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13627A - 시트 처리기 - Google Patents

시트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627A
KR20230113627A KR1020237022857A KR20237022857A KR20230113627A KR 20230113627 A KR20230113627 A KR 20230113627A KR 1020237022857 A KR1020237022857 A KR 1020237022857A KR 20237022857 A KR20237022857 A KR 20237022857A KR 20230113627 A KR20230113627 A KR 2023011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ment
sensor
sheet
light
receiving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노 드께르벨
파뜨리스 샤뜨리
Original Assignee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3011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62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 B65H29/0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the grippers being carried by endless chains or bands
    • B65H29/041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the grippers being carried by endless chains or band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 B65H29/0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the grippers being carried by endless chains or bands
    • B65H29/042Intermediate conveyors, e.g. transferring devices
    • B65H29/044Intermediate conveyors, e.g. transferring devices conveying through a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6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completion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8Photoelectr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65H2553/412Photoelectric detectors in barrier arrangements, i.e. emitter facing a recepto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1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on a movab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42Die-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시트 처리기는 시트 파일을 수집하기 위한 수용 영역 (38) 및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36) 를 포함한다. 장치 (36) 는 상기 수용 영역 (38) 의 제 1 측면 (48) 에 배치된 수동으로 변위가능한 제 1 센서 요소, 및 상기 수용 영역 (38) 의 대향 측면 (52) 에 배치된 자동으로 변위가능한 제 2 센서 요소 (50) 를 포함하여서, 상기 제 1 센서 요소 및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는 상기 수용 영역 (38) 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된다. 제 1 센서 요소 및 제 2 센서 요소 (50) 는 시트 수용 영역 (38)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가능하고, 제 1 센서 요소는 발광원과 수광 센서 (56) 중 하나이고, 제 2 센서 요소 (50) 는 발광원과 수광 센서 (56) 중 다른 하나이다. 발광원과 수광 센서 (56) 는 서로 대면하는 때에 폭 방향을 따라 광 배리어 (58) 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시트 처리기
본 발명은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전환기 (converting machine) 라고도 알려진 시트 처리기 (sheet processing machine) 는 포장 산업에서 원재료, 예를 들어 판지, 종이 또는 포일을 전형적으로 시트 형태의 중간 또는 최종 제품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환 작업은 예를 들어 인쇄, 절단, 크리싱 (creasing), 블랭킹, 스탬핑, 및/또는 폴딩-글루잉 (folding-gluing) 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개별 작업은 시트들이 이송 메커니즘에 의해 하나의 처리 스테이션으로부터 후속 처리 스테이션으로 운반되면서 시트 처리기의 후속 프로세싱 스테이션들에서 행해진다.
처리된 시트들은, 시트 처리기의 지정된 수용 영역에서의 처리 후에, 시트 파일에서, 즉 시트들의 수직 스택에서 수집될 수 있다. 후속하는 핸들링 및/또는 로지스틱 단계들을 단순화하기 위해 수용 영역에서 처리된 시트들의 규정된 배치 크기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들이 규정된 두께를 가지므로, 배치 크기는 시트 파일의 높이에 해당한다. 시트 파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시트 처리기는 수용 영역의 미리 결정된 높이에 광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처리된 시트들, 예컨대 시트들의 푸시 아웃된 블랭크들의 크기 및 형상은 상이한 시트 처리 작업들 사이에서 변한다. 따라서, 광 배리어의 컴포넌트들, 즉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위치는 시트 처리기의 숙련된 조작자에 의해 신중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정 프로세스는 시간 소모적이고, 전형적으로 많은 복잡한 핸들링 작업들, 예를 들어, 시트 처리기의 대응하는 처리 스테이션의 개방, 조작자를 위한 안전 메커니즘들의 핸들링, 처리 스테이션들에 사용되는 제거 공구들의 제거 등을 필요로 한다.
상이한 시트 처리 작업들에 대한 어떠한 추가적인 조정도 필요로 하지 않을 더 복잡한 검출 시스템들, 예를 들어, 다수의 광 배리어들을 포함하고 완전한 수용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광 커튼은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너무 비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파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 특히 형상 및/또는 크기가 상이한 시트들을 위한 시트 파일의 높이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US 2005/0077672 는 광 빔을 이용하여 시트 파일의 높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시스템은 (블랭크들의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돕는) 바인더 시트를 포함하는 드로어에 사용된다. 광 빔 위치는 고정되고, 파일은 그것이 빔을 절단할 때까지 들어 올려진다. DE 20103326U 는 프린터의 입력부에서 시트들의 파일에 적용되는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파일을 수집하기 위한 수용 영역 및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기에 의해 해결된다. 장치는 수용 영역의 제 1 측면에 배치된 수동으로 변위가능한 제 1 센서 요소, 및 수용 영역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 자동으로 변위가능한 제 2 센서 요소를 포함하여서, 제 1 센서 요소 및 제 2 센서 요소는 수용 영역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된다. 제 1 센서 요소 및 제 2 센서 요소는 시트 수용 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가능하고, 제 1 센서 요소는 발광원과 수광 센서 중 하나이고, 제 2 센서 요소는 발광원과 수광 센서 중 다른 하나이다. 발광원과 수광 센서는 서로 대면하는 때에 폭 방향을 따라 광 배리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핸들링되는 제 1 센서 요소를, 제 1 센서 요소에 대한 그의 위치를 자동으로 적응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센서 요소와 조합하는 아이디어에 기초하며, 즉 제 2 센서 요소의 위치는 또한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정될 필요가 없다. 이는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 1 및 제 2 센서 요소를 신중하게 조정할 필요성을 제거하고, 덜 훈련된 사람이 시트 처리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처리기는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셋업하기 위한 복잡한 핸들링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이한 시트 처리 작업들 사이의 시트 처리기의 다운타임이 감소될 수 있다.
동시에, 수동으로 조정 가능한 센서 요소를 유지함으로써, 조작자는 당면한 시트 처리 작업을 위해 수용 영역에서 획득되는 시트들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적합하도록 광 배리어의 위치를 적응시킬 수 있다.
또한, 광 배리어가 존재하는 높이에 시트 파일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신뢰성 있게 결정하기에 단일 광 배리어가 충분하므로,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간단하고 저렴하다.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가능한 한 저렴하고 간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단 하나의 발광 소자 및 단 하나의 수광 센서가 사용된다.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은 특히 서로 수직이다.
제 1 센서 요소 및 제 2 센서 요소는 제 1 레일 및 제 2 레일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 1 레일 및 제 2 레일은 특히 서로 평행하다.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제 1 레일 및 제 2 레일은 선형 레일일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제 1 센서 요소는 제 1 레일의 슬롯형 (slotted) 가이드 내의 슬롯형 가이드 슬라이더에 의해 장착된다. 슬롯형 가이드 슬라이더는 특히 시트 처리기의 조작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슬롯형 가이드 밖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요소의 위치는 슬롯형 가이드 내의 슬롯형 가이드 슬라이더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제 2 센서 요소는 제 2 센서 요소의 모터, 특히 제 2 센서 요소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변위 가능할 수 있다. 모터는 제 2 레일에 연결될 수 있고, 시트 파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 2 센서 요소의 위치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제 1 센서 요소 및 제 2 센서 요소에 연결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수광 센서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 2 센서 요소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광 배리어가 형성되도록 제 1 및 제 2 센서 요소가 서로 대면하는 것을 보장할 책임이 있다.
제어 유닛은 특히 작업 위치로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 센서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작업 위치에서 센서 신호는 0 이 아니다. 바람직하게, 센서 신호는 제 2 센서 요소가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최대이다.
여기서 그리고 이하에서 "0 이 아닌" 센서 신호는 센서 신호가 대응하는 수광 센서의 노이즈 레벨 초과임을 의미한다.
제 1 및 제 2 센서 요소들, 그리고 따라서 발광원 및 수광 센서가 서로 대면하지 않는 한, 광 배리어는 성공적으로 형성될 수 없고, 즉 발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이 수광 센서에 도달할 수 없다. 정렬이 최적일 때, 센서 신호는 최대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제어 유닛이 제 2 센서 요소의 올바른 위치, 즉 제 2 센서 요소의 작업 위치를 찾을 때 수광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신호를 제어 변수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어 유닛은 제 2 레일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 2 센서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그리고 그 후에 제 2 센서 요소를 최대 센서 신호와 연관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유닛은 센서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 2 임계치만큼 증가한 후에 미리 결정된 제 1 임계치만큼 감소하자마자 제 2 레일을 따른 제 2 센서 요소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그리고 센서 신호가 감소하기 시작하기 전의 위치로 제 2 센서 요소를 다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 유닛은 센서 신호의 최대치가 식별된 제 1 시간 후에 제 2 센서 신호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지 단일 발광원이 사용되므로, 제 2 레일을 따른 제 2 센서 요소의 모든 추가 위치들에 대해 센서 신호를 계속 측정할 필요가 없다.
제 1 및 제 2 임계치는, 예를 들어 노이즈로 인해 센서 신호의 랜덤 변동들이 센서 신호의 최대 값을 잘못 나타내지 않도록 선택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임계치는 수광 센서의 노이즈 레벨의 배수, 예를 들어 노이즈 레벨의 10배로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임계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은 제 1 센서 요소가 이동될 때마다 제 2 센서 요소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자가 새로운 시트 처리 작업과 일치하도록 제 1 센서 요소의 위치를 수동으로 재조정한 후에 매번, 제 2 센서 요소가 자동으로 정렬되어 광 배리어를 형성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은 제 1 센서 요소가 변위 임계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된 후에 단지 제 2 센서 요소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시트 처리기의 진동으로 인해, 제어 유닛이 제 1 센서 요소의 최소 이동 후에 제 2 센서 요소의 위치를 재조정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부가적으로, 제어 유닛은 시트 처리기가 셋업 모드에 있을 때에만 제 2 센서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셋업 모드는 인간-기계-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조작자에 의해 시작 및 종료될 수 있다. 인간-기계-인터페이스는 특히 시트 처리기를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시트 처리기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센서 요소는 시트 처리기의 조작자 측에 배치되고, 제 2 센서 요소는 시트 처리기의 반대 조작자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시트 처리기의 조작자는 수동으로 핸들링되어야 하는 제 1 센서 요소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반면, 조작자가 액세스하는 데 시간 소모적이고 힘든 제 2 센서 요소는 자동으로 핸들링될 수 있다.
수용 영역은 시트 처리기의 블랭크 분리 스테이션의 일부일 수 있고, 시트 파일은 블랭크들의 파일일 수 있다. 시트들을 처리함으로써 생산되는 블랭크들은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현재의 시트 처리 작업에서 생산되는 블랭크들에 조정 가능한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추가적인 이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 및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시트 처리기의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2 의 장치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일련의 시트들 (12) 로부터 블랭크들 (11) 을 절단할 수 있게 하는 시트 처리기 (10)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블랭크들 (11) 은 보통 나중에 접히고 접착되어 포장 박스들을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시트들 (12) 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종이, 판지, 포일, 그의 복합 재료 또는 포장 산업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시트 처리기 (10) 는 통합된 어셈블리 (unitary assembly) 를 형성하기 위해 병치되지만 서로 상호의존적인 일련의 처리 스테이션들을 포함한다. 처리기 (10) 는 로딩 스테이션 (14), 그 다음으로, 예를 들어 시트들 (12) 이 절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 또는 압반 프레스 (18) 를 포함하는 절단 스테이션 (16) (일반적으로 펀칭 스테이션으로도 지칭됨), 대부분의 폐기 부품이 스트립핑되는 폐기물 제거 스테이션 (20), 블랭킹 공구 (23) 에 의한 블랭크들 (11) 의 분리 (또는 블랭킹 작업) 를 위한 블랭크 분리 스테이션 (22) (일반적으로 수용 스테이션으로도 지칭됨), 및 펀칭된 시트들 (12) 의 잔류 폐기 시트들을 제거하기 위한 배출 스테이션 (24) 을 포함한다.
처리 스테이션들의 수 및 성질은 시트들 (12) 에서 수행될 전환 작업들의 성질 및 복잡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시트 처리기 (10) 는 또한 각각의 시트 (12) 를 로딩 스테이션 (14) 의 출구로부터 배출 스테이션 (24) 으로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 메커니즘 (26)(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컨베이어임) 를 갖는다.
컨베이어는 시트 처리기 (10) 의 각각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하나씩 배치된 체인들 (30) 의 2 개의 루프들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일련의 그리퍼 바아들 (28) 을 사용한다. 체인들 (30) 의 각각의 루프는 루프 주위로 이동하고, 이는 그리퍼 바아들 (28) 이 절단 스테이션 (16), 폐기물 제거 스테이션 (20), 블랭크 분리 스테이션 (22) 및 배출 스테이션 (24) 에 의해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궤적을 따르게 한다.
각각의 그리퍼 바아 (28) 는 피동 휠 (32) 과 아이들러 휠 (34) 사이의 통로의 실질적으로 수평 평면에서의 외향 경로, 및 이어서 시트 처리기 (10) 의 상부 부분에서의 복귀 경로 상에서 이동한다. 피동 휠 (32) 로 복귀되면, 각각의 그리퍼 바아 (28) 는 시트 (12) 의 전방 에지에서 새로운 시트 (12) 를 파지할 수 있다.
도 1 에서, 각각의 처리 스테이션은 시트들 (12) 의 이동 평면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되는 그의 상부 부분 및 그의 하부 부분을 각각 나타내는 2 개의 직사각형의 형태로 도시된다.
도 1 에서, 횡방향 (또는 측방향), 종방향 및 수직 방향은 직교 공간 시스템 (T, L, V) 에 의해 표시된다.
용어 "상류" 및 "하류"는 도 1 에서 화살표 (D) 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 방향에서의 시트들 (12) 의 이동 방향을 참조하여 정의된다.
시트 처리기 (10) 는 블랭크 분리 스테이션 (22) 의 수용 영역 (38) 에서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36) 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시트 파일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블랭크들 (11) 의 파일이다.
장치 (36) 는, 예를 들어 이더넷 연결에 의해, 제어 유닛 (40) 에 연결되며, 제어 유닛 (40) 은 장치 (36) 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장치 (36) 는 또한 장치 (36) 와 제어 유닛 (40) 사이에 충분히 빠른 신호 교환을 제공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제어 유닛 (40) 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은 또한 무선으로, 예컨대 Wi-Fi 에 의해 수립될 수 있다.
제어 유닛 (40) 은 저장 모듈 (42) 을 더 포함한다.
시트 처리기 (10) 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접촉 감지 디스플레이인 인간-기계-인터페이스 (44) 를 더 포함한다.
인간-기계-인터페이스 (44) 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조작자가 시트 처리기 (10) 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처리기 (10) 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가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44)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 에, 장치 (36) 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 (36) 는 수용 영역 (38) 의 제 1 측면 (48) 에 배열된 제 1 센서 요소 (46) 및 수용 영역 (38) 의 대향 측면 (52) 에 배열된 제 2 센서 요소 (50) 를 포함하며, 제 1 센서 요소 (46) 및 제 2 센서 요소 (50) 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횡방향 (T)(도 1 참조) 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 (38) 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한다.
제 1 센서 요소 (46) 는 발광원 (54) 을 포함하고, 제 2 센서 요소 (50) 는 수광 센서 (56) 를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발광원 (54) 및 수광 센서 (56) 는 또한 교환될 수 있으며, 즉 제 1 센서 요소 (46) 가 또한 수광 센서 (56)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센서 요소 (50) 가 발광원 (5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원 (54) 과 수광 센서 (56) 가 서로 대면하는 때, 발광원 (54) 과 수광 센서 (56) 사이에 광 배리어 (58) 가 형성된다. 따라서, 광 배리어 (58) 의 임의의 방해는 수광 센서 (56) 의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등록될 수 있다.
제 1 센서 요소 (46) 는 제 1 레일 (60) 에 장착되고, 제 2 센서 요소 (50) 는 제 2 레일 (62) 에 장착되며, 제 1 레일 (60) 및 제 2 레일 (62) 은 서로 평행하고, 수용 영역 (38) 의 폭 방향에 수직이고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종방향 (L) 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 (38) 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다.
제 1 레일 (60) 및 제 2 레일 (62) 은 각각 제 1 프레임 (64) 및 제 2 프레임 (66) 에 장착된다. 제 1 프레임 (64) 및 제 2 프레임 (66) 은 블랭크 분리 스테이션 (22) 에 연결된다. 따라서, 장치 (36) 는 기존의 시트 처리기 (10) 에 개장 가능하게 적합화된다.
원칙적으로, 제 1 프레임 (64) 및 제 2 프레임 (66) 은 또한 장치 (36) 의 부품들 대신에 블랭킹 분리 스테이션 (22) 의 부품들일 수도 있다.
도 3 은 도 2 의 장치 (36) 의 선택된 부분들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으로부터, 제 1 센서 요소 (46) 가 제 1 레일 (60) 의 슬롯형 가이드 (70) 내의 슬롯형 가이드 슬라이더 (68) 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명백해진다. 그러므로, 제 1 센서 요소 (46) 그리고 따라서 발광원 (54) (도 2 참조) 은 도 3 에 도시된 이중 화살표 (P1) 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수용 영역 (38)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센서 요소 (46) 는 조작자에 의해 수용 영역 (38)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동으로 변위 가능하고, 즉 수용 영역 (38) 의 제 1 측면 (48) 은 조작자에 의해 용이하게 액세스될 수 있는 시트 처리기 (10) 의 조작자 측에 배열된다.
제 2 센서 요소 (50) 는 액추에이터 (72) 를 포함하여, 제 2 센서 요소 (50) 가 도 3 에서 이중 화살표 (P2) 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수용 영역 (38)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한다.
수용 영역 (38) 의 반대측 (52) 은 조작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시트 처리기 (10) 의 반대 조작자 측에 배치된다.
이하에서, 장치 (36) 에 관한 시트 처리기 (10) 의 작용 모드가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시트 처리 작업을 위해 시트 처리기 (10) 를 준비하기 위해, 조작자는 인간-기계-인터페이스 (44) 를 통해 시트 처리기를 셋업 모드로 설정한다. 이러한 운전 모드의 변경은 제어 유닛 (40) 에 의해 등록된다. 원칙적으로, 장치 (36) 는 또한 특정 셋업 모드에 들어감이 없이 유사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조작자는 슬롯형 가이드 슬라이더 (68) 를 슬롯형 가이드 (70) 를 따라 목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센서 요소 (46) 를 수용 영역 (38)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동으로 변위시킨다.
목표 위치는, 시트 처리기 (10) 의 작동 중에, 블랭크들 (11) 이 수용 영역 (38) 내의 블랭크들 (11) 의 파일에 목표 높이까지 수집될 때, 블랭크들 (11) 의 파일의 최상부 블랭크 (11) 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영역 (38)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센서 요소 (46) 의 발광원 (54) 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블랭크들 (11) 의 파일 내의 블랭크들 (11) 이 본질적으로 수용 영역 (38) 의 완전한 길이 방향에 걸쳐 연장되지 않으면, 제 1 센서 요소 (46) 는 블랭크들 (11) 이 존재할 위치에 조작자에 의해 배치된다.
제 1 센서 요소 (46) 및 제 2 센서 요소 (50) 에 연결된 제어 유닛 (40) 은 제 1 센서 요소 (46) 가 이동되었음을 등록하고, 제 2 센서 요소 (50) 의 작업 위치를 찾기 위한 액추에이터 (72) 를 제어함으로써 제 2 레일 (62) 을 따라 제 2 센서 요소 (50) 를 자동으로 변위시키기 시작한다.
작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수광 센서 (56) 는 제어 유닛 (40) 에 의해 제 2 센서 요소 (50) 가 이동된 제 2 레일 (62) 을 따른 매 위치에서 센서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유닛 (40) 은 수신된 센서 신호들을 제 2 레일 (62) 을 따른 연관된 위치와 함께 저장 모듈 (42) 에 저장한다.
발광원 (54) 과 수광 센서 (56) 가 서로 마주할 때, 광 배리어 (58) 가 형성되어 (도 2 참조), 수광 센서 (56) 로부터의 0 이 아닌 센서 신호를 초래한다. 발광원 (54) 과 수광 센서 (56) 의 정렬이 양호할수록, 결과적인 센서 신호가 더 높을 것이며, 즉 최대 센서 신호는 발광원 (54) 과 수광 센서 (56) 사이의 최상의 정렬을 나타낸다.
따라서, 작업 위치는 수신된 연관된 센서 신호가 최대인 제 2 레일 (62) 을 따른 제 2 센서 요소 (50) 의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제어 유닛 (40) 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제 2 센서 요소 (50) 는 제 2 레일 (62) 을 따라 이 위치로 이동된다.
그 후에, 제어 유닛 (40) 은 장치 (36) 가 적절하게 셋업되었고 광 배리어 (58) 가 성공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조작자에게 알리기 위해 인간-기계-인터페이스 (44) 에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시트 처리기 (10) 를 셋업 모드로부터, 시트들 (12) 이 처리되어 수신 영역 (38) 에서 블랭크들 (11) 의 파일에 적층되는 블랭크들 (11) 을 형성하는 작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시트 처리기 (10) 의 작동 동안, 제 1 및 제 2 센서 요소들 (46, 50) 은 단속적인 방식으로 작동한다: 시트 처리기가 블랭크를 배출할 때, 센서 요소들은 블랭크가 광 배리어를 가로지를 필요가 있는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된다. 나머지 시간에는, 수광 센서 (56) 는 지속적으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마다 적어도 한 번, 예를 들어 50 ms 마다 한 번 수신하고, 전류 센서 신호를 제어 유닛 (40) 에 송신한다. 유리하게는, 수광 센서는 최상부 블랭크 (11) 의 높이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 수개의 센서 셀들을 포함한다.
블랭크들 (11) 의 파일이 최상부 블랭크 (11) 가 광 배리어 (58) 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높이에 도달하자마자, 광 배리어 (58) 는 중단될 것이고, 수광 센서 (56) 의 센서 신호는 특히 0 의 값으로 또는 적어도 수광 센서 (56) 의 노이즈 레벨에 대응하는 값으로 떨어질 것이다.
이러한 센서 신호의 변화는 제어 유닛 (40) 에 의해 등록된다. 제어 유닛 (40) 은 블랭크들 (11) 의 파일의 높이가 장치 (36) 의 광 배리어의 높이에 도달했다는 메시지를 인간-기계-인터페이스 (44) 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높이는 조작자가 시트 처리기 (10) 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생성된 블랭크들 (11) 을 블랭크 분리 스테이션 (22) 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블랭크들 (11) 의 목표 개수에 대응한다.
원칙적으로, 제어 유닛 (40) 은 또한 일단 광 배리어 (58) 가 중단되면 시트 처리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시트 처리 작업에 대해, 조작자는 다시 셋업 모드에 진입하고, 필요하다면 제 1 센서 요소 (46) 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고, 전술된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36) 는 시트들 (12) 의 파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랭크들 (11) 의 파일이 언제 쌓이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본질적으로 시트 처리기 (10) 의 작동 중 어느 시점에서 특정 수의 블랭크들 (11) 이 생성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에 대응한다.
그러나, 장치 (36) 는 또한 시트 (12) 의 파일이 허물어진 때를 검출하기 위해, 즉 시트 파일의 높이가 광 배리어 (58) 의 높이보다 낮도록 시트들 (12) 의 파일로부터 많은 시트들 (12) 이 제거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처리기는 특히 조작이 간단하고 시트 파일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저렴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시트 처리기의 작동은 매우 다양한 시트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Claims (9)

  1. 시트 파일 (sheet pile) 을 수집하기 위한 수용 영역 (38) 및 상기 시트 파일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36) 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기로서,
    상기 장치 (36) 는 상기 수용 영역 (38) 의 제 1 측면 (48) 에 배치된 수동으로 변위가능한 제 1 센서 요소 (46), 및 상기 수용 영역 (38) 의 대향 측면 (52) 에 배치된 자동으로 변위가능한 제 2 센서 요소 (50) 를 포함하여서, 상기 제 1 센서 요소 (46) 및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는 상기 수용 영역 (38) 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 1 센서 요소 (46) 및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는 시트 수용 영역 (38)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가능하고,
    상기 제 1 센서 요소 (46) 는 발광원 (54) 과 수광 센서 (56) 중 하나이고,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는 발광원 (54) 과 수광 센서 (56) 중 다른 하나이며,
    상기 발광원 (54) 및 상기 수광 센서 (56) 는 서로 대면하는 때에 상기 폭 방향을 따라 광 배리어 (58) 를 형성하는, 시트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요소 (46) 및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는 제 1 레일 (60) 및 제 2 레일 (62) 상에 각각 장착되는, 시트 처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요소 (46) 는 상기 제 1 레일 (60) 의 슬롯형 (slotted) 가이드 (70) 내의 슬롯형 가이드 슬라이더 (68) 에 의해 장착되는, 시트 처리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는 상기 제 2 센서 요소의 모터, 특히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의 액추에이터 (72) 에 의해 변위 가능한, 시트 처리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36) 는 상기 제 1 센서 요소 (46) 및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에 연결된 제어 유닛 (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 (40) 은 상기 수광 센서 (56) 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처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40) 은 작업 위치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업 위치에서 상기 센서 신호는 0 이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 위치에서 상기 센서 신호는 최대인, 시트 처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40) 은 상기 제 1 센서 요소 (46) 가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를 상기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시트 처리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요소 (46) 는 상기 시트 처리기 (10) 의 조작자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센서 요소 (50) 는 상기 시트 처리기 (10) 의 반대 조작자 측에 배치되는, 시트 처리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영역 (38) 은 상기 시트 처리기 (10) 의 블랭크 분리 스테이션 (22) 의 일부이고, 상기 시트 파일은 블랭크들 (11) 의 파일인, 시트 처리기.
KR1020237022857A 2020-12-17 2021-12-16 시트 처리기 Ceased KR202301136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5108.0 2020-12-17
EP20215108 2020-12-17
PCT/EP2021/086234 WO2022129353A1 (en) 2020-12-17 2021-12-16 Sheet process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627A true KR20230113627A (ko) 2023-07-31

Family

ID=7385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857A Ceased KR20230113627A (ko) 2020-12-17 2021-12-16 시트 처리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2319532B2 (ko)
EP (1) EP4263406B1 (ko)
JP (1) JP2024500114A (ko)
KR (1) KR20230113627A (ko)
CN (1) CN116601094A (ko)
ES (1) ES3031052T3 (ko)
TW (1) TWI806264B (ko)
WO (1) WO2022129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3332B (zh) * 2020-03-18 2022-05-01 瑞士商巴柏斯特麥克斯合資公司 片材堆支撐總成及用於操作片材堆支撐總成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8999B2 (ja) 1998-09-03 2010-02-03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輪転孔版印刷機の紙受装置
JP2002012365A (ja) 2000-06-29 2002-01-15 Canon Inc 排出シート積載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DE20103326U1 (de) 2001-02-24 2001-05-10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3069 Offenbach Einrichtung in einem Bogenausleger
JP2004284790A (ja) 2003-03-24 2004-10-14 Fuji Xerox Co Ltd シート積載装置
TWI241241B (en) * 2003-10-13 2005-10-11 Bobst Sa Blank diecutting machine
JP4908840B2 (ja) * 2005-12-14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120319A (ja) 2007-11-14 2009-06-0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88715B2 (ja) * 2009-06-18 201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
JP5431078B2 (ja) * 2009-09-03 2014-03-05 株式会社東芝 積層紙葉類の状態判定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JP5336316B2 (ja) 2009-09-24 2013-11-06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集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6410324B2 (ja) 2016-02-15 2018-10-24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
US9834399B1 (en) * 2017-01-18 2017-12-05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20128280A (ja) * 2019-02-08 2020-08-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3406B1 (en) 2025-05-14
US12319532B2 (en) 2025-06-03
TWI806264B (zh) 2023-06-21
CN116601094A (zh) 2023-08-15
US20240043236A1 (en) 2024-02-08
ES3031052T3 (en) 2025-07-03
WO2022129353A1 (en) 2022-06-23
EP4263406A1 (en) 2023-10-25
TW202315833A (zh) 2023-04-16
JP2024500114A (ja)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3511B2 (ja) 打抜き機
US20080022866A1 (en) Sheet punching and embossing machine with register orienting and method for operating a sheet punching and embossing machine
US10189668B2 (en) Sheet cutting machine
JP2008030952A (ja) 後縁制動装置
EP3224169B1 (de) Bogenverarbeitende maschine mit einer auslage und verfahren zur ablage von bogen
JP4037397B2 (ja) ブランク打抜き機
KR20230113627A (ko) 시트 처리기
US20230406660A1 (en) Sheet processing machine
EP1431011B1 (de) Bogenstanz- und -prägemaschine
KR20010102048A (ko) 박판금을 박판 스트립으로 절단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절단 장치
US20150174780A1 (en) In-line punching machine
CN115210159B (zh) 用于在转换机中存储片材堆的设备和转换机
US20240286863A1 (en) Sheet processing machine
DE102008017090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flachen, sich geschuppt überlappend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Blechtafeln
CN107639671B (zh) 上模、加工工位、操作上模的加工机器和方法
DE102023104999A1 (de) Anleger einer bogenverarbeitenden 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legers einer bogenverarbeitenden 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