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522A -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2522A KR20230102522A KR1020210192722A KR20210192722A KR20230102522A KR 20230102522 A KR20230102522 A KR 20230102522A KR 1020210192722 A KR1020210192722 A KR 1020210192722A KR 20210192722 A KR20210192722 A KR 20210192722A KR 20230102522 A KR20230102522 A KR 202301025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motor
- upper housing
- seat
- motor assembly
- p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5000019589 hard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8—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electric motor for adjusting the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32—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패드와 체결을 견고히 하면서도 감쇠를 최소화하여 진동이 전달되도록 한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는, 진동모터(31); 및 상기 진동모터(31)의 파지하여 상기 진동모터(31)를 고정시키고, 시트(1)의 패드(11)에 고정되는 어퍼하우징(32);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하우징(32)은, 전면(前面) 둘레에 상기 진동모터(31)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32a)가 형성되고, 배면(背面)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진동모터(31)의 배면을 덮어 고정하는 고정부(3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는, 진동모터(31); 및 상기 진동모터(31)의 파지하여 상기 진동모터(31)를 고정시키고, 시트(1)의 패드(11)에 고정되는 어퍼하우징(32);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하우징(32)은, 전면(前面) 둘레에 상기 진동모터(31)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32a)가 형성되고, 배면(背面)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진동모터(31)의 배면을 덮어 고정하는 고정부(3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에 장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시트의 진동모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패드와 체결을 견고히 하면서도 감쇠를 최소화하여 진동이 전달되도록 한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시트(100)를 구성하는 시트백(110) 또는 시트쿠션(120)은 쿠션감을 제공하는 패드(111)와 상기 패드(111)를 덮는 커버(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모터(131)는 상기 패드(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진동모터(131)는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탑승자에게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상기 시트에 마사지기능이 부여되도록 한다.
운전자가 주행중 차선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면, 상기 진동모터(131)에서 발생된 진동으로 햅틱신호를 발생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또는, 상기 진동모터(131)에서 발생된 진동이 탑승자의 피부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에게 탑승중 마사지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이 증진된다.
상기 진동모터(131)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 진동모터(131)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체결력이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진동모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체결력이 일정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이 감쇠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도한 바의 진동이 상기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시트에 진동모터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진동전달력이 향상되도록 한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는, 진동모터; 및 상기 진동모터의 파지하여 상기 진동모터를 고정시키고, 시트의 패드에 고정되는 어퍼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하우징은, 전면 둘레에 상기 진동모터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배면을 덮어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진동모터의 코너를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패드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패드에 테이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로워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로워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의 배면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로워하우징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어퍼하우징과 상기 로워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의 배면에 상기 로워하우징을 관통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로워하우징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과 상기 고정돌기는 경도(硬度)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과 상기 로워하우징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워하우징과 상기 체결너트 사이에 끼워지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어퍼하우징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진동모터를 고정하고 있는 중심과 그 외측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모터와 상기 어퍼하우징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상기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상기 탑승자의 두부(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탑승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레그서포트, 상기 탑승자의 발을 마사지하는 풋마사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주의, 경고시 상기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진동모터를 시트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모터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손실없이 탑승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동모터가 고정되는 어퍼하우징, 상기 어퍼하우징에 결합되는 로워하우징이 상기 진동모터를 견고히 결합하여, 상기 어퍼하우징과 상기 로워하우징을 진동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다.
진동전달력이 향상됨으로써, 동일한 진동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전체적인 진동성능이 향상된다.
아울러, 진동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을 어퍼하우징의 경도를 달리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튜닝할 수 있어서, 경고신호의 다양화, 마사지의 세분화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차량의 시트에 모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적용된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진동모터가 어퍼하우징에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어퍼하우징으로 패드에 인서트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진동모터를 패드에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후크를 이용하여 어퍼하우징과 로워하우징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또 다른 후크를 이용하여 어퍼하우징과 로워하우징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어퍼하우징과 로워하우징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어퍼하우징이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어퍼하우징이 중심과 그 외측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어퍼하우징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제어부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적용된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진동모터가 어퍼하우징에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어퍼하우징으로 패드에 인서트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진동모터를 패드에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후크를 이용하여 어퍼하우징과 로워하우징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또 다른 후크를 이용하여 어퍼하우징과 로워하우징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배면도 및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어퍼하우징과 로워하우징을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어퍼하우징이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어퍼하우징이 중심과 그 외측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서 어퍼하우징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제어부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 어셈블리(30)는, 진동모터(31)와, 상기 진동모터(31)의 파지하여 상기 진동모터(31)를 고정시키고, 시트(1)의 패드(11)에 고정되는 어퍼하우징(32)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하우징(32)은, 전면(前面) 둘레에 상기 진동모터(31)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32a)가 형성되고, 배면(背面)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진동모터(31)의 배면을 덮어 고정하는 고정부(32b)가 형성된다.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30)는, 시트에서 시트백(10), 시트쿠션(20), 레그서포트(50), 헤드레스트(40), 풋마사지기(60) 등에 적용되어, 탑승자에게 마사지기능 등을 위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상기 진동모터(31)와 상기 어퍼하우징(32)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0), 상기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20), 상기 탑승자의 두부(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40) 및 상기 탑승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레그서포트(50), 상기 탑승자의 발을 마사지하는 풋마사지기(60) 등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를 마사지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시트백(10), 상기 시트쿠션(20), 상기 레그서포트(50), 상기 헤드레스트(40), 상기 풋마사지기(60) 등은 쿠션감을 제공하는 패드(11)와 상기 패드(11)를 덮는 커버(1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30)는 상기 패드(11)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30)가 상기 시트백(10)에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30)는 차량의 차로 이탈방지 보조 시스템, 전방충돌방지보조 시스템, 후측방 충돌방지 시스템 등과 같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과 연결되어, 상기 탑승자에게 위험상황시 주의신호, 경고신호가 진동으로도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진동모터(31)를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도 12 참조)는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탑승자(특히, 운전자)에게 전달할 주의신호, 경고신호를 진동으로도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는 주의신호, 경고신호 이외에도, 일반적인 차량의 주의신호, 경고신호를 상기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경우에도 상기 진동모터(31)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주의 신호, 경고 신호별로 진동의 크기, 주기를 다르게 하거나, 상기 시트(1)에서 진동하는 부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진동모터(31)는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어퍼하우징(32)은 상기 진동모터(31)가 고정된다. 상기 어퍼하우징(32)은 상기 시트백(10)의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진동모터(31)에서 발생한 진동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32)이 상기 진동모터(31)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전면(前面) 둘레에 상기 진동모터(31)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32a)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상기 진동모터(31)의 전면 대부분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32a)가 상기 진동모터(31)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파지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32a)는 상기 진동모터(31)의 코너를 파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31)의 코너가 상기 파지부(32a)에 의해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전면 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32)의 배면(背面)으로 고정부(32b)가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32b)는 상기 어퍼하우징(32)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진동모터(31)의 배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진동모터(31)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31)는 전면은 상기 파지부(32a)에 의해 고정되고, 배면은 상기 고정부(32b)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어퍼하우징(32)에 결합된다. 상기 진동모터(31)가 상기 파지부(32a)와 상기 고정부(32b)를 통하여 상기 어퍼하우징(32)에 견고히 결합됨에 따라, 진동전달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31)와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조립체를 상기 패드(11)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진동모터(31)와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조립체(이하 '조립체'라고 함)를 상기 패드(11)에 조립하기 위한 일례로서, 상기 패드(11)의 사출가공시 상기 조립체를 미리 인서트한 후, 상기 패드(11)를 사출함으로써, 상기 조립체가 상기 패드(11)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한다(도 4a 내지 도 4c 참조). 상기 조립체의 측면도와 배면도가 도 4a와 도 4b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조립체가 상기 패드(11)에 인서트된 상태의 단면이 도 4c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립체가 인서트 방식으로 상기 패드(11)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부재 없이 상기 조립체를 상기 패드(11)에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커버(12)를 상기 패드(11)의 외측에 씌움으로써, 상기 시트백(10)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를 상기 패드(11)에 조립하기 위하여, 테이프(35)를 이용할 수 있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상기 조립체에 테이프(35)가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와 배면도가 도 5a와 도 5b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조립체가 상기 패드(11)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이 도 5c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퍼하우징(32)의 배면에 테이프(35)를 부착시켜, 상기 테이프(35)로 상기 어퍼하우징(32)이 상기 패드(11)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어퍼하우징(32)의 배면에 벨크로테이프, 접착테이프 등과 같은 테이프(35)를 부착시키고, 상기 어퍼테이프(35)를 상기 패드(11)에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조립체를 상기 패드(11)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의 부착이 완료되면, 마찬가지로 커버(12)를 상기 패드(11)의 외측에 씌운다.
한편, 상기 어퍼하우징(32)에 결합되는 로워하우징(33)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패드(11)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로워하우징(33)은 상기 패드(11)의 내부에 인서트되거나, 상기 패드(11)의 배면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워하우징(33)을 상기 패드(11)의 사출시 미리 인서트한 후, 상기 패드(11)를 성형하여, 상기 패드(11)의 내부에 상기 로워하우징(33)이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패드(11)의 배면에 상기 로워하우징(33)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상기 로워하우징(33)을 삽입한 후, 상기 패드(11)의 전면측에서 상기 어퍼하우징(32)을 위치시킨 후,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을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하우징(32)의 배면, 특히 상기 고정부(32b)의 배면에 후크(32c)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32c)가 상기 로워하우징(33)에 형성된 관통공(33a)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가 상기 로워하우징(33)과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와 배면도가 도 6a와 도 6b로 도시되어 있고, 그 단면이 도 6c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진동모터(31)가 고정된 상기 어퍼하우징(32)을 상기 로워하우징(33)에 상기 후크(32c)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후크(32c)는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진동모터(31)가 고정된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의 결합시, 후크구조를 이용하되,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립체가 상기 로워하우징(33)과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와 배면도가 도 7a와 도 7b로 도시되어 있고, 그 단면이 도 7c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퍼하우징(32)의 배면, 특히 상기 고정부(32b)의 배면으로부터 고정돌기(32d)가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32d)의 중간에 후크부(32da)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부(32da)가 상기 로워하우징(33)에 형성된 관통공(33b)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32d)는 복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돌기(32d)에 상기 후크부(32d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진동모터(31)가 고정된 상기 어퍼하우징(32)을 상기 로워하우징(33)과 결합할 때, 체결볼트(36)와 체결너트(37)를 적용할 수도 있다(도 8a 내지 도 8c 참조). 상기 조립체가 상기 로워하우징(33)과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와 측면도가 도 8a와 도 8b로 도시되어 있고, 그 배면이 도 8c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체결볼트(36)가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로워하우징(33) 측에서 상기 체결너트(37)를 삽입시켜, 상기 체결볼트(36)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을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에 상기 체결볼트(36)와 상기 체결너트(37)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로워하우징(33)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워하우징(33)과 상기 체결너트(37) 사이에 브라켓(38)을 개제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36)와 상기 체결너트(37)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면서, 체결력이 균일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진동모터(31)에서 발생한 진동이, 특정 방향에 따라 다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재질을 불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커대, 상기 어퍼하우징(32)에서 폭방향 또는 높이방향을 따라 진동이 구분되도록,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재질을 상기 어퍼하우징(32)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하우징(32)에서 R1으로 도시된 영역과 R2로 도시된 영역의 경도(硬度, hardness)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어퍼하우징(32)의 폭방향으로 진동이 구분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어퍼하우징(32)의 높이방향, 사선방향으로도 그 재질의 경도를 달리함으로써, 진동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중심과, 그 외측의 재질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하여,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중심과 외측에서 서로 다른 진동이 느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어퍼하우징(32)이 R1으로 도시된 중심영역과 R2로 도시된 그 외측의 영역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다른 진동이 전달되도록, 상기 어퍼하우징(32)과 상기 고정돌기(32d)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어퍼하우징(32)의 재질이 불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상기 진동모터(31)에서 발생한 진동이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변조되어 탑승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1 : 시트 10 : 시트백
11 : 패드 12 : 커버
20 : 시트쿠션 30 : 진동모터 어셈블리
31 : 진동모터 32 : 어퍼하우징
32a : 파지부 32b : 고정부
32c : 후크 32d : 고정돌기
32da : 후크부 33 : 로워하우징
33a : 관통공 33b : 관통공
35 : 벨크로테이프 36 : 체결볼트
37 : 체결너트 38 : 브라켓
40 : 헤드레스트 50 : 레그서포트
60 : 발마사지기 70 : 제어부
100 : 시트 110 : 시트백
120 : 시트쿠션 131 : 진동모터
111 : 패드 112 : 커버
11 : 패드 12 : 커버
20 : 시트쿠션 30 : 진동모터 어셈블리
31 : 진동모터 32 : 어퍼하우징
32a : 파지부 32b : 고정부
32c : 후크 32d : 고정돌기
32da : 후크부 33 : 로워하우징
33a : 관통공 33b : 관통공
35 : 벨크로테이프 36 : 체결볼트
37 : 체결너트 38 : 브라켓
40 : 헤드레스트 50 : 레그서포트
60 : 발마사지기 70 : 제어부
100 : 시트 110 : 시트백
120 : 시트쿠션 131 : 진동모터
111 : 패드 112 : 커버
Claims (16)
- 진동모터; 및
상기 진동모터의 파지하여 상기 진동모터를 고정시키고, 시트의 패드에 고정되는 어퍼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하우징은,
전면(前面) 둘레에 상기 진동모터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배면(背面)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배면을 덮어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진동모터의 코너를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패드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패드에 테이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로워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로워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의 배면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로워하우징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어퍼하우징과 상기 로워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의 배면에 상기 로워하우징을 관통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로워하우징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과 상기 고정돌기는 경도(硬度)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과 상기 로워하우징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하우징과 상기 체결너트 사이에 끼워지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어퍼하우징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은,
상기 진동모터를 고정하고 있는 중심과 그 외측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와 상기 어퍼하우징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상기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상기 탑승자의 두부(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탑승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레그서포트, 상기 탑승자의 발을 마사지하는 풋마사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주의, 경고시 상기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2722A KR20230102522A (ko) | 2021-12-30 | 2021-12-30 |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US18/052,968 US12103451B2 (en) | 2021-12-30 | 2022-11-07 | Vibration motor assembly of seat |
US18/821,228 US20240416814A1 (en) | 2021-12-30 | 2024-08-30 | Vibration motor assembly of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2722A KR20230102522A (ko) | 2021-12-30 | 2021-12-30 |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2522A true KR20230102522A (ko) | 2023-07-07 |
Family
ID=8699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2722A Pending KR20230102522A (ko) | 2021-12-30 | 2021-12-30 |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12103451B2 (ko) |
KR (1) | KR20230102522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1137A (ko) | 2013-12-18 | 2015-06-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시트 햅틱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239U (ja) * | 1991-05-03 | 1993-02-02 | カツトラー スタンレイ | マツサージ装置 |
US6053880A (en) * | 1998-09-08 | 2000-04-25 | Jb Research, Inc. | Massaging system having isolated vibrators |
US6682494B1 (en) * | 1999-08-17 | 2004-01-27 | Inseat Solutions, Llc | Massaging system having isolated vibrators |
US20040143201A1 (en) * | 2003-01-17 | 2004-07-22 | Hiro Moriyasu | Method of supporting and fastening for effective energy transfer utilizing a vibrating motor for a floor mat application |
US7681949B2 (en) * | 2006-04-12 | 2010-03-23 | Lear Corporation | Haptic vehicle seat |
US20090227913A1 (en) * | 2008-03-07 | 2009-09-10 |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 Vehicle seat |
US9428124B2 (en) * | 2011-05-03 | 2016-08-30 | Savannah Nuclear Solutions, Llc | Haptic seat for fuel economy feedback |
JP5903301B2 (ja) * | 2012-03-15 | 2016-04-13 |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US9545879B2 (en) * | 2012-06-22 | 2017-01-1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Vehicle seat back haptic alert systems and methods |
US9493116B2 (en) * | 2012-06-22 | 2016-11-15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
HUE032023T2 (en) * | 2012-07-03 | 2017-09-28 | Toyota Boshoku America Inc | Vibrating alert spot |
JP6517101B2 (ja) * | 2015-07-10 | 2019-05-22 | クラリオン株式会社 | 振動発生装置 |
DE102016200897A1 (de) * | 2016-01-22 | 2017-07-27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mindest teilweise automatisierten Fahren |
JP6877461B2 (ja) * | 2016-04-05 | 2021-05-26 | テイジン・アラミド・ビー.ブイ.Teijin Aramid B.V. | タクタイル式アセンブリ |
WO2018027168A1 (en) * | 2016-08-05 | 2018-02-08 | Subpac, Inc. | Transducer system providing tactile sensations |
DE102016217354A1 (de) * | 2016-09-12 | 2018-03-1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Fahrzeugsitzelement, Einsatzelement, Pols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lements |
-
2021
- 2021-12-30 KR KR1020210192722A patent/KR20230102522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11-07 US US18/052,968 patent/US12103451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8-30 US US18/821,228 patent/US20240416814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1137A (ko) | 2013-12-18 | 2015-06-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시트 햅틱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416814A1 (en) | 2024-12-19 |
US20230211714A1 (en) | 2023-07-06 |
US12103451B2 (en) | 2024-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87026A (en) | Support structure for acoustic oscillation transferring device | |
US7681949B2 (en) | Haptic vehicle seat | |
KR20230102522A (ko) | 시트의 진동모터 어셈블리 | |
JP5408563B2 (ja) | エアポンプ装備自動車用シート | |
JP2017065643A (ja) |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警報装置 | |
JPH0511862Y2 (ko) | ||
JPH09123938A (ja) | 自動車のボディマウント構造 | |
JP2024009046A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09214578A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1518643B1 (ko) | 차량 시트용 햅틱모터 장치 | |
KR100547184B1 (ko) | 차량용 안마기 | |
JPH0938168A (ja) | 振動機構を備えた車輌用シート | |
KR200180458Y1 (ko) | 안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 |
JPS64905Y2 (ko) | ||
KR200142012Y1 (ko) | 의자 취부용 베개 | |
JPH0347560Y2 (ko) | ||
KR101122716B1 (ko) | 주무름 기능이 구비된 헤드레스트 | |
KR100549834B1 (ko) | 졸음운전 방지용 자동차 헤드레스트 | |
KR930000009Y1 (ko) | 안마기 | |
JPH0346759Y2 (ko) | ||
JPH0431064Y2 (ko) | ||
KR20250035779A (ko) | 쿠션 커버에 설치되는 마사지 장치 | |
KR20240133103A (ko) | 차량 시트용 공압 및 진동 제공 장치 | |
KR200333307Y1 (ko)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 |
JP2004330957A (ja) | 車両のフットレス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