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153A - 투명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0153A KR20230100153A KR1020210189818A KR20210189818A KR20230100153A KR 20230100153 A KR20230100153 A KR 20230100153A KR 1020210189818 A KR1020210189818 A KR 1020210189818A KR 20210189818 A KR20210189818 A KR 20210189818A KR 20230100153 A KR20230100153 A KR 202301001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sub
- emitting part
- transmissive portion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광 효율 및/또는 투과율이 향상된 투명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투과부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가 구비된 기판, 및 기판 상에서 투과부와 복수의 발광부 사이 및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구비된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부 각각은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를 포함하고, 비투과부는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단변은 장변의 일측에 연결된 제1 단변과 장변의 타측에 연결된 제2 단변을 포함하고, 제1 서브발광부의 장변은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장변,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제2 서브발광부의 장변은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장변,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제1 비투과부와 제2 비투과부는 를 만족하도록 구비되고, A는 제1 서브발광부의 장변 길이이고, B는 제1 서브발광부의 단변 길이이고, a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의 제2 방향의 길이이고, b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의 제2 방향의 길이이고, c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장변에 인접한 상기 제2 비투과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이고, d는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장변 또는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의 제1 방향의 길이이고, e는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의 제1 방향의 길이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퀀텀닷발광표시장치(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투과해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투명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투명 표시 장치는 기판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은 외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 영역과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투과 영역은 광이 발광되는 발광영역, 및 투과 영역과 발광영역 사이에 구비된 비발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한된 크기를 갖는 기판 내에서 발광영역과 투과영역 각각의 크기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발광영역의 크기가 커지면 투과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투과영역의 크기가 커지면 발광영역의 크기가 작아진다. 즉, 광 효율이 높아지면 투과율이 낮아지고, 투과율이 높아지면 광 효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비발광영역의 크기를 최소화해서 광 효율 및/또는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명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광 효율 및/또는 투과율이 향상된 투명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투과부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가 구비된 기판, 및 기판 상에서 투과부와 복수의 발광부 사이 및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구비된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부 각각은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를 포함하고, 비투과부는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단변은 장변의 일측에 연결된 제1 단변과 장변의 타측에 연결된 제2 단변을 포함하고, 제1 서브발광부의 장변은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장변,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제2 서브발광부의 장변은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장변,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제1 비투과부와 제2 비투과부는 를 만족하도록 구비되고, A는 제1 서브발광부의 장변 길이이고, B는 제1 서브발광부의 단변 길이이고, a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의 제2 방향의 길이이고, b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의 제2 방향의 길이이고, c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장변에 인접한 상기 제2 비투과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이고, d는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장변 또는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의 제1 방향의 길이이고, e는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의 제1 방향의 길이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투과부와 복수의 발광부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가 구비된 기판, 및 기판 상에서 투과부와 복수의 발광부 사이 및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구비된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발광부 각각은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발광변과 제1 발광변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제2 발광변을 포함하고, 비투과부는 제1 발광변들 각각에 인접한 복수의 제1 비투과부와 상기 제2 발광변들 각각에 인접한 복수의 제2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제2 발광변 각각에 대한 제1 발광변 각각의 길이 비율은 제1 비투과부들의 합산 길이에 대한 제2 비투과부의 합산 길이 비율과 같도록 구비된다.
본 명세서는 표시영역에서 투과부와 복수의 발광부 사이 및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구비된 비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비투과부가 포함하는 제1 비투과부와 제2 비투과부가 의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비발광영역(또는 비투과부)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어서 광 효율 및/또는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비발광영역(또는 비투과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발광부와 투과부가 배치됨으로써, 각 화소에 추가적으로 투과 영역(또는 보조 투과부)이 더 구비될 수 있어서 투과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적색 발광부의 크기가 다른 색의 발광부에 비해 크게 구비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청색 광의 휘도 저감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를 낮출 수 있어 청색 광의 휘도 저감에 따른 영상의 이질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적색 발광부의 크기가 다른 색의 발광부에 비해 크게 구비됨으로써, 낮은 전압으로도 적색 발광부를 구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다른 색의 발광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 수명이 짧은 적색 발광부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일반적인 OLED에 비해 적색 발광부를 포함한 유색 발광부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영상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면 배경이 투과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짐에도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공통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전극이 보조 투과부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투과부의 투과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보조전극이 구비된 보조전극 컨택부가 2개의 화소에 1개씩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보조전극 컨택부가 화소마다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복수의 보조전극 컨택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보조전극 컨택부가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배경 및/또는 이미지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F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G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비투과부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유색 발광부 배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H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J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선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보조 전극 컨택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F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G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비투과부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유색 발광부 배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H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J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선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보조 전극 컨택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F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G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4는 비투과부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유색 발광부 배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H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J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X축은 게이트 라인과 나란한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데이터 라인과 나란한 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투명 표시 장치(100)의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퀀텀닷발광표시장치 (Quantum dot Lighting Emitting Diode)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sis display)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게이트 구동부(GD)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130), 연성필름(140), 회로보드(150), 및 타이밍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서로 합착된 기판(110)과 대향 기판(120,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하부 기판, 베이스 기판, 또는 제 1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은 투명 글라스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판(110)을 제1 기판이라 정의한다.
대향 기판(120)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제1 기판(110)과 대향 합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향 기판(120)은 제1 기판(1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제1 기판(110)의 패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대향 합착될 수 있다. 대향 기판(120)은 상부 기판, 제 2 기판, 또는 봉지 기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향 기판(120)을 제2 기판이라 정의한다.
게이트 구동부(GD)는 타이밍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130)가 구동 칩으로 제작되는 경우, 소스 드라이브 IC(130)는 COF(chip on film) 또는 COP(chip on panel) 방식으로 연성필름(140)에 실장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패드들, 데이터 패드들과 같은 패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140)에는 패드들과 소스 드라이브 IC(130)를 연결하는 배선들, 패드들과 회로보드(150)의 배선들을 연결하는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14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tisotropic conducting film)을 이용하여 패드들 상에 부착되며, 이로 인해 패드들과 연성필름(140)의 배선들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제1 기판(11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화소 어레이 영역, 활성 영역, 화소 어레이부, 표시부, 또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은 표시 패널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표시 영역(DA)은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화소 구동 전원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P,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 각각은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복수의 발광부(SP), 및 복수의 발광부(SP)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투과부(TA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TA1)는 표시 패널의 전면과 배면을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 영역이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전면 쪽에 위치된 사용자는 투과부(TA1)를 통해 표시 패널의 배면 쪽에 위치된 이미지나 배경 등을 볼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SP) 각각은 실제 빛이 발광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부(SP) 중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도록 구비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4개의 발광부, 및 1개의 투과부(TA1)는 하나의 단위 화소(P)를 구성한다. 상기 단위 화소에 포함되는 1개의 투과부(TA1)는 복수개로 나누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하나의 단위 화소는 적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청색 발광부, 백색 발광부, 및 투과부(TA1)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부(SP) 중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도록 구비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3개의 발광부(SP), 및 1개의 투과부(TA1)는 하나의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하나의 단위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발광부, 적어도 하나의 녹색 발광부, 적어도 하나의 청색 발광부, 및 하나의 투과부(TA1)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발광부(SP)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또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SP) 각각에 배치된 발광층은 각기 다른 컬러 광을 개별적으로 방출하거나 백색 광을 공통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부(SP) 각각의 발광층이 백색 광을 공통적으로 방출하는 경우, 적색 발광부와 녹색 발광부 및 청색 발광부 각각은 백색 광을 각기 다른 컬러 광으로 변환하는 각기 컬러 필터(또는 파장 변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른 백색 발광부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적색 컬러필터가 구비된 영역은 적색 발광부(SP1)일 수 있고, 녹색 컬러필터가 구비된 영역은 녹색 발광부(SP2)일 수 있고, 청색 컬러필터가 구비된 영역은 청색 발광부(SP3)일 수 있고, 컬러 필터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은 백색 발광부(SP4)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적색 발광부(SP1)는 적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된 제1 발광부로 표현될 수 있고, 상기 녹색 발광부(SP2)는 녹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된 제2 발광부로 표현될 수 있고, 상기 청색 발광부(SP3)는 청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된 제3 발광부로 표현될 수 있고, 상기 백색 발광부(SP4)는 백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된 제4 발광부로 표현될 수 있다.
발광부(SP)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소자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발광부들 각각의 발광층은 소정의 전류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부(SP) 각각은 도 2와 같이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서브발광부 예를 들어,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SP)들 각각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결부하여 후술한다.
표시 영역(D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부(TA1)와 비투과부(NTA)를 포함한다. 투과부(TA1)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대부분을 통과시키는 영역이고, 비투과부(NTA)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대부분을 투과시키기 않는 영역이다.
비투과부(NTA)에는 복수의 화소(P)들 및 복수의 화소(P)들 각각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들(SL1)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들(SL2)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호 라인들(SL1)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호 라인들(SL1)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캔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신호 라인(SL1)이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1 신호 라인(SL1)은 복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신호 라인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신호 라인(SL1)이 2개의 스캔 라인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1 신호 라인(SL1)은 2개의 스캔 라인으로 이루어진 신호 라인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들(SL2)은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들(SL2)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들(SL1)과 교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들(SL2) 각각은 화소 전원 라인(VDDL) 및 공통 전원 라인(VSS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들(SL2) 각각은 제1 데이터 라인(DL1), 레퍼런스 라인(REFL), 제2 데이터 라인(DL2), 제3 데이터 라인(DL3), 제4 데이터 라인(DL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신호 라인(SL2)이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2 신호 라인(SL2)은 복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신호 라인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신호 라인(SL2)이 4개의 데이터 라인들, 화소 전원 라인, 공통 전원 라인 및 레퍼런스 라인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2 신호 라인(SL2)은 4개의 데이터 라인들, 화소 전원 라인, 공통 전원 라인 및 레퍼런스 라인으로 이루어진 신호 라인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인접한 제1 신호 라인들(SL1)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투과부(TA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제2 신호 라인들(SL2)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투과부(TA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투과부(TA1)는 2개의 제1 신호 라인들(SL1) 및 2개의 제2 신호 라인들(SL2)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주변 회로 영역, 신호 공급 영역, 비활성 영역, 또는 베젤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비표시 영역(NDA)에 패드부(PA)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PA)는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화소(P)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전원 및/또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비표시영역(NDA1), 제2 비표시영역(NDA2), 제3 비표시영역(NDA3), 및 제4 비표시영역(NDA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PA)가 구비된 영역이 제1 비표시영역(NDA1)일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는 타이밍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GD)는 표시패널의 표시영역(DA)의 일측 또는 도 1과 같이, 표시영역(DA)의 양측 바깥쪽의 비표시 영역(NDA)에 GIP(gate driver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게이트 구동부(GD)는 구동 칩으로 제작되어 연성필름에 실장되고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표시패널의 표시영역(DA)의 일측 또는 양측 바깥쪽의 비표시 영역(NDA)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D)는 표시 영역(DA)의 좌측 즉, 제2 비표시 영역(NDA2)과, 표시 영역(DA)의 우측 즉, 제3 비표시 영역(NDA3) 각각에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D)는 복수의 화소(P)들 및 복수의 화소(P)들 각각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들(SL1)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은 화소(P)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들(SL2)은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들(SL2)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들(SL1)과 교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은 화소(P)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화소 전원 라인(VDDL)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들(SL2) 각각은 복수의 패드, 화소 전원 쇼팅바(VDD), 및 공통 전원 쇼팅바(VSS)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원 쇼팅바(VDD)와 공통 전원 쇼팅바(VSS)는 표시 영역(DA)을 기준으로 패드부(PA)와 마주보게 배치된 제4 비표시 영역(NDA4)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P)들은 제1 신호 라인(SL1) 및 제2 신호 라인(SL2)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되도록 구비되어, 소정의 광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발광 영역(EA)은 화소(P)에서 광을 발광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화소(P)들 각각은 적색 발광부(SP1 또는 EA1), 녹색 발광부(SP2 또는 EA2), 청색 발광부(SP3 또는 EA3) 및 백색 발광부(SP4 또는 EA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발광부(SP1)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 영역(EA1)을 포함하고, 녹색 발광부(SP2)는 녹색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영역(EA2)을 포함하고, 청색 발광부(SP3)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제3 발광 영역(EA3)을 포함하고, 백색 발광부(SP4)는 백색 광을 방출하는 제4 발광 영역(EA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P)들 각각은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이외의 색의 광으로 발광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발광부(SP1, SP2, SP3, SP4)의 배열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적색 발광부(SP1), 녹색 발광부(SP2), 청색 발광부(SP3), 및 백색 발광부(SP4)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서브발광부(또는 발광 영역)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SP1, SP2, SP3, SP4)들 각각이 갖는 1개 이상의 서브발광부는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적색 발광부(SP1 또는 EA1)는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와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녹색 발광부(SP2 또는 EA2)는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녹색 서브발광부(EA2-1)와 제2 녹색 서브발광부(EA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색 발광부(SP3 또는 EA3)는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청색 서브발광부(EA3-1)와 제2 청색 서브발광부(EA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백색 발광부(SP4 또는 EA4)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백색 서브발광부(EA4-1)와 제2 백색 서브발광부(EA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발광부가 2개의 발광부(또는 발광영역)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이유는, 하나의 발광부(또는 발광영역)로 이루어질 경우 제조 공정 시 이물질이 발광부에 증착되면 이물질로 인한 쇼트 등으로 인해 발광부 전체가 발광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하나의 발광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부(또는 발광영역)를 구비하고, 복수의 발광부(또는 발광 영역)를 복수의 리페어 배선(R, 도 5에 도시됨) 각각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에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발광영역에 이상이 있을 경우, 이상이 있는 발광영역에 연결된 리페어 배선을 절단하여 나머지 하나의 발광영역은 발광하도록 하여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적색 서브발광부(EA1-1, EA1-2)는 제1 리페어배선(R1)을 통해 적색 발광부(SP1)에 구비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녹색 서브발광부(EA2-1, EA2-2)는 제2 리페어배선(R2)을 통해 녹색 발광부(SP2)에 구비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청색 서브발광부(EA3-1, EA3-2)는 제3 리페어배선(R3)을 통해 청색 발광부(SP3)에 구비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백색 서브발광부(EA4-1, EA4-2)는 제4 리페어배선(R4)을 통해 백색 발광부(SP4)에 구비된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페어배선(R1, R2, R3, R4)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도 5와 같이 투과부(TA1)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비투과부(NTA)가 제1 기판(110) 상에서 투과부(TA1)와 복수의 발광부(SP1, SP2, SP3, SP4) 사이, 및 복수의 발광부들(SP1, SP2, SP3, SP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은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를 포함하므로, 비투과부(NTA)는 투과부(TA1)와 제1 서브발광부 사이, 투과부(TA1)와 제2 서브발광부 사이,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투과부(NTA)는 표시 영역(DA)에 구비되면서 광을 발광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광을 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데드 존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데드 존은 블랙 매트릭스 및/또는 뱅크가 구비된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이 발광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비투과부(NTA)는 발광부(EA1)(또는 발광영역) 각각의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NTA1), 및 발광부(EA1)(또는 발광영역) 각각의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NT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투과부(NTA1)는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에서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된 단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비투과부(NTA2)는 제1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된 장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단변(L1)은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장변의 일측에 연결된 제1 단변(L1-1), 및 상기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장변의 타측에 연결된 제2 단변(L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장변의 일측은 도 3을 기준으로 제2 방향(X축 방향)의 좌측 방향을 의미하고,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장변의 타측은 도 3을 기준으로 제2 방향(X축 방향)의 우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서브발광부의 장변은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L1-1)과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L1-2)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장변(L2-1),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L1-1)과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L1-2)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장변(L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발광부의 장변은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L1-1)과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L1-2)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장변(L2-1),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L1-1)과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L1-2)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장변(L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단변의 일측은 도 3을 기준으로 제1 방향(Y축 방향)의 상측 방향을 의미하고,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단변의 타측은 도 3을 기준으로 제1 방향(Y축 방향)의 하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적색 발광부(SP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비투과부(NTA1)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1 단변(L1-1)에 인접한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와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2 단변(L1-2)에 인접한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 및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제1 단변(L1-1)에 인접한 제3 좌측 비투과부(NTA1-3)와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제2 단변(L1-2)에 인접한 제4 우측 비투과부(NTA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투과부(NTA2)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1 장변(L2-1)에 인접한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와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2 장변(L2-2)에 인접한 제2 하측 비투과부,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제1 장변(L2-1)에 인접한 제3 상측 비투과부와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제2 장변(L2-2)에 인접한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2 장변(L2-2)에 인접한 제2 하측 비투과부와 제2 적색 발광부(EA2-1)의 제1 장변(L2-1)에 인접한 제3 상측 비투과부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와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 사이에서 서로 접촉되게 구비되어 하나의 영역을 이루므로, 중간 비투과부(NTA2-2)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제1 비투과부(NTA1)와 상기 제2 비투과부(NTA2)는 하기와 같은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제1 서브발광부 예를 들어,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가 갖는 제1 장변(L2-1)의 길이일 수 있다. B는 제1 서브발광부 예를 들어,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가 갖는 제1 단변(L1-1)의 길이일 수 있다. a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NTA1)의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1 단변(L1-1)에 인접한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의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b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L1-2)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NTA1)의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b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2 단변(L1-2)에 인접한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의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c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NTA2)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1 장변(L2-1)에 인접한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d는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장변 또는 상기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의 제2 장변(L2-2)에 인접한 제2 하측 비투과부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또는, d는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제1 장변(L2-1)에 인접한 제3 상측 비투과부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또는, d는 중간 비투과부(NTA2-2)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e는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의 제1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는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제2 장변(L2-2)에 인접한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제1 비투과부(NTA1)와 제2 비투과부(NTA2)가 와 같은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데드 존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발광부의 크기를 넓히거나 투과부(또는 보조 투과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광 효율 및/또는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식은 제1 비투과부(NTA1)와 제2 비투과부(NTA2)의 면적에 관한 것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투과부(NTA1)의 면적은 상기 제2 비투과부(NTA2)의 면적과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 제3 좌측 비투과부(NTA1-3), 및 제4 우측 비투과부(NTA1-4) 각각의 면적의 합은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 중간 비투과부(NTA2-2), 및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 각각의 면적의 합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발광부(또는 발광 영역)에 대한 비투과부(NTA) 즉, 데드 존의 크기(또는 면적)를 최소로 하기 위함이다.
발광부(또는 발광 영역)에 대한 비투과부(NTA) 즉, 데드 존의 크기(또는 면적)를 최소로 하기 위해, 발광부(또는 발광영역)의 면적과 발광부에 인접한 비투과부(NTA)의 면적은 (a+b)*(2B)=A*(c+d+e)와 같은 관계식이 만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 또는 제3 좌측 비투과부(NTA1-3)의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b는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 또는 제4 우측 비투과부(NTA1-4)의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c는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d는 중간 비투과부(NTA2-2)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e는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A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 또는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B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 또는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A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 또는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 각각의 장변(L2)(또는 제2 발광변)의 길이일 수 있고, B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 또는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 각각의 단변(L1)(또는 제1 발광변)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길이는 폭, 높이, 두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학식에 의하면, 제1 비투과부(NTA1)의 면적 예를 들어,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 제3 좌측 비투과부(NTA1-3), 및 제4 우측 비투과부(NTA1-4) 각각의 면적의 합은 제2 비투과부(NTA2)의 면적 예를 들어,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 중간 비투과부(NTA2-2), 및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 각각의 면적의 합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식에 의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비투과부(NTA)의 크기가 최소로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광부(또는 발광영역) 및/또는 투과부(TA1)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광 효율 및/또는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발광부의 면적과 발광부에 인접한 비투과부의 면적에 대한 수학식은 A:2B=(a+b):(c+d+e)와 같이 길이 비율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발광변(L2) 각각의 길이에 대한 제1 발광변(L1)들의 합산 길이 비율은 제1 비투과부들(NTA1-1, NTA1-2)의 합산 길이에 대한 제2 비투과부들((NTA2-1, NTA2-2, NTA2-3)의 합산 길이 비율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 또는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 각각이 갖는 제2 발광변의 길이(A)에 대한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 또는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 각각이 갖는 제1 발광변의 길이(B)를 합산한 길이(2B)의 비율은,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 또는 제3 좌측 비투과부(NTA1-3)의 길이(a)와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 또는 제4 우측 비투과부(NTA1-4)의 길이(b)를 합산한 길이에 대한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의 길이(c)와 중간 비투과부(NTA2-2)의 길이(d)와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의 길이(e)를 합산한 길이의 비율과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비투과부(NTA)의 크기가 최소로 구비될 수 있어서 광 효율 및/또는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 또는 제3 좌측 비투과부(NTA1-3)의 길이(a)는 제1 발광변(L1)의 제1 방향(Y축 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며,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 또는 제3 좌측 비투과부(NTA1-3)의 폭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 또는 제4 우측 비투과부(NTA1-4)의 길이(b)는 제1 발광변(L1)의 제1 방향(Y축 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X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며,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 또는 제4 우측 비투과부(NTA1-4)의 폭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의 길이(c)는 제2 발광변(L2)의 제2 방향(X축 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며,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의 폭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비투과부(NTA2-2)의 길이(d)는 제2 발광변(L2)의 제2 방향(X축 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며, 중간 비투과부(NTA2-2)의 폭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의 길이(e)는 제2 발광변(L2)의 제2 방향(X축 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한 제1 방향(Y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며,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의 폭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비투과부(NTA) 즉, 데드 존의 크기가 최소화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조건들이 만족될 수 있다.
첫째, 백색 발광부(SP4)를 제외한 유색 발광부 즉, 적색 발광부(SP1), 녹색 발광부(SP2), 및 청색 발광부(SP3)는 최대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공유하는 비투과부(NTA)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는, 유색 발광부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경우, 유색 발광부들 간의 혼색 및 빛샘을 막기 위해 발광부의 외곽에 넓은 폭을 갖는 비투과부(NTA)(또는 블랙 매트릭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의 폭은 유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의 폭 및/또는 백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의 폭에 비해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의 폭은 약 24um일 수 있고, 유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의 폭은 약 19um일 수 있고, 백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의 폭은 약 4.5um일 수 있다. 한편, 유색 발광부와 백색 발광부 사이에서도 혼색 및 빛샘이 방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색 발광부와 백색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의 폭은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된 공유 비투과부(SNTA), 및 복수의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된 비공유 비투과부(NNT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 및 유색 발광부와 백색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2 공유 비투과부(SNTA2))는 공유 비투과부(SNTA)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백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1 비공유 비투과부(NNTA1))와 유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는 비공유 비투과부(NNTA)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비투과부(SNTA)는 발광부들 간의 혼색 및/또는 빛샘을 방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유 비투과부(SNTA)의 폭은 비공유 비투과부(NNTA)의 폭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광부의 단변에 인접하는 제1 비투과부(NTA1)와 발광부의 장변에 인접하는 제2 비투과부(NTA2) 각각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공유 비투과부(SNTA) 또는 비공유 비투과부(NNTA)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발광부 각각은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발광부(SP1)는 제1 적색 서브발광부(EA1-1)와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 비투과부(SNTA)는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공유 비투과부(NNTA)는 제1 서브발광부와 투과부 사이, 제2 서브발광부와 투과부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유색 발광부들이 공유하는 폭이 가장 넓은(또는 두꺼운) 공유 비투과부(SNTA)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유색 발광부들이 최대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백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공유 비투과부(NNTA)의 길이, 및 유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공유 비투과부(NNTA)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광부(또는 발광영역) 및/또는 투과부(TA1)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둘째, 백색 발광부(SP4)는 유색 발광부에 인접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독립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유색 발광부와 공유하는 비투과부(NTA)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1 비공유 비투과부(NNTA1))의 폭은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의 폭, 유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의 폭, 및 유색 발광부와 백색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2 공유 비투과부(SNTA2))의 폭보다 좁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백색 발광부(SP4)가 유색 발광부에 최대한 인접하지 않게 배치될수록 비투과부(NTA) 전체의 폭(또는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도 2 및 도 5와 같이, 백색 발광부(SP4)가 적색 발광부(SP1)와 녹색 발광부(SP2)와 청색 발광부(SP3)를 포함하는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 브릿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백색 발광부(SP4)가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서 브릿지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백색 발광부(SP4)는 투과부(TA1)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백색 발광부(SP4)와 투과부(TA1) 사이에 구비되는 비투과부(NTA)(또는 제1 비공유 비투과부(NNTA1))의 길이는 4.5um으로 가장 작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발광부(또는 발광영역)를 둘러싸는 비투과부(NTA)의 폭(또는 크기)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발광부(또는 발광영역) 및/또는 투과부(TA1)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셋째, 발광부(또는 발광영역)의 면적과 발광부에 인접한 비투과부(NTA)의 면적은 (a+b)*(2B)=A*(c+d+e)와 같은 관계식이 만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투과부(NTA1)의 면적은 상기 제2 비투과부(NTA2)의 면적과 같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좌측 비투과부(NTA1-1), 제2 우측 비투과부(NTA1-2), 제3 좌측 비투과부(NTA1-3), 및 제4 우측 비투과부(NTA1-4) 각각의 면적의 합은 제1 상측 비투과부(NTA2-1), 중간 비투과부(NTA2-2), 및 제4 하측 비투과부(NTA2-3) 각각의 면적의 합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부(또는 발광영역), 투과부(TA1), 및 비투과부(NTA)가 상기와 같은 3가지 조건들이 만족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비투과부(NTA)의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발광부(또는 발광영역) 및/또는 투과부(TA1)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광 효율 및/또는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첫째 조건과 관련하여, 유색 발광부 즉, 적색 발광부(SP1), 녹색 발광부(SP2), 및 청색 발광부(SP3)를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하는 경우는 도 4의 ⓐ, ⓑ, ⓒ, ⓓ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와 ⓒ의 경우에는, 적색 발광부(SP1)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너무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2개의 적색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비투과부(NTA) 즉, 24um의 폭을 갖는 공유 비투과부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비투과부(NTA)의 폭(또는 크기)이 최소화되기 어렵다.
ⓑ의 경우에는, 2개의 녹색 발광부(SP2)가 각각 적색 발광부(SP1)와 청색 발광부(SP3) 사이에 배치되므로, 2개의 녹색 발광부를 연결하는 리페어 배선(R)이 적색 발광부(SP1) 또는 청색 발광부(SP3)에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리페어 배선(R)이 적색 발광부(SP1) 또는 청색 발광부(SP3)에 중첩되어 적색 발광부(SP1) 또는 청색 발광부(SP3) 각각에 구비된 회로와 기생 캡이 발생되어 신호가 간섭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비투과부(NTA)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색 발광부는 ⓓ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유색 발광부 즉, 적색 발광부(SP1), 녹색 발광부(SP2), 및 청색 발광부(SP3)의 배치가 ⓓ와 같이 구현됨으로서, 유색 발광부에 인접한 비투과부(NTA)의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백색 발광부(SP4)는 투과부(TA1)에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 4.5um의 가장 작은 폭의 데드 존을 갖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비투과부(NTA)의 폭(또는 크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백색 발광부(SP4)는 녹색 발광부(SP2)의 일측(또는 청색 발광부(SP3)의 타측)에 브릿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적색 발광부(SP1)는 2개의 적색 발광부(EA1-1, EA1-2)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장변(또는 제2 발광변(L2))을 갖고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단변(또는 제1 발광변(L1))을 가지면서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적색 발광부(EA1-1, EA1-2)의 양측에는 투과부(TA1) 및 보조투과부(STA)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투과부(STA)는 비투과부(NTA)의 폭(또는 크기,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3가지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발생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조투과부(STA)는 적색 발광부(SP1)의 일측과 투과부(TA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녹색 발광부(SP2)와 청색 발광부(SP3)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적색 발광부(SP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녹색 발광부(SP2)는 2개의 녹색 발광부(EA2-1, EA2-2)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단변을 갖고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장변을 가지면서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녹색 발광부(EA2-1, EA2-2) 중 제1 녹색발광부(EA2-1)의 일측에는 백색 발광부(SP4)의 제2 백색 서브발광부(EA4-2)와 투과부(TA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녹색발광부(EA2-2)의 일측에는 투과부(TA1)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녹색 발광부(EA2-1, EA2-2)의 타측에는 청색 발광부(SP3)가 배치될 수 있다.
청색 발광부(SP3)는 2개의 청색 발광부(EA3-1, EA3-2)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단변을 갖고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장변을 가지면서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청색 발광부(EA3-1, EA3-2)의 일측에는 녹색 발광부(SP2)가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청색 발광부(EA3-1, EA3-2) 중 제1 청색발광부(EA3-1)의 타측에는 다른 화소(P)의 백색 발광부(SP4)의 제1 백색 서브발광부(EA4-1)와 투과부(TA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청색 서브발광부(EA3-2)의 타측에는 다른 화소(P)의 투과부(TA1)만 배치될 수 있다.
백색 발광부(SP4)는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서 2개의 백색 발광부(EA4-1, EA4-2) 각각이 거의 정사각형으로 구비되어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백색 서브발광부(EA4-1)의 일측에는 또 다른 화소(P)의 제1 청색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백색 서브발광부(EA4-2)의 타측에는 제1 녹색 서브발광부(EA2-1)가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2개의 발광부(또는 발광영역)를 갖는 적색 발광부(SP1), 녹색 발광부(SP2), 청색 발광부(SP3), 및 백색 발광부(SP4) 각각은 투과부(TA1) 또는 보조 투과부(ST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발광부(SP1, SP2, SP3, SP4)가 갖는 2개의 발광부(또는 발광영역)를 연결하는 리페어 배선(R)은 투과부(TA1)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리페어 배선(R)이 투과부(TA1)에 배치되는 것은 리페어 배선(R)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리페어 배선이 발광부(또는 발광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생 캡 또는 신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발광부는 제2 발광부, 제3 발광부, 및 제4 발광부 각각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적색 발광부(SP1)는 녹색 발광부(SP2), 청색 발광부(SP3), 및 백색 발광부(SP4) 각각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발광부의 크기는 수명과 효율 측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부의 크기는 발광부의 수명이 길수록, 그리고 발광 효율이 높을수록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발광부의 크기는 발광부의 수명이 짧을수록, 그리고 발광 효율이 낮을수록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수명 관점에서, 일반적인 OLED의 경우 발광부의 밝기 즉, 휘도가 약 5~10% 저하될 경우 사용자가 휘도 저감을 인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백색 광에 비해 유색 광 즉, 적색 광, 청색 광, 녹색 광의 휘도 저감을 더 잘 인지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투명 OLED 즉, 본 명세서의 투명 표시 장치(100)의 경우, 사용자가 후면 배경과 함께 발광부의 밝기(휘도)를 인지하기 때문에, 발광부의 밝기가 약 7~30% 저하될 경우에 사용자가 휘도 저감을 인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적색 광에 비해 청색 광의 휘도 저감을 더 잘 인지할 수 있고, 백색 광에 비해 녹색 광의 휘도 저감을 더 잘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청색 광에 비해 적색 광의 휘도가 낮고, 녹색 광에 비해 백색 광의 휘도가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휘도가 낮다는 것은 동일한 전압을 계속적으로 인가했을 때 밝기가 더 빨리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명이 더 짧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적색 발광부의 크기를 청색 발광부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함으로써, 낮은 전압으로도 적색 발광부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적색 발광부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적색 발광부의 크기를 청색 발광부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청색 광의 휘도 저감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를 낮출 수 있어 청색 광의 휘도 저감에 따른 영상의 이질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OLED의 경우에, 적색 발광부의 휘도가 약 5%만 저하되어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반면, 투명 OLED의 경우에는, 투과부를 통해 사용자가 후면 배경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적색 발광부의 휘도가 약 7% 감소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투명 표시 장치(100)는 일반적인 OLED의 경우에 비해 적색 발광부를 포함한 유색 발광부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투명 표시 장치(100)는 일반적인 OLED의 경우에 비해 발광부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영상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면 배경이 있음에도 사용자에 대한 영상의 시인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다음, 발광 효율 관점에서, 발광 효율이 낮을수록 동일 전압에서 밝기(휘도)가 낮기 때문에 크게 설계를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청색 광의 발광 효율이 가장 낮기 때문에, 녹색 발광부 < 적색 발광부 < 청색 발광부 순서로 크기를 크게 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적색 광에 비해 청색 광의 휘도 저감을 더 잘 인지할 수 있으므로, 적색 발광부의 크기를 청색 발광부의 크기보다 크기 구비함으로써 청색 광의 휘도 저감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적색 발광부의 수명이 청색 발광부의 수명보다 짧기 때문에 청색 발광부보다 적색 발광부의 크기를 크게 구비함으로써, 적색 광의 휘도와 적색 발광부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수명과 효율 관점에서 적색 발광부의 휘도와 수명이 다른 색의 발광부에 비해 낮기 때문에, 적색 발광부(SP1)의 크기가 다른 색의 발광부의 크기에 비해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적색 발광부의 수명이 증가되고 적색 광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적색 발광부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적색 광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청색 광의 휘도 저감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효율이 낮은 청색 광의 휘도 저감에 따른 영상의 이질감을 갖지 못하게 할 수 있고, 발광부의 전체적인 사용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유 비투과부(SNTA)는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와 제2 공유 비투과부(SNT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는 복수의 유색 발광부들(SP1, SP2, SP3)(또는 EA1, EA2, EA3) 사이에 배치된 비투과부(NTA)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는 도 6에서 제1 녹색 서브발광부(EA2-1)와 제1 청색 서브발광부(EA3-1) 사이에 배치된 비투과부(NTA)일 수 있다.
제2 공유 비투과부(SNTA2)는 복수의 유색 발광부들(SP1, SP2, SP3)(또는 EA1, EA2, EA3) 각각와 백색 발광부(EA4) 사이에 배치된 비투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유 비투과부(SNTA2)는 도 6에서 제1 녹색 서브발광부(EA2-1)와 제2 백색 서브발광부(EA4-2) 사이에 배치된 비투과부(NTA)일 수 있다.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와 제2 공유 비투과부(SNTA2)는 각각 발광부들(EA1, EA2, EA3, EA4)들 사이의 혼색 및/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해 같은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의 폭(W1-1)은 제2 공유 비투과부(SNTA2)의 폭(W1-2)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의 폭(W1-1)은 24um일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비공유 비투과부(NNTA)는 제1 비공유 비투과부(NNTA1)와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공유 비투과부(NNTA1)는 백색 발광부(EA4)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된 비투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공유 비투과부(NNTA1)는 도 6에서 제2 백색 서브발광부(EA4-2)와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된 비투과부(NTA)일 수 있다.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는 유색 발광부들(EA1, EA2, EA3) 각각과 투과부(TA1) 사이에 배치된 비투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는 도 6에서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와 투과부(TA1)(또는 보조투과부(STA)) 사이에 배치된 비투과부(NTA)일 수 있다.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는 유색 발광부와 투과부 사이에 배치되므로, 유색 발광부의 유색 광(적색, 녹색, 청색)이 투과부 쪽으로 출광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제1 비공유 비투과부(NNTA1)는 백색 발광부와 투과부 사이에 배치되므로 백색 광이 투과부 쪽으로 출광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백색 광 보다 유색 광을 더 잘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의 폭(W2-2)이 제1 비공유 비투과부(NNTA1)의 폭(W2-1)보다 넓게 구비됨으로써, 유색 광(적색, 녹색, 청색)이 투과부(TA1)를 통해 출광되는 것을 방지해서 표시패널의 뒤쪽에 있는 배경 또는 이미지에 대한 시인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유색 발광부가 적색 발광부(EA1), 녹색 발광부(EA2), 청색 발광부(EA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적색 발광부(EA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녹색 발광부(EA2)와 청색 발광부(EA3) 각각에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백색 발광부(EA4)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녹색 발광부(EA2)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투과부(TA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발광부들(EA1, EA2, EA3, EA4) 각각에 인접한 비투과부들(NTA)의 폭(또는 크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명과 효율 관점에서 적색 발광부(EA1)가 다른 발광부(EA2, EA3, EA4)에 비해 낮기 때문에, 적색 발광부(EA1)의 크기는 다른 발광부(EA2, EA3, EA4) 각각의 크기에 비해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와 같이, 적색 발광부(EA1)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장변(L2)이 배치되고,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단변(L1)이 배치되기 때문에, 도 5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녹색 발광부(EA2)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단변이 배치되고,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장변이 배치되기 때문에, 도 5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적색 발광부(EA1)의 폭(SP1W)은 녹색 발광부(EA2)의 폭(SP2W)과 청색 발광부(EA3)의 폭(SP3W)을 합산한 폭과 동일하거나 좁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예로 들어, 적색 발광부(EA1)의 폭(SP1W)이 녹색 발광부(EA2)의 폭(SP2W)과 청색 발광부(EA3)의 폭(SP3W)을 합산한 폭과 동일할 경우, 녹색 발광부(EA2)와 청색 발광부(EA3) 사이에 비투과부 즉,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가 배치되기 때문에, 녹색 발광부(EA2)는 적색 발광부(EA1)보다 좌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적색 발광부(EA1)의 폭(SP1W)이 녹색 발광부(EA2)의 폭(SP2W)과 청색 발광부(EA3)의 폭(SP3W)을 합산한 폭과 동일하더라도, 녹색 발광부(EA2)와 청색 발광부(EA3) 사이의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의 폭(W1-1)보다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와 투과부(TA1) 사이의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의 폭(W2-2)이 더 좁으므로, 적색 발광부(EA1)의 일측 예로써, 적색 발광부(EA1)의 좌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더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적색 발광부(EA1)의 좌측에 형성된 공간에는 보조 투과부(STA)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색 발광부(EA1)의 폭(SP1W)이 녹색 발광부(EA2)의 폭(SP2W)과 청색 발광부(EA3)의 폭(SP3W)을 합산한 폭보다 좁을 경우, 상기 예보다 녹색 발광부(EA2)가 적색 발광부(EA1)의 좌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색 발광부(EA1)의 좌측에 발생된 공간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상기 적색 발광부(EA1)의 좌측에 발생된 공간을 보조 투과부(STA)로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투과부(STA)는 투과부(TA1)와 적색 발광부(EA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 투과부(STA)는 발광부들에 인접하는 비투과부(NTA)의 폭(또는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3가지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발생된 것일 수 있다. 보조 투과부(STA)는 적색 발광부와 투과부(TA1) 사이에서 소정 폭(STAW, 도 6에 도시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투과부(STA)는 제1 녹색 서브발광부(EA2-1)의 폭(SP2W), 제1 청색 서브발광부(EA3-1)의 폭(SP3W), 제1 녹색 서브발광부(EA2-1)의 좌측에 인접한 제2 공유 비투과부(SNTA2)의 폭(W1-2), 제1 녹색 서브발광부(EA2-1)와 제1 청색 서브발광부(EA3-1) 사이에 배치된 제1 공유 비투과부(SNTA1)의 폭(W1-1)을 합산한 폭에서,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폭(SP1W)와 제2 적색 서브발광부(EA1-2)의 좌측에 인접한 제2 비공유 비투과부(NNTA2)의 폭(W2-2 또는 a)을 합산한 폭을 감산한 폭(STAW)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발광부들에 인접한 투과부(TA1)에 소정의 폭폭(STAW)을 갖는 보조 투과부(STA)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투과부(STA)는 인접한 투과부(TA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투과부(TA1)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투과부(STA)가 인접한 투과부(TA1)와 일체로 형성될 경우, 투과부의 면적이 커질 수 있으므로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보조 투과부(STA)는 적색 발광부(EA1)(또는 적색 발광부(EA1)의 좌측)에 인접하게 구비되므로, 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적색 발광부(EA1)(또는 적색 발광부(EA1)의 좌측)에 인접한 투과부의 면적이 다른 발광부들에 인접한 투과부의 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적색 발광부(EA1)와 투과부(TA1) 사이에 발생된 공간을 보조 투과부(STA)로 이용하여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공간에 적색 발광부(EA1) 및/또는 녹색 발광부(EA2)가 배치되도록 적색 발광부(EA1) 및/또는 녹색 발광부(EA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투과부(TA1)의 크기는 변함이 없으므로 투과율의 저하 없이 적색 광 및/또는 녹색 광의 발광 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공간에 청색 발광부(EA3) 및/또는 백색 발광부(EA3)를 추가로 구비하여 투과율의 저하 없이 청색 광 및/또는 백색 광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신호 라인(SL1), 제2 신호 라인(SL2) 및 구동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일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들이 배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은 발광부(EA 또는 SP)와 투과부(TA1)와 비투과부(NTA)와 보조 투과부(STA)를 포함한다. 비투과부(NTA)는 인접한 투과부들(TA1) 사이에서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인접한 투과 영역들(TA) 사이에서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비투과부(NTA)에는 제2 신호 라인(SL2) 및 제2 신호 라인(SL2)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발광부들(SP1, SP2, SP3)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TR1, TR2, TR3)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발광부(EA1 또는 SP1), 제2 발광부(EA2 또는 SP2), 및 제3 발광부(EA3 또는 SP3)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신호 라인(SL2)과 중첩되도록 구비되어, 제2 신호 라인(SL2)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의 비투과부(NTA)에는 제2 신호 라인(SL2), 제1 발광부(SP1)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TR1), 제2 발광부(SP2)의 제2 구동 트랜지스터(TR2), 및 제3 발광부(SP3)의 제3 구동 트랜지스터(TR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비투과부(NTA)에는 제1 신호 라인(SL2), 제4 발광부(SP4)의 제4 구동 트랜지스터(TR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신호 라인(SL2)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어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신호 라인(SL2)은 복수의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라인은 제1 전원 라인 및 제2 전원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라인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고,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원 라인은 발광부들(SP1, SP2, SP3, SP4) 각각의 제1 전극(114)에 제1 전원을 공급하는 화소 전원 라인(VDDL)일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고, 제1 전원 라인과 나란하게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원 라인은 발광부들(SP1, SP2, SP3, SP4) 각각의 제2 전극(117)에 제2 전원을 공급하는 공통 전원 라인(VSSL)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신호 라인(SL2)은 제1 데이터 라인(DL1), 레퍼런스 라인(REFL), 제2 데이터 라인(DL2), 제3 데이터 라인(DL3), 및 제4 데이터 라인(DL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퍼런스 라인(REFL)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어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퍼런스 라인(REFL)은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발광부들(SP1, SP2, SP3, SP4)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기준 전압(또는 초기화 전압, 센싱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라인(DL1)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고 레퍼런스 라인(REFL)의 제1 측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라인(DL1)은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발광부들(SP1, SP2, SP3, SP4) 중 적어도 일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데이터 라인(DL1)은 레퍼런스 라인(REFL)의 제1 측에 배치된 제2 발광부(SP2)의 제2 구동 트랜지스터(TR2)에 제1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라인(DL2)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고 레퍼런스 라인(REFL)의 제2 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레퍼런스 라인(REFL)의 제2 측은 제1 측과 마주보는 측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이 레퍼런스 라인(REFL)의 좌측이면, 제2 측은 레퍼런스 라인(REFL)의 우측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라인(DL2)은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발광부들(SP1, SP2, SP3, SP4) 중 제1 데이터 라인(DL1)과 연결된 발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발광부들 중 하나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데이터 라인(DL2)은 레퍼런스 라인(REFL)의 제2 측에 배치된 제1 발광부(SP1)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TR1)에 제2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라인(DL3)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고 제2 데이터 라인(DL2)의 일측 예로써, 제2 데이터 라인(DL2)의 우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데이터 라인(DL3)은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발광부들(SP1, SP2, SP3, SP4) 중 제1 데이터 라인(DL1) 및 제2 데이터 라인(DL2) 각각과 연결된 발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발광부들 중 하나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데이터 라인(DL3)은 제1 구동 트랜지스터(TR1)의 아래에 배치된 제3 발광부(SP3)의 제3 구동 트랜지스터(TR3)에 제3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4 데이터 라인(DL4)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고 제3 데이터 라인(DL3)의 일측 예로써, 제3 데이터 라인(DL3)의 우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데이터 라인(DL4)은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발광부들(SP1, SP2, SP3, SP4) 중 제1 데이터 라인(DL1), 제2 데이터 라인(DL2), 및 제3 데이터 라인(DL3) 각각과 연결된 발광부를 제외한 나머지 발광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4 데이터 라인(DL4)은 제1 구동 트랜지스터(TR1)와 제3 구동 트랜지스터(TR3)의 사이에서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4 발광부(SP4)의 제4 구동 트랜지스터(TR4)에 제4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레퍼런스 라인(REFL)이 제1 내지 제4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과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레퍼런스 라인(REFL)은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반면,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에는 데이터 전압이 펄스 형태로 인가될 수 있다. 레퍼런스 라인(REFL)이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과 인접하게 배치되면,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에 전압 변동이 발생할 때 레퍼런스 라인(REFL) 및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 간에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에 의한 크로스 토크(crosstal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퍼런스 라인(REFL)의 전압이 변동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발광부들(SP1, SP2, SP3, SP4)의 휘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암선 또는 휘선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투명 표시 장치(100)가 갖는 표시 패널(또는 투명 표시 패널)은 광 투과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의 투과부(TA1)가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비투과부(NTA)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라인들은 투과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비투과부(NT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또는 투명 표시 패널)은 일반 표시 패널과 비교하여 좁은 면적의 비투과부(NTA)에 복수의 신호 라인들이 배치되므로, 신호 라인들 간의 이격 거리가 작아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투명 표시 패널에서는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 간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하고, 커플링에 의한 크로스 토크 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제한된 공간에서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 간에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이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레퍼런스 라인(REFL)과 제1 데이터 라인(DL1) 사이에 화소 전원 라인(VDDL) 또는 공통 전원 라인(VSSL)이 배치되어, 레퍼런스 라인(REFL)과 제1 데이터 라인(DL1)이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레퍼런스 라인(REFL)과 제2 데이터 라인(DL2) 사이에 화소 전원 라인(VDDL) 또는 공통 전원 라인(VSSL)이 배치되어, 레퍼런스 라인(REFL)과 제2 데이터 라인(DL2)이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화소 전원 라인(VDDL) 또는 공통 전원 라인(VSSL)는 펄스 형태가 아닌 일정한 전원 전압이 인가되므로, 레퍼런스 라인(REFL)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1, DL2) 사이에 다른 신호 라인을 배치함으로써,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1, DL2) 간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1, DL2) 간에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제3 데이터 라인(DL3)과 제4 데이터 라인(DL4)은 제2 데이터 라인(DL2)보다 레퍼런스 라인(REFL)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3, DL4) 간에 기생 커패시턴스가 더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레퍼런스 라인(REFL) 및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이 서로 다른 층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퍼런스 라인(REFL)은 제1 층 예로써, 층간 절연막(111b)과 버퍼층(BL) 사이에 구비되고,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은 제1 층과 다른 제2 층 예로써, 버퍼층(BL)과 제1 기판(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퍼런스 라인(REFL)은 구동 트랜지스터(TR 또는 112)를 이루는 구성들 중 하나와 동일한 층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퍼런스 라인(REFL)은 구동 트랜지스터(112)의 액티브층(112a), 게이트 전극(112b), 소스 전극(112c) 및 드레인 전극(112d)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레퍼런스 라인(REFL)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112b)과 동일한 층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은 구동 트랜지스터(112) 및 제1 기판(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LS)과 동일한 층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레퍼런스 라인(REFL) 및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을 서로 다른 층에 구비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 간의 이격 거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은 레퍼런스 라인(REFL)과 데이터 라인(DL1, DL2, DL3, DL4) 간에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 즉, 제2 방향(X축 방향)의 비투과부(NTA)에는 제1 신호 라인(SL1) 및 제1 신호 라인(SL1)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4 발광부(SP4)의 구동 트랜지스터(TR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신호 라인(SL1)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어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신호 라인(SL1)은 복수의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스캔 라인(SCANL)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투과부(NTA)에 1개의 스캔 라인(SCANL)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투과부(NTA)에는 2개 이상의 스캔 라인이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 라인(SCANL)은 비투과부(NTA)에 구비되어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캔 라인(SCANL)은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발광부들(SP1, SP2, SP3, SP4) 중 적어도 일부에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캔 라인(SCANL)은 제1 발광부(SP1)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TR1), 제2 발광부(SP2)의 제2 구동 트랜지스터(TR2), 제3 발광부(SP3)의 제3 구동 트랜지스터(TR3), 및 제4 발광부(SP4)의 제4 구동 트랜지스터(TR4)에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스캔 라인(SCANL)은 제2 신호 라인(SL2)과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 라인(SCANL)은 제1 데이터 라인(DL1), 레퍼런스 라인(REFL), 제2 데이터 라인(DL2), 제3 데이터 라인(DL3), 및 제4 데이터 라인(DL4)과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캔 라인(SCANL)은 구동 트랜지스터(112)를 이루는 구성들 중 하나와 동일한 층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 라인(SCANL)은 구동 트랜지스터(112)의 액티브층(112a), 게이트 전극(112b), 소스 전극(112c) 및 드레인 전극(112d)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캔 라인(SCANL)은 소스 전극(112c) 및 드레인 전극(112d)과 동일한 층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DA)은 패드들이 배치된 패드부(PA) 및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부(GD)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 측에 배치된 제1 비표시 영역(NDA1), 표시 영역(DA)의 일 측과 수직한 타 측에 배치된 제2 비표시 영역(NDA2), 표시 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제1 비표시 영역(NDA1)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3 비표시 영역(NDA3), 및 표시 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제2 비표시 영역(NDA2)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4 비표시 영역(NDA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드부(PA)는 제1 비표시 영역(ND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비표시 영역(NDA4)에는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복수의 화소 전원 라인(VDDL)들과 연결된 화소 전원 쇼팅바(shorting bar)(VDD) 및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복수의 공통 전원 라인(VSSL)들과 연결된 공통 전원 쇼팅바(VSS)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비표시 영역(NDA2) 및 제3 비표시 영역(NDA3) 중 어느 하나에는 게이트 구동부(GD)가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는 스캔 라인들에 접속되어 스캔 신호들을 공급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부(GD)는 게이트 드라이브 인 패널(gate driver in panel, GIP) 방식으로 표시 영역(DA)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게이트 구동부(GD)는 제2 비표시 영역(NDA3)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게이트 구동부(GD)는 제3 비표시 영역(NDA3)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게이트 구동부(GD)는 제2 비표시 영역(NDA2) 및 제3 비표시 영역(NDA3)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가 갖는 화소(P)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복수의 화소(P) 각각은 복수의 발광부(SP 또는 EA)와 투과부(TA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P) 각각은 보조 투과부(ST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과부(TA1)는 도 2와 같이, 복수의 발광부(SP) 중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조 투과부(STA)는 투과부(TA1)와 적색 발광부(S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발광부(SP) 각각은 제 1 기판(110) 상에 구비되며 박막 트랜지스터(112)에 대한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버퍼층(B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SP)들 각각은 버퍼층(BL)의 상면에 구비되며 게이트 절연막(111a), 층간 절연막(111b), 보호막(111c)을 포함하는 무기막층(111), 무기막층(111) 상에 구비되는 평탄화층(113), 평탄화층(113) 상에 구비된 제 1 전극(114), 뱅크(115), 유기발광층(116), 제 2 전극(117), 및 봉지층(118)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층(111)에는 발광부(SP)의 구동을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112)가 배치될 수 있다. 무기막층(111)은 회로 소자층의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버퍼층(BL)은 게이트 절연막(111a), 층간 절연막(111b), 보호막(111c)과 함께 무기막층(111)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14), 유기발광층(116), 및 제 2 전극(117)은 발광 소자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L)은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보호하기 위해 제 1 기판(110)과 게이트 절연막(11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L)은 제1 기판(110)의 일면(또는 앞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L)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 중 고온 공정시 제1 기판(110)에 함유된 물질이 트랜지스터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버퍼층(BL)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또는 구동 트랜지스터)(112)는 액티브층(112a), 게이트 전극(112b), 소스 전극(112c), 및 드레인 전극(112d)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12a)은 화소(P)의 회로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된 채널 영역과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영역과 소스 영역은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액티브층(112a)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산화물(oxide) 및 유기물(organic material)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1a)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게이트 절연막(111a)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 상에만 섬 형태로 형성되거나 액티브층(112a)을 포함하는 제1 기판(110) 또는 버퍼층(BL)의 전면(前面)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b)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111c)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111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1b)은 게이트 전극(112b)과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1b)은 회로 영역 및 화소(P)에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막(111b)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전극(112c)은 액티브층(112a)의 소스 영역과 중첩되는 층간 절연막(111b)에 마련된 소스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12a)의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12d)은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과 중첩되는 층간 절연막(111b)에 마련된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각각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각각은 게이트 전극과 동일하거나 다른 단일 금속층, 합금의 단일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로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함께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화소(P)의 회로 영역 상에 마련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패시터는 층간 절연막(111b)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게이트 전극(112b)과 소스 전극(112c) 사이의 중첩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화소 영역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는 광에 의해 문턱 전압이 쉬프트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또는 제 1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112), 제 1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층(112a)의 아래에 마련된 차광층(L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LS)은 제1 기판(110)과 액티브층(112a) 사이에 마련되어 제1 기판(110)을 통해서 액티브층(112a) 쪽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호층(111c)은 화소 영역을 덮도록 제1 기판(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보호층(111c)은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및 층간 절연막(111b)을 덮는다. 보호층(111c)은 회로 영역 및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111c)은 패시베이션층의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층(111c)은 생략될 수도 있다.
평탄화층(113)은 보호층(111c)을 덮도록 제1 기판(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보호층(111c)이 생략될 때, 평탄화층(113)은 회로 영역을 덮도록 제1 기판(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평탄화층(113)은 회로 영역 및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평탄화층(113)은 비표시 영역(NDA) 중 패드 영역(P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및 표시 영역(DA)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113)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패드부(PA)를 제외한 나머지 비표시 영역(NDA) 쪽으로 연장되거나 확장된 연장부(또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평탄화층(113)은 표시 영역(DA)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평탄화층(113)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 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113)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폴리 이미드(polyimide), 및 불소 수지 등과 같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부(SP)의 제 1 전극(114)은 평탄화층(1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전극(114)은 평탄화층(113)과 보호막(111c)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드레인 전극 또는 소스 전극에 접속된다. 도 8의 단면도에서는 제1 전극(114)이 드레인 전극 또는 소스 전극에 접속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 7의 단면 위치에서 박막 트랜지스터(112)가 드레인 전극 또는 소스 전극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1 전극(114)은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드레인 전극 또는 소스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전극(114)은 투명한 금속물질, 반투과 금속물질 및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100)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전극(114)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과 투명한 금속물질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전극(114)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g 합금, 및 Ag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g 합금/ITO)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g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 등의 합금일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100)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전극(114)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전극(114)을 이루는 재료에는 MoTi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114)은 애노드 전극 또는 화소 전극일 수 있다.
뱅크(115)는 광이 발광되지 않는 비발광 영역으로, 복수의 발광부(SP)들 각각이 갖는 발광 영역(또는 발광부)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뱅크(115)는 발광 영역(또는 발광부)들 각각을 구획(또는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뱅크(115)는 평탄화막(113) 상에서 제 1 전극(114)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발광부(SP)들 각각이 갖는 발광 영역(또는 발광부)들을 구획(또는 정의)할 수 있다.
뱅크(115)는 발광부(SP)들 각각이 갖는 제 1 전극(114)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고 제 1 전극(114)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뱅크(115)는 제 1 전극(114) 각각의 끝단에 전류가 집중되어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뱅크(115)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제 1 전극(114)의 노출 부분이 발광 영역(또는 발광부)일 수 있다.
뱅크(115)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전극(114) 및 뱅크(115) 상에는 유기발광층(116)이 형성된다. 유기발광층(116)은 제 1 전극(114)과 제 2 전극(117)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유기발광층(116)으로 이동하게 되며, 유기발광층(116)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유기발광층(116)은 복수의 발광부(SP), 및 뱅크(115) 상에 구비되는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발광층(116)은 복수의 발광층 예컨대, 황녹색 발광층과 청색 발광층이 적층되는 텐덤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전극(114)과 제 2 전극(117)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면 백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 2 기판(120) 상에는 해당하는 발광부(SP)의 색에 부합되는 컬러 필터(119)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서브 화소에는 적색 컬러필터가 구비되고, 녹색 서브 화소에는 녹색 컬러 필터가 구비되며, 청색 서브 화소에는 청색 컬러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백색 서브 화소에는 유기발광층(116)이 백색 광을 발광하므로 컬러 필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전극(117)은 유기발광층(116) 상에 형성된다. 제 2 전극(117)은 발광부(SP)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전극(117)은 투명한 금속물질, 반투과 금속물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100)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2 전극(117)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100)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2 전극(117)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g 합금, 및 Ag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g 합금/ITO)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g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 등의 합금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전극(117)은 대향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 2 전극(117) 상에는 봉지층(118)이 형성된다. 봉지층(118)은 유기발광층(116)과 제 2 전극(117)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118)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봉지층(118)은 표시 영역(DA) 뿐만 아니라 비표시 영역(NDA)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봉지층(118)은 제2 전극(117)과 제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봉지층(118)과 제2 기판(120) 사이에는 컬러 필터(119)와 블랙 매트릭스(BM)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색 발광부(SP4)는 유기발광층(116)이 백색 광을 방출하므로 컬러 필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적색 발광부(SP1)에는 적색 컬러 필터가 봉지층(118)과 제2 기판(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적색 발광부(SP1)와 투과부(TA1) 사이, 및 적색 발광부(SP1)와 보조 투과부(STA) 사이에는 혼색 및/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BM)가 구비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는 블랙 계열 물질로 구비되어 뱅크(115)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 및/또는 뱅크(115)가 구비된 영역은 데드 존 또는 비발광 영역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블랙 매트릭스(BM)는 뱅크(115)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제2 기판(120) 상에 형성됨으로써, 유기발광층(116)과 제2 기판(120) 사이의 셀 갭을 줄여서 발광부들(SP) 간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봉지층막(118)이 구비된 제1 기판(110)과 컬러필터(119)가 구비된 제2 기판(120)은 별도의 접착층(AL)에 의하여 합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층(AL)은 투명한 접착 레진층(optically clear resin layer, OCR) 또는 투명한 접착 레진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가 갖는 보조 전극(SE)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선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보조 전극 컨택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보조 전극(S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극(SE)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및/또는 중심에 배치된 화소(P)에 공통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투명 표시 장치(100)가 대면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인가되는 공통 전압은 표시 영역(DA)의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내부 배선의 저항 또는 복수의 화소(P)로 인해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부분과 표시 영역(DA)의 중심 부분 간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보조 전극(SE)이 구비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휘도 불균일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조 전극(SE)은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복수의 화소(P)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보조 전극(SE)은 보조 투과부(STA)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전극(SE)은 보조 투과부(STA)에 배치되어 공통 전원 라인(VSSL)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전극(SE)은 보조 투과부(STA)에 구비된 보조 전극 컨택부(CNT)를 통해 제2 전극(또는 대향 전극)(117)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전극(SE)은 공통 전원 라인(VSSL)을 통해 인가되는 공통 전원을 각 화소(P)의 제2 전극(117)에 인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영역(DA)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조 전극 컨택부(CNT)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보조 전극 컨택부(CNT)는 보조 투과부(STA)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전극 컨택부(CNT)가 보조 투과부(STA)에 구비됨으로써, 투과부(TA1)에 보조 전극 컨택부(CNT)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투과부(TA1)의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조 전극 컨택부(CNT)는 버퍼층(BL), 층간 절연층(111b), 보호층(111c), 평탄화층(113), 뱅크(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극 컨택부(CNT)에 구비된 뱅크층(115)과 평탄화층(113)과 보호층(111c)의 일부는 포토 공정 및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턴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평탄화층(113)보다 무기물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11c)이 더 식각되도록 무기물질을 식각하는 식각물질을 이용함으로써 평탄화층(113)의 아래에는 언더컷부(U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언더컷부(UC)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즉, 보조 전극 컨택부(CNT)에서 보조 전극(SE)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유기발광층(116)은 언더컷부(UC)로 인해 단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언더컷부(UC)에서 보조 전극(SE)은 유기발광층(116)에 의해 전체가 덮이지 않고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공정에서 형성되는 제2 전극(117)은 언더컷부(UC)에서 노출된 보조 전극(SE)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전극(117)은 표시 영역(DA) 전체에 형성되는 공통층이므로, 보조 전극 컨택부(CNT)에 인접한 화소(P)에 공통 전원(또는 공통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제2 전극(117)이 보조 투과부(STA)에서 보조 전극(SE)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표시영역(DA)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화소(P)와 표시 영역(DA)의 중심 부분에 배치된 화소(P) 간의 휘도 불균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보조 전극(SE)은 제1 방향(Y축 방향) 및/또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P)에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 전극(SE)은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화소(P) 2개당 1개씩 배치되어 공통 전원 라인(VSSL)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전극(SE)은 9개의 화소(P1, P2, P3, P4, P5, P6, P7, P8, P9) 중 제1 화소(P1), 제3 화소(P3), 제5 화소(P5), 제7 화소(P7), 및 제9 화소(P9)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 전극(SE)은 9개의 화소(P1, P2, P3, P4, P5, P6, P7, P8, P9) 중 홀수번째 화소(P)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1)에는 제1 보조 전극(SE1)이 구비될 수 있고, 제3 화소(P3)에는 제2 보조 전극(SE2)이 구비될 수 있고, 제5 화소(P5)에는 제3 보조 전극(SE3)이 구비될 수 있고, 제7 화소(P7)에는 제4 보조 전극(SE4)이 구비될 수 있고, 제9 화소(P9)에는 제5 보조 전극(SE5)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조 전극(SE)은 9개의 화소(P1, P2, P3, P4, P5, P6, P7, P8, P9) 중 짝수번째 화소(P)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조 전극(SE)이 복수의 화소(P)마다 구비되면, 보조 전극(SE)이 보조 투과부(STA)의 소정 영역을 가리기 때문에, 보조 전극(SE)이 복수의 화소(P)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도 10과 같이, 보조 전극(SE)(또는 보조 전극 컨택부(CNT))가 복수의 화소(P)에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보조 전극(SE)(또는 보조 전극 컨택부(CNT))가 복수의 화소(P)마다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보조 투과부(STA)의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전극(SE)(또는 보조 전극 컨택부(CNT))이 복수의 화소(P)에 교번하여 배치됨으로써, 도 10과 같이 보조 전극(SE)은 복수의 화소(P)에서 제1 방향(Y축 방향) 및/또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1)에 배치된 제1 보조 전극(SE1), 제5 화소(P5)에 배치된 제3 보조 전극(SE3), 및 제7 화소(P7)에 배치된 제4 보조 전극(SE4)은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P1)에 배치된 제1 보조 전극(SE1), 제5 화소(P5)에 배치된 제3 보조 전극(SE3), 및 제3 화소(P3)에 배치된 제2 보조 전극(SE2)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보조 전극(SE)(또는 보조 전극 컨택부(CNT))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보조 전극(SE)(또는 보조 전극 컨택부(CNT))이 복수의 화소(P)마다 배치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에게 일렬로(또는 규칙적으로) 보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조 투과부(STA)를 통한 배경 및/또는 이미지에 대한 시인성(또는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투명 표시 장치
110: 제1 기판 111: 무기막층
112: 박막 트랜지스터 113: 평탄화층
114: 제1 전극 115: 뱅크
116: 유기발광층 117: 제 2 전극
118: 캡핑층 119: 봉지층
120: 제2 기판 130: 소스 드라이브 IC
140: 연성 필름 150: 회로 보드
160: 타이밍 제어부
P: 화소 SP(EA): 발광부
TA1: 투과부 STA: 보조 투과부
NTA: 비투과부 NTA1: 제1 비투과부
NTA2: 제2 비투과부 SNTA: 공유 비투과부
SNTA1: 제1 공유 비투과부 SNTA2: 제2 공유 비투과부
NNTA: 비공유 비투과부 NNTA1: 제1 비공유 비투과부
NNTA2: 제2 비공유 비투과부 CNT: 보조 전극 컨택부
SE: 보조 전극
110: 제1 기판 111: 무기막층
112: 박막 트랜지스터 113: 평탄화층
114: 제1 전극 115: 뱅크
116: 유기발광층 117: 제 2 전극
118: 캡핑층 119: 봉지층
120: 제2 기판 130: 소스 드라이브 IC
140: 연성 필름 150: 회로 보드
160: 타이밍 제어부
P: 화소 SP(EA): 발광부
TA1: 투과부 STA: 보조 투과부
NTA: 비투과부 NTA1: 제1 비투과부
NTA2: 제2 비투과부 SNTA: 공유 비투과부
SNTA1: 제1 공유 비투과부 SNTA2: 제2 공유 비투과부
NNTA: 비공유 비투과부 NNTA1: 제1 비공유 비투과부
NNTA2: 제2 비공유 비투과부 CNT: 보조 전극 컨택부
SE: 보조 전극
Claims (24)
- 투과부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부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가 구비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투과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사이 및 상기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구비된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은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서브발광부와 제2 서브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투과부는 상기 제1 서브발광부와 상기 제2 서브발광부 각각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단변에 인접한 제1 비투과부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장변에 인접한 제2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발광부와 상기 제2 서브발광부 각각의 단변은 상기 장변의 일측에 연결된 제1 단변과 상기 장변의 타측에 연결된 제2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장변은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장변,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발광부의 장변은 상기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상기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장변, 상기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과 상기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단변 각각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투과부와 상기 제2 비투과부는,
를 만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A는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장변 길이이고, 상기 B는 상기 서브제1 발광부의 단변 길이이고, 상기 a는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단변에 인접한 상기 제1 비투과부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이고, 상기 b는 상기 서브제1 발광부의 제2 단변에 인접한 상기 제1 비투과부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이고, 상기 c는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1 장변에 인접한 상기 제2 비투과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이고, 상기 d는 상기 제1 서브발광부의 제2 장변 또는 상기 제2 서브발광부의 제1 장변에 인접한 상기 제2 비투과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이고, 상기 e는 상기 제2 서브발광부의 제2 장변에 인접한 상기 제2 비투과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인 투명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제3 발광부, 및 제4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상기 제2 발광부, 상기 제3 발광부, 및 상기 제4 발광부 각각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된 투명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는 적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된 적색 발광부인 투명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된 공유 비투과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부와 상기 투과부 사이에 배치된 비공유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투과부와 상기 제2 비투과부 각각은 상기 공유 비투과부 또는 상기 비공유 비투과부이고,
상기 공유 비투과부의 폭은 상기 비공유 비투과부의 폭보다 넓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백색 발광부 및 유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공유 비투과부는,
상기 백색 발광부와 상기 투과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비공유 비투과부; 및
상기 유색 서브화소와 상기 투과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비공유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공유 비투과부의 폭은 상기 제1 비공유 비투과부의 폭보다 넓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백색 발광부 및 복수의 유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비투과부는,
상기 복수의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된 제1 공유 비투과부; 및
상기 유색 발광부와 상기 백색 발광부 사이에 배치된 제2 공유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유 비투과부의 폭은 상기 제2 공유 비투과부의 폭과 같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발광부는 적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청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녹색 발광부와 상기 청색 발광부 각각과 중첩되고,
상기 백색 발광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녹색 발광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투과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발광부는 적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청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부의 폭은 상기 녹색 발광부의 폭과 상기 청색 발광부의 폭을 합산한 폭과 동일하거나 좁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부와 상기 투과부 사이에 구비된 보조 투과부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부와 상기 투과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비공유 비투과부의 폭은 상기 녹색 발광부와 상기 청색 발광부 사이에 배치된 제1 공유 비투과부의 폭보다 좁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부와 중첩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공통 전원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원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보조 투과부에 배치된 보조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 전극은 상기 보조 투과부에서 상기 보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투명 표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방향 및/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에 교번하여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방향 및/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투과부에 인접한 백색 발광부 및 유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 발광부와 상기 유색 발광부 각각은 상기 제1 서브발광부와 상기 제2 서브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발광부와 상기 제2 서브발광부는 리페어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 투명 표시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백색 발광부 및 상기 유색 발광부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리페어배선은 상기 투과부에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 투과부와 복수의 발광부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가 구비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투과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부 사이 및 상기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구비된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 각각은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발광변과 상기 제1 발광변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제2 발광변을 포함하고,
상기 비투과부는 상기 제1 발광변들 각각에 인접한 복수의 제1 비투과부와 상기 제2 발광변들 각각에 인접한 복수의 제2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변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발광변들의 합산 길이의 비율은 상기 제1 비투과부들의 합산 길이에 대한 상기 제2 비투과부들의 합산 길이의 비율과 같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제3 발광부, 및 제4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상기 제2 발광부, 상기 제3 발광부, 및 상기 제4 발광부 각각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발광부는 적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된 적색 발광부인 투명 표시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된 공유 비투과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부와 상기 투과부 사이에 배치된 비공유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투과부와 상기 제2 비투과부 각각은 상기 공유 비투과부 또는 상기 비공유 비투과부이고,
상기 공유 비투과부의 폭은 상기 비공유 비투과부의 폭보다 넓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백색 발광부 및 유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공유 비투과부는,
상기 백색 발광부와 상기 투과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비공유 비투과부; 및
상기 유색 서브화소와 상기 투과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비공유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공유 비투과부의 폭은 상기 제1 비공유 비투과부의 폭보다 넓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백색 발광부 및 복수의 유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비투과부는,
상기 복수의 유색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된 제1 공유 비투과부; 및
상기 유색 발광부와 상기 백색 발광부 사이에 배치된 제2 공유 비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유 비투과부의 폭은 상기 제2 공유 비투과부의 폭과 같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발광부는 적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청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녹색 발광부와 상기 청색 발광부 각각과 중첩되고,
상기 백색 발광부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녹색 발광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투과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발광부는 적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청색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부의 폭은 상기 녹색 발광부의 폭과 상기 청색 발광부의 폭을 합산한 폭과 동일하거나 좁은 투명 표시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와 상기 적색 발광부 사이에 구비된 보조 투과부;
상기 적색 발광부와 중첩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된 공통 전원 라인; 및
상기 공통 전원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보조 투과부에 배치된 보조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9818A KR20230100153A (ko) | 2021-12-28 | 2021-12-28 | 투명 표시 장치 |
EP22206723.3A EP4207971A1 (en) | 2021-12-28 | 2022-11-10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JP2022180093A JP7516484B2 (ja) | 2021-12-28 | 2022-11-10 | 透明表示装置 |
US17/985,722 US20230209953A1 (en) | 2021-12-28 | 2022-11-11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TW111143250A TWI841047B (zh) | 2021-12-28 | 2022-11-11 | 透明顯示裝置 |
CN202211421708.5A CN116406190A (zh) | 2021-12-28 | 2022-11-14 | 透明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9818A KR20230100153A (ko) | 2021-12-28 | 2021-12-28 | 투명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0153A true KR20230100153A (ko) | 2023-07-05 |
Family
ID=8436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9818A Pending KR20230100153A (ko) | 2021-12-28 | 2021-12-28 | 투명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09953A1 (ko) |
EP (1) | EP4207971A1 (ko) |
JP (1) | JP7516484B2 (ko) |
KR (1) | KR20230100153A (ko) |
CN (1) | CN116406190A (ko) |
TW (1) | TWI84104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852285B (zh) * | 2023-01-12 | 2024-08-1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及其操作方法 |
TWI850063B (zh) * | 2023-08-14 | 2024-07-2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透明顯示裝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4240B1 (ko) | 2009-12-21 | 2011-11-16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JP2012209504A (ja) | 2011-03-30 | 2012-10-25 | Nec Lighting Ltd | 有機el照明装置 |
KR101894720B1 (ko) * | 2011-12-22 | 2018-10-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
JP5849981B2 (ja) | 2013-03-25 | 2016-02-03 | ソニー株式会社 |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101750022B1 (ko) * | 2013-08-21 | 2017-06-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KR102337806B1 (ko) * | 2015-01-06 | 2021-12-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US10505145B2 (en) * | 2016-07-26 | 2019-12-10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102415280B1 (ko) * | 2017-11-14 | 2022-06-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투명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유기발광표시장치 |
KR102560918B1 (ko) * | 2017-12-29 | 2023-07-2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계 발광 표시장치 |
KR102719960B1 (ko) | 2018-12-27 | 2024-10-1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장치 |
KR20210085129A (ko) * | 2019-12-30 | 2021-07-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투명 표시 장치 |
KR20210093419A (ko) * | 2020-01-17 | 2021-07-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KR20210157640A (ko) | 2020-06-22 | 2021-12-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투명 표시 장치 |
-
2021
- 2021-12-28 KR KR1020210189818A patent/KR20230100153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11-10 EP EP22206723.3A patent/EP4207971A1/en active Pending
- 2022-11-10 JP JP2022180093A patent/JP7516484B2/ja active Active
- 2022-11-11 US US17/985,722 patent/US20230209953A1/en active Pending
- 2022-11-11 TW TW111143250A patent/TWI841047B/zh active
- 2022-11-14 CN CN202211421708.5A patent/CN116406190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516484B2 (ja) | 2024-07-16 |
US20230209953A1 (en) | 2023-06-29 |
CN116406190A (zh) | 2023-07-07 |
TWI841047B (zh) | 2024-05-01 |
JP2023098618A (ja) | 2023-07-10 |
EP4207971A1 (en) | 2023-07-05 |
TW202326673A (zh) | 2023-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01119B2 (ja) | 透明表示装置 | |
JP7516484B2 (ja) | 透明表示装置 | |
KR20210157640A (ko) | 투명 표시 장치 | |
CN114725166A (zh) | 透明显示装置 | |
US20250185459A1 (en)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
CN114678401A (zh) | 显示装置 | |
KR20220012680A (ko) | 투명 표시 장치 | |
US20230111042A1 (en)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
US12167638B2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 |
KR20230018844A (ko) | 투명 표시 장치 | |
US20230200194A1 (en)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
US20230209882A1 (en)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
US20250221200A1 (en)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
KR102838285B1 (ko) | 표시 장치 | |
US20250221220A1 (en)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
KR20250102880A (ko) | 투명 표시 장치 | |
KR20250104712A (ko) | 투명 표시 장치 | |
KR20250100168A (ko) | 투명 표시 장치 | |
KR20250101420A (ko) | 투명 표시 장치 | |
KR20230094796A (ko) | 투명 표시 장치 | |
JP2025105460A (ja) |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 |
KR2025010467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CN114551528A (zh) | 透明显示装置 | |
JP2025104271A (ja) | 透明表示装置 | |
KR2025010270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