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434A -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 Google Patents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1434A KR20230081434A KR1020210169484A KR20210169484A KR20230081434A KR 20230081434 A KR20230081434 A KR 20230081434A KR 1020210169484 A KR1020210169484 A KR 1020210169484A KR 20210169484 A KR20210169484 A KR 20210169484A KR 20230081434 A KR20230081434 A KR 202300814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t
- drum
- tablets
- feeding device
- loading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512 pharmaceutical pack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100441413 Caenorhabditis elegans cup-15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39 Spr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47 new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5—Adjustable convey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정제 배출경로가 구비되어 있는 정제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정제를 배출경로에 로딩시켜 정제가 배출경로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투입된 정제를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실린더와;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출력하는 높이조절모터와; 높이조절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수직으로 연장되며 높이조절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리드스크류에 치합하며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운동 하는 승강바디와; 승강바디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하는 승강가이드부와; 승강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수용된 상태로 정제를 받쳐 지지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이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컨트롤러로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가 높이조절모터를 정지시키게 하는 상승제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은, 외부로부터 투입된 정제를, 하우징 내부의 정제 배출경로에 신속하고 정확히 로딩시켜 정제의 효율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loading module for an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This is installed inside the tablet automatic feeding device equipped with a tablet discharge path, and loads the tablets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discharge path so that the tablets are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th. A cylinder having a certain diameter to accommodate; a height adjustment mot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and outputting rotational for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otor; a lead screw that extends vertically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height control motor; a lifting body engaged with the lead screw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axial rotation of the lead screw; an elevation guide unit for guiding the elevation movement of the elevation body; a drum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body and holding and supporting the tablets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lift limiting unit that sends a signal to a controller when the drum reaches top dead center and causes the controller to stop the height adjusting motor.
The tablet loading module for the automatic tablet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nables efficient supply of tablets by quickly and accurately loading the tablets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tablet discharge path inside the hou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제(錠劑)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내부의 정제 배출경로 상에 원활히 로딩시켜 정제의 효율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ablets, and more particularly, to enable efficient supply of tablets by smoothly loading tablets supplied from the outside onto an internal tablet discharge path. , It relates to a tablet loading module for an automatic tablet supply device.
대형 약국이나 병원의 원내 약국과 같이, 처방하는 약제의 양과 종류가 많은 경우, 모든 약제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하고 포장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일이며,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식 약제포장장치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When there are many types and amounts of prescribed drugs, such as large pharmacies or in-hospital pharmacies, it is very difficult and cumbersome to manually sort and pack all the drugs one by one. and are being used.
약제포장장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정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각 카트리지로부터 정제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와, 배출된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기본 구성요소로 한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drug packaging devices, and basic components include a cartridge for accommodating tablets,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ablets from each cartridge, and a packaging device for packaging the discharged tablets.
또한, 카트리지로부터 약제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하면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가 조금씩 이동하며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약재포장장치는, 약제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배출구멍이 쉽게 막히고 또한 약재가 깨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a method of applying vibration to the cartridge is known for taking out the medicine from the cartridge. When vibration is applied to the cartridge, the medicine stored therein moves little by littl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However, this type of medicine packaging devic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discharge hole is easily blocked depending on the size or shape of the medicine and the medicine may be broken.
아울러, 종래 약제포장장치는, 카트리지의 형상이 약제의 사이즈에 맞추어 설계되므로, 가령, 크기나 모양이 다른 신약이 나올 경우, 또는 약제를 반으로 쪼갠 경우, 약제가 제대로 배출될 수 없다. 약제의 크기에 맞추어 카세트를 번번이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것이다. 종래 약제포장장치는 하나의 카트리지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cartridge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ug in the conventional drug packaging device, for example, when a new drug of a different size or shape is released or when the drug is split in half, the drug cannot be properly discharged.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cassette every ti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ug. A conventional drug packaging device cannot use a single cartridge universally.
한편, 약제포장장치의 내부에는 약제를 유도하여 포장장치 외부로 내보내는 배출경로와, 약제를 배출경로 상에 로딩하는 로딩장치가 내장된다.On the other hand, inside the drug packaging device, a discharge path for inducing and exporting the drug to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device, and a loading device for loading the drug onto the discharge path are built-in.
이와 관련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85060호를 통해 특수정제투입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As a background technology related to this, a special tablet input device has been disclosed throu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5060.
개시된 특수정제투입장치는,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저장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약제 포장지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및 공급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약제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제어유닛은, 약제를 포장시키는 포장경로, 약제를 회수시키는 회수경로 및 약제를 저장유닛으로 반송시키는 반송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저장유닛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상측에 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하측에 반송경로와 연통하는 반송구가 마련되는 저장체; 복수의 약제를 지지한 상태로 저장체 내에 설치되는 지지체; 저장체를 커버할 수 있는 높이로 저장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반송구와 연통가능한 개구가 마련된 도어부; 도어부의 개구가 반송구와 연통 및 폐쇄되는 위치 사이에서, 도어부를 회전시키는 도어회전부 및 지지체 상면이 배출구와 연통하는 위치 및 반송구와 연통하는 위치로 지지체를 승하강 시킴과 아울러, 지지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저장구동부로 구성된다.The disclosed special tablet input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drugs;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medicament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to a medicament wrapping pap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ath of the medicament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ackaging path for packaging the medicament and a recovery path for recovering the medicament.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port path for transporting the drug to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drug is store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drug is discharged on the upper side, and a transport path on the lower side. A storage body provided with a communicating port; A supporter installed in the storage body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edicaments are supported;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body at a height capable of covering the storage body, a door portion provided with an opening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ransport port;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opening of the door part communicates with and closes the delivery port, the door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door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move up and down to a position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and a position where it communicates with the transporting port, and also rotates and drives the supporter. It consists of a drive unit.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투입장치는, 지지체의 승강운동이 원활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지지체를 승강시키는 래크기어가 가요성 띠의 형상을 취하므로,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가령 늘어지거나 수축되어 피니언 기어와의 치합이 정확하게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피니언기어가 헛돌아 지지체가 정확한 지점까지 올라가지 못하는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support is not smooth. The reason is that since the rack gear that elevates the support body takes the shape of a flexible belt, it is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 and, for example, it is stretched or contracted,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is not accurately maintained. For example, the pinion gear wanders and the support cannot go up to the correct point.
지지체의 승강운동이 정확하지 않다는 의미는 약제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The fact that the lifting motion of the support is not accurate means that the supply of the drug is not performed properl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투입된 정제를, 하우징 내부의 정제 배출경로에 신속하고 정확히 로딩시켜 정제의 효율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tablet loading module for an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that enables efficient supply of tablets by quickly and accurately loading tablets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tablet discharge path inside the housing.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은, 정제 배출경로가 구비되어 있는 정제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정제를 배출경로에 로딩시켜 정제가 배출경로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투입된 정제를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실린더와;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출력하는 높이조절모터와; 높이조절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수직으로 연장되며 높이조절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리드스크류에 치합하며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운동 하는 승강바디와; 승강바디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하는 승강가이드부와; 승강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수용된 상태로 정제를 받쳐 지지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이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컨트롤러로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가 높이조절모터를 정지시키게 하는 상승제한부를 포함한다.The tablet loading module for the automatic tablet suppl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side the automatic tablet supplying device equipped with a tablet discharge path, and loads the tablets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discharge path. a cylinder extending vertically and having a constant diameter for accommodating the injected tablets; a height adjustment mot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and outputting rotational for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otor; a lead screw that extends vertically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height control motor; a lifting body engaged with the lead screw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axial rotation of the lead screw; an elevation guide unit for guiding the elevation movement of the elevation body; a drum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body and holding and supporting the tablets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lift limiting unit that sends a signal to a controller when the drum reaches top dead center and causes the controller to stop the height adjusting motor.
또한, 상기 상승제한부는;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피감지부와, 드럼이 상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1피감지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상부센서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rise limiting unit; A first sensing unit disposed below the drum and an upper sensor unit sensing the first sensing unit when the drum reaches a top dead center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a controller.
또한, 드럼이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 컨트롤러로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로 하여금 높이조절모터를 정지시키게 하는 하강제한부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 lowering limiting unit for sending a signal to the controller and causing the controller to stop the height adjustment motor when the drum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is further included.
아울러, 상기 하강제한부는; 승강바디의 하측부에 고정되는 제2피감지부와, 드럼이 하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2피감지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하부센서부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owering limiting unit; It has a second sensing unit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body, and a lower sensor unit that senses the second sensing unit when the drum reaches a bottom dead center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제1,2피감지부는 자석이고, 상부센서부 및 하부센서부는 자기력에 반응하는 리미트자기센서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are magnets, and the upper sensor unit and the lower sensor unit are limit magnetic sensors that respond to magnetic force.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는 높이조절모터를 수용 지지하는 받침케이스가 설치되고, 높이조절모터의 상부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판이 고정되며, 리드스크류는 고정판를 관통하여 높이조절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승강가이드부는, 하단부가 고정판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된 가이드로드를 구비한다.In addition, a support case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the height adjustment motor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and a fixing plate providing suppor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eight adjustment motor, and the lead screw passes through the fixing plate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eight adjustment motor, The elevation guide unit includes a guide rod extending vertically with a lower end fixed to the fixing plate.
또한, 상기 승강바디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리드스크류와 치합하는 암나사구와, 암나사구의 측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가이드로드를 수용하는 수직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승강바디의 하부에는, 승강바디의 하강 시 고정판과 접하는 완충스토퍼가 위치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body; A female screw hole that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ngages with the lead screw, and a vertical passage formed parallel to the side of the female screw hole and accommodating a guide rod, and a buffer stopper that contacts the fixed plate when the lift body is lowered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body. do.
또한,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사이드지지체가 더 설치되고, 상부센서부는, 사이드지지체에 고정되고, 실린더의 벽면을 통해 제1피감지부를 감지하며, 하측센서부는 고정판에 설치된다.In addition, a side support for providing support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he upper sensor unit is fixed to the side support, detects the first sensing unit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cylinder, and the lower sensor unit is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또한, 상기 승강바디의 상부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모터가 더 설치되고, 드럼회전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장착되며, 드럼의 저면에는 구동기어를 수용하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 수용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drum rotation motor for rotating the drum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body, a drive gear is mounted on the drive shaft of the drum rotation motor, and a drive gear receiving groove accommodates the drive gear and receives rotational for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is formed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와 수용홈의 내측에는, 상호 흡착 결합하여 드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자석이 각각 고정된다.And, on the inner side of the driving gear and the receiving groove, anti-separation magnets are fixe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drum by adsorbing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은, 외부로부터 투입된 정제를, 하우징 내부의 정제 배출경로에 신속하고 정확히 로딩시켜 정제의 효율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The tablet loading module for the automatic tablet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nables efficient supply of tablets by quickly and accurately loading the tablets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tablet discharge path inside the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로딩모듈이 적용된 정제 자동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정제 자동 공급 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정제 자동 공급 장치에서의 정제로딩모듈과 피딩모듈을 따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4의 정제로딩모듈의 구성과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의 정제 자동 공급 장치에 포함되는 피딩모듈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의 자동 공급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자동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to which a tablet loa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is removed from the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4 is a cut 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t loading module and a feeding module in the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of FIG. 1 separately.
5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tablet loading module of FIG. 4 .
10 to 16 are diagrams for amplify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feeding module included in the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of FIG. 1 .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of FIG. 1 as a whole.
1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shown in FIG.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로딩모듈이 적용된 정제 자동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자동 공급 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정제 자동 공급 장치에서의 정제로딩모듈과 피딩모듈을 따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to which a tablet loa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of FIG. 1 with a cover removed. Also, FIG.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eparately showing a tablet loading module and a feeding module in the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of FIG. 1 .
도시한 정제 자동 공급 장치(10)는, 미리 채워져 있는 정제를 인출하여 필요처로 자동 공급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정제로딩모듈(10)과 피딩모듈(40)을 구비한다. 필요처라 함은, 약을 조제하는 사용자, 즉 약사(藥師) 일 수 있다. 또한 본 설명에서의 용어'정제'는, 모든 사이즈나 모양의 알약은 물론 캡슐약도 포함한다.The illustrated tablet
본 설명에서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정제로딩모듈(20)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제 자공 공급장치(10)의 모든 구성과 작동 방식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description, in order to explain the role of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자동 공급 장치(10)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8),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정제로딩모듈(20), 피딩모듈(40), 컵수용홀더(13), 회수컵(14)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automatic
하우징(18)은, 바닥플레이트(16), 전면패널(11), 커버(15)를 갖는다. 바닥플레이트(16)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평의 금속판으로서 사각의 통과구멍(16a)을 갖는다. 통과구멍(16a)은, 후술할 조제경로(41d)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관통구멍이다. 통과구멍(16a)은, 조제되는 약, 즉 약사에게 전달될 정제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통과구멍(16a)을 통과한 정제는 별도의 연결통로(미도시)를 거쳐 약사에게 전달된다.The
전면패널(11)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부(12)를 갖는다. 인터페이스부(12)에는, 디스플레이부(12a), 엘이디램프(12c), 버튼(12e)이 위치한다. 디스플레이부(12a)는 자동 공급 장치(10)의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버튼(12e)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그리고 엘이디램프(12c)은 작동 중 정제의 현위치를 표시한다. 아울러, 인터페이스부(12)의 후면에는 컨트롤러(17)가 설치되는데, 컨트롤러(17)는 자동 공급 장치(10)의 작동을 위한 모든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인터페이스부(12)의 하부에는 회수컵통로(11a)가 마련되어 있다. 회수컵통로(11a)는 회수컵(14)이 출입하는 구멍이다.A
컵수용홀더(13)는 회수컵(14)을 수용하는 박스형 부재로서 회수컵통로(11a)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회수컵(14)을 컵수용홀더(13)에 삽입하면 회수컵(14)이 회수경로(41e)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The cup
본 설명에서의 '회수'는, 사용하지 않고 남은 정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정제로딩모듈(20)의 실린더(25)에 쏟아 부은 정제 중, 사용하고 남은 정제를 외부, 즉 회수컵(14)으로 빼내는 것을 회수라고 한다. 회수를 하는 이유는, 해당 정제를 조제할 일이 없고, 또한, 실린더(25)를 비워 다른 종류의 정제를 공급하기 위해서이다.'Recovery' in the present description means discharging the unused remaining tablets to the outside. For example, among the tablets poured into the
'조제'는 '회수'와 상대되는 용어이다. 조제는, 처방할 정제를 약사에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조제용 통로라 하면, 약사에게 전달될 정제가 통과하는 통로를 의미한다. 당연히, 회수용 통로는, 회수컵(14)을 향하는 통로이다.'Dispensing' is a term opposed to 'recovery'. Dispensing means delivering the tablets to be prescribed to the pharmacist. For example, the dispensing passage means a passage through which tablets to be delivered to the pharmacist pass. Naturally, the recovery passage is a passage toward the
커버(15)는, 정제로딩모듈(20), 피딩모듈(40), 컵수용홀더(13)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부재로서 상부에 정제투입구(15a)를 갖는다. 정제투입구(15a)는 실린더(25)를 상부로 개방하는 통로이다. 정제투입구(15a)를 통해 정제를 쏟아 부으면 정제가 실린더(25)에 채워진다.The
정제로딩모듈(20)은, 정제 배출경로가 포함되어 있는 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배출경로에 로딩시켜 정제가 배출경로를 통해 하우징 외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즉, 실린더(25)에 채워진 정제를, 후술할 배출구(25a)의 높이까지 상승시켜, 정제가 배출구(25a)를 통해 화살표 a방향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경로는 정제가 빠져나가는 통로로서 후술할 유도덕트(41)의 내부 통로이다.The
정제로딩모듈(20)은, 수직으로 연장되며, 투입된 정제를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실린더(25),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출력하는 높이조절모터(23), 높이조절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7), 수직으로 연장되며 높이조절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류(23a), 리드스크류에 치합하며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운동 하는 승강바디(24), 승강바디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하는 승강가이드부, 승강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수용된 상태로 정제를 받쳐 지지하는 드럼(29), 상기 드럼이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컨트롤러로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가 높이조절모터를 정지시키게 하는 상승제한부를 포함한다.The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로딩모듈(20)의 세부 구성과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로딩모듈(20)은, 받침케이스(21), 고정판(22), 높이조절모터(23), 리드스크류(23a), 승강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로드(23c), 승강바디(24), 지지밴드(27), 상승제한부, 하강제한부, 드럼(29), 사이드지지체(22b), 실린더(도 4의 25), 컨트롤러(17)를 구비한다. 상승제한부는, 제1피감지부, 제2피감지부, 상부센싱부, 하부센싱부를 포함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As shown, the
먼저, 받침케이스(21)는 하단부가 바닥플레이트(16)에 고정되는 지지용 부재로서, 상측에 수평의 지지평면부(21b)를 제공한다. 지지평면부(21b)는 실린더(25)를 지지하는 지지면이다. 실린더(25)는 하단부가 지지평면부(21b)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을 이루는 투명한 원통형 부재이다. 또한, 지지평면부(21b)의 중앙부에는 센터홀(21e)이 형성된다. 센터홀(21e)은 관통형 구멍이며, 리드스크류(23a)와 가이드로드(23c)를 통과시킨다.First, the
고정판(22)은 받침케이스(2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평면부(21b)의 저면에 볼팅 결합하여 지지력을 제공한다. 고정판(22)은 높이조절모터(23)의 상부에 위치한다.The fixing plate 22 is bol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높이조절모터(23)는 고정판(22a)의 저면에 고정되며 컨트롤러(17)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리드스크류(23a)를 축회전시킨다. 컨트롤러(17)가 높이조절모터(23)를 온오프 시키는 것이다. 리드스크류(23a)는 고정판(22)을 관통하여 높이조절모터(23)의 구동축에 연결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고, 높이조절모터(23)에 의해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축회전한다.The
가이드로드(23c)는 승강바디(24)의 수직방향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환봉의 형상을 취하며, 리드스크류(23a)의 양측에 나란하게 고정된다. 가이드로드(23c)의 하단부는 고정판(22a)에 고정된다. 가이드로드(23c)는 승강바디(24)의 수직통로(도 9의 24b)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바디(24) 승강운동을 가이드 한다. The
승강바디(24)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블록형 부재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구(24a)와 두 개의 수직통로(24b)를 갖는다. 암나사구(24a)는 승강바디(24)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통로이다. 암나사구(24a)에 리드스크류(23a)가 끼워짐은 물론이다. 또한 수직통로(24b)는 가이드로드(23c)가 끼워지는 통로이다. 가이드로드(23c)는, 승강바디(24)의 수직 승강 운동을 가이드 한다. The lifting
아울러 각 수직통로(24b)의 측부에는 완충스토퍼(24c)이 장착된다. 완충스토퍼(24c)은 우레탄이나 실리콘으로 제작된 탄성부재로서 승강바디(24)의 하부로 돌출된다. 완충스토퍼(24c)은 승강바디(24)의 하강 시 고정판(22a)의 상면에 접하며 충격을 흡수한다. 즉, 승강바디(24)의 하강력이 고정판(22a)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스토퍼(24c)에 의해 승강바디(24)의 하사점의 높이가 규정된다.In addition, a
또한, 승강바디(24)의 하측부에는 하단감지자석(24e)이 고정된다. 하단감지자석은 하부로 자기력을 출력하는 영구자석으로서, 하부센서부(28b)의 수직방향 상부에 위치한다.In addition, a lower
한편, 상승제한부는, 후술할 드럼(29)이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컨트롤러(17)로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가 높이조절모터(23)를 정지시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드럼이 상사점 보다 더 높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승제한부에는, 제1피감지부와 상부센서부(28a)가 포함된다. 드럼(29)의 상사점은, 드럼 외주면의 상단 모서리가 실린더(25)의 배출구(도 4의 25a)에 대응하는 높이이다. 도 7은 드럼(29)이 상사점에 위치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the rise limiting unit serves to send a signal to the
제1피감지부는 상부센서부(28a)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 대상이다. 상부센서부(28a)는 리미트자기센서이고, 제1피감지부는 상단감지자석(27a)이다. 상부센서부는, 상사점으로 올라온 상태의, 상단감지자석(27a)에서 출력되는 자기력을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컨트롤러(17)로 송신하는 것이다. 상단감지자석(27a)은 드럼(29) 보다 낮은 고도, 말하자면, 드럼(29)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단감지자석(27a)은 후술할 지지밴드(27)에 설치된다. 지지밴드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The first sensed unit is a sensing target that is sensed by the
또한, 하강제한부는, 드럼(29)이 하사점 보다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드럼(29)이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 컨트롤러로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로 하여금 높이조절모터(23)를 정지시키게 하는 것이다. 도 8은 승강바디(24)가 하사점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In addition, the descent limiting unit serves to prevent the
하강제한부에는, 제2피감지부와 하부센서부(28b)가 포함된다. 제2피감지부는, 하부센서부(28b)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 대상이다. 하부센서부(28b)는 리미트자기센서이고, 제1피감지부는 하단감지자석(24e)이다. 하부센서부(28b)는, 하사점 까지 내려온 하단감지자석(24e)에서 출력되는 자기력을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컨트롤러(17)로 전달하여, 컨트롤러(17)가 높이조절모터(23)를 정지시키게 한다. 즉 드럼(29)이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드럼(29)의 하사점은, 완충스토퍼(24c)가 고정판(22a)에 접한 높이의 지점이다.The descent limiting unit includes a second sensing unit and a lower sensor unit 28b. The second sensed unit is a sensing target that is sensed by the lower sensor unit 28b. The lower sensor unit 28b is a limit magnetic sensor, and the first sensing target unit is a
사실 드럼(29)의 하사점은, 완충스토퍼(24c)가 고정판(22a)의 상면에 도달한 높이이기도 한다. 하강제한부를 적용하여 드럼을 하사점 이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이유에는, 고정판(22a)이 승강바디(24)의 하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도 있다. In fac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하부센서부(28b)는, 자기력(磁氣力)을 감지하는 자기력센서로서, 하단감지자석(24e)의 수직 하부에 위치한다. 하부센서부(28b)는 승강바디(24)가 하사점에 도달한 순간 하단감지자석(24e)을 감지하여, 승강바디(24)가 하사점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출력한다. The lower sensor unit 28b is a magnetic force sensor that detects magnetic force and is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승강바디(24)의 상부에는 드럼회전모터(26a)가 설치된다. 드럼회전모터(26a)는 드럼(29)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축에 구동기어(26b)를 갖는다. 드럼회전모터(26a)가 승강바디(24)와 함께 승강함은 당연하다.A
구동기어(26b)는 드럼(29)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수용홈(29b)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에 이탈방지자석(26c)을 구비한다. 이탈방지자석(26c)은 드럼(29)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이탈방지자석(29d)에 대응한다. 즉, 기어수용홈(29b)에 구동기어(26b)를 삽입하면, 두 개의 이탈방지자석이 상호 흡착 결합한 상태를 유지한다. 드럼(29)이 이탈방지자석(26c,29d)의 자기력에 의해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기어수용홈(29b)의 내주면은 기어이의 형상을 취하며 구동기어(26b)의 기어이(teeth)에 치합한다.The
드럼회전모터(26a)의 출력은 컨트롤러(17)에 의해 조절된다. 드럼회전모터(26a)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드럼(29)의 원심력이 커져, 말하자면, 화살표 a 방향으로 공급되는 정제의 속도가 증가한다.The output of the
드럼(29)은 구동기어(26b)에 결합하는 대략 원판형 부재로서 상면에 푸싱돌기(29a)를 갖는다. 푸싱돌기(29a)는 드럼(29)의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돌기로서, 드럼(29)의 회전 시, 정제를 반지름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드럼(29)의 상면은 중심부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모양을 갖는다.The
지지밴드(27)는, 드럼회전모터(26a)의 주연부에 고정되는 대략 링형 부재로서 일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상단감지자석(27a)을 갖는다. 상단감지자석(27a)은 위에 설명한 하단감지자석(도 9의 24e)와 동일한 영구자석으로서, 상부센서부(28a)를 향해 자기력을 출력한다.The
도면부호 24f는 승강바디(24)와 리드스크류(23a)와 가이드로드(23c)를 감싸며 차단하는 원통형 차단커버이다. 차단커버(24f)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져, 승강바디(24)의 승강운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힌다. 차단커버(24f)가 적용됨으로써, 정제가 승강바디(24)나 리드스크류(23a)와 접하지 않게 된다.
사이드지지체(22b)은 하단부가 받침케이스(21)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상단에 상부센서부(28a)를 갖는다. 상부센서부(28a)는, 상단감지자석(27a)에서 출력되는 자기력에 반응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센서이다. The
상부센서부(28a)는, 상사점에 도달한 상태의 상단감지자석(27a)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말하자면 승강바디(24)가 상사점에 위치했을 때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바꿔 말하면, 상부센서부(28a)가 승강바디(24)의 상사점을 결정하는 것이다. 즉, 상부센서부(28a)의 높이에 따라 승강바디(24)의 상사점이 결정되는 것이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센서부(28a)가 출력한 신호는 높이조절모터(23)로 전달되어, 승강바디(24)의 상승이 정지된다.The
상기 상부센서부(28a)와 상단감지자석(27a)의 사이에는 실린더(25)의 일부 벽면이 개재된다. 상단감지자석(27a)의 자기력이 실린더(25)의 벽면을 통과해 상부센서부(28a)에 도달하는 것이다.A part of the wall surface of the
결국, 드럼(29)은, 상부센서부(28a)와 하부센서부(28b)가 규정하는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승강운동 및 회전운동하며, 정제를 보급받고, 보급받은 정제를, 마치 엘리베이터와 같이, 올려 피딩모듈(40)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As a result, the
실린더(25)는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드럼(29)을 승강 가능하게 수용한다. 드럼(29)이 실린더(25)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 및 승강운동 하는 것이다. 또한, 드럼(29)의 외주면과 실린더(25)의 내주면은, 사이로 정제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최대한 근접한다.The
실린더(25)의 상단부 일측에는 배출구(25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25a)는 드럼(29)에 의해 상승한 정제가 화살표 a방향으로 빠져나가는 통로이다. 아울러 배출구(25a)의 측부에는 센서노출홈(25c)이 마련되어 있다. An
센서노출홈(25c)은 후술할 정제감지센서(55)를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정제감지센서(55)는 드럼(29)에 의해 받쳐 올려지는 정제 중, 가장 높이 위치한 정제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센서노츨홈(25c)을 통해 실린더(25) 내측으로 노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제감지센서(55)가 정제를 감지한 순간, 드럼(29)의 상승 속도는 감속한다.The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의 정제 자동 공급 장치(10)에 포함되는 피딩모듈(40)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피딩모듈(40)은, 정제로딩모듈(20)로부터 전달받은 정제를 차례로 통과시켜, 조제경로(21d)로 내려 보내거나, 사용 후 남은 정제 및 잘못 투입된 정제(두 알 이상이 리시빙공간(41a)에 한 번에 투입되었을 때의 정제)를 회수경로(41e)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피딩모듈(40)은, 유도덕트(41), 슬라이더(43), 슬라이더센서부(48), 진동발생부, 진동자제어부, 탄성지지부, 낙하정제감지부(47)를 포함한다.The
유도덕트(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수용홀더(13)와 받침케이스(21)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공형 부재로서, 슬라이더(43)를 통과한 정제를 통과시켜 조제경로(41d)나 회수경로(41e)로 내려보내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3, the
유도덕트(41)의 내부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시빙공간(41a)과 경로결정공간(41b)이 마련되어 있다. 리시빙공간(41a)은 슬라이더(43)로부터 낙하하는 정제를 받아들이는 공간이다. 또한 경로결정공간(41b)은, 정제를 조제경로(41d)로 보낼지 회수경로(41e)로 넘길지 결정하는 공간이다.Inside the
리시빙공간(41a)의 내부에는 공급셔터(42a)가 마련되어 있다. 공급셔터(42a)는 슬라이더(43)의 출구부(43b)를 개폐하는 도어이다. 공급셔터(42a)를 개방하여야 정제가 리시빙공간(41a)으로 투입될 수 있다. A
공급셔터(42a)의 회전축(42b)은 수평으로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워엄휠(도 2의 51c)와 결합한다. 워엄휠(51c)은 부채꼴형 기어로서, 유도덕트(41)의 외부에서 워엄(51b)과 치합한다. 워엄(51b)은 제1모터(51a)에 의해 양방향 축회전하는 부속이다. 결국, 제1모터(51a)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42b)이 좌우방향으로 축회전하며 공급셔터(42a)의 개폐가 이루어진다.The
또한, 리시빙공간(41a)과 경로결정공간(41b)의 사이에는 브이셔터(42d)가 설치된다. 브이셔터(42d)는 상부로 벌어진 V자 형상의 셔터로서 회전축(42e)에 의해 화살표 c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브이셔터(42d)는 리시빙공간(41a)으로 투입된 정제를 일단 받아 조제경로(41d)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V-
브이셔터(42d)의 회전축(42e)은 수평으로 연장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단부에 워엄휠(52c)을 갖는다. 워엄휠(52c)은 유도덕트(41)의 외부에서 워엄(52b)과 치합한다. 워엄(52b)은 제2모터(52a)에 의해 양방향 회전한다. 결국 브이셔터(42d)는 제2모터(52a)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한 것이다.The
또한 경로결정공간(41b)의 내부에는 전환셔터(42g)가 설치된다. 전환셔터(42g)은, 도 14와 같이 조제경로(41d)를 개방하거나, 도 15처럼 회수경로(41e)를 개방한다. 조제경로(41d)가 개방될 때 회수경로(41e)는 차단되고, 회수경로(41e)가 개방될 때 조제경로(41d)는 막힌다.In addition, a switching
전환셔터(42g)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경로결정공간(41b)의 내부에는 걸림턱(41f)과 지지턱(41g)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턱(41f)은 도 16의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한 전환셔터(42g)의 단부가 걸리는 부분이고, 지지턱(41g)은 도 15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한 전환셔터(42g)가 걸리는 부분이다.In order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switching
전환셔터(42g)의 회전축(42h)은 수평으로 연장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단부가 유도덕트(41) 외부에서 워엄휠(53c)과 결합한다. 워엄휠(53c)은 부채꼴형 기어로서 워엄(53b)와 치합한다. 워엄(53b)은 제3모터(53a)에 의해 양방향 축회전 한다. 결국 제3모터(53a)를 통해 전환셔터(42g)의 회전운동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2,3모터(51a,52a,53a)는 하나의 셔터구동부(도 17의 50)를 구성하며 컨트롤러(17)에 의해 독립적으로 컨트롤된다. The
조제경로(41d)는 도 15의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하는 정제를 받아 하부로 내려 보내는 통로이다. 조제경로(41d)를 통과한 정제는 바닥플레이트의 통과구멍(16a)을 통과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The
회수경로(41e)는 회수컵(14)측으로 연결된 통로이다. 화살표 h방향을 따라 회수경로(41e)로 유도된 정제는 회수컵(14)으로 보내어진다.The
한편, 슬라이더(43)는,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유입한 정제를 받아 리시빙공간(41a)으로 유도하는 부재로서 위에서 봤을 때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말하자면 입구부(43a)를 통한 유입방향과, 출구부(43b)를 통한 유출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대략 직각의 사이각을 갖는 것이다. 아울러 슬라이더(43)는 상부로 개방된 U자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리시빙공간(41a)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다. 슬라이더(43)는 투명한 합성수지나 아크릴로 제작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슬라이더(43)의 외측부에는 세 개의 사이드포켓(43f)이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포켓(43f)은 상부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하나의 사이드포켓(43f)에는 제1진동자(44a)가, 나머지 두 개의 사이드포켓(43f)에는 제2진동자(44c)가 설치된다.The outer portion of the
제1,2진동자(44a,44c)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기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진동에너지를 출력하는 진동발생부(도 17의 44)이다. 제1,2진동자(44a,44c)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에너지가 슬라이더(43)로 전달됨은 물론이다. 슬라이더(43)는 제1,2진동자(44a,44c)에 의해 진동하며, 그 위에 로딩된 정제를 리시빙공간(41a) 측으로 유도한다.The first and
제1진동자(44a)는 진동수의 조절이 가능한 DC진동자로서, 정제를 회수할 때 이외의 경우에 작동한다. 제1진동자(44a)가 작동할 때에는 제2진동자(44c)는 작동하지 않는다. 제1진동자(44a)의 출력 진동수는 가변적인데, 슬라이더(43)를 통과하는 정제 중 맨 앞 정제가 후술할 출구센서(48d)에 감지될 때 줄어든다. 슬라이더(43)의 입구부(43a)로 진입하여 이송되는 정제가 일정속도로 이송되다가 출구부(43b)에 도달하면서 감속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정제가 출구센서(48d)에 감지될 때에, 공급셔터(42a)가 개방된다.The
또한 제1진동자(44a)는 진동자제어부(46)와 접속된다. 진동자제어부는 펄스폭을 변조시키는 PWM제어수단으로서, 이송 중의 정제가 슬라이더(43)의 바닥면으부터 튀지 않게 한다. 정제는 진동자제어부(46)에 의해 슬라이더(43)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마찰하며, 리시빙공간(41a)을 향해 서서히 슬라이딩 다운 하는 것이다.Also, the
제2진동자(44c)는 BLDC진동자로서 출력 진동수는 조절되지 않는다. 제2진동자(44c)는 정제를 회수할 때에 사용한다. 제2진동자(44c)가 동작함과 동시에 회수경로(41e)가 개방됨은 물론이다.The
또한 슬라이더(43)의 저면에는 슬라이더센서부(48)가 설치된다. 슬라이더센서부(48)는, 슬라이더(43)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부기판(48a), 입구센서(48b), 출구센서(48d), 중간센서(48c)로 구성된다. 하부기판(48a)에,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입구센서(48b)와 중간센서(48c)와 출구센서(48d)는 근접센서이다.In addition, a
입구센서(48b)는 입구부(43a)를 통해 진입한 정제를 감지한다. 입구센서(48b)가 정제를 감지함과 동시에 제1진동자(44a)가 동작하기 시작하고, 회전하던 드럼(29)은 회전을 멈춘다. 제1진동자(44a)는 정제감지센서(55)가 정제를 감지했을 때에 작동을 시작할 수도 있다.The
제1진동자(44a)의 동작에 의해 이송을 시작한 정제는 이송을 계속하며 중간센서(48c)의 위를 통과한다. 중간센서(48c)를 통해 정제의 이송속도가 체크된다. 중간센서(48c)를 통과한 정제가 마침내 출구센서(48d)의 상부에 위치하면 제1진동자(44a)의 출력 진동수가 줄어들고, 전체 정제의 이송속도가 감속된다. 이 타이밍에 맞추어 공급셔터(42a)가 개방되어 한 알의 정제를 통과시킨다. 공급셔터(42a)는 정제가 통과한 후 출구부(43b)를 바로 닫아 정제가 잇달아 투입되는 것을 막는다.The tablet, which has started to be transported by the operation of the
리시빙공간(41a)으로 낙하한 정제는 브이셔터(42d)에 일단 받쳐진 후, 브이셔터(42d)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경로결정공간(41b)으로 이동한 후 전환셔터(42g)를 타고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tablet that has fallen into the receiving
그런데 비정상적인 동작에 의해, 리시빙공간(41a)에, 가령, 두 알의 정제가 투입되었다면, 전환셔터(42g)가 도 16의 화살표 e방향으로 미리 회전한다. 브이셔터(42d)에 받쳐져 있던 두 알의 정제는 개방된 회수경로(41e)를 통해 회수컵(14)에 모이게 된다.By the way, if, for example, two tablets are put into the receiving
출구부(43b)를 통해 투입되는 정제가 한 알인지 아니면 두 알 이상인지는 낙하정제감지부(47)에 의해 감지된다. 낙하정제감지부(47)에는 발광센서(47a)와 수광센서(47b)가 포함된다. Whether the tablet injected through the
발광센서(47a)와 수광센서(47b)는, 제1수직기판(49a)과 제2수직기판(49b)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서, 리시빙공간(41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한다. 제1수직기판(49a)과 제2수직기판(49b)은 유도덕트(41)의 외측에 고정된 기판이다. 제1수직기판(49a)에는 위에 설명한 정제감지센서(55)도 실장되어 있다.The
발광센서(47a)와 수광센서(47b)는, 리시빙공간(41a)을 통과하는 정제의 개수를 파악하여 컨트롤러(17)로 전달하고, 컨트롤러(17)로 하여금 조제경로(41d)와 회수경로(41e) 중 하나를 개방하게 한다. The
또한 슬라이더의 외측면에는 삽입홈(43h)이 마련되어 있다. 삽입홈(43h)은 하부로 개방된 홈으로서, 탄력지지판(45)의 연장부(45d)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한다. 탄력지지판(45)은 유도덕트(41)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슬라이더(43)를 받쳐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의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n
탄력지지판(45)은,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 가령, 판스프링강이나 스테인리스강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받침부(45a)와 연장부(45d)를 갖는다. 받침부(45a)의 양단부에는 장공(45b)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45b)은 고정나사(45f)를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탄력지지판(45)은 고정나사(45f)를 통해 유도덕트(41)의 상부에 고정된다.The
연장부(45d)는, 받침부(45a)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향 연장된 부분으로서 삽입홈(43h)에 끼워진다. 연장부(45d)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즉, 슬라이더(43)가 진동할 때 함께 떨리는 것이다. 탄력지지판(45)은 슬라이더(43)를 지지하면서도 슬라이더(43)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탄력지지판(45)의 모양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The
도 17은 도 1의 자동 공급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18은 자동 공급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of FIG. 1 as a whole, and FIG. 1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자동 공급 장치(10)의 동작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먼저, 실린더(25)가 비어 있고 드럼(29)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린더(25)에 (조제할 정제를) 부어 넣는다. (정제 채움 단계(100)) 실린더(25) 내에 정제가 채워졌다면,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조제명령을 입력한다. 조제명령이 입력되면 컨트롤러(17)가 높이조절모터(23)와 드럼회전모터(26a)를 작동시킨다. 높이조절모터(23)와 드럼회전모터(26a)가 동작함에 따라, 드럼(29)이 회전하며 점차 상승한다. (드럼 상승 및 회전 단계(101))First, with the
이와 동시에 정제감지센서(55)가 동작하여 정제의 상승을 기다린다. 정제감지센서(55)는, 수평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통해 대상물을 감지하는 광센서이다. At the same time, the
드럼 상승 및 회전 단계(101)가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설정시간 동안 정제가 나타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2a)를 통해 정제채움안내를 진행한다. (정제 채움 안내 단계(118)). 즉 사용자에게, 현재 실린더(25)가 비어 있음을 알려 주는 것이다. 애초 정제 채움 단계(100)를 제대로 수행했을 경우, 정제 채움 안내 단계(118)는 진행되지 않는다.If tablets do not appear during the set time despite the start of the drum raising and
정제감지센서(55)가 정제를 감지했다면, 드럼(29)의 상승 속도를 감속한 후 정지시킨다. 드럼(29)은, 정제감지센서(55)가 정제를 감지했을 때부터 감속되기 시작하고, 드럼(19) 외주면의 상부 모서리부가 배출구(25a)의 문턱, 즉 상사점에 도달할 때 정지한다. (드럼 상승속도 감속 및 정지 단계(103)). If the
드럼의 상승을 상사점에서 정지시키는 것은 상부센서부(28a)에 의해 구현된다. 즉 상부센서부(28a)가 컨트롤러(17)에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17)로 하여금 높이조절모터(23)를 정지하게 하는 것이다. 드럼(19)의 상승이 정지했다 하더라도 드럼(19)의 회전은 계속된다.Stopping the lifting of the drum at the top dead center is implemented by the
정제는, 드럼(19)이 상사점에 도달한 직후, 드럼(19)으로부터 원심력을 받아 슬라이더(43)로 넘어간다. 이때 제1진동자(44a)가 동작하여 정제를 리시빙공간(41a) 측으로 이송시킨다. Tablets are transferred to the
정제가 슬라이더(43)를 통과하는 동안 드럼의 회전속도는 감속된다. (드럼 회전속도 조절 단계(105)). 즉, 정제가 출구센서(48d)와 중간센서(48c)와 입구센서(48b)에 모두 감지되면 드럼(29)은 임시 정지된다. 임시 정지한 드럼은, 입구센서(48b)에서 정제가 감지되지 않을 때 다시 회전하여 정제가 화살표 a방향으로 넘어가게 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슬라이더(43)의 상부에는 정제가 계속적으로 로딩될 수 있다.While the tablets pass through the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 방향 제일 앞쪽에 위치한 정제가 출구센서(48d)에 감지되면, 공급셔터(42a)를 개방하여 해당 정제가 리시빙공간(41a)으로 투입되게 한다. (공급셔터 개방단계(109)). 그런데 출구센서(48d)에 정제가 감지되지 않으면, 컨트롤러(17)가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정제의 투입을 독려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리시빙공간(41a)으로 투입된 정제는 낙하정제감지부(47)에 의해 감지된다. 즉 낙하하고 있는 정제가 1알 인지 2알 이상인지 파악되는 것이다.(낙하정제 감지단계(111)). 정제가 다행히 1알로 파악되면 조제경로(41d)를 개방하여, 해당 정제가 약사에게 전달되게 한다. (조제경로 개방단계(113).Tablet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하지만, 낙하한 정제가 두 알 이상이라면 회수경로(41e)를 개방하여 정제가 회수경로를 통해 회수컵에 회수되게 한다.(회수경로 개방단계(115))However, if there are two or more fallen tablets, the
목표한 수량의 조제가 완료되지 않았다면, 드럼회전속도 조절단계(105)를 통해 정제의 이송을 계속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If the preparation of the target quantity is not complete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by continuing to transport the tablets through the drum rotation speed adjusting step (105).
마침내 모든 조제가 완료되었다면, 제1진동자(44a)를 정지시키고, 제2진동자(44c)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회수경로를 개방한다. 드럼(29)에 의해 슬라이더(43)로 넘어온 정제는 제2진동자(44c)의 작용에 의해, 속도 변화 없이 슬라이더(43)를 통과해 유도덕트(41)를 거쳐 회수컵(14)에 모여 회수된다.When all preparations are finally completed,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자동공급장치 11:전면패널 11a:회수컵통로
12:인터페이스부 12a:디스플레이부 12c:엘이디램프
12e:버튼 13:컵수용홀더 14:회수컵
15:커버 15a:정제투입구 16:바닥플레이트
16a:통과구멍 17:컨트롤러 18:하우징
20:정제로딩모듈 21:받침케이스 21b:지지평면부
21e:센터홀 22a:고정판 22b:사이드지지체
23:높이조절모터 23a:리드스크류 23c:가이드로드
24:승강바디 24a:암나사구 24b:수직통로
24c:완충스토퍼 24e:하단감지자석 24f:차단커버
25:실린더 25a:배출구 25c:센서노출홈
26a:드럼회전모터 26b:구동기어 26c:이탈방지자석
27:지지밴드 27a:상단감지자석 28:드럼높이감지부
28a:상부센서부 28b:하부센서부 29:드럼
29a:푸싱돌기 29b:기어수용홈 29d:자석
40:피딩모듈 41:유도덕트 41a:리시빙공간
41b:경로결정공간 41d:조제경로 41e:회수경로
41f:걸림턱 41g:지지턱 42a:공급셔터
42b:회전축 42d:브이셔터 42e:회전축
42g:전환셔터 42h:회전축 43:슬라이더
43a:입구부 43b:출구부 43f:사이드포켓
43h:삽입홈 44:진동발생부 44a:제1진동자
44c:제2진동자 45:탄력지지판 45a:받침부
45b:장공 45d:연장부 45f:고정나사
46:진동자제어부 47:낙하정제감지부 47a:발광센서
47b:수광센서 48:슬라이더센서부 48a:하부기판
48b:입구센서 48c:중간센서 48d:출구센서
49a:제1수직기판 49b:제2수직기판 51a:제1모터
51b:워엄 51c:워엄휠 52a:제2모터
52b:워엄 52c:워엄휠 53a:제3모터
53b:워엄 53c:워엄휠 55:정제감지센서 10: automatic feeder 11:
12:
12e: button 13: cup receiving holder 14: collection cup
15: cover 15a: tablet inlet 16: bottom plate
16a: through hole 17: controller 18: housing
20: tablet loading module 21:
21e:
23:
24: lifting
24c:
25:
26a:
27:
28a: upper sensor unit 28b: lower sensor unit 29: drum
29a: pushing
40: feeding module 41:
41b:
41f: locking
42b:
42g: switching
43a:
43h: insertion groove 44:
44c: second vibrator 45:
45b:
46: vibrator control unit 47: falling
47b: light receiving sensor 48:
48b:
49a: first
51b: warm 51c:
52b: warm 52c:
53b: warm 53c: warm wheel 55: tablet detection sensor
Claims (10)
수직으로 연장되며, 투입된 정제를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실린더와;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출력하는 높이조절모터와;
높이조절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수직으로 연장되며 높이조절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리드스크류에 치합하며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운동 하는 승강바디와;
승강바디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하는 승강가이드부와;
승강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수용된 상태로 정제를 받쳐 지지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이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컨트롤러로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가 높이조절모터를 정지시키게 하는 상승제한부를 포함하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It is installed inside the tablet automatic feeding device equipped with a tablet discharge path, and loads the tablets input from the outside into the discharge path so that the tablets are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th,
a cylinder extending vertically and having a certain diameter accommodating the injected tablets;
a height adjustment mot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er and outputting rotational for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otor;
a lead screw that extends vertically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height control motor;
a lifting body engaged with the lead screw and moving up and down by the axial rotation of the lead screw;
an elevation guide unit for guiding the elevation movement of the elevation body;
a drum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body and holding and supporting the tablets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cluding a lift limiting unit that sends a signal to a controller when the drum reaches top dead center and causes the controller to stop the height adjustment motor.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상기 상승제한부는;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피감지부와,
드럼이 상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1피감지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상부센서부를 구비하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rise limiting unit;
A first sensing unit disposed below the drum;
Having an upper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first sens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drum reaches the top dead center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드럼이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 컨트롤러로 신호를 보내어, 컨트롤러로 하여금 높이조절모터를 정지시키게 하는 하강제한부가 더 포함되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lowering limiter that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drum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and causes the controller to stop the height adjustment motor.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상기 하강제한부는;
승강바디의 하측부에 고정되는 제2피감지부와,
드럼이 하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2피감지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하부센서부를 갖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3,
The lowering limiting unit;
A second sensing unit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body;
Having a lower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second sens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drum has reached the bottom dead center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상기 제1,2피감지부는 자석이고,
상부센서부 및 하부센서부는 자기력에 반응하는 리미트자기센서인,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are magnets,
The upper sensor part and the lower sensor part are limit magnetic sensors that respond to magnetic force,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는 높이조절모터를 수용 지지하는 받침케이스가 설치되고,
높이조절모터의 상부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판이 고정되며,
리드스크류는 고정판를 관통하여 높이조절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승강가이드부는, 하단부가 고정판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된 가이드로드를 구비하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4,
A support case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a height adjustment motor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A fixing plate providing suppor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eight adjustment motor,
The lead screw penetrates the fixed plate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eight adjustment motor,
The elevation guide unit includes a guide rod extending vertically with a lower end fixed to the fixing plate.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상기 승강바디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리드스크류와 치합하는 암나사구와, 암나사구의 측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가이드로드를 수용하는 수직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승강바디의 하부에는, 승강바디의 하강 시 고정판과 접하는 완충스토퍼가 위치하는,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6,
In the lifting body;
A female screw hole that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ngages with the lead screw, and a vertical passage formed parallel to the side of the female screw hole and accommodating a guide rod,
At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body, a buffer stopper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is located when the lifting body is lowered.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사이드지지체가 더 설치되고,
상부센서부는, 사이드지지체에 고정되고, 실린더의 벽면을 통해 제1피감지부를 감지하며,
하측센서부는 고정판에 설치된,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7,
On the outside of the cylinder, a side support for providing support is further installed,
The upper sensor unit is fixed to the side support and detects the first sensing unit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cylinder,
The lower sensor part is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상기 승강바디의 상부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모터가 더 설치되고,
드럼회전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장착되며,
드럼의 저면에는 구동기어를 수용하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 수용홈이 형성된,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7,
A drum rotation motor for rotating the drum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body,
A drive gear is mounted on the drive shaft of the drum rotation motor,
On the bottom of the drum, a drive gear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drive gear and receive rotational force.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상기 구동기어와 수용홈의 내측에는, 상호 흡착 결합하여 드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자석이 각각 고정된,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According to claim 9,
On the inside of the drive gear and the receiving groove, anti-departure magnets are fixe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drum by adsorbing to each other.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9484A KR102674834B1 (en) | 2021-11-30 | 2021-11-30 |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9484A KR102674834B1 (en) | 2021-11-30 | 2021-11-30 |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1434A true KR20230081434A (en) | 2023-06-07 |
KR102674834B1 KR102674834B1 (en) | 2024-06-13 |
Family
ID=8676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9484A Active KR102674834B1 (en) | 2021-11-30 | 2021-11-30 |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483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19522A1 (en) * | 2023-04-20 | 2024-10-24 | (주)크레템 |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supply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1437A (en) * | 2011-09-06 | 2014-05-21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Medicine cassette and medicine supply device |
KR20160072724A (en) * | 2014-12-15 | 2016-06-23 | (주)크레템 | Cassette apparatus for medicine wrapping |
KR101785060B1 (en) | 2015-06-17 | 2017-10-12 | (주)크레템 | Apparatus for supplying special medicine |
KR20170123112A (en) * | 2016-04-28 | 2017-11-07 |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 Cassette for discharging small-grained medicine |
JP2018042875A (en) * | 2016-09-16 | 2018-03-22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Tablet cassette |
-
2021
- 2021-11-30 KR KR1020210169484A patent/KR1026748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1437A (en) * | 2011-09-06 | 2014-05-21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Medicine cassette and medicine supply device |
KR20160072724A (en) * | 2014-12-15 | 2016-06-23 | (주)크레템 | Cassette apparatus for medicine wrapping |
KR101785060B1 (en) | 2015-06-17 | 2017-10-12 | (주)크레템 | Apparatus for supplying special medicine |
KR20170123112A (en) * | 2016-04-28 | 2017-11-07 |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 Cassette for discharging small-grained medicine |
JP2018042875A (en) * | 2016-09-16 | 2018-03-22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Tablet cassett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19522A1 (en) * | 2023-04-20 | 2024-10-24 | (주)크레템 |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suppl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4834B1 (en) | 2024-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2128B1 (en) | Rotary Refining Feeder | |
EP1294610B1 (en) | Medication dispenser | |
US6792736B1 (en) | Solid drug filling device | |
KR100910395B1 (en) | Rotary type tablet dispenser | |
KR20230081433A (en) | Tablet continuous feeding device | |
JP2008538516A (en) | Tablet dispensing device | |
KR100787810B1 (en) | Semi-automatic Pharmaceutical Packaging Machine With Cassette Locking Part | |
HK1204259A1 (en) | Medicine filling device | |
KR20230081434A (en) |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 |
KR20230081435A (en) | Tablet loading module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 |
KR102652276B1 (en) | Automatic pill feeding device | |
KR101474714B1 (en) | Atypical tablet dispensing apparatus | |
KR102776398B1 (en) | Apparatus for feeding automatically pills | |
WO2024219521A1 (en) | Continuous tablet supply apparatus | |
WO2024219520A1 (en) | Automatic tablet feeding device | |
WO2024219523A1 (en) | Tablet-loading module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ablet-feeding device | |
WO2024219522A1 (en) | Tablet loading module for automatic tablet supply device | |
AU2001261921B2 (en) | Medication dispenser | |
JP2024170773A (en) | Medicine packaging device | |
KR101543442B1 (en) | Packaged tablet dispensing apparatus | |
AU2001261921A1 (en) | Medication dispen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