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122A - AMTEC Apparatus - Google Patents
AMTEC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0122A KR20230100122A KR1020210189740A KR20210189740A KR20230100122A KR 20230100122 A KR20230100122 A KR 20230100122A KR 1020210189740 A KR1020210189740 A KR 1020210189740A KR 20210189740 A KR20210189740 A KR 20210189740A KR 20230100122 A KR20230100122 A KR 202301001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kali metal
- metal charge
- charge carrier
- power generation
- conversion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1—Temperature-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의 부산광역시 대학혁신연구단지조성사업의 지원에 의해 발생한 성과물로써, 열전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열전환발전셀로 이송되는 경우에 열전환발전셀의 내부 구조에 의해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ult generated by the support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University Innovation Research Complex Creation Project of the Busan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and Innovation (BISTEP), and relates to a thermoelectric generat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heat conversion efficiency by increasing a contact cross-sectional area by an internal structure of a heat conversion power cell when an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vaporized and transferred to a heat conversion power cell.
AMTEC(Alkali Metal Themal to Electric Convertor)은 열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특성이 있는 열변환 전기발생장치로서 이온전도성을 갖는 베타알루미나 고체전해질(BASE, Beta-Alumina Solid Electrolyte)의 양단에 온도차를 주면 셀 내부에서 충전된 Na의 증기압 차가 추진력이 되어 느슨하게 결합하고 있는 격자산소 틈새 층으로 Na+ 이온의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AMTEC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or) is a thermal conversion electricity generating device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ly converting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e difference in vapor pressure of Na charged inside the main cell becomes a driving force, and the movement of Na+ ions occurs into the loosely bound lattice oxygen interstitial layer.
자유전자들은 양극(anode)으로부터 전기부하로 통과하여 음극(cathode)으로 돌아와서 베타알루미나 고체전해질의 표면에서 나오는 이온과 재결합하여 중성화(Neutralization)되는 과정에서 전기를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단일 전기화학적 셀의 OCV(open circuit voltage)는 1.6V 이상이 얻어진다. 이때 출력형태는 저전압, 대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을 모듈화하여 모을 경우 대용량 발전이 가능하다.Free electrons pass from the anode to the electrical load, return to the cathode, and recombine with ions from the surface of the beta-alumina solid electrolyte to generate electricity in the process of neutralization. In this case, a single electrochemical An open circuit voltage (OCV) of the cell is obtained above 1.6V. At this time, low voltage and high current are generated in the form of output. If they are modularized and collected, large-capacity power generation is possible.
우주용의 전력원으로서 반도체식의 열전발전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효율이 낮고, 발전시스템이 무거운 단점이 있는데, AMTEC 기술은 이러한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열전발전시스템을 대체하기위해 개발이 시작된 기술이며, 단위면적당 높은 전력밀도, 고효율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장점을 가진다.A semiconductor-typ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space, but it has low efficiency and a heavy power generation system. It has advantages of maintaining high power density, high efficiency and stability.
또한, AMTEC 기술은 종래의 발전기술과는 달리 터빈이나 보일러와 같은 구동부가 없어 열원으로 태양에너지, 화석연료, 폐열, 지열, 원자로 등 다양한 열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단위질량당 출력밀도가 태양광 발전, 스터링 엔진에 약 2배 정도이므로 우주용, 군사용 및 고온폐열을 이용한 전원기술에 광범위하게 응용이 가능한 미래지향적인 신발전기술로 평가받고 있다.In addition, AMTEC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various heat sources such as solar energy, fossil fuels, waste heat, geothermal heat, and nuclear reactors as heat sources because it does not have driving parts such as turbines or boilers unlike conventional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 power density per unit mass is about twice that of solar power generation and Stirling engines, so it is evaluated as a future-oriented new technology that can be widely applied to space, military, and power technology using high-temperature waste heat.
한편, 페열의 형태는 배가스, 배공기, 폐온수, 폐증기 등이 있고, 생산공정의 제품의 현열, 반응열 또한 폐열로 분류되며 이들의 폐열회수는 부식성 물질 포함여부, 온도 및 유량의 조건에 따라 적용가능한 열교환기의 형태 및 규격과 재질 등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열 이용장치로는 폐열 회수기, 전열 교환기, 히트 파이프식 열교환기 등이 있고, 특별한 경우 별도외 회수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waste heat includes exhaust gas, exhaust air, waste hot water, waste steam, etc., and sensible heat and reaction heat of products in the production process are also classified as waste heat. Applicable heat exchangers have various shapes, specifications, and materials, and waste heat utilization devices include waste heat recovery devices, total heat exchangers, heat pipe type heat exchangers, and the like, and in special cases, a separate recovery system is being considered.
AMTEC 기술은 고품질의 전기를 열원으로부터 직접 생산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기존의 수력발전, 화력발전, 원자력발전, 조력발전, 풍력발전 등의 발전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높은 에너지 변환효율을 갖는 특징이 있다.AMTEC technology is emerging as a promising technology that can replace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such as hydropower, thermal power, nuclear power, tidal power, and wind power because it can produce high-quality electricity directly from a heat source and increase efficiency. It is characterized by simple yet high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은 종래의 열전발전장치에서 열변환 효율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열전환발전셀로 이송되는 경우에 열전화발전셀의 내부 구조에 의해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as created to further improve the heat conversion efficiency in the conventional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when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vaporized and transferred to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ell,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e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generator capable of improving heat conversion efficiency by increasing a contact cross-sectional area by an internal structur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은,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AMTEC(암텍) 열전발전장치에 있어서,In the AMTEC (Amtec) thermoelectric generator that converts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내부에 전하를 운반하기 위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충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이송하는 증발부(300); 상기 케이스(100)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을 통과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응축시키는 응축부(400); 상기 응축부(400)에서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하여 순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모세관윅(500); 및 상기 모세관윅(50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저장한 후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시키는 저장부(600); 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A
또한,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은 철(Fe),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티타늄(Ti), 텅스텐(W), 몰리브덴(Mo), PtW, RhW 니켈-철 합금, 스테인리스, 청동, PtW, RhW, TiC, TiN, SiN, RuO, RuW, Ru20, Rh2W, NbC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공질의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은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 또는 NASICON(Na Super Ionic CONductor)계의 고체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는 알파알루미나(α-Alumina)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의 복합체를 기상의 산화나트륨(Na2O)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ta-alumina (β/β”-Alumina) is produced by reacting a complex of alpha-alumina and yttria-stabilized zirconia with gas-phase sodium oxide (Na 2 O). It can be configured as a feature.
또한,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는 나트륨(Na), 칼륨(K), 리튬(Li)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sodium (Na), potassium (K), and lithium (Li).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은,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열전환발전셀로 이송될 시 열전환발전셀의 내부 구조에 의해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When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vaporized and transferred to the thermal conversion power cell, the thermal convers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tact cross-sectional area due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hermal conversion power cell.
또한, 저장부와 연계되어 증발부와 응축부를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evaporation unit and the condensation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storage unit.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화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화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화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is is for easier understand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refers to an element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화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화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화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ell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detail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는 케이스(100), 열전환발전셀(200), 증발부(300), 응축부(400), 모세관윅(500) 및 저장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5,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 상기 증발부(300), 상기 응축부(400), 상기 모세관윅(500), 상기 저장부(600)를 내포하여 밀봉되는 것으로, 내부에 전하를 운반하기 위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증기와 상호작용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단위셀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환발전셀(200)은 유체순환 측면에서 밑면이 윗면보다 큰 원뿔대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thermal conversion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는 나트륨(Na)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칼륨(K), 리튬(Li)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나트륨(Na)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발부(300)의 온도는 1100K, 상기 응축부(400)의 온도는 650K 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용융점이 낮은 칼륨(K)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발부(300)와 상기 응축부(400)의 구동온도를 120K 정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나트륨(Na)인 것으로 설명한다.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preferably sodium (Na),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potassium (K) and lithium (Li). In the case of using sodium (Na), the temperatur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 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hermal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은 철(Fe),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티타늄(Ti), 텅스텐(W), 몰리브덴(Mo), PtW, RhW 니켈-철 합금, 스테인리스, 청동, PtW, RhW, TiC, TiN, SiN, RuO, RuW, Ru20, Rh2W, NbC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공질의 멤브레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은 나트륨(Na) 이온을 통과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소재로써 높은 이온전도도와 강도 및 치밀한 미세구조에 의한 고내구성을 지녀야 하며, 나트륨(Na) 이온이 잘 통과할 수 있는 층상구조를 갖는 재료가 적용되어야 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은 베타알루미나(β”-Alumina)계의 고체전해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타알루미나(β-Alumina) 또는 NASICON(Na Super Ionic CONductor)계의 고체전해질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는 알파알루미나(α-Alumina)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의 복합체를 기상의 산화나트륨(Na2O)과 반응시켜 생성될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를 사용함으로써 강도 및 내수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beta-alumina (β/β”-Alumina) may be produced by reacting a complex of alpha-alumina and yttria-stabilized zirconia with gas-phase sodium oxide (Na 2 O), By using yttria-stabilized zirconia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trength and water resistance can be improved.
이러한 열전환발전셀(200) 내부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후술되는 증발부(300)에 의해 증기상태로 변하여 이송되면,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이온은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을 통과하고, 자유전자들은 상기 양극(210)으로 전기부하로 통과하여 상기 음극(220)으로 돌아와서 다공성전해질(230)에서 나오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이온과 재결합함으로써 전기가 발생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에는 전기를 이송시킬 전선 등의 이송장치와 이러한 이송장치와 연결되어 집전하는 집전장치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changed into a vapor state and transferred into the thermal conversion
한편,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의 접촉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Meanwhile, in order to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thermal conversion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환발전셀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활발전셀(2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이송될 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의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열전환발전셀(200)의 경우 내부에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가 이송될 시 와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의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3 is a view showing a thermal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3, the thermal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환발전셀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활발전셀(2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이송될 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의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열전환발전셀(200)의 경우도 내부에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가 이송될 시 와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의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4 is a view showing a thermal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4, the thermal
상기 증발부(300)는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증발부(300)는 히트파이프와 같은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부(300)의 열원으로 태양에너지, 화석연료, 폐열, 지열, 원자로 등의 다양한 열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이러한 증발부(300)는 초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양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증기화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된 후 자동으로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될 저장부(600)와 연계하여 상기 증발부(300)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나트륨(Na)인 경우에는 상기 증발부(300)의 설정온도는 1100K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증발부(300)의 설정온도가 900~1150K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sodium (Na), the set temperature of the
상기 응축부(400)는 상기 케이스(100)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을 통과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응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응축부(400)는 히트파이프와 같은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densing
이러한 응축부(400) 또한, 초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양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응축되는데 소비되는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된 후 자동으로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될 저장부(600)와 연계하여 상기 응축부(400)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densin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나트륨(Na)인 경우에는 상기 응축부(400)의 설정온도는 650K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응축부(400)의 설정온도가 500~700K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sodium (Na), the set temperature of the
상기 모세관윅(500)은 상기 케이스(100) 중앙부에 상기 응축부(400)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부(400)에서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하여 순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증발부(300), 상기 응축부(400), 상기 모세관윅(500)은 별개 독립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증발부(300), 상기 응축부(400), 상기 모세관윅(500)은 일체하여 하나의 모세관윅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순환을 위해 모세관윅을 사용하여 기계적 요소를 최소함에 따라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모세관윅(50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저장한 후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저장부(600)는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개폐가 가능한 저장모듈과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유체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모듈과 연계하여 상기 바디모듈을 개폐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600)는 상기 증발부(300) 및 상기 응축부(400)와 연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600)는 초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양에 관한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제1 조건(예를 들어, 저장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양이 초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3분의 1)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증발부(300)와 상기 응축부(400)를 가동시키고,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제2 조건(예를 들어, 저장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양이 초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2분의 1)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상기 증발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한편, 상기 증발부(3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양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되는데 소비되는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되고, 상기 응축부(4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양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응축되는데 소비되는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동사이클을 통해 상기 증발부(300)와 상기 응축부(400)를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은,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열전환발전셀로 이송될 시 열전환발전셀의 내부 구조에 의해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저장부와 연계되어 증발부와 응축부를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When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vaporized and transferred to the thermal conversion power cell, the thermal convers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contact due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hermal conversion power cell, and the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sections are selectively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storage unit. Thi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 나트륨을 대상으로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튬, 칼륨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for sodium as an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lithium, potassium, and the like, of course.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application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will be.
1000 :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장치
100 : 케이스
200 : 열전환발전셀
210 : 양극
220 : 음극
230 : 다공성전해질
300 : 증발부
400 : 응축부
500 : 모세관윅
600 : 저장부1000: thermoelectr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case 200: thermal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
210: anode 220: cathode
230: porous electrolyte 300: evaporation unit
400: condensation unit 500: capillary wick
600: storage unit
Claims (5)
내부에 전하를 운반하기 위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충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이송하는 증발부(300);
상기 케이스(100)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을 통과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응축시키는 응축부(400);
상기 응축부(400)에서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하여 순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모세관윅(500); 및
상기 모세관윅(50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저장한 후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시키는 저장부(600); 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장치.
In the AMTEC (Amtec) thermoelectric generator that converts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case 100 filled with an alkali metal charge carrier for carrying electric charges therein;
A plurality of thermal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s 200 radially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100;
an evaporation unit 300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case 100 and transferring heat to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converting it into vapor, and transferring the heat to the heat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 200;
a condensing unit 400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case 100 and collecting and condensing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ermal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s 200;
a capillary wick 500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s condensed in the condensation unit 400 are transported to the evaporation unit 300 and circulated; and
a storage unit 600 located inside the capillary wick 500 and transporting the condensed alkali metal charge carrier to the evaporation unit 300; including,
The thermal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 200 is positioned between an anode 210 and a cathode 220 that exchange charges from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and between the anode 210 and the cathode 220, and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a porous electrolyte 230 selectively permeable, wherein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hermal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 200 are formed in concavo-convex shapes.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은 철(Fe),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티타늄(Ti), 텅스텐(W), 몰리브덴(Mo), PtW, RhW 니켈-철 합금, 스테인리스, 청동, PtW, RhW, TiC, TiN, SiN, RuO, RuW, Ru20, Rh2W, NbC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공질의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ve electrode 2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20 are iron (Fe), aluminum (Al), nickel (Ni), copper (Cu), titanium (Ti), tungsten (W), molybdenum (Mo), PtW, RhW It is a porous membran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nickel-iron alloy, stainless steel, bronze, PtW, RhW, TiC, TiN, SiN, RuO, RuW, Ru 2 0, Rh 2 W, and NbC. A thermoelectric generator that does.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은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 또는 NASICON(Na Super Ionic CONductor)계의 고체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orous electrolyte 230 is a thermoelectric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 electrolyte of beta-alumina (β / β "-Alumina) or NASICON (Na Super Ionic CONductor) system.
상기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는 알파알루미나(α-Alumina)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의 복합체를 기상의 산화나트륨(Na2O)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beta alumina (β/β”-Alumina) is produced by reacting a complex of alpha alumina and yttria-stabilized zirconia with sodium oxide (Na 2 O) in the gas phase. A thermoelectric generator that does.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는 나트륨(Na), 칼륨(K), 리튬(Li)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lkali metal charge carrier is a thermoelectric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sodium (Na), potassium (K), lithium (Li).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9740A KR102708832B1 (en) | 2021-12-28 | 2021-12-28 | AMTEC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9740A KR102708832B1 (en) | 2021-12-28 | 2021-12-28 | AMTEC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0122A true KR20230100122A (en) | 2023-07-05 |
KR102708832B1 KR102708832B1 (en) | 2024-09-23 |
Family
ID=8715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9740A Active KR102708832B1 (en) | 2021-12-28 | 2021-12-28 | AMTEC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8832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29371A (en) * | 1997-07-28 | 1999-07-27 | Advanced Modular Power Systems, Inc. | Heat shields for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sion (AMTEC) cells |
KR101007850B1 (en) | 2008-07-25 | 2011-01-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MTC device with heat pipe |
KR20120020940A (en) * | 2010-08-31 | 2012-03-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olid electrolyte and thermoelectric convertor containing same |
KR101137377B1 (en) * | 2010-06-10 | 2012-04-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Electric converter unit and electric converter system |
KR101431561B1 (en) * | 2013-10-15 | 2014-08-2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mtec apparatus using assembly structure of one body type |
KR101479089B1 (en) | 2013-05-10 | 2015-01-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lkali metal themal to eletric converter system includes a heat exchanger. |
KR101584617B1 (en) | 2014-05-12 | 2016-01-2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n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er and electricity generating method using it |
-
2021
- 2021-12-28 KR KR1020210189740A patent/KR1027088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29371A (en) * | 1997-07-28 | 1999-07-27 | Advanced Modular Power Systems, Inc. | Heat shields for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sion (AMTEC) cells |
KR101007850B1 (en) | 2008-07-25 | 2011-01-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MTC device with heat pipe |
KR101137377B1 (en) * | 2010-06-10 | 2012-04-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Electric converter unit and electric converter system |
KR20120020940A (en) * | 2010-08-31 | 2012-03-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olid electrolyte and thermoelectric convertor containing same |
KR101479089B1 (en) | 2013-05-10 | 2015-01-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lkali metal themal to eletric converter system includes a heat exchanger. |
KR101431561B1 (en) * | 2013-10-15 | 2014-08-2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mtec apparatus using assembly structure of one body type |
KR101584617B1 (en) | 2014-05-12 | 2016-01-2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n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er and electricity generating method using 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8832B1 (en) | 2024-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23425B2 (en) | Alkali metal thermoelectric converter including heat exchanger | |
KR101007850B1 (en) | AMTC device with heat pipe | |
JP5711687B2 (en) | Electrochemical device and power storage system | |
KR101584617B1 (en) | An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er and electricity generating method using it | |
KR101305431B1 (en) | Themal to eletric converting cell | |
JP5775121B2 (en) | Thermal conversion generator including thermal conversion power generation cell using porous current collector | |
KR102708832B1 (en) | AMTEC Apparatus | |
KR102665562B1 (en) | AMTEC Apparatus With Swirling Module | |
KR101630157B1 (en) |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er and manipulating method the same | |
KR101631553B1 (en) | An AMTEC cell housing and an AMTEC cell using the same | |
JP5657073B2 (en) | Open cell internal alkali metal thermoelectric converter unit cell | |
KR101454150B1 (en) | A internal collector structure of themal to eletric converting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01857255B1 (en) |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or using Variable Conductance Heat Pipe | |
CN101674031A (en) | Combined alkali metal thermoelectric direct conversion type solar system | |
KR101431561B1 (en) | Amtec apparatus using assembly structure of one body type | |
US20250015396A1 (en) | Alkali metal thermal-to-electric converter having large effective ionization area | |
KR20180093143A (en) | Amtec cogeneration boiler and its application technology | |
CN102307025A (en) | Integrated solar power generation and storage device | |
KR102458594B1 (en) | Amtec having detachable unit cells | |
Kandhasamy et al. | An Overview on Classification of Energy Storage Systems | |
WO2025071510A1 (en) | Fuel cell cooling system with heat transfer fluid | |
KR101542935B1 (en) | Renewable energy hybrid power system | |
Elliott et al. | Night storage and backup generation with electrochemical engin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