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81653A - 이차 전지 및 조전지, 그리고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조전지, 그리고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653A
KR20230081653A KR1020220160234A KR20220160234A KR20230081653A KR 20230081653 A KR20230081653 A KR 20230081653A KR 1020220160234 A KR1020220160234 A KR 1020220160234A KR 20220160234 A KR20220160234 A KR 20220160234A KR 20230081653 A KR20230081653 A KR 20230081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external conductive
terminal
concave por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40896B1 (ko
Inventor
히로노리 마루바야시
료이치 와키모토
Original Assignee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4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408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과제]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와 버스 바를 접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여기서 개시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지 케이스(10)에 단자(30)를 설치하는 설치 공정; 외부 도전 부재(35)의 관통 구멍(35h) 내에, 전지 케이스(10)에 설치된 단자(30)의 일부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 배치 공정 후,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 부재(2)로 커버하는 커버 공정; 및, 커버 공정 후, 외부 도전 부재(35)와 단자(30)를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갖고 있다. 외부 도전 부재(35)는 관통 구멍(35h)의 주위에 있어서, 상면(35u)에서 오목하게 된 오목부(35a)를 갖고 있다. 상기 접합 공정에서는, 관통 구멍(35h)의 관통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커버 부재(2)의 에지부가, 접합 예정부(31w)와, 오목부(35a)의 외주연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도전 부재(35)와 단자(30)를 접합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조전지, 그리고 그 제조 방법{SECONDARY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이차 전지 및 조전지, 그리고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전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조전지는, 예를 들어 차량 구동용의 고출력 전원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전지를 구성하는 단전지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이차 전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이차 전지는, 예를 들어 발전 요소인 전극체와, 전극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와, 전극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와, 전지 케이스 밖에서 단자에 접합되는 외부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차 전지의 제조 과정에서는, 부재와 부재를 접합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이차 전지를 구성하는 부재끼리 접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9-125491호 공보
그런데, 조전지에서는, 예를 들어 인접하는 2개의 단전지의 외부 도전 부재에 버스 바를 걸쳐서 접합함으로써, 해당 2개의 단전지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와 버스 바를 접합하고 싶다고 생각하였다.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정극 및 부극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정극 또는 상기 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설치된 단자와,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전지 케이스 밖에서 있어서 상기 단자에 접합된 외부 도전 부재를 구비한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제조 방법은, 상기 전지 케이스에 상기 단자를 설치하는 설치 공정과,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상기 전지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단자의 일부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배치 공정 후,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 부재로 커버하는 커버 공정과, 상기 커버 공정 후, 상기 외부 도전 부재와 상기 단자를,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갖고 있다. 상기 외부 도전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있어서, 해당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된 대략 환상의 오목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접합 공정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의 관통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커버 부재의 에지부가, 상기 외부 도전 부재와 상기 단자의 접합 예정부와,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전 부재와 상기 단자를 접합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조 방법에서는, 관통 구멍의 주위에 있어서의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이 커버 부재로 커버된 상태에서, 외부 도전 부재와 단자를 접합하기 위해서, 스패터가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와 버스 바를 접합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커버 부재는 개구를 갖고 있고, 해당 개구의 내경은 상기 오목부의 외경보다도 작다. 이러한 구성의 커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보다 잘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오목부가 겹친 영역은, 환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보다 잘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1은 2mm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보다 잘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서는,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은, 해당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효과 외에도, 오목부 형성 시에 있어서의 외부 도전 부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서는, 상기 커버 공정에서는, 개구를 갖는 커버 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해당 개구의 내연부가 상기 테이퍼면에 겹치도록,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을 상기 커버 부재로 커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 도전 부재와 버스 바의 접합의 안정화 효과 외에도, 오목부 형성 시에 있어서의 외부 도전 부재의 변형 억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서는, 상기 최단 거리 W1과,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저면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2의 비(W2/W1)는 0.4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합 안정화 효과와, 상기 변형 억제 효과를 모두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복수의 단전지가 버스 바를 통해 서로 접속된 조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조전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단전지로서의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것과,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 상기 버스 바를 배치하여, 해당 외부 도전 부재와 해당 버스 바를 접속하는 것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조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에 버스 바를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정극 및 부극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정극 또는 상기 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설치된 단자와, 상기 전지 케이스 밖에서 있어서 상기 단자에 접합된 외부 도전 부재를 구비한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이 이차 전지에서는, 상기 외부 도전 부재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단자의 일부는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 주위에는, 상기 외부 도전 부재와 상기 단자의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된 대략 환상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1은 2mm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의 이차 전지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된 오목부의 내부에 마련된 관통 구멍의 주위에서, 해당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된 단자와, 외부 도전 부재가 접합되어 있다.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된 부위에서, 단자와 외부 도전 부재를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서 관통 구멍의 주연으로부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 2mm 이상의 거리가 있다. 단자와 외부 도전 부재의 접합 부위로부터 상면을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어, 접합 시에 상면에 스패터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와 버스 바를 접합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이차 전지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은, 해당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 도전 부재와 버스 바의 접합의 안정화 효과 외에도, 오목부 형성 시에 있어서의 외부 도전 부재의 변형 억제 효과, 및 통전 시의 발열을 억제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이차 전지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서는, 상기 최단 거리 W1과,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저면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2의 비(W2/W1)는 0.4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효과를 보다 잘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이차 전지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정극 또는 상기 부극과,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집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집전 부재에는, 퓨즈부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이차 전지에 1000A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상기 퓨즈부가 용단(溶斷)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효과 외에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에 의하면, 복수의 단전지가 버스 바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전지가 제공된다. 이 조전지는, 상기 단전지로서, 상기 이차 전지를 갖고 있다.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 상기 버스 바가 배치되고, 해당 버스 바를 통해 각 단전지끼리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조전지에서는,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에 버스 바가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조전지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버스 바는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오목부를 덮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효과 외에도, 통전 시의 발열 억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이차 전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밀봉판에 설치된 전극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집전부가 설치된 전극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전극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정극 단자의 근방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정극 단자의 근방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의 몇 가지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는, 당연히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그려져 있고, 반드시 실물을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적절하게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예를 들어,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을 특징짓지 않는 이차 전지의 일반적인 구성 및 제조 프로세스)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의 표기는, 「A 이상 B 이하」를 의미함과 함께, A를 상회하고 B를 하회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차 전지」란, 반복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 디바이스 전반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리튬 이온 이차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 등의 소위 축전지(화학 전지)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의 부호 X는 「깊이 방향」을 나타내고, 부호 Y는 「폭 방향」을 나타내고, 부호 Z는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깊이 방향 X에 있어서의 F는 「전」을 나타내고, Rr은 「후」를 나타낸다.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L은 「좌」를 나타내고, R은 「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높이 방향 Z에 있어서의 U는 「상」을 나타내고, D는 「하」를 나타낸다. 단, 이들은 설명의 편의상의 방향에 지나지 않고, 이차 전지의 설치 형태 및 조전지의 설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이차 전지 (1)>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이차 전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차 전지(1)는 전지 케이스(10)와, 전극체(20)와, 정극 단자(30)와, 부극 단자(40)와, 외부 도전 부재(35, 45)와, 정극 집전 부재(50)와, 부극 집전 부재(60)와, 절연체(70)와, 가스킷(90)과, 외부 절연 부재(92)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정극 집전 부재(50)는 제1 집전부(51)와 제2 집전부(52)를 갖고 있다. 또한, 부극 집전 부재(60)는 제1 집전부(61)와 제2 집전부(62)를 갖고 있다. 이차 전지(1)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이차 전지(1)는, 예를 들어 전해액을 구비하고 있다. 전해액으로서는, 이러한 종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해액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전해액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액의 조성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을 특징짓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지 케이스(10)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20)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하우징이다. 전지 케이스(10)는 여기에서는 편평하면서 또한 바닥이 있는 직육면체 형상(각형)의 외형을 갖는다. 전지 케이스(10)의 재질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으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전지 케이스(10)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지 케이스(10)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체(12)와, 밀봉판(덮개)(14)을 구비하고 있다. 외장체(1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면 직사각형의 저부(12a)와, 저부(12a)가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높이 방향 Z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12b)과, 저부(12a)가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높이 방향 Z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12c)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측벽(12b)은 저부(12a)가 대향하는 한 쌍의 긴 변으로부터 연장된 긴 측벽이다. 또한, 제2 측벽(12c)은 저부(12a)가 대향하는 한 쌍의 짧은 변으로부터 연장된 짧은 측벽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측벽(12c)의 면적은 제1 측벽(12b)의 면적보다도 작다. 저부(12a)에 대향하고, 한 쌍의 제1 측벽(12b)과 한 쌍의 제2 측벽(12c)에 둘러싸인 부분은, 개구부(12h)로 되어 있다. 밀봉판(14)은 외장체(12)의 개구부(12h)를 밀봉하는 부재이다. 밀봉판(14)은 외장체(12)의 저부(12a)와 대향하고 있다. 밀봉판(14)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전지 케이스(10)는 외장체(12)의 개구부의 주연에 밀봉판(14)이 접합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접합 수단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이다. 전지 케이스(10)는 기밀하게 밀봉(밀폐)되어 있다.
밀봉판(14)에는, 주액 구멍(15)과 가스 배출 밸브(17)가 마련되어 있다. 주액 구멍(15)은 외장체(12)에 밀봉판(14)을 조립한 후에 전해액을 주액하기 위한 것이다. 주액 구멍(15)은 밀봉 부재(16)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가스 배출 밸브(17)는 전지 케이스(10)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파단되어, 전지 케이스(10)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박육부이다.
도 3은, 밀봉판에 설치된 전극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집전부가 설치된 전극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차 전지(1)는 3개의 전극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극 집전 부재(50)의 제2 집전부(52)가 장변 방향 Y의 일방측(도 3, 4의 좌측)에 배치되고, 부극 집전 부재(60)의 제2 집전부(62)가 장변 방향 Y의 다른 쪽(도 3, 4의 우측)에 배치되고,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개 또는 복수의 전극체(20)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제 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체 홀더(29)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외장체(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차 전지(1)가 수용하는 전극체(2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1개, 2개 혹은 4개 이상이어도 된다.
전극체(20)는 이차 전지(1)의 발전 요소이며, 정극 및 부극을 포함한다. 도 5는, 전극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극체(20)는 정극판(22), 부극판(24), 및 정극판(22)과 부극판(24)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26)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극체(20)는, 띠상의 정극판(22)과 띠상의 부극판(24)을, 띠상의 세퍼레이터(26)를 통해 적층하여, 긴 쪽 방향으로 권회한 권회 전극체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극체(20)는 전극체 본체부(20a)와, 정극탭군(23)과, 부극탭군(25)을 구비하고 있다. 전극체 본체부(20a)는 정극판(22), 부극판(24) 및 세퍼레이터(26)가 적층된 부분이며, 예를 들어 편평 형상이다.
전극체 본체부(20a)의 폭은, 예를 들어 20cm 이상이다. 전극체 본체부(20a)의 폭은, 예를 들어 25cm 이상이어도 된다. 전극체 본체부(20a)의 폭은, 예를 들어 40cm 이하여도 되고, 30cm 이하여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극체 본체부(20a)의 폭」이란, 예를 들어 부극판(24)의 짧은 쪽 방향(도 5에서는,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전극체 본체부(20a)의 길이를 말한다.
도 1, 2,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극체(20)는 권회축 WL이 폭 방향 Y와 평행해지는 방향에서, 외장체(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20)는 권회축 WL이 저부(12a)와 평행해지고, 제2 측벽(12c)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외장체(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권회축 WL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20)의 양단부면은, 외장체(12)의 제2 측벽(12c)과 대향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정극 집전 부재(50)에 근접한 측(도 2, 4 중의 폭 방향 Y의 좌측)의 제2 측벽(12c)과 대향하는 전극체(20)(예를 들어 전극체 본체부(20a))의 단부면을 「제1 단부면(201)」이라고 칭한다. 부극 집전 부재(60)에 근접한 측(도 2, 4 중의 폭 방향 Y의 우측)의 제2 측벽(12c)과 대향하는 전극체(20)(예를 들어 전극체 본체부(20a))의 단부면을 「제2 단부면(202)」이라고 칭한다.
정극판(22)은 긴 띠상의 정극 집전박(22c)(예를 들어 알루미늄박)과, 정극 집전박(22c)의 적어도 한쪽 표면 위에 고착된 정극 활물질층(22a)을 갖는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극판(22)의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한쪽 측연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정극 보호층(22p)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정극 활물질층(22a)이나 정극 보호층(22p)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러한 종류의 이차 전지(이 실시 형태에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을 특징짓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극 집전박(22c)의 폭 방향 Y의 한쪽 단부(도 5의 좌측 단부)에는, 복수의 정극탭(22t)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정극탭(22t)은 각각 폭 방향 Y의 일방측(도 5의 좌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정극탭(22t)은 정극판(22)의 긴 쪽 방향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정극탭(22t)은 정극 집전박(22c)의 일부이며, 정극 집전박(22c)의 정극 활물질층(22a) 및 정극 보호층(22p)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집전박 노출부)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정극탭(22t)은 세퍼레이터(26)보다도 폭 방향 Y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정극탭(22t)은 폭 방향 Y의 한쪽 단부(도 5의 좌측 단부)에서 적층되고, 정극탭군(23)을 구성한다(도 2 내지 4 참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극탭군(23)에는, 정극 집전 부재(50)가 접합된다.
부극판(24)은 긴 띠상의 부극 집전박(24c)(예를 들어 구리박)과, 부극 집전박(24c)의 적어도 한쪽 표면 위에 고착된 부극 활물질층(24a)을 갖는다. 또한, 부극 활물질층(24a)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러한 종류의 이차 전지(이 실시 형태에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을 특징짓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극 집전박(24c)의 폭 방향 Y의 한쪽 단부(도 5의 우측 단부)에는, 복수의 부극탭(24t)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부극탭(24t)은 폭 방향 Y의 일방측(도 5의 우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부극탭(24t)은 부극판(24)의 긴 쪽 방향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부극탭(24t)은 여기에서는 부극 집전박(24c)의 일부이며, 부극 집전박(24c)의 부극 활물질층(24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집전박 노출부)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극탭(24t)은 세퍼레이터(26)보다도 폭 방향 Y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부극탭(24t)은 폭 방향 Y의 한쪽 단부(도 5의 우측 단부)에서 적층되고, 부극탭군(25)을 구성한다(도 2 내지 4 참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극탭군(25)에는, 부극 집전 부재(60)가 접합된다.
세퍼레이터(26)는 정극판(22)의 정극 활물질층(22a)과, 부극판(24)의 부극 활물질층(24a)을 절연하는 부재이다. 세퍼레이터(26)는 전극체(20)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세퍼레이터(26)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제의 다공성 시트가 사용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극 단자(30) 및 부극 단자(40)는 밀봉판(14)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정극 단자(30)는 밀봉판(14)의 장변 방향 Y의 한쪽 단부(도 1 내지 3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극 단자(40)는 밀봉판(14)의 장변 방향 Y의 다른 쪽 단부(도 1 내지 3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정극 단자(30) 및 부극 단자(40)는 단자의 일례이다.
정극 단자(3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장체(12)의 내부에서 정극 집전 부재(50)를 통해 전극체(20)의 정극판(22)(도 5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극 단자(30)는 단자 인출 구멍(18)을 삽입 관통하여 밀봉판(14)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정극 단자(30)는 절연체(70) 및 가스킷(90)에 의해, 밀봉판(14)과 절연되어 있다. 정극 단자(30)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정극 단자(30) 위에는, 외부 도전 부재(35)가 고정되어 있다. 정극 단자(30)는 외부 도전 부재(35)와 접합되어 있다.
도 6은, 도 2의 정극 단자(30)의 근방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극 단자(30)는 삽입 관통부(30a)와, 플랜지부(30b)와, 돌기부(30c)를 갖는다.
삽입 관통부(30a)는, 예를 들어 밀봉판(14)의 단자 인출 구멍(18)보다도 외형이 작은 부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관통부(30a)는 전지 케이스(10)의 밀봉판(14)을 관통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 관통부(30a)는 밀봉판(14)의 측으로부터, 가스킷(90)의 통부(91)의 내부와, 밀봉판(14)의 단자 인출 구멍(18)과, 절연체(70)의 구멍(70h)과, 제1 집전부(51)의 구멍(51h)을 차례로 삽입 관통하고 있다. 삽입 관통부(30a)의 하단부는, 예를 들어 용접 접합, 또는 기계적인 접합(코킹 등)에 의해, 제1 집전부(51)와 접합되어 있다.
플랜지부(30b)는, 예를 들어 밀봉판(14)의 단자 인출 구멍(18)보다도 외형이 큰 부분(직경 확대부)이다. 플랜지부(30b)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관통부(30a)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0b)는 단자 인출 구멍(18)로부터 돌출되고, 전지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0b)는 밀봉판(14)의 상면(외장체(12)로부터 먼 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0b)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0b)의 상방에는, 예를 들어 외부 도전 부재(35)가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0b)는 여기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35)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돌기부(30c)는, 예를 들어 플랜지부(30b)의 상단에서 상방(삽입 관통부(30a)와 반대측)으로 돌기된 부분이다. 돌기부(30c)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도전 부재(35)의 관통 구멍(35h)에 배치(삽입)되어 있다. 돌기부(30c)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35)에 접합되어 있다. 돌기부(30c)에는, 외부 도전 부재(35)와의 접합부(31w)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0c)는 여기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환상(바람직하게는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돌기부(30c)는 주상으로(중실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부 도전 부재(35)는, 예를 들어 전지 케이스(10) 밖에 있어서 정극 단자(30)에 접합된 부재이다. 외부 도전 부재(3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변 방향 Y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외부 도전 부재(35)는 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도전 부재(35)는, 예를 들어 금속제이다. 외부 도전 부재(35)는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도전 부재(35)는, 예를 들어 이차 전지(1)의 정극측에 있어서, 외부 절연 부재(92)에 의해 밀봉판(14)과 절연된 상태에서 밀봉판(14)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35)의 하면(35d)이 밀봉판(14)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도전 부재(35)에는, 예를 들어 조전지를 구축할 때에 버스 바가 접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면(35d)과 반대측의 상면(35u)에, 버스 바가 접합된다. 또한, 상면(35u) 및 하면(35d)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35)는 접합부(31w)에서 정극 단자(30)와 접합되어 있다.
그런데, 단자와 외부 도전 부재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등의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합된다. 예를 들어, 에너지선을 접합 예정 부위에 조사하면, 스패터가 비산되어, 외부 도전 부재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단자와 외부 도전 부재의 접합 시에 비산된 스패터가 외부 도전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와 버스 바를 접합하고자 생각하였다. 그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외부 도전 부재의 형상, 및 단자와 외부 도전 부재의 접합 방법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도전 부재(35)는 관통 구멍(35h)을 갖고 있다. 관통 구멍(35h)은,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5h)은 외부 도전 부재(35)의 장변 방향 중심보다도, 동일 방향에 있어서의 (1)의 단부(예를 들어, 도 1 중의 폭 방향 Y의 좌측 단부) 가까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5h) 내에는, 정극 단자(30)의 일부(예를 들어 돌기부(30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35h) 주위에는,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동 도면 중에서는, 돌기부(30c))가 접합된 접합부(31w)가 마련되어 있다. 접합부(31w)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용접에 의해 마련된 용접 접합부이다.
접합부(31w)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환상(예를 들어 원환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의 접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관통 구멍(35h)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접합부(31w)의 형성 폭(예를 들어, 링 폭)은 0.5mm 내지 0.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31w)는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접합부(31w)는 간헐적 또는 파선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접합부(31w)는, 예를 들어 정극 단자(30)의 축심에 대하여 축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5h) 주위에는,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에서 오목하게 된 대략 환상의 제1 오목부(35a)가 마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이란, 관통 구멍(35h)의 관통 방향(예를 들어, 도 6 중의 방향 Z)에 있어서의 외부 도전 부재(35)의 일 단부면으로서, 밀봉판(14)과 반대측의 면을 말한다. 도 6,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35a)의 직경은 관통 구멍(35h)의 직경보다도 크다. 또한, 제1 오목부(35a)는 접합부(31w)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35a)의 내벽면(35a2)은, 저면(35a1)으로부터 상면(35u)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벽면(35a2)과 저면(35a1)이 이루는 각은, 예를 들어 80도 내지 100도이다. 또한, 제1 오목부(35a)는 「오목부」의 일례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서 관통 구멍(35h)의 주연으로부터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1(이하, 간단히 「거리 W1」이라고도 함)은, 2mm 이상(예를 들어 2.5mm 이상)이다. 거리 W1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이차 전지(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면(35u)에 스패터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35)와 버스 바를 접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거리 W1은 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W1은, 예를 들어 4.0mm 이하이고, 버스 바와의 접합을 고려하면, 3.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35a)의 내부이며, 관통 구멍(35h)의 주연에는, 볼록부(35b)가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35b)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환상(예를 들어 원환상)이다. 볼록부(35b)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35a)의 저면(35a1)으로부터 상면(35u)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35b)의 돌출 방향의 선단 부분(35b1)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35u)보다도 저면(35a1)측에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부분(35b1)과 돌기부(30c)의 경계에, 접합부(31w)가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35b)가 마련됨으로써, 예를 들어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의 경계에의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접합을 효율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선의 출력을 억제하여 스패터의 발생을 억제하고, 스패터 부착 억제 효과를 보다 잘 실현할 수 있다. 단, 볼록부(35b)의 형성은 필수는 아니고,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생략할 수 있다.
제1 오목부(35a)의 제1 깊이 D1은, 예를 들어 0.1mm 내지 1.2mm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오목부(35a)의 제1 깊이 D1」이란, 예를 들어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으로부터 제1 오목부(35a)의 저면(35a1)까지의 최대 깊이를 말한다. 또한, 제1 오목부(35a)의 제2 깊이 D2는, 예를 들어 0.05mm 이상이며, 0.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깊이 D2는, 예를 들어 1.0mm 이하, 혹은 0.9mm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오목부(35a)의 제2 깊이 D2」란, 예를 들어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으로부터 볼록부(35b)의 선단 부분(35b1)까지의 최대 깊이를 말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깊이 D2는, 상면(35u)으로부터 접합부(31w)까지의 최대 깊이에 의해서도 규정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5h) 주위에는, 외부 도전 부재(35)의 하면(35d)에서 오목하게 된 대략 환상의 제2 오목부(35c)가 마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외부 도전 부재(35)의 하면(35d)」이란, 관통 구멍(35h)의 관통 방향(예를 들어, 도 6중의 방향 Z)에 있어서의 외부 도전 부재(35)의 일 단부면이며, 밀봉판(14)측의 면을 말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오목부(35c)는 정극 단자(30)의 플랜지부(30b)와 대향하고 있다. 제2 오목부(35c)의 직경은, 예를 들어 관통 구멍(35h)의 직경보다도 크다. 제2 오목부(35c)가 마련됨으로써, 관통 구멍(35h)의 주위에 있어서, 공간(31s)이 확보되어 있다. 공간(31s)에 의해, 플랜지부(30b)와 돌기부(30c)의 경계에, 외부 도전 부재(35)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30b) 위에 외부 도전 부재(35)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용접 시의 스패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목부(35c)가 마련됨으로써, 박육부(35t)가 형성된다. 박육부(35t)의 두께는, 외부 도전 부재(35)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35a) 및 제2 오목부(35c)가 모두 마련되지 않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도 작다. 박육부(35t)는, 예를 들어 이차 전지(1)에 1000A 이상의 전류(예를 들어, 단락 전류)가 흘렀을 때, 용단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단, 제2 오목부(35c)의 형성은 필수는 아니고,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생략할 수 있다.
부극 단자(4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장체(12)의 내부에서 부극 집전 부재(60)를 통해 전극체(20)의 부극판(24)(도 5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극 단자(40)는 단자 인출 구멍(19)을 삽입 관통하여 밀봉판(14)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부극 단자(40)는 절연체(70) 및 가스킷(90)에 의해, 밀봉판(14)과 절연되어 있다. 부극 단자(40)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극 단자(40)는 2개의 도전 부재가 접합되고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부극 단자(40)는, 예를 들어 부극 집전 부재(60)가 접속되는 부분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밀봉판(14)의 외측에 노출되는 부분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부극 단자(40)는 알루미늄계 금속과 구리계 금속의 클래드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부극 단자(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정극 단자(30)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부극 단자(40) 위에는, 외부 도전 부재(45)가 고정되어 있다. 부극 단자(40)는 외부 도전 부재(45)와 접합되어 있다.
외부 도전 부재(45)는, 예를 들어 전지 케이스(10) 밖에 있어서 부극 단자(40)에 접합된 부재이다. 외부 도전 부재(45)는, 예를 들어 이차 전지(1)의 부극측에 있어서, 외부 절연 부재(92)에 의해 밀봉판(14)과 절연된 상태에서 밀봉판(14)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 도전 부재(45)의 형상, 구조 및 구성 재료는, 정극측의 외부 도전 부재(35)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정극 집전 부재(50)는, 예를 들어 외장체(12)의 내부에 있어서, 전극체(20)의 정극판(22)과 정극 단자(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극 집전 부재(50)는 제1 집전부(51)와 제2 집전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집전부(51)는, 예를 들어 단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집전부(51)는, 예를 들어 베이스부(51a)와 리드부(51b)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51a)는 밀봉판(14)의 내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51a)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밀봉판(14)의 단자 인출 구멍(18)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51h)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51h)에는, 예를 들어 정극 단자(30)의 삽입 관통부(30a)가 삽입 관통된다. 리드부(51b)는, 예를 들어 베이스부(51a)의 폭 방향 Y의 한쪽 단부로부터 저부(12a)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리드부(51b)에는, 예를 들어 제2 집전부(52)가 접속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집전부(52)는 외장체(12)의 저부(12a)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집전부(52)는 제1 접속부(52a)와 제2 접속부(52b)를 갖고 있다. 제1 접속부(52a)는, 예를 들어 제1 집전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속부(52a)는 접속 부분(521)을 통해, 제1 집전부(51)와 접속된다. 접속 부분(521)은, 예를 들어 박육부이다. 제1 접속부(52a)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 Z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접속부(52a)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전극체(20)의 권회축 WL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접속부(52a)에는, 퓨즈부(52f)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52a)는 이차 전지(1)에 1000A 이상의 전류(예를 들어, 단락 전류)가 흘렀을 때, 퓨즈부(52f)가 용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퓨즈부(52f)는, 예를 들어 제1 접속부(52a)에 있어서의, 퓨즈부(52f)와 접속 부분(521)을 제외한 다른 부분보다도 단면적이 작은 부위이다. 퓨즈부(52f)는, 예를 들어 개구, 박육부 등이다. 제1 접속부(52a)는 퓨즈부(52f)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전류가 흘렀을 때, 용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되어 있다.
제2 접속부(52b)는, 예를 들어 정극탭군(23)과 접합되는 부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접속부는 상하 방향 Z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2 접속부(52b)는 각각의 전극체(20)의 권회축 WL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부(52b)의 복수의 정극탭(22t)과 접속되는 면은, 외장체(12)의 제2 측벽(12c)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부극 집전 부재(60)는 외장체(12)의 내부에 있어서, 전극체(20)의 부극판(24)과 부극 단자(4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다. 부극 집전 부재(6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집전부(61)와 제2 집전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집전부(61)는 베이스부(61a)와 리드부(61b)를 갖고 있다. 제2 집전부(62)는 제1 접속부(62a)와 제2 접속부(62b)를 갖고 있다. 부극 집전 부재(60)의 구성은, 상술한 정극 집전 부재(5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부극 집전 부재(60)에 대해서, 도 4 중의 부호 「621」은 접속 부위이며, 부호 「62a」는 제1 접속부이며, 부호 「62b」는 제2 접속부이며, 부호 「62f」는 퓨즈부이다.
절연체(70)는, 정극 집전 부재(50)와 밀봉판(14)의 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절연 부재이다. 절연체(70)에는, 구멍(70h)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킷(90)은 정극 단자(30)와 밀봉판(14)의 외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절연 부재이다. 가스킷(90)은 밀봉판(14)의 단자 인출 구멍(18)에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통부(91)를 갖고 있다. 가스킷(90)의 통부(91)는 절연체(70)의 구멍(70h)의 내주를 따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절연체(70) 및 가스킷(90)을 사용한 절연 구조에 대해서, 부극 단자(40)측에도 마찬가지의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체(70)나 가스킷(90)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폴리올레핀 수지(예,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불소 수지(예,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수지 재료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지 재료는 외부 절연 부재(92)의 구성 재료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이차 전지(1)는, 정극판(22) 및 부극판(24)을 포함하는 전극체(20)와, 해당 전극체(20)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10)와, 정극판(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지 케이스(10)에 설치된 정극 단자(30)와, 전지 케이스(10) 밖에 있어서 정극 단자(30)에 접합된 외부 도전 부재(35)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도전 부재(35)는 관통 구멍(35h)을 갖고 있다. 정극 단자(30)의 일부는 관통 구멍(35h) 내에 배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35h) 주위에는,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의 접합부(31w)가 마련되어 있고,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에서 오목하게 된 대략 환상의 제1 오목부(35a)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평면에서 보아서 관통 구멍(35h)의 주연으로부터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까지의 거리 W1은 2mm 이상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차 전지(1)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에서 오목하게 된 제1 오목부(35a)의 내부에 마련된 관통 구멍(35h)의 주위에서, 해당 관통 구멍(35h) 내에 배치된 정극 단자(30)와, 외부 도전 부재(35)가 접합되어 있다.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에서 오목하게 된 부위에서, 정극 단자(30)와 외부 도전 부재(35)를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서 관통 구멍(35h)의 주연으로부터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까지, 2mm 이상의 거리가 있다. 정극 단자(30)와 외부 도전 부재(35)의 접합 부위로부터 상면(35u)을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어, 접합 시에 상면(35u)에 스패터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35)와 버스 바를 접합할 수 있다.
이차 전지(1)는 각종 용도에 이용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모터용의 동력원(구동용 전원)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전기 자동차(BEV) 등을 들 수 있다.
<이차 전지(1)의 제조 방법>
상술한 전지 케이스(10)와, 전극체(20)와, 정극 단자(30)와, 부극 단자(40)와, 외부 도전 부재(35, 45)와, 정극 집전 부재(50)와, 부극 집전 부재(60)와, 절연체(70)와, 가스킷(90)과, 외부 절연 부재(92)를 준비하고, 예를 들어 설치 공정, 배치 공정, 커버 공정 및 접합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이차 전지(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제조 방법은, 임의의 단계에서 또 다른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9를 적절히 참조한다.
설치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전지 케이스(10)에 정극 단자(30)를 설치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먼저 밀봉판(14)에, 정극 단자(30)와, 가스킷(90)과, 제1 집전부(51)와, 절연체(70)를 설치한다.
정극 단자(30)와 제1 집전부(51)와 절연체(70)는, 예를 들어 코킹 가공(리벳팅)에 의해 밀봉판(14)에 고정한다. 코킹 가공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밀봉판(14)의 외측의 표면과 정극 단자(30) 사이에 가스킷(90)을 끼우고, 또한 밀봉판(14)의 내측 표면과 제1 집전부(51) 사이에 절연체(70)를 끼워서 행해진다. 예를 들어, 코킹 가공 전의 정극 단자(30)의 삽입 관통부(30a)를 밀봉판(14)의 상방으로부터, 가스킷(90)의 통부(91)와, 밀봉판(14)의 단자 인출 구멍(18)과, 절연체(70)의 구멍(70h)과, 제1 집전부(51)의 구멍(51h)에 차례로 삽입하고, 밀봉판(14)의 하방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하 방향 Z에 대하여 압축력이 가해지게 삽입 관통부(30a)의 밀봉판(14)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코킹한다. 마찬가지의 수순을 사용하여, 부극 단자(40)와 가스킷(90)과 제1 집전부(61)와 절연체(70)를 밀봉판(14)에 고정한다.
배치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외부 도전 부재(35)의 관통 구멍(35h) 내에, 전지 케이스(10)에 설치된 정극 단자(30)의 일부분을 배치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공정 후, 밀봉판(14)의 상방으로부터, 외부 절연 부재(92)를 해당 외부 절연 부재(92)의 구멍(92h) 내에 정극 단자(30)의 플랜지부(30b)와 가스킷(90)이 수용되게 배치한다. 이어서, 밀봉판(14)의 상방으로부터, 외부 도전 부재(35)를 하면(35d)과 플랜지부(30b)가 대향하고, 관통 구멍(35h) 내에 돌기부(30c)가 삽입되도록 하여, 정극 단자(30)와 중첩한다. 부극측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마찬가지의 수순을 사용하여, 외부 도전 부재(45)의 관통 구멍 내에, 전지 케이스(10)에 설치된 부극 단자(40)의 일부분(예를 들어 부극 단자(40)의 돌기부)을 배치한다(도시하지 않음).
커버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배치 공정 후,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 부재로 커버한다. 도 8, 9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배치 공정 후의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을 커버 부재(2)로 커버한 상태를, 상면(35u)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 IX의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커버 부재(2)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이차 전지(1)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치가 구비하는 일 부품이다. 커버 부재(2)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제 혹은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재(2)의 구성 재료는, 후술하는 접합 공정의 실시에 의해 용융 혹은 변형되기 어려운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재(2)에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2h)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구(2h)는 평면에서 보아 환상이다. 개구(2h)의 내경 Dc는, 제1 오목부(35a)의 외경 Da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오목부(35a)의 외경 Da보다도 작은 내경의 개구가 형성된 커버 부재(2)를 사용함으로써, 접합 공정에서 발생한 스패터가 상면(35u)에 부착되는 것을 보다 잘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오목부(35a)의 외경 Da」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35a)의 직경을 말한다(도 8, 9 중에서는, 부호 K를 붙이고 있음).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2h)의 내경 Dc는 관통 구멍(35h)의 내경 Db보다도 크다.
커버 공정에서는, 도 8,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5h)의 관통 방향(도 9에서는, 방향 Z)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커버 부재(2)의 개구(2h)의 내연부가,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의 접합 예정부(31w)와,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도 8, 9 중에서는, 부호 K를 붙이고 있음) 사이에 배치되도록, 커버 부재(2)로 상면(35u)을 커버한다. 접합 예정부(31w)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접합 공정의 실시 후에 접합부(31w)(도 6, 7 참조)가 되는 부위이다. 예를 들어, 접합 예정부(31w)는 관통 구멍(35h)의 주연과, 돌기부(30c)의 외연의 경계에 있다.
도 8에 나타내진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의, 제1 오목부(35a)를 제외한 부분을 모두 커버 부재(2)로 커버하고 있다.
접합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커버 공정 후,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를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합한다. 접합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접합부(31w)(도 6, 7 참조)를 형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5h)의 관통 방향(도 9에서는, 방향 Z)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커버 부재(2)의 개구(2h)의 에지부가,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의 접합 예정부(31w)와,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를 접합한다. 관통 구멍(35h)의 주위에 있어서의 상면(35u)이 커버 부재(2)로 커버된 상태에서 외부 도전 부재(35)와 정극 단자(30)가 접합되기 때문에, 스패터가 상면(35u)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에너지선의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는, 예를 들어 광 에너지, 전자 에너지, 열 에너지 등이다. 접합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전자빔 용접,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TIG(Tungsten Inert Gas) 용접 등의 용접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접합부(31w)를 형성한다. 그 중에서도, 레이저 용접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접합 공정 후, 예를 들어 해당 접합 공정에서 얻어진 구축물에, 전극체(20)를 설치한다. 전극체(20)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특별히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20)의 정극탭군(23)에 정극 집전 부재(50)의 제2 집전부(52)를 설치하고, 또한 부극탭군(25)에 부극 집전 부재(60)의 제2 집전부(62)를 설치한다. 이어서, 전극체(20)에 설치된 제2 집전부(52, 62)를, 상기 접합 공정에서 얻어진 구축물에 있어서의, 동 극의 제1 집전부(51, 61)에 설치한다. 이어서, 전극체 홀더(29)에 전극체(20)를 수용한다. 이어서, 전극체 홀더(29)로 덮인 전극체(20)를 외장체(12)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외장체(12)의 개구부(12h)에 밀봉판(14)을 중첩하고, 이들을 용접하여 외장체(12)를 밀봉한다.
상기 외장체(12)의 밀봉 후,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주액 구멍(15)을 통해 전지 케이스(10)에 전해액을 주액한다. 이러한 전해액의 주액 후, 밀봉 부재(16)를 사용하여 주액 구멍(15)을 밀봉한다. 예를 들어, 밀봉 부재(16)로서 금속제의 밀봉 마개를 사용하여, 해당 밀봉 마개를 주액 구멍(15)에 끼워 넣는다. 이어서, 밀봉 부재(16)로 주액 구멍(15)을 막은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 등을 실시하여, 주액 구멍(15)을 밀봉한다. 상기 밀봉 후, 예를 들어 소정의 조건 하에, 초기 충전 및 에이징 처리를 행함으로써, 사용 가능 상태의 이차 전지(1)를 얻을 수 있다.
<조전지(100)>
이차 전지(1)는, 예를 들어 조전지를 구축하는 단전지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전지(100)에서는, 복수의 이차 전지(1)가 버스 바(110)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이차 전지(1) 중 한쪽 이차 전지(1)의 정극측의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과, 다른 쪽 이차 전지(1)의 부극측의 외부 도전 부재(45)의 상면(45u) 사이에, 버스 바(1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버스 바(110)를 통해 각 이차 전지(1)끼리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차 전지(1)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여기에서는, 버스 바(110)가 접합되는 면)에의 스패터의 부착이 억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35)에 버스 바(110)를 접합할 수 있다.
버스 바(110)는, 예를 들어 판상(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버스 바(110)는 여기에서는 방향 X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외부 도전 부재(35, 45)와 버스 바(110)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 접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버스 바(11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스테인리스강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0에 나타내진 실시 형태에서는, 버스 바(110)는 정극측에서 관통 구멍(35h) 및 제1 오목부(35a)를 덮고 있고, 부극측에서 관통 구멍(45h) 및 제1 오목부(45a)를 덮고 있다. 이에 의해, 조전지(100)에 있어서의 통전 경로를 보다 짧게 하여, 통전에 의한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평면에서 보아, 예를 들어 제1 오목부의 면적 50% 이상(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버스 바(110)로 덮여 있으면 된다.
<조전지(100)의 제조 방법>
조전지(100)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단전지로서 이차 전지(1)를 제조하는 것과, 외부 도전 부재(35, 45)의 상면(35u, 45u)에 버스 바(110)를 배치하여, 해당 외부 도전 부재와 해당 버스 바를 접속하는 것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차 전지(1)를 제1 측벽(12b)이 서로 대향하게 배열한다. 이 때의 이차 전지(1)의 배열 방향(도 10 중에서는,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이차 전지(1)에 대해서, 동일 방향의 외부 도전 부재(35)와 외부 도전 부재(45)가 인접하게 배열한다. 이어서, 인접한 외부 도전 부재(35)와 외부 도전 부재(45)에 버스 바(110)를 걸쳐 서로 접속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로 배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끼워 넣고, 해당 엔드 플레이트간을 바인드 바로 가교하여 소정의 구속압을 부여함으로써, 조전지(1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차 전지(1)에서는,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여기에서는, 버스 바(110)가 접합되는 면)에의 스패터의 부착이 억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도전 부재(35)에 버스 바(110)를 접합할 수 있다.
이상,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35a)의 내벽면(35a2)이 저면(35a1)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정극 단자의 근방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에는, 관통 구멍(35h)의 관통 방향(동 도면 중의 방향 Z)에 따른 단면에서 본 것이 나타내져 있다. 도 11에 나타내진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35a)의 내벽면(35a3)은, 해당 제1 오목부(35a)의 저면(35a1)으로부터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을 향하여 넓어지는 테이퍼면이다. 내벽면(35a3)을 테이퍼면으로 함으로써,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에 있어서의 금속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제1 오목부(35a)의 형성 시에는,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의 금속이 제1 오목부(35a)의 직경 방향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해당 외주연에 융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내벽면(35a3)을 테이퍼면으로 함으로써, 이러한 융기를 억제하여, 외부 도전 부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박육부(35t)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전 부재(35)의 열용량을 크게 하여, 통전 시의 발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내벽면(35a3)을 「테이퍼면(35a3)」이라고도 칭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내벽면(35a3)의 경사각 θ는 80도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45도 이하이다. 상술한 효과를 보다 잘 실현하는 것을 고려하면, 경사각 θ는, 20도 내지 40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도 내지 35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벽면(35a3)의 경사각 θ」란,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내진 단면에서 보아, 내벽면(35a3)과, 저면(35a1)에 따른 직선 L1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 중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상술한 거리 W1과, 테이퍼면(35a3)과 저면(35a1)의 경계부 B로부터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2(이하, 간단히 「거리 W2」이라고도 함)의 비(W2/W1)는 0.4 이상이다. 상술한 효과를 보다 잘 실현하는 것을 고려하면, 비(W2/W1)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내벽면(35a3)이 상술한 테이퍼면인 외부 도전 부재(35)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커버 공정에 있어서, 커버 부재(2)의 개구(2h)의 내연부가 테이퍼면(35a3)에 겹치도록,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을 커버 부재(2)로 커버하면 된다(도 9, 11 참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스패터가 주변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35a)의 외주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차 전지(1) 또는 조전지(100)를 구성하는 부재와 부재의 접합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35a)의 형상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이외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기타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2)로, 외부 도전 부재(35)의 상면(35u)의 전체를 커버하고 있다. 그러나, 커버 부재(2)로 커버하는 면적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면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관점에서, 커버 부재(2)로 커버하는 면적은, 상면(35u)의 면적의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20)가 권회 전극체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적층형 전극체를 사용해도 된다.
1: 2차 전지
2: 커버 부재
10: 전지 케이스
12: 외장체
14: 밀봉판
20: 전극체
22: 정극판
22a: 정극 활물질층
22c: 정극 집전박
22p: 정극 보호층
22t: 정극탭
23: 정극탭군
24: 부극판
24a: 부극 활물질층
24c: 부극 집전박
24t: 부극탭
25: 부극탭군
26: 세퍼레이터
30: 정극 단자
31w: 접합부(접합 예정부)
35: 외부 도전 부재
35a: 제1 오목부
35h: 관통 구멍
40: 부극 단자
45: 외부 도전 부재
50: 정극 집전 부재
60: 부극 집전 부재
70: 절연체
90: 가스킷
92: 외부 절연 부재
100: 조전지

Claims (14)

  1. 정극 및 부극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정극 또는 상기 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설치된 단자와,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전지 케이스 밖에서 있어서 상기 단자에 접합된 외부 도전 부재를
    구비한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전지 케이스에 상기 단자를 설치하는 설치 공정과,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상기 전지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단자의 일부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과,
    상기 배치 공정 후,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 부재로 커버하는 커버 공정과,
    상기 커버 공정 후, 상기 외부 도전 부재와 상기 단자를,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갖고 있고,
    상기 외부 도전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있어서, 해당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된 대략 환상의 오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합 공정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의 관통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커버 부재의 에지부가, 상기 외부 도전 부재와 상기 단자의 접합 예정부와,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전 부재와 상기 단자를 접합하는,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개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개구의 내경은 상기 오목부의 외경보다도 작은,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오목부가 겹친 영역은 환상인,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1은 2mm 이상인,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은, 해당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인,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공정에서는, 개구를 갖는 커버 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의 내연부가 상기 테이퍼면에 겹치도록,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을 상기 커버 부재로 커버하는,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거리 W1과,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저면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2의 비(W2/W1)는 0.4 이상인, 제조 방법.
  8. 복수의 단전지가 버스 바를 통해 서로 접속된 조전지의 제조 방법이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단전지로서의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것과,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 상기 버스 바를 배치하여, 해당 외부 도전 부재와 해당 버스 바를 접속하는 것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
  9. 정극 및 부극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정극 또는 상기 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설치된 단자와,
    상기 전지 케이스 밖에서 있어서 상기 단자에 접합된 외부 도전 부재를
    구비한 이차 전지이며,
    상기 외부 도전 부재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단자의 일부는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 주위에는,
    상기 외부 도전 부재와 상기 단자의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된 대략 환상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1은 2mm 이상인, 이차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은, 해당 오목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인, 이차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거리 W1과,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저면의 경계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외주연까지의 최단 거리 W2의 비(W2/W1)는 0.4 이상인, 이차 전지.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 또는 상기 부극과,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집전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집전 부재에는, 퓨즈부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이차 전지에 1000A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상기 퓨즈부가 용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차 전지.
  13. 복수의 단전지가 버스 바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전지이며,
    상기 단전지로서,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차 전지를 갖고 있고,
    상기 외부 도전 부재의 상면에 상기 버스 바가 배치되고, 해당 버스 바를 통해 각 단전지끼리 접속되어 있는, 조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오목부를 덮고 있는, 조전지.
KR1020220160234A 2021-11-30 2022-11-25 이차 전지 및 조전지, 그리고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2840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93735 2021-11-30
JP2021193735A JP7443321B2 (ja) 2021-11-30 2021-11-30 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653A true KR20230081653A (ko) 2023-06-07
KR102840896B1 KR102840896B1 (ko) 2025-08-0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5491A (ja) 2018-01-17 2019-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5491A (ja) 2018-01-17 2019-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0587A1 (en) 2023-06-01
EP4187707B1 (en) 2025-04-02
JP2023080409A (ja) 2023-06-09
EP4187707A1 (en) 2023-05-31
CN116207333A (zh) 2023-06-02
JP7443321B2 (ja)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8746B2 (ja) 組電池
US11664560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257711B (zh) 二次电池以及使用该二次电池的电池组
WO2012014510A1 (ja) 二次電池
US11264679B2 (en) Secondary battery
KR101147175B1 (ko) 이차전지
US11509025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106274A (ja) 角形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62544A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192992B2 (ja) 角形二次電池
KR102742669B1 (ko) 이차 전지 및 조전지
US20080038632A1 (en) Seale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aled Battery
JP6133680B2 (ja) 角形二次電池
US12230814B2 (en)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840896B1 (ko) 이차 전지 및 조전지, 그리고 그 제조 방법
KR20230081653A (ko) 이차 전지 및 조전지, 그리고 그 제조 방법
CN111755655B (zh) 二次电池
CN114824437B (zh) 二次电池
JP2020167010A (ja) 二次電池
JP7668832B2 (ja) 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KR20240172079A (ko) 축전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24115938A (ja) 蓄電デバイス
JP2024018222A (ja) 端子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池
JP2019032991A (ja) 密閉型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