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13624A - 물리적 업링크 채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링크전력 제어 - Google Patents

물리적 업링크 채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링크전력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624A
KR20230113624A KR1020237022638A KR20237022638A KR20230113624A KR 20230113624 A KR20230113624 A KR 20230113624A KR 1020237022638 A KR1020237022638 A KR 1020237022638A KR 20237022638 A KR20237022638 A KR 20237022638A KR 20230113624 A KR20230113624 A KR 20230113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pucch
control parameters
parameters
ite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슈 장
춘하이 야오
춘쑤안 예
다웨이 장
하이통 순
홍 허
화닝 니우
세예드 알리 아크바르 파쿠리안
시겐 예
웨이 젱
웨이동 양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11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62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반복들을 갖는 채널들에 대한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및 구성요소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리적 업링크 채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링크 전력 제어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의 간섭 및 전력 소비를 제한하면서 유효 업링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업링크 전력 제어(power control, PC)를 제공한다.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UE에 제공될 수 있다. 3GPP의 릴리스 15 및 릴리스 16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하기와 같이 도출된다. 공간 관계가 구성되는 경우,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공간 관계 구성 내에 구성된다. 공간 관계는 주파수 범위 2(FR2), 24,250 메가헤르츠(㎒) 내지 52,600 ㎒에만 적용가능하다. 공간 관계가 구성되지 않는 경우,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각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목록 내의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로부터 디폴트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반복 맵핑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한다.
도 3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2개의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슬롯내 홉핑(hopping)을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다른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다른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를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빔포밍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9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gNB를 도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한이 아닌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다양한 실시 형태들의 다양한 태양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조들, 아키텍처들, 인터페이스들, 기법들 등과 같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기재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 형태들의 다양한 태양들이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을 벗어나는 다른 예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이익을 갖는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정 경우들에서, 불필요한 세부사항으로 다양한 실시 형태들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잘 알려진 디바이스들, 회로들, 및 방법들의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의 목적들을 위해, 어구 "A 또는 B"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다음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어들의 해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회로부"는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회로, 논리 회로, 프로세서(공유, 전용, 또는 그룹) 또는 메모리(공유, 전용, 또는 그룹),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D(field-programmable device)(예를 들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complex PLD), HCPLD(high-capacity PLD), 구조화된 ASIC, 또는 프로그래밍가능 SoC(system-on-a-chip)),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지칭하거나, 이들의 일부이거나, 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회로부는 설명된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용어 "회로부"는 또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들(또는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회로들의 조합)과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그 프로그램 코드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하드웨어 요소들과 프로그램 코드의 조합은 특정 유형의 회로부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서 회로부"는 산술적 또는 논리적 연산들의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 저장하는 것, 또는 전송하는 것을 할 수 있는 회로부를 지칭하거나, 그의 일부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용어 "프로세서 회로부"는, 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기능적 프로세스들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동작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기저대역 프로세서,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 단일-코어 프로세서, 듀얼-코어 프로세서, 트리플(triple)-코어 프로세서, 쿼드(quad)-코어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인터페이스 회로부"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부를 지칭하거나, 이의 일부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인터페이스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버스들, I/O 인터페이스들, 주변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디바이스를 지칭하며,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리소스들의 원격 사용자를 설명할 수 있다. 용어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클라이언트, 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 모바일 단말, 사용자 단말, 모바일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사용자, 가입자, 사용자, 원격 스테이션, 액세스 에이전트, 사용자 에이전트, 수신기, 무선 장비, 재구성가능 무선 장비, 재구성가능 모바일 디바이스 등과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고, 그들로 지칭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유선 디바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컴퓨터 시스템"은 임의의 유형의 상호접속된 전자 디바이스들, 컴퓨터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구성요소들을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용어 "컴퓨터 시스템" 또는 "시스템"은 서로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컴퓨터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컴퓨터 시스템" 또는 "시스템"은 서로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컴퓨팅 또는 네트워킹 리소스들을 공유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컴퓨터 디바이스들 또는 다수의 컴퓨팅 시스템들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리소스"는 물리적 또는 가상 디바이스, 컴퓨팅 환경 내의 물리적 또는 가상 구성요소,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들, 기계적 디바이스들과 같은 특정 디바이스 내의 물리적 또는 가상 구성요소, 메모리 공간, 프로세서/CPU 시간, 프로세서/CPU 사용량, 프로세서 및 가속기 부하들, 하드웨어 시간 또는 사용량, 전기 전력, 입력/출력 동작들, 포트들 또는 네트워크 소켓들, 채널/링크 할당, 처리량, 메모리 사용량, 저장,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및 애플리케이션들, 작업부하 유닛들 등을 지칭한다. "하드웨어 리소스"는 물리적 하드웨어 요소(들)에 의해 제공되는 계산, 저장, 또는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지칭할 수 있다. "가상화된 리소스"는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 시스템 등에 제공되는 연산, 저장, 또는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네트워크 리소스" 또는 "통신 리소스"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디바이스들/시스템들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리소스들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리소스들"은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임의의 종류의 공유 엔티티들을 지칭할 수 있고, 컴퓨팅 또는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들은, 그러한 시스템 리소스들이 단일 호스트 또는 다수의 호스트들 상에 존재하고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서버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한 세트의 코히런트(coherent) 기능들, 네트워크 데이터 객체들 또는 서비스들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채널"은 데이터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유형적(tangible) 또는 무형적(intangible) 중 어느 하나인, 임의의 송신 매체를 지칭한다. 용어 "채널"은 "통신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송신 채널", "데이터 송신 채널", "액세스 채널", "데이터 액세스 채널", "링크", "데이터 링크", "캐리어", "무선 주파수 캐리어", 또는 데이터가 통신되는 경로 또는 매체를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용어와 동의어이거나 또는 이들과 동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링크"는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려는 목적을 위한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접속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인스턴스화하다", "인스턴스화" 등은 인스턴스의 생성을 지칭한다. "인스턴스"는 또한,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객체의 구체적인 발생을 지칭한다.
용어 "접속된"은, 공통 통신 프로토콜 계층에서의 2개 이상의 요소들이 통신 채널, 링크, 인터페이스, 또는 기준 포인트를 통해 서로 확립된 시그널링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네트워크 요소"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가상화된 장비 또는 인프라구조를 지칭한다. 용어 "네트워크 요소"는 네트워킹된 컴퓨터, 네트워킹 하드웨어,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노드,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 등과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고 이들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정보 요소"는 하나 이상의 필드들을 포함하는 구조적 요소를 지칭한다. 용어 "필드"는 정보 요소의 개별 콘텐츠들, 또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요소를 지칭한다. 정보 요소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정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환경(100)은 UE(104)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08)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들)(108)은 하나 이상의 무선 서빙 셀들, 예를 들어, 3GPP 뉴 라디오(New Radio, NR) 셀들을 제공할 수 있고, 이들을 통해 UE(104)는 기지국(들)(108)과 통신할 수 있다.
UE(104) 및 기지국(들)(108)은 5세대(5G) NR 시스템 표준들을 정의하는 것들과 같은 3GPP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 TS)들과 호환가능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108)은 5G 코어 네트워크와 커플링되는 차세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generation - radio access network, NG-RAN)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NG-RAN 노드는, UE(104)를 향해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들을 제공하기 위한 gNB 또는 UE(104)를 향해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들을 제공하기 위한 ng-eN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지국(들)(108)은 하나 이상의 분산형 안테나 패널(antenna panel, AP)들, 예를 들어 AP(116) 및 AP(120)와 커플링될 수 있다. 분산형 AP들(116/120)은 송수신 포인트(transmit-receive point, TRP)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기지국(들)(108)은 스케줄링을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동작들의 대부분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AP들(116/120)은 분산형 안테나들로서 동작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AP들(116/120)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 하위 레벨 동작들(예를 들어, 아날로그 물리적(PHY) 계층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들)(108)은 신호가 UE(104)로 송신되거나 그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지리적으로 별개의 포인트들에 대해 AP들(116/12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UE(104)와 통신하기 위해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및 빔포밍 향상들을 사용하는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P들(116/120)은 UE(104)에 다운링크 송신들을 송신하고 UE(104)로부터 업링크 송신들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AP들(116, 120)에 의해 제공되는 분산 송신/수신 능력들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의 조정된 다중포인트 또는 캐리어 집성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100)이 AP들(116/120)을 통해 UE(104)와 통신하는 기지국(들)(108)을 예시하지만,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네트워크 환경(100)은 UE(104)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예를 들어, 기지국들, TRP들, eNB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들)(108)은 논리 채널들을 전송 채널들 상에 그리고 전송 채널들을 물리적 채널들 상에 맵핑함으로써 다운링크 방향으로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를 송신할 수 있다. 논리 채널들은 무선 링크 제어(RLC)와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전송 채널들은 MAC와 PHY 계층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물리적 채널들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AP들(116) 및 UE(104) 상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들은 빔포밍을 수신 또는 송신하게 허용하는 안테나 요소들의 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빔포밍은 안테나 이득 및 전체 시스템 성능을 증가시키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을 결정하고 이들을 사용함으로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버짓(budget)들을 개선시킬 수 있다. UE(104) 및 기지국(108)은 기준 신호 측정들 및 채널 상호성 가정들에 기초하여 빔 관리 동작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업링크-다운링크 빔 쌍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기지국(108)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송신들을 송신/수신하기 위한 원하는 다운링크 빔 쌍을 결정하기 위해 UE(104)에 의해 측정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들 및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CSI-RS)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네트워크 요소들은 업링크/다운링크 빔 대응을 가정하고, 원하는 다운링크 빔 쌍을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송신들을 위한 원하는 업링크 빔 쌍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빔 쌍들은 UE(104)에 의해 송신되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들에 기초하여 업링크 방향에 대해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빔 관리는 상이한 스테이지들, 이를테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의 초기 획득,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의 나중의 개량을 포함할 수 있다.
PUCCH 송신의 신뢰성 및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UE(104)는 PUCCH 송신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할 수 있다. 반복들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롯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PUCCH 송신은 PUCCH 송신이 원래 또는 제1 PUCCH 송신인 경우에도 반복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들)(108)은 RRC 시그널링,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UE(104)에 제공함으로써 업링크 채널들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제어 구성 정보는 P0들(dBm 단위의 업링크 전력 값들), 알파들(업링크 전력 제어에 대한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의 가능한 값들), 경로 손실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들, 및 폐루프 인덱스들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들)(108)은, 예를 들어 PUSCH, PUCCH,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및 사운딩 기준 신호(SRS)를 포함하는 상이한 업링크 채널들에 대한 업링크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별개로 제어할 수 있다.
PUSCH에 대한 전력 제어는 개루프 방식 또는 폐루프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달리 기술된 것을 제외하고는 3GPP 기술 규격(TS) 38.213 v16.3.0(2020-09)의 섹션 7.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PUCCH에 대한 전력 제어는 폐루프 방식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달리 기술된 것을 제외하고는 3GPP TS 38.213의 섹션 7.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는 송신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 커맨드들의 형태로 기지국(들)(108)으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할 수 있다. TPC 커맨드들은 PDCCH 상의 DCI를 통해 UE(104)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지국(들)(108)은 DCI 포맷 2_2를 사용하여 TPC 커맨드를 송신할 수 있다. DCI 페이로드는 TPC 커맨드가 적용될 조정 상태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어서, 3GPP TS 38.213의 섹션 7.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PUCCH에 대한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는 TPC 커맨드 누적 g b,f,c (i,l)을 하기와 같이 결정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는 조정 상태 'l'에 대한 m-번째 TPC 커맨드를 표현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TPC 커맨드는 0, 1, 2, 및 3의 값들이 전력을 -1 dB, 0 dB, 1 dB, 및 3 dB만큼 조정하기 위한 커맨드들을 각각 나타내는 2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되는 일부 실시 형태들은 다른 TPC 커맨드들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지국(들)(108)은 PUCCH의 전력 제어에 대한 UE-특정적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PUCCH 전력 제어(PUCCH-PowerControl)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UE(104)로 송신할 수 있다. PUCCH-PowerControl IE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PUCCH-PowerControl IE의 필드들은 3GPP TS 38.331 v16.2.0(2020-09)에 기재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P0-PUCCH-Value 필드는 1 데시벨(dB) 스텝 크기를 갖는 PUCCH에 대한 업링크 송신 전력 값(P0)을 포함할 수 있다. deltaF-PUCCH-f0 필드는 PUCCH 포맷 0에 대한 UE 송신 전력 오프셋(deltaF) 값을 포함할 수 있다(그리고 다른 deltaF 필드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PUCCH 포맷들에 대한 deltaF 값들을 포함할 수 있음). p0-Set 필드는 PUCCH에 대한 전용 P0 값들(예를 들어, P01, P02,…)을 갖는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pathlossReferenceRS들은, UE(104)가 PUCCH 전력 제어에 대한 경로 손실 추정치들을 측정할 기준 신호들의 세트(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를 제공할 수 있다.
UE(104)가 공간 관계 구성(예를 들어, 하기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은 PUCCH-SpatialRelationInfo IE)으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 UE(104)는 P0-PUCCH의 제1 인스턴스, 예를 들어 아이덴티티 '0'을 갖는 인스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간 관계는 FR2에서 구성될 수 있다. PUCCH 송신에 대한 공간 관계 설정 및 PUCCH 전력 제어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PUCCH-SpatialRelationInfo IE를 UE(104)로 송신하는 기지국(들)(108)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PUCCH-SpatialRelationInfo IE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PUCCH-SpatialRelationInfo IE의 필드들은 3GPP TS 38.33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pucch-PathlossReferenceRS-ID 및 p0-PUCCH Id는 PUCCH-PowerControl IE에 정의된 PUCCH-PathlossReferenceRS 및 P0-PUCCH의 특정 인스턴스들을 가리킬 수 있다. closedLoopIndex는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들)(108)은 각각의 PUCCH 리소스에 대한 PUCCH-SpatialRelationInfo IE들을 사용하여 공간 관계들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들)(108)은 MAC CE를 사용하여 구성된 공간 관계들 중 하나 또는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FR2에 대한 PUCCH 신뢰성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릴리스 17에 대해 2개의 공간 관계들이 허용될 수 있다. 이것은, UE(104)가 상이한 빔들을 적용하여 상이한 PUCCH 반복들을 동일한 또는 상이한 TRP로 송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현재의 최신 기술은, 하나 초과의 빔에 의해 전달되고 하나 초과의 TRP로 송신될 수 있는 복수의 반복들을 갖는 PUCCH 송신에 대한 업링크 송신 전력 제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수의 과제들을 제공한다. 대체적으로, 적어도 3개의 문제들이 현재의 최신 기술에 의해 적절하게 해결되지 않는다.
제1 문제에서, 공간 관계가 FR1에 적용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상이한 PUCCH 반복들에 대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대한 지원이 정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2 문제에서, 슬롯내 다중-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빔 홉핑이 제공되는 경우, 동일한 슬롯에서의 PUCCH 송신에 대한 상이한 홉들에 상이한 빔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FR1 및 FR2 둘 모두에서의 통신에 대한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업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이 정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3 문제는 DCI에 의해 표시된 TPC 커맨드에 기초하여 폐루프 전력 제어 인자를 업데이트하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반복들에 의한 PUCCH/PUSCH 신뢰성 향상들의 경우, 각각의 반복에 대해 TPC 커맨드를 적용하는 방법은 FR1 및 FR2 둘 모두에서의 통신에 대해 해결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하기의 옵션들은, 예를 들어, 제1 문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FR1에 대한 PUCCH 전력 제어 향상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옵션(옵션 1)에서, 상이한 디폴트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상이한 PUCCH 반복들에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이한 PUCCH 반복들이 상이한 TRP들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이한 PUCCH 반복들에 대해 업링크 송신 전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유연성을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옵션 1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서브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옵션(옵션 1-1)에서, 세트의 제1 파라미터들은 제1 빔에 적용될 수 있는 한편, 세트의 제2 파라미터들은 제2 빔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PowerControl IE에 의해 구성된 P0-set는 제1 P0 및 제2 P0을 포함하는 복수의 P0들, 및 제1 경로 손실 RS 및 제2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는 복수의 pathlossReferenceR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 1-1에서, P0 세트 내의 제1 P0은 제1 빔에 적용될 수 있고, P0 세트 내의 제2 P0은 제2 빔에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복수의 pathlossReferenceRS들의 제1 경로 손실 RS는 제1 빔에 적용될 수 있고, 복수의 pathlossReferenceRS들의 제2 경로 손실 RS는 제2 빔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서브옵션(옵션 1-2)에서, 기지국(들)은 파라미터들의 추가적인 세트들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세트의 제1 파라미터는 각자의 빔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PUCCH-Power-Control IE는 복수의 P0 세트들 및 복수의 pathlossReferenceRS 세트들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P0 세트 내의 제1 P0은 제1 빔에 적용될 수 있는 한편, 제2 P0 세트 내의 제1 P0은 제2 빔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2개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이 PUCCH에 대해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이한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 인덱스들이 상이한 반복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PUCCH 반복들에 대해 상이한 루프들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유연성을 기지국(들)(108)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다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들이 PUCCH 반복들에 적용될 때, 기지국(들)(108)은 2개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을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조정 상태들을 인에이블시킴). 예를 들어, 폐루프 전력 제어 수학식(수학식 1)과 관련하여, l의 값은 2개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g가 각각의 PC 파라미터 세트에 대응하는 상이한 반복들에 적용될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제1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는 PUCCH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이 인에이블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초과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이 인에이블된다 하더라도, 제1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는 모든 PUCCH 반복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옵션 1-2는 하기와 같이 PUCCH-PowerControl IE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이전의 PUCCH-PowerControl IE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PUCCH-PowerControl IE는 P0-Set1 및 pathlossReferenceRS1들과 같은 추가적인 세트들을 구성하도록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P0-Set로부터의 제1 P0이 제1 빔의 PUCCH 반복에 적용될 수 있고 P0-Set1로부터의 제1 P0이 제2 빔의 PUCCH 반복에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pathlossReferenceRS로부터의 경로 손실 RS는 제1 빔의 PUCCH 반복에 적용될 수 있고, pathlossReferenceRS로부터의 경로 손실 RS는 제2 빔의 PUCCH 반복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추가적인/대안적인 전력 제어(PC) 파라미터 세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지국(들)(108)은 PC 파라미터 세트들(예를 들어, P0, 경로 손실 RS, 폐루프 인덱스를 포함함)과 PUCCH 반복들 사이의 맵핑으로 UE(104)를 구성할 수 있다. 맵핑은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DCI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맵핑은, 예를 들어, 3GPP TS에서 미리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2개의 파라미터 세트들을 4개의 PUCCH 반복들에 맵핑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맵핑 스킴들을 도시한다. 특히, 순환 맵핑(204)은 연속적인 PUCCH 반복들에 대해 파라미터 세트들이 순환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PC 파라미터 세트 1이 반복 1에 적용되고, PC 파라미터 세트 2가 다음 PUCCH 반복(반복 2)에 적용되고, PC 파라미터 세트 1이 다음 PUCCH 반복(반복 3)에 적용되고, PC 파라미터 세트 2가 세트의 마지막 PUCCH 반복에 적용된다.
순차적 맵핑(208)에서, 개별 파라미터 세트들이 연속적인 PUCCH 반복들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 파라미터 세트 1이 PUCCH 반복들 1 및 2에 맵핑될 수 있고, 이어서, PC 파라미터 세트 2가 PUCCH 반복들 3 및 4에 맵핑된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유사한 개념들을 적용함으로써 다른 수의 PUCCH 반복들 및 PC 파라미터 세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옵션(옵션 2)에서, (예를 들어, FR1에서) PUCCH-SpatialRelation IE가 없는 PUCCH 리소스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108)은 PUCCH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를 통해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옵션 2는,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서브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옵션(옵션 2-1)에서, PUCCH 리소스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1개의 세트 또는 2개의 세트들이 RRC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로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해 PUCCH 리소스 IE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하나의 세트를 갖는 PUCCH 리소스 IE가 하기와 같이 나타내진다.
PUCCH-Resource IE는 PUCCH-Config IE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PUCCH-Resource IE의 필드들은 3GPP TS 38.33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PUCCH-Resource IE는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은 PUCCH 경로 손실 RS ID, P0-PUCCH ID, 및 폐루프 인덱스를 갖는 PC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2개의 세트들을 갖는 PUCCH 리소스 IE가 하기와 같이 나타내진다.
이러한 PUCCH 리소스 IE는 상기에 나타내고 논의된 것과 유사할 수 있지만; 이러한 PUCCH 리소스 IE는 또한, PUCCH 경로 손실 RS ID1, P0-PUCCH ID1, 및 폐루프 인덱스 1을 갖는 제2 PC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PUCCH 리소스는 PUCCH 공간 관계 밖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1개 세트 또는 2개의 세트들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PUCCH 리소스들에 대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해 기지국(들)(108)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브옵션(서브옵션 2-2)에서, PUCCH 리소스 또는 PUCCH 리소스들의 그룹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MAC CE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서브옵션 2-1은 MAC CE가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수신되기 전에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추가적인 구성은 원래 구성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PC 파라미터 세트들 중 특정 리소스에 사용할 PC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MAC CE는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에서 PUCCH 리소스들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MAC CE를 송신하는 서빙 셀 또는 상이한 서빙 셀에 대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MAC CE가 복수의 서빙 셀들에서 PUCCH 리소스들에 대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는 실시 형태들에서, 그것은 MAC CE 자체에 제공되거나 RRC 시그널링에 의해 이전에 구성된 서빙 셀 목록을 사용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다.
서브옵션 2-1 또는 서브옵션 2-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1개의 세트 또는 2개의 세트들이 PUCCH 리소스에 적용될 수 있다.
특정 PUCCH 리소스에 대해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1개의 세트가 적용되는 경우, 기지국(들)(108)은 동일한 UCI를 보고하기 위해 N개의 PUCCH 리소스들(여기서 N > 1, 예를 들어, N = 2임)을 트리거할 수 있다. 따라서, N개의 PUCCH 리소스들 각각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그 자신의 세트와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PUCCH 반복들을 전달하는 상이한 PUCCH 리소스들은 의도된 타깃 TRP에 적합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가질 수 있다.
특정 PUCCH 리소스에 대해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2개의 세트들이 적용되는 경우, PUCCH 반복들에 대한 PC 파라미터 세트의 맵핑은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DCI를 사용하여 기지국(들)(108)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하게, PC 파라미터 세트들은 순환 맵핑 또는 순차적 맵핑을 사용하여 PUCCH 반복들에 맵핑될 수 있다.
제3 옵션(옵션 3)에서, PUCCH-SpatialRelation이 없는 PUCCH 리소스에 대한 M개의 PC 파라미터 세트들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여기서 M >= 2임). 이어서, DCI가, PUCCH 송신에 대한 M개의 PC 파라미터 세트들 중 1개의 세트 또는 2개의 세트들을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PC 파라미터 세트 시그널링에 대한 2개의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시나리오(304)에서, PC 파라미터 세트(들)는 RRC, MAC CE, 및 DCI 시그널링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108)은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PC 파라미터 세트 0 내지 PC 파라미터 세트 7로 UE(104)를 구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M = 8임). 어느 정도 뒤, 기지국(108)은 복수의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MAC CE를 UE(104)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PC 파라미터 세트들은 복수의 DCI 코드포인트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PC 파라미터 세트들 1 및 2는 제1 DCI 코드포인트(예를 들어, 코드포인트 = 0)에 대응할 수 있고; PC 파라미터 세트 0은 제2 DCI 코드포인트(예를 들어, 코드포인트 = 1)에 대응할 수 있고; PC 파라미터 세트들 3 및 4는 제3 DCI 코드포인트(예를 들어, 코드포인트 = 2)에 대응할 수 있고; PC 파라미터 세트들 1 및 2는 제4 DCI 코드포인트(예를 들어, 코드포인트 = 3)에 대응할 수 있다. 나중에, 기지국(들)(108)은 후속 업링크 송신들에 적용되어야 하는 PC 파라미터 세트들에 대응하는 DCI 코드포인트 값을 갖는 DCI를 송신할 수 있다. 나타내진 바와 같이, PC 파라미터 세트들 3 및 4를 선택하기 위해 DCI 코드포인트 = 2가 송신될 수 있다.
시나리오(308)에서, PC 파라미터 세트(들)는 RRC 및 MAC CE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108)은 전술된 것과 유사하게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복수의 PC 파라미터 세트들로 UE(104)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들)(108)이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코드포인트들에 대응하는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MAC CE를 사용하는 대신에, MAC CE는 하나의 코드포인트에 대응하는 1개의 PC 파라미터 세트 또는 2개의 PC 파라미터 세트들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DCI 시그널링은 후속 송신에 적용되어야 하는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나타내는 데 필요하지 않다.
응용을 위해 하나 초과의 PC 파라미터 세트들이 선택되는 경우, PUCCH 반복 맵핑에 대한 파라미터 세트는 전술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핑은 구성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되거나 미리정의될 수 있다. 맵핑은 순환 맵핑 또는 순차적 맵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슬롯내 빔 홉핑을 사용한 PUCCH 신뢰성 향상을 예시하기 위한 시그널링 다이어그램(400)을 도시한다. 시그널링 다이어그램(400)은, 빔 1을 사용하여 PUCCH 리소스 1에 대한 제1 홉으로서 송신되는 제1 PUCCH 반복(404); 및 빔 2를 사용하여 PUCCH 리소스 1에 대한 제2 홉으로서 송신되는 제2 PUCCH 반복(408)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홉들은 동일한 슬롯에서 동일한 또는 상이한 TRP들로 송신될 수 있다.
전력 제어는 PUCCH 리소스에 대해 공간 관계 구성들이 제공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PUCCH 반복들(404, 408)을 전달하는 홉들에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PUCCH 리소스에 대해 공간 관계 구성들이 제공되는 실시 형태들에 대한 제1 옵션에서, 상이한 PUCCH 공간 관계 구성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각각의 홉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 관계 구성으로부터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PUCCH 반복(404)(홉 1)에 적용될 수 있고, 제2 공간 관계 구성으로부터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PUCCH 반복(408)(홉 2)에 적용될 수 있다. 전력 제어는 송신 기회 내에서 N개의 심볼들마다(예를 들어, 홉마다)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UE(104)에서의 업링크 전력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홉들 사이의 갭이 제공될 수 있다. 갭은 특히 또는 대체적으로 UE(104)와 연관된 전력 전이 지연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갭은 기지국(들)(108)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정의되거나 또는 UE(104)에 의해 보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4)는 UE(104)의 능력을 보고할 수 있고, 기지국(들)(108)은 그에 따라 갭을 구성할 수 있다.
PUCCH 리소스에 대해 공간 관계 구성들이 제공되는 실시 형태들에 대한 제2 옵션에서, PUCCH 공간 관계 구성들 중 하나의 PUCCH 공간 관계 구성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두 홉들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PUCCH 반복들(404, 408) 둘 모두는 그들이 상이한 빔들에 의해 송신되더라도 동일한 전력으로 동일한 TRP로 송신될 수 있다. 전력 제어는 송신 기회마다(예를 들어, 홉마다) 여전히 수행될 수 있다. 홉들에 적용될 PUCCH 공간 관계 구성은 미리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저 또는 최고 ID를 갖는 PUCCH 공간 관계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홉들에 적용될 PUCCH 공간 관계 구성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를 사용하여 기지국(들)(108)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PUCCH 리소스에 대해 공간 관계 구성들이 제공되는 실시 형태들에 대한 제3 옵션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가 두 홉들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RRC, MAC CE, 또는 DCI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는 공간 관계에서 임의의 PC 파라미터들을 오버라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에서) PUCCH 리소스에 대해 공간 관계 구성들이 제공되지 않는 실시 형태들에 대한 제1 옵션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상이한 세트들이 각각의 홉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상이한 세트들은 서브옵션 1-3과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PUCCH 리소스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PC 파라미터 세트들의 제1 세트는 PUCCH 반복(404)을 갖는 제1 홉에 적용될 수 있고, PC 파라미터 세트들의 제2 세트는 PUCCH 반복(408)을 갖는 제2 홉에 적용될 수 있다.
2개 초과의 홉들이 지원되는 경우, 홉 맵핑에 대한 PC 파라미터 세트는 반복 맵핑에 대한 PC 파라미터 세트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트-홉 맵핑(set-to-hop mapping)은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DCI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세트-홉 맵핑은 도 2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유사한 순환 맵핑 또는 순차적 맵핑에 기초할 수 있다.
홉마다 전력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갭은 UE(104)의 전력 전이 지연을 수용하기 위해 기지국(들)(108)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갭은 전력 전이를 수용하기 위해 원하는 갭 크기를 요청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나타내는 UE 보고에 기초할 수 있다.
PUCCH 리소스에 대해 공간 관계 구성들이 제공되지 않는 실시 형태들에 대한 제2 옵션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가 복수의 홉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홉들은, 예를 들어, PUCCH 반복(404)을 갖는 제1 홉 및 PUCCH 반복(408)을 갖는 제2 홉을 포함한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는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DCI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제3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CI 내의 TPC 커맨드는 대응하는 전력 제어 프로세스로 반복들을 갖는 PUCCH에 적용될 수 있다. PUCCH 반복들은 동일한 폐루프 PC 프로세스 또는 상이한 폐루프 PC 프로세스들에 기초할 수 있다.
PUCCH 반복들이 동일한 폐루프 PC 프로세스에 기초하는 경우, TPC 커맨드는 구성된 폐루프 PC 프로세스에 대한 모든 PUCCH 반복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추가 확장안으로서, 반복들을 갖는 PUCCH 리소스에 대해 공통 폐루프 PC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PUCCH 반복들이 상이한 폐루프 PC 프로세스들에 대응하는 경우, 적어도 4개의 옵션들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들에 대한 논의를 위해, PUCCH 반복 1이 제1 폐루프 인덱스를 갖는 PC 파라미터 세트와 연관되고; PUCCH 반복 2가 제2 폐루프 인덱스를 갖는 PC 파라미터 세트와 연관되는 일례를 고려한다.
제1 옵션에서, TPC 커맨드는 폐루프 PC 프로세스들 중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TPC 커맨드가 적용될 수 있는 폐루프 PC 프로세스는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DCI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된 TPC 커맨드가 제2 폐루프 인덱스를 갖는 폐루프 PC 프로세스와 연관되는 경우, UE(104)는 TPC 커맨드에 의해 표시된 전력 제어 인자를 PUCCH 반복 2에 적용할 수 있다.
제2 옵션에서, TPC 커맨드는 동일한 표시된 값으로 폐루프 PC 프로세스들 둘 모두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UE(104)는 TPC 커맨드에 의해 표시된 전력 제어 인자를 PUCCH 반복들 1 및 2에 적용할 수 있다.
제3 옵션에서, TPC 커맨드의 표시는,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MAC CE는 각각의 TPC 커맨드에 대한 폐루프 PC 인자(들)에 대해 적용된 폐루프 PC 프로세스(들) 또는 값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비트 TPC 커맨드에 대해, MAC CE는 4개의 상태들, 예를 들어 {0 dB, 0 dB}, {1 dB, 3 dB}, {3 dB, 3 dB}, 및 {-1 dB, 0 dB}에 대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값들의 쌍 내의 제1 값은 제1 폐루프 PC 프로세스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값들의 쌍 내의 제2 값은 제2 폐루프 PC 프로세스에 대응할 수 있다. MAC CE에 의해 구성된 이러한 4개의 상태들은 TPC 커맨드들 0, 1, 2, 및 3에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들)(108)이 '1'의 TPC 커맨드를 송신하는 경우, UE(104)는 제1 폐루프 PC 프로세스와 연관된 제1 PUCCH 반복에 대해 1 dB 조정을 적용할 수 있고, 제2 폐루프 PC 프로세스와 연관된 제2 PUCCH 반복에 대해 3 dB 조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MAC CE는 교차 서빙 셀 구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CE는 제1 서빙 셀에서 수신될 수 있고, 제2 서빙 셀에서 TPC 커맨드들을 구성할 수 있다.
제4 옵션에서, TPC 커맨드 표시는 미리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TPC 커맨드 표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정의될 수 있다.
[표 1]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들)은 UE가 PUCCH 반복 1에 대해 1 dB 조정을 적용하고 PUCCH 반복 2에 대해 0 dB 조정을 적용할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예를 들어 2의 TPC 커맨드 값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예를 들어 표 1에 의해 미리정의된 TPC 커맨드 표시들은 제3 옵션과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같은 후속 MAC CE 구성에 의해 오버라이드될 수 있는 디폴트 값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제4 옵션에 대한 TPC 커맨드에 대해 추가적인 비트들이 추가될 수 있다. DCI 포맷이 그러한 TPC 커맨드를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RRC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500)를 도시한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500)는, 예를 들어 UE(104) 또는 UE(900)와 같은 UE; 또는 그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904A)에 의해 수행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500)는 504에서, FR1 통신에 대한 PC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C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PUCCH 리소스 구성들, 예를 들어, PUCCH-Resource IE들; 또는 하나 이상의 PUCCH 전력 제어 구성들, 예를 들어 PUCCH-PowerControl에서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PC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시그널링 계층들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 구성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DCI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형태들은 상이한 제어 신호들의 조합을 사용한 PC 구성 정보의 송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은 PC 파라미터들을 초기에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한편, MAC CE 또는 DCI는 구성된 PC 파라미터들 중 어느 것이 업링크 송신에 사용될지에 대해 더 상세한 명령어를 제공하거나 PC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C 구성 정보는 하나의 PUCCH 리소스 또는 PUCCH 리소스들의 그룹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PUCCH 리소스(들)는 PC 구성 정보가 송신되는 동일한 서빙 셀에, 또는 상이한 서빙 셀에 있을 수 있다.
PC 구성 정보는, 예를 들어 P0들, 경로 손실 RS들, 및 폐루프 인덱스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PC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하나 이상의 세트들 또는 서브세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PC 파라미터들은 P0 세트 및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복수의 PC 파라미터 세트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개별 PC 파라미터 세트들이 P0 세트들 및 경로 손실 RS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500)는, 508에서, PUCCH 송신의 제1 반복에 사용될 제1 PC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것, 및 512에서, PUCCH 송신의 제2 반복에 사용될 제2 PC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어느 PC 파라미터들이 상이한 반복들에 적용될지를 결정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 형태들 중 임의의 것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0 세트의 제1 P0이 제1 반복에 적용될 수 있는 한편, P0 세트의 제2 P0이 제2 반복에 적용될 수 있고; 제1 PC 파라미터 목록의 P0 세트의 제1 P0이 제1 반복에 적용될 수 있는 한편, 제2 PC 파라미터 목록의 P0 세트의 제1 P0이 제2 반복에 적용될 수 있고; 등등일 수 있다. 상이한 반복들에 적용될 경로 손실 RS는 또한 P0 값과 유사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하나 초과의 PC 파라미터 세트가 구성될 때, 개별 PC 파라미터들 세트들은 순환 또는 순차적 맵핑 패턴을 사용하여 개별 반복들에 맵핑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UCCH 반복들에 대한 PC 파라미터 세트들의 맵핑은 gNB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DCI)에 기초하거나 미리정의될 수 있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500)는 516에서, 제1 빔에 적용되는 제1 PC 파라미터들로 제1 반복을 송신하고 제2 빔에 적용되는 제2 PC 파라미터들로 제2 반복을 송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제1 반복은 제1 빔을 사용하여 제1 TRP로 송신될 수 있고, 제2 반복은 제2 빔을 사용하여 제2 TRP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들 각각에 적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은 송신의 신뢰성 및 효율 둘 모두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600)를 도시한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600)는, 예를 들어 UE(104) 또는 UE(900)와 같은 UE; 또는 그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904A)에 의해 수행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600)는 604에서, 하나의 슬롯 내의 PUCCH 리소스에 대한 복수의 홉들에서 송신될 UCI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연속적인 홉들 사이의 시간적인 갭은, 예를 들어 상이한 홉들에 대해 업링크 송신 전력이 상이한 경우에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전력 전이들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갭은 gNB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정의될 수 있다.
동일한 UCI가 슬롯의 복수의 홉들 각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내 빔 홉핑은 PUCCH 리소스에서 전달되는 UCI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공간 관계 구성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예를 들어, PUCCH 리소스가 FR2에 있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간 관계 구성들이 하나 이상의 PC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는, 공간 관계 구성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PUCCH 리소스가 FR1에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PUCCH 리소스마다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공간 관계 구성 정보가 제공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가 구성될 수 있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600)는 608에서, 제1 PC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제1 홉을 송신하는 것, 및 612에서, 제1 또는 제2 PC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제2 홉을 송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가 제공되는 경우, 제1 PC 파라미터들은 공통 세트로 간주될 수 있고, 제1 홉 및 제2 홉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C 파라미터들은 PUCCH 리소스에 대해 제공된 제1 및 제2 공간 관계 구성들에서 수신될 수 있다. UE는 공간 관계 구성들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PC 파라미터들(608 및 612에서 기술된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제1 및 제2 홉들 둘 모두에 적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공간 관계 구성에 의해 제공된 제1 PC 파라미터들을 제1 홉에 적용하고 제2 공간 관계 구성에 의해 제공된 제2 PC 파라미터들을 제2 홉에 적용할 수 있다.
공간 관계가 구성되지 않는 실시 형태들에서, UE는 반복들을 갖는 PUCCH 리소스에 대한 PC 파라미터들의 복수의 세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제1 PC 파라미터들은 PC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로부터의 것일 수 있고, 제2 PC 파라미터들은 PC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700)를 도시한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700)는, 예를 들어 기지국(들)(104) 또는 gNB(1000)와 같은 기지국; 또는 그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1004A)에 의해 수행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700)는 704에서, PUCCH 반복들을 스케줄링하고 TPC 커맨드들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DCI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하나의 DCI는 PUCCH 반복들을 스케줄링하고 TPC 커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제1 DCI는 PUCCH 반복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제2 DCI는 TPC 커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PUCCH 반복들은 하나 이상의 폐루프 PC 프로세스들과 연관될 수 있다. TPC 커맨드는 폐루프 PC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업링크 전력을 조정하라는 명령어일 수 있다. 복수의 반복들이 하나의 폐루프 PC 프로세스와 연관되는 경우, TPC 커맨드는 반복들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반복들이 폐루프 PC 프로세스들과 각각 연관되는 경우, TPC 커맨드는 프로세스들/반복들 중 하나에 대해 적용될 하나의 인자를 제공할 수 있거나; 프로세스들의 전부(또는 서브세트)에 적용될 하나의 인자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들/반복들에 각각 적용될 복수의 인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복수의 프로세스들/반복들에 각각 적용될 복수의 인자들을 제공하기 위해, TPC 커맨드는 폐루프 전력 제어 인자들에 대한 값들의 쌍들에 대응하는 구성된 코드포인트들을 참조하는 1-비트 또는 2-비트 커맨드일 수 있다. 대응성은, 예를 들어, 3GPP TS에 의해 미리정의될 수 있거나, 또는 RRC 또는 MAC CE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700)는 708에서, 하나 이상의 DCI를 UE로 송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DCI는 하나 이상의 TRP들로부터 PDCCH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동작 흐름/알고리즘 구조(700)는 712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 반복을 수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PUCCH 반복은 TPC 커맨드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 전력으로 UE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복수의 PUCCH 반복들이 하나 이상의 TRP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들은 상이한 빔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TRP들로 송신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빔포밍 회로부(800)를 도시한다. 빔포밍 회로부(800)는 제1 안테나 패널인 패널 1(1004), 및 제2 안테나 패널인 패널 2(80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패널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은 다른 수들의 안테나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digital beamforming, BF) 구성요소들(828)은, 예를 들어 도 12의 기저대역 프로세서(1204A)와 같은 기저대역 프로세서로부터 입력 기저대역(BB)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BF 구성요소들(828)은 BB 신호를 프리코딩하고 빔포밍된 BB 신호를 병렬 무선 주파수(RF) 체인들(820/1124)에 제공하기 위해 복소 가중치들에 의존할 수 있다.
각각의 RF 체인(820/824)은 BB 신호를 아날로그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에 믹싱하기 위한 믹서; 및 송신을 위해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RF 체인들(820/824)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PC 입력들을 수신하여, 상이한 빔들에 대한 업링크 송신 전력 제어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RF 신호는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위상 시프트들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빔포밍을 적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BF 구성요소들(812/816)에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RF 신호들은 송신을 위해 안테나 패널들(804/808)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여기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빔포밍 대신에, 빔포밍은 디지털 도메인에서만 또는 아날로그 도메인에서만 행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상주할 수 있는 제어 회로부는, 개개의 안테나 패널들에서 송신 빔을 제공하기 위해 BF 가중치들을 아날로그/디지털 BF 구성요소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BF 가중치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서빙 셀들의 지향성 프로비저닝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 회로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BF 구성요소들 및 안테나 패널들은 빔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는 동적 위상 어레이(dynamic phased-array)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UE(900)를 도시한다. UE(900)는 도 1의 UE(104)와 유사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그와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UE(900)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들, 컴퓨터들, 태블릿들, 산업용 무선 센서들(예를 들어, 마이크로폰들, 이산화탄소 센서들, 압력 센서들, 습도 센서들, 온도계들, 모션 센서들, 가속도계들, 레이저 스캐너들, 유체 레벨 센서들, 인벤토리 센서들, 전기 전압/전류 미터들, 액추에이터들 등), 비디오 감시/모니터링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카메라들, 비디오 카메라들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편안한 IoT 디바이스들과 같은 임의의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900)는 프로세서들(904), RF 인터페이스 회로부(908), 메모리/저장소(912), 사용자 인터페이스(916), 센서들(920), 드라이버 회로부(922),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924), 안테나 구조물(926) 및 배터리(928)를 포함할 수 있다. UE(900)의 구성요소들은 집적 회로(IC)들, 이들의 일부분들, 이산 전자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모듈들, 로직,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9의 블록도는 UE(9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의 하이-레벨 뷰를 도시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고,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상이한 배열이 다른 구현예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
UE(900)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또는 상이한 칩들 또는 칩셋들 상의) 다양한 회로 구성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유형의 인터페이스, 입력/출력, 버스(로컬, 시스템, 또는 확장), 송신 라인, 트레이스, 광학 접속부 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호접속부들(932)을 통해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들과 커플링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904)은,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부(BB)(904A), 중앙 프로세서 유닛 회로부(CPU)(904B), 및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 회로부(GPU)(904C)와 같은 프로세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904)은, UE(900)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메모리/저장소(912)로부터의 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기능 프로세스들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임의의 유형의 회로부 또는 프로세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부(904A)는 3GPP 호환가능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메모리/저장소(912) 내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936)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부(904A)는, PHY 계층, 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 SDAP 계층, 및 PDU 계층에서 사용자 평면 기능들을 수행하고, PHY 계층, 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 RRC 계층, 및 비-액세스 층 계층에서 제어 평면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HY 계층 동작들은 RF 인터페이스 회로부(908)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추가적으로/대안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 회로부(904A)는 3GPP-호환가능 네트워크들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기저대역 신호들 또는 파형들을 생성하거나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NR에 대한 파형들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OFDM(CP-OFDM) 및 업링크에서의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DFT-S-OFDM)에 기초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소(912)는 UE(900)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서들(904)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 스택(936))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소(912)는 또한, 다른 곳에서 기술된 업링크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에서 액세스될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소(912)는 UE(900)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메모리/저장소(912)의 일부는 프로세서들(904) 자체 상에 위치될 수 있는 반면(예를 들어, L1 및 L2 캐시), 다른 메모리/저장소(912)는 프로세서들(904) 외부에 있지만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들에 액세스가능하다. 메모리/저장소(912)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 디바이스 기술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RF 인터페이스 회로부(908)는 UE(900)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송수신기 회로부 및 무선 주파수 전방 모듈(RFEM)을 포함할 수 있다. RF 인터페이스 회로부(908)는 송신 또는 수신 경로들에 배열된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예를 들어 스위치들, 믹서들, 증폭기들, 필터들, 합성기 회로부, 제어 회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경로에서, RFEM은 안테나 구조물(926)을 통해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 방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저잡음 증폭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시키도록 진행할 수 있다. 신호는 프로세서들(904)의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로 RF 신호를 하향변환하는 송수신기의 수신기에 제공될 수 있다.
송신 경로에서, 송수신기의 송신기는 기저대역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상향변환하고 RF 신호를 RFEM에 제공한다. RFEM은 신호가 안테나(926)를 통해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방사되기 전에 전력 증폭기를 통해 RF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RF 인터페이스 회로부(908)는 NR 액세스 기술들과 호환가능한 방식으로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926)는 전기 신호들을 공기를 통해 이동하는 무선 파들로 변환하고 수신된 무선 파들을 전기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들에 배열될 수 있다. 안테나(926)는 빔포밍 및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방향성, 방향성, 또는 이들의 조합인 안테나 패널들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926)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들, 하나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들의 표면 상에 제조된 인쇄 안테나들, 패치 안테나들, 위상 어레이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926)는 FR1 또는 FR2의 대역들을 포함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들에 대해 설계된 하나 이상의 패널들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부(916)는 UE(90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입력/출력(I/O)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16)는 입력 디바이스 회로부 및 출력 디바이스 회로부를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 회로부는, 특히,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가상 버튼들(예를 들어, 리셋 버튼), 물리적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이크로폰들, 스캐너, 헤드셋 등을 포함하는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물리적 또는 가상 수단을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 회로부는 정보, 예컨대 센서 판독들, 액추에이터 포지션(들), 또는 다른 유사한 정보를 나타내거나 이와 달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물리적 또는 가상 수단을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 회로부는, 특히, 하나 이상의 간단한 시각적 출력부들/표시자들(예를 들어, 이진 상태 표시자들,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들 "LED들" 및 다문자 시각적 출력부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또는 터치스크린들(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들 "LCD들", LED 디스플레이들, 양자 점 디스플레이들, 프로젝터들 등)과 같은 더 복잡한 출력부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오디오 또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문자들, 그래픽들, 멀티미디어 객체들 등의 출력부는 UE(1100)의 동작으로부터 발생되거나 생성된다.
센서들(920)은 그의 환경에서 이벤트들 또는 변화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벤트들에 관한 정보(센서 데이터)를 일부 다른 디바이스, 모듈, 서브시스템 등으로 전송하는 것이 목적인 디바이스들, 모듈들, 또는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센서들의 예들은, 특히, 가속도계들, 자이로스코프들, 또는 자력계들을 포함하는 관성 측정 유닛들; 3-축 가속도계들, 3-축 자이로스코프들, 또는 자력계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들 또는 나노전자기계 시스템들; 레벨 센서들; 흐름 센서들; 온도 센서들(예를 들어, 서미스터(thermistor)들); 압력 센서들; 기압 센서들; 중력계들; 고도계들;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카메라들 또는 렌즈리스 애퍼처들); 광 검출 및 레인지 센서들 근접 센서들(예를 들어, 적외선 방사선 검출기 등); 심도 센서들; 주변 광 센서들; 초음파 송수신기들; 마이크로폰들 또는 다른 유사한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버 회로부(922)는 UE(900)에 임베딩되거나, UE(1100)에 부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UE(900)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특정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 회로부(922)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UE(900) 내에 존재하거나 그에 접속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출력(I/O)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거나 그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개별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회로부(92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 및 허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 및 허용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드라이버, 센서 회로부(920)의 센서 판독들을 획득하고 센서 회로부(920)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 및 허용하기 위한 센서 드라이버들, 전자 기계 구성요소들의 액추에이터 위치들을 획득하거나 전자 기계 구성요소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 및 허용하기 위한 드라이버들, 임베디드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 및 허용하기 위한 카메라 드라이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 및 허용하기 위한 오디오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PMIC(924)는 UE(9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제공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904)에 관련하여, PMIC(924)는 전원 선택, 전압 스케일링, 배터리 충전, 또는 DC-DC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MIC(924)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DRX를 포함하여 UE(900)의 다양한 전력 절약 메커니즘들을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달리 이들의 일부일 수 있다.
배터리(928)는 UE(9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지만, 일부 예들에서, UE(900)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고, 전기 그리드에 커플링된 전력 공급부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928)는 리튬 이온 배터리, 금속-공기 배터리, 예컨대, 아연-공기 배터리, 알루미늄-공기 배터리, 리튬-공기 배터리 등일 수 있다. 차량-기반 애플리케이션들에서와 같은 일부 구현예들에서, 배터리(928)는 전형적인 납산(lead-acid) 자동차 배터리일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gNB(1000)를 도시한다. gNB 노드(1000)는 도 1의 기지국(들)(108)과 유사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그와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gNB(1000)는 프로세서들(1004), RF 인터페이스 회로부(1008), 코어 네트워크("CN") 인터페이스 회로부(1012), 메모리/저장 회로부(1016), 및 안테나 구조물(1026)을 포함할 수 있다.
gNB(1000)의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상호접속부들(1028)을 통해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들과 커플링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004), RF 인터페이스 회로부(1008), 메모리/저장소 회로부(1016)(통신 프로토콜 스택(1010)을 포함함), 안테나 구조물(1026), 및 상호접속부들(1028)은 도 10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유사하게 명명된 요소들과 유사할 수 있다.
CN 인터페이스 회로부(1012)는 캐리어 이더넷 프로토콜들,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프로토콜과 같은 5세대 코어 네트워크("5GC")-호환가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5GC에 대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은 광섬유 또는 무선 백홀을 통해 gNB(1000)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CN 인터페이스 회로부(1012)는 전술된 프로토콜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용 프로세서들 또는 FPG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CN 인터페이스 회로부(1012)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들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gNB(1000)는 안테나 구조물(1026), CN 인터페이스 회로부,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 회로부를 사용하여 TRP들(102 또는 106)과 같은 TRP들과 커플링될 수 있다.
개인 식별가능 정보의 사용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정부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거나 초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따라야 하는 것이 잘 이해된다. 특히, 개인 식별가능 정보 데이터는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성들을 최소화하도록 관리되고 처리되어야 하며, 인가된 사용의 성질은 사용자들에게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 대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의 실시 형태 섹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 기법들, 프로세스들, 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저대역 회로부는 아래에 기재되는 실시 형태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기지국, 네트워크 요소 등과 연관된 회로부는 하기의 실시 형태 섹션에 기재되는 실시 형태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
다음의 섹션들에서,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이 제공된다.
실시예 1은 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며, 본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410 메가헤르츠(㎒) 내지 7125 ㎒의 주파수 범위 내의 통신에 대한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력 제어 구성 정보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송신의 제1 반복에 사용될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전력 제어 구성 정보로부터 PUCCH 송신의 제2 반복에 사용될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제1 빔에 적용되는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로 PUCCH 송신의 제1 반복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빔에 적용되는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로 PUCCH 송신의 제2 반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는 P0 세트 및 복수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RS)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P0 세트로부터의 제1 P0 및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로부터의 제1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고;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P0 세트로부터의 제2 P0 및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로부터의 제2 경로 손실 RS를 포함한다.
실시예 3은 실시예 1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는 제1 및 제2 P0 세트들 및 제1 및 제2 복수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RS)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제1 P0 세트로부터의 제1 P0 및 제1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로부터의 제1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고;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제2 P0 세트로부터의 제2 P0 및 제2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로부터의 제2 경로 손실 RS를 포함한다.
실시예 4는 실시예 1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이 PUCCH에 대해 인에이블됨을 검출하는 단계; PUCCH 송신의 제1 반복에 제1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단계; PUCCH 송신의 제2 반복에 제2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UE는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PUCCH 전력 제어 정보 요소(IE)에서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6은 실시예 1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는 적어도 2개의 전력 제어(PC) 파라미터 세트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방법은, 순환 맵핑 패턴 또는 순차적 맵핑 패턴에 기초하여 PUCCH 송신의 복수의 반복들에 적어도 2개의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맵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순환 맵핑 패턴은 연속적인 반복들에 맵핑된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고, 순차적 맵핑 패턴은 개별적인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연속적인 반복들에 맵핑시키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7은 실시예 1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에 의해 PUCCH 리소스의 구성으로서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8은 실시예 7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PUCCH 리소스 또는 PUCCH 리소스를 포함하는 PUCCH 리소스들의 그룹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MAC CE에 의해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9는 실시예 8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서빙 셀에서 MAC CE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MAC CE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서빙 셀 목록 내의 제2 서빙 셀 또는 복수의 서빙 셀들에 대한 PUCCH 리소스 또는 PUCCH 리소스들의 그룹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0은 실시예 7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초기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MAC CE에 의해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PUCCH 리소스 또는 PUCCH 리소스를 포함하는 PUCCH 리소스들의 그룹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1은 실시예 7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PUCCH 리소스는 제1 PUCCH 리소스이고, 본 방법은, 제1 및 제2 PUCCH 리소스 둘 모두의 구성으로서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PUCCH 리소스들 둘 모두에서 동일한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라는 명령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2는 실시예 7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들의 구성으로서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시그널링을 통해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의 표시를 추가로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3은 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방법은,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단계;
하나의 슬롯 내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대한 복수의 홉들에서 송신될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인코딩하는 단계;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복수의 홉들 중 제1 홉을 송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또는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복수의 홉들 중 제2 홉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4는 실시예 13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공간 관계 구성으로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공간 관계 구성으로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5는 실시예 13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이고, 본 방법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홉을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6은 실시예 13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 제어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 요소 시그널링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을 포함함 -; 및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제1 및 제2 홉 둘 모두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7은 실시예 13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410 메가헤르츠(㎒) 내지 7125 ㎒의 주파수 범위 내의 통신에 대한 것이고, 본 방법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로부터 제1 홉과 연관된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로부터 제2 홉과 연관된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8은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방법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송신의 복수의 반복들을 스케줄링하고 전력 제어(TPC) 커맨드를 포함하도록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생성하는 단계 - PUCCH 송신의 복수의 반복들은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과 연관되고, TPC 커맨드는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업링크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임 -; 하나 이상의 DCI를 사용자 장비(UE)로 송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반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9는 실시예 18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반복들은 하나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TPC 커맨드는 복수의 반복들 모두에 적용되어야 한다.
실시예 20은 실시예 18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은 제1 프로세스 및 제2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반복들 중 제1 반복은 제1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복수의 반복들 중 제2 반복은 제2 프로세스와 연관되며, 본 방법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TPC 커맨드를 제1 반복에 적용하기 위한 명령어를 UE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21은 실시예 18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은 제1 프로세스 및 제2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반복들 중 제1 반복은 제1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복수의 반복들 중 제2 반복은 제2 프로세스와 연관되며, TPC 커맨드는 제1 및 제2 반복들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공통 조정 값으로 조정할 것을 UE에게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22는 실시예 18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은 제1 프로세스 및 제2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반복들 중 제1 반복은 제1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복수의 반복들 중 제2 반복은 제2 프로세스와 연관되며, TPC 커맨드는 제1 반복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제1 조정 값으로 조정할 것 및 제2 반복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제2 조정 값으로 조정할 것을 UE에게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23은 실시예 22 또는 본 명세서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TPC 커맨드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정의된 복수의 전력 조정 쌍들 중 하나를 참조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24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된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5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명령어들은,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명령어들의 실행 시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된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수행하게 한다.
실시예 26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된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 모듈들, 또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7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분들 또는 부분들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방법, 기법,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8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방법, 기법들, 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한다.
실시예 29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0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되거나, 또는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기술된 바와 같은 데이터그램, 정보 요소, 패킷, 프레임, 세그먼트, PDU, 또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되거나, 또는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기술된 바와 같은 데이터로 인코딩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되거나, 또는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기술된 바와 같은 데이터그램, IE, 패킷, 프레임, 세그먼트, PDU, 또는 메시지로 인코딩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3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전달하는 전자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의 실행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방법, 기법들, 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한다.
실시예 34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세싱 요소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은, 프로세싱 요소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3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에서 기술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방법, 기법들, 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한다.
실시예 35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내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6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7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8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은, 달리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으면, 임의의 다른 실시예(또는 실시예들의 조합)와 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총망라하거나 또는 실시 형태들의 범주를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들 및 변형들이 위의 교시들을 고려하여 가능하거나 또는 다양한 실시 형태들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위의 실시 형태들이 상당히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일단 위의 개시내용이 충분히 인식되면, 많은 변형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망라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3)

  1. 명령어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하여금,
    기지국으로부터, 410 메가헤르츠(㎒) 내지 7125 ㎒의 주파수 범위 내의 통신에 대한 전력 제어(power control, PC)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송신의 제1 반복에 사용될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게 하고;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PUCCH 송신의 제2 반복에 사용될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게 하고;
    제1 빔에 적용되는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로 상기 PUCCH 송신의 제1 반복을 송신하게 하고;
    제2 빔에 적용되는 상기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로 상기 PUCCH 송신의 제2 반복을 송신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는 P0 세트 및 복수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P0 세트로부터의 제1 P0 및 상기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로부터의 제1 경로손실 RS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P0 세트로부터의 제2 P0 및 상기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로부터의 제2 경로손실 RS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는 제1 및 제2 P0 세트들 및 제1 및 제2 복수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1 P0 세트로부터의 제1 P0 및 상기 제1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로부터의 제1 경로손실 RS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2 P0 세트로부터의 제2 P0 및 상기 제2 복수의 경로 손실 RS들로부터의 제2 경로손실 RS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UE로 하여금,
    복수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이 PUCCH에 대해 인에이블됨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PUCCH 송신의 제1 반복에 제1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적용하게 하고;
    상기 PUCCH 송신의 제2 반복에 제2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적용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PUCCH 전력 제어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에서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는 적어도 2개의 전력 제어(PC) 파라미터 세트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UE로 하여금,
    순환 맵핑 패턴 또는 순차적 맵핑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PUCCH 송신의 복수의 반복들에 상기 적어도 2개의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맵핑시키게 하며, 상기 순환 맵핑 패턴은 연속적인 반복들에 맵핑된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순차적 맵핑 패턴은 개별적인 PC 파라미터 세트들을 연속적인 반복들에 맵핑시키기 위한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UE로 하여금,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의해 PUCCH 리소스의 구성으로서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PUCCH 리소스 또는 상기 PUCCH 리소스를 포함하는 PUCCH 리소스들의 그룹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MAC CE에 의해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제1 서빙 셀에서 상기 MAC CE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MAC CE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서빙 셀 목록 내의 제2 서빙 셀 또는 복수의 서빙 셀들에 대한 상기 PUCCH 리소스 또는 상기 PUCCH 리소스들의 그룹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초기 구성을 수신하고 MAC CE에 의해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PUCCH 리소스 또는 상기 PUCCH 리소스를 포함하는 PUCCH 리소스들의 그룹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리소스는 제1 PUCCH 리소스이고,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제1 및 제2 PUCCH 리소스 둘 모두의 구성으로서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제1 및 제2 PUCCH 리소스들 둘 모두에서 동일한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라는 명령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UE로 하여금,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들의 구성으로서 상기 전력 제어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고;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세트의 표시를 추가로 수신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3. 사용자 장비로서,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나의 슬롯 내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리소스에 대한 복수의 홉(hop)들에서 송신될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인코딩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홉들 중 제1 홉을 송신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또는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홉들 중 제2 홉을 송신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추가로, 제1 공간 관계 구성으로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그리고 제2 공간 관계 구성으로 상기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장비.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이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추가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공통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홉을 송신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장비.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추가로,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 상기 제어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 요소 시그널링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을 포함함 -; 그리고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홉 둘 모두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장비.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410 메가헤르츠(㎒) 내지 7125 ㎒의 주파수 범위 내의 통신에 대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추가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로부터 상기 제1 홉과 연관된 상기 제1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그리고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로부터 상기 제2 홉과 연관된 상기 제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것인, 사용자 장비.
  18.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송신의 복수의 반복들을 스케줄링하고 전력 제어(power control, TPC) 커맨드를 포함하도록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PUCCH 송신의 복수의 반복들은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과 연관되고, 상기 TPC 커맨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업링크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임 -;
    상기 하나 이상의 DCI를 사용자 장비(UE)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반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은 하나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상기 TPC 커맨드는 상기 복수의 반복들 모두에 적용되어야 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은 제1 프로세스 및 제2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복들 중 제1 반복은 상기 제1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상기 복수의 반복들 중 제2 반복은 상기 제2 프로세스와 연관되며, 상기 방법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TPC 커맨드를 상기 제1 반복에 적용하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UE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은 제1 프로세스 및 제2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복들 중 제1 반복은 상기 제1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상기 복수의 반복들 중 제2 반복은 상기 제2 프로세스와 연관되며, 상기 TPC 커맨드는 상기 제1 및 제2 반복들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공통 조정 값으로 조정할 것을 상기 UE에게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방법.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은 제1 프로세스 및 제2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복들 중 제1 반복은 상기 제1 프로세스와 연관되고, 상기 복수의 반복들 중 제2 반복은 상기 제2 프로세스와 연관되며, 상기 TPC 커맨드는 상기 제1 반복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제1 조정 값으로 조정할 것 및 상기 제2 반복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제2 조정 값으로 조정할 것을 상기 UE에게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방법.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PC 커맨드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정의된 복수의 전력 조정 쌍들 중 하나를 참조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22638A 2021-01-08 2021-01-08 물리적 업링크 채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링크전력 제어 Pending KR20230113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070809 WO2022147751A1 (en) 2021-01-08 2021-01-08 Uplink power control to enhance physical uplink channel reli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624A true KR20230113624A (ko) 2023-07-31

Family

ID=8235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638A Pending KR20230113624A (ko) 2021-01-08 2021-01-08 물리적 업링크 채널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링크전력 제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97691A1 (ko)
EP (1) EP4256713A4 (ko)
JP (1) JP2024507052A (ko)
KR (1) KR20230113624A (ko)
CN (1) CN116746072A (ko)
WO (1) WO2022147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4161A (zh) * 2021-05-11 2023-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多trp操作中的上行链路传输的tpc命令值的增强指示的方法和系统
US11968632B2 (en) * 2021-12-01 2024-04-2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daptation
US20230309021A1 (en) * 2022-03-01 2023-09-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flexible configuration of power control paramet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7386B2 (en) * 2013-11-13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 and data channels for coverage enhancements
WO2016182320A1 (en) * 2015-05-10 2016-1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repetition level fo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64914B2 (en) * 2016-05-09 2023-09-19 Qualcomm Incorporated Numerology dependent signal transmission
WO2018205435A1 (zh) * 2017-05-10 2018-1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相关设备
US10425900B2 (en) * 2017-05-15 2019-09-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control
US10602453B2 (en) * 2017-10-20 2020-03-24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in wireless systems
EP4319035A3 (en) * 2017-11-17 2024-03-06 Lenovo (Singapore) Pte. Ltd. Power control configuration for uplink transmissions
US10708866B2 (en) * 2018-04-05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ing of contro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712368B1 (ko) * 2018-05-24 2024-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
US11350416B2 (en) * 2018-07-20 2022-05-31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 configuration
WO2020250403A1 (ja) * 2019-06-13 2020-12-17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0255401A1 (ja) * 2019-06-21 2020-12-2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A3098575A1 (en) * 2019-11-07 2021-05-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ransmission repeti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7751A1 (en) 2022-07-14
EP4256713A1 (en) 2023-10-11
CN116746072A (zh) 2023-09-12
US20230097691A1 (en) 2023-03-30
JP2024507052A (ja) 2024-02-16
EP4256713A4 (en) 202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648753B2 (ja) 物理アップリンク共有チャネル信頼性向上のための位相追跡基準信号送信
WO2023004646A1 (en) Uplink codeword to layer mapping and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ing
US12156226B2 (e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WO2022147751A1 (en) Uplink power control to enhance physical uplink channel reliability
WO2022073209A1 (en) Rate matching for inter-cell multiple transmit-receive point operation
WO2024049689A1 (en) Technologies for beam management using a hybrid beamforming architecture
WO2023044826A1 (en) User equipment aggregation for uplink communications
US11943024B2 (en) Beamforming scheme switching
WO2022151232A1 (en) Ongoing transmission protection and interference management
WO2024168659A1 (e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for multi-transmit-receive point coherent joint transmission
US20240284539A1 (en) Technologies for unifi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for multiple transmit-receive point operation
WO2024031675A1 (e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spatial-domain multiplex based simultaneous uplink transmissions
US12041464B2 (en) Uplink spatial relation switch delay
WO2024229809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based on multiple csi sub-configurations
EP4515785A1 (en) Non-codebook-based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s
WO2024063946A1 (en) Technologies for precoding matrix with phase calibration error compensation
WO2023211640A1 (en) Codebook-based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s
WO2024172964A1 (en) Technologies for associating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s with uplink and downlink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