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13126A - Management analysis apparatus of industrial furance - Google Patents

Management analysis apparatus of industrial fur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126A
KR20230113126A KR1020220110813A KR20220110813A KR20230113126A KR 20230113126 A KR20230113126 A KR 20230113126A KR 1020220110813 A KR1020220110813 A KR 1020220110813A KR 20220110813 A KR20220110813 A KR 20220110813A KR 20230113126 A KR20230113126 A KR 20230113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dustrial furnace
measurement logging
cutout
generation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스케 다카마
후미카 다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쓰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쓰세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쓰세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11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12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3Monitoring the temperature or a characteristic of the charg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Work related to verifying the operation of an industrial furnace should be automated as much as possible to be performed simply. A management analysis device for an industrial furnace (200) comprises: a measurement logging data creation part sequentially receiving sensor data as data from a sensor measuring the conditions of an industrial furnace (100) to create measurement logging data arranged with the value of the sensor data in time-series; an extracted data creation part creating extracted data as data obtained by extracting a part subjected to prescribed treatment in the industrial furnace (100) from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and a difference data calculation part comparing the two extracted data in which treatment conditions are mutually matched to calculate differential data showing the degree of difference.

Description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MANAGEMENT ANALYSIS APPARATUS OF INDUSTRIAL FURANCE}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alysis device {MANAGEMENT ANALYSIS APPARATUS OF INDUSTRIAL FURANCE}

본 발명은, 노 (爐) 내에 수용한 피처리물에 대하여, 탈지, 소결 등의 각종 처리를 실시하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or the like that performs various treatments such as degreasing and sintering on an object to be treated stored in a furnace.

종래, 특허문헌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업로에서는 소결, 반소결, 소성, 탈지, 납땜, 메탈라이즈, ??칭, 용체화 처리, 템퍼링, 어닐링 등의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Patent Document 1, processes such as sintering, semi-sintering, firing, degreasing, soldering, metallization, quenching, solution treatment, tempering, and annealing have been performed in industrial furnaces.

그 처리 동안, 공업로의 동작 상태를, 각종 센서, 예를 들어 제어 열전쌍, 히터 전력, 진공계 등으로 계측하고, 그 값을 로깅하고 있다. 이 로깅의 목적 중 하나는, 어느 처리에서의 처리물에 이상이 확인되었을 경우의 원인 추구를 위해서이다.During the proces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dustrial furnace is measured by various sensors such as a control thermocouple, heater power, vacuum gauge, and the like, and the values are logged. One of the purposes of this logging is to pursue the cause when an abnormality is confirmed in a process object in a certain process.

그런데, 기록된 로깅 데이터 (이하, 계측 로깅 데이터라고도 한다.) 를 확인할 때, 과거의 정상적인 처리 기록과 비교 검증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다음의 것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By the way, when checking recorded logging data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order to compare and verify the past normal processing recor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following, for example.

(1) 연속해서 기록되고 있는 계측 로깅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편집하고, 각 처리를 실시한 일자와 시간으로 잘라낸다.(1) Manually edit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that is being recorded continuously, and cut it out by the date and time when each process was performed.

(2) 잘라낸 데이터에 대해 표계산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비교를 실시하고, 이상 지점을 특정한다.(2) Comparison is performed using table calculation software or the like for the cut out data, and an abnormal point is identifi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7305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17305

그러나, 수작업으로 계측 로깅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은, 비교 대상이 많을수록 번잡한 작업이며 작업자의 부담이 된다. 또, 수치적인 처리 때문에 시각적으로 알기 힘들다.However, manually editing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is a cumbersome task and a burden on the operator as the number of comparison objects increas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visually because of numerical processing.

본 발명은, 이들 작업을 자동화하여 비교 검증을 간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소기 과제로 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or the like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workers by automating these operations and enabling simple comparison and verification.

즉, 본 발명에 관련된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는, 공업로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차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차분 데이터 산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the industrial furnace, and generate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the values of th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 logging data generator and a cutout data generator that generates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an industrial furnace, from measurement logging data, and two cutout data whose processing conditions match each other. Compare , and a difference dat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degree of the difference.

이와 같은 것이면, 종래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혹은 별도 표계산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한 계측 로깅 데이터의 체크나 비교가 불필요해져, 작업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효율화를 촉진할 수 있다. 로깅 데이터의 잘라내기가 배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In such a case, conventional manual work or checking and comparison of measurement and logging data using separate table calculation software or the like becomes unnecessary, and work ti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efficiency can be promoted. Cut-out of logging data can be performed just by selecting batch data, reducing work tim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업 처리 시스템의 전체 모식도이다.
도 2 는, 동 (同)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레시피의 일례를 나타내는 데이터 설명도이다.
도 3 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 예에 있어서의 온도와 압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분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 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분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6 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계측 로깅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데이터 설명도이다.
도 7 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분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 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치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데이터 설명도이다.
도 9 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분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 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 데이터 비교 기능에 의한 출력 표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표시도이다.
도 11 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분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 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多)데이터 특징값 비교 기능에 의한 출력 표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표시도이다.
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n industrial processing syste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ata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ing recipe in the same embodiment.
3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emperature and pressure in a series of processing examples in the same embodiment.
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management analysis device in the embodiment.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analysis device in the embodiment.
6 is a data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easurement logging data in the embodiment.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analysis device in the embodiment.
8 is a data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data in the embodiment.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analysis device in the embodiment.
Fig. 10 is a screen displa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utput display by a two-data comparison function in the embodiment.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analysis device in the embodiment.
Fig. 12 is a screen display diagram showing an output display example by a multi-data characteristic value comparison function in the sam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리 분석 장치 (20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업로 (100) 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며, 공업로 (100) 와 함께 공업 처리 시스템 (A) 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 the management analysis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dustrial furnace 100 and constitutes the industrial processing system A together with the industrial furnace 100 .

그래서, 이 관리 분석 장치 (200) 의 설명에 앞서, 우선 공업로 (100) 부터 간단하게 설명한다.Therefore,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is management analysis device 200, first, the industrial furnace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이 공업로 (100) 는, 예를 들어, 피처리물 (W) 에 대하여 탈지 처리, 소결 처리 등의 공업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며, 압력 용기 (1) 와, 이 압력 용기 (1) 의 내부에 배치된 케이싱 형상을 이루는 단열재 (2) 와, 이 단열재 (2) 의 내부에 배치된 타이트 박스 (3) 와, 단열재 (2) 내를 승온하는 히터 (4) 와, 압력 용기 (1) 내의 가스를 교반하는 가스 교반 기구 (5) 와, 압력 용기 (1) 및 타이트 박스 (3)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기구 (6) 와, 압력 용기 (1) 및 타이트 박스 (3) 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 기구 (7) 와, 상기 각 부의 상태를 센싱하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와, 탈지·소결 등 처리를 위해서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8) 를 구비하고 있다.This industrial furnace 100 performs, for example, industrial processing such as degreasing treatment and sintering treatment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W, and the pressure vessel 1 and the inside of the pressure vessel 1 A heat insulating material (2) constituting the arranged casing shape, a tight box (3) disposed insid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a heater (4) for heating the in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and a gas in the pressure vessel (1) a gas stirring mechanism 5 for agitating the gas, a gas supply mechanism 6 for supplying gas into the pressure container 1 and the tight box 3, and discharging gas from the pressure container 1 and the tight box 3 and a gas discharge mechanism 7 for controlling, a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state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parts, and a control device 8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parts for processing such as degreasing and sintering.

이하에 각 부를 상세히 서술한다.Each part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압력 용기 (1) 는, 예를 들어 원통상을 이루는 용기 본체 (11) 와 이 용기 본체 (11) 의 양단에 설치된 용기 뚜껑 (12) 을 구비한 밀폐 가능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압력 용기 (1) 의 벽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용기 냉각 기구 (9) 가 설치되어 있다.The pressure vessel 1 can be hermetically sealed, including, for example, a cylindrical vessel body 11 and vessel lids 1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vessel body 11 . In this embodiment, a container cooling mechanism 9 for cooling the wall of the pressure container 1 is provided.

이 용기 냉각 기구 (9) 는, 벽체의 내부에 형성한 냉매 유통로 (91) 와, 이 냉매 유통로 (91) 내에 냉각용 냉매 (여기서는 물 등의 액체이다.) 를 유통시키는 냉매 회로 (92) 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 유통로 (91) 는, 벽체를 내벽 및 외벽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로 하여, 이 내외벽면에 형성한 것이다. 냉매 회로 (92) 는, 냉매 유통로 (91) 에 형성된 냉매 유입구에 일단이 접속된 냉매 공급관 (921) 과, 이 냉매 공급관 (921) 의 타단에 토출구가 접속되어 냉매를 압송하는 냉매용 펌프 (922) 와, 냉매 유통로 (91) 에 형성된 냉매 유출구에 일단이 접속된 냉매 유출관 (923) 을 구비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냉매 유출관 (923) 의 타단을 냉매용 펌프 (922) 의 흡입구에 접속하여 냉매가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순환 과정에서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매 유출관 (923) (또는 냉매 공급관 (921)) 상에는 핀 등을 가진 방열체 (924) 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냉매 공급관 (921) 상에는, 냉매의 유통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925)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냉매 회로는, 순환식이 아니라, 항상 새로운 냉매를 냉매 유통로에 보내주는 방류식의 것이어도 상관없다.This container cooling mechanism 9 has a refrigerant passage 91 formed inside the wall, and a refrigerant circuit 92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or cooling (here, liquid such as water)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91. ) is composed of The refrigerant passage 91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wall surfaces of the wall to have a double structure consisting of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The refrigerant circuit 92 includes a refrigerant supply pipe 92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refrigerant inlet formed in a refrigerant flow passage 91 and a refrigerant pump having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frigerant supply pipe 921 to pump refrigerant ( 922) and a refrigerant outlet pipe 92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refrigerant outlet formed in the refrigerant flow path 91. In this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refrigerant outflow pipe 923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refrigerant pump 922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In addition, in order to cool the refrigerant in the circulation process, a radiator 924 having a fin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refrigerant outlet pipe 923 (or the refrigerant supply pipe 921), and on the refrigerant supply pipe 921, A valve 925 for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is provided. In addition, this refrigerant circuit may be of a discharge type that constantly sends fresh refrigerant to the refrigerant flow path, rather than a circulation type.

단열재 (2) 는, 예를 들어, 통상 (筒狀) 을 이루는 단열재 본체 (21) 와 그 양단에 설치된 단열재 뚜껑 (22) 을 구비한 케이싱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그라파이트 펠트나 그라파이트 포일 등의 내열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열재 뚜껑 (22) 은, 도시되지 않은 개폐 기구에 의해 압력 용기 (1) 의 외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is,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casing including a cylindrical heat insulating material main body 21 and heat insulating material lids 22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nd is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such as graphite felt or graphite foil. It consists of This heat insulating lid 2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outside of the pressure container 1 by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not shown.

타이트 박스 (3) 는, 피처리물 (W) 을 수용하는 밀폐 가능한 것이며, 단열재 (2)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타이트 박스 (3) 는, 그라파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통상을 이루는 타이트 박스 본체 (31) 와 그 양단에 형성된 타이트 박스 뚜껑 (32) 을 구비한 것이다. 이 타이트 박스 뚜껑 (32) 은, 도시되지 않은 개폐 기구에 의해 압력 용기 (1) 의 외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ight box 3 can be hermetically accommodating the object W to be processed, and is disposed insid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 More specifically, this tight box 3 is composed of graphite or the like, and is provided with a tight box main body 31 forming a cylinder and tight box lids 32 formed on both ends thereof. This tight box lid 32 is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outside of the pressure vessel 1 by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not shown.

상기 히터 (4) 는, 전류를 흘림으로써 발열하는,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제 로드형의 것이며, 단열재 (2) 내로서 타이트 박스 (3)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복수가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heater 4 is, for example, rod-shaped, made of graphite, which generates heat by passing an electric current, and a plurality of heaters 4 are intermittently arranged insid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tight box 3 .

가스 교반 기구 (5) 는, 압력 용기 (1) 내에 배치된 팬 (51) 과, 이 팬 (51) 을 구동하는 팬 모터 (52) 를 구비한 것이며, 팬 (51) 의 회전에 의해, 압력 용기 (1) 내의 가스를 교반하고, 강제 냉각이나 균등 가열 시에 사용된다.The gas agitation mechanism 5 includes a fan 51 disposed in the pressure container 1 and a fan motor 52 that drives the fan 51, and rotation of the fan 51 generates pressure. It stirs the gas in the container 1 and is used for forced cooling or equal heating.

가스 공급 기구 (6) 는, 질소, 아르곤, 수소, 일산화탄소, 헬륨, 메탄 등을 저장, 생성 또는 그 양방을 실시하는 가스원 (61) 과, 이 가스원 (61) 을 압력 용기 (1) 에 접속하는 제 1 가스 공급관 (62) 과, 이 가스원 (61) 을 타이트 박스 (3) 에 접속하는 제 2 가스 공급관 (63) 과, 각 가스 공급관 (62, 63) 에 각각 형성된 개폐 밸브 (64, 65) 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개폐 밸브 (64, 65) 의 개폐에 의해, 압력 용기 (1) 및 타이트 박스 (3) 에 대한 가스 공급 및 가스 공급 정지를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단열재 (2) 는 완전히 기밀하게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압력 용기 (1) 에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단열재 (2) 내에도 가스가 도입된다.The gas supply mechanism 6 includes a gas source 61 for storing, generating, or both of nitrogen, argon, hydrogen, carbon monoxide, helium, methane, and the like, and the gas source 61 in a pressure vessel 1 A first gas supply pipe 62 to connect, a second gas supply pipe 63 to connect the gas source 61 to the tight box 3, and an on-off valve 64 formed on each of the gas supply pipes 62 and 63, respectively , 65). And it is comprised so that gas supply and gas supply stoppage to the pressure container 1 and the tight box 3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by opening and closing these on-off valves 64 and 65. Since this heat insulating material 2 is not completely airtight, gas is introduce|transduced also in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by introducing gas into the pressure vessel 1.

또한, 가스원 (61) 을 복수 설치하여, 복수 종의 가스를 압력 용기 (1) 및 타이트 박스 (3) 에 도입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단열재 (2) 에 가스 공급관을 접속하고, 단열재 (2) 로부터 압력 용기 (1) 에 가스가 도입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as sources 61 may b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types of gas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container 1 and the tight box 3, or a gas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 into the pressure vessel 1.

가스 배출 기구 (7) 는, 배기 펌프 (71) 와, 압력 용기 (1)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서, 배기 펌프 (71) 의 흡입구에 압력 용기 (1) 를 접속하는 제 1 가스 배출관 (72) 과, 타이트 박스 (3)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서, 배기 펌프 (71) 의 흡입구에 타이트 박스 (3) 를 접속하는 제 2 가스 배출관 (74) 과, 각 가스 배출관 (72, 73) 에 각각 형성된 개폐 밸브 (74, 75) 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개폐 밸브 (74, 75) 의 개폐에 의해, 압력 용기 (1) 및 타이트 박스 (3) 로부터의 가스 배출 및 가스 배출 정지를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열재 (2) 는 완전히 기밀하게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압력 용기 (1) 로부터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단열재 (2) 내로부터도 가스가 배출된다. 또한, 도 1 중, 부호 76 및 77 은, 제 2 배출관 (74) 상에 설치된 왁스류 탱크 및 왁스 트랩이다.The gas discharge mechanism 7 includes an exhaust pump 71 and a first gas discharge pipe 72 connecting the pressure vessel 1 to the suction port of the exhaust pump 71 to discharge the gas in the pressure vessel 1. and a second gas discharge pipe 74 connecting the tight box 3 to the inlet of the exhaust pump 71 to discharge the gas inside the tight box 3, and a gas discharge pipe 72, 73,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on-off valves 74 and 75. And it is comprised so that gas discharge|emission from the pressure container 1 and the tight box 3 and gas discharge stop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by opening and closing these on-off valves 74 and 75. Sin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is not completely airtight, gas is discharged also from the insid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by discharging gas from the pressure vessel 1. In Fig. 1, reference numerals 76 and 77 denote a wax tank and a wax trap provided on the second discharge pipe 74.

센서 (도시되지 않음) 로는,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전류 센서 (전압 센서), 유량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업로 (100) 의 각처의 동작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the sensors (not shown), a pressur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current sensor (voltage sensor), a flow rate sensor, and the like are provided, and the operating state of each part of the industrial furnace 100 can be detected.

압력 센서는, 압력 용기 (1) 내, 타이트 박스 (3) 내, 배기 펌프 (71) 의 흡기구 근방 등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소요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The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at a required point so as to be able to detect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ontainer 1, in the tight box 3, in the vicinity of the intake port of the exhaust pump 71, and the like.

온도 센서는, 압력 용기 (1) 내, 단열재 (2), 냉매 등의 각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소요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Temperature sensors are installed at required points so as to be able to detect respective temperatures of the inside of the pressure container 1,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the refrigerant, and the like.

전류 센서 (전압 센서) 는, 히터 (4), 각 펌프 (71, 922), 각 밸브 (64, 65, 74, 75, 925), 팬 모터 (52) 등의 동작 전류 (및 전압) 나 전력을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소요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The current sensor (voltage sensor) measures the operating current (and voltage) or power of the heater 4, each pump 71, 922, each valve 64, 65, 74, 75, 925, and the fan motor 52. It is installed at the required point so that each can be detected.

상기 제어 장치 (8) 는, 예를 들어 PLC 를 사용한 것이며, CPU, 메모리, 송수신 포트 등을 구비한 컴퓨터의 1 종이다. 그리고, 수신 포트에서는, 상기 각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 포트로부터는, 히터 (4), 펌프 (71, 922), 밸브 (64, 65, 74, 75, 925), 팬 모터 (52) 등으로의 구동 신호를 송신하여, 미리 정해진 레시피에 따른 탈지·소결 등 처리가 실시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다.The said control device 8 uses PLC, for example, and is one type of computer provided with CPU, memory, a transmission/reception port, etc. Then, the receiving port receives the sensor data from the respective sensors, and the heater 4, the pumps 71 and 922, the valves 64, 65, 74, 75, and 925, and the fan motor ( 52), etc., to control each part so that processing such as degreasing and sinter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cipe is performed.

레시피란, 압력 및 온도의 시간 변화, 가스 도입 및 배출 타이밍 등과 같은 처리 조건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여기서는 기본적으로는 승온부터 냉각까지의 1 배치에 적용된다. 레시피의 일례를 도 2 에 나타낸다.A recipe is data representing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gas introduction and discharge timing, etc. Here, it is basically applied to one batch from temperature rise to cooling. An example of the recipe is shown in FIG. 2 .

이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레시피가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기억시켜 있어, 사용자는 각 레시피에 첨부된 레시피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cipes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emory, and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recipe by inputting a recipe number attached to each recipe.

다음으로, 레시피에 기초하는 각 부의 동작을, 특히 압력과 온도에 주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3 은, 이 레시피에 따른 압력과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Next, the operation of each part based on the recip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pressure and temperature. 3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pressure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is recipe.

먼저, 피처리물 (W) 을 타이트 박스 (3) 내에 배치한다. 여기서의 피처리물 (W) 은, 예를 들어, 금속 분말에 바인더를 혼련하고, 사출 성형한 이른바 그린체라고 불리는 것이다.First, the object W to be processed is placed in the tight box 3 . The object W to be processed here is, for example, a so-called green body obtained by kneading metal powder with a binder and injection molding.

그리고, 각 뚜껑을 닫은 후, 사용자가 레시피를 선택하여 스타트 지시를 하면, 제어 장치 (8) 는, 레시피에 따라서, 배기 펌프 (71) 를 동작시킴과 함께 밸브 (74, 75) 를 열어, 타이트 박스 (3) 내 및 압력 용기 (1) (단열재 (2) 도 포함한다) 내를 초기 진공 배기한다.Then, after closing each lid, when the user selects a recipe and gives a start instruction, the controller 8 operates the exhaust pump 71 according to the recipe and opens the valves 74 and 75, The inside of the box 3 and the inside of the pressure vessel 1 (includ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are initially evacuated.

이와 함께, 제어 장치 (8) 는 히터 (4) 에 통전하고, 압력 용기 (1) 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control device 8 energizes the heater 4 and rais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ressure vessel 1 .

제어 장치 (8) 는, 상기 각 센서로부터의 출력 데이터 (센서 데이터) 를 수신하고 있고, 그 중의 압력 용기 (1) 내의 검출 온도 (또는, 단열재 (2) 의 검출 온도) 가, 레시피에 나타내는 소정 온도에 이르면, 탈지 처리를 개시한다.The control device 8 receives the output data (sensor data) from each of the sensors, and the detected temperature in the pressure vessel 1 (or the detected temperatur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among them is determined by the recipe. When the temperature is reached, the degreasing treatment is started.

이 탈지 처리는, 예를 들어, 제 1 공정 ∼ 제 3 공정으로 이루어진다.This degreasing process consists of a 1st process - a 3rd process, for example.

제 1 공정에서는, 제어 장치 (8) 는, 레시피가 나타내는 설정 기간만큼, 상기 압력 용기 내 검출 온도가 레시피가 나타내는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히터 (4) 에 대한 공급 전력을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당해 일정 시간, 제어 장치 (8) 는, 타이트 박스 (3) 내 및 압력 용기 (1) 내의 검출 압력이, 레시피가 나타내는 설정 압력이 되도록, 가스 도입 밸브 (64, 65) 와 배기 밸브 (74, 75) 의 개도를 제어하여, 탈지 가스를 도입하면서 피처리물 (W) 로부터 발생하는 분해 가스를 배기한다.In the first step, the control device 8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4 so that the detected temperature in the pressure container i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indicated by the recipe for only the set period indicated by the recipe. At the same ti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 device 8 controls the gas introduction valves 64 and 65 and the exhaust valve so that the detected pressures in the tight box 3 and in the pressure container 1 become the set pressure indicated by the recipe. The opening of 74 and 75 is controlled to exhaust decomposition gas generated from the object W while introducing degreasing gas.

제 2 공정에서는, 제어 장치 (8) 는, 압력 용기 내 검출 온도를 레시피가 나타내는 다음의 설정 온도로까지 올리기 위해서, 히터 (4) 에 대한 공급 전력을 제어한다.In the second step, the control device 8 controls the supply power to the heater 4 in order to raise the detected temperature in the pressure container to the next set temperature indicated by the recipe.

제 3 공정에서는, 레시피가 나타내는 설정 기간만큼, 타이트 박스 (3) 내 및 압력 용기 (1) 내의 검출 압력이, 레시피가 나타내는 낮은 설정 압력이 되도록, 가스 도입 밸브 (64, 65) 를 닫고, 배기 밸브 (74, 75) 를 열어 탈가스한다. 이 동안, 제어 장치 (8) 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In the third step, the gas introduction valves 64 and 65 are closed and exhausted so that the detected pressures in the tight box 3 and in the pressure container 1 become the low set pressure indicated by the recipe for only the set period indicated by the recipe. The valves 74 and 75 are opened to degas. During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8 keeps the temperature constant.

다음으로, 제어 장치 (8) 는 소결 처리를 개시한다.Next, the control device 8 starts the sintering process.

이 소결 처리는, 예를 들어,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으로 이루어진다.This sintering process consists of a 1st process and a 2nd process, for example.

제 1 공정에서는, 제어 장치 (8) 는, 레시피가 나타내는 설정 온도로까지 압력 용기 내 검출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히터 (4) 에 대한 공급 전력을 제어한다.In the first step, the control device 8 controls the supply power to the heater 4 in order to raise the detected temperature in the pressure container to the set temperature indicated by the recipe.

제 2 공정에서는, 그 설정 온도가 레시피가 나타내는 설정 기간만큼 유지되도록, 히터 (4) 에 대한 공급 전력을 제어한다.In the second process, the supply power to the heater 4 is controlled so that the set temperature is maintained for only the set period indicated by the recipe.

이들 각 공정 동안, 제어 장치 (8) 는, 배기 밸브 (74, 75) 의 개도를 제어하여 검출 압력이 레시피가 나타내는 설정 압력이 되도록 제어한다.During each of these steps, the control device 8 controls the opening of the exhaust valves 74 and 75 so that the detected pressure becomes the set pressure indicated by the recipe.

이와 같이 하여 소결 공정이 종료되면, 제어 장치 (8) 는 냉각 공정을 개시한다.When the sintering process ends in this way, the control device 8 starts the cooling process.

이 냉각 공정에서는, 제어 장치 (8) 는, 히터 (4) 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한편, 팬 (51) 을 동작시키고, 피처리물 (W) 의 냉각을 기다린다.In this cooling step, the control device 8 stops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heater 4, operates the fan 51, and waits for the object W to be cooled.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공업 처리 시스템 (A)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 (8) 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관리 분석 장치 (20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industrial processing system A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management analysis device 200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8 by wire or wirelessly.

이 관리 분석 장치 (200) 는, CPU,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구성된 이른바 컴퓨터이며,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에 따라서 각 부가 협동함으로써,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 배치 데이터 생성부, 절출 데이터 생성부, 차분 데이터 산출부, 특징값 산출부, 출력부 등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이 관리 분석 장치 (200) 는, 물리적으로 일체물일 필요는 없고, 여기서는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로 구성되어 있다.This management analysis device 200 is a so-called computer composed of a CPU, memory, communication interface, etc., and each unit cooperates according to a program (software) stored in the memory, as shown in FIG. 4, a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Functions as an arrangement data generating unit, a cutout data generating unit, a difference data calculating unit, a feature value calculating unit, an output unit, and the like are exhibited. In addition, this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200 does not have to be a physically integral body, and here it is composed of a server and a client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wirelessly or by wire.

이하에서는, 상기 각 부의 기능 설명을 겸하여, 이 관리 분석 장치 (200)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is management analysis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concurrently with the explanation of the function of each unit described above.

먼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소정의 샘플링 타임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30 초마다) 제어 장치 (8) 로부터 취득하고 (스텝 S11, S12), 이들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고, 또한 각 센서 데이터에는 수신한 시각 정보가 부여된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텝 S13). 이 계측 로깅 데이터는, 예를 들어, 1 일을 단위로 하여 차례차례 생성되고 (스텝 S14),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계측 로깅 데이터 격납부에 격납된다 (스텝 S15). 계측 로깅 데이터의 일례를 도 6 에 나타낸다.First, as shown in FIG. 5 ,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acquir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each of the sensors, from the control device 8 at predetermined sampling times (here, for example, every 30 seconds) (step S11, S12), the values of thes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nd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received time information is added to each sensor data is generated (step S13). This measurement logging data is sequentially generated on a daily basis, for example (step S14), and is stored in a measurement logging data storage unit se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emory (step S15). An example of measurement logging data is shown in FIG. 6 .

또한, 각 센서 데이터는, 관리 장치를 개재하지 않고, 각 센서를 IoT 화 하는 등 하여, 이들로부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직접 수신하도록 해도 상관없다.In addition, each sensor data may be directly received from these via a network by making each sensor into IoT, etc., without intervening a management apparatus.

그 한편으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제어 장치 (8) 로부터 레시피와 그 레시피가 실시된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스텝 S21), 이들에 기초하여, 처리마다 그 처리 조건과 시각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인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텝 S22).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the batch data generation unit receives a recipe and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recipe was executed from the control device 8 (step S21), and based on these,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cess. Arrangement data, which is data including data and time information, is generated (step S22).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배치 데이터 생성부는, 레시피로부터 1 개의 처리 (예를 들어 탈지 처리) 를 추출하고, 그 처리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뿐만 아니라, 당해 처리에 포함되는 각 공정 (청구항에서 말하는 구간) 에서의 처리 조건과 개시 및 종료 시각을 각각 특정하여, 이들을 나타내는 배치 데이터 (도 8 참조) 를 생성한다. 여기서의 처리 조건이란, 레시피에 나타낸 처리 내용을 말하며, 설정 온도나 설정 압력, 가스종 등을 말한다.More specifically, this batch data generation unit extracts one process (for example, degreasing process) from a recipe, and not only the start time and end time of that process, but also each process included in the process (as defined in the claims). processing conditions and start and end times in each section) are specified, and batch data representing them (see FIG. 8) is generated. The processing conditions herein refer to the processing content indicated in the recipe, and refers to a set temperature, a set pressure, a gas type, and the like.

그리고, 배치 데이터 생성부는, 생성한 배치 데이터를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설정된 배치 데이터 격납부에 격납한다.Then, the batch data generation unit stores the generated batch data in a batch data storage unit se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emory.

또한, 이들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 계측 로깅 데이터 격납부, 배치 데이터 생성부 및 배치 데이터 격납부는, 상기 서버에 형성되어 있다.Further, these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ng units, measurement logging data storage units, batch data generating units, and batch data storage units are provided in the server.

<2 데이터 비교 기능><2 data comparison function>

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2 데이터 비교의 요청 입력을 하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클라이언트 단말은, 검증하고자 하는 처리의 지정 입력을 재촉한다 (스텝 S31).In this state, when the user makes a request input for comparing the two data from the client terminal, as shown in Fig. 9, the client terminal prompts for a designation input of the process to be verified (step S31).

그래서, 사용자가, 예를 들어 문제가 발생한 피처리물 (W) 에 대하여 이루어진 처리를, 그 처리 시각이나 처리종 (탈지 처리, 소결 처리 등), 레시피 번호 등에 의해 특정하여 입력하거나, 혹은 상기 배치 데이터를 지정하거나 하면, 절출 데이터 생성부가, 지정된 처리에 대응하는 배치 데이터를 배치 데이터 격납부로부터 추출한다 (스텝 S32).Therefore, the user specifies and inputs the processing performed on the problematic object W, for example, by the processing time, type of processing (degreasing processing, sintering processing, etc.), recipe number, or the like, or the batch processing described above. When data is designated, the cutout data generation unit extracts the batch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process from the batch data storage unit (step S32).

그리고, 절출 데이터 생성부는, 그 배치 데이터에 기록되어 있는 처리의 개시 시각으로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사이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를, 계측 로깅 데이터 격납부로부터 추출하고 (스텝 S32), 그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상기 개시 시각으로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사이의 데이터를 잘라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텝 S33).Then, the cutting data generation unit extracts measurement logging data including data from the start time to the end time of the processing recorded in the batch data from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storage unit (step S32), and the measurement logging Cutout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the data from the start time to the end time is generated from the data (step S33).

또한 절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배치 데이터에 기록되어 있는 처리 조건과 동일한 처리 조건을 갖는 다른 배치 데이터를, 처리종이나 레시피 번호 등을 기초로 검색하여 추출하고 (스텝 S34), 그 추출한 다른 배치 데이터에 의해, 상기와 동일하게 계측 로깅 데이터를 추출한다 (스텝 S35).Further, the cutting data generation unit searches for and extracts other batch data having the same processing conditions as the processing conditions recorded in the batch data based on the type of processing, recipe number, etc. (step S34), and the extracted other batch data , measurement logging data is extract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step S35).

그리고, 이 계측 로깅 데이터를 다른 배치 데이터에 의해 잘라내고, 비교 기준이 되는 절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텝 S36).And this measurement logging data is cut out with other batch data, and cut-out data serving as a comparison standard are generated (step S36).

다음으로, 차분 데이터 추출부가, 이들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차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산출한다 (스텝 S37).Next, the difference data extraction unit compares these two pieces of cut data and calculates difference data indicating the degree of the difference (step S37).

여기서의 「차이의 정도」 란, 예를 들어, 2 개의 절출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샘플링 타임에서의 소정의 센서 데이터 (예를 들어 히터 전력) 의 값의 차의 절대값이다. 그 밖에, 일련의 복수의 샘플링 타임의 평균 차의 절대값, 제곱 평균의 차, 그래프화했을 경우의 각 절출 데이터가 형성하는 면적의 차 등, 통계적인 각종 비교 수법에 의한 차이를 이용할 수 있다.The "degree of difference" here is, for example,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predetermined sensor data (for example, heater power) at each sampling time in two cut-out data. In addition, differences by various statistical comparison techniques, such as absolute values of average differences of a series of a plurality of sampling times, differences in square averages, and differences in areas formed by each cutout data when graphed, can be used.

다음으로, 출력부가,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 가능하게 출력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은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범위를, 그렇지 않은 다른 범위와는 구별 가능하게 출력한다 (스텝 S38). 또한, 임계값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설정, 변경 등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Next, the output unit outputs the two cutout data so that comparison is possible, and outputs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data exceeding the predetermined threshold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ranges that are not otherwise (step S38). In addition, the threshold value can be set, changed, etc. by the user from the client terminal.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출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어느 1 개의 센서 데이터 (예를 들어 히터 전력) 에 대한 비교가 요청되면, 이 센서 데이터에 대한 상기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좌표 상에 그래프화하여 겹쳐서 표시함과 함께, 차분 데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은 공정에 대응하는 구간을 하이라이트 표시한다.Specifically, when a user requests comparison of one sensor data (for example, heater power), the output unit converts the two cut-out data for the sensor dat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 It is graphed and displayed overlapping on the same coordinates, and a section corresponding to a process in which the difference data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highlighted.

이상이 2 데이터 비교 기능이다.The above is the two-data comparison function.

그리고,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해, 예를 들어 소결 공정에 있어서 품질이 나쁜 배치 (처리) 가 발생했을 경우에, 동일한 레시피로 열 처리한 과거의 배치와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어, 그 상이점을 신속하게 추출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된다.And with such a function, for example, when a batch (treatment) of poor quality occurs in the sintering process, it can be easily compared with past batches heat treated with the same recipe, and the differences are quickly extracted. so that it can be verified.

또한, 2 데이터 비교를, 처리 단위가 아니라, 보다 작은 단위, 예를 들어 공정 단위로 실시해도 되고, 보다 큰 단위, 예를 들어, 1 개의 처리 대상물에 실시되는 일련 처리 (예를 들어 탈지·소결·냉각 처리) 를 단위로 해도 된다.In addition, the two data comparison may be performed not in a processing unit but in a smaller unit, for example, a process unit, or a larger unit, for example, a series of treatments performed on one object to be treated (eg, degreasing/sintering). Cooling treatment) may be used as a unit.

또, 차분 데이터의 값을 그래프와 함께 동일 화면에 표시해도 상관없다.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value of the difference data together with the graph on the same screen.

절출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지 않고 수치표로 2 개로 나누어, 비교 가능하도록 동일 화면 상에서 나타낼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the cut data into two as a numerical table without making a graph and display them on the same screen so that they can be compared.

하나의 공정 내에 임계값을 넘은 데이터가 있었을 경우에, 그 공정 전부를 하이라이트 표시해도 상관없다.When there is data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in one process, it is okay to highlight all of the process.

또한 예를 들어 그래프에서 하이라이트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는 등의 선택 조작을 함으로써, 그 부분의 각 절출 데이터의 수치를 표 형식으로 표시하는 등 해도 상관없다.Further, for example, by performing a selection operation such as clicking on a highlighted portion in a graph, the values of each cutout data of that portion may be displayed in tabular form.

그 밖에, 임계값을 넘은 공정을 구별할 수 있는 양태이면, 그래프, 표 등, 어떠한 형식으로 출력해도 상관없다.In addition, as long as it is an aspect in which a process exceeding a threshold value can be distinguished, it may be output in any format such as a graph or a table.

또, 동일한 공업로에서의 처리 비교가 아니라, 다른 (예를 들어 동 (同) 성능의) 공업로에서의 처리와 비교해도 상관없다.Moreover, it does not matter even if it compares not the process comparison in the same industrial furnace, but a comparison with the process in another (for example, the same performance) industrial furnace.

<다데이터 특징값 비교 기능><Multi-data feature value comparison function>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다데이터 특징값 비교의 요청 입력이 이루어지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클라이언트 단말은, 비교하고자 하는 처리, 그 처리에 있어서의 공정, 처리 조건 등의 지정 입력을 재촉한다 (스텝 S41).On the other hand, when a request input for multi-data feature value comparison is made from the client terminal, as shown in Fig. 11, the client terminal prompts for designation input such as the process to be compared, the process in the process, and the process conditions. (step S41).

그래서, 사용자가, 원하는 처리와 공정, 처리 조건 등을 레시피 번호 등도 포함하여 지정 입력하면, 절출 데이터 생성부는, 그 지정된 조건에 합치하는 배치 데이터를 배치 데이터 격납부로부터 복수 추출하고 (스텝 S42), 지정된 공정을 배치 데이터마다 화면에 일람 표시한다 (스텝 S43).Therefore, when the user designates and inputs the desired processing, process, processing conditions, etc., including the recipe number, etc., the cut data generation unit extracts a plurality of batch data meeting the specified conditions from the batch data storage unit (step S42), The designated process is listed on the screen for each batch data (step S43).

다음으로, 사용자가, 이들 공정으로부터 원하는 것을 복수 선택하면, 절출 데이터 생성부가, 각 배치 데이터에 기록되어 있는 당해 공정의 개시 시각으로부터 종료 시각까지 사이의 계측 로깅 데이터를 잘라낸 절출 데이터를 각각 생성한다 (스텝 S44).Next, when the user selects a plurality of desired items from these processes, the cut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cut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between the star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process recorded in each batch data ( Step S44).

다음으로, 특징값 산출부가, 각 절출 데이터의 특징값을 산출한다 (스텝 S45). 특징값으로는, 「공정 개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데이터의 값」, 「공정 개시부터 소정 시간 전의 데이터의 값」, 「공정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최대값또는 최소값」, 「공정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평균값」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feature valu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feature values of each cut-out data (step S45). As the characteristic value, "data value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process", "data valu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process", "maximum or minimum value of data in the process", "data value in the process Average value” and the like, and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mong them.

다음으로 출력부가, 각 절출 데이터의 특징값을,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의 화면 상에 시계열로 그래프 표시하는 등, 비교 가능하게 출력한다 (스텝 S46).Next, as shown in Fig. 12, the output unit outputs the characteristic value of each cutout data so that comparison is possible, such as displaying a graph in time series on the screen of the client terminal (step S46).

이상이 다데이터 특징값 비교 기능이다.The above is the multi-data feature value comparison functio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처리를 종단하여 「동일한 패턴, 동일한 공정」 「온도 1800 ℃ 에서 킵 30 분 이상」 등의 특정 조건에 합치하는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only data meeting specific conditions such as "same pattern, same process" and "keep at 1800°C for 30 minutes or longer" can be extracted by terminating the processing.

또한, 축적된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동일 처리 조건에서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데이터의 특징값을 산출하여 플롯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경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업로 (100) 의 소모나 부품 열화의 상관성이 높은 항목을 확인하거나,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는 데이터가 없는지를 검증하거나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data under the same processing conditions can be extracted from the accumulated measurement logging data, and feature values of each data can be calculated and plotted, long-term trends can be easily grasp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firm items highly correlated with wear and tear of the industrial furnace 100 or deterioration of parts, or to verify that there is no extremely deviated data.

또한, 다데이터 특징값 비교를, 공정 단위가 아니라, 예를 들어 처리 단위로 실시해도 되고, 보다 큰 단위, 예를 들어, 1 개의 처리 대상물에 실시되는 일련 처리 (예를 들어 탈지·소결·냉각 처리) 를 단위로 실시해도 상관없다.In addition, the multi-data feature value comparison may be performed not in a process unit but in a processing unit, for example, and a series of treatments performed on a larger unit, for example, one object to be treated (eg, degreasing/sintering/cool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in units.

또, 각 특징값을 그래프에 수치로 표시해도 상관없고, 각 특징값을 표 형식으로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does not matter if each feature value is displayed numerically on a graph, and each feature value can be displayed on the same screen in the form of a table.

각 특징값은 시계열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다른 (예를 들어 동 성능의) 공업로에서의 처리와 비교하여 표시하는 등 해도 상관없다.Each characteristic value may be displayed not only in time series, but also in comparison with processing in other industrial furnaces (for example, of the same performance).

상기 서술한 관리 분석 장치 (200) 의 특징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또한, 이 특징에서 서술하는 「처리」 란, 처리 대상물에 실시되는 각종 공업 처리를 가리키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공정」, 「일련 처리」, 그 밖의 소정 단위의 처리 어느 것에도 상당한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analysis device 200 described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addition, the "process" described in this feature refers to various industrial processes performed on the object to be treated, and any of the "processes", "processes", "series of processes", and other predetermined unit processes in the above embodiment is also considerable

(1) 이 관리 분석 장치 (200) 는, 공업로 (100) 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 (100) 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차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차분 데이터 산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1) This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200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the industrial furnace 100, and generates measurement and logging data in which the values of this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or, a cutout data generator that generates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the industrial furnace 100, from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and two cutouts whose processing conditions match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fference data calculation unit that compares the data and calculates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degree of the difference.

이와 같은 것이면, 종래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혹은 별도 표계산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한 계측 로깅 데이터의 체크나 비교가 불필요해져, 작업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효율화를 촉진할 수 있다.In such a case, conventional manual work or checking and comparison of measurement and logging data using separate table calculation software or the like becomes unnecessary, and work ti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efficiency can be promoted.

(2) 절출 데이터 생성부가, 하나의 절출 데이터의 지정을 접수하고, 그 처리 조건에 합치하는 다른 절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면, 비교해야 할 절출 데이터가 자동으로 추출되므로, 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2) If the cutting data generation unit receives the designation of one cutting data and extracts other cutting data that meets the processing conditions, the cutting data to be compared is automatically extracted, so work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 will be

(3) 처리마다 그 처리 조건과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한 데이터인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배치 데이터 생성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절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배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사이의 계측 로깅 데이터를 잘라내어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Further comprising a batch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batch data, which is data including processing conditions and start and end times for each process, wherein the cutout data generator comprises a It is preferable to truncate metrology logging data to generate cutout data.

이와 같은 것이면, 처리 조건의 지정을 배치 데이터에 의해 실시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such a case, processing conditions can be specified by batch data, and usability can be improved.

(4) 배치 생성부는, 1 개의 처리에 있어서의 소정의 각 구간 (전술한 공정에 상당한다.) 에서의 처리 조건과 개시 및 종료 시각을 각각 특정하여, 이들을 나타내는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차분 데이터 산출부는, 2 개의 절출 데이터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구간마다의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면, 보다 적합하다.(4) The batch generation unit specifies processing conditions and start and end times in each predetermine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cess) in one process, respectively, generates batch data representing these, and difference data The calculation unit is more suitable if it calculates difference data for each corresponding section in the two cut-out data.

이와 같은 것이면, 처리를 더욱 분할한 구간 단위에서의 비교를 실시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검증이 가능해진다.In such a case, comparison can be performed in units of sections in which the processing is further divided, and more precise verification is possible.

(5) 비교를 보다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 가능하게 출력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은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간을 다른 구간과는 구별 가능하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5) In order to make the comparison easier to underst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two cutout data in a comparable manner and outputting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data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a distinguishable manner from other sections is additionally provided. It is desirable to have.

(6) 출력부는, 상기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동일 좌표 상에 겹쳐서 그래프 표시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은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간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6)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utput unit displays a graph of the two cutout data superimposed on the same coordinates and highlights a sec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ce data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7) 공업로 (100) 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 (100) 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복수의 절출 데이터의 각각에 소정의 연산을 실시하여, 각 절출 데이터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특징값 산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공업로 (100) 의 관리 분석 장치 (200) 이면, 동일 처리 조건으로 다수의 데이터의 특징값이 자동적으로 산출되므로, 예를 들어, 이들을 시계열로 출력함으로써, 장기적인 경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7) A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that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the industrial furnace 100, and generate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the values of th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nd measurement logging From the data, a cutout data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the industrial furnace 100, and a plurality of cutout data whose processing condi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Predetermined calculation is performed Therefore, if the management analysis device 200 of the industrial furnace 100 is provided with a feature valu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feature values of each cutout data, feature values of a plurality of data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under the same processing conditions. For example, long-term trends can be easily grasped by outputting them in time series.

(8)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절출 데이터의 특징값을 비교 가능하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8)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feature value of each of the above cut-out data so that comparison is possible.

(9)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9) The same effect can be exhibited even with the following configuration.

공업로 (100) 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 (100) 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차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차분 데이터 산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분석 장치용 프로그램.From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that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the industrial furnace 100, and generate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the values of th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nd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A cut-out data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the industrial furnace 100, and a difference between two cut-out data whose processing conditions match each other, and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difference A program for a management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xhibits a function as a difference dat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data.

(10)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10) The same effect can be exhibited even with the following configuration.

공업로 (100) 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 (100) 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복수의 절출 데이터의 각각에 소정의 연산을 실시하여, 각 절출 데이터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특징값 산출부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분석 장치용 프로그램.From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that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the industrial furnace 100, and generate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the values of th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nd the measurement logging data, A cut-out data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the industrial furnace 100,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each of a plurality of cut-out data whose processing condi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A program for a management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xhibits a function as a feature valu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feature values of cut-out data.

200 : 관리 분석 장치
100 : 공업로
200: management analysis device
100: industrial furnace

Claims (10)

공업로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차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차분 데이터 산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A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that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the industrial furnace, and generate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the values of th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 cut-out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an industrial furnace, from measurement logging data;
An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fference data calculation unit that compares two pieces of cutout data whose processing conditions match each other and calculates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degree of the difference.
제 1 항에 있어서,
절출 데이터 생성부는, 하나의 절출 데이터의 지정을 접수하고, 그 처리 조건에 합치하는 다른 절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utting-out data generation unit receives designation of one cut-out data and extracts other cut-out data meeting the processing cond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처리마다 그 처리 조건과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한 데이터인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배치 데이터 생성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절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배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사이의 계측 로깅 데이터를 잘라내어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tch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batch data, which is data including process conditions, start time and end time for each process;
The cutting data generating unit cuts measurement logging data between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indicated by the batch data to generate cutout data.
제 3 항에 있어서,
배치 데이터 생성부는, 1 개의 처리에 있어서의 소정의 각 구간에서의 처리 조건과 개시 및 종료 시각을 각각 특정하여, 이들을 나타내는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차분 데이터 산출부는, 2 개의 절출 데이터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구간마다의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batch data generation unit specifies processing conditions and start and end times in each predetermined section in one process, respectively, and generates batch data representing these;
The difference data calculation unit calculates difference data for each corresponding section in two cut-out data.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 가능하게 출력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은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간을 다른 구간과는 구별 가능하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wo cutout data in a comparable manner and outputting a sec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ce data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a distinguishable manner from other sections.
제 5 항에 있어서,
출력부는, 상기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동일 좌표 상에 겹쳐서 그래프 표시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은 차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간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output unit displays a graph of the two cutout data superimposed on the same coordinates, and highlights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data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공업로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복수의 절출 데이터의 각각에 소정의 연산을 실시하여, 각 절출 데이터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특징값 산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a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that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an industrial furnace, and generate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values of th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 cutout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an industrial furnace, from measurement logging data;
An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eature value calculation unit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each of a plurality of cut-out data whose processing conditions match each other and calculates a feature value of each cut-out dat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절출 데이터의 특징값을 비교 가능하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respective cutting data in a comparable manner.
공업로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2 개의 절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차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차분 데이터 산출부로서의 기능을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에 발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that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an industrial furnace, and generate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values of th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 cutout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an industrial furnace, from measurement logging data;
A program stored in a medium characterized by causing an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to exhibit a function as a difference data calculation unit that compares two cutout data whose processing conditions match each other and calculates difference data indicating the degree of the difference.
공업로의 상태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축차 접수하고, 이 센서 데이터의 값을 시계열로 늘어놓은 계측 로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 로깅 데이터 생성부와,
계측 로깅 데이터로부터, 공업로에서의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부분을 잘라낸 데이터인 절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출 데이터 생성부와,
처리 조건이 서로 합치하는 복수의 절출 데이터의 각각에 소정의 연산을 실시하여, 각 절출 데이터의 특징값을 산출하는 특징값 산출부로서의 기능을 공업로의 관리 분석 장치에 발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 measurement logging data generation unit that sequentially receives sensor data, which is data from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an industrial furnace, and generates measurement logging data in which values of the sensor data are arranged in time series;
a cutout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cutout data, which is data obtained by cutting out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process has been performed in an industrial furnace, from measurement logging data;
A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an industrial furnace management and analysis device exhibits a function as a feature value calculation unit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each of a plurality of cut-out data whose processing conditions match each other and calculates a feature value of each cut-out data. Programs stored in .
KR1020220110813A 2022-01-21 2022-09-01 Management analysis apparatus of industrial furance Pending KR2023011312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08189A JP2023107084A (en) 2022-01-21 2022-01-21 Control analyzer of industrial furnace
JPJP-P-2022-008189 2022-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126A true KR20230113126A (en) 2023-07-28

Family

ID=8742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813A Pending KR20230113126A (en) 2022-01-21 2022-09-01 Management analysis apparatus of industrial furan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3107084A (en)
KR (1) KR2023011312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56890A (en) * 2024-09-26 2024-10-29 一夫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anti-b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phosphogypsum calcining furn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7305A (en) 1998-06-30 2000-01-18 Shimazu Mekutemu Kk Degreasing sintering furn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7305A (en) 1998-06-30 2000-01-18 Shimazu Mekutemu Kk Degreasing sintering furn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56890A (en) * 2024-09-26 2024-10-29 一夫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anti-b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phosphogypsum calcining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07084A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13126A (en) Management analysis apparatus of industrial furance
CN114403694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steam generator, steam cooking appliance and medium
US202500283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intermediate data to improve system control and diagnostics
US20120010761A1 (en) Overheat detection system
KR20130111388A (en) Heat treatment system, heat treat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50038020A1 (e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gas delivery system
US869416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vacuum pumps in an industrial furnace complex
JP7556658B2 (en) Industrial Furnace
US20220291035A1 (en) Aggregation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JP3229042U (en) Industrial furnace
JP7514420B2 (en) Industrial Furnace
CN113853448B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CVD reactor under production conditions
CN119944411B (en) Laser refrigerating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control equipment and laser system
CN110857842A (en) Heat treatment furnace and oxidation test method
JPH10125447A (en) Electric furnace temperature control device
Vering et al. Optimal designed experiments for reliable model calibration of a fixed-speed scroll compressor with R410A and R32
JP6790229B2 (en) Operation method of hydrogen handling equipment and hydrogen handling equipment
EP4491873A1 (en) Cryopump system, cryopump monitoring method, and cryopump monitoring program
JP7240172B2 (en) Carburizing Equipment and Burnout Completion Judgment Method for Carburizing Equipment
US202203694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on shrink fitting
CN118758076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for silicon carbide high temperature purification furnace
Herring Vacuum Process Instrumentation and Controls
JP2022141006A (en) Nitriding furnace and nitriding method
JP6335128B2 (en) Heat treatment system, heat treatment method, and program
CN115505909A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