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01420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420A
KR20230101420A KR1020210191514A KR20210191514A KR20230101420A KR 20230101420 A KR20230101420 A KR 20230101420A KR 1020210191514 A KR1020210191514 A KR 1020210191514A KR 20210191514 A KR20210191514 A KR 20210191514A KR 20230101420 A KR20230101420 A KR 2023010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am pattern
heat transfer
heat
coo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진
백창우
서재곤
신진섭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420A/ko
Publication of KR2023010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42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2For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9Attachment of the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4Cooling arrangements using thermoelectric means, e.g. Pelti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 미러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여 가변 빔 패턴을 형성하는 가변 빔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빔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학부, 및 상기 가변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 광학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반사부의 열을 상기 냉각부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냉각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미러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 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전조등은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주변 밝기가 낮은 터널 등을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야간에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야간에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0433호 (2014.02.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이크로 미러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여 가변 빔 패턴을 형성하는 가변 빔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빔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학부, 및 상기 가변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 광학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반사부의 열을 상기 냉각부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냉각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냉각부에 접촉하는 열 전달 플레이트, 및 상기 열 전달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에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이 연결되고, 상기 열 전달 플레이트는 상기 전력선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방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열 전달부를 상기 하우징 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는 탄성력으로 상기 열 전달부를 상기 반사부에 밀착시킨다.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반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 표면에 의한 상기 반사부로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냉각부에 밀착하여 상기 냉각부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방열 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표면에서 돌출된 방열핀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는 펠티에(peltier)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열 전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 전달부의 열을 상기 냉각부로 전달하는 열 전달 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 전달 패드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열 전달부 간의 압력을 완화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마이크로 미러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차량용 램프가 구비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로우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평행한 컷 오프 라인을 포함하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하이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하이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암영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하이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가변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가변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로우 빔 패턴, 하이 빔 패턴에 가변 빔 패턴이 중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가변 빔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변 빔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는 빔 패턴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은 반사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반사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반사부의 반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은 가변 빔 형성부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냉각부의 측면도이다.
도 17는 냉각부와 열 전달부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열 전달부가 하우징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은 반사부와 하우징 몸체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하우징 몸체와 완충부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는 열 전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은 방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방열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하우징 몸체와 방열부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차량용 램프가 구비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용 램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1)이 야간이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차량용 램프(10)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헤드 램프에 한정되지 않고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등과 같이 차량(1)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 전방의 근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차량(1)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HP)(도 5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하이 빔 패턴(HP)을 형성함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10)는 대향 차량이나 선행 차량과 같은 상대 차량이 존재할 때 상대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소시켜 암영대(Shadow area)를 형성할 수 있다. 암영대가 형성됨에 따라 상대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의 전방 좌측에 구비된 제1 차량용 램프(10) 및 차량(1)의 전방 우측에 구비된 제2 차량용 램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차량용 램프(10)는 좌측 헤드 램프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차량용 램프(10)는 우측 헤드 램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의 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의 용도에 따라 광 조사부의 개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는 로우 빔 형성부(11), 하이 빔 형성부(12) 및 가변 빔 형성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우 빔 형성부(11)는 광을 조사하여 로우 빔 패턴(LP)(도 3 참조)을 형성하고, 하이 빔 형성부(12)는 광을 조사하여 하이 빔 패턴(HP)을 형성할 수 있다.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을 형성하기 위하여 로우 빔 형성부(11) 및 하이 빔 형성부(12)는 광원(미도시), 리플렉터(미도시) 및 렌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가변 빔 형성부(13)는 광을 조사하여 가변 빔 패턴(VP1, VP2)(도 7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변 빔 패턴(VP1, VP2)은 그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빔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빔 패턴의 형성면 중 일부로는 광이 조사되고 다른 일부로는 광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서, 광이 조사되는 영역과 광이 조사되지 않는 영역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가변 빔 패턴(VP1, VP2)을 이용하는 경우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정보 이미지가 빔 패턴의 형성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로우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평행한 컷 오프 라인을 포함하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하이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하이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암영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하이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가변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가변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로우 빔 패턴, 하이 빔 패턴에 가변 빔 패턴이 중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로우 빔 패턴(LP)은 컷 오프 라인(CL)을 포함할 수 있다.
컷 오프 라인(CL)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경사진 라인일 수 있다. 컷 오프 라인(CL)을 기준으로 로우 빔 패턴(LP)의 좌측 및 우측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로우 빔 패턴(LP)은 차량(1)의 근거리 전방에 형성되어 근거리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 빔 패턴(LP)은 상측이 평행한 컷 오프 라인(CL)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로우 빔 패턴(LP)의 좌측 및 우측이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하, 경사진 라인의 컷 오프 라인(CL)이 포함된 로우 빔 패턴(LP)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이 빔 패턴(HP)은 선택적으로 암영대(SD)를 포함할 수 있다.
암영대(SD)는 광이 조사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이 빔 패턴(HP)은 암영대(SD)를 포함할 수 있다. 암영대(SD)의 위치는 하이 빔 패턴(HP)의 전체 영역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개수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하이 빔 패턴(HP)의 전체 영역 중 암영대의 배치는 별도의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주변 환경에 따른 광이 조사되도록 하이 빔 형성부(12)를 제어하고, 하이 빔 형성부(12)는 제어 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른 하이 빔 패턴(HP)을 형성할 수 있다.
하이 빔 패턴(HP)은 차량(1)의 원거리 전방에 형성되어 원거리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 빔 패턴(HP)은 로우 빔 패턴(LP)에 비하여 차량(1)의 원거리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빔 패턴(HP)은 암영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이 빔 패턴(HP)의 전역에 걸쳐 항상 균일한 광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가변 빔 패턴(VP1, VP2)은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을 포함하는 일정 크기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중심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에 일치할 수 있고,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과 마찬가지로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빔 패턴 형성면의 특정 지점에 형성된 일정 크기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각각 차지하는 영역은 예를 들어,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영역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영역의 형상이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타원 또는 기하학적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 사각형의 영역을 차지한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면적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면적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가로 길이(H2)는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가로 길이(H1)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에 비하여 차량(1)의 원거리로 조사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조사되더라도 확산되면서 넓은 면적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전방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에 비하여 차량(1)의 근거리로 조사될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 간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이 형성된 경우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형성되지 않고,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형성된 경우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변 빔 패턴(VP1, VP2)은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에 중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에 형성되거나 중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상측에 형성되고,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에 비하여 원거리에 형성되고, 로우 빔 패턴(LP)을 보조하거나 하이 빔 패턴(HP)을 보조하여 해당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에 의해 근거리 전방 시야 또는 원거리 전방 시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운전자에게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주행 방향, 주행 속도 또는 교통 정보 등의 운행 정보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이미지의 형태로 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과 유사하게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운전자에게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주행 방향, 주행 속도 또는 교통 정보 등의 운행 정보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이미지의 형태로 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환영(welcome) 또는 환송(goodbye)을 의미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면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1)에 근접하거나 차량(1)에서 멀어지는 경우 운전자를 환영하거나 환송을 의미하는 광 패턴, 이미지 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노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로우 빔 패턴(LP)에 비하여 차량(1)의 근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차량(1)의 전방 3미터~10미터 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제1 가변 빔 패턴(VP1)과는 상이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이 차량의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차량의 운행 정보와는 무관한 상이한 정보이거나 차량의 운행 정보와는 관련되면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은 가변 빔 형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가변 빔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가변 빔 형성부(13)는 제1 광학부(100), 제2 광학부(200) 및 빔 패턴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광학부(100)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는 제1 광학 그룹(181)(도 15 참조) 및 제2 광학 그룹(182)(도 1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하고, 제2 광학 그룹(182)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의 광 및 제2 광학 그룹(182)의 광은 차량(1)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300)는 가변 빔 패턴(VP1, VP2)의 형성을 위하여 제1 광학부(100)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빔 패턴 형성부(300)에 의해 반사되어 가변 빔 패턴(VP1, VP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빔 패턴 형성부(300)는 입사된 광 중 일부는 제2 광학부(200)를 향해 반사시키고, 다른 일부는 제2 광학부(200)를 향하지 않도록 반사하여 일정 형상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는 빔 패턴 형성부(300)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는 입사된 광을 집광시켜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형상의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광의 집광을 위하여 제2 광학부(20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로 입사된 광이 복수의 렌즈를 투과함으로써 집광되어 출사될 수 있다.
도 11는 빔 패턴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은 반사부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반사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반사부의 반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빔 패턴 형성부(300)는 하우징(310, 320), 반사부(330), 기판(340), 냉각부(350) 및 열 전달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 320)은 하우징 몸체(310) 및 방열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몸체(310) 및 방열부(320)는 상호 결합하여 반사부(330), 기판(340), 냉각부(350) 및 열 전달부(360)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 몸체(310)은 제1 광학부(100) 및 제2 광학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부(330), 기판(340), 냉각부(350), 열 전달부(360), 제1 광학부(100) 및 제2 광학부(200)가 하우징(310, 320)에 수용되거나 결합됨으로써 차량용 램프(10)가 일체형으로 운용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반사부(330)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미러(M)는 제1 광학부(100)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는 개별적으로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미러(M)의 자세에 의하여 반사 광의 조사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반사부(330)로 입사된 광은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에 의하여 반사되는데, 마이크로 미러(M)의 자세에 의하여 해당 마이크로 미러(M)에 의하여 반사된 부분 광의 조사 각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미러(M1, M2)는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330)를 구성하는 각 마이크로 미러(M1, M2)는 개별적으로 자세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 미러(M1, M2)는 2개의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제1 자세를 갖는 마이크로 미러(M1)와 제2 자세를 갖는 마이크로 미러(M2)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자세를 갖는 경우 마이크로 미러(M1)는 입사된 광(L)을 반사시켜 제1 방향(L1)으로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제2 자세를 갖는 경우 마이크로 미러(M2)는 입사된 광(L)을 반사시켜 제1 방향(L1)과는 상이한 제2 방향(L2)으로 조사할 수 있다.
반사부(330)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1, M2)는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1, M2)는 화살표의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화살표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미러(M2)가 제2 자세를 갖고, 나머지 마이크로 미러(M1)가 제1 자세를 갖는 경우 화살표의 주행 정보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변 빔 패턴(VP1, VP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미러(M)는 출원 번호 10-2017-0163204의 특허 문헌에서 기재하고 있는 마이크로 미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반사부(330)는 제1 반사 영역(R1) 및 제2 반사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을 형성하고, 제2 반사 영역(R2)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에 포함된 마이크로 미러(M)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가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제1 가변 빔 패턴(VP1)이 형성되고, 제2 반사 영역(R2)에 포함된 마이크로 미러(M)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가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에 유사한 형상을 갖고, 제2 반사 영역(R2)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에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반사 영역(R2)의 면적은 제1 반사 영역(R1)의 면적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고, 제2 반사 영역(R2)의 가로 길이는 제1 반사 영역(R1)의 가로 길이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 영역(R2)은 제1 반사 영역(R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과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은 교차하여 제2 광학부(200)로 조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은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상측 방향으로 조사되고,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은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하측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은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제2 광학부(200)의 상측에 입사되고,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은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제2 광학부(200)의 하측에 입사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은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원거리로 조사되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을 형성하고,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은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근거리로 조사되어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1를 설명하면, 기판(340)은 반사부(3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330)는 기판(340)에 구비된 슬롯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340)은 하우징(310, 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310, 320)의 내부에서 기판(340)과 함께 반사부(3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기판(34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반사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반사부(330)는 기판(340)에서 전달된 전력으로 동작하여 입사된 광을 특정 패턴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냉각부(350)는 반사부(33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사부(330)는 제1 광학부(100)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330)는 제1 광학부(100)로부터 입사된 광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반사부(330)의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반사부(330)가 오동작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냉각부(350)는 반사부(330)의 온도가 임계 온도의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각부(350)는 펠티에(peltier)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냉각부(350)가 펠티에 소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 전달부(360)는 반사부(330)의 열을 냉각부(35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각부(350)는 반사부(330)의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열 전달부(360)는 반사부(330)에 최적의 형태로 밀착하여 반사부(330)의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냉각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열 전달부(360)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열 전도율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방열부(320)는 냉각부(350)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방열부(320)는 냉각부(350)에 밀착하여 냉각부(35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열부(320)는 하우징 몸체(310)와 결합하여 반사부(330), 기판(340), 냉각부(350) 및 열 전달부(36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방열부(320)가 부품의 수용 및 열의 배출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각 기능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은 가변 빔 형성부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제2 광학부(200)를 통해 투과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는 제1 광학 그룹(181) 및 제2 광학 그룹(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형성을 위한 광(La)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은 제1 광원(130a) 및 제1 렌즈 세트(121a, 12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광원(130a)은 제1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렌즈 세트(121a, 122a)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고, 제1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광학 그룹(182)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형성을 위한 광(Lb)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학 그룹(182)은 제2 광원(130b) 및 제2 렌즈 세트(121b, 1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광원(130b)은 제2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렌즈 세트(121b, 122b)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고, 제2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에서 조사된 광은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제2 광학부(200)를 투과하여 제1 가변 빔 패턴(VP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광학 그룹(182)에서 조사된 광은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제2 광학부(200)를 투과하여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는 냉각부의 측면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냉각부(350)는 저온부(351) 및 고온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온부(351)는 공급된 전력에 의해 온도가 하강하고, 고온부(352)는 공급된 전력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저온부(351)는 열 전달부(360)에 밀착하고, 고온부(352)는 방열부(320)에 밀착할 수 있다.
도 17는 냉각부와 열 전달부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를 참조하면, 냉각부(350)는 열 전달부(360)에 밀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 전달부(360)는 열 전달 플레이트(361)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달 플레이트(361)는 냉각부(350)에 접촉하여 반사부(330)의 열을 냉각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전달 플레이트(361)는 냉각부(350)의 저온부(351)에 접촉하여 반사부(330)의 열을 신속하게 냉각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냉각부(350)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370)이 연결될 수 있다. 냉각부(350)는 전력선(370)을 통해 공급된 전력으로 저온부(351) 및 고온부(352)의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전력선(370)이 저온부(351) 또는 고온부(352)의 표면에 존재하는 경우 냉각부(350)의 냉각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열 전달 플레이트(361)는 전력선(370)을 지지하는 지지부(36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61a)는 전력선(37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61a)에 의해 냉각부(350)에서 연장된 전력선(370)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전력선(370)에 의한 냉각부(350)의 냉각 효율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냉각부(350)와 열 전달부(360)의 사이에는 열 전달 패드(380)가 구비될 수 있다. 열 전달 패드(380)는 냉각부(350)와 열 전달부(360)의 사이에 배치되어 열 전달부(360)의 열을 냉각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열 전달 패드(380)는 상대적으로 높은 열 전도율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부(350)는 방열부(320)의 내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열 전달부(360)에 가압될 수 있다. 열 전달부(360)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냉각부(350)가 열 전달부(360)에 지나치게 큰 압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냉각부(350)가 파손될 수 있다. 열 전달부(360)에 가압된 냉각부(35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 전달 패드(380)는 복원력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열 전달 패드(380)는 냉각부(350)와 열 전달부(360) 간의 압력을 완화시키며, 이로 인해 냉각부(35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냉각부(350)의 파손 우려가 없는 상태에서 열 전달 패드(380)는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냉각부(350)와 열 전달부(360) 간의 열 전달을 위하여 써멀 페이스트(thermal paste)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냉각부(350)와 열 전달부(360)의 사이에 열 전달 패드(380)가 배치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열 전달부가 하우징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열 전달부(360)는 하우징 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열 전달부(360)를 하우징 몸체(310)에 결합시킴에 있어서 결합부(390)가 이용될 수 있다. 결합부(390)는 직접적으로 하우징 몸체(310)에 결합될 수 있는데, 하우징 몸체(310)에 결합된 결합부(390)는 탄성력으로 열 전달부(360)를 반사부(330)에 밀착시킬 수 있다.
결합부(390)는 결합 볼트(391) 및 탄성부(3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 볼트(391)는 하우징 몸체(3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열 전달부(360)는 결합 볼트(391)를 관통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볼트(391)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하우징 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392)는 결합 볼트(391)와 열 전달부(3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볼트(391)가 하우징 몸체(310)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탄성부(392)는 결합 볼트(391)의 헤드 및 열 전달부(360)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탄성부(392)의 탄성력에 의해 열 전달부(360)가 반사부(330)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9은 반사부와 하우징 몸체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하우징 몸체와 완충부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반사부(330)는 하우징 몸체(310)에 밀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 전달부(360)는 탄성부(392)의 탄성력에 의해 반사부(330)에 밀착할 수 있다. 반사부(330)는 열 전달부(360)에 의한 압력으로 하우징 몸체(310)의 내측면에 밀착할 수 있다. 한편, 반사부(330)가 하우징 몸체(310)에 지나치게 큰 압력으로 가압되는 경우 반사부(330)가 파손될 수 있다. 하우징 몸체(310)에 가압된 반사부(3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 몸체(310)와 반사부(330)의 사이에는 완충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400)는 하우징 몸체(310)와 반사부(330)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 몸체(310)의 내측 표면에 의한 반사부(330)로의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완충부(400)는 복원력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400)는 반사부(330)의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하우징의 내측 표면에 밀착하여 반사부(330)의 표면을 밀폐시킬 수 있다.
반사부(330)는 제어 모듈(331) 및 미러 모듈(3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 모듈(331)은 기판(340)에 결합되어 제어 신호 및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미러 모듈(332)을 제어할 수 있다. 미러 모듈(332)은 전술한 마이크로 미러(M)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1)에 의해 미러 모듈(332)에 포함된 마이크로 미러(M)가 자세를 전환하여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미러 모듈(332)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가변 빔 패턴(VP1, VP2)의 형태가 왜곡될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많은 이물질이 미러 모듈(332)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미러 모듈(332)이 파손될 수도 있다.
미러 모듈(332)은 제어 모듈(331)에 의해 둘러싸여 그 표면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완충부(400)는 미러 모듈(332)의 가장자리인 제어 모듈(331)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완충부(400)는 링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400)는 하우징 몸체(310)의 내측 표면에 밀착할 수 있다. 완충부(400)가 미러 모듈(332)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하우징 몸체(310)의 내측 표면에 밀착함에 따라 제2 광 투과홀을 제외한 다른 경로를 통해 미러 모듈(332)로 이물질이 접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1는 열 전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열 전달부(360)는 열 전달 플레이트(361) 및 돌출부(3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 전달 플레이트(361)는 냉각부(350)에 접촉하여 반사부(330)의 열을 냉각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돌출부(362)는 열 전달 플레이트(361)에서 돌출 형성되어 반사부(330)에 접촉할 수 있다. 반사부(330)는 기판(34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반사부(330)가 배치되지 않은 기판(340)의 다른 면에 열 전달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열 전달부(360)와 반사부(330) 간의 직접 접촉을 위하여 기판(34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열 전달부(360)의 돌출부(362)는 해당 관통홀을 통과하여 반사부(330)의 일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반사부(330)의 열은 돌출부(362)로 전달되고, 돌출부(362)로 전달된 열은 열 전달 플레이트(361)를 통하여 냉각부(35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2은 방열부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방열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방열부(320)는 방열 플레이트(321) 및 방열핀(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열 플레이트(321)는 하우징 몸체(310)에 결합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열 플레이트(321)는 냉각부(350)에 밀착하여 냉각부(35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플레이트(321)는 냉각부(350)의 고온부(352)에 접촉하여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방열핀(322)은 방열 플레이트(321)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열을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핀(322)은 방열 플레이트(321)의 외측 표면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부(350)에서 방열 플레이트(321)로 전달된 열은 방열핀(322)으로 이동하고, 방열핀(322)은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방열부(320)는 냉각부(3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방열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방열부(320)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열 전도율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4는 하우징 몸체와 방열부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하우징 몸체(310)와 방열부(320)는 볼트(BT)가 이용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볼트(BT)에 의해 하우징 몸체(310)와 방열부(32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열부(320)는 하우징 몸체(310)를 향하여 냉각부(350)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해당 압력에 의해 냉각부(350), 열 전달부(360) 및 반사부(330)가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상호 밀착된 냉각부(350), 열 전달부(360) 및 반사부(330)는 상호 간에 열을 교환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방열부(320)를 통해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차량 10: 차량용 램프
11: 로우 빔 형성부 12: 하이 빔 형성부
13: 가변 빔 형성부 100: 제1 광학부
181: 제1 광학 그룹 182: 제2 광학 그룹
200: 제2 광학부 300: 빔 패턴 형성부
310: 하우징 몸체 320: 방열부
330: 반사부 340: 기판
350: 냉각부 360: 열 전달부
370: 전력선 380: 열 전달 패드
390: 결합부 400: 완충부

Claims (9)

  1. 광을 조사하여 가변 빔 패턴을 형성하는 가변 빔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빔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학부; 및
    상기 가변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 광학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반사부의 열을 상기 냉각부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냉각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냉각부에 접촉하는 열 전달 플레이트; 및
    상기 열 전달 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에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이 연결되고,
    상기 열 전달 플레이트는 상기 전력선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방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열 전달부를 상기 하우징 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는 탄성력으로 상기 열 전달부를 상기 반사부에 밀착시키는 차량용 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반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 표면에 의한 상기 반사부로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냉각부에 밀착하여 상기 냉각부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방열 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의 표면에서 돌출된 방열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펠티에(peltier)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열 전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 전달부의 열을 상기 냉각부로 전달하는 열 전달 패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패드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열 전달부 간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차량용 램프.
KR1020210191514A 2021-12-29 2021-12-29 차량용 램프 Pending KR20230101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14A KR20230101420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14A KR20230101420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420A true KR20230101420A (ko) 2023-07-06

Family

ID=8718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514A Pending KR20230101420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4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33B1 (ko) 2012-03-06 2014-02-11 에스엘 주식회사 로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퍼들램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33B1 (ko) 2012-03-06 2014-02-11 에스엘 주식회사 로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퍼들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4123B1 (ko) 차량용 램프
JP4047266B2 (ja) 灯具
JP5652996B2 (ja) 車両用灯具
US20070041207A1 (en) Vehicle lamp
US8256922B2 (en) Lighting device
US9447941B2 (en) Lamp for vehicle
US20130235601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vehicle headlamp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KR20170062405A (ko) 자동차 헤드램프 조명 모듈용 발광 장치 및 관련 조명 모듈과 헤드램프
JP4863502B2 (ja) 車両前照灯
JP7171283B2 (ja) 車両用灯具
KR20210128244A (ko)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14576592B (zh) 用于车辆的灯
KR102446505B1 (ko) 차량용 램프
US12111032B2 (en) Lamp for vehicle
KR20230101420A (ko) 차량용 램프
KR102122412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KR20220096536A (ko) 차량용 램프
US12241609B2 (en) Vehicle lamp
KR20230101247A (ko) 차량용 램프
KR20150145122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230101425A (ko) 차량용 램프
KR20230101359A (ko) 차량용 램프
KR20230101399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