략적인 단계도.
도 3a 내지 도 3e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 복합시트의 개략적인 제조 단계도.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로서 복합시트의 개략적인 제조 단계도.
도 5a 내지 도 5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로서 복합시트의 개략적인 제조 단계도.1a to 1g are schematic manufacturing steps of a composite sheet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schematic steps that can be added during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are schematic manufacturing steps of a composite sheet 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4a and 4b are schematic manufacturing steps of a composite sheet 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5a to 5d are schematic manufacturing steps of a composite sheet 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Looking at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in detail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matter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단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sewn composite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molding embedded therein, and the specific steps for manufacturing the composite sheet are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1금형(11)을 준비한다. 제1금형(11)에는 도 1a와 같이, 깊이를 달리하는 성형공간(121, 1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성형공간이 상호 연통되는 구성의 예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성형공간은 연통되지 않는 구조로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First, a
도면부호 13은 제1금형의 성형면에서 성형공간을 이루지 않는 가압단으로서 후술할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에 관여하지 않은 부분이다. 이처럼 성형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단(13)이 마련되면, 최종 제품에서 통기부로 기능하는 부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시트(20)를 준비한다. 부직포(non-woven fabric)는 열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인조직물로서, 부직포를 이루는 섬유들이 서로 얽히도록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은 약하나 통기성이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가 가지는 이러한 통기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부직포시트를 복합시트에 있어 기본 시트로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Next, a
준비되는 부직포시트(20)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제1금형(11)에 형성되는 성형공간(121, 123)의 깊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성형공간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직포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The thickness of the prepared
이때, 본 발명은 부직포시트(20)에 폴리우레탄이 함침되거나 도포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부직포시트(20)의 강도나 복원력 등과 같은 내구성이 증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후술할 성형과정에서 부직포시트와 열가소성 합성수지 상호 간의 물리적 결합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polyurethane is impregnated or applied to the
부직포시트(20)가 준비되면, 부직포시트(20)와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을 제1금형(10)에 위치시킨다. 이때,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고상의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시트(20)와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은 아래와 같은 방식 중의 어느 하나로 제1금형(10)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그 중 첫째(이하 제1실시예)는, 도 1b와 같이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에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 각각을 채워넣은 다음, 그 상측부위에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안치하는 것이다. 성형공간 각각에 채워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양은, 금형에 형성되는 성형공간 각각의 깊이 및 부직포의 두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일이다.Among them, in the first (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B, a certain amount of thermoplastic
두 번째(이하 제2실시예)는, 도 3a와 같이,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한 다음,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키는 것이다. In the seco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3A, one surface portion of the
세 번째(이하 제3실시예)는, 전술한 방식을 조합한 것으로 도 4a와 같이, 부직포시트(20)를 사이에 두고 열가소성 합성수지(30)의 일부는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에 채워넣고, 열가소성 합성수지(30)의 나머지 일부는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The thi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embodiment) is a combination of the above methods, and as shown in FIG. 4a, a part of the thermoplastic
도면에는 펠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30)를 사용하는 예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트 등과 같은 다양한 고상의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핫 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 작업의 편의를 위해 금형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선성형되거나 3d 프린팅된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drawing, an example of using a thermoplastic
한편,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수지(30)에 발포제가 함유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처럼 열가소성 합성수지(30)에 발포제가 함유되면, 후술할 가열 과정에서 발포제의 발포 작용으로 인해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제1금형의 성형공간 내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발생하는 기포로 인해 제품 자체를 훨씬 경량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thermoplastic
제1실시예로서, 제1금형(11)에 부직포시트(20)와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위치하면, 도 1c와 같이,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하여 부직포시트(20)와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을 가압한 다음 가열한다. 금형의 가열은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용융되어 성형공간의 형상으로 성형될 정도면 족하다.As a first embodiment, when the
제1, 2금형(11, 15)이 합형된 상태로 가열되면,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용융되면서 부직포시트(20)를 가압함과 동시에 그 내부로 스며든다. 이에 따라,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부직포시트(20)와 일체화되면서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된다.When the first and
종래 금형에 직물과 같은 기재를 안치한 상태에서 성형공간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는 경우, 용융된 수지가 성형공간을 완전하게 채우지 못하여 불량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설사, 용융된 수지의 일정량을 성형공간에 채워 넣는다 할지라도, 수지의 경화과정에서 금형의 성형면과 맞닿은 부위에서 기포가 발생하여 제품의 표면상태가 불량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In the case of injecting molten resin into the molding space in a state where a substrate such as fabric is placed in a conventional mold, the molten resin does not completely fill the molding space, resulting in defects. Even if a certain amount of molten resin is filled into the molding space,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molding surface of the mold during the curing process of the resin, resulting in poor surface conditions of the product.
또한, 부직포와 같은 직물은 그 두께가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래 부직포 자체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가지는 제품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는데, 본 발명은 용융된 수지가 부직포시트의 내부로 스며들게 구성함으로써, 부직포시트와 수지의 혼합체가 성형공간을 완전하게 메움과 동시에 제품의 표면 상태가 불량해지는 이러한 제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있다.In addition, since fabrics such as non-woven fabrics have a limited thickness, it has been impossible to manufacture products having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using only the conventional non-woven fabric itself. , The mixtur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resin completely fills the molding space and at the same time fundamentally prevents these various phenomena in which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product is poor.
한편, 금형을 합형한 다음 가열함에 있어, 합형된 금형에 고주파를 추가적으로 가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더욱 신속하게 용융되면서 그 일부가 부직포시트(20)에 스며들어 금형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Meanwhile, in heating the mold after molding, high frequency may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mold. In this case, while the solid thermoplastic
부직포시트(20)와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일체화되며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되면, 일정 시간의 냉각 단계를 거친 다음 제2금형(15)을 개방하여 열가소성 합성수지(30)와 부직포시트(20)가 일체화된 제1외피시트(1)를 제1금형(11)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1d에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작되는 제1외피시트(1)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When the
도면과 같이, 제1외피시트(1)에는 제1금형(11)의 성형공간(121, 123) 형상으로 성형된 제1성형부(321, 323)가 형성된다. 제1성형부(321, 323)에 있어 상측부위는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중의 일부가 성형공간(121, 123) 형상으로 성형되며, 제1성형부(321, 323)에 있어 하측부위는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중의 나머지가 부직포시트(20) 내부 공간(점선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며 성형된 부위이다. 도면부호 23은 부직포시트(20)에 있어 제1금형(11)의 가압단(13)에 의해 성형된 부위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제2실시예 역시, 도 3b와 같이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면, 부직포시트(20)와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상호 간에 일체화되며 제1금형(11)의 성형공간(121, 123) 형상으로 성형되어, 도 3c와 같은 제1외피시트(1′)가 제작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well, when the first and
이 경우, 제1외피시트(1′)에 있어 제1성형부(321, 323)의 상측부위는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중의 일부가 부직포시트(20)의 내부 공간(점선 상측)으로 스며들면서 성형공간(121, 123)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하측부위는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중의 나머지가 성형된 부위이다. 전술한 경우와 달리, 제1성형부(321, 323)의 상측부위는 부직포시트(20)와 열가소성 합성수지(30)의 복합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제3실시예의 경우도, 도 4b와 같이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면, 부직포시트(20)와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상호 간에 일체화되며 제1금형(10)의 성형공간(121, 123)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작되는 제1외피시트에 있어 제1성형부 중 중앙부위는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부직포시트 내부 공간으로 스며들어 일체화되고, 그 상측부위 및 하측부위 각각은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제1, 2금형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음은(도 1d 및 도 3c 각각의 혼합 구조)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Even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when heating the first and
한편, 본 발명은 제1금형(11)에 부직포시트(20)와 열가소성 합성수지(20)를 함께 위치시킴에 있어, 열가소성 합성수지(20)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부직포시트(20)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럴 경우, 전술한 금형의 가열 과정에서 부직포 자체가 가지는 통기적 특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임은 너무나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lacing the
제1실시예에 있어 제1외피시트(1)가 제작되면, 도 1e와 같이, 일정두께를 가지는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한다. 제2외피시트(40)는 최종 제품의 외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인조피혁은 물론 천연피혁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first
이때, 본 발명은 제2외피시트(40)가 통기성 있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로 드러나는 표면부위에는 통기성이 없는 박막이나 필름 층이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제2외피시트(40) 자체가 통기성이 없는 박막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a non-permeable thin film or film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econd
또한, 제2외피시트(4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30)보다 융점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가소성 합성수지(30)를 용융시키기 위해 금형이 가열되는 경우, 제1금형(11)의 성형면과 접하며 안치된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econd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가 제1금형(11)에 안치되면, 도면과 같이, 제1외피시트(1)에 있어 제1성형부(321, 323)가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121, 123)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제1외피시트(1)의 일면부위를 제2외피시트(50)의 타면부위에 안치한다. When one surface of the second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금형의 성형공간에 충전시킨 다음 용융 및 냉각단계를 거치면, 재료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일정 비율로 수축되면서 금형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된 제품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성형된 제품 자체를 동일한 금형의 성형공간에 안치하더라도, 성형공간과 제품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치수 차이가 발생한다.Typically, when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is filled in the molding space of a mold and then subjected to melting and cooling steps, a product molded in the shape of the molding space of the mold is made while shrinking at a certain r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refore, even if the molded product itself is placed in the molding space of the same mold, a dimensional difference of a certain interval occurs between the molding space and the product.
하지만,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만을 금형의 성형공간에 충전시킨 상태에서 용융 및 냉각단계를 거치는 것이 아니라, 통기성을 가지는 부직포시트를 열가소성 합성수지와 조합한 상태로 금형의 성형공간에 안치하거나 충전시켜 용융 및 냉각단계를 거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제1외피시트를 동일한 금형의 성형공간에 위치시키더라도 제1외피시트에 형성된 제1성형부는 치수의 차이 없이 금형의 성형공간에 정확하게 대응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o through the melting and cooling steps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is filled in the molding space of the mold, but melts and In terms of the cooling step, even if the first outer sheet is located in the molding space of the same mold, the first molding part formed on the first outer sheet accurately corresponds to the molding space of the mold without a difference in size.
이때, 본 발명은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에 임의 모양이나 색상의 디자인이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에 형성되는 디자인은 제1외피시트(1)의 제1성형부(321, 3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a design of an arbitrary shape or colo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다음으로, 도 1f와 같이,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한 다음 가열한다.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면, 제1금형(11)과 대향하고 있던 제2외피시트(50)는 성형공간(121, 123)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제1외피시트(1) 중 제1성형부(321, 323)를 이루는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용융되면서 제2외피시트(40)의 타면부위와 일체화되며 결합된다.Next, as shown in FIG. 1F, the
일정 시간의 냉각 단계를 거쳐 제2금형(15)을 개방하면, 도 1g에 개시된 것과 같은 복합시트(2)를 얻을 수 있다. 이 복합시트(2)는 도면과 같이, 제1성형부(321, 323)는 제2외피시트(40)에 의해 보호되는 구조를 가지며, 외부로 노출되는 제2외피시트(40)는 제1성형부(321, 323)가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그대로 재현하는 특징이 있다. When the
이럴 경우, 제1성형부는 그 입체적 특징은 제2외피시트(40)에 투영하여 반영시키되, 자신은 복합시트(2)의 내부에서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복합시트(2)를 이용하여 신발의 갑피나 가방 등과 같은 제품을 만들게 되면, 종래 기술과 달리 다양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을 담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olding unit reflects its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by projecting it onto the second
한편, 제2실시예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복합시트(2′)의 일례가 도 3d에 개시되어 있다. 이 복합시트(2′)는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게 도 1e 및 도 1f 각각과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금형에 대한 가열과정에서 부직포시트(20)와 열가소성 합성수지(30)의 복합 구조로 이루어진 제1외피시트(1′)에 있어 제1성형부(321, 323)의 상측부위가 제2외피시트(40)의 타면부위와 일체화된다.Meanwhile, an example of a composite sheet 2' that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sclosed in FIG. 3D. This composite sheet 2' goes through the same steps as those in Figs. 1e and 1f, respectively, in much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irst outer sheet 1' formed, the upper portions of the
즉, 금형이 가열되면, 제1성형부(321, 323)의 상측부위에 함침되어 있던 열가소성 합성수지이 일부가 용융되고, 이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제2외피시트(40)의 타면부위를 통해 내부로 스며들면서 제1외피시트(1′)와 제2외피시트(40)가 일체화되는 것이다. 만일, 필요하다면 제1외피시트(1′)와 제2외피시트(40) 사이에 별도의 핫멜트와 같은 접착수단을 매개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the mold is heated, a portion of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impregnated in the upper portions of the
제3실시예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4a 및 도 4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도시된 제1외피시트는 금형의 가열 과정에서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2외피시트(40)와 일체화될 것임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Although the third embodiment is not specifically shown, since the third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It can be fully predicted that it will be integrated with the second
이때, 본 발명은 복합시트가 제작되면, 제작된 복합시트에 내피시트가 더 부가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내피시트가 부가되는 경우로서, 제1실시예를 살펴본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an endothelial sheet is further added to the manufactured composite sheet when the composite sheet is manufactured. As a case where an endothelial sheet is ad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f의 가열 성형 단계에 따라 복합시트(2)가 제작되면, 도 2a와 같이, 그 상태에서 일정두께를 가지는 내피시트(50)를 준비한 다음, 내피시트(50)의 일면부위가 복합시트(2)의 타면부위와 대향한 상태로 내피시트(50)를 복합시트(2)에 있어 제1외피시트(1)의 타면부위에 안치한다.When the
내피시트(50)는 최종 제품에 있어 내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그 재질은 제2외피시트(40)와 대동소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복합시트를 이용하여 신발의 갑피나 의류 등과 같은 같은 제품을 만든다면, 내피시트(50)는 최종 제품에 있어 사용자의 인체와 맞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직물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The
내피시트(50)가 안치되면, 도 2b와 같이,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를 합형한 다음 제1, 2금형(11, 15)을 가열한다. 금형이 가열되면, 복합시트(2)를 이루는 제2외피시트(40)의 내부에 스며들어 있던 열가소성 합성수지 일부가 용융되면서 내피시트(50)의 일면부위를 통해 내부로 스며들고, 이에 따라 제2외피시트(40)와 내피시트(50)는 일체화된다.When the
이러한 가열 성형 단계 및 냉각 단계를 거쳐 제2금형(15)을 개방하면, 도 2c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술한 복합시트(2)와는 다른 구성을 가지는 복합시트(3)가 제조된다. 이 복합시트(3)는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성형부(231, 233)가 부직포시트와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복합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로 노출된다는 점에서 도 1g에 개시된 복합시트(2)과 유사하나, 내피시트(50)가 부가적으로 더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긴밀한 결합을 위해, 제2외피시트(40)와 내피시트(50) 사이에 접착수단이 매개될 수도 있다.When the
도 3e에는 본 발명에 따라 내피시트(50)가 부가되는 경우, 제2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시트(3′)의 일례를 보여준다. 이 복합시트(3′)는 제1성형부(231, 233)를 이루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중의 일부가 용융되면서 내피시트(50) 내부로 스며들면서 일체화된다. 이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제1성형부(231, 233)가 제2외피시트(40) 및 내피시트(50) 각각에 의해 완전하게 보호되는 특징이 있다.3E shows an example of a composite sheet 3'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an
본 발명에 따라 내피시트(50)가 부가되는 경우, 제3실시예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복합시트의 예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만일 열가성 합성수지의 양이 부직포시트의 하측부위에 많이 위치하면 도 2c에 가까운 구성을 가질 것이고, 이와 달리 열가성 합성수지의 양이 부직포시트의 상측부위에 많이 위치하면 도 3e에 가까운 구성을 가지게 될 것으로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When the
한편, 도 1g에 개시된 복합시트(2)에 있어 도면부호 23, 43 각각은 제1금형(11)의 가압단(13)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들은 부직포시트(20) 및 제2외피시트(40)의 해당부위가 가압단(13)의 형상으로 성형된 부분이다. 만일, 제2외피시트(40)가 직물과 같이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도면부호 23, 43 부분은 통기가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따라서, 도 1g와 같은 복합시트(2)가 제조되면, 제1성형부(421, 423) 중에서 도면부호 421의 외곽부위를 재단하여 제거하거나, 또는 제1성형부(421, 423) 중에서 도면부호 421의 외곽부위를 재단하여 제거함과 동시에 도면부호 23, 43 부위 각각을 제거한 상태에서, 통기성이 있는 내피시트(50)를 부가하여 도 2a 내지 도 2b 각각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이럴 경우, 도면부호 421의 외곽부위가 제거된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전자는 도 2c에 개시된 복합시트(3)에 있어 도면부호 53, 23, 43 부위 모두가 통기성을 가지게 되고, 도면부호 421의 외곽부위 및 도면부호 23, 43 부위 모두가 제거된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후자는 복합시트(3)에 있어 도면부호 53 부위만이 통기성을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통기적 기능을 적절하게 이용하면 다양한 구성의 최종 제품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in the former, in which the work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ortion of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복합시트를 제조함에 있어 전술한 방법과 달리 일부 단계를 상이하게 구성된 아래와 같은 복합시트의 제조방법도 아울러 제안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한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pos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as follows, in which some steps ar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method in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embedded therein. In this embodiment, the same parts as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먼저, 도 5a와 같이, 깊이를 달리하는 성형공간(121, 123)이 형성된 제1금형(11)을 준비한다. 준비되는 제1금형(11)은 도 1a에 개시되어 있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1금형(11)과 대동소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A, a
다음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시트(20) 및 제2외피시트(40) 각각을 준비한다. 부직포시트(20) 및 제2외피시트(40) 각각은 전술한 실시예에 상술한 부직포시트와 대동소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each of the
부직포시트(20) 및 제2외피시트(40)가 준비되면,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한 다음, 부직포시트(20) 및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제2외피시트(40)의 타면부위에 위치시킨다.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전술한 실시예의 재료와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이때,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부직포시트(20)의 하측부위나 상측부위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부직포시트(20)의 양측부위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의 도 1b, 도 3a, 그리고 도 4a 각각과 대동소이한 구성으로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ermoplastic
도 5a는 이러한 구성 중에서 도 3a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일례로서,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가 제1금형(11)에 안치되면,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제2외피시트(40) 타면부위에 안치한 상태에서,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키는 구성을 보여준다.5A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FIG. 3A among these configurations. When one surface of the second
이때, 본 발명은 제2외피시트(40)가 박막의 필름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박막의 필름 구조를 가지는 제2외피시트(40)의 타면부위가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에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2외피시트(40)는 통기성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도면에 명확하게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외피시트(40) 및 부직포시트(20)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면,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가 제1금형(11)에 안치된 상태에서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일정량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a 참조).Although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drawings, when the second
제1금형(11)에 제2외피시트(40), 부직포시트(20),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이 위치하면, 도 5b와 같이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하고 가열한다. 제1, 2금형(11, 15)이 합형된 상태로 가열되면,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서서히 용융되면서 부직포시트(20)의 내부로 스며들면서, 제2외피시트(40), 부직포시트(20),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은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된다.When the second
가열 성형 및 냉각 단계가 경과한 다음 제2금형(15)을 개방하면, 도 5c와 같은 복합시트가 만들어진다. 복합시트에 있어 성형부(321, 323)는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중의 일부가 부직포시트(20) 내부로 스며들어 부직포시트(20)와 일체화되며, 성형부(321, 323)는 내장된 상태로 제2외피시트(40)에 의해 마감되어 보호된다. When the
도 5a의 경우와 달리,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부직포시트(20)의 하측부위나 상측부위 또는 양측부위 각각에 위치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도 1b 및 도 4b 각각에 있어 제2외피시트(40)을 매개하여 제2금형(15)을 합형하여 가열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되면, 전술한 실시예의 복합시트(2)와 유사한 구성의 복합시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Unlike the case of FIG. 5A, when the thermoplastic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외피시트(40)는 그 융점이 열가소성 합성수지(20)의 융점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2외피시트(40)가 박막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외피시트(40)의 융점이 열가소성 합성수지(20)의 융점보다 높지 않으면, 금형의 가열 과정에서 제2외피시트(40)의 타면부위가 용융되면서 그 물성이나 광택 등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the second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제2외피시트(40)의 경우와 대동소이하게, 이 실시예에 있어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에도 임의 모양이나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은 제1금형(11)의 성형공간(121, 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much the same as the case of the second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5d와 같이 내피시트(50)가 더 추가된 다른 구성의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추가되는 내피시트(50)는 복합시트에 있어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내피시트(50)의 재질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Even in this embodiment,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in which the
한편, 이 실시예에 있어, 제2외피시트(40)가 박막의 필름 구조로 이루어져 부직포시트(20)와 일체형 구성을 가진 상태로 도 5c와 같은 복합시트로 제조되는 경우, 성형부(321, 323)의 외곽부위를 재단하거나 또는 성형부(321, 323) 및 제1금형(11)의 가압단(13)에 의해 성형된 부위(23, 43)를 재단한 다음, 이 재단된 부분만을 도 5d와 같이 내피시트(50)와 결합시켜 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econd
복합시트에 있어 특정부위를 재단하여 내피시트(50)와 결합시키는 작업은 통상적인 핫 멜트나 접착처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고주파금형이나 가압금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operation of cutting a specific part of the composite sheet and combining it with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description has been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furthermore, separate technical features are provided based on the disclosed technical idea. It will be obvious that it can be added and implemented.
11, 15 : 제1, 2금형 121, 123 : 성형공간
20 : 부직포시트 30 : 열가소성 합성수지
40 : 제1외피시트 50 : 내피시트11, 15: first and
20: non-woven fabric sheet 30: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40: first outer sheet 50: inner sheet
Claims (8)
일정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시트(20)를 준비하는 단계;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 각각을 채워넣은 다음 그 상측부위에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안치하거나, 또는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한 다음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키는 단계;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하는 단계;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여, 용융된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부직포시트(20)와 일체화되면서 부직포시트(20) 및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을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1외피시트(1)의 제작 단계;
제2금형(15)을 개방하여 제1성형부가 형성된 제1외피시트(1)를 제1금형(1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일정두께를 가지는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하는 단계;
제1성형부가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제1외피시트(1)의 일면부위를 제2외피시트(50)의 타면부위에 안치하는 단계;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하는 단계;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여, 제2외피시트(5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제1성형부가 형성된 제1외피시트(1)의 일면부위가 제2외피시트(50)의 타면부위와 일체화된 복합시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preparing a first mold 11 in which molding spaces having different depths are formed;
Preparing a non-woven fabric sheet 20 having a certain thickness;
After filling each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with a certain amount of the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r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Placing a certain amount of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on each of the other surface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molding spaces of the first mold 11 after being placed in the first mold 11;
Molding the second mold 15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ld 11;
By heating the first and second molds 11 and 15 in a molded state, the molten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is integrated with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thereby form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and the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respectively. Manufacturing step of the first outer sheet (1) to form the shape of each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Opening the second mold 15 to separate the first outer sheet 1 on which the first molding part is formed from the first mold 11;
Plac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40 having a certain thickness in the first mold 11;
Placing one surface of the first outer sheet 1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50 with the first molding part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Molding the second mold 15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ld 11;
The first and second molds 11 and 15 are heated in a molded state to form the on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50 into the shape of the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while forming the first outer shell in which the first molding part is formed.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in which one surface of the sheet 1 is integrated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50;
Method for producing a non-sewn composite sheet containing a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comprising:
일정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시트(20) 및 제2외피시트(40)를 준비하는 단계;
제2외피시트(40)의 일면부위를 제1금형(11)에 안치하는 단계;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외피시트(4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킨 다음 그 상측부위에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안치하거나, 또는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를 제2외시트(40)의 타면부위에 안치한 다음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일정량을 위치시키는 단계;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을 합형하는 단계;
제1, 2금형(11, 15)을 합형한 상태로 가열하여, 용융된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가 부직포시트(20) 및 제2외피시트(40) 각각과 일체화되면서 제2외피시트(40), 부직포시트(20),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 각각을 제1금형(11)의 각 성형공간 형상으로 성형하는 복합시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preparing a first mold 11 in which molding spaces having different depths are formed;
Preparing a non-woven fabric sheet 20 and a second outer sheet 4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Plac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sheet 40 in the first mold 11;
A certain amount of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is placed on each of the other surface portions of the second outer sheet 40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and then on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Place the oth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or place the oth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outer sheet 40, and then place the oth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the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positioning a certain amount of a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on each site;
Molding the second mold 15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ld 11;
By heating the first and second molds 11 and 15 in a combined state, the molten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is integrated with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and the second outer sheet 40, respectively, while the second outer sheet ( 40),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for molding each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and the solid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into the shape of each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Method for producing a non-sewn composite sheet containing a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comprising: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30)에는 발포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ing agent is contained, a method for producing a non-sewn composite sheet with a built-in molding of a three-dimensional shape.
상기 복합시트가 제작되면, 일정두께를 가지는 내피시트(50)를 준비한 다음 내피시트(50)의 일면부위가 복합시트의 타면부위와 대향한 상태로 내피시트(50)를 제1외피시트(1)의 타면부위에 안치하고, 제1금형(11)의 상측부위에 제2금형(15)를 합형한 다음 제1, 2금형(11, 15)을 가열하여 내피시트(50)의 일면부위를 복합시트의 타면부위와 일체화시키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When the composite sheet is manufactured, an endothelial sheet 5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epared, and then the endothelial sheet 50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endothelial sheet 50 faces the other surface of the composite sheet (1). ), place the second mold 15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ld 11, and then heat the first and second molds 11 and 15 to remove one surface of the endothelial sheet 50. Step of integrat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mposite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sewn composite sheet with a built-in three-dimensional mo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상기 부직포시트(20)에는 폴리우레탄이 함침되거나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Method for producing a non-sewn composite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mo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is impregnated or coated with polyurethane.
상기 부직포시트(20)의 융점은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20)의 융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The melting point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20,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on-sewn composite sheet with a built-in three-dimensional molding.
상기 제2외피시트(40)의 융점은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20)의 융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outer sheet (40) is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20).
상기 제2외피시트(40)는 통기성이 없는 필름으로 이루어져 타면부위가 상기 부직포시트(20)의 일면부위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로 그 일면부위가 제1금형(11)에 안치되며, 상기 고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30)는 제1금형(11)의 성형공간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직포시트(20)의 타면부위 각각에 일정량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성형물이 내장된 무재봉 복합시트의 제조방법.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outer sheet 40 is made of a non-permeable film, and the other surface is integral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and the one surface is placed in the first mold 11, and the solid phase The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30 is a non-seamless composite with a built-in three-dimensional mo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certain amount is located on each of the other surface portions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20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the molding space of the first mold 11 Sheet manufacturing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5249A KR20230119294A (en) | 2022-02-07 | 2022-02-07 | Manufacturing method of non-sewing composite sheet with embedded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5249A KR20230119294A (en) | 2022-02-07 | 2022-02-07 | Manufacturing method of non-sewing composite sheet with embedded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9294A true KR20230119294A (en) | 2023-08-16 |
Family
ID=8784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5249A Pending KR20230119294A (en) | 2022-02-07 | 2022-02-07 | Manufacturing method of non-sewing composite sheet with embedded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19294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0025B1 (en) | 1995-07-24 | 2003-10-04 | 남바프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Three-dimensional printed fabric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
KR20090046450A (en) | 2007-11-06 | 2009-05-11 |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 Three-dimensional patterned cov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1361659B1 (en) | 2013-09-10 | 2014-02-24 | 한국신발피혁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non-sewing uppers of shoe |
-
2022
- 2022-02-07 KR KR1020220015249A patent/KR2023011929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0025B1 (en) | 1995-07-24 | 2003-10-04 | 남바프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Three-dimensional printed fabric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
KR20090046450A (en) | 2007-11-06 | 2009-05-11 |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 Three-dimensional patterned cov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1361659B1 (en) | 2013-09-10 | 2014-02-24 | 한국신발피혁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non-sewing uppers of sho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060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andwich component, and sandwich component | |
JP6358808B2 (en) | Method for producing a cushioning element for sports clothing | |
CN102131637B (en) | Decorative trim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CN106232316B (en) | The method of multilayer molding and this molding of production for motor vehicle interior | |
US20070101619A1 (en) | Plastic shoe provided with dec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casting mold | |
JP2014158708A5 (en) | ||
KR20230119294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sewing composite sheet with embedded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 |
RO119453B1 (en) | Process for forming articles having layers with controlled thickness | |
CN108883568A (en) | Pattern forming method | |
KR20150100111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pper Part Of A Shoe Using PU Casting | |
JP7046911B2 (en) | How to make a car seat cushion | |
KR101509157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 dimensional pattern using the adhesive material | |
CN105249609B (en) | Grooved middle sole of injection molded sho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rooved middle sole | |
JPS5995134A (en) | Manufacture of ornamental laminated material with three-dimensional ornamental section | |
CN109730392A (en) | A kind of fast permeable speed injection dual-density shoe and production method | |
JP2012228788A (en) | Foamed mo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209628727U (en) | A kind of fast permeable speed injection dual-density shoe | |
KR10273864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oducts with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integrated with fabric or textile | |
JP2005029717A (en) | Eva-based film for crosslinking foaming and shoe component utilizing the sam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shoe component | |
KR101646523B1 (en) | Manufactuaring method of complex fabric having plastic bead on one face | |
CN109996659A (en) | Unitary article and its preparation with generally seamless, preferably generally flawless shell | |
TWI323216B (en) | Method of manufacturing foam product with outer skin | |
KR101614757B1 (en) | A manufacturing method of product with three-dimensional printed face | |
KR101698861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unified thermoplastic product | |
KR10131764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unified thermoplastic and hot-melt produ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