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800A -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와 연동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와 연동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9800A KR20230109800A KR1020220005050A KR20220005050A KR20230109800A KR 20230109800 A KR20230109800 A KR 20230109800A KR 1020220005050 A KR1020220005050 A KR 1020220005050A KR 20220005050 A KR20220005050 A KR 20220005050A KR 20230109800 A KR20230109800 A KR 202301098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substance
- user
- usage information
- information
- inha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00955 prescription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ZTGXAWYVTLUPDT-UHFFFAOYSA-N cannabidiol Natural products OC1=CC(CCCCC)=CC(O)=C1C1C(C(C)=C)CC=C(C)C1 ZTGXAWYVTLUPD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71 electronic cigaret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30003827 cannabi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57 cannabino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UVOLYTDXHDXWJU-UHFFFAOYSA-N Cannabichromene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OC2=CC(CCCCC)=CC(O)=C21 UVOLYTDXHDXWJ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VOLYTDXHDXWJU-NRFANRHFSA-N Cannabichromene Natural products C1=C[C@](C)(CCC=C(C)C)OC2=CC(CCCCC)=CC(O)=C21 UVOLYTDXHDXWJU-NRFANRHFSA-N 0.000 description 2
- WVOLTBSCXRRQFR-SJORKVTESA-N Cannabidiolic acid Natural products OC1=C(C(O)=O)C(CCCCC)=CC(O)=C1[C@@H]1[C@@H](C(C)=C)CCC(C)=C1 WVOLTBSCXRRQFR-SJORKVTESA-N 0.000 description 2
- REOZWEGFPHTFEI-JKSUJKDBSA-N Cannabidivarin Chemical compound OC1=CC(CCC)=CC(O)=C1[C@H]1[C@H](C(C)=C)CCC(C)=C1 REOZWEGFPHTFEI-JKSUJKDBSA-N 0.000 description 2
- VBGLYOIFKLUMQG-UHFFFAOYSA-N Cannabinol Chemical compound C1=C(C)C=C2C3=C(O)C=C(CCCCC)C=C3OC(C)(C)C2=C1 VBGLYOIFKLUM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RKZJYDOERTGKY-UHFFFAOYSA-N Dihydrocannabichromen Natural products C1CC(C)(CCC=C(C)C)OC2=CC(CCCCC)=CC(O)=C21 ORKZJYDOERTG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HMBSVQNZZTUGM-UHFFFAOYSA-N Trans-Cannabidiol Natural products OC1=CC(CCCCC)=CC(O)=C1C1C(C(C)=C)CCC(C)=C1 QHMBSVQNZZTU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HMBSVQNZZTUGM-ZWKOTPCHSA-N cannabidiol Chemical compound OC1=CC(CCCCC)=CC(O)=C1[C@H]1[C@H](C(C)=C)CCC(C)=C1 QHMBSVQNZZTUGM-ZWKOTPCHSA-N 0.000 description 2
- 229950011318 cannabidiol Drugs 0.000 description 2
- WVOLTBSCXRRQFR-DLBZAZTESA-N cannabidi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C(O)=O)C(CCCCC)=CC(O)=C1[C@H]1[C@H](C(C)=C)CCC(C)=C1 WVOLTBSCXRRQFR-DLBZAZTESA-N 0.000 description 2
- REOZWEGFPHTFEI-UHFFFAOYSA-N cannabidivarine Natural products OC1=CC(CCC)=CC(O)=C1C1C(C(C)=C)CCC(C)=C1 REOZWEGFPHTF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XACEHWTBCFNSA-SFQUDFHCSA-N cannabigerol Chemical compound CCCCCC1=CC(O)=C(C\C=C(/C)CCC=C(C)C)C(O)=C1 QXACEHWTBCFNSA-SFQUDFHCSA-N 0.000 description 2
- QXACEHWTBCFNSA-UHFFFAOYSA-N cannabigerol Natural products CCCCCC1=CC(O)=C(CC=C(C)CCC=C(C)C)C(O)=C1 QXACEHWTBCFN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53 cannabin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CXRACLQFPRCBB-ZWKOTPCHSA-N dihydrocannabidiol Natural products OC1=CC(CCCCC)=CC(O)=C1[C@H]1[C@H](C(C)C)CCC(C)=C1 PCXRACLQFPRCBB-ZWKOTPCH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67 med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21 medic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20 nonprescription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2 ultra-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66 long-term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1—Lock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 시스템으로서, 액상물질이 미립화된 상태로 사용자가 흡입하도록 구성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로서, 일측에는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상기 액상물질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태깅영역(134)이 마련되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 및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와 연결되며, 상기 태깅영역으로부터 획득된 식별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는 통합서버모듈(3000)로서, 상기 액상물질과 관련된 사용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제공하는, 통합서버모듈(3000); 을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와 연동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액상물질을 인체로 흡수하는 방법은 주사를 통한 방법, 침습 패치를 부착하는 방법, 직접 구강을 통하여 흡수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의료용 액상물질을 액체상태로 그대로 구강 섭취하는 방법은 의료 효과를 얻기에 흡수율이 낮아 비효율적이며, 보다 빠른 효과를 얻고자 할 경우 공복에 섭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특히 수시로 섭취해야 하는 의료용 액체의 경우 상술한 주사 또는 침습패치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인체로 흡수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222248호인 '전자담배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전자담배사용 및 접근을 금지할 수 있는 전자담배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다만,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을 전혀 개시하지 않고, 사용자의 실제사용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2222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료용 액상물질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무선통신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헬스케어 시스템으로서, 액상물질이 미립화된 상태로 사용자가 흡입하도록 구성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로서, 일측에는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상기 액상물질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태깅영역(134)이 마련되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 및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와 연결되며, 상기 태깅영역으로부터 획득된 식별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는 통합서버모듈(3000)로서, 상기 액상물질과 관련된 사용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제공하는, 통합서버모듈(3000); 을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상기 액상물질의 사용정보가 저장된 사용정보DB(3110)와 연동된 사용정보제공서버(3100);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정보DB(3110)는, 액상물질 제공자로부터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액상물질의 복용용량, 복용방법, 유통기한, 주의사항 및 부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액상물질의 흡입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4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340)은, 상기 액상물질이 전문의약품으로 구분된 경우, 상기 전문의약품의 권장사용방법에 따라 동작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40)은, 상기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에 포함된 배터리(200), 공기펌프(500), 공기분사노즐(700) 및 액상물질분사노즐(6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상기 액상물질의 흡입을 차단시키는 차단수단(1100)과 연결되며, 상기 차단수단(1100)은, 상기 전문의약품의 권장사용방법에 포함된 액상물질의 사용량, 사용주기 및 사용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상기 제어모듈(340)로부터 사용자의 실제사용정보를 제공받아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20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상기 무선통신모듈(1200)로부터 전송된 실제사용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며, 상기 실제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정보처리서버(32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정보처리서버(3200)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의 변경이 발생되면, 상기 변경에 대응되는 새로운 액상물질을 사용자에게 제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액상물질의 흡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사용자를 관찰사용자로 구분하고, 상기 액상물질의 흡입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사용관리서버(33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관리서버(3300)는, 상기 관찰사용자의 액상물질 흡입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단말기(200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찰사용자의 액상물질 흡입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상기 실제사용정보가 저장되는 실제사용정보DB(3410)와 연동된 기계학습서버(34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계학습서버(3400)는, 미리 설정된 기계학습을 통해, 사용자특성에 따른 액상물질 선호도를 분석하고,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제1 사용자가 액상물질에 대한 레시피를 업로드하고, 제2 사용자가 상기 액상물질에 대한 레시피를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플랫폼서버(35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340)은, 상기 레시피에 따라 상기 액상물질의 흡입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레시피는 상기 액상물질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가열주기 및 분사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a) 사용자단말기(2000)에 의해,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태깅영역(134)이 인식되는 단계(S110); (b) 상기 태깅영역(134)의 식별정보가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로 전송되는 단계로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액상물질에 대한 소정의 정보가 사용정보DB(3110)에서 검색되는 단계(S120); 및 (c) 상기 사용정보DB(3110)와 연동된 사용정보제공서버(3100)로부터 상기 액상물질의 사용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로 전송되는 단계(S130);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액상물질의 복용용량, 복용방법, 유통기한, 주의사항 및 부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선네트워크망을 기반으로 하는 바, 액상물질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확한 사용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물질이 전문의약품인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바, 원격의료분야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도 3에 표시된 C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액상물질분사노즐 및 공기분사노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표시된 D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액상물질의 종류에 따라 제어방식을 달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액상물질이 전문의약품으로 구분되는 경우, 원격처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추적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도 3에 표시된 C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액상물질분사노즐 및 공기분사노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표시된 D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액상물질의 종류에 따라 제어방식을 달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액상물질이 전문의약품으로 구분되는 경우, 원격처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추적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 구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헬스케어 시스템에 포함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의료용 액상물질을 액체인 상태로 섭취하는 방법은 해당 의료용 액상물질 의한 의료적 효과를 얻기에 비효율적이며, 보다 빠른 효과를 얻고자 할 경우 공복에 섭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의료용 액상물질을 미립화하여 보다 간편하게 섭취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의료용 액상물질을 미립화하는 구조 및 미립화된 의료용 액상물질이 인체내로 용이하게 섭취되는 것을 도와주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하우징(100), 공기펌프(500), 액상물질용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0),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전원 기타 동작을 제어하는 PCB 기판(300), PCB 기판(300)에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를 ON/OFF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액상물질용기(400)의 오일이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액상물질분사노즐(600) 및 공기펌프(500)로부터 고압으로 이송된 공기가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공기분사노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액상물질용기(400)의 상단을 커버하는 용기커버(900) 및 용기커버(900)에 연결되어 액상물질용기(400)의 오일을 이송하는 제1 오일관(810) 및 용기커버(900)에 연결되어 제1 오일관(810)으로부터 이송된 오일을 액상물질분사노즐(600)로 이송하는 제2 오일관(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흡입파트(110), 메인 바디(120) 및 용기지지파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대략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메인 바디(120)의 상단에 흡입파트(110)가 배치되고, 메인 바디(120)의 하단에 용기지지파트(13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하우징(100)은 대략 실린더의 형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하방향으로의 높이가 길게 마련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메인 바디(120)의 내부에 위치한 중공에는 공기펌프(500), 배터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펌프(500)와 배터리(200)는 메인 바디(120)의 내부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펌프(500)와 배터리(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펌프(500)의 일단에는 PCB 기판(300)이 배치되고, 공기펌프(500)의 타단에는 배터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PCB 기판(300)-공기펌프(500)-배터리(200) 순으로 상하방향으로 메인 바디(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PCB 기판(300), 공기펌프(500), 배터리(200)의 배치관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PCB 기판(300)에는 충전단자(330) 및 공기펌프(500)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310)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측면에는 충전단자(330) 및 스위치(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충전개구(331) 및 스위치 커버 안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개구(331)는 충전단자(3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바디(120) 즉 하우징(100)의 외부로 충전단자(33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개구(331)를 통하여 외부의 충전 잭(미도시)을 연결시켜 배터리(2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스위치 커버(32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위치(310)는 스위치 커버 안착부(121)를 통하여 메인 바디(120) 즉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PCB 기판(300)의 스위치(310)는 스위치 커버(320)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커버(320)는 사용자가 스위치(310)를 직접 가압할 수 있는 면적보다 큰 면적을 지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 커버(320)는 대략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 커버(320)는 메인 바디(120)와 함께 하우징(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치 커버(320)는 메인 바디(120)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도록 형성된 스위치 커버 안착부(121)에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 커버(320)는 스위치(310)를 커버하도록 스위치(31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 구체적으로는 공기펌프(500)를 On/Off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파트(110)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파트(110)는 흡입몸체(111), 흡입팁(112) 및 미립화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팁(112)은 흡입몸체(11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몸체(111) 대략 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흡입몸체(111)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몸체(111)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이를 미립화 영역(111b)으로 정의할 수 있다. 미립화 영역(111b)에는 액상물질분사노즐(600) 및 공기분사노즐(700)이 배치될 수 있다. 미립화 영역(111b), 액상물질분사노즐(600) 및 공기분사노즐(700)의 구체적 구조 또는 구조적 관계는 후술하도록 한다.
흡입팁(112)은 흡입몸체(111)의 상단에 배치되며 대략 스트로우(straw)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팁(112)은 일단이 미립화 영역(111b)과 연결되며 타단에 흡입구(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입팁(112)에 입을 맞대고 빨아들여 미립화 영역(111b)에 분포되어 있는 미립화된 의료용 액상물질을 흡입구(112a)를 통하여 섭취할 수 있다.
흡입파트(110)의 일부에는 흡입파트(110)의 외부와 흡입파트(110) 내부를 연통하는 통기구(111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흡입파트(110)의 흡입팁(112)에 입을 대고 빨아들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팁(112)과 흡입몸체(1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위생상, 흡입팁(112)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기 위하여 흡입팁(112)과 흡입몸체(111)가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흡입팁(112)과 흡입몸체(111)가 서로 결합하는 구조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나사구조를 활용한 스크류 체결 구조 또는 후크 및 후크 홈에 의한 끼움 결합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파트(110)는 메인 바디(12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구획판(140)을 사이에 두고 메인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획판(140)은 메인바디의 일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획판(140)은 대략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획판(140)은 하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구획판(140)은 메인 바디(120)와 별도로 마련되어 메인 바디(120)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구획판(140)과 메인 바디(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파트(110)는 제1 구획판(140)을 사이에 두고 메인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획판(140)은 미립화된 의료용 액상물질이 메인 바디(120)의 내부 즉, 공기펌프(500)나 배터리(200)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액상물질분사노즐(600) 및 공기분사노즐(700)은 미립화 영역(11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바디(120)의 타단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2 구획판(150)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타단에는 용기지지파트(13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타단에는 용기지지파트(130)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타단과 용기지지파트(130)는 서로 나사구조에 의한 스크류 결합 구조나 후크 및 후크 홈에 의한 끼움 결합 결합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용기지지파트(13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용기지지파트(130)의 개방된 상면은 메인 바디(120)이 타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지지파트(130)의 개방된 상면은 대략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용기지지파트(13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용기지지파트(130)의 내부에는 의료용 액상물질(2)이 담긴 액상물질용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액상물질용기(400)에 담기는 의료용 액상물질(2)은 미세입자 분사 시 공기 중의 산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오일베이스(oil-base)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용 액상물질(2)은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계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계 성분은 CBD(Cannabidiol), CBG(Cannabigerol), CBN(Cannabinol), CBC(Cannabichromene), CBDV(Cannabidivarin), CBDA(Cannabidiol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성분일 수 있다.
다만 액상물질용기(400)에 담기는 의료용 액상물질(2)은 카나비노이드계 성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에 사용되는 의료용 액상물질(2)는 의료목적의 다양한 액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의료용 액상물질(2)은 후술하는 파이프(810, 820)의 직경 및 절곡 구조를 고려하여 상온(약 25oC)에서 측정했을 때 30 내지 100cp(센티포아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cp 범위의 점도를 지니는 액상물질일 수 있다.
용기지지파트(130)의 하부에는 액상물질용기(400)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용기지지파트(1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1)는 액상물질용기(400)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가하며 액상물질용기(400)를 용기지지파트(130)의 내부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부(131)는 대략 고리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액상물질용기(400)는 상단이 개방된 보틀(Bottle)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용기커버(900)는 액상물질용기(400)의 개방된 상단을 감싸며 액상물질용기(400)에 고정될 수 있다. 용기커버(9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용기커버(900)에는 커버개구(91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개구(911)에는 액상물질용기(400) 내부의 의료용 액상물질(2)이 이송되는 제1 파이프(810)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이프(810)을 통하여 이송된 의료용 액상물질(2)은 커버개구(911), 연결관(151)을 거쳐 제2 파이프(8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파이프(820)은 제1 파이프(810)으로부터 이송된 의료용 액상물질(2)을 액상물질분사노즐(600)로 이송할 수 있다.
제2 파이프(820)은 공기펌프(500)를 따라 수차례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이프(820)은 제1 절곡부(821), 제2 절곡부(822), 제3 절곡부(823) 및 제4 절곡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곡부(821) 및 제2 절곡부(822)는 공기펌프(5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펌프(500)의 타단 즉 하단에는 배터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151)에 연결되어 메인 바디(12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2 파이프(820)은 일차적으로 배터리(200)를 우회하도록 제1 절곡부(82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곡부(821)에서 꺾인 제2 파이프(820)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후 메인 바디(120)의 내측면 인접한 영역에서 제2 절곡부(8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절곡부(822)에서 꺾인 제2 파이프(820)은 공기펌프(500)의 외측면 즉, 공기펌프의 케이스(5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펌프(500)의 케이스(510)에는 제2 파이프(8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파이프(8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이프(820)은 공기펌프(500)의 상단에서 제3 절곡부(823) 및 제4 절곡부(824)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절곡부(823)에 의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4 절곡부(824)에 의하여 다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절곡부(824)에 의하여 꺾인 제2 파이프(820)은 제1 구획판(140)을 관통하여 흡입파트(110) 즉, 미립화 영역(111b)에 배치된 액상물질분사노즐(6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파이프(820)의 절곡 구조로 인하여, 파이프를 배치할 별도 공간을 추가로 필요하지 않게 되어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공기펌프(500)에서 발생한 고압의 공기는 고압관(520)을 통하여 공기분사노즐(700)로 이송될 수 있다. 고압관(520)은 공기펌프(500)와 공기분사노즐(700)을 연결할 수 있다. 고압관(5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압관(520)은 제1 구획판(140)을 관통하여 흡입파트(110) 즉, 미립화 영역(111b)에 배치된 공기분사노즐(700)에 연결될 수 있다. 고압관(520)과 제1 구획판(14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틈을 실링하기 위하여 실링부(5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530)는 미립화 영역(111b)과 메인 바디(120) 내부 간의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530)는 대략 중심에 고압관(520)이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530)는 고압관(520)과 제1 구획판(140)사이뿐만 아니라 추가 관통구가 형성되어 제2 파이프(820)과 제1 구획판(140)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틈도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펌프(500)에 의하여 공기분사노즐(70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 유량은 0.5-4.0LPM(Liter per Minute)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공기분사노즐(70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 유량은 2.0LPM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펌프(500)에 의하여 공기분사노즐(70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 압력은 0-65Kpa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공기분사노즐(70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 압력은 40Kpa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은 도 3에 표시된 C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의 액상물질분사노즐 및 공기분사노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상물질분사노즐(600) 및 공기분사노즐(700)은 미립화 영역(111b)에 배치될 수 있다.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은 제1 구획판(140)을 관통하여 흡입파트(110) 즉, 미립화 영역(111b)으로 연장된 제2 파이프(82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700)은 제1 구획판(140)을 관통하여 흡입파트(110) 즉, 미립화 영역(111b)으로 연장된 고압관(52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액상물질분사노즐(600)과 공기분사노즐(700) 각각은 대략 삼각 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상물질분사노즐(600)과 공기분사노즐(700) 각각은 내부에 삼각 뿔 형상의 저면과 꼭지를 관통하는 노즐 유로(610, 7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은 의료용 액상물질(2)이 분사되는 분출구(6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700)은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분출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상물질분사노즐(600)과 공기분사노즐(700) 각각의 분출구(620, 720)의 직경은 0.25mm 내지 0.35mm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상물질분사노즐(600)과 공기분사노즐(700) 각각의 분출구(620, 720)의 직경이 0.3mm로 마련될 수 있다. 액상물질분사노즐(600)과 공기분사노즐(700)의 노즐 유로(610, 710)의 직경 중 분출구(620, 720)의 직경이 가장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의료용 액상물질(2)의 미립화를 위하여 공기분사노즐(700)은 액상물질분사노즐(6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는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와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간의 간격은 0.1mm 내지 0.2mm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와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간의 간격은 0.15mm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의료용 액상물질(2) 분사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공기분사노즐(700)의 공기 분사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는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를 향하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분출구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흐름이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의 교차각도는 미립화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에 따르면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90도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이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액상물질분사노즐(600)과 공기분사노즐(700)이 배치된다면, 하우징(100)내에서 제1 방향(D1)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이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다고 정의하면 제1 방향(D1)은 제3 방향(D3)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3 방향(D3)은 하우징(100)의 중심축(X)이 놓이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방향(D1)이 제3 방향(D3)에 대하여 나란하게 설정되면,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는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를 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됨과 함께 제2 방향(D2)이 제1 방향에 대하여 특정각도(90도)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방향(D1)이 제3 방향(D3)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설정되더라도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는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를 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됨과 함께 제2 방향(D2)이 제1 방향에 대하여 특정각도(90도)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는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를 향하도록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90도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구조하에서 고압의 공기 분사에 의하여 액상물질분사노즐(600)로부터 분사되는 의료용 액상물질(2)이 0.01㎛ 이하의 초 미세 입자로 효과적으로 미립화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표시된 D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 구획판(150) 및 용기커버(900)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구획판(150)은 메인 바디(120)의 타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획판(150)은 대략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획판(150)은 메인 바디(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구획판(150)의 구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구획판(15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결관(15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의 일단(151a)은 메인 바디(12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연결관의 타단(151b)은 후술하는 용기커버(9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관의 일단(151a)은 제2 파이프(8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관의 타단(151b)은 용기커버(900)의 커버개구(91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의 일단(151a)은 엘보(820a)를 통하여 제2 파이프(820)에 연결될 수 있다. 엘보(820a) 자체를 제1 절곡부(822)로 정의할 수도 있다.
용기커버(900)는 액상물질용기(400)의 개방된 상단을 감싸며 액상물질용기(400)에 고정될 수 있다. 액상물질용기(400)의 상단 테두리는 액상물질용기(400)의 넥(Neck)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용기커버(900)는 액상물질용기(400)의 개방된 상단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910) 및 액상물질용기(400)의 상단 테두리 측면을 감싸며 액상물질용기(400)의 상단 테두리와 액상물질용기(400)의 넥(Neck)사이에 형성된 단차진 부분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커버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커버(900) 구체적으로는 제1 커버부(910)에는 커버개구(91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개구(911)에는 액상물질용기(400) 내부의 의료용 액상물질(2)이 이송되는 제1 파이프(810)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이프(810)을 통하여 이송된 의료용 액상물질(2)은 커버개구(911), 연결관(151)을 거쳐 제2 파이프(8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파이프(820)은 제1 파이프(810)으로부터 이송된 의료용 액상물질(2)을 액상물질분사노즐(600)로 이송할 수 있다.
용기커버(900)는 커버개구(911)의 상면에 형성된 흡기구와 연결된 통기관(9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기관(912)은 대략 U자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통기관(912)의 일단은 커버개구(911)의 상면에 형성된 흡기구와 연결되며 타단은 액상물질용기(400)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액상물질용기(400) 내부의 압력과 액상물질용기(400)외부의 압력을 항시 동일하게 유지하여 제1 파이프(810)을 통하여 의료용 액상물질(2)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며,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가 상하방향으로 뒤집히더라도 U자 관 구조로 인하여 의료용 액상물질(2)이 액상물질용기(400) 및 용기커버(9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의료용 액상물질(2)의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 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하우징(100) 구체적으로는 메인 바디(120)를 파지한 후, 스위치 커버(320)를 누를 수 있다. 스위치 커버(320)는 PCB 기판(300)의 스위치(310)를 가압하게 되고, 배터리(200)의 전원에 의하여 공기펌프(500)가 구동될 수 있다. 공기펌프(500) 구동 시,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에서 고압의 공기가 제1 방향(D1)을 향하여 분사되며 인접한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에는 순간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되며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을 통하여 의료용 액상물질(2)이 제2 방향(D2)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700)의 분출구(720)와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는 매우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분출구(620)에서 분사되는 의료용 액상물질(2)을 0.01㎛ 이하의 초 미세 입자로 미립화한다. 미립화된 의료용 액상물질(2)은 흡입파트(110), 구체적으로 미립화 영역(111b)에 채워지게 되며, 사용자가 흡입파트(110)의 흡입팁(112)에 입을 대고 빨아들이면 미립화된 의료용 액상물질(2)이 흡입팁(112)의 흡입구(112a)를 통과하여 인체 내부로 흡수되게 된다.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사용자가 의료용 액상물질(2)를 과도하게 섭취하는 것 방지하기 위하여 투약관리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를 사용하면서 쌓이는 사용데이터(투약 용량, 투약 횟수, 사용된 액상 기록, 하루 최대 복용량)를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적합한 투약 지시를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PCB 기판(300)에 블루투스(Bluetooth)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관리 프로세스(Managing Process)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별도로 후술한다.
헬스케어 시스템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은 무선네트워크망이 구비됨을 전제로 하며,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기(2000)가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든 무선통신장치 및 거치형 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의 분산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바,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명하며,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은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이하 '흡입기'라 함) 및 통합서버모듈(3000)을 포함한다.
도 1 및 2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1)의 일측에는 태깅영역(134)이 마련된다. 태깅영역(134)이란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상기 액상물질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영역을 의미한다. 태깅영역(134)의 위치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태깅영역(134)은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자동으로 식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0)에 마련된 카메라모듈(미도시)을 통해 자동으로 센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태깅영역(134)은 바코드, QR코드, 태그칩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식별 가능한 수단이라면 어떠한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태깅영역(134)은 액상물질에 대한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즉, 태깅영역(134)을 통해, 사용자는 액상물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서버모듈(300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통합서버모듈(3000)은 사용정보제공서버(3100), 사용정보처리서버(3200), 사용관리서버(3300), 기계학습서버(3400) 및 사용자플랫폼서버(3500)를 포함한다.
'사용정보제공서버(3100)'는 액상물질의 사용정보가 저장된 사용정보DB(3110)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태깅영역(134)을 식별한 후, 특정 태깅영역에 대응되는 사용정보를 사용정보DB(3110)로부터 로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정보DB(3110)는, 액상물질 제공자로부터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정보는 액상물질의 복용용량, 복용방법, 유통기한, 주의사항 및 부작용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액상물질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획득하여 효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1)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정보처리서버(3200)'는 사용자의 흡입기(1)에 대한 실제사용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흡입기(1)에 대한 실제사용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0)에 직접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기(2000) 상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입력에 적합한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상에 흡입기(1)에 대한 실제사용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기록할 수 있다. 실제사용정보는 흡입기 사용시간정보 뿐만 아니라, 흡입기(1) 사용 직전의 사용자 건강상태 등을 모두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액상물질이 의약품일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정보처리서버(3200)에 저장될 뿐만 아니라, 공공의료기관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흡입기(1)에 대한 실제사용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센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1)는 무선통신모듈(12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통신모듈(1200)은 무선네트워크망(로컬네트워크망을 포함함)을 통해 통합서버모듈(3000)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흡입기(1)의 실제사용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흡입기(1)에는 제어모듈(340)이 구비된다.
제어모듈(340)은 흡입기(1)의 제어에 대한 명령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흡입기(1)의 주요구성들의 실제동작정보가 센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제동작정보는 무선통신모듈(1200)을 통해 통합서버모듈(30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정보처리서버(3200)는 이러한 실제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액상물질이 진통제성분을 포함한 물질의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의 실제사용정보에 포함된 사용시간이 점차 감소할 경우, 사용자가 점차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물론, 특정한 수식에 의해, 사용자의 회복정도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예로, '정상컨디션 대비 70% 회복하였음').
만약, 사용시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흡입세기 등을 기반으로 판단할 때, 사용자 회복정보에 변화가 없거나, 악화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새로운 액상물질을 사용자에게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은 의료용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액상물질은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및 비의약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의약품은 기호성 액상물질을 예로 들 수 있고, 전자담배 등에 사용되는 액상물질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물질의 구분에 따라, 상이하게 취급될 필요가 있다. 특히, 전문의약품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주의가 더욱 필요하다.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태깅영역(134)을 센싱하면, 사용정보제공서버(3110)로부터 자동으로 액상물질이 구분된다.
만약, 일반의약품 또는 비의약품의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해당 액상물질의 일반적인 사용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정보를 참고하여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전문의약품은 이들과는 취급을 달리한다. 전문의약품은 흡입기(1)의 강제제어를 수반한다. 이러한 강제제어는 해당 전문의약품의 권장사용방법을 기반으로 한다. 제어모듈(340)은 주요구성 등을 권장사용방법에 대응되도록 강제 제어한다. 전문의약품의 권장사용방법은 액상물질의 사용량, 사용주기 및 사용횟수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340)은 차단수단(11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차단수단(1100)은 상기의 주요구성들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액상물질 흡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차단'이라는 용어는 온/오프 또는 완전개방/완전폐쇄를 의미하는 것으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200), 공기펌프(500), 공기분사노즐(700) 및 액상물질분사노즐(600)의 동작에 대한 최대값 및 최소값을 설정하여 최적범위 내에서만 동작되도록 설정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변형예로써, 제어모듈(340)은 원격처방서버(312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원격처방요청'을 전송하고, 관리자(예로, 공공의료기관)가 '원격처방승인'을 회신할 경우, 제어모듈(340)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것을 의미하는 바, 이는 실시간처방에 가까운 방식이다.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처방을 받거나, 입원을 하기 곤란한 환자들은 상기의 방식이 매우 간편할 수 있다. 물론, 원격처방승인 전후에는 환자의 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들이 더 접목될 수 있다(예로, 화상진료, 환자의 자동진단장치 장착 등).
또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0을 참조한다. 도 10은 흡입대상이 되는 액상물질을 환자가 소지하지 않은 상태를 전제로 한다.
온라인 원격진료를 하여, 처방전을 발행받고, 처방대상인 액상물질은 미리 설정된 배송시스템을 통해 환자(사용자)에게 배송된다. 환자는 태깅영역(134)을 흡입기(1)에 부착하고, 액상물질을 흡입기(1)에 장착한다.
환자가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태깅영역(134)을 식별한 경우, 처방전을 발행한 의료기관으로부터 해당 액상물질의 사용정보가 발행되고, 제어모듈(340)을 통해 자동으로 흡입기(1)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실제사용정보는 다시 통합서버모듈(3000)로 전송되어 환자의 사용정보 및 복용량을 추적관리하고, 이를 원격의료DB(3320)로 활용할 수 있다.
원격의료DB(3320)는 단기/중기/장기 사용량 및 사용주기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고, 이러한 정보를 역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신규처방이나 처치정보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액상물질의 정보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정보처리서버(320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의 변경이 발생되면, 상기 변경에 대응되는 새로운 액상물질을 사용자에게 제안하도록 설정되는 바, 헬스케어 시스템에 능동성이 접목된 구성이다.
사용관리서버(3300)는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액상물질의 흡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사용자를 관찰사용자로 구분하고, 액상물질의 흡입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관리서버(3300)는 관찰사용자DB(3310)와 연결되어 정보를 로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장기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관찰사용자의 액상물질 흡입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단말기(200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관찰사용자의 액상물질 흡입여부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액상물질 흡입상태는 관찰사용자의 사용정보를 의미한다.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액상물질 흡입시간, 흡입주기 등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를 사용자단말기(2000)로 알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게도 알림을 제공하여 올바른 흡입을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사법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범죄자에게 약물강제흡입명령을 지시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주기적으로 이러한 약물강제흡입명령이 필요한 범죄자에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기계학습서버(3400)는 실제사용정보를 학습정보로 하여,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리 설정된 기계학습을 통해, 사용자특성에 따른 액상물질 선호도를 분석하고,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레시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연령별/지역별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제품 타입을 추출하고, 이를 액상물질 공급자에게 판매하여 수익화 사업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나이,몸무게, 성별, 키 등의 신체정보에 따른 개인 맞춤형 최적 사용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플랫폼서버(3500)는 제1 사용자가 액상물질에 대한 레시피를 업로드하고, 제2 사용자가 상기 액상물질에 대한 레시피를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크라우드소싱을 이용한 것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이 레시피에 대한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플루언서가 제공한 액상별 레시피(가열온도/시간/분사량/가열주기 등)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모듈(340)은, 레시피에 따라 액상물질의 흡입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방법은 단계(S110) 내지 단계(S130)을 포함한다.
단계(S110)는 사용자단말기(2000)에 의해,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일측에 형성된 태깅영역(134)이 인식되는 단계이다.
단계(S120)는 태깅영역(134)의 식별정보가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통합서버모듈(3000)로 전송되는 단계로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액상물질에 대한 소정의 정보가 사용정보DB(3110)에서 검색되는 단계이다. 즉, 사용정보DB(3110)에서 검색된 후, 통합서버모듈(3000)로 상기 정보가 로딩된다.
단계(S130)는 사용정보DB(3110)와 연동된 사용정보제공서버(3100)로부터 상기 액상물질의 사용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사용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은 의료용 또는 기호성 액상물질을 흡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음주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흡입기(1) 내부에 음주측정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흡입하지 않고, 사용자의 내쉬는 공기를 이용하여 음주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음주측정을 위해 공지된 다양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
2: 액상물질
100: 하우징
110: 흡입파트
111b: 미립화 영역
120: 메인 바디
130: 용기지지파트
200: 배터리
300: PCB 기판
340: 제어모듈
400: 액상물질용기
500: 공기펌프
600: 액상물질분사노즐
700: 공기분사노즐
810: 제1 파이프
820: 제2 파이프
900: 용기커버
1200: 무선통신모듈
1300: 상태관리모듈
3000: 통합서버모듈
3100: 사용정보제공서버
3200: 사용정보처리서버
3300: 사용관리서버
3400: 기계학습서버
3500: 사용자플랫폼서버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X: 하우징 중심축
2: 액상물질
100: 하우징
110: 흡입파트
111b: 미립화 영역
120: 메인 바디
130: 용기지지파트
200: 배터리
300: PCB 기판
340: 제어모듈
400: 액상물질용기
500: 공기펌프
600: 액상물질분사노즐
700: 공기분사노즐
810: 제1 파이프
820: 제2 파이프
900: 용기커버
1200: 무선통신모듈
1300: 상태관리모듈
3000: 통합서버모듈
3100: 사용정보제공서버
3200: 사용정보처리서버
3300: 사용관리서버
3400: 기계학습서버
3500: 사용자플랫폼서버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X: 하우징 중심축
Claims (10)
- 헬스케어 시스템으로서,
액상물질이 미립화된 상태로 사용자가 흡입하도록 구성된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로서, 일측에는 사용자단말기(2000)를 통해 상기 액상물질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태깅영역(134)이 마련되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 및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와 연결되며, 상기 태깅영역으로부터 획득된 식별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는 통합서버모듈(3000)로서, 상기 액상물질과 관련된 사용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에 제공하는, 통합서버모듈(3000); 을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상기 액상물질의 사용정보가 저장된 사용정보DB(3110)와 연동된 사용정보제공서버(3100);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정보DB(3110)는,
액상물질 제공자로부터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액상물질의 복용용량, 복용방법, 유통기한, 주의사항 및 부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액상물질의 흡입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4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340)은,
상기 액상물질이 전문의약품으로 구분된 경우, 상기 전문의약품의 권장사용방법에 따라 동작되도록 미리 설정된,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340)은,
상기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에 포함된 배터리(200), 공기펌프(500), 공기분사노즐(700) 및 액상물질분사노즐(6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상기 액상물질의 흡입을 차단시키는 차단수단(1100)과 연결되며,
상기 차단수단(1100)은,
상기 전문의약품의 권장사용방법에 포함된 액상물질의 사용량, 사용주기 및 사용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동작되는,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는,
상기 제어모듈(340)로부터 사용자의 실제사용정보를 제공받아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20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상기 무선통신모듈(1200)로부터 전송된 실제사용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며, 상기 실제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정보처리서버(3200); 를 더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보처리서버(3200)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의 변경이 발생되면, 상기 변경에 대응되는 새로운 액상물질을 사용자에게 제안하도록 설정된,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액상물질의 흡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사용자를 관찰사용자로 구분하고, 상기 액상물질의 흡입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사용관리서버(33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관리서버(3300)는,
상기 관찰사용자의 액상물질 흡입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단말기(200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찰사용자의 액상물질 흡입여부를 관리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상기 실제사용정보가 저장되는 실제사용정보DB(3410)와 연동된 기계학습서버(34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계학습서버(3400)는,
미리 설정된 기계학습을 통해, 사용자특성에 따른 액상물질 선호도를 분석하고,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레시피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은,
제1 사용자가 액상물질에 대한 레시피를 업로드하고, 제2 사용자가 상기 액상물질에 대한 레시피를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플랫폼서버(35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340)은,
상기 레시피에 따라 상기 액상물질의 흡입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레시피는 상기 액상물질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가열주기 및 분사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a) 사용자단말기(2000)에 의해,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1)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태깅영역(134)이 인식되는 단계(S110);
(b) 상기 태깅영역(134)의 식별정보가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통합서버모듈(3000)로 전송되는 단계로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액상물질에 대한 소정의 정보가 사용정보DB(3110)에서 검색되는 단계(S120); 및
(c) 상기 사용정보DB(3110)와 연동된 사용정보제공서버(3100)로부터 상기 액상물질의 사용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0)로 전송되는 단계(S130);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액상물질의 복용용량, 복용방법, 유통기한, 주의사항 및 부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5050A KR20230109800A (ko) | 2022-01-13 | 2022-01-13 |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와 연동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5050A KR20230109800A (ko) | 2022-01-13 | 2022-01-13 |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와 연동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9800A true KR20230109800A (ko) | 2023-07-21 |
Family
ID=8742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5050A Pending KR20230109800A (ko) | 2022-01-13 | 2022-01-13 |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와 연동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9800A (ko) |
-
2022
- 2022-01-13 KR KR1020220005050A patent/KR20230109800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32200B2 (en) | Apparatus for closed-loop pharmaceutical delivery | |
US12114998B2 (en) |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using drug administration devices | |
US9692829B2 (en) | Medication delivery system and method | |
JP6766034B2 (ja) | 薬剤送達システム及び方法 | |
US1088866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al dosing device | |
EP4228718A1 (en) | Aggregating and analyzing drug administration data | |
JP2010264255A (ja) | 医療機器に関連するデータストリームを識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US12239460B2 (en) | Controlling operation of drug administration devices using surgical hubs | |
EP4034203A1 (en) | Interconnection of drug administration systems | |
US20220361758A1 (en) | Drug administration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external systems and/or other devices | |
CA3155643A1 (en) | Remote aggregation of data for drug administration devices | |
KR20230109800A (ko) |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와 연동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 |
KR20230109801A (ko) |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 |
WO2022140292A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 |
Koehler et al. | Monitoring Nebuliser Usage & Lung Function in Clinical Trials | |
KR20220144123A (ko) | 미립화된 액상물질 흡입기 | |
US20240290454A1 (en) | Mobile application for determining and recording medication | |
Grinovero et al. | Upgrading Respiratory Care with AI-Powered Sensors ad True Adherence Data | |
CN117138174A (zh) | 呼吸系统药物气雾喷头装置及其运作方法 | |
KR20230014145A (ko) | 노인을 위한 건강관리 스마트 약통 | |
CN117138178A (zh) | 中枢神经系统药物气雾喷头装置及其运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