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400A -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6400A KR20230106400A KR1020220002246A KR20220002246A KR20230106400A KR 20230106400 A KR20230106400 A KR 20230106400A KR 1020220002246 A KR1020220002246 A KR 1020220002246A KR 20220002246 A KR20220002246 A KR 20220002246A KR 20230106400 A KR20230106400 A KR 202301064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angle
- steering
- fine
- basic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5—Forc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이스틱을 이용한 조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휠의 기본적인 조향을 위해 조타 조작되는 기본조작부; 휠의 미세한 조향을 위해 조작되는 미세조작부; 상기 기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기본조향각을 연산하고, 미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미세조향각을 연산하며,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연산하고, 최종조향각으로 휠을 조향하도록 제어하는 조향각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소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system using a joystic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micromanipulation unit that is manipulated for fine steering of the wheel; A basic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basic control unit, a fine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icro control unit, a final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basic steering angle and the fine steering angle, and the final steering angle is used to steer the wheel. A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s intro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이스틱의 기본 조향 제어 외에 필요에 따라 미세 조향 제어를 수행하여 차량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한편, 미세 조향 제어기술을 활용하여 페일세이프 조향을 수행하는 조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ring system that improves vehicle steering stability and reduces driver's fatigue by performing fine steering control as necessary in addition to basic steering control of a joystick and performs fail-safe steering using fine steering control technology, and the same It's about the control method.
스티어 바이 와이어(Steer-by-Wire : SbW)시스템은 스티어링휠과 스티어링랙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 구조를 삭제하고 이를 전자제어로 대체한 조향시스템이다.The Steer-by-Wire (SbW) system is a steering system that eliminates the mechan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rack and replaces it with electronic control.
SBW시스템 하단의 스티어링랙은 기존의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시스템과 구조가 유사하지만, 상단의 스티어링휠 쪽에는 운전자에게 조향 반력을 생성 및 전달하기 위한 피드백 액추에이터가 추가된다.The structure of the steering rack at the bottom of the SBW system is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but a feedback actuator is added to the steering wheel at the top to generate and transmit steering reaction force to the driver.
최근 미래 모빌리티 대응을 위한 스티어링 인터페이스로서 조이스틱(Joystick)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 on a joystick as a steering interface for future mobilit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조이스틱은 크게 조작 방법에 따라 핸드 오퍼레이티드 조이스틱(Hand-Operated Joystick), 핑거 오퍼레이티드 조이스틱(Finger-Operated Joystick)으로 구분되며, 작동 원리에 따라서는 조이스틱의 기울기나 압력과 상관없이 조이스틱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한 입력이 가해지는 디스플레이스먼트 조이스틱(Displacement Joystick), 조이스틱의 기울기와 압력에 따른 입력이 가해지는 아이소메트릭 조이스틱(Isometric Joystick)으로 구분할 수 있다.Joysticks are largely divided into hand-operated joysticks and finger-operated joystick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and depending on the operating principle, regardless of the tilt or pressure of the joystick, It can be divided into a displacement joystick in which a constant input is applied in a direction, and an isometric joystick in which an inpu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tilt and pressure of the joystick.
다만,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조향을 하기 위해서는 조이스틱의 변위와 실제 전륜의 위치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고, 차량의 주행 상황을 조이스틱을 통해 피드백 받아야 하기 때문에, 조이스틱의 변위와 입력값이 일정한 디스플레이스먼트 조이스틱(Displacement Joystick)에 액티브 포스 피드백(Active Force Feedback)을 제공하는 일종의 하이브리드 타입 조이스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However, in order to steer using the joysti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cement of the joystick and the actual front wheel position must be kept constant, and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must be fed back through the joystick. Research on a kind of hybrid type joystick that provides active force feedback to a displacement joystick is being actively conducted.
하지만, 조이스틱의 경우 차량의 자세 제어에는 적합하나, 기존 조향휠에 비해 가동 범위가 작아 정밀한 차량 제어가 어렵고, 특히 미세 수정 조타가 매우 힘든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although the joystick is suitable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vehicle,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a small movable range compared to conventional steering wheels, making it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to fine-tune steering.
이에, 기존의 조향휠과 비교하여 오버스티어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차량의 조종 안정성이 떨어지며, 반복된 수정 조타로 인해 운전자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oversteer frequently occurs compared to conventional steering wheels, resulting in poor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increased driver fatigue due to repeated corrective steering.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dmiss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조이스틱의 기본 조향 제어 외에 필요에 따라 미세 조향 제어를 수행하여 차량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조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vehicle steering stability and reducing driver's fatigue by performing fine steering control as necessary in addition to basic steering control of a joystick.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이스틱의 기본 조향 제어 불가시, 미세 조향 제어기술을 활용하여 페일세이프 조향을 수행하는 조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fail-safe steering using a fine steering control technology when basic steering control of a joystick is impossi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향시스템의 구성은, 휠의 기본적인 조향을 위해 조타 조작되는 기본조작부; 휠의 미세한 조향을 위해 조작되는 미세조작부; 상기 기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기본조향각을 연산하고, 미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미세조향각을 연산하며,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연산하고, 최종조향각으로 휠을 조향하도록 제어하는 조향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e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ic operation unit that is operated by steering for basic steering of a wheel; a micromanipulation unit that is manipulated for fine steering of the wheel; A basic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basic control unit, a fine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icro control unit, a final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basic steering angle and the fine steering angle, and the final steering angle is used to steer the wheel. It may b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상기 기본조작부는 방향 조작이 가능한 조이스틱 형태를 갖고, 상기 미세조작부는 기본조작부에 버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basic manipulation unit may have a joystick shape capable of direction manipulation, and the fine manipul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on the basic manipulation unit.
상기 기본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조타각을 센싱하는 각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타각과, 차속의 관계로 기본조향각이 연산될 수 있다.An angle sensor for sensing a steering angle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basic manipula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basic steering angle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the steering angle and vehicle speed.
상기 기본조작부의 조작방향에 대해 포스센싱값을 검출하는 포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시간과, 포스센싱값과, 차속의 관계로 미세조향각이 연산될 수 있다.A force sensor for detecting a force sensing value with respect to a manipulation direction of the basic manipula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micro steering angle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an on-time of the micro manipulation unit, a force sensing value, and vehicle speed.
상기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상태에서 포스센싱값의 절대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미세조향각 연산이 활성화될 수 있다.When an absolute value of the force sensing value exceeds a threshold value in an ON operation state of the micro manipulation unit, a micro steering angle calculation may be activated.
상기 미세조향각은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 유지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micro-steering angle may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an ON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micro-control unit.
상기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시, 조작이 유지되는 시간동안 미세조향각이 설정된 증가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micro-control unit is turned on, the micro-steering angle may gradually increase according to a set increase rate for a time during which the micro-control unit is operated.
상기 미세조작부의 오프 조작시, 미세조향각이 설정된 감소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When the micro-manipulation unit is turned off, the micro-steering angle may gradually decrease according to a set decrease rate.
상기 기본조향각의 연산이 불가한 페일 상태로 판단시, 미세조향각과 차속의 관계로 최종조향각을 연산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sic steering angle cannot be calculated in a fail state, the final steering angl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e steering angle and the vehicle speed.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구성은, 조향각제어부가, 휠의 기본적인 조향을 위해 조타 조작되는 기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기본조향각을 연산하는 단계; 조향각제어부가, 휠이 미세한 조향을 위해 조작되는 미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미세조향각을 연산하는 단계; 조향각제어부가, 상기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연산하고, 최종조향각으로 휠을 조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alculating, by a steering angle controller, a basic steering angle based on an operating state of a basic steering unit operated for basic steering of a wheel; calculating, by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a fine steering angle based on a manipulation state of a fine manipulation unit in which a wheel is manipulated for fine steering;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calculating a final steering angle by adding the basic steering angle and the fine steering angle, and controlling the wheel to be steered with the final steering ang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조향용 조이스틱에 미세 조향을 위한 버튼을 추가하여 기본적인 좌우 조타각 명령 외에 필요에 따라 미세 조타 명령을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미세한 조향을 수행하게 된다.Through the above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ine steering command as needed in addition to basic left and right steering angle commands by adding a button for fine steering to the steering joystick, thereby performing fine steering of the vehicle.
따라서, 조이스틱을 이용한 조향 제어를 통해서도 정밀한 조향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미세한 수정 조타가 가능함으로써, 빈번한 수정 조타가 불필요한바,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Therefore, precise steering control is possible even through steering control using a joystick, thereby improving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also, since fine steering correction is possible, frequent steering correction is unnecessary, thereby reducing driver's fatigue. .
더불어, 조이스틱의 기본조향각 연산이 불가한 경우, 미세조향각을 기본조향각으로 대체하여 유사시 비상 조향을 실시함으로써, 페일세이프 조향을 수행하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basic steering angle of the joystick, there is an advantage of performing fail-safe steering by replacing the fine steering angle with the basic steering angle and performing emergency steering in case of emerg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방식의 조향기구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의 제어부에 의해 최종조향각이 결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조향각이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향각이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에서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시간과 포스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포스센싱값에 따라 미세조타량이 결정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최종조향각이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1 is a view illustrating a steering mechanism of a joystick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final steering angle by a control unit of a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basic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fine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amount of fine steer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n-manipulation time of the fine manipulation unit and the force sensing value detected by the force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final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are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may b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o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e.g.,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방식의 조향기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ering mechanism of a joystick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조향휠이 아닌 조이스틱을 통해 차량의 조타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향시스템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ring system in which steering operation of a vehicle is performed through a joystick rather than a conventional steering wheel.
이에, 상기 조향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조이스틱의 조작에 따라 조이스틱에 구비된 센서에서 조향조작과 관련된 신호들이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들이 제어부 내의 센서신호처리부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Accordingly, in the description of the steering system, signals related to steering operation are detected by a sensor provided in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and the detected signals are input to the sensor signal processing unit in the control unit and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이와 함께, 차량의 주행상태를 반영하는 여러 신호들이 함께 검출되어 제어부의 CAN 신호 송수신부에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들이 차량의 CAN통신을 통해 차량 내 다른 장치들에 송신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signals reflec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may be detected together and received by the CAN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and the received signals may be transmitted to other devices in the vehicle through CAN communication of the vehicle.
그리고, 조이스틱의 현재 상태 정보가 조이스틱 정보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여지게 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조이스틱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joystick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joystick information display unit, thereby providing the driver with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joystick.
아울러, 제어부 내에 조이스틱 제어로직으로, 차량의 휠 조향각을 결정하는 조향각제어부(200)와, 조이스틱 조작시 운전자에게 주는 반력량을 결정하는 반력제어부가 포함이 된다.In addition, as a joystick control logic in the control unit, a steering
상기 조향각제어부(200)는 이 출원의 기술적 특징이 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steering
아울러, 반력 모터 제어부는 반력제어부에서 결정한 반력량을 구현하기 위해 조이스틱 반력모터(30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reaction force motor controller controls the joystick
그리고, 차량 휠 제어부는 조향각제어부(200)에서 결정된 조향각을 추종하기 위해 조향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And, the vehicle wheel control unit controls the steering actuator to follow the steering angle determined by the steering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의 제어부에 의해 최종조향각이 결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Meanwhile,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final steering angle by a control unit of a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향시스템은, 휠의 기본적인 조향을 위해 조타 조작되는 기본조작부(100); 휠의 미세한 조향을 위해 조작되는 미세조작부(110); 상기 기본조작부(100)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기본조향각을 연산하고, 미세조작부(110)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미세조향각을 연산하며,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연산하고, 최종조향각으로 휠을 조향하도록 제어하는 조향각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3, the ste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컨대, 기본조작부(100)는 방향 조작이 가능한 바 형상의 조이스틱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기본조작부(100)의 좌우 조타 조작에 따라 기본조향각계산부(210)에서 조타 조작에 대응하는 기본조향각을 연산한다.For example, the
그리고, 상기 미세조작부(110)는 기본조작부(100)에 버튼 형태로 마련된 것으로, 조이스틱 상단에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의 누름 여부에 따라 온/오프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the
상기 미세조작부(110)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미세조향각계산부(220)에서 미세조작부(110)의 조작에 대응하는 미세조향각을 연산한다.According to the on/off manipulation of the
조향각제어부(200)는 상기한 기본조향각계산부(210)와 미세조향각계산부(220) 및 최종조향각계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되는 것으로, 최종조향각계산부(230)에서는 기본조향각계산부(210)에서 계산된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계산부(220)에서 계산된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결정하고, 결정된 최종조향각 명령을 조향액추에이터(400)에 인가하여 휠의 조향각을 제어하게 된다.The steering
이처럼, 본 발명은 조향용 조이스틱에 미세 조향을 위한 버튼을 추가하여 기본적인 좌우 조타각 명령 외에 필요에 따라 미세 조타 명령을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미세한 조향을 수행하게 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ine steering command as needed in addition to basic left and right steering angle commands by adding a button for fine steering to the steering joystick, thereby performing fine steering of the vehicle.
따라서, 조이스틱을 이용한 조향 제어를 통해서도 정밀한 조향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미세한 수정 조타가 가능함으로써, 빈번한 수정 조타가 불필요한바,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게 된다.Therefore, precise steering control is possible even through steering control using a joystick, thereby improving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also enabling finely corrected steering,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frequent corrected steering, thereby reducing driver's fatigue.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조향각이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Meanwhile,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basic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기본조작부(100)에 의한 조타각을 센싱하는 각도센서(120);를 더 포함이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ngle sensor 120 for sensing a steering angle by the
그리고, 상기 조타각과, 차속의 관계로 기본조향각이 연산될 수 있다.Also, the basic steering angl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eering angle and vehicle speed.
여기서, 상기 각도센서(120)는 조이스틱에 마련되어 조이스틱의 좌우 조타에 따른 조타각을 센싱하게 된다.Here, the angle sensor 120 is provided on the joystick to sense a steering angle according to left and right steering of the joystick.
즉, 기본조향각계산부(210)에 조이스틱의 조작에 따른 조타각과 차속이 입력되면, 차속에 대한 차속스케일이 정해져 있어 해당 조타각에 대한 차속스케일에 따라 조향비가 결정되어 기본조향각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teering angle and vehicle spe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are input to the basic steering
예를 들어, 저속 영역에서는 주차/유턴 상황과 같이 휠의 조향각이 큰 상황이 많기 때문에 조향비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한다.For example, since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the steering angle of a wheel is large, such as a parking/U-turn situation in a low-speed region, the steering ratio is set relatively large.
반면, 고속 영역에서는 적은 조타각에도 차량에 요 방향 회전이 나타나고, 큰 조타각에서는 타이어슬립이 발생하여 차량이 불안정한 상태가 될수 있으므로, 조향비를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여 안정적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igh-speed range, the vehicle rotates in the yaw direction even at a small steering angle, and tire slip occurs at a large steering angle, causing the vehicle to become unstable. Therefore, the steering ratio is set relatively small to enable stable steer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향각이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fine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기본조작부(100)의 조작방향에 대해 포스센싱값을 검출하는 포스센서(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그리고, 상기 미세조작부(110)의 온 조작시간과, 포스센싱값과, 차속의 관계로 미세조향각이 연산될 수 있다.Further, the fine steering angl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time of the
예컨대, 상기 포스센서(130)는 운전자가 조이스틱을 좌측 방향으로 조향하여 힘을 주는 경우 음(-)의 포스센싱값을 검출하고, 우측 방향으로 힘을 주는 경우에는 양(+)의 포스센싱값을 검출하여 좌우 조타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스센싱값은 기본조작부(100)의 좌우 회전 조작에 대한 토크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즉, 미세조향각계산부(220)에 미세조작부(110)의 온 조작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조이스틱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타함에 따라 포스센싱값이 검출되면, 미세조작부(110)의 조작시간에 따라 해당 조타방향에 대한 미세조타량이 계산된다.That is, when the force sensing value is detected as the driver steers the joystick to the left or right in a state in which the ON manipulation signal of the
그리고, 차속에 대한 차속스케일이 정해져 있어 입력되는 차속에 따라 조향비가 결정되어 미세조향각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speed scale for the vehicle speed is determined, the steering ratio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put vehicle speed, so that the fine steering angle can be calculated.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에서 미세조작부(110)의 온 조작시간과 포스센서(130)에 의해 검출되는 포스센싱값에 따라 미세조타량이 결정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amount of fine steer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time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세조작부(110)의 온 조작상태에서 포스센싱값의 절대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미세조향각 연산이 활성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force sensing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in the on-manipulation state of the
예컨대, 상기 임계값을 α로 가정할 때에, 조이스틱의 좌측 방향 조향에 따라 포스센싱값이 -α를 초과하는 경우에 미세조향각 연산이 활성화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threshold value is α, the fine steering angle calculation is activated when the force sensing value exceeds -α according to leftward steering of the joystick.
또한, 조이스틱의 우측 방향 조향시에도 포스센싱값이 α를 초과하는 경우 미세조향각 연산이 활성화된다.In addition, when the force sensing value exceeds α even when the joystick is steered in the right direction, fine steering angle calculation is activated.
즉, 포스센싱값에 임계값을 설정하여 임계값 내에서는 미세 조향 연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의 조향 전환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by setting a threshold value to the force sensing value and controlling the fine steering operation not to be performed within the threshold value, sudden steering chang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evented.
더불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조향각은 미세조작부(110)의 온 조작 유지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micro steering angle may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an ON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조작부(110)의 온 조작시, 조작이 유지되는 시간동안 미세조향각이 설정된 증가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하게 된다.Preferably, when the
즉, 미세조작부(110)를 온 조작한 상태에서 조작시간이 지속될수록 미세조타량이 미리 설정된 증가율을 토대로 미리 설정된 최대값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That is, as the operating time continues in the state in which the
반면, 미세조작부(110)의 오프 조작시 미세조향각이 설정된 감소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미세조작부(110)의 온 조작에서 오프상태로 조작시, 미세조타량이 미리 설정된 감소율을 토대로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참고로, 미세조타량이 증가하는 증가율 기울기가 미세조타량이 감소하는 감소율 기울기 대비하여 조금 더 완만하게 설정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lope of the increase rate at which the amount of fine steering increases may be set more gently than the slope at the rate of decrease at which the amount of fine steering decreases.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최종조향각이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Meanwhile,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final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기본조향각의 연산이 불가한 페일 상태로 판단시, 미세조향각과 차속의 관계로 최종조향각을 연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the final steering angl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e steering angle and the vehicle spe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culation of the basic steering angle is impossible.
예컨대, 조향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황에서는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계산하고, 계산된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연산함으로써, 조향액추에이터(400)에 최종조향각 명령을 인가한다.Fo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the steering system operates normally, the final steering angle command is applied to the
하지만, 조이스틱 각도센서(120)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기본조향각의 계산이 불가능하다. 특히, 조이스틱 조향기구가 SBW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휠과 조이스틱 간의 하드웨어적인 결합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운전자의 조향 의지가 휠에 전달될 수 없게 된다.However, when a failure of the joystick angle sensor 120 occurs,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basic steering angle. In particular, when the joystick steering mechanism is applied to the SBW system, since the hardware coupling between the wheel and the joystick is removed, the driver's steering intention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wheel.
따라서, 이 경우 미세조향각을 기본조향각으로 대체함으로써 유사시 비상 조향을 실시하여 페일세이프 조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미세조향각은 조향각이 작으므로 차속스케일을 통해 증폭하여 고장시 비상 조향 명령으로 대체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by replacing the fine steering angle with the basic steering angle, emergency steering can be performed in case of emergency to perform failsafe steering. Of course, since the steering angle is small, the fine steering angle can be amplified through the vehicle speed scale and replaced with an emergency steering command in case of failu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조향각제어부(200)가, 휠의 기본적인 조향을 위해 조타 조작되는 기본조작부(100)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기본조향각을 연산하는 단계; 조향각제어부(200)가, 휠이 미세한 조향을 위해 조작되는 미세조작부(110)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미세조향각을 연산하는 단계; 조향각제어부(200)가, 상기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연산하고, 최종조향각으로 휠을 조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Meanwhile, the control method of th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alculating, by the steering
참고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향각제어부(20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teerin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아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향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ste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8 .
조이스틱에 의한 조향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조이스틱에 마련된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신호들이 입력되고, 이와 함께 차속 신호 등이 입력된다(S10).When a steer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joystick, signals detected by sensors provided in the joystick are input, and a vehicle speed signal and the like are input together with the signals (S10).
이에, 기본조향각계산부(210)에서 조이스틱의 조향각도와 차속의 관계로 기본조향각을 계산한다(S20).Accordingly, the basic steering
그리고, 미세조향각계산부(220)에서 버튼의 조작신호와, 포스센싱값을 토대로 미세조타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미세조타량에 차속에 따른 차속스케일을 곱하여 미세조향각을 계산한다(S30).Then, the fine steering
구체적으로, 버튼의 조작신호가 온되고, 포스센싱값의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ex : α)보다 큰 경우에, 미세조향각 계산이 활성화되고, 활성화가 지속될 수록 미세조향각이 미리 설정된 증가율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manipulation signal of the button is turned on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force sensing value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ex: α), the fine steering angle calculation is activated, and as the activation continues, the fine steering angle adjusts to the preset increase rate. will increase according to
이어서, 각도센서(12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S40).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ngle sensor 120 is out of order (S40).
S40단계의 판단 결과, 각도센서(1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기본조향각이 정상적으로 계산된 경우,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계산하고, 계산된 최종조향각 명령을 조향액추에이터(400)에 제공한다(S5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 when the angle sensor 120 operates normally and the basic steering angle is normally calculated, the final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basic steering angle and the fine steering angle, and the calculated final steering angle command is provided to the
이에 따라, 휠의 조향각이 최종조향각에 맞추어 조향 제어된다(S70).Accordingly, the steering angle of the whee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inal steering angle (S70).
반면, S40단계의 판단 결과, 각도센서(120)의 고장이 발생하여 기본조향각의 계산이 불가능한 경우, 기본조향각 대신에 미세조향각만을 이용하여 차량을 조향하게 된다(S60).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 if the angle sensor 120 fails and the basic steering angle cannot be calculated, the vehicle is steered using only the fine steering angle instead of the basic steering angle (S60).
즉, 차속에 따른 차속스케일을 통해 미세조향각을 증폭하여 최종조향각을 계산하고, 계산된 최종조향각으로 비상 조향을 실시하게 된다.That is, the final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y amplifying the fine steering angle through the vehicle speed scal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emergency steering is performed with the calculated final steering angle.
이에 따라, 휠의 조향각이 최종조향각에 맞추어 조향 제어된다(S70).Accordingly, the steering angle of the whee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inal steering angle (S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용 조이스틱에 미세 조향을 위한 버튼을 추가하여 기본적인 좌우 조타각 명령 외에 필요에 따라 미세 조타 명령을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미세한 조향을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ine steering command as needed in addition to basic right and left steering angle commands by adding a button for fine steering to the steering joystick, thereby performing fine steering of the vehicle.
따라서, 조이스틱을 이용한 조향 제어를 통해서도 정밀한 조향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미세한 수정 조타가 가능함으로써, 빈번한 수정 조타가 불필요한바,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게 된다.Therefore, precise steering control is possible even through steering control using a joystick, thereby improving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also enabling finely corrected steering,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frequent corrected steering, thereby reducing driver's fatigue.
더불어, 조이스틱의 기본조향각 연산이 불가한 경우, 미세조향각을 기본조향각으로 대체하여 유사시 비상 조향을 실시함으로써, 페일세이프 조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basic steering angle of the joystick, failsafe steering can be performed by replacing the fine steering angle with the basic steering angle and performing emergency steering in case of emergency.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for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these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00 : 기본조작부
110 : 미세조작부
120 : 각도센서
130 : 포스센서
200 : 조향각제어부
210 : 기본조향각계산부
220 : 미세조향각계산부
230 : 최종조향각계산부
300 : 반력모터
400 : 조향액추에이터100: basic operation unit
110: fine manipulation unit
120: angle sensor
130: force sensor
200: steering angle control unit
210: basic steering angle calculation unit
220: fine steering angle calculation unit
230: final steering angle calculation unit
300: reaction motor
400: steering actuator
Claims (10)
휠의 미세한 조향을 위해 조작되는 미세조작부;
상기 기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기본조향각을 연산하고, 미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미세조향각을 연산하며,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연산하고, 최종조향각으로 휠을 조향하도록 제어하는 조향각제어부;를 포함하는 조향시스템.Basic steering control unit for basic steering of the wheel;
a micromanipulation unit that is manipulated for fine steering of the wheel;
A basic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basic control unit, a fine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icro control unit, a final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basic steering angle and the fine steering angle, and the final steering angle is used to steer the wheel.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상기 기본조작부는 방향 조작이 가능한 조이스틱 형태를 갖고,
상기 미세조작부는 기본조작부에 버튼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basic operation unit has a joystick form capable of direction manipulation,
The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on the basic operation unit.
상기 기본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조타각을 센싱하는 각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타각과, 차속의 관계로 기본조향각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angle sensor for sensing a steering angle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basic manipulation unit;
A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basic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in relation to the steering angle and vehicle speed.
상기 기본조작부의 조작방향에 대해 포스센싱값을 검출하는 포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시간과, 포스센싱값과, 차속의 관계로 미세조향각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rce sensor for detecting a force sensing value with respect to the manipulation direction of the basic manipulation unit,
A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fine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in relation to an on-time of the fine manipulation unit, a force sensing value, and a vehicle speed.
상기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상태에서 포스센싱값의 절대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미세조향각 연산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 steering angle calculation is activated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force sensing value exceeds a threshold value in the on-manipulation state of the fine manipulation unit.
상기 미세조향각은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 유지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 steering angle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an ON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fine manipulation unit.
상기 미세조작부의 온 조작시, 조작이 유지되는 시간동안 미세조향각이 설정된 증가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icro-control unit is turned on, the micro-steering angle gradually increases according to a set increase rate for a time during which the control is maintained.
상기 미세조작부의 오프 조작시, 미세조향각이 설정된 감소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 steering angle is gradu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set reduction rate when the fine control unit is turned off.
상기 기본조향각의 연산이 불가한 페일 상태로 판단시, 미세조향각과 차속의 관계로 최종조향각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basic steering angle is impossible, the final steering angle is calculated in relation to the fine steering angle and vehicle speed.
조향각제어부가, 휠이 미세한 조향을 위해 조작되는 미세조작부의 조작상태를 기반으로 미세조향각을 연산하는 단계;
조향각제어부가, 상기 기본조향각과 미세조향각을 합산하여 최종조향각을 연산하고, 최종조향각으로 휠을 조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향시스템의 제어방법.calculating, by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a basic steering angle based on an operating state of a basic steering unit operated for basic steering of a wheel;
calculating, by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a fine steering angle based on a manipulation state of a fine manipulation unit in which a wheel is manipulated for fine steering;
A steering angle control unit calculating a final steering angle by summing the basic steering angle and the fine steering angle, and controlling the steering to steer the wheel with the final steering ang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2246A KR20230106400A (en) | 2022-01-06 | 2022-01-06 |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2246A KR20230106400A (en) | 2022-01-06 | 2022-01-06 |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6400A true KR20230106400A (en) | 2023-07-13 |
Family
ID=8716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2246A Pending KR20230106400A (en) | 2022-01-06 | 2022-01-06 |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6400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4555A (en) | 2017-12-20 | 2019-06-2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ontrolling damping of steering using joystick and method thereof |
-
2022
- 2022-01-06 KR KR1020220002246A patent/KR20230106400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4555A (en) | 2017-12-20 | 2019-06-2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ontrolling damping of steering using joystick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6187B1 (en) | Apparatus for steering by wir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7908056B2 (en) | Steer-by-wire system for automobiles | |
KR102307258B1 (en) | Steering return control apparatus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nd method thereof | |
US7832522B2 (en) | Vehicle steering system,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turning wheel of vehicle | |
JP4941723B2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EP3613652B1 (en) | Anti-rollover for harvesters with electronic steering | |
CN109533008A (en) | Locking motor torque in wire-controlled steering system generates | |
JP5233624B2 (en) | Vehicle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US20160144890A1 (en) | Steer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r-by-wire system | |
US11377140B2 (en) | Notification for rack limiting conditions for steer by wire steering systems | |
US10173716B2 (en) | Steering retur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 |
CN112061228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column torque of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 |
JP4421426B2 (en) | Steering device | |
JP7211149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US7383111B2 (en) | Steering apparatus | |
WO2022208804A1 (en) | Steering system for vehicle | |
KR20230106400A (en) |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2008201167A (en) | Steering device | |
EP1700773B1 (en) | Variable steering ratio system and steering method | |
CN114340977B (en) |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control method | |
JP2023090672A (en) | Motor Operation Method by Proportional Differential Regulator Considering Stiffness of Power Steering System | |
KR101172098B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for Reducing Reaction in Active Front Steering | |
US11858574B2 (en) |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control method | |
KR20220033322A (en) | Steer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 |
KR102649393B1 (en) | Apparatus for steering by wir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