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17893A - 기립형 휠체어 - Google Patents

기립형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893A
KR20230117893A KR1020220014191A KR20220014191A KR20230117893A KR 20230117893 A KR20230117893 A KR 20230117893A KR 1020220014191 A KR1020220014191 A KR 1020220014191A KR 20220014191 A KR20220014191 A KR 20220014191A KR 20230117893 A KR20230117893 A KR 2023011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anding
support
calf
swing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7912B1 (ko
Inventor
정우석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14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7912B1/ko
Publication of KR2023011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7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하지 장애를 가진 환자의 이동 및 재활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기립형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휠과 후방에 설치되는 보조휠에 의하여 이동하는 본체부, 상기 메인휠과 상기 보조휠 사이에 설치되는 보행유도수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족부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1스윙암과 사용자의 종아리 측을 감싸도록 탈착되는 종아리벨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양 무릎 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무릎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2스윙암과 사용자의 허리 측을 감싸도록 탈착되는 허리벨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복부 측을 지지하는 복부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3스윙암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립형 휠체어{Standing Wheelchair}
본 발명은 기립형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하지 장애를 가진 환자의 이동 및 재활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기립형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지체 장애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달려있는 의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휠체어는 주로 의자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를 유지시킴에 따라 정상인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설치되는 주거시설이나 편의시설을 이용하기에 불편함을 동반한다.
또한, 이러한 의자형 휠체어는 장시간 사용 시 하체부위의 운동력 감소, 장 기능저하, 그리고 혈액순환의 악화와 같은 신체기능의 물리적 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창상의 위험도 존재한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3835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하단 전방에 구비된 보조 휠(12),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하단 후방에 구비된 메인 휠(13),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일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좌석 프레임(14),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일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프레임(15), 상기 좌석 프레임(14) 및 상기 지지 프레임(15)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 프레임(16) 및 상기 메인 프레임(11)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 프레임(!7)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15) 또는 상기 좌석 프레임(14)은 상기 메인 프레임(11)과 상기 쇼크 업소버(18)로 결합되며, 상기 좌석 프레임(14)이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면, 상기 쇼크 업소버(18)가 신장되며, 상기 좌석 프레임(14)이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착석하면, 상기 쇼크 업소버(18)가 압축되는 기립형 휠체어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립형 휠체어는 사용자가 정상인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설치되는 주거시설이나 편의시설 등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스스로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기립된 상태에서 타인과 같은 눈높이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함으로써 더 원활한 대화가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립형 휠체어는 장애는 있으나 가벼운 보행이 가능한 노약자의 보행운동, 일시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재활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종래의 기립형 휠체어는 보행 재활치료 시 사용자가 기립형 휠체어에서 다른 재활치료장치로 이동하여 재활치료를 받아야 함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3835호(공고일 2020.09.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스스로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도와주고 기립된 상태에서 타인과 같은 눈높이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함으로써 더 원활한 대화가 가능케 하는 것은 물론, 탑승한 상태로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기립형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는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휠과 후방에 설치되는 보조휠에 의하여 이동하는 본체부, 상기 메인휠과 상기 보조휠 사이에 설치되는 보행유도수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족부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1스윙암과 사용자의 종아리 측을 감싸도록 탈착되는 종아리벨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양 무릎 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무릎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2스윙암과 사용자의 허리 측을 감싸도록 탈착되는 허리벨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복부 측을 지지하는 복부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3스윙암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는 일단이 상기 무릎지지부에 탈착되고, 타단이 상기 복부지지부에 탈착되는 한 쌍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중앙부가 각각 걸쳐지는 와이어고정부가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유도수단은 양측에 각각 타원 형상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족부지지부를 좌우 교대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종아리벨트는 내부에 전기자극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종아리 측에 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치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아리벨트 또는 상기 허리벨트는 내부에 마사지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종아리 측 또는 허리 측에 마사지 치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스스로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도와주고 기립된 상태에서 타인과 같은 눈높이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함으로써 더 원활한 대화가 가능케 하는 것은 물론, 탑승한 상태로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재활치료 시 별도의 재활장치로 이동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는 장애는 있으나 가벼운 보행이 가능한 노약자, 일시장애를 가진 환자 등과 같은 사용자에게 일상 생활을 위한 이동 수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탑승 중 지속적인 보행 재활 치료 기능을 제공하여 재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기립형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의 입식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의 좌식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과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의 입식 사용 상태와 좌식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는 본체부(100)와 족부지지부(200)와 무릎지지부(300)와 복부지지부(400)와 핸들(500) 및 둔부지지부(6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전방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휠(110)과 후방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서브휠(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휠(110)은 전기모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메인휠(1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조향이 이루지도록 양측 간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이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휠(120)은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상기 메인휠(110)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0)가 이동하는 경우 지면과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족부지지부(200)는 상기 메인휠(110)과 상기 서부휠(120) 사이에 설치되는 보행유도수단(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족부지지부(200)는 안착된 사용자의 발이 어느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테두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리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유도수단(210)은 사용자의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한 수단으로서 제자리에서 보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족부지지부(200)에 안착된 사용자의 양 발을 좌우 교대로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행유도수단(210)은 양측에 각각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11)과 상기 족부지지부(200)를 상기 가이드레일(21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엑추에이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족부지지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이동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가이드레일(211)을 따라 좌우 교대로 왕복 이동되어 사용자의 재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릎지지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1스윙암(310)과 사용자의 종아리 측을 감싸도록 탈착되는 종아리벨트(320)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양 무릎을 전방 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스윙암(310)은 유공압 실린더 또는 기계식 실린더 등과 같이 길이가 신장 또는 압축되며, 조절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락킹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아리벨트(320)는 일단 측이 상기 무릎지지부(3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 측이 벨크로 등에 의하여 상기 무릎지지부(300)의 타측에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릎지지부(300)는 상기 종아리벨트(320)를 포함하여 내부에 전기자극발생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무릎과 종아리 측에 F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이하 FES)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FES는 마비된 근육에 적절한 강도의 전기 자극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주어진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치료법으로서 근위축을 방지하거나 지연시켜 근육의 기능이 퇴화하는 것을 억제하고 근육이 가지는 본래의 운동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재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릎지지부(300)는 상기 종아리벨트(320)를 포함하여 내부에 마사지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무릎과 종아리 측에 마사지 치료를 병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사지수단은 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벨트형 마사지기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부지지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2스윙암(410)과 사용자의 허리 측을 감싸도록 탈착되는 허리벨트(420)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복부를 전방 측에서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스윙암(410)은 상기 제 1스윙암(310)과 마찬가지로 유공압 실린더 또는 기계식 실린더 등과 같이 길이가 신장 또는 압축되며, 조절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락킹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벨트(420)는 일단 측이 상기 복부지지부(4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 측이 벨크로 등에 의하여 상기 복부지지부(400)의 타측에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벨트(420)는 상기 종아리벨트(32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전기자극발생수단 또는 마사지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허리 측에 FES 치료 또는 마사지 치료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핸들(5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3스윙암(410)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스윙암(410)은 상기 제 1스윙암(310) 또는 상기 제 2스윙암(410)과 마찬가지로 유공압 실린더 또는 기계식 실린더 등과 같이 길이가 신장 또는 압축되며, 조절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락킹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50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측에 상기 메인휠(110)과 상기 보행유도수단(210)과 전기자극발생수단 및 마사지수단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나 레버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핸들(5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휠(110)의 회전속도 및 방향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둔부지지부(600)는 일단이 상기 무릎지지부(200)에 탈착되고, 타단이 상기 복부지지부(400)에 탈착되는 한 쌍의 와이어(620)와 상기 와이어(620)의 중앙 측이 각각 걸쳐져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610)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620)는 상기 와이어고정부(610)를 중심으로 상기 무릎지지부(200)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복부지지부(400)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분할되어 각각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고정부(610)는 스프링 등의 복귀부재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620가 감기거나 풀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전드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고정부(610)는 상기 와이어(620)의 일단이 결합되는 상기 무릎지지부(200)의 일측과 상기 와이어(620)의 타단이 결합되는 상기 복부지지부(400)의 일측 보다 후방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는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립한 상태로 이동 또는 재활 및 마사지 치료 기능을 이용하거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복부지지부(400)와 상기 둔부지지부(600)가 후방 및 하측으로 이동하여 착석한 상태로 재활 및 마사지 치료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휠체어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장애는 있으나 가벼운 보행이 가능한 노약자, 일시장애를 가진 환자 등과 같은 사용자에게 일상 생활을 위한 이동 수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탑승 중 지속적인 보행 재활 치료 기능을 제공하여 재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본체부
110. 메인휠
120. 서브휠
200. 족부지지부
210. 보행유도수단
211. 가이드레일
300. 무릎지지부
310. 제 1스윙암
320. 종아리벨트
400. 복부지지부
410. 제 2스윙암
420. 허리벨트
500. 핸들
510. 제 3스윙암
600. 둔부지지부
610. 와이어고정부
620. 와이어

Claims (5)

  1.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휠과 후방에 설치되는 보조휠에 의하여 이동하는 본체부;
    상기 메인휠과 상기 보조휠 사이에 설치되는 보행유도수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족부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1스윙암과 사용자의 종아리 측을 감싸도록 탈착되는 종아리벨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양 무릎 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무릎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2스윙암과 사용자의 허리 측을 감싸도록 탈착되는 허리벨트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복부 측을 지지하는 복부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3스윙암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하는 기립형 휠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무릎지지부에 탈착되고, 타단이 상기 복부지지부에 탈착되는 한 쌍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중앙부가 각각 걸쳐지는 와이어고정부가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기립형 휠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유도수단은
    양측에 각각 타원 형상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족부지지부를 좌우 교대로 왕복 운동시키는 기립형 휠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벨트는
    내부에 전기자극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종아리 측에 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치료 기능을 제공하는 기립형 휠체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벨트 또는 상기 허리벨트는
    내부에 마사지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종아리 측 또는 허리 측에 마사지 치료 기능을 제공하는 기립형 휠체어.
KR1020220014191A 2022-02-03 2022-02-03 기립형 휠체어 Active KR10270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191A KR102707912B1 (ko) 2022-02-03 2022-02-03 기립형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191A KR102707912B1 (ko) 2022-02-03 2022-02-03 기립형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893A true KR20230117893A (ko) 2023-08-10
KR102707912B1 KR102707912B1 (ko) 2024-09-23

Family

ID=8756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191A Active KR102707912B1 (ko) 2022-02-03 2022-02-03 기립형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7912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0A (ja) * 1994-10-14 1997-01-07 Funaki Gishi:Kk 姿勢変換装置および姿勢変換方法
JP2834079B2 (ja) * 1996-06-21 1998-12-09 労働福祉事業団 起立補助器における電動操作装置
JP2006014859A (ja) * 2004-06-30 2006-01-19 Sakai Medical Co Ltd 起立補助装置
JP2014509543A (ja) * 2011-03-29 2014-04-21 マティア ロボティクス メカトロニック システムラー エイアール − ジーイー ミュヘンディスリク ヤジリム サナイ ヴェ ティカレット アノニム スィルケティ 身体障害者のための移動装置
KR101489945B1 (ko) * 2014-03-06 2015-02-11 주식회사 아이런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KR20150002190U (ko) * 2013-11-29 2015-06-09 에인에이 (주)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KR20160049621A (ko) * 2014-10-27 2016-05-1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복부 테라피 기능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7707A (ko) * 2016-03-16 2017-09-26 (주)크레템 기립 보행 보조 로봇
JP2018511452A (ja) * 2015-03-06 2018-04-26 アルジョハントレイ アクチエボラグArjoHuntleigh AB 患者の搬送および訓練補助器具
KR20180118998A (ko) * 2017-04-24 2018-11-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립 보조기
KR20180123792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엔티로봇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53835B1 (ko) 2019-11-25 2020-09-09 김민수 기립형 휠체어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0A (ja) * 1994-10-14 1997-01-07 Funaki Gishi:Kk 姿勢変換装置および姿勢変換方法
JP2834079B2 (ja) * 1996-06-21 1998-12-09 労働福祉事業団 起立補助器における電動操作装置
JP2006014859A (ja) * 2004-06-30 2006-01-19 Sakai Medical Co Ltd 起立補助装置
JP2014509543A (ja) * 2011-03-29 2014-04-21 マティア ロボティクス メカトロニック システムラー エイアール − ジーイー ミュヘンディスリク ヤジリム サナイ ヴェ ティカレット アノニム スィルケティ 身体障害者のための移動装置
KR20150002190U (ko) * 2013-11-29 2015-06-09 에인에이 (주)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KR101489945B1 (ko) * 2014-03-06 2015-02-11 주식회사 아이런 기립 및 착석용 휠체어의 보행보조장치.
KR20160049621A (ko) * 2014-10-27 2016-05-1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복부 테라피 기능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8511452A (ja) * 2015-03-06 2018-04-26 アルジョハントレイ アクチエボラグArjoHuntleigh AB 患者の搬送および訓練補助器具
KR20170107707A (ko) * 2016-03-16 2017-09-26 (주)크레템 기립 보행 보조 로봇
KR20180118998A (ko) * 2017-04-24 2018-11-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립 보조기
KR20180123792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엔티로봇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53835B1 (ko) 2019-11-25 2020-09-09 김민수 기립형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7912B1 (ko) 202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9187B2 (ja) 患者の搬送および訓練補助器具
ES2611133T3 (es) Aparato de entrenamiento para los discapacitados
KR20140088757A (ko) 기립 보조형 휠체어
JP6113293B2 (ja) 脳卒中患者の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ロボット
CA2505114C (en) Exercising device
US20030109814A1 (en) Apparatus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in paralyzed patients
KR20100041707A (ko) 균형 및 신체 방향 지지 장치
Lee et al. A flexible exoskeleton for hip assistance
US7445217B1 (en) Walk aid
KR101099047B1 (ko) 하반신 마비 환자용 재활운동기구
JP2008502413A (ja) 対麻痺患者や運動神経の障害者のための運動、リハビリ、移動装置
CN110680632A (zh) 下肢康复锻炼轮椅
KR20180110694A (ko) 전동보행보조기
US3463146A (en) Invalid mobility device
KR100459629B1 (ko) 장애인용 재활 물리치료기
CN210698671U (zh) 一种神经内科临床训练按摩装置
KR20230117893A (ko) 기립형 휠체어
JP3349687B2 (ja) 一輪歩行車
KR20210072174A (ko) 운동용 의자
JP2007111422A (ja) 椅子
KR102157321B1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JP2001299839A (ja) 歩行訓練装置
JP2000233002A (ja) 歩行器
USRE28103E (en) Izoli izxl
CN116999775A (zh) 一种医疗康复平衡锻炼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