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95735A - 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 Google Patents

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735A
KR20230095735A KR1020210185505A KR20210185505A KR20230095735A KR 20230095735 A KR20230095735 A KR 20230095735A KR 1020210185505 A KR1020210185505 A KR 1020210185505A KR 20210185505 A KR20210185505 A KR 20210185505A KR 20230095735 A KR20230095735 A KR 2023009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p
growth step
inducing
buds
reprodu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세계
이광호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씽
Priority to KR102021018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735A/en
Publication of KR2023009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735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ducing hemp bud to avoid simply promoting high growth of hemp and maximize the yield of cannabidiol.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hemp growth into a vegetative growth stage and a reproductive growth stage, and maximizes the amount of CBD to induce sufficient buds through optimized temperature control, humidity control, and light control.

Description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Induction method of hemp bud for CBD extraction {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본 발명은 수경 재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공장에서 햄프 추출을 위한 수경 재배 방법인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nducing hemp buds, which is a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for extracting hemp in a plant factory.

식물공장은 내부 환경을 조절한 폐쇄적 공간에서 작물을 폐쇄적으로 생산하는 기술로서, 안전한 식료공급, 식재의 주년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 보전형의 생산 체계라고 할 수 있다. A plant factory is a technology that produces crops in a closed space in which the internal environment is controlled.

이러한 식물공장은 이론적으로는 안정공급, 냉하 또는 난동, 태풍 등의 기상변동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없고, 병원균 또는 해충의 피해를 받는 경우가 없으며 일정한 양, 일정한 형 또는 맛, 영양가 등의 품질, 그리고 안정된 가격으로 작물의 공급이 가능한 것이 장점으로 언급되고 있다. 또한, 식물공장은 높은 안정성, 병원균 또는 해충의 침입이 없기 때문에 이들의 예방, 구제를 위한 농약의 살포도 필요하지 않게 되고, 무농약에 의한 안전한 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These plant factories theoretically have a stable supply, are not affected by weather changes such as cooling or riots, typhoons, and are not damaged by pathogens or pests. In addition, it is mentioned as an advantage that crops can be supplied at a stable price. In addition, since the plant factory has high stability and no invasion of pathogens or pests, it is not necessary to spray pesticides for their prevention and control, and it is expected that safe production without pesticides will be possible.

그런데 이러한 식물공장은 현재까지 주로 엽채류의 채소 재배에 한정된 경향이 있다. 이에 식물공장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작물의 종류 다각화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고품위 작물의 재배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식물공장의 대중화가 더욱 앞당겨 질 것으로 전망된다. However, these plant factories tend to be limited to vegetable cultivation of leafy vegetables until now.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diversification of crop types is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plant factories. In particular, if the cultivation of high-quality crops is successful, it is expected that the popularization of plant factories will be accelerated.

이러한 고품위 작물 중에 햄프(대마)를 예로 들 수 있다. 햄프 시드(씨앗)의 경우에는 우리 몸에 좋은 식물성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고 몸에서 생성되지 않는 필수 아미노산을 비롯, 20종의 아미노산이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호르몬의 균형을 돕는 감마리놀렌산과 심혈관 기능 개선에 좋은 오메가3·6(지방산), 비타민A·B1·B2·B3·B6·D·E, 엽산, 칼슘, 철분 등의 무기영양소와 섬유질이 풍부한 햄프시드를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어린이용 과자와 노인용 간식에 첨가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미국 <타임>은 햄프 시드를 6대 슈퍼 곡물로 선정했다.Among these high-quality crops, hemp (hemp) can be cited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hemp seed (seed), it contains a lot of vegetable protein that is good for our body and contains 20 kinds of amino acids, including essential amino acids that are not produced in the body, as well as gamma linolenic acid that helps balance hormones and improves cardiovascular function. Inorganic nutrients such as good omega 3·6 (fatty acid), vitamins A·B1·B2·B3·B6·D·E, folic acid, calcium, and iron, and fiber-rich hemp seeds are used as snacks for children and snacks for the elderl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It is us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dding to The US <Time> selected hemp seeds as one of the six super grains.

나아가 햄프에서 추출된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는 통증, 기분 및 정신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뇌의 화학 물질 분해를 막아서 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칸나비디올은 THC(delta-9-tetrahydrocannabinol)의 정신 활성(환각) 효과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Furthermore, Cannabidiol (CBD), which is extracted from hemp, is expected to affect the brain by preventing the breakdown of chemicals in the brain that affect pain, mood and mental function. Cannabidiol can also block some of the psychoactive (psychedelic) effects of delta-9-tetrahydrocannabinol (THC).

현재 칸나비디올을 함유한 의약품으로 국내에서 허가된 제품은 없으나, 국내에 대체할 치료제가 없는 희귀, 난치성 치료를 위해서 자가 치료 목적으로 해외에서 의약품으로 허가받은 햄프 성분 의약품을 수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내에서 칸나비디올 함유 의약품은 희귀 전문의약품으로서 일반적인 의약품처럼 구할 수는 없고, 개인이 한국 희귀 필수의약품센터에 취급 승인 신청서, 진단서, 진료기록, 의학적 소견서 등을 제출하여 취급 승인을 받은 후 제한적으로 센터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Currently, there is no domestically approved product containing cannabidiol, but for the purpose of self-treatment for rare and intractable treatment for which there is no alternative treatment in Korea, hemp-based medicines approved overseas can be imported and used. there is. In Korea, cannabidiol-containing medicines are orphan prescription medicines and cannot be obtained like general medicines. Individuals submit an application for handling approval, diagnosis, medical record, medical opinion, etc. Available through the center.

그러나, 그러나, 한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는 1960년대부터 햄프의 환각성분(THC, 도취성분) 때문에 관련 규제와 처벌을 엄격한 실정이라 햄프의 재배 방법에 대하여는 공식적으로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선행기술문헌1에서도 햄프에서 고농도의 카나비디올(CBD) 화합물을 추출하는 가공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선행기술문헌2에서도 햄프로부터 모상체를 채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모두 햄프가 재배된 것을 전제로 그 이후 단계의 연구에 국한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1960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related regulations and punishments have been strict due to the hallucinogenic component (THC, intoxicating component) of hemp, so the method of cultivating hemp has not been officially studied. Accordingly, Prior Art Document 1 also discloses a processing technique for extracting high-concentration cannabidiol (CBD) compounds from hemp, and Prior Art Document 2 also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parent bodies from hemp, but all of them Assuming that hemp has been cultivated, the study is limited to later stages.

그런데, 가장 이슈가 되는 카나비디올(CBD)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버드를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추출 방법의 고도와 이전에 충분한 버드를 유도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특이한 재배 방법이 요구되지만 현재까지 관련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By the way, in order to increase the yield of cannabidiol (CBD), which is the most issue, it is very important to induce buds. This is because the altitude of the extraction method and the induction of sufficient buds beforehand must be preceded. Accordingly, a specific cultivation method is required, but related research has been almost non-existent to date.

[선행기술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2226394호(2021.3.11) 대마(헴프)에서 고농도 카나비디올(CBD) 화합물을 추출하는 가공기술[Prior Ar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26394 (2021.3.11) Processing technology for extracting high-concentration cannabidiol (CBD) compounds from hemp (hemp) [선행기술문헌2]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2810 대마초 식물로부터 모상체를 채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Prior Ar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128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parent bodies from cannabis plant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게 햄프의 고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지양하고 카나비디올의 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햄프의 버드 유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ducing hemp bud to maximize the yield of cannabidiol without simply promoting high growth of hem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햄프의 버드 유도 방법은 햄프를 파종하는 파종 단계, 파종된 햄프를 육묘하는 육묘 단계, 육묘된 햄프를 재배동으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및 이동된 햄프를 재배부에서 생장시키는 생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장 단계는 영양 생장 단계 및 영양 생장을 생식 생장으로 전환시키는 생식 생장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inducing hemp bud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eding step of sowing hemp, a seedling step of raising seedlings of the seeded hemp, a moving step of moving the raised hemp to a redoubt, and growing the moved hemp in a cultivation unit. and a growth step of causing, wherein the growth step includes a vegetative growth step and a reproductive growth step of converting vegetative growth into reproductive growth.

이때, 상기 생장 단계는 생식 생장 단계 이후에 버드 갈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owth step may further include a bud browning step after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의 온도는 상기 생식 성장 단계의 온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ve growth stage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또한, 상기 버드 갈변 단계의 온도는 상기 영양 생장 단계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bud browning step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at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의 온도는 25 내지 29℃도 형성되고, 상기 생식 생장 단계의 온도는 26 내지 30℃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may be formed at 25 to 29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may be formed at 26 to 30 ° C.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 및 상기 생식 생장 단계의 온도는 명기가 암기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s of the vegetative growth stage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dark stage.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의 습도는 상기 생식 성장 단계의 습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umidity of the vegetative growth stage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humidity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의 습도는 60 내지 80%로 형성되고, 상기 생식 성장 단계의 습도는 65 내지 85%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umidity in the vegetative growth stage may be formed at 60 to 80%, and the humidity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may be formed at 65 to 85%.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 및 상기 생식 생장 단계의 습도는 명기가 암기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umidity of the vegetative growth stage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dark stage.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에서 인가되는 광의 광합성광량자속밀도(PPDF) 값은 생식 생장 단계에서 인가되는 광의 광합성광량자속밀도 값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DF) value of light a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may be smaller than th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value of light applied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와 상기 생식 생장 단계에서 공급되는 양액 내 질소 함량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itrogen content in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may be formed differently.

또한, 상기 양액 내 질소 함량은 영양 생장 단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itrogen content in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formed larger in the vegetative growth stage.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와 상기 생식 생장 단계에서 공급되는 CO2 농도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CO2 concentrations su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may be formed differently.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와 상기 생식 생장 단계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may be formed differently.

또한, 상기 재배부의 함수율은 45 내지 65%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ultivation part may be formed to 45 to 65%.

또한, 상기 영양 생장 단계 또는 상기 생식 생장 단계는 3주 내지 5주로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getative growth step or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can be controlled for 3 to 5 weeks.

또한, 상기 생식 생장 단계는 햄프의 상면 크기가 60 내지 80cm 인 경우에 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may be initiated when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mp is 60 to 80 cm.

또한, 상기 버드 갈변 단계 이후 10 내지 20일 이후 수확을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harvesting may be performed after 10 to 20 days after the bud browning step.

상기 파종 단계와 그 밖의 다른 단계에서는 양액의 성분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eeding step and other steps, the components of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formed differently.

본 발명은 햄프의 생장을 영양 생장 단계 및 생식 생장 단계로 구분하고 최적화된 온도제어, 습도제어, 및 광제어 등을 통해 충분한 버드를 유도하여 CBD 추출량을 극대화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growth of hemp into a vegetative growth stage and a reproductive growth stage, and maximizes the amount of CBD extraction by inducing sufficient buds through optimized temperature control, humidity control, and light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육모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생장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프 버드 유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센서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장치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장치부와 재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riving a hemp bi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hair growth step in Figure 1 in more detail.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growth step in Figure 1 in more detail.
4 is a block diagram of a hemp bird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nsor unit of FIG. 4 in more detail.
FIG. 6 is a view showing the device of FIG. 4 in more detail.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unit and the reproducing unit of FIG. 4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embodiment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emplifying specific embodiments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프의 버드 유도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육모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의 생장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프 버드 유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센서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장치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장치부와 재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method for inducing hemp bu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inducing hemp bu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hair growth step in FIG. 1 in more detail, and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growth step in FIG. This is a more detailed flow chart.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mp bird in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nsor part of FIG. 4 in more detail, and FIG. 6 shows the device part of FIG. 4 in more detail.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unit and the reproducing unit of FIG. 4 .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프의 버드유도 방법은 햄프를 파종하는 파종단계(S100), 파종된 햄프를 육묘하는 육묘단계(S200), 육묘된 햄프를 재배동으로 이동하는 이동단계(S300) 및 이동된 햄프를 재배부(400)에서 생장시키는 생장단계(S4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hemp bud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eding step of sowing hemp (S100), a seedling step of raising the seeded hemp (S200), and It includes a moving step of moving to redistribution (S300) and a growing step of growing the moved hemp in the cultivation unit 400 (S400).

CBD 추출량의 극대화를 위해서 파종단계(S100)에서는 재배 트레이의 하부를 가온하면서 습도를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육묘단계(S200)는 정식단계(S210), 1차트레이닝단계(S220), 및 2차트레이닝단계(S230)로 이루어지는데 이처럼 가지를 제거하는 트레이닝 단계를 복수 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maximize the amount of CBD extraction, in the seeding step (S100), it is preferable to form a high humidity while warming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tray, and the seedling step (S200) is a planting step (S210), 1st training step (S220), and 2 It consists of a chart training step (S230), an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training step of removing branches in this way a plurality of times.

이외 파종단계(S100)와 육묘단계(S200)에서는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파종 및 육묘를 수행할 수 있는데, 햄프의 특성 상 파종단계는 12 내지 16일간 수행되고, 상기 육묘 단계는 상기 파종 5주 내지 7주에 수행되어야 생장단계에 진입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in the seeding step (S100) and the seedling raising step (S200), seeding and seedling can be performed by a known conventional method. Due to the nature of hemp, the seeding step is performed for 12 to 16 days, and the seedling raising step is the seeding 5 It should be performed from week to week 7 to be in the most desirable state to enter the growth stage.

이후, 이동단계(S300)를 거쳐 생장단계(S400)는 영양생장단계(S210), 생식생장단계(S220), 및 버드갈변단계(S230)으로 이루어진다. 생식생장단계(S230)은 영양 생장을 생식 생장으로 전환시키는 생장단계를 말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은 환경 조건을 최적화하여 영양 생장을 생식 생장으로 인위적으로 전환하여 버드 유도를 극대화함에 특징이 있다. 이후 버드가 갈변되는 버드갈변단계(S230)에서 설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수확하게 된다. Then, through the movement step (S300), the growth step (S400) consists of a vegetative growth step (S210), a reproductive growth step (S220), and a bud browning step (S230).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230) refers to a growth step in which vegetative growth is converted into reproductive growth. That is, the hemp bud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maximizing bud induction by artificially converting vegetative growth into reproductive growth by optimiz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en, when the set period has elapsed in the bud browning step (S230) in which the bud is browned, it is harvested.

이상과 같은 햄프 버드의 유도는 컨테이너와 같은 장소 내부에서 외부 분위기 및 외부 광과 차단되어 내부의 햄프 생육 조건을 별도로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한 햄프 버드 유도 시스템(1000)은 도 4에서와 같이 센서부(100), 제어부(200), 장치부(300), 햄프(H)가 배치되어 성장하는 재배부(400) 및 서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duction of hemp buds as described above is blocked from the external atmosphere and external light inside a place such as a container, and the internal hemp growth conditions are separately controlled. The hemp bird induction system 1000 for this purpose includes a sensor unit 100, a control unit 200, a device unit 300, a cultivation unit 400 in which hemp H is grown and grown, and a server 500, as shown in FIG. ), including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부(100)는 내부의 환경 조건을 감지하는데 더욱 상세하게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20), 및 내부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CO2센서(130), 및 광원과 햄프 등에 인가되는 내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160)를 포함하고, 도시한 것과 같이 물 공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140) 및 양액의 성분을 판단하는 EC센서(1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5, the sensor unit 100 detects the in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n more detail, the temperature sensor 110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the humidity sensor 120 for detecting the internal humidity, and the internal It includes a CO2 sensor 130 that measures the CO2 concentration, and an illuminance sensor 160 that measures the internal illuminance applied to the light source and the hemp, and as shown, the flow sensor 140 that detects water supply and the nutrient solution An EC sensor 150 for determining the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한 온도센서(110), 습도센서(120) 및 CO2센서(130) 및 조도센서(160)은 내부의 기체 분위기 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역별로 복수 개 배치되어 평균값을 취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면적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의 형태로 재배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내부 공간의 기체 분위기에 구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sensor 110, humidity sensor 120, CO2 sensor 130, and illuminance sensor 160 are disposed in the gas atmosphere inside,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for each zone to obtain an average value. do. This is because when cultivation is performed in the form of a large-are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a gradient may occur in the gas atmosphere of the internal space.

한편, 제어부(200)는 센서부(100)의 감지값에 따라 장치부(300)를 제어하여 내부 환경 조건 및 생장 조건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200)는 장치부(400)인 공조기(310), 광원(320), 제습부(330), 환풍부(340), 로컬팬(350), CO2밸브(360), 관수통(370). 워터펌프(380)을 제어하여 전체 온도, 공기 순환, 광원, 및 양액을 제어하게 된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device unit 300 according to the sensed value of the sensor unit 100 to optimize in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growth conditions.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n air conditioner 310, a light source 320, a dehumidifying unit 330, a ventilation unit 340, a local fan 350, a CO2 valve 360, and a water bottle. (370). The water pump 380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overall temperature, air circulation, light source, and nutrient solution.

우선 공조기는 생장단계(S400)에서 분위기 온도를 제어한다. 그런데, 공조기(310)는 영양성장단계(S410)의 온도를 생식성장단계(S420)의 온도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버드갈변단계(S430)의 온도는 영양 생장단계(S410)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인위적인 온도의 하락을 유발하여 영양성장을 멈추고 버드가 유도되는 생식성장을 개시하도록 하고, 수확을 위해 버드를 신속하게 갈변시키게 된다. First, the air conditioner controls the ambient temperature in the growth step (S400). By the 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conditioner 310 forms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Furthermore, the temperature of the bud browning step (S430) is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at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This causes an artificial decrease in temperature to stop vegetative growth and cause the buds to initiate induced reproductive growth, rapidly browning the buds for harvest.

보다 상세하게, 영양생장단계(S410)의 온도는 25 내지 29℃도 형성되고, 생식생장단계(S420)의 온도는 26 내지 3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양생장단계(S410) 및 생식생장단계(S420)의 온도는 명기가 암기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함께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is formed at 25 to 29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is preferably formed at 26 to 30 ° C.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is preferably formed higher than that of the dark season.

한편, 대용량 식물공장에서는 광범위한 수분의 제거가 필요하므로 제습부(330)는 작물이 증산 작용에 의해 발생시킨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에서는 온도의 제어와 함께 급격한 계절의 변화를 햄프에게 암시해야 되므로 영양생장단계(S410)의 습도는 생식성장단계(S420)의 습도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a large-capacity plant factory needs to remove a wide range of moisture, the dehumidifying unit 330 serves to remove moisture generated by transpiration of crops. However, in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rapid seasonal changes must be suggested to hemp along with temperature control, it is preferable that the humidity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is smaller than that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

보다 상세하게, 영양생장단계(S410)의 습도는 60 내지 80%로 형성되고, 생식성장단계(S420)의 습도는 65 내지 8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제어와 같이 영양생장단계(S410) 및 생식생장단계(S420)의 습도는 명기가 암기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humidity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is formed at 60 to 80%, and the humidity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is preferably formed at 65 to 85%.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umidity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such as temperature control, is higher than that of the dark season.

한편, 광원(320)은 광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LED는 통상의 백색광과 통상의 백색광에서 부족한 파장 피크인 레드 계열의 광을 보충하기 위해서 적색 계열의 광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light source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that apply light. At this time, the LED is preferably used by mixing red-based light to compensate for red-based light, which is a wavelength peak lacking in normal white light and normal white light.

또한, 이때 백색광은 최초 블루 계열의 베어칩을 사용하여 출사된 광이 형광체에 의해 여기되어 백색을 표출하는 경우에는 블루 계열의 파장 피크가 두드려져 광합성에 필요한 블루계열의 광을 보충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나, 베어칩 자체의 파장 피크가 블루계열에서 이격된 광인 경우에는 별도로 블루광을 출사하는 또 다른 LED를 추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작물의 엽록소가 청자색광(430~460nm)과 적색광(630~680nm)을 주로 흡수하도록 하여 성장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t this time, when the light emitted by using the blue-based bare chip is excited by the phosphor and expresses white, the blue-based wavelength peak is struck and can be used to supplement the blue-based light required for photosynthesis. In the case where the wavelength peak of the bare chip itself is light separated from the blue series, it is also desirable to add another LED separately emitting blue light. Accordingly, the growth rate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chlorophyll of crops to mainly absorb blue-violet light (430-460 nm) and red light (630-680 nm).

이때, 광원(320)은 영양생장단계(S410)와 생식생장단계(S420)에서 광합성광량자속밀도(PPDF, μmol·s-1·m-2)의 값을 다르게 인가한다. 더욱 상세하게 광원(320)은 생식생장단계(S420)에서 광합성광량자속밀도의 값이 영양생장단계(S410) 대비 35 내지 60%를 증가하도록 광을 인가한다. 35%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버드가 유도되는 시간이 현저하게 빨라지지 않기 때문이며, 60%를 넘는 경우에는 광포화 현상에 의해 전력의 낭비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320 applies different values of th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DF, µmol·s-1·m-2)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In more detail, the light source 320 applies light so that the value of th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increases by 35 to 60% compared to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If it is less than 35%, this is because the time at which the bud is induced is not remarkably fast despite the above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if it exceeds 60%, it is because power is wasted due to light saturation.

한편, 환풍부(340)는 공조기(310)에서 배출된 공기를 타측으로 유도하도록 상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환풍부(3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도 7의 오른쪽 방향) 공기를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컬팬(350)은 재배부(400) 상에 설치되어 공기 유도를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환풍부(340)와 로컬팬(350)의 작용에 의해 온도 및 습도의 구배가 최소화된다. On the other hand, the ventilation unit 34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to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310 to the other side. As shown in FIG. 7 , the first ventilation unit 340 serves to induce air from one side to the other (right direction in FIG. 7 ). The local fan 35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cultivation unit 400 to assist in inducing ai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gradients are minimized by the action of the ventilation unit 340 and the local fan 350 as described above.

한편, 이상과 같은 온도 및 습도 제어에서 나아가 버드 유도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CO2의 제어가 함께 이루어져야 된다. CO2밸브(360)은 분위기 내의 CO2 농도를 영양생장단계(S410)와 생식생장단계(S420)에서 서로 다르게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영양생장단계(S410)의 CO2 농도는 생식생장단계(S420)에서의 CO2 농도보다 작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생식생장단계서는 CO2 농도를 25 내지 70%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갑작스러운 CO2 농도의 변화에 따라 순광합성율이 일시적으로 촉진되게 되므로 버드 유도율이 크게 올라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urther maximize the bird induction beyond the abov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CO2 control must be performed together. The CO2 valve 360 makes the CO2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In more detail, the CO2 concentration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is formed smaller than the CO2 concentration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More specifically,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CO2 concentration by 25 to 70%. As the net photosynthetic rate is temporarily promoted according to the sudden change in CO2 concentration, the bud induction rate is greatly increased.

나아가, 양액 성분의 변화도 버드의 유도에 큰 영양이 있게 된다. 이에 관수통(370)의 EC센서(150)은 양액의 질소 함량을 감지하는데, 영양생장 단계(S410)와 생식생장단계(S420)에서 공급되는 양액 내 질소 함량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액 내 질소 함량은 영양생장단계(S410)에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파종단계(S100)와 그 밖의 다른 단계에서도 양액의 성분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also have a great effect on the induction of buds. Accordingly, the EC sensor 150 of the watering can 370 detects the nitrogen content of the nutrient solu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nitrogen content in the nutrient solution is larger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nents of the nutrient solution are formed differently even in the above-described seeding step (S100) and other steps.

한편, 관수량의 경우에도 버드 유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워터펌프(380)는 영양생장단계(S410)와 생식생장단계(S420)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영양생장단계(S410)에서는 뿌리의 성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물의 공급량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생식생장단계(S420)에서는 충분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irrigation amount, it affects bud indu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pump 380 is formed with different amounts of water su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More specifically,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S410), it is preferable to relatively reduc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order to increase the growth of the roots, and to supply sufficient water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S420).

한편, 유량센서(140)은 재배부(400)의 유량을 감지하는데, 워터펌프는 재배부(400)의 함수율을 45 내지 6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5 미만인 경우에는 뿌리의 성장이 방해되기 때문이고, 6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생장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Meanwhile, the flow sensor 140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cultivation unit 400, and the water pump preferably has a moisture content of the cultivation unit 400 of 45 to 65%. If it is less than 45, it is because root growth is hindered, and if it is more than 65, oxygen supply is blocked and it acts as an obstacle to growth.

한편, 이러한 영양생장단계 또는 생식생장단계는 3주 내지 5주로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인 햄프이 성장 속도에 비추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생식생장단계에서는 햄프의 크기가 60 내지 80cm인 경우에 개시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버드 갈변 단계 이후에는 10 내지 20일이 경과되기 전에 수확을 실행하는 경우에 CB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vegetative growth stage or reproductive growth stage at 3 to 5 weeks in view of the general growth rate of hemp. In addition, in this case, it is good to judge that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starts when the size of the hemp is 60 to 80 cm. In addition, after the bud browning step, when harvesting is performed before 10 to 20 days have elapsed, the highest CBD content is obtained.

이상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햄프의 버드 유도 시스템
100: 센서부
110: 온도센서
120: 습도센서
130: CO2센서
140: 유량센서
150: EC센서
160: 조도센서
200: 제어부
300: 장치부
310: 공조기
320: 광원
330: 제습부
340: 환풍부
350: 로컬팬
360: CO2밸브
370: 관수통
380: 워터펌프
400: 재배부
500: 서버
1000: Hamp's Bud Induction System
100: sensor unit
110: temperature sensor
120: humidity sensor
130: CO2 sensor
140: flow sensor
150: EC sensor
160: illuminance sensor
200: control unit
300: device unit
310: air conditioner
320: light source
330: dehumidification unit
340: ventilation
350: local fan
360: CO2 valve
370: watering can
380: water pump
400: redistribution
500: server

Claims (19)

햄프를 파종하는 파종 단계;
파종된 햄프를 육묘하는 육묘 단계;
육묘된 햄프를 재배동으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및
이동된 햄프를 재배부에서 생장시키는 생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장 단계는 영양 생장 단계 및 영양 생장을 생식 생장으로 전환시키는 생식 생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 seeding step of sowing hemp;
A seedling step of raising seedlings of the seeded hemp;
A transfer step of moving the raised hemp to redo; and
A growth step of growing the moved hemp in a cultivation area;
including,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wth step comprises a vegetative growth step and a reproductive growth step of converting vegetative growth to reproductive grow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 단계는 생식 생장 단계 이후에 버드 갈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growth step further comprises a bud browning step after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의 온도는 상기 생식 성장 단계의 온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is formed small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드 갈변 단계의 온도는 상기 영양 생장 단계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ud browning step is formed smaller than the vegetative growth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의 온도는 25 내지 29℃도 형성되고, 상기 생식 생장 단계의 온도는 26 내지 3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is also formed at 25 to 29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formed at 26 to 30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 및 상기 생식 생장 단계의 온도는 명기가 암기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formed higher than the dark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의 습도는 상기 생식 성장 단계의 습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umidity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is formed smaller than the humidity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의 습도는 60 내지 80%로 형성되고, 상기 생식 성장 단계의 습도는 65 내지 8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humidity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is formed at 60 to 80%, and the humidity of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formed at 65 to 8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 및 상기 생식 생장 단계의 습도는 명기가 암기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umidity of the vegetative growth step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formed higher than that of the dark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에서 인가되는 광의 광합성광량자속밀도(PPDF) 값은 생식 생장 단계에서 인가되는 광의 광합성광량자속밀도 값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DF) value of light a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is formed smaller than the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value of light applied in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nduction method of hemp bud for CBD extra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와 상기 생식 생장 단계에서 공급되는 양액 내 질소 함량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itrogen content in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formed different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내 질소 함량은 영양 생장 단계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nitrogen content in the nutrient solution is a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egetative growth stage is formed lar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와 상기 생식 생장 단계에서 공급되는 CO2 농도는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hemp bud induction method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2 concentration su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formed different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와 상기 생식 생장 단계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vegetative growth step and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formed different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부의 함수율은 45 내지 6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ultivation part is formed to 45 to 6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생장 단계 또는 상기 생식 생장 단계는 3주 내지 5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egetative growth step or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controlled for 3 to 5 week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 생장 단계는 햄프의 크기(?)가 60 내지 80cm 인 경우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6,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roductive growth step is initiated when the size (?) of hemp is 60 to 80 c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드 갈변 단계 이후 10 내지 20일 이후 수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6,
A method of inducing hemp bud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harvesting is performed after 10 to 20 days after the bud browning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 단계와 그 밖의 다른 단계에서는 양액의 성분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D 추출을 위한 햄프 버드의 유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owing step and other steps, the method of inducing hemp buds for CBD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nents of the nutrient solution are formed differently.


KR1020210185505A 2021-12-22 2021-12-22 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Pending KR202300957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505A KR20230095735A (en) 2021-12-22 2021-12-22 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505A KR20230095735A (en) 2021-12-22 2021-12-22 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735A true KR20230095735A (en) 2023-06-29

Family

ID=8694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505A Pending KR20230095735A (en) 2021-12-22 2021-12-22 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73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810A (en) 2018-07-26 2020-02-05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trichomes from cannabis plants
KR102226394B1 (en) 2020-12-21 2021-03-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ocessing technology to obtain high content of cannabidiol compound from cannabis(he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810A (en) 2018-07-26 2020-02-05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trichomes from cannabis plants
KR102226394B1 (en) 2020-12-21 2021-03-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ocessing technology to obtain high content of cannabidiol compound from cannabis(he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84021B1 (en) Bolting control using light with high level of far red
JP5999552B2 (en)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plant cultivation system
Son et al. Growth and development of cherry tomato seedlings grown under various combined ratios of red to blue LED lights and fruit yield and quality after transplanting
Zheng Soilless production of drug-type Cannabis sativa
Johkan et al. Improved light conditions at the fruit truss accelerate harvest time and enhance ascorbic acid concentration in a low-truss, high-density tomato production system
Park et al. Comparing photosynthesis, growth, and yield of paprika (Capsicum annuum L.'Cupra') under supplemental sulfur plasma and high-pressure sodium lamps in growth chambers and greenhouses
Nicole et al. Nitrate content control in green vegetables grown under led lighting
KR102475146B1 (en) Bud induction method for CBD extraction with high efficiency
KR20230095735A (en) Hemp Hydroponics Method for CBD Extraction
US11785899B2 (en) Method for cultivating a crop, crop production unit and crop production system
KR102470510B1 (en) Hemp cultivation method optimized for CBD extraction
Arshad et al. Assessing the growth, yield,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greenhouse cherry tomato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progressive growth report
US12185680B2 (en) Red and far-red light ratio during growth of basil
JP6086414B2 (en)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plant cultivation system
Jitsuyama et al. The processing tomato cultivar ‘Natsunoshun’is susceptible to an excess or lack of soil moisture after the flowering stage
JP2001258389A (en)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KR102784095B1 (en) Hemp cultivation method for high-concentration CBN extraction
Fleming et al. Controlled environments for cannabis cultivation to support “omics” research studies and production
KR20230095733A (en) Hemp Hydroponics Preparation Method for CBD Extraction
KR20240084355A (en) Hemp cultivation method for high-concentration CBN extraction
Kreuger et al. Applications for breeding and high-wire tomato production in plant factory
Singh et al. Pusa Golden Cherry Tomato-2: New promising yellow cherry tomato for protected cultivation
Sugumaran et al.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s (LED) light on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elected crops in a modular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
CN115176638B (en) Potted oviductus Ranae planting method
Shin et al. Effects of supplemental light on quality, yield, and growth rate of tomat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