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192A - 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1192A KR20230101192A KR1020210191092A KR20210191092A KR20230101192A KR 20230101192 A KR20230101192 A KR 20230101192A KR 1020210191092 A KR1020210191092 A KR 1020210191092A KR 20210191092 A KR20210191092 A KR 20210191092A KR 20230101192 A KR20230101192 A KR 202301011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storage
- storage compartment
- wall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plug-in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다수의 제1벽을 가지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2벽을 가지는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3벽을 가지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 및 상기 제3벽은 상기 다수의 제1벽에 의하여 정의되는 장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다수의 제1벽을 가지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2벽을 가지는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3벽을 가지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 및 상기 제3벽은 상기 다수의 제1벽에 의하여 정의되는 장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저장고는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일례로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의 피냉각물(이하, 편의를 위해 식품이라 칭함)을 차게 하거나 저온에서 보관하여 부패,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동 사이클부품을 포함한다.
냉동 사이클부품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전면이 개구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저장실과 열교환실로 구획하는 냉기 토출덕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냉기 토출덕트의 전방에 저장실이 형성되고, 후방에 열교환실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실에는 증발기와 증발팬이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의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고, 기계실에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응축팬이 배치될 수 있으며, 기계실 내의 압축기는 열교환실 내의 증발기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는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첫째, 기계실에 배치된 압축기와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 냉매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냉동 사이클부품의 수리가 필요할 때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에 고장을 확인하고 수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증발기가 일체로 구성되고 증발기는 용접등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냉장고의 제작이 번거롭다. 그리고, 증발기의 제상시, 저장실과 열교환 하여 고내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열교환실이 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열교환실의 크기만큼 냉장고 본체 후벽의 전후방 폭이 커지고, 그에 따라 저장실의 용적이 그만큼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열부와 방열부를 일체로 구성하는 냉각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과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이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제2저장실과 제2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제3저장실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컴팩트한 저장실의 구성이 가능한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저장실과 제1저장실이 일체로 구성되어 저장고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3저장실에 유체를 저장하는 트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는 제2,3저장실의 경계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유체의 자연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저장실에 다수의 저장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1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다수의 제1열교환기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저장실과 상기 다수의 제1열교환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저장고이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은 제1저장실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은 제1저장실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실은 상기 제2저장실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물품의 저장을 위한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은 제1,2저장공간 중 제1저장공간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저장공간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2저장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제1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 및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제1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은 상기 제1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의 유체는 연결 덕트 또는 댐퍼를 통하여 제2저장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2개 이상의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제1저장실;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제2저장실; 및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을 정의하는 다수의 제1벽;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및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정의하는 다수의 제1벽은 어느 하나의 제1벽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벽에서 함몰하도록 연장하는 다른 하나의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 및 상기 제3벽은 상기 다수의 제1벽에 의하여 정의되는 장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 및 상기 제3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제1벽 중 적어도 일부분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벽은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제1벽 중 다른 일부분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어느 하나의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의 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다른 하나의 제1벽은 본체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벽에서 전방으로 함몰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에서 하방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는 제2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제2파트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는 상기 제2파트에서 전방으로 더 함몰하는 제3파트; 및 상기 제3파트에서 하방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는 제4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제2파트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에는, 상기 제1저장실의 냉기를 상기 제2저장실로 리턴시키는 리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홀은 상기 제1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1리턴홀 및 상기 제2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2리턴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리턴홀은 상기 본체 함몰부의 제1파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리턴홀은 상기 본체 함몰부의 제2파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2파트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과 상기 제2저장공간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2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공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제3저장실이 일체로 구성되는 열교환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열교환기는 단열벽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제2,3저장실을 형성하는 장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파트; 및 상기 제1케이스파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3저장실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파트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압축기 및 제2열교환기팬이 설치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의 사이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집수하는 트레이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파트에는 제1저장실의 유체를 도입하는 케이스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연통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케이스홀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벽을 가지는 열교환기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파트는 상기 제2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는 유체유입부 및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유입부 및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제2케이스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 중 서로 교차하는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 및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저장실 중 제1저장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1유동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저장실 중 제2저장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2유동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저장실 중 제3저장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3유동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 및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 및 제3유동발생기는 상기 제3저장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로를 형성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의 전방에는, 상기 제3저장공간에서 리턴되어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로 유입시키는 복귀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과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이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제2저장실과 제2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제3저장실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컴팩트한 저장실의 구성이 가능할 ㅅ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저장실과 제1저장실이 일체로 구성되어 저장고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저장실에 유체를 저장하는 트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는 제2,3저장실의 경계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유체의 자연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저장실에 다수의 저장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1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제1저장실과 제1열교환기간의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다수의 제1열교환기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저장실과 상기 다수의 제1열교환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열교환기의 배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7-7'를 따라 절개하고, 저장고 본체의 전방에 도어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분해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실용 열교환기와 팬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실용 열교환기와 팬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7-7'를 따라 절개하고, 저장고 본체의 전방에 도어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분해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실용 열교환기와 팬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실용 열교환기와 팬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저장고일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예는, 냉장고, 온장고 등일 수 있다.
상기 물품의 예는 식품, 의료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공간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방식의 예는, 전도에 의한 직접 열교환, 대류 혹은 복사에 의한 간접 열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일 예는, 흡열부, 냉력발생장치, 냉원 (Cold source)로서 제공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냉원의 예는, 증발기, 열전모듈의 흡열부로서 열전소자의 흡열면이나 흡열면에 연결된 콜드싱크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다른 예는, 방열부, 열력발생장치, 열원 (Heat source)으로서 제공되는 열교환기 일 수 있다. 상기 열원의 예는, 응축기, 열전모듈 방열부로서 열전소자의 발열면이나 발열면에 연결된 히트싱크일 수 있다. 상기 유체의 예는, 공기, 물, 냉매 등 액체나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은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은 상기 제3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 및 상기 제2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2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3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2벽과 상기 제3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3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3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은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여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은 복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것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2공간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2공간 중 다른 하나로 이동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체의 중앙부는 상기 물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물체를 3등분할 경우에, 상기 3등분된 부분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주변부는 상기 3등분된 부분 중 상기 중앙부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주변부는 상기 중앙부와 접하는 면과 그 반대편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반대편의 면을 상기 물체의 테두리 혹은 에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가 저장실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유동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제2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3저장실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제3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예는 공기를 흐르게 하는 팬, 물을 흐르게 하는 펌프, 냉매를 흐르게 하는 압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물품과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후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하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상벽에 베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상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3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3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2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에 베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어느 하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1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외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어느 하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3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실 외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3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3저장실과 함께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3벽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제공된 이후에,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후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후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저장실의 하벽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3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저장실의 하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에는 냉원으로서의 제1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인근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생성되는 서리를 제거하는 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원는 제상 열원일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에는 열원로서의 제1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인근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발생하는 증기를 제거하는 냉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원은 제증 냉원일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3벽보다 단열도가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상 열원의 열(Heat) 혹은 상기 제증 냉원의 냉기(cold)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이나 상기 제1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통로와 유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통로를 형성하는 벽보다 단열도가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상 열원의 열(Heat) 혹은 상기 제증 냉원의 냉기(cold)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이나 상기 제1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복수의 저장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구획벽, 서랍, 선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사이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열원이나 제증 냉원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일부가 열교환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고가 저장고로서 제공될 경우에는 냉각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저장고가 온장고로서 제공될 경우에는 가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첫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을 마주보는 면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마주보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상 열원이나 상기 제증 냉원과 열전달이 저감되게 하기 위한 단열공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통공과 상기 제2저장실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통공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통공과 상기 제2저장실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통공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의 통공은,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의 통공은,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저장실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의 최상단, 최하단, 최우단, 최좌단, 최후단, 최전단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제1저장칸의 내부의 유체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제2저장칸의 내부의 유체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이 배치되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제1저장실은 가로방향인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세로방향인 Y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3저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은, 상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저장실은 가로방향인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세로방향인 Y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3저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은 상기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가 배치되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제1열교환기는 길이가 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길이가 짧은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Y축방향으로 길이보다 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부 혹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공이,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보다 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기의 유동손실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열교환기는 길이가 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길이가 짧은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Y축방향으로 길이보다 짧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배치에 대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은 상기 유동발생기의 무게중심, 질량중심, 체적중심, 회전중심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주변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저장실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저장실 모듈설계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저장실에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통로의 내부 및 상기 제2통로의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 사이의 거리를 이격할 수 있어서, 유체의 유동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드존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가 배치된 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저장실의 용적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팬 및 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하우징이 상기 제1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팬하우징이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제 1 저장실(15)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고는 저장고 또는 온장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벽은 전벽, 후벽, 측벽, 상벽 및 하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벽은 다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저장고 본체(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본체 아우터케이스와, 상기 본체 아우터케이스의 내측에 조립되는 본체 이너케이스 및 상기 본체 아우터케이스와 본체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을 위한 본체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에는 식품이 지지되는 선반(23)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선반(23)은 제 1 저장실(1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에는 식품을 수납하는 드로어(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드로어(22)는 제 1 저장실(1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선반(23) 또는 상기 다수의 드로어(22)에 의하여 다수의 저장칸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의 후벽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제 1 저장실(15)을 정의하는 제 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 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 1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다수 개의 드로어(2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에는 제 2 저장실(16)에서 열교환 된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덕트(30)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로 유체를 배출하는 덕트 토출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토출공(35)은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덕트 토출공(35)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전후방향 폭(w)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덕트(30)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드로어(22)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제 1 열교환기(E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저장실(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실(16)은 구획벽(B1)에 의하여 상기 제 1 저장실(15)에 대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제 2 열교환기(E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3 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제 2 열교환기(E2)는 단열벽(B2)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E1) 및 제 2 열교환기(E2)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제 2 열교환기(E2)는 서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열교환기(E2)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열교환기(E1)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상기 제 2 열교환부(E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에는 2개의 독립된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독립된 유동은 상기 제 1,2 저장실(15,16)을 순환하는 제 1 유동(f1) 및 상기 제 3 저장실(17)의 내부 및 외부를 통과하는 제 2 유동(f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 2 유동(f2)이 통과하는 커버(B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는 상기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는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가 상기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커버 유입부 및 상기 제 3 저장실(17)에서 열교환 된 유체가 배출되는 커버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외기는 전방으로부터 상기 커버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되며, 상기 제 3 저장실(17)로부터 상기 커버 배출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외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제 2 유동(f2)은 유동 발생기, 일례로 제2팬에 의하여 발생되며, 상기 커버(B3)의 커버 유입부, 제 3 저장실(17) 및 상기 커버(B3)의 커버 배출부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도어(2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는 상기 커버(B3)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커버(B3)는 상기 도어(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B3)의 상단부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버(B3)와 상기 도어(20)의 상대적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유체가 상기 제 2 저장실(16)로 유입되는 유입부(P1) 및 상기 제 2 저장실(16)에서 열교환된 유체가 상기 덕트(30)로 배출되는 배출부(P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P1)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전방부 상측에, 상기 배출부(P2)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후방부 상측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f1)은 상기 유입부(P1), 제 2 저장실(16) 및 배출부(P2)를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열교환기(E1)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열교환기(E2)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E1) 하류측에 배치되어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동 발생기는 제 1 팬(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2 저장실(16)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구획벽(B1)의 내부, 또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팬(F)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의 출구측에 배치된다면 다른 위치에도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유입부(P1) 및 상기 배출부(P2)와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유체의 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유입부(P1)와 상기 배출부(P2)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P1)를 통하여 제 2 저장실(16)로 유입된 유체는 제 1 열교환기(E1)를 거친 후 상기 제 1 팬(F)을 통과하며, 상기 배출부(P2)를 통하여 상기 덕트(30)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복수의 저장공간(15a,15b)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15a,15b)은 제 1 저장공간(15a) 및 제 2 저장공간(1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저장공간(15a,15b)은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저장공간(15a)은 좌측 저장실, 상기 제 2 저장공간(15b)은 우측 저장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저장공간(15a,15b)은 격벽(70)에 의하여 단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격벽(70)은 상기 제 1,2 저장공간(15a,15b)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저장공간(15a)은 냉동실, 상기 제 2 저장공간(15b)은 냉장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에서 상기 제1,2저장공간(15a,15b)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도어(20, 도 7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냉동사이클 부품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저장고(1)의 후방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의 후방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저장고 본체의 후면부(11)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된 본체 함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50)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을 정의하는 저장고 본체의 후면부(11)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50)는 상기 열교환장치(100)가 수용되는 장치 수용공간(55)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본체 함몰부(50)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5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후면부(11)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제1파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11)는 제1저장실을 정의하는 다수의 제1벽 중 어느 하나의 벽을 형성하고, 제1파트(51)는 또 다른 하나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51)는 상기 장치 수용공간(55)의 측면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과 상기 제2저장공간(15b)을 구획하는 격벽(70)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면부는 상기 격벽(70)의 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51)에는, 상기 제2저장공간(15b)의 유체를 상기 열교환장치(100)로 배출하기 위한 제2리턴홀(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리턴홀(75)은 상기 격벽(7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15b)의 유체를 열교환장치(100)의 케이스연통홀(117)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51)의 상단부(51a)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상단부에 맞닿거나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51a)는 상기 저장고(1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단부(51a)를 통하여, 제1덕트(30a)의 하부(30a1)는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덕트(30a)는 제1저장공간(15a)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덕트(30a)의 하부(30a1)는 상기 상단부(51a)를 관통하여 상기 장치 수용공간(55)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제1덕트(30a)의 하부(30a1)는 열교환장치(100)의 제1배출공(115)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덕트(30a)의 하부(30a1)는 상기 제1배출공(11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50)는 상기 제1파트(5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파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파트(52)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의 후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파트(52)는 제1저장실을 정의하는 다수의 벽 중 또 다른 하나의 벽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파트(52)는 상기 장치 수용공간(55)의 전방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파트(52)에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의 유체를 상기 열교환장치(100)로 배출하기 위한 제1리턴홀(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리턴홀(52a)은 상기 제2파트(5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저장공간(15a)의 유체를 열교환기 케이스(170)의 내부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제1리턴홀(52a)과 제2리턴홀(7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리턴홀(52a)과 제2리턴홀(75)가 형성되는 높이는 제1열교환기(120)의 유입측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리턴홀(52a)은 상기 제2파트(52)의 하부, 즉 상하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그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51)의 상단(51a)은 상기 제2파트(52)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턱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50)는 상기 제2파트(52)에서 전방으로 더 함몰되는 제3파트(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파트(53)는 제1저장실을 정의하는 다수의 벽 중 또 다른 하나의 벽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50)는 상기 제3파트(5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4파트(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파트(54)는 제1저장실을 정의하는 다수의 벽 중 또 다른 하나의 벽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파트(53) 및 제4파트(54)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하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하부가 삽입되는 공간은 상기 장치 수용공간(55)의 하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하부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상부보다 전후방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3파트(53) 및 제4파트(54)가 정의하는 장치 수용공간(55)의 하부공간은 장치 수용공간(55)의 상부공간보다 전후방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15a)에는, 열교환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도입되는 제1덕트(30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의 후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에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덕트 토출공(35a)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덕트 토출공(35a)은 복수 개가 제공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에서 저장고 본체(10)의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덕트(30a)의 하부(30a1)는 상기 본체 함몰부(50)의 제2파트(5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1배출공(1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15b)에는, 열교환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도입되는 제2덕트(30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0b)는 상기 제2저장공간(15b)의 후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0b)에는, 상기 제2저장공간(15b)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덕트 토출공(35b)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덕트 토출공(35b)은 복수 개가 제공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0b)는 상기 제1덕트(30a)와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1,2덕트(30a,30b)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덕트(33)는 상기 제1덕트(30a)에서 상기 제2덕트(30b)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를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연결 덕트(33)를 경유하여 상기 제2덕트(30b)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덕트(33)는 상기 제1,2저장공간(155a,15b)을 구획하는 격벽(7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70)은 상기 제1덕트(30a)에 연결되고, 상기 격벽(7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덕트(30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덕트(33)에는 상기 연결 덕트(33)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댐퍼(36)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댐퍼(36)는 상기 연결 덕트(33)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제3저장실(17)과 저장고 외부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체 유입부(112) 및 유체 배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112)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체 유입부(112)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하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체 유입부(112)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배출부(113)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체 배출부(113)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하부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체 배출부(113)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112)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내부, 즉 제3저장실(17)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 유체는 제2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되고, 유체 배출부(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내부에는 냉동사이클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1열교환부로서 제 2 저장실(16)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는 제1저장공간(15a)의 유체와 열교환 할 수 있다.
제1저장공간(15a)의 유체는 유동발생기로서 팬어셈블리(130)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120)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120)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교환부는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2 열교환부로서 압축기(141), 제2열교환기(143)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2열교환기팬(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는 상기 제2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열교환기(143)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열교환부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41) 및 제2열교환기(143)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축기(141)는 상기 제2열교환기(14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팬(145)는 상기 압축기(641)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상기 제2열교환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좌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143)는 상기 유체 유입부(112)의 내측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팬(145)은 상기 유체 배출부(113)의 내측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3저장실(17) 외부의 유체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유체 유입부(112)를 통하여 유입되어 제2열교환기(143), 압축기(141) 및 제2열교환기팬(145)를 통과한 후, 열교환장치(100)의 유체 배출부(11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장치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제1열교환부를 구성하는 부품 및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110)는 상기 제1열교환부의 부품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파트(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장치 케이스(11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는 상기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는 단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부는 상기 본체 함몰부(5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부는 상기 본체 함몰부(50)의 제2파트(5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1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는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의 개방된 단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함몰부(50), 일례로 상기 제2파트(52)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을 정의하는 제2벽은 상기 제2파트(52)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에는, 상기 제2리턴홀(75)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케이스연통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가 상기 본체 함몰부(50)에 설치되면, 상기 제2리턴홀(75)과 상기 케이스연통홀(117)은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고,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1열교환기(120)를 수용하는 열교환기케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는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는 상기 제1열교환기(120) 및 팬어셈블리(130)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는 단부가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의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개구된 전면은 상기 본체 함몰부(50)의 면에 의하여 닫혀지며, 제 1 저장실(15a)에 대하여 단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의 단부는 상기 본체 함몰부(50)의 제2파트(5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는 이너케이스(171) 및 아우터케이스(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71)는 상기 아우터케이스(17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71)와 상기 아우터케이스(172)의 사이에는 케이스단열재(1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단열재(173)는 제1열교환기(120)와 제2열교환기(143)를 단열 분리하기 위한 단열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열 벽은 제2저장실의 제2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단열 벽은 제2저장실의 제2벽과 제3저장실의 제3벽의 공용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에는, 상기 케이스연통홀(117)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케이스홀(171a,17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홀(171a,172a)은 상기 이너케이스(171)에 형성되는 이너케이스홀(171a)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172)에 형성되는 아우터케이스홀(17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이너케이스홀(171a)과 상기 아우터케이스홀(172a)을 연결하는 리턴 덕트(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 덕트(174)는 상기 케이스단열재(173)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케이스(110)의 케이스연통홀(117)을 통하여 열교환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제2저장공간(15b)의 유체는 상기 케이스홀(171a,172a) 및 상기 리턴 덕트(174)를 경유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120)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예를 제안한다. 상기 리턴 덕트(174)가 생략되고,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는 상기 이너케이스홀(171a)과 아우터케이스홀(172a)을 연결하는 유입 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120) 또는 팬어셈블리(130)에서 생성된 유체를 트레이(160)로 배출하는 배수 홀(173,1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73,174)은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73,174)은 상기 이너케이스(171)에 형성되는 제1배수홀(173)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172)에 형성되는 제2배수홀(1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홀(172)과 상기 제2배수홀(174)은 배수튜브(18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튜브(180)는 상기 제1배수홀(173)에서 상기 제2배수홀(174)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단열재(173)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상기 제1,2배수홀(173,174) 및 배수튜브(180)를 통하여 열교환기케이스(170)로부터 배출되며, 트레이(16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의 하측에는, 배출된 유체가 저장되는 트레이(160)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트레이(160)는 상기 장치 케이스(110)의 내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60)는 제1열교환기(120) 또는 팬어셈블리(130)에서 생성된 유체, 일례로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는 냉매관 및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는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의 상하방향 높이는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의 하단부는 상기 본체 함몰부(50)의 제1리턴홀(52a)과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130)는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130)는 상기 이너 케이스(17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130)의 중심 축선은 전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130)는 상기 제1열교환기(120)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120)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한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130)는 제1열교환기팬(131) 및 팬 브라켓(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브라켓(132)은 상기 제1열교환기팬(131)에 결합되며, 상기 이너케이스(17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장치케이스(110)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120)를 통과한 유체가 제1덕트(30a)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공(115)은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공(115)에는 제1덕트(30a)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의 하단부는 상기 제1배출공(115)에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170)는 상기 제1배출공(115)에 연통하는 제2배출공(175)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아우터케이스(172)의 상면은 개구되며, 상기 이너케이스(171)의 상면은 닫혀지고 그 중 일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제2배출공(17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공(115) 및 상기 제2배출공(175)은 상기 제2저장실(16)의 유체를 제1덕트(30a)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은 상기 팬어셈블리(130)의 토출측, 일례로 상기 팬어셈블리(1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130)에서 배출된 유체는 상기 제1덕트(30a)를 통하여 제 1 저장실(15a)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100)는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와 연결되며, 제2열교환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파트(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는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는 상기 본체 함몰부(50), 일례로 제4파트(54)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열교환기(143)는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4파트(54)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는 유체 유입부(112) 및 유체 배출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체 유입부(112)는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의 후면에, 상기 유체 배출부(113)는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의 내부에는 압축기(141), 제2열교환기(143) 및 제2열교환기팬(145)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압축기(141), 제2열교환기(143) 및 제2열교환기팬(145)이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의 전후방향 폭(W2)은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의 전후방향 폭(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의 증가한 전후방향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의 단부, 즉 상기 제1,2케이스파트(110a,110b)의 경계에는 케이스 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 턱(111)은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파트(110b)의 수용공간에는 트레이(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60)는 유체의 저장을 위하여 큰 용적을 가지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가 아닌 제2케이스파트(110b)에 배치됨으로써 전후방향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를 상대적으로 작은 전후방향 폭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케이스파트(110a)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저장공간(15a)의 전후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160)는 제1열교환기(120)와 상기 제2열교환기(1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60)는 제1열교환기(120)와 상기 압축기(1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60)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60)에 저장된 유체는 상대적으로 고온을 형성하는 제2열교환기(143) 및 압축기(141)에 의하여 용이하게 자연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15a)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1덕트(30a)는 상기 제1저장실(15a)의 후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에서 열교환 된 유체는 제1배출공(115)을 통하여 제1덕트(30a)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의 유체는 덕트토출공(35a)을 통하여 제1저장공간(15a)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를 유동하는 유체 중 일부는 연결덕트(33)를 통하여 제2저장실(15b)로 유입되며, 제2저장실(15b)의 유체는 제2리턴홀(75)을 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저장실(15a)의 유체는 제1리턴홀(52a)을 통하여 열교환장치(100)로 유입되어 제1열교환기(120)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며, 팬어셈블리(130)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실(15a,15b) 및 열교환장치(100)에서의 냉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분해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실용 열교환기와 팬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실용 열교환기와 팬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저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a)는 다수의 저장공간(15a,15b)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은 제1저장공간(15a) 및 제2저장공간(1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2저장공간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저장공간(15a)은 하부 저장실, 상기 제2저장공간(15b)은 상부 저장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15a)은 냉동실, 상기 제2저장공간(15b)은 냉장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저장공간(15a,15b)은 격벽(70)에 의하여 단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격벽(70)은 상기 제 1,2저장공간(15a,15b)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a)는 열교환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상기 저장고(1a)의 후방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의 후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 본체(10a)의 후면은 전방으로 함몰된 본체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는 장치 수용공간(18)을 정의하며,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상기 본체 함몰부에 삽입되고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함몰부의 상단부는 상기 격벽(7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제1열교환기(421,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421,422)는 제1저장실(15)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2저장실(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제2열교환기(4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443)는 외부 유체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3저장실(1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상기 제2저장실(16)과 상기 제3저장실(17)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실(17)에는, 압축기(441), 제2열교환기(443) 및 제2열교환기팬(44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열교환기(443)는 응축기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3저장실(17)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방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41)와, 제2열교환기팬(445) 및 제2열교환기(443)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에는,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412a,4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에는 제3저장실(17)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배출부(413a,413b)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유체는 상기 열교환 장치(400)의 후방 및 일 측방에서 유입되어 응축기(443), 제2열교환기팬(445) 및 압축기(441)를 통과한 후, 열교환 장치(400)의 후방 및 타 측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제1열교환기(421,422) 및 팬 어셈블리(431,433)가 설치되는 장치 케이스(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410)의 저면은 상기 방열부의 부품이 설치되는 베이스(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410)는 상기 유체 유입부(412a,412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장치 케이스(4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유체유입부(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체유입부(412a)는 상기 장치 케이스(4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유체유입부(4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410)는 유체 배출부(413a,413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 배출부는 상기 장치 케이스(4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유체배출부(413a)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배출부는 상기 장치 케이스(4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유체유출부(41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체유입부 및 유체유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치 케이스(410)로의 외부 유체의 유입과, 상기 장치 케이스(410)로부터의 외부 유체의 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2유체유입부(412a,412b) 및 상기 제 1,2유체유출부(413a,413b)는 제3저장실(17)의 제3벽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3벽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트레이(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60)는 상기 베이스(41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60)는 상기 제1열교환기(421,422) 또는 팬 어셈블리(431,433)에서 생성된 유체를 집수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443)는 상기 트레이(460)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41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414)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414)에는 제1커버(4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14)는 상기 제1커버(450)에 의하여 덮여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450)의 후방에는 제1열교환기 중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 및 제 1,2 팬어셈블리(431,433)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팬어셈블리(431,433)는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410)는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 또는 제1,2팬어셈블리(431,433)에서 생성되는 유체를 수집하는 제1집수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수부(417)는 상기 개구부(41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집수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수부(417)에는, 상기 트레이(460)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공(417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팬어셈블리(431)는 제1저장공간(15a)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동 발생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상기 장치 케이스(410)의 후방에 제공되는 백 패널(4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패널(480)은 상기 제1커버(450)의 후방에 위치되며, 저장고(1a)의 후면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 및 상기 제 1,2팬어셈블리(431,433)는 장치 케이스(410), 제1커버(450) 및 상기 백 패널(480)이 이루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 케이스(410), 제1커버(450) 및 상기 백 패널(480)은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를 위한 열교환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백 패널(480)은 상기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 및 상기 제 1,2팬어셈블리(431,433)가 장착되는 제1파트(4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어셈블리(431)는 제1팬(431a) 및 제1쉬라우드(4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431a)의 중심 축선은 전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1팬어셈블리(431)는 상기 제1팬(431a)을 지지하며 상기 제1쉬라우드(431b)에 결합되는 제1팬브라켓(43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450)에는, 상기 제1팬(431a)에서 토출된 유체를 상기 제1저장공간(15a)으로 공급하는 제1배출부(453)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배출부(453)는 상기 제1팬(431a)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부(453)는 상기 제1커버(450)의 상부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33)는 제빙장치(80)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동 발생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80)는 제1,2저장공간과 구별되는 제3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33)는 제2팬(433a) 및 제2쉬라우드(4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팬(433a)의 중심 축선은 전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33)는 상기 제2팬(433a)을 지지하며 상기 제2쉬라우드(433b)에 결합되는 제2팬브라켓(43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450)에는, 상기 제1저장실(15a)의 냉기를 상기 제1커버(450)의 후방 공간으로 유입하기 위한 제1유입부(4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부(451)는 상기 제1커버(4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5a)의 유체는 상기 제1유입부(451)를 통하여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를 지나며 상기 제1,2팬어셈블리(431,433)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에서 열교환 된 유체는 제2덕트(30b)를 통하여 상기 제빙장치(8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0b)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의 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80)의 유체는 제3덕트(30c)를 통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0c)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의 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0c)는 상기 제1유입부(45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덕트(30c)는 상기 제1유입부(45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른 덕트부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덕트(30c)는 상기 제1저장공간(15a)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유입부(45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케이스(410)는 차폐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415)에 의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15a)과 상기 차폐부(415)의 후방공간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415)의 후방에는 제2커버(45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415)와 상기 제2커버(455)가 이루는 공간은 제2저장공간(15b)으로부터 상기 열교환 장치(400)로 복귀하는 유체가 유동하는 복귀유로(456a)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455)의 상단부는 격벽 덕트(70b)에 연통하는 커버 유입부(45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덕트(70b)는 상기 제2저장공간(15b)의 유체를 상기 열교환 장치(40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70)에 구비되는 유로 덕트로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를 제안한다. 상기 격벽(70)에는 격벽 덕트(70b)가 제공되지 않고, 격벽 관통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커버(455)의 하부에는, 상기 복귀유로(456a)를 지난 유체를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커버 배출부(4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부(458)는 상기 제2커버(455)의 일부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 및 제3팬어셈블리(435)는 상기 제 2 커버(455)의 후방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 및 상기 제3팬어셈블리(435)는 장치 케이스(410), 제2커버(455) 및 상기 백 패널(480)이 이루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 케이스(410), 제2커버(455) 및 상기 백 패널(980)은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를 위한 열교환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는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1)의 측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의 전방에는,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귀유로(45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열교환 장치(400)의 내부 구성 즉, 제2저장실(16)에서의 제1열교환기의 컴팩트한 배치 및 효율적인 유체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 패널(480)은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 및 상기 제3팬어셈블리(435)가 장착되는 제2파트(4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패널(480)의 제1파트(481)와 제2파트(483)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의 하측에는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 또는 제3팬어셈블리(435)에서 생성되는 유체를 수집하는 제2집수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집수부(418)는 상기 차폐부(415)의 후방에 제공되는 집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집수부(418)에는, 상기 트레이(460)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공(418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418a)에는 트레이 덕트(미도시)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공(418a)을 통하여 배출된 유체는 상기 트레이 덕트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46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팬어셈블리(435)는 제2저장공간(15b)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동 발생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3팬어셈블리(435)는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팬어셈블리(435)는 제3팬(435a) 및 제3쉬라우드(43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팬(435a)의 중심 축선은 전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제3팬어셈블리(435)는 상기 제3팬(435a)을 지지하며 상기 제3쉬라우드(435b)에 결합되는 제3팬브라켓(435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 및 상기 제3팬어셈블리(435)는 상기 제 2 커버(455)와 상기 백 패널(480)이 이루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400)는 상기 제3팬(435a)에서 토출된 유체를 상기 제2저장공간(15b)으로 공급하는 제2배출부(457)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배출부(457)는 상기 열교환 장치(400)의 상단부, 즉 제3쉬라우드(435b)의 상단 배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부(457)는 제1덕트(30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는 상기 제2배출부(457)에 연결되며 상기 격벽(70)의 배출공(70c)을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공간(15b)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0a)를 유동한 냉기는 제2저장공간(15b)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5b)의 유체는 격벽(70)에 구비된 격벽 덕트(70b)를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열교환 장치(400)의 커버 유입부(456)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는 상기 복귀유로(456a)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며, 커버 배출부(458)를 통하여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422)를 지나고, 상기 제3팬어셈블리(435)로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제1저장공간(15a), 제2저장공간(15b) 및 제빙장치(80)와, 제2저장실(16)간의 유체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 저장고 본체
15,16,17 : 제1~3저장실
18 : 장치 수용공간 20 : 도어
50 : 본체 함몰부 100 : 열교환기 장치
110 : 장치 케이스 120 : 제1열교환기
130 : 팬어셈블리 141 : 압축기
143 : 제2열교환기 145 : 제2열교환기팬
18 : 장치 수용공간 20 : 도어
50 : 본체 함몰부 100 : 열교환기 장치
110 : 장치 케이스 120 : 제1열교환기
130 : 팬어셈블리 141 : 압축기
143 : 제2열교환기 145 : 제2열교환기팬
Claims (18)
-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2개 이상의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제1저장실;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제2저장실;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을 정의하는 다수의 제1벽;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및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실을 정의하는 다수의 제1벽은 어느 하나의 제1벽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벽에서 함몰하도록 연장하는 다른 하나의 제1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벽 및 상기 제3벽은 상기 다수의 제1벽에 의하여 정의되는 장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저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 및 상기 제3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저장고.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은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제1벽 중 적어도 일부분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벽은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제1벽 중 다른 일부분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저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어느 하나의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의 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제1벽 중 다른 하나의 제1벽은 본체 함몰부를 형성하는 저장고.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함몰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벽에서 전방으로 함몰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에서 하방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는 제2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제2파트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저장고.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함몰부는 상기 제2파트에서 전방으로 더 함몰하는 제3파트; 및
상기 제3파트에서 하방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는 제4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제2파트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저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함몰부에는, 상기 제1저장실의 냉기를 상기 제2저장실로 리턴시키는 리턴홀이 형성되는 저장고.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실은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홀은 상기 제1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1리턴홀 및 상기 제2저장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2리턴홀을 포함하는 저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턴홀은 상기 본체 함몰부의 제1파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리턴홀은 상기 본체 함몰부의 제2파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2파트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공간과 상기 제2저장공간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2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는 저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과 제3저장실이 일체로 구성되는 열교환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열교환기는 단열벽에 의하여 분리되는 저장고.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제2,3저장실을 형성하는 장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케이스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파트; 및
상기 제1케이스파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3저장실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저장고.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파트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압축기 및 제2열교환기팬이 설치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의 사이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집수하는 트레이가 위치하는 저장고.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파트에는 제1저장실의 유체를 도입하는 케이스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치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연통홀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케이스홀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벽을 가지는 열교환기케이스가 제공되는 저장고.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파트는 상기 제2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는 유체유입부 및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유입부 및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제2케이스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 중 서로 교차하는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저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는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 및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저장실 중 제1저장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1유동발생기;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저장실 중 제2저장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2유동발생기; 및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저장실 중 제3저장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3유동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저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 및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공간용 열교환기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저장고.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 및 제3유동발생기는 상기 제3저장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로를 형성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의 전방에는, 상기 제3저장공간에서 리턴되어 상기 제2저장공간용 열교환기로 유입시키는 복귀유로가 형성되는 저장고.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1092A KR20230101192A (ko) | 2021-12-29 | 2021-12-29 | 저장고 |
US18/715,409 US20250020392A1 (en) | 2021-12-29 | 2022-12-09 | Storehouse |
PCT/KR2022/019990 WO2023128385A1 (ko) | 2021-12-29 | 2022-12-09 | 저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1092A KR20230101192A (ko) | 2021-12-29 | 2021-12-29 | 저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1192A true KR20230101192A (ko) | 2023-07-06 |
Family
ID=8699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1092A Pending KR20230101192A (ko) | 2021-12-29 | 2021-12-29 | 저장고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50020392A1 (ko) |
KR (1) | KR20230101192A (ko) |
WO (1) | WO2023128385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7367A (ko) | 2001-09-28 | 2003-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4445B1 (ko) * | 2005-12-30 | 2007-06-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정용 조립식 냉장고 |
EP2300759A1 (en) * | 2008-05-23 | 2011-03-30 | Aktiebolaget Electrolux | Cold appliance |
KR102290768B1 (ko) * | 2018-11-01 | 2021-08-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619556B1 (ko) * | 2018-12-19 | 2024-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CN113074502A (zh) * | 2020-01-06 | 2021-07-06 |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 制冷模组及冰箱 |
-
2021
- 2021-12-29 KR KR1020210191092A patent/KR20230101192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12-09 WO PCT/KR2022/019990 patent/WO202312838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12-09 US US18/715,409 patent/US20250020392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7367A (ko) | 2001-09-28 | 2003-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28385A1 (ko) | 2023-07-06 |
US20250020392A1 (en) | 2025-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637646T3 (es) | Refrigerador | |
US7950245B2 (en) |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 |
EP2196754B1 (en) | Refrigerator | |
US20240337431A1 (en) | Storehouse | |
EP3926263B1 (en) | Refrigerator having return air inlets formed in two side walls of refrigerator body | |
KR102572073B1 (ko) |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
KR20230101192A (ko) | 저장고 | |
CN110375476B (zh) | 冷却室位于冷冻内胆内侧下部的冰箱 | |
US20240318893A1 (en) | Storehouse | |
KR20230009079A (ko) | 저장고 | |
KR20230009082A (ko) | 저장고 | |
US20240418431A1 (en) | Storehouse | |
KR20230009078A (ko) | 저장고 | |
CN102317715B (zh) | 冰箱的相关技术 | |
KR20100092277A (ko) | 냉장고 | |
KR20230009092A (ko) | 저장고 | |
KR20230009093A (ko) | 냉장고 | |
JP5514037B2 (ja) | 冷蔵庫 | |
KR20110136917A (ko) | 냉장고 | |
EP4579156A1 (en) | Storage chamber | |
KR100820812B1 (ko) | 냉장고 | |
US20240361044A1 (en) | Storehouse | |
WO2022135464A1 (zh) | 冰箱 | |
KR20230009091A (ko) | 저장고 | |
US20240175623A1 (en) | Store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