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828A -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 Google Patents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1828A KR20230101828A KR1020237016146A KR20237016146A KR20230101828A KR 20230101828 A KR20230101828 A KR 20230101828A KR 1020237016146 A KR1020237016146 A KR 1020237016146A KR 20237016146 A KR20237016146 A KR 20237016146A KR 20230101828 A KR20230101828 A KR 20230101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uctural unit
- monomer
- mass
- copolymer
-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1 vinyl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2736 aqueous med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5336 allyl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25000003647 acryloyl group Chemical group O=C([*])C([H])=C([H])[H] 0.000 claims description 9
- 125000002947 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0020 sulfo group Chemical group O=S(=O)([*])O[H]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4093 cyano group Chemical group *C#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267 electrode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2
- 239000011883 electrode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8
- 229940048053 acr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720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group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870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373 Pullul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218 Pullu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423 pullul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986 chain transf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MYRTYDVEIRVNKP-UHFFFAOYSA-N 1,2-Divi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 MYRTYDVEIRVNK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5215 alkyl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105329 carboxy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482 conductive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VAYTZRYEBVHVLE-UHFFFAOYSA-N 1,3-dioxol-2-one Chemical compound O=C1OC=CO1 VAYTZRYEBVHV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MFOQBRAJBCJND-UHFFFAOYSA-M Lith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OH-] WMFOQBRAJBCJN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MANZCXQSJIPKH-UHFFFAOYSA-N Tri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CN(CC)CC ZMANZCXQSJIP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00 charge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993 di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56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USHAGKDGDHPEEY-UHFFFAOYSA-L potass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OS([O-])(=O)=O USHAGKDGDHPE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BDHFUVZGWQCTTF-UHFFFAOYSA-M sulfonate Chemical compound [O-]S(=O)=O BDHFUVZGWQCTT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CIHOLLKRGTVIJN-UHFFFAOYSA-N tert‐butyl hydroperoxide Chemical compound CC(C)(C)OO CIHOLLKRGTVI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JAHNSTQSQJOJLO-UHFFFAOYSA-N 2-(3-fluorophenyl)-1h-imidazole Chemical compound FC1=CC=CC(C=2NC=CN=2)=C1 JAHNSTQSQJOJ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BLRHMKNNHXPHG-UHFFFAOYSA-N 4-fluoro-1,3-dioxolan-2-one Chemical compound FC1COC(=O)O1 SBLRHMKNNHXP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SNNMFCWUKXFEE-UHFFFAOYSA-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compound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OWOJBTEDSA-N Fum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OWOJBTEDSA-N 0.000 description 2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5044 LiB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87 Silane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KGAVHZHDRPRBM-UHFFFAOYSA-N Tert-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DKGAVHZHDRPR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63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QAQPCDUOCURKW-UHFFFAOYSA-N butanethiol Chemical compound CCCCS WQAQPCDUOCURK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484 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H]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991 di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06 doctor blad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82 dynami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KRCODPIKNYEAC-UHFFFAOYSA-N ethyl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OC(=O)CC FKRCODPIKNYE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MXOYNBUYSYVKV-UHFFFAOYSA-M lith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Li+].[Br-] AMXOYNBUYSYVKV-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2
- LVHBHZANLOWSRM-UHFFFAOYSA-N methylenebut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C(O)=O LVHBHZANLOWS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51 organic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JRKICGRDRMAZLK-UHFFFAOYSA-L persulfate group Chemical group S(=O)(=O)([O-])OOS(=O)(=O)[O-] JRKICGRDRMAZL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03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WGJFPHUCFXLBL-UHFFFAOYSA-M rongalite Chemical compound [Na+].OCS([O-])=O XWGJFPHUCFXLB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460 sulfo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Substances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08 synthesi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JBRNHKUVLOCEB-UHFFFAOYSA-N tert-butyl benzenecarbo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O)C1=CC=CC=C1 GJBRNHKUVLOC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GVVWUTYPXICAM-UHFFFAOYSA-N β‐Mercaptoethanol Chemical compound OCCS DGVVWUTYPXIC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TGKSKDOIYIVQL-WEDXCCLWSA-N (+)-borneol Chemical group C1C[C@@]2(C)[C@@H](O)C[C@@H]1C2(C)C DTGKSKDOIYIVQL-WEDXCCLWSA-N 0.000 description 1
- ZODNDDPVCIAZIQ-UHFFFAOYSA-N (2-hydroxy-3-prop-2-enoyloxy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O)COC(=O)C=C ZODNDDPVCIAZI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MJHHCWVYXUKFD-SNAWJCMRSA-N (E)-1,3-pen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C PMJHHCWVYXUKFD-SNAWJCMRSA-N 0.000 description 1
- PQUXFUBNSYCQAL-UHFFFAOYSA-N 1-(2,3-difluoro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C(=O)C1=CC=CC(F)=C1F PQUXFUBNSYCQ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MYIIHDQURVDRB-UHFFFAOYSA-N 1-phenylethenylbenzene Chemical group C=1C=CC=CC=1C(=C)C1=CC=CC=C1 ZMYIIHDQURVDR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AJYJWXEWKRTPO-UHFFFAOYSA-N 2,3,3,4,4,5-hexamethylhexane-2-thi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S YAJYJWXEWKRT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TMDPCBYJCIZOD-UHFFFAOYSA-N 2-(2,4-dinitroanilino)-4-methyl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NC1=CC=C([N+]([O-])=O)C=C1[N+]([O-])=O STMDPCBYJCIZ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HOPWFKONJYLCF-UHFFFAOYSA-N 2-(2-sulfanylethyl)isoindole-1,3-di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N(CCS)C(=O)C2=C1 UHOPWFKONJYLC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WHSTLLOZWTNTQ-UHFFFAOYSA-N 2-ethylhexyl 2-sulfanylacet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S OWHSTLLOZWTN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4 2-hydroxy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O[H] 0.000 description 1
- OMIGHNLMNHATMP-UHFFFAOYSA-N 2-hydroxy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OCCOC(=O)C=C OMIGHNLMNHAT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ZMWHWAWHPNHN-UHFFFAOYSA-N 2-hydroxy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O)COC(=O)C=C GWZMWHWAWHPN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XIJHCSGLOHNES-UHFFFAOYSA-N 3,3-dimethylbut-1-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 DXIJHCSGLOHN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RIBMENBGGCKPD-UHFFFAOYSA-N 3-(2,3-dimethoxyphenyl)prop-2-enal Chemical compound COC1=CC=CC(C=CC=O)=C1OC FRIBMENBGGCK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KIDEFUBRARXTE-UHFFFAOYSA-N 3-mercapto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S DKIDEFUBRARXT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RDOJQUSEUXVRP-UHFFFAOYSA-N 3-triethoxysilyl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CCOC(=O)C(C)=C URDOJQUSEUXV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DLMVUHYZWKMMD-UHFFFAOYSA-N 3-trimethoxysilylprop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COC(=O)C(C)=C XDLMVUHYZWKM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LBJTVDPSNHSKJ-UHFFFAOYSA-N 4-Methylstyr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 JLBJTVDPSNHS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IMROMDMJAWUWLK-UHFFFAOYSA-N Ethenol Chemical compound OC=C IMROMDMJAWUW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984084 Helianthemum nummularium subsp. grandifl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4 Hydroxy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38 LiAlCl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015 LiAs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75 LiBF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372 LiC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684 Li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1322 LiNi0.6Mn0.2Co0.2O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513 LiSb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M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RJUFJBKOKNCXHH-UHFFFAOYSA-N Methyl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C RJUFJBKOKNCXH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58 Ni-Co-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60 Ni-Co-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102 Ni-Mn-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144 Ni—Co—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209 Ni—Co—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548 Ni—Mn—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group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4 Polysorbate 6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PYPAHLBTDXSSS-UHFFFAOYSA-N Potassium ion Chemical compound [K+] NPYPAHLBTDXSS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WAQJAXMDSEUJJ-UHFFFAOYSA-M Sodiu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Na+].OS([O-])=O DWAQJAXMDSEUJ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KNQFGJONOIPTF-UHFFFAOYSA-N Sodium cation Chemical compound [Na+] FKNQFGJONOIPT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77 acid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3 alkali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037 alkyl 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XYLMUPLGERFSHI-UHFFFAOYSA-N alpha-Methyl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1 XYLMUPLGERFS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OOXNKNUYICQNP-UHFFFAOYSA-N ammonium peroxydisulfate Substances [NH4+].[NH4+].[O-]S(=O)(=O)OOS([O-])(=O)=O ROOXNKNUYICQ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AZSKTXWXKYQJF-UHFFFAOYSA-N ammon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NH4+].[NH4+].[O-]S(=O)OOS([O-])=O VAZSKTXWXKYQ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0 ammonium per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52 auxilia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60 carbonate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39 carboniz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2 carboxyl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3 carboxylic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90 carboxymethyl hydroxy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86 chalc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35 coal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DHQCZJRKDOVOX-NSCUHMNNSA-N crot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LDHQCZJRKDOVOX-NSCUHMNN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13 cyclohexyl group Chemical group [H]C1([H])C([H])([H])C([H])([H])C([H])(*)C([H])([H])C1([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1 de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HGJSLXSVXVKHZ-UHFFFAOYSA-N dilithium;dioxido(dioxo)manganese Chemical compound [Li+].[Li+].[O-][Mn]([O-])(=O)=O QHGJSLXSVXVK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NAHIZMDSQCWRP-UHFFFAOYSA-N dodecane-1-thi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S WNAHIZMDSQCW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438 dodec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18 ep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FWDBOZPQNFPOLF-UHFFFAOYSA-N ethenyl(tri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C=C FWDBOZPQNFPO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KSJNEHGWDZZQF-UHFFFAOYSA-N ethenyl(trim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O[Si](OC)(OC)C=C NKSJNEHGWDZZQ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99 eth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30 fum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2 furnac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XMIOPMDWAUFGU-UHFFFAOYSA-N hexane-1,6-diol Chemical compound OCCCCCCO XXMIOPMDWAUF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7 hydroxy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0 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8 ionic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49 iso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8 laminat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ELKBWJHTRAYNV-UHFFFAOYSA-K lithium iro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Li+].[Fe+2].[O-]P([O-])([O-])=O GELKBWJHTRAYNV-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641 methac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40017219 methyl propi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570 meth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1])[*:2]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63 mono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YKYONYBAUNKHLG-UHFFFAOYSA-N n-Prop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OC(C)=O YKYONYBAUNKH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8 n-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3 n-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20 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6 petroleum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VDDGKGOMKODPV-ZQBYOMGUSA-N phenyl(114C)methanol Chemical compound O[14CH2]C1=CC=CC=C1 WVDDGKGOMKODPV-ZQBYOMGU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MJHHCWVYXUKFD-UHFFFAOYSA-N piperylene Natural products CC=CC=C PMJHHCWVYXUK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53 pitch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4 potas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0181 prop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7 redox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151 ring opening polymeri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77 silic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7670 sodium acr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67 sodium hydrogen 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5 sod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79 stear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SXSCDLOGDJUNJ-UHFFFAOYSA-N tert-but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ISXSCDLOGDJUN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DHQCZJRKDOVOX-UHFFFAOYSA-N trans-croto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O)=O LDHQCZJRKDOV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QPDZGIKBAWPEJ-UHFFFAOYSA-N vale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 NQPDZGIKBAWP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side groups
- C08F290/1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조립의 발생이 적고, 전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박리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전지의 내부 저항의 저감 및 우수한 사이클 특성에 공헌할 수 있는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각각 단량체 (a1) 내지 (a3)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내지 제3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단량체(a1)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비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단량체(a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및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고, 단량체(a3)는 하기 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제31 내지 제33 구조 단위를 갖는다.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구조 단위를, 1.0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3 구조 단위를, 0.010질량부 이상 70질량부 이하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1월 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18454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비수계 이차 전지는,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등을 활물질로 한 정극과, 흑연 등의 탄소 재료를 활물질로 한 부극과 및 전해액을 포함한다. 비수계 이차 전지는, 이온이 정극과 부극 간을 이동함으로써 전지의 충방전이 행해지는 이차 전지이다.
비수계 이차 전지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비수계 이차 전지는, 소형화, 경량화의 면에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전동 공구, 전자·통신 기기의 전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 차량 적용의 관점에서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비수계 이차 전지의 고출력화, 고용량화, 장수명화 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정극 및 부극에 사용되는 결합제에는, 활물질끼리를 결착시키는 역할 및 활물질과 집전체를 결착시키는 역할이 있다. 비수계 이차 전지의 용량 향상, 작업 환경 보전을 위해서, 수분산계 결합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병용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계의 수 분산체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에틸렌옥시드와, 에틸렌옥시드 이외의 알킬렌옥시드,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또는 그들의 조합을 중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중합하여 얻어지는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기 활성 입자를 포함하는 전지 전극에 있어서의 결합제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산 성분을 갖는 비닐 단량체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전극층을 구비한 이차 전지 부극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성분에 있어서는, 전극용 결합제로서 사용한 경우에, 전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박리 강도의 향상의 여지 및 전지를 제작한 경우의 내부 저항의 저감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비수계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박리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전지의 내부 저항의 저감 및 사이클 특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는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15]와 같다.
[1]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중합체로서,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와,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와,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를 갖거나; 혹은,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와,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와,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와, 내부 가교제(a4)에서 유래되는 제4 구조 단위를 갖고,
상기 단량체(a1)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히드록시기 및 시아노기의 어느 것도 갖지 않고,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갖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비이온성 화합물이며,
상기 단량체(a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및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고, 폴리옥시알킬렌 구조 및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의 어느 것도 갖지 않는 화합물이며,
상기 단량체(a3)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제31 구조 단위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제32 구조 단위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제33 구조 단위를 갖고,
상기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구조 단위를, 1.0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3 구조 단위를, 0.010질량부 이상 70질량부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제4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0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화합물이며,
상기 내부 가교제(a4)는 상기 단량체(a3)에 해당하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상기 단량체(a1), 상기 단량체(a2) 및 상기 단량체(a3)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라디칼 중합에 있어서 가교 구조를 형성 가능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식 (2)에 있어서, R1은,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이상 6 이하의 알킬기이다.)
(식 (3)에 있어서, R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관능기이다.)
[2] 상기 단량체(a3)는
상기 제31 구조 단위, 상기 제32 구조 단위 및 상기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하여
상기 제31 구조 단위를, 5.0몰% 이상 98몰%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32 구조 단위를, 0.30몰% 이상 90몰%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33 구조 단위를, 0.30몰% 이상 10몰% 이하 포함하는 [1]에 기재된 공중합체.
[3] 상기 단량체(a3)는 1분자 중에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공중합체.
[4] 상기 식 (3)에 있어서, R2는, 비닐옥시기, 알릴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OCH2-CH2-CH2=CH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1] 내지 [3]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
[5] 상기 식 (3)에 있어서, R2는, 하기 식 (4)로 표시된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
(식 (4)에 있어서, R21은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R22는, 비닐옥시기, 알릴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관능기이다.)
[6] 상기 단량체(a3)는 상기 제31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상기 제32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33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갖는 [1] 내지 [5]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
[7] 상기 단량체(a3)는 전체 구조 단위 중, 상기 제31 구조 단위, 상기 제32 구조 단위 및 상기 제33 구조 단위를 합계로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1] 내지 [6]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
[8] 상기 단량체(a1)는 극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
[9] 상기 단량체(a2)는 카르복시기 및 술포기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화합물이 [1] 내지 [8]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
[10] 상기 제1 구조 단위, 상기 제2 구조 단위 및 상기 제3 구조 단위를 합계로 80질량% 이상 포함하는 [1]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
[11] 상기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제4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0.050질량부 이상인 [1] 내지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
[12] [1] 내지 [11]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가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조성물.
[13] [1] 내지 [11]의 어느 것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14] [13]에 기재된 결합제와, 전극 활물질과, 수성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제와 상기 전극 활물질이,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고,
해당 수성 매체는, 물, 친수성의 용매, 및 물과 친수성의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매체인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15] [13]에 기재된 결합제를 포함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본 발명에 따르면, 비수계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박리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전지의 내부 저항의 저감 및 사이클 특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는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의 총칭이며,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총칭이다.
「불휘발분」은, 직경 5㎝의 알루미늄 접시에 조성물을 1g 칭량하고, 1 기압(1013hPa)에서, 건조기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105℃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에 남은 성분이다. 조성물의 형태는, 용액, 분산액, 슬러리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불휘발분 농도」란, 건조 전의 조성물 질량(1g)에 대한, 상기 조건 하에서 건조 후의 불휘발분의 질량 비율(질량%)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리킨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중합체에 있어서, 어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란, 그 화합물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이외의 부분의 화학 구조와, 중합체에 있어서의 그 구조 단위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의 화학 구조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아크릴산나트륨 유래의 구조 단위는, 중합체에 있어서 -CH2CH(COONa)-의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중합체의 구조 단위로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 남아있어도 된다.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이란, 서로 공액 디엔을 형성하지 않는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말한다.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유래의 구조 단위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구조(어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에 대응하는 부분이든 중합체의 쇄에 도입된 형태)여도 되고,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구조(한쪽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에 대응하는 부분만 중합체의 쇄에 도입된 형태)여도 된다.
또한, 중합 후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에 대응하는 쇄 이외의 부분을 화학 반응시키는 등, 단량체의 화학 구조와 중합체의 화학 구조에서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합 후의 화학 구조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을 중합하고, 그 후 비누화한 경우에 있어서는, 중합체의 화학 구조를 기준으로 생각하고, 아세트산비닐 유래의 구조 단위가 아니라, 비닐알코올 유래의 구조 단위로 한다.
<1. 공중합체(P)>
공중합체(P)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결합제용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P)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중합체이다. 공중합체(P)는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와,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와,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를 갖는다. 공중합체(P)는 또한 내부 가교제(a4)에서 유래되는 제4 구조 단위를 가져도 된다. 공중합체(P)는 단량체(a1), 단량체(a2), 단량체(a3) 및 내부 가교제(a4)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기타의 단량체(a5)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각각의 단량체 및 내부 가교제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1-1. 단량체(a1)>
단량체(a1)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갖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비이온성(음이온성 관능기 및 양이온성 관능기의 어느 것도 갖지 않는다) 화합물이다.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갖지 않는다」란, 2개의 에테르 결합에 끼인 알킬렌기(-C-O-Cx-O-C-(x는 1 이상의 정수)로 표시되는 결합)를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단량체(a1)는 히드록시기 및 시아노기의 어느 것도 갖지 않는다. 단량체(a1)는 극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a1)는 1종류의 화합물만을 포함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단량체(a1)는 극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극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1)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합계 함유율은 8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단량체(a1)의 조성에 대해서, 공중합체(P)의 유리 전이점을 조정하기 위해서, 혹은 분자 설계에 따른 중합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한 화합물 및 그의 양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tert-부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산라우릴,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1,1-디페닐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a1)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단량체(a1)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의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1)는 서로 공액 디엔을 형성하는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해도 된다. 서로 공액 디엔을 형성하는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1-2. 단량체(a2)〕
단량체(a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및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단량체(a2)는 폴리옥시알킬렌 구조 및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의 어느 것도 갖지 않는다. 음이온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 술포기 및 인산기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a2)는 카르복시기 및 술포기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a2)는 1종류의 화합물만을 포함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단량체(a2)는 1분자 중에, 동종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즉, 공중합체(P)는 하나의 구조 단위 중에 동종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복수 포함해도 된다. 단량체(a2)는 1분자 중에, 2종류 이상의 다른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즉, 공중합체(P)는 하나의 구조 단위 중에 2종류 이상의 다른 음이온성 관능기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단량체(a2)는 다른 음이온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공중합체(P)는 다른 음이온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2종류 이상의 구조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단량체(a2)로서는, (메트)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하프 에스테르; 파라스티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단량체(a2)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의 적어도 일부는, 염기성 물질과의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염을 형성하고 있는 단량체(a2)로서는, (메트)아크릴산나트륨, 파라스티렌술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a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술폰산 및 그의 염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술폰산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술폰산으로서는, 술포기를 갖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라스티렌술폰산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술폰산염으로서는, 술포기를 갖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라스티렌술폰산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파라스티렌술폰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합제 조성물에 있어서 조립(粗粒)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1-3. 단량체(a3)〕
단량체(a3)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제31 구조 단위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제32 구조 단위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제33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단량체(a3)는 1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복수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a3)는 1종류의 화합물만을 포함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단량체(a3)에 있어서, 구조 단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는, 특별히 언급이 없으면 말단 구조는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량체(a3)에 있어서의, 어떤 구조 단위의 함유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으면, 말단 구조를 제외한 구조 중의 그 구조 단위의 함유율이다. 또한, 단량체(a3)가 어떤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되는 경우, 그 구조 단위 이외에 말단 구조를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단량체(a3)에 있어서의 말단 구조란, 분자 말단에 가장 가까운 에테르 결합보다도 분자 말단 측에 있고, 또한 하기의 식 (1) 내지 (3)의 어느 구조 중에도 포함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말단 구조 중에는 하기의 식 (1) 내지 (3)에 나타내지는 구조는 포함되지 않는다.
식 (2)에 있어서, R1은,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이상 6 이하의 알킬기이다. R1은, 탄소수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3)에 있어서, R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기이다. R2는, 비닐옥시기(-OCH2=CH2), 알릴옥시기(-OCH2-CH2=CH2),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OCH2-CH2-CH2=CH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릴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알릴옥시기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나의 제33 구조 단위에 포함되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은,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R2의 구조는,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4)에 있어서, R21은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 R22는, 비닐옥시기, 알릴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OCH2-CH2-CH2=CH2 중 어느 하나이다.
식 (4)에 있어서, R21은 탄소수 1 또는 2의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4)에 있어서, R22는, 알릴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알릴옥시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3)에 있어서의,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 각각의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단량체(a3)의 친수성을 적절한 범위로 조정하여, 공중합체(P)의 친수성을 컨트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량체(a3)에 있어서의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면, 공중합체(P)의 친수성은 향상되고,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저감시키면, 공중합체(P)의 친수성은 저하된다.
단량체(a3)에 있어서의,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 각각의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단량체(a3)의 결정성을 적절한 범위로 조정하여, 공중합체(P)의 결정성을 컨트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량체(a3)에 있어서의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면, 공중합체(P)의 결정성은 향상되고,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저감시키면, 공중합체(P)의 결정성은 저하된다.
단량체(a3)에 있어서의,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공중합체(P)의 가교 밀도를 조정할 수 있고, 공중합체(P)를 전극 결합제로서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층의 유연성 및 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량체(a3)에 있어서의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면, 공중합체(P)의 가교 밀도는 상승하여, 전극 활물질층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저감시키면, 공중합체(P)의 가교 밀도가 저하되어, 전극 활물질층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단량체(a3)에 포함되는 이들 구조 단위의 함유량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량체(a3)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8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3)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98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7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a3)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2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0.3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3)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2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9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3)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0.3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3)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1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3)는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구조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단, 단량체(a3)에 있어서의, 전체 구조 단위 중의,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 함유율은,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8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량체(a3)를 구성하는 구조 단위에는, 말단 구조(정의는 상기한 바와 같음)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 및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단량체(a3)로서, 친수성이 다른 이하의 2개의 바람직한 형태를 들 수 있다. 이하 이들 형태를,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 및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2)로서 설명한다.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2)쪽이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보다도 친수성이 높다.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8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5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2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4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2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9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0.3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형태에 관한 단량체(a31)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1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2)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7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2)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1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98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7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2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0.3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2)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2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2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2)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0.3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형태에 관한 단량체(a32)에 있어서, 제31 구조 단위, 제32 구조 단위 및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제33 구조 단위의 함유율은, 1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3)는, 제31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제32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2 블록 및 제33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a3)는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을 포함하는(단,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이 말단 구조는 포함해도 된다) 3원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a3)는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이 그 순으로 배열된(즉, 제1 블록과, 제3 블록 사이에 제2 블록이 존재하는) 3원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a3)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단량체(a3)의 수용성의 유무에 따라 다르다. 단량체(a3)를 0.1M NaNO3 수용액에 용해시켜서, 단량체(a3)를 0.1질량% 포함하는 수용액의 제작이 가능한 경우, 단량체(a3)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의 수계 GPC로 측정한 풀루란 환산값이다.
[수계 GPC]
GPC 장치: GPC-101(쇼와 덴코(주)제))
용매: 0.1M NaNO3 수용액
샘플 칼럼: Shodex Column Ohpak SB-806 HQ(8.0㎜I.D. x 300㎜)×2
레퍼런스 칼럼: Shodex Column Ohpak SB-800 RL(8.0㎜I.D. x 300㎜)×2
칼럼 온도: 40℃
샘플 농도: 0.1질량%
검출기: RI-71S(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제)
유량: 1ml/min
분자량 스탠다드: 풀루란(P-5, P-10, P-20, P-50, P-100, P-200, P-400, P-800, P-1300, P-2500(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이 경우, 단량체(a3)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풀루란 환산값)는 1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단량체(a3)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풀루란 환산값)는 3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전극 슬러리에 있어서의 고형분의 분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단량체(a3)를 0.1M NaNO3 수용액에 용해시켜서, 단량체(a3)를 0.1질량% 포함하는 수용액을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단량체(a3)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의 용제계 GPC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용제계 GPC]
GPC 장치: Waters GPC System e2695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칼럼: SHODEX KF-806L ×2, SHODEX KF-G(쇼와 덴코(주)제))칼럼 온도: 40℃
칼럼 온도: 40℃
샘플 농도: 0.2질량%
검출기: Waters 2414RI
유량: 0.65mL/min
분자량 스탠다드: 폴리스티렌(Shodex Polystyrene STANDARD SL-105, SM-105(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이 경우, 단량체(a3)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폴리스티렌 환산값)는 1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단량체(a3)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폴리스티렌 환산값)는 2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전극 슬러리에 있어서의 고형분의 분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단량체(a3)의 구체예]
단량체(a3)는 예를 들어, 이하의 식 (5)로 표시되는 3원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5)에 있어서, n:m:l=5.0 내지 98:0.30 내지 90:0.30 내지 4.5, n:m:l=18 내지 97:0.50 내지 80:0.5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n:m:l=25 내지 97:0.70 내지 75:0.80 내지 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범위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상기 화합물의 제1 형태는, 상기 식 (5)에 있어서, n:m:l=5.0 내지 50:40 내지 90:0.30 내지 4.5이며, n:m:l=18 내지 40:50 내지 80:0.50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n:m:l=25 내지 40:60 내지 75:0.80 내지 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M NaNO3 수용액에 용해시켜서, 제1 형태에 관한 화합물을 0.1질량% 포함하는 수용액의 제작이 불가능한 경우,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10000 내지 200000이며, 20000 내지 1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 내지 8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형태의 구체예는, 식 (5)에 있어서, n:m:l=30:69:1.0, Mw=50000인 화합물(a3-1)을 포함한다.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상기 화합물의 제2 형태는,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식 (5)에 있어서, n:m:l=70 내지 98:0.30 내지 20:0.30 내지 10이며, n:m:l=80 내지 97:0.50 내지 15:0.5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n:m:l=90 내지 97:0.70 내지 10:0.80 내지 4.5, Mw=50000 내지 8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M NaNO3 수용액에 용해시켜서, 제2 형태에 관한 화합물을 0.1질량% 포함하는 수용액의 제작이 가능한 경우, 중량 평균 분자량은 풀루란 환산으로 10000 내지 300000이며, 30000 내지 2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0 내지 12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형태의 구체예는, 식 (5)에 있어서, n:m:l=93:6.0:1.0, Mw=80,000인 화합물(a3-2)과, n:m:l=96:1.0:3.0, Mw=80,000인 화합물(a3-3)을 포함한다.
[단량체(a3)의 합성 방법]
단량체(a3)의 합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산 촉매를 사용한 에폭시드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1-4. 내부 가교제(a4)〕
내부 가교제(a4)는 단량체(a3)에 해당하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단량체 (a1), (a2) 및 (a3)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라디칼 중합에 있어서 가교 구조를 형성 가능한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1-5. 기타의 단량체(a5)〕
기타의 단량체(a5)는 단량체 (a1) 내지 (a4)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기타의 단량체(a5)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계면 활성제(이하, 「중합성 계면 활성제」라고 하기도 한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실란 커플링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극성 관능기로서는, 히드록시기 및 시아노기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P)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및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또한 계면 활성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이하의 화학식 (6) 내지 (9)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식 (6) 중, R3은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p는 10 내지 4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R3의 탄소수는 1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3은 탄소수 10 내지 40의 직쇄 비치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7) 중, R4는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q는 10 내지 12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R4의 탄소수는 1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4는 탄소수 10 내지 40의 직쇄 비치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8) 중, R5는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M1은 NH4 또는 Na인 것이 바람직하다. R5의 탄소수는 1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5는 탄소수 10 내지 40의 직쇄 비치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9) 중, R6은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M2는 NH4 또는 Na인 것이 바람직하다. R6의 탄소수는 1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6은 탄소수 10 내지 40의 직쇄 비치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실란 커플링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1-6. 공중합체(P)에 있어서의 각 구조 단위의 함유량〕
공중합체(P)에 있어서,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1.0질량부 이상이며, 1.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의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공중합체(P)를 전극 결합제로서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층의 박리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공중합체(P)에 있어서,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30질량부 이하이며,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의 겔화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공중합체(P)의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공중합체(P)에 있어서,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0.010질량부 이상이며, 0.03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5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를 전극 결합제로서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층의 박리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공중합체(P)를 전극 결합제로서 전극 활물질층에 포함하는 전극을 사용한 전지의 DCR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중합체(P)에 있어서,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70질량부 이하이며, 4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에 있어서의 중합 안정성이 향상되고, 공중합체(P)의 조립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공중합체(P)의 겔화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제1 구조 단위, 제2 구조 단위 및 제3 구조 단위의 공중합체(P)에 차지하는 질량 비율은, 합계로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구조 단위의 함유율을 높임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가 보다 한층 커지기 때문이다.
공중합체(P)에 있어서, 내부 가교제(a4)에서 유래되는 제4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내부 가교제(a4)에서 유래되는 제4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0.0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7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의 열화를 억제하여, 공중합체(P)를 전극 결합제로서 전극 활물질층에 포함하는 전극을 사용한 전지의 방전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중합체(P)에 있어서, 내부 가교제(a4)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내부 가교제(a4)에서 유래되는 제4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20질량부 이하이며, 7.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의 겔화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1-7. 공중합체(P)의 유리 전이점〕
공중합체(P)의 유리 전이점 Tg는,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사제 EXSTAR DSC/SS7020을 사용하여 승온 속도 10℃/분,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DSC 측정을 행하고, DSC의 온도 미분으로서 얻어지는 DDSC 차트의 피크 톱 온도이다.
공중합체(P)의 유리 전이점 Tg는,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를 전극 결합제로서 사용한 비수계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공중합체(P)의 유리 전이점 Tg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를 전극 결합제로서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층의 집전박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2. 공중합체(P)의 합성 방법>
공중합체(P)는 단량체 (a1) 내지 (a3)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단량체로서, 필요에 따라 내부 가교제(a4), 다른 단량체(a5)도 공중합해도 된다. 여기서, 공중합체(P)를 합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량체를 총칭하여 단량체(a)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성 매체(b) 중에서의 단량체(a)의 유화 중합을 들 수 있다. 유화 중합에 의한 공중합체(P)의 합성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타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중합성을 갖지 않는 계면 활성제(c), 염기성 물질(d), 라디칼 중합 개시제(e), 연쇄 이동제(f)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공중합체(P)의 합성을 위하여 필요하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서 사용해도 되는 이들 성분 및 유화 중합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단량체(a)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2-1. 수성 매체(b)〕
수성 매체(b)는 물, 친수성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친수성의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안정성의 관점에서, 수성 매체(b)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수성 매체(b)로서, 물에 친수성의 용매를 첨가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2-2. 중합성을 갖지 않는 계면 활성제(c)〕
단량체(a)의 유화 중합에 있어서, 중합성을 갖지 않는 계면 활성제(c)를 사용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c)는 중합 중 및/또는 중합 후의 분산액(에멀션)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면 활성제(c)로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염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환 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2-3. 염기성 물질(d)〕
단량체(a)를 수성 매체(b) 중에서 유화 중합하는 경우에는, 염기성 물질(d)을 첨가해도 된다. 염기성 물질(d)을 가함으로써, 단량체(a)에 포함되는 산성 성분을 중화하여, pH를 조정할 수 있다. pH를 조정함으로써, 유화 중합 중 및/또는 유화 중합 후의 분산액의 기계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산액의 23℃에서의 pH는, 전극의 사양, 후술하는 슬러리 제작의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한정은 되지 않지만, 1.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9.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전극 슬러리 중의 활물질의 침강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염기성 물질(d)로서는,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성 물질(d)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2-4. 라디칼 중합 개시제(e)〕
유화 중합 시에 사용할 수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e)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등의 과황산염; 과산화수소; 아조 화합물;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과황산염 및 유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화 중합 시에 라디칼 중합 개시제와, 중아황산나트륨, 론갈리트, 아스코르브산 등의 환원제를 병용하여, 레독스 중합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단량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0.1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a)의 중합 시의 공중합체(P)로의 전화율을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단량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의 분자량을 높게 할 수 있고, 전극 활물질층의 전해액에 대한 팽윤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2-5. 연쇄 이동제(f)〕
연쇄 이동제(f)는 유화 중합에 있어서 공중합체(P)의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연쇄 이동제(f)로서는, n-도데실머캅탄, tert-도데실머캅탄, n-부틸머캅탄, 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2-머캅토에탄올, β-머캅토프로피온산, 메틸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t-부틸알코올, 벤질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2-6. 유화 중합법〕
유화 중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화 중합에 사용하는 각 성분을 연속 공급하면서 유화 중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유화 중합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0 내지 90℃이고, 50 내지 85℃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은 교반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량체(a)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반응 용기 내에서 균일해지도록 연속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또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결합제. 이하, 「전극 결합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이상에서 설명한 공중합체(P)를 포함한다. 전극 결합제는 기타의 성분을 포함해도 되고, 예를 들어, 공중합체(P) 이외의 중합체, 계면 활성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전극 결합제는 후술하는 전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을 수반하는 공정에 있어서 휘발하지 않고 남는 성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결합제를 구성하는 성분은, 전극 결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직경 5㎝의 알루미늄 접시에 1g 칭량하고, 대기압, 건조기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105℃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에 남은 성분이다.
전극 결합제 중의 공중합체(P)의 함유율은,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8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에 의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에 대한 기여를 크게 하기 위해서이다.
<4.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조성물>
본 실시 형태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조성물(이하, 결합제 조성물이라고 하기도 한다)은 공중합체(P)가 수성 매체(B) 중에 분산되어 있다. 결합제 조성물은, 이들 성분 이외에, 예를 들어, 공중합체(P)의 합성에 사용한 상기 성분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결합제 조성물은, 공중합체(P)의 합성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분산액이어도 되고, 유화 중합 이외의 방법으로 얻어진 공중합체(P)를 수성 매체(B)에 분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분산액이어도 되고, 기타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분산액이어도 된다.
〔4-1. 수성 매체(B)〕
수성 매체(B)는 물, 친수성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친수성의 용매의 예는, 공중합체(P)의 합성에 있어서의 수성 매체(b)의 설명에서 든 바와 같다. 수성 매체(B)는 공중합체(P)의 합성에 사용한 수성 매체(b)와 동일해도 되고,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수성 매체(B)는 공중합체(P)의 합성에 사용한 수성 매체(b)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수성 매체(b)에 수성 용매를 첨가한 구성이어도 되고, 공중합체(P)의 합성 후에 수성 매체(b)를 새로운 수성 용매로 치환한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첨가하거나, 혹은 치환하는 수성 용매는, 공중합체(P)의 합성에 사용한 용매와 동일한 조성이어도 되고, 다른 조성이어도 된다.
〔4-2. 결합제 조성물의 불휘발분 농도〕
결합제 조성물의 불휘발분 농도는,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합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의 양을 많게 하기 때문이다. 결합제 조성물의 불휘발분 농도는, 수성 매체(B)의 양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결합제 조성물의 불휘발분 농도는, 8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합제 조성물의 점도 상승을 억제하여, 후술하는 슬러리를 제작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5.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이어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이하, 「전극 슬러리」라고 하기도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극 슬러리는, 공중합체(P)와, 전극 활물질이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전극 슬러리는, 이들 성분 이외에, 증점제, 도전 보조제, 공중합체(P)의 합성에 사용한 상기 성분 등을 포함해도 된다.
〔5-1. 공중합체(P)의 함유량〕
공중합체(P)의 함유량은, 전극 활물질 100질량부에 대하여 0.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키기 위해서이다.
공중합체(P)의 함유량은, 전극 활물질 100질량부에 대하여 5.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 슬러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전극 활물질층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의 함유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5-2. 전극 활물질〕
전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 등의 전하 캐리어가 되는 이온을 삽입(Intercaration)/탈리(Deintercalation) 가능한 재료이다. 전하 캐리어가 되는 이온은 알칼리 금속 이온인 것이 바람직하고,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리튬 이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이 부극일 경우, 전극 활물질, 즉 부극 활물질은, 탄소 재료, 규소를 포함하는 재료, 티타늄을 포함하는 재료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활물질로서 사용되는 탄소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석유 코크스, 피치코크스, 석탄 코크스 등의 코크스, 유기 고분자의 탄소화물, 인조 흑연, 천연 흑연 등의 흑연을 들 수 있다. 규소를 포함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규소 단체, 산화규소 등의 규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티타늄을 포함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티타늄산리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혼합 혹은 복합화하여 사용해도 된다.
부극 활물질은, 탄소 재료, 규소를 포함하는 재료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P)에 의한 전극 활물질 간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 간의 결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전극이 정극일 경우, 전극 활물질, 즉 정극 활물질은, 부극 활물질보다도 표준 전극 전위가 귀(貴)한 물질을 사용한다. 정극 활물질로서는, Ni-Co-Mn계의 리튬 복합 산화물, Ni-Mn-Al계의 리튬 복합 산화물, Ni-Co-Al계의 리튬 복합 산화물 등의 니켈을 포함하는 리튬 복합 산화물, 코발트산리튬(LiCoO2), 스피넬형 망간산리튬(LiMn2O4), 올리빈형 인산철리튬, TiS2, MnO2, MoO3, V2O5 등의 칼코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정극 활물질로서, 이들 물질은 1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5-3. 증점제〕
증점제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셀룰로오스류의 암모늄염, 셀룰로오스류의 알칼리 금속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암모늄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알칼리 금속염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슬러리 중에서 전극 활물질이 분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전극 슬러리에 있어서의 증점제의 함유량은, 전극 활물질 100질량부에 대하여 0.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극 슬러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전극 활물질층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 간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 간의 결착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전극 슬러리에 있어서의 증점제의 함유량은, 전극 활물질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 슬러리의 도공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5-4. 수성 매체〕
수성 매체는, 물, 친수성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친수성의 용매의 예는, 공중합체(P)의 합성에 있어서의 수성 매체(b)의 설명에서 든 바와 같다. 전극 슬러리에 포함되는 수성 매체는, 결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성 매체(B), 혹은 공중합체(P)의 합성에 사용한 수성 매체(b)와 동일해도 되고,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5-5. 도전 보조제〕
도전 보조제로서는, 카본 블랙, 탄소 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으로서는, 퍼니스 블랙, 아세틸렌 블랙, 덴카 블랙(등록 상표)(덴카 가부시키가이샤제), 케첸 블랙(등록 상표)(케첸 블랙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탄소 섬유는, 카본 나노튜브, 카본 나노파이버 등을 들 수 있고, 카본 나노튜브로서는, 기상법 탄소 섬유인 VGCF(등록 상표,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5-6. 전극 슬러리의 성질〕
전극 슬러리의 불휘발분 농도는,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 슬러리 중의 유효 성분의 농도가 높아져서, 적은 전극 슬러리의 양으로, 충분한 양의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극 슬러리의 불휘발분 농도는, 전극 슬러리 중의 수성 매체의 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전극 슬러리의 불휘발분 농도는, 8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 슬러리의 도공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때문이다.
전극 슬러리의 점도는, 20000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mPa·s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mPa·s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 슬러리의 집전체에 대한 도포성을 향상시켜, 전극의 생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전극 슬러리의 점도는, 전극 슬러리의 불휘발분 농도 및 증점제의 종류 및 양에 따라 크게 영향 받는다.
23℃에서의 전극 슬러리의 pH는, 전극의 사양 및 제작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한정은 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이다. 전극 슬러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5-7. 전극 슬러리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극 슬러리를 조제하는 방법으로서는, 결합제 조성물과, 전극 활물질과, 필요에 따라 증점제와, 필요에 따라 수성 매체와, 필요에 따라 도전 보조제와, 필요에 따라 기타의 성분을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가하는 성분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정하면 된다. 혼합 방법으로서는, 교반식, 회전식, 진탕식 등의 혼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6.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이하, 「전극」이라고 하기도 한다)은 집전체와,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층을 구비한다. 전극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적층체나 권회체를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집전체 상에 대한 전극 활물질층의 형성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집전체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집전체의 일부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집전체가 판, 박 등의 형상일 경우, 전극 활물질층은, 집전체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편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6-1. 집전체〕
집전체는, 두께 0.001㎜ 이상 0.5㎜ 이하의 금속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으로서는, 철, 구리,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리스 등을 들 수 있다.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일 경우, 집전체는, 구리박인 것이 바람직하다.
〔6-2. 전극 활물질층〕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극 활물질층은, 전극 결합제 및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전극 활물질층은, 도전 보조제, 증점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에서 든 성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6-3. 전극의 제조 방법〕
전극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극 슬러리를 집전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한 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극 슬러리를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리버스 롤법, 다이렉트 롤법, 닥터 블레이드법, 나이프법, 익스트루전법, 커튼법, 그라비아법, 바법, 침지법, 스퀴즈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전극 슬러리의 점성 등의 여러 물성 및 건조성을 고려하면, 닥터 블레이드법, 나이프법, 또는 익스트루전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이 매끄럽고, 두께의 변동이 작은 전극 활물질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극 슬러리는, 집전체의 편면에만 도포해도 되고, 양면에 도포해도 된다. 전극 슬러리를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편면씩 축차 도포해도 되고, 양면 동시에 도포해도 된다. 또한, 전극 슬러리는, 집전체에 연속적으로 도포해도 되고, 간헐적으로 도포해도 된다. 전극 슬러리의 도포량은, 전지의 설계 용량 및 전극 슬러리의 조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전극 슬러리의 도포량은, 전극 슬러리의 성질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13mg/㎠ 이하(양면에 도포하는 경우, 편면당의 도포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슬러리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전극 표면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집전체 상에 도포된 전극 슬러리를 건조시킴으로써, 집전체 상에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된다. 전극 슬러리의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열풍, 감압 혹은 진공 환경, (원)적외선, 저온풍을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극 슬러리의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은, 전극 슬러리 중의 불휘발분 농도, 집전체에의 도포량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40℃ 이상 3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생산성의 관점에서, 6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1분 이상 3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집전체 상에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전극 시트는, 전극으로서 적당한 크기 및 형상으로 하기 위하여 절단되어도 된다. 전극 시트의 절단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슬릿, 레이저, 와이어 커트, 커터, 톰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 시트를 절단하기 전 또는 후에, 필요에 따라 전극 시트를 프레스해도 된다. 그에 의해 전극 활물질을 집전체에 의해 견고하게 결착시키고, 또한 전극을 얇게 하는 것에 의한 비수계 전지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프레스의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금형 프레스법 또는 롤 프레스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형 프레스법의 경우, 프레스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t/㎠ 이상 5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프레스법의 경우, 선압(線壓)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t/㎝ 이상 5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에 의한 상기 효과를 얻으면서, 전극 활물질에 대한 리튬 이온 등의 전하 캐리어의 삽입 및 탈리 용량의 저하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7. 비수계 이차 전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수계 이차 전지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전지의 구성은 여기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수계 이차 전지는, 정극과, 부극과, 전해액과, 필요에 따라 세퍼레이터 등의 부품이 외장체에 수용된 것이며, 정극 및 부극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전극을 사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수계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정극 및 부극의 적어도 한쪽이, 전극 결합제 중에 공중합체(P)를 포함하는데, 적어도 부극이 공중합체(P)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1. 전해액〕
전해액으로서는, 이온 전도성을 갖는 비수계의 액체를 사용한다. 전해액으로서는, 전해질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이온 액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전자가 바람직하다. 제조 비용이 낮고, 내부 저항이 낮은 비수계 전지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전해질로서는,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고, 전극 활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전해질로서는, 예를 들어, LiClO4, LiBF6,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B10Cl10, LiAlCl4, LiCl, LiBr, LiB(C2H5)4, CF3SO3Li, CH3SO3Li, LiCF3SO3, LiC4F9SO3, Li(CF3SO2)2N, 지방족 카르복실산리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해질로서, 기타의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해질을 용해하는 유기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PC), 디에틸카르보네이트(DEC), 메틸에틸카르보네이트(MEC),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플루오로에틸렌카르보네이트(FEC), 비닐렌카르보네이트(VC) 등의 탄산에스테르 화합물;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화합물;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프로필 등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직쇄 카르보네이트계 용매를 조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 카르보네이트계 용매로서는 탄산디에틸, 탄산디메틸, 탄산에틸메틸을 들 수 있다.
〔7-2. 외장체〕
외장체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과 수지 필름의 라미네이트재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지의 형상은, 코인형, 버튼형, 시트형, 원통형, 각형, 편평형 등,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의 일례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작하고, 비교예에 관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물은, 특별히 언급이 없다면, 이온 교환수이다.
<1. 공중합체(P)의 합성 및 결합제 조성물의 조제>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 단량체(a), 계면 활성제(c), 연쇄 이동제(f)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양으로, 수성 매체(b)로서 물과 혼합하여, 유화시킨 단량체 유화액을 제작하였다. 또한, 아크릴산은, 80질량% 수용액을 사용하고 있고, 표에 나타내는 아크릴산의 양은, 수용액에 포함되는 아크릴산의 양이다. 또한, 여기에서 첨가한 물의 양은, 아크릴산 수용액에 포함되는 물의 양과의 합계로 360질량부가 되도록 하였다.
단량체(a3)에 대해서, 표 1 및 표 2에 있어서의 화합물(a3-1), 화합물(a3-2) 및 화합물(a3-3)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화합물(a3-1), 화합물(a3-2) 및 화합물(a3-3)은 모두, 구조 단위 (10)을 포함하는 블록, 구조 단위 (11)을 포함하는 블록 및 구조 단위 (12)를 포함하는 블록이 이 순으로 배열된 3원 블록 공중합체이다. 구조 단위 (10), (11) 및 (12)의 구조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화합물(a3-1)은 구조 단위 (10)을 30몰%, 구조 단위 (11)을 69몰%, 구조 단위 (12)를 1.0몰% 포함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이다. 화합물(a3-2)은 구조 단위 (10)을 93몰%, 구조 단위 (11)을 6.0몰%, 구조 단위 (12)를 1.0몰% 포함하고, 풀루란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0이다. 화합물(a3-3)은 구조 단위 (10)을 96몰%, 구조 단위 (11)을 1.0몰%, 구조 단위 (12)를 3.0몰% 포함하고, 풀루란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0이다.
냉각관,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를 갖는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물 169질량부를 넣고, 75℃로 승온하였다. 이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단량체 유화액과, 중합 개시제(e1)로서 과황산칼륨 2.2질량부를 물 48질량부에 용해한 수용액을 80℃에서 4시간에 걸쳐서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유화 중합하였다. 단량체 유화액과 과황산칼륨 수용액을 적하한 후,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의 혼합액을 80℃에서 60분 교반하였다.
이어서, 중합 개시제(e2)로서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가야쿠아쿠조 가부시키가이샤제, 비자나무 부틸 B) 0.81질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0.52질량부를, 8.1질량부의 물에 용해한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중합 개시제(e3)로서 ter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가야쿠아쿠조 가부시키가이샤제, 비자나무 부틸 H-70) 2.3질량부를 15질량부의 물에 용해한 수용액과, 론갈리트 2.3질량부를 15질량부의 물에 용해한 수용액을 적하하면서 60분 교반하고, 중합을 행하였다. 그 후, 실시예에 따른 공중합체(P)의 수계 에멀션 및 비교예에 관한 중합체(CP)의 수계 에멀션이 얻어졌다.
얻어진 수계 에멀션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그 후, 수계 에멀션을 중화하기 위해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25질량%의 암모니아수 19질량부 및 물 155질량부를 첨가하고, 실시예에 따른 공중합체(P)를 포함하는 결합제 조성물 및 실시예에 따른 중합체(CP)를 포함하는 결합제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표 1과 표 2에 나타내지는 암모니아의 양은, 암모니아수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양을 나타낸다.
공중합체(P)의 합성 공정 및 중합체(CP)의 합성 공정에서 사용한 물의 합계량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과 표 2에 나타내지는 물의 양은, 단독으로 첨가한 물뿐만 아니라, 상기 아크릴산 수용액 및 암모니아수에 포함되는 물 및 중합 개시제 등과 함께 첨가되는 물도 포함된다.
<2. 공중합체(P), 중합체(CP) 및 결합제 조성물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결합제 조성물, 이들 결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전지의 물성 및 성능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2-1. 공중합체(P) 및 중합체(CP)의 유리 전이점 Tg〕
폴리에틸렌 시트 상에 결합제 조성물을 유연하고, 50℃, 5시간 건조시킨 뒤, 50℃에서 1시간 98kPa 조건 하에서 진공 건조시켜서 두께 0.5㎜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을 2㎜×2㎜로 커트하고, 알루미늄팬에 밀봉하여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사제 EXSTAR DSC/SS7020을 사용하여 승온 속도 10℃/분,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DSC 측정을 행하였다. DSC의 온도 미분으로서 얻어지는 DDSC 차트의 피크 톱 온도를 측정하고, 이 온도를 공중합체(P) 및 중합체(CP)의 유리 전이점 Tg(℃)로 하였다. 측정 온도 범위는 -40℃ 내지 200℃로 하였다.
〔2-2. 불휘발분 농도〕
직경 5㎝의 알루미늄 접시에 결합제 조성물을 1g 칭량하고, 1 기압(1013hPa)에서, 건조기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105℃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에 남은 성분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건조 전의 결합제 조성물의 질량(1g)에 대한, 건조 후에 남은 상기 성분의 질량 비율(질량%)을 불휘발분 농도로서 산출하였다.
〔2-3. 조립량〕
300mesh의 눈 크기의 금속망을 사용하여 결합제 조성물을 1L 체 분리하고, 그 후, 금속망을 이온 교환수로 세정하여 결합제 조성물의 액체 잔분을 제거하였다. 세정 후의 금속망을 1 기압(1013hPa)에서, 건조기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105℃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의 금속망 질량을 측정하였다. 건조 후의 금속망의 질량과, 사용한 금속망 단독의 질량의 차를 조립량(g/L)으로서 산출하였다.
<3. 전극 및 전지 성능의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결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작하고, 평가를 행하였다.
〔3-1. 전지의 제작〕
[3-1-1. 정극의 제작]
정극 활물질로서 LiNi0.6Mn0.2Co0.2O2를 94질량부, 도전 보조제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3질량부, 결합제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 3질량부를 혼합한 것에, N-메틸피롤리돈을 50질량부 가하고 더 혼합하여 정극 슬러리를 제작하였다.
두께 15㎛의 알루미늄박(정극 집전체)의 양면에, 정극 슬러리를, 다이렉트 롤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정극 집전체에의 정극 슬러리의 도포량은, 후술하는 롤 프레스 처리 후의 두께가 편면당 125㎛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정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정극 슬러리를, 120℃에서 5분 건조시키고, 롤 프레스에 의해(생크메탈사제, 프레스 하중 5t, 롤 폭 7㎝) 프레스하여,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정극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정극 시트를 50㎜×40㎜로 잘라내고, 도전 탭을 붙여서 정극을 제작하였다.
[3-1-2. 부극의 제작]
부극 활물질로서 인조 흑연(G49, 지천테크놀로지(江西紫宸科技有限公司 Jiangxi Zichen Technology Co.,Ltd)제)을 100질량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결합제 조성물을 3.9질량부(불휘발분으로서 1.5질량부) 및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닛폰 세이시 케미컬(주)제 선로즈(등록 상표) MAC500LC)의 2질량% 수용액을 62질량부 혼합하고, 또한 물을 28질량부 첨가하여, 부극 슬러리를 얻었다.
두께 10㎛의 구리박(부극 집전체)의 양면에, 부극 슬러리를, 다이렉트 롤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부극 집전체에의 부극 슬러리의 도포량은, 후술하는 롤 프레스 처리 후의 두께가 편면당 170㎛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부극 집전체 상에 도포된 부극 슬러리를, 90℃에서 10분 건조시키고, 롤 프레스에 의해(생크메탈사제, 프레스 하중 8t, 롤 폭 7㎝) 프레스하여, 집전체 상에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부극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부극 시트를 52㎜×42㎜로 잘라내고, 도전 탭을 붙여서 부극을 제작하였다.
[3-1-3. 전지의 제작]
정극과 부극 사이에 폴리올레핀계의 다공성 필름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폴리에틸렌제, 25㎛)를 개재시키고, 정극 활물질층과 부극 활물질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외장체(전지 팩) 중에 수납하였다. 이 외장체 중에 전해액을 주액하여 진공 함침을 행하고, 진공 히트 실러로 패킹하여, 평가용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전해액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EMC)/디에틸카르보네이트(DEC)=30/50/20(체적비)의 혼합 용매에 LiPF6을 1.0mol/L로 용해시킨 용액 99질량부에, 비닐렌카르보네이트 1질량부를 혼합하여 제작하였다.
〔3-2. 전극 및 전지의 평가〕
[3-2-1. 부극 활물질층의 박리 강도(전극 성능)]
부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박리 강도를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부극 제작 공정에서의 프레스 후의 부극 시트를 25㎜×100㎜의 사이즈로 커트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시험편 상의 부극 활물질층과, 폭 50㎜, 길이 200㎜ SUS판을 양면 테이프(NITTOTAPE(등록 상표) No.5, 닛토덴코(주)제)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중심과 SUS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접합하였다. 또한, 양면 테이프는 시험편의 전체 범위를 커버하도록 접합하였다.
시험편과 SUS판을 접합한 상태에서 10분 방치한 후, 부극 활물질층을, 시험편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20㎜ 박리하고, 구리박 측의 시험편을 180°절첩하고, 이 부분(부극 활물질층을 박리한 시험편의 부분의 구리박 측)을 시험기의 상측 척으로 파지하였다. 또한, 부극 활물질층을 박리된 쪽의 SUS판의 일단부를 하측 척으로 파지하였다. 그 상태에서, 시험편으로부터 구리박을 100±10㎜/min의 속도로 뜯고, 박리 길이(㎜)-박리력(mN)의 그래프를 얻었다. 얻어진 그래프에 있어서 박리 길이 10 내지 45㎜에 있어서의 박리력의 평균값(mN)을 산출하고, 박리력의 평균값을 시험편의 폭 25㎜로 나눈 수치를 부극 활물질층의 박리 강도(mN/㎜)로 하였다. 또한, 어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든, 시험 중, 양면 테이프와 SUS판 간에서의 박리 및 양면 테이프와 부극 활물질층 간에서의 계면 박리는 일어나지 않았다.
[3-2-2. 고온 하에서의 사이클 용량 유지율(전지 성능)]
전지의, 고온 하에서의 사이클 용량 유지율은, 45℃의 조건 하, 이하의 공정 (i) 내지 (iv)의 순으로 반복하여 행하였다. 여기서, (i) 내지 (iv)의 일련의 조작 1회분을 1사이클로 한다.
(i) 전압 4.2V로 될 때까지, 전류 1C로 충전한다(정전류(CC) 충전).
(ii) 전압 4.2V에서, 전류 0.05C가 될 때까지 충전한다(정전압(CV) 충전). (iii) 30분 정치한다.
(iv) 전압 2.75V가 될 때까지 전류 1C로 방전한다(정전류(CC) 방전).
공정 (i) 및 (ii)에 있어서의, 전류의 시간 적분값을 충전 용량, 공정 (iv)에 있어서의, 전류의 시간 적분값을 방전 용량으로 한다. 1사이클째의 방전 용량 및 100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100×(100사이클째의 방전 용량)/(1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을 전지의 고온 하에서의 사이클 용량 유지율로서 산출하고, 표 1과 표 2에 나타냈다.
〔3-2-3. 내부 저항(DCR)〕
전지의 내부 저항(DCR(Ω)) 시험은, 25℃의 조건 하, 이하의 수순으로 행하였다. 레스트 포텐셜로부터 3.6V까지 0.2C의 정전류 충전하고, 충전 상태를 초기 용량의 50%(SOC 50%)로 하였다. 그 후, 0.2C, 0.5C, 1C 및 2C의 각 전류값으로 60초간 방전을 행하였다. 이들 4종의 전류값(1초간에서의 값)과 전압의 관계로부터 SOC 50%에서의 DCR(Ω)을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1과 2에 나타냈다.
<4. 평가 결과>
각 실시예의 평가 결과를 보면,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든, 결합제 조성물 중의 조립량이 적은 것으로부터, 이들 실시예에 관한 공중합체(P)는 조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극의 평가에 있어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극이든 부극 활물질층의 박리 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전지의 평가에 있어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지이든 낮은 내부 저항 및 높은 방전 용량 유지율(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다.
비교예 1에서는,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를 갖지 않는 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비교예 1에 관한 중합체를 전극 결합제로서 사용하여 제작된 전극에서는 부극 활물질층의 박리 강도가 낮고, 이 전극을 사용하여 제작된 전지는 내부 저항이 높았다.
비교예 2에서는,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를 과잉으로 포함하는 중합체를 합성했지만, 겔화가 진행하여, 이 중합체를 전극 결합제로서 사용한 전극 및 전지를 제작할 수 없었다.
비교예 3에서는,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비교예 3에 관한 중합체를 전극 결합제로서 사용하여 제작된 전극에서는 부극 활물질층의 박리 강도가 낮았다.
비교예 4에서는,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를 과잉으로 포함하는 중합체를 합성했지만, 겔화가 진행하여, 이 중합체를 전극 결합제로서 사용한 전극 및 전지를 제작할 수 없었다.
비교예 5에서는, 내부 가교제(a4)에서 유래되는 제4 구조 단위를 과잉으로 포함하는 중합체를 합성했지만, 겔화가 진행하여, 이 중합체를 전극 결합제로서 사용한 전극 및 전지를 제작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갖는 공중합체(P)에 의하면, 비수계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층의 집전체에 대한 박리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서, 전지의 내부 저항의 저감 및 사이클 특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Claims (15)
-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중합체로서,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와,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와,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를 갖거나; 혹은, 단량체(a1)에서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와, 단량체(a2)에서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와, 단량체(a3)에서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와, 내부 가교제(a4)에서 유래되는 제4 구조 단위를 갖고,
상기 단량체(a1)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히드록시기 및 시아노기의 어느 것도 갖지 않고,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갖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비이온성 화합물이며,
상기 단량체(a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및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고, 폴리옥시알킬렌 구조 및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의 어느 것도 갖지 않는 화합물이며,
상기 단량체(a3)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제31 구조 단위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제32 구조 단위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제33 구조 단위를 갖고,
상기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구조 단위를, 1.0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3 구조 단위를, 0.010질량부 이상 70질량부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제4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0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화합물이며,
상기 내부 가교제(a4)는 상기 단량체(a3)에 해당하지 않고,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고, 상기 단량체(a1), 상기 단량체(a2) 및 상기 단량체(a3)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라디칼 중합에 있어서 가교 구조를 형성 가능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
(식 (2)에 있어서, R1은,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이상 6 이하의 알킬기이다.)
(식 (3)에 있어서, R2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관능기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a3)는
상기 제31 구조 단위, 상기 제32 구조 단위 및 상기 제33 구조 단위의 합계량에 대하여
상기 제31 구조 단위를, 5.0몰% 이상 98몰%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32 구조 단위를, 0.30몰% 이상 90몰% 이하 포함하고,
상기 제33 구조 단위를, 0.30몰% 이상 10몰% 이하 포함하는 공중합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a3)는 1분자 중에 독립적인 복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공중합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 (3)에 있어서, R2는, 비닐옥시기, 알릴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OCH2-CH2-CH2=CH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공중합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a3)는 상기 제31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1 블록, 상기 제32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33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3 블록을 갖는 공중합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a3)는 전체 구조 단위 중, 상기 제31 구조 단위, 상기 제32 구조 단위 및 상기 제33 구조 단위를 합계로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a1)는 극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공중합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a2)는 카르복시기 및 술포기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화합물인 공중합체.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 단위, 상기 제2 구조 단위 및 상기 제3 구조 단위를 합계로 80질량%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 단위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제4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0.050질량부 이상인 공중합체.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가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 제13항에 기재된 결합제와, 전극 활물질과, 수성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제와 상기 전극 활물질이,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고,
해당 수성 매체는, 물, 친수성의 용매, 및 물과 친수성의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매체인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 제13항에 기재된 결합제를 포함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184544 | 2020-11-04 | ||
JPJP-P-2020-184544 | 2020-11-04 | ||
PCT/JP2021/040613 WO2022097683A1 (ja) | 2020-11-04 | 2021-11-04 | 共重合体、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及び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1828A true KR20230101828A (ko) | 2023-07-06 |
Family
ID=8145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16146A Pending KR20230101828A (ko) | 2020-11-04 | 2021-11-04 |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WO2022097683A1 (ko) |
KR (1) | KR20230101828A (ko) |
CN (1) | CN116547328A (ko) |
WO (1) | WO202209768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72753B (zh) * | 2022-08-12 | 2024-11-26 | 无锡零一未来新材料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池水溶型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WO2024040489A1 (zh) * | 2022-08-25 | 2024-02-29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功能聚合物、电极浆料、电极极片、电池及用电装置 |
US20250112248A1 (en) * | 2023-03-30 | 2025-04-03 | Resonac Coporation | Electrode binder for biofuel cel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7519A (ja) | 2009-02-11 | 2012-08-02 |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 延性ポリマーバインダー及び該バインダーを使用する電池構成成分 |
JP2014239070A (ja) | 2014-08-20 | 2014-12-18 | Jsr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14890A (ja) * | 2011-11-29 | 2013-06-10 | Kuraray Co Ltd | 導電ペースト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
KR102318779B1 (ko) * | 2013-12-17 | 2021-10-27 |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계면활성제 반응성 에멀젼 중합 마이크로-겔 |
WO2020017442A1 (ja) * | 2018-07-19 | 2020-01-23 | 昭和電工株式会社 | 非水系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用共重合体、および非水系電池電極製造用スラリー |
JP7366719B2 (ja) * | 2019-12-04 | 2023-10-23 | 日本製紙株式会社 | 水硬性組成物 |
-
2021
- 2021-11-04 CN CN202180073191.2A patent/CN116547328A/zh active Pending
- 2021-11-04 KR KR1020237016146A patent/KR20230101828A/ko active Pending
- 2021-11-04 WO PCT/JP2021/040613 patent/WO202209768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1-04 JP JP2022560809A patent/JPWO2022097683A1/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7519A (ja) | 2009-02-11 | 2012-08-02 |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 延性ポリマーバインダー及び該バインダーを使用する電池構成成分 |
JP2014239070A (ja) | 2014-08-20 | 2014-12-18 | Jsr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547328A (zh) | 2023-08-04 |
WO2022097683A1 (ja) | 2022-05-12 |
JPWO2022097683A1 (ko) | 2022-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934269B (zh) | 锂离子二次电池电极用粘结剂、使用这些电极用粘结剂得到的浆料、使用这些浆料得到的电极及使用这些电极得到的锂离子二次电池 | |
KR100642082B1 (ko) | 리튬이온 2차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및 그 이용 | |
US20140054496A1 (en) | Slurry obtained using binder for battery electrodes, electrode obtained using the slur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btained using the electrode | |
KR20230101828A (ko) | 공중합체,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결합제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 |
KR102230563B1 (ko) | 전극 바인더용 공중합체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
KR20180023994A (ko) |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극용 슬러리,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극용 슬러리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을 구비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230003133A (ko) |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 |
JP7272272B2 (ja) | 非水系電池電極用スラリーの製造方法 | |
KR20210032386A (ko) | 비수계 전지 전극용 바인더용 공중합체, 및 비수계 전지 전극 제조용 슬러리 | |
EP3872906B1 (en) |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slur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 |
KR20230124923A (ko) |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결합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결합제 조성물,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 | |
TWI637551B (zh) | 能量裝置電極用黏結樹脂材料、能量裝置電極及能量裝置 | |
JP7384223B2 (ja) | 電極バインダー用共重合体、電極バインダー樹脂組成物、及び非水系二次電池電極 | |
WO2023120066A1 (ja) | 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バインダー共重合体、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バインダー樹脂組成物、及び非水系二次電池電極 | |
JP2016143635A (ja) | エネルギーデバイス電極用共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エネルギーデバイス | |
JP6868751B1 (ja) | 非水系二次電池電極、電極スラリー、及び非水系二次電池 | |
TW202419477A (zh) | 非水系二次電池用黏合劑聚合物、非水系二次電池用黏合劑組成物及非水系二次電池電極 | |
CN118451567A (zh) | 非水系二次电池用粘合剂聚合物、非水系二次电池用粘合剂组合物及非水系二次电池电极 | |
KR20250111211A (ko) | 비수계 이차 전지 부극용 바인더 조성물 및 비수계 이차 전지 부극 | |
CN120390759A (zh) | 复合粒子、非水系二次电池用粘合剂组合物及非水系二次电池电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5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