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78070A -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070A
KR20230078070A KR1020210165468A KR20210165468A KR20230078070A KR 20230078070 A KR20230078070 A KR 20230078070A KR 1020210165468 A KR1020210165468 A KR 1020210165468A KR 20210165468 A KR20210165468 A KR 20210165468A KR 20230078070 A KR20230078070 A KR 20230078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old chain
storage
storage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
박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
Priority to KR102021016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8070A/ko
Publication of KR2023007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07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송자에 의해 배송되는 배송화물이 수령자가 수령하기 전에 저온 보관 환경을 제공하고,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과 연계되어 구축된 보관부 관리서버에 의해 보관 기한 내에 수령자가 배송화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배송화물에 대한 배송, 보관 및 수령 정보를 수령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이 배송 시작부터 수령자에 의해 수령될 때까지 저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RCEL BASED ON COLD CHAIN SYSTEM}
본 발명은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선 식품 등의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을 보관하는 콜드체인 보관부의 온도를 저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로 통신 판매와 인터넷, 케이블 TV, 쇼핑몰 등 다양한 전자 상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문 상품을 가정으로 직접 배달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장이나 매장에 나가지 않고 전화나 컴퓨터를 통해 모든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편리한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주문된 상품이 배달되는 날짜와 시간이 일정치 않고 배송화물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수령자가 반드시 집안에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달예정 시간에 화물을 수령하지 못하면 배달원은 다음날 다시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수령자는 배송화물의 수령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수령자가 부재시에 해당 화물의 처리 문제 및 화물의 분실 문제 등의 부수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택배와 같은 외부 반입 화물의 정확하고 안정한 보관 및 배송을 위한 선행특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2269503호에는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이 출원되어 등록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에 배송되어 보관되는 배송화물 중 냉장 차량에 의해 배송되어 저온 상태를 유지하고 신선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신선 식품 등의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은 장시간 보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9503호(2021.06.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 자체에 콜드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콜드체인 보관부를 구비하여 신선 식품과 같은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을 비대면 환경에서 수령자에게 안전한 상태로 배송할 수 있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층부 사이에 지지되는 2개의 벽체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수용 또는 분리 가능한 선반 상에 냉장 및 냉동이 필요한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을 보관하며, 상기 벽체와 상기 선반 사이에서 보관 공간을 가지는 콜드체인 보관부를 포함하는 보관 타워, 상기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코드에 포함된 배송 정보 및 수령자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리더기, 상기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을 각각의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로 운반하기 위한 화물 이송부 및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더기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배송화물을 이송, 보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 택배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화물 보관부의 화물 보관 정보를 비롯한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화물 보관 정보와 보관 기한 정보를 제공받는 보관부 관리서버; 상기 보관부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물 보관부의 화물 보관 정보를 비롯한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화물 보관 정보와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전송받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택배사 서버에 화물을 주문하고, 결제 관리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사에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보관부 관리서버로부터 식별정보와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배송화물에 관한 화물 보관 정보와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전송받는 수령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는 상기 배송화물을 운반하는 선반이 삽입되어 적재 가능하게 배치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적재 공간에 냉기를 확산시키는 쿨러; 및 단열을 위해 작동하며 상하 개폐식으로 동작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은 냉기 유동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은, 상기 배송화물이 투입되어 상기 배송화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화물 로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화물의 높이에 따라 필요한 다수의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높이를 산정하되, 다수의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분산도를 측정하여 상기 분산도의 감소가 작은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를 1순위로 선정하고,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에 보관되는 상기 배송화물의 무게가 가장 작은 상기 보관 타워를 2순위로 선정하며, 상기 분산도 및 상기 보관 타워와 관련된 선정 위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 중 높이가 가장 낮은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를 3순위로 선정하여 최적의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배송자가 배송하물 보관 스테이션의 리더기를 통해 상기 콜드체인 기반의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부터 수령자 정보를 읽고, 상기 리더기가 상기 수령자 정보를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의 제어부에 전달할 경우 콜드체인 보관부 중 비어 있는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를 선정하여 상기 배송화물을 보관하는 단계; 상기 배송화물이 보관된 해당 콜드체인 보관부의 식별 정보를 보관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인증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에 보관되는 배송화물에 관한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포함한 화물 보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 및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와, 화물 보관 정보 및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수령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화물의 화물 보관 기한이 임박하게 될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수령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가 콜드체인 보관부 중 비어 있는 상기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없을 경우, 상기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의 확보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의 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가 대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령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전환되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추가되며,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배송자에 의해 배송되는 배송화물이 수령자가 수령하기 전에 저온 보관 환경을 제공하고,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과 연계되어 구축된 보관부 관리서버에 의해 보관 기한 내에 수령자가 배송화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배송화물에 대한 배송, 보관 및 수령 정보를 수령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이 배송 시작부터 수령자에 의해 수령될 때까지 저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의 외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보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의 보관 위치 선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콜드체인 보관부의 온,습도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의 외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보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은,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 보관부 관리서버(200), 관리자 단말기(300) 및 수령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은 배송자가 배송화물(P)을 보관하기 위한 화물 보관부(111), 배송화물(P)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코드에 포함된 배송 정보 및 수령자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리더기(120), 배송화물(P)을 각각의 화물 보관부(111)로 운반하기 위한 화물 이송부(140) 및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의 작동을 제어하고 리더기(120)에 입력된 정보를 보관부 관리서버(200), 관리자 단말기(300) 및 수령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에는, 다수개의 배송화물(P)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 공간을 다수개로 구획 가능하게 된다. 즉, 화물 보관부(111)는 바닥부와 상층부 사이에 지지되는 2개의 벽체(11)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수용 또는 분리 가능한 선반(10) 상에 배송화물(P)을 보관 가능하며, 벽체(11)와 선반(10) 사이에서 보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물 보관부(111)는 2개의 벽체(11) 사이에 선반(10)을 삽입하여 적재할 수 있는 가이드홈(11a)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2개의 벽체(11) 사이에 가이드홈(11a)을 따라 복수의 선반(10)이 벽체(11)의 세로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타워 형태일 수 있다.
배송화물(P)의 높이에 따라 배송화물(P)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선반(10) 사이의 간격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배송화물(P)의 높이에 대응하는 선반(10)의 보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배송화물(P)의 높이가 선반(10)과 선반(10) 사이의 간격보다 높을 경우 선반(10) 사이의 간격을 이 보다 높게 설정하여 배송화물(P)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화물 보관부(111) 중, 콜드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콜드체인 보관부(112)는 2개의 벽체(11) 사이의 일부 구간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다.
콜드체인 보관부(112)는 냉동 및 냉장이 필요한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P)을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콜드체인 보관부(112)에는 쿨러(12)가 장착되어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P)의 냉장, 냉동 및 제습을 수행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쿨러(12)는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전체 공간에 냉기가 확산 가능하도록 하며, 가이드홈(11a)에 배치되는 선반(10)으로 인해 쿨러(12)의 냉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선반(10)은 냉기 유동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10a)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선반(10) 상에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P)이 로딩된 상태에서 콜드체인 보관부(112) 내에 복수로 적재되더라도, 쿨러(12)에서 나오는 냉기가 냉기 유동을 위한 관통공(10a)을 통해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전체 공간으로 확산 가능하게 된다.
한편, 콜드체인 보관부(112)는 다른 화물 보관부(111)와 달리, 냉기를 외부로 빼앗기지 않고 외부의 열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단열을 위한 별도의 도어(13)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13)는 전동실린더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13)가 설치된다. 도어(13)의 상하 개폐식 동작은 다른 화물 보관부(111)나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의 루프부분에 간섭되지 않게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콜드체인 보관부(112)는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보다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의 보관 위치 선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보관부(111) 및 콜드체인 보관부(112)에서의 배송화물(P)에 대한 보관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화물 로딩부(130)의 외부 투입구(101)에 배송화물(P)을 투입하게 될 경우, 높이측정센서가 배송화물(P)의 높이를 측정한다.
배송화물(P)의 높이에 따라 필요한 보관부(111,112)의 높이를 산정하되, 다수의 보관부(111,112)의 분산 상황에 대한 분산도를 측정한다.
분산도는 비 점유 상태에 있는 전체 보관부(111,112)의 분산 상황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제어부(150)는 보관부(111,112)의 분산도의 감소가 작은 위치를 1순위로 선정한다.
이와 같이 비 점유 상태에 있는 전체 보관부(111,112)의 분산도를 측정할 경우, 보관이 필요한 보관부(111,112)에 배송화물(P)을 보관한 상태에서, 이어서 보관되는 배송화물(P)에 대한 보관부(111,112)의 여유 공간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비 점유 상태의 전체 보관부(111,112)가 분산되지 않고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집중되므로 보관부(111,112)에 대한 분산도가 감소되어, 배송화물(P)의 높이에 대응하는 비 점유 상태의 보관부(111,112)를 우선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려되는 사항으로, 전체 비 점유 상태의 보관부(111,112)에 보관되는 배송화물(P)의 무게가 가장 작은 보관 타워(102)를 2순위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무게가 가장 작은 보관 타워(102)에 대한 선택은, 화물 로딩부(130)에서 중량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배송화물(P)의 무게를 통해, 선택 가능한 보관 타워(102)에 보관되는 모든 배송화물(P)의 무게의 총합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산도 및 보관 타워(102)와 관련된 선정 위치가 동일할 경우, 최종적으로 고려되는 사항으로, 보관부(111,112) 중 높이가 가장 낮은 보관부(111,112)를 3순위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물 보관부(111) 및 콜드체인 보관부(112)에서의 배송화물(P)에 대한 적절한 보관 위치를 선정하여 배송화물(P)을 최적의 보관부(111,112)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화물 보관부(111) 및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최적 보관 위치에 대한 선택은 배송화물(P) 보관 후의 보관부(111,112)의 분산도의 감소가 가장 작은 위치를 1순위로 선정하고, 보관되는 배송화물(P)의 무게가 가장 작은 보관 타워(102)의 위치를 2순위로 선정하며, 보관되는 배송화물(P)의 위치가 가장 낮은 위치를 3순위로 선정하여 최적의 보관부(111,112)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최적의 화물 보관부(111) 및 콜드체인 보관부(112)에 보관되는 배송화물(P)에 대해, 리더기(120)는 배송화물(P)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코드에 포함된 수령자 정보를 획득하는데, 일반적으로 바코드나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120) 중 적절한 사양의 제품을 선택하여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에는 화물 보관부(111)의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추가될 수 있으며, 수령자는 수령자 단말기(400)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바코드나 QR코드와 함께 일반 문자로 전달된 정보를 입력수단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도 리더기(12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로 전송 가능하게 된다.
화물 이송부(140)는, 배송화물(P)이나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P)을 투입하거나 수령하기 위한 입출구인 화물 로딩부(130)로부터 배송화물(P)을 받아 화물 보관부(111)로 이송하거나 화물 보관부(111)로부터 배송화물(P)을 화물 로딩부(130)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화물 이송부(140)는 화물 로딩부(130)의 위치보다 높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배송화물(P)을 수직방향으로 승강하기 위한 화물 승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부 관리서버(200)는 택배사 서버(미도시)의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화물 보관 정보와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제공받아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보관부 관리서버(200)는 화물 보관 기한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자가 화물 수령자 단말기(400)에 화물 보관 기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관리할 수 있다.
보관부 관리서버(200)는 관리자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화물 보관부(111)를 비롯한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화물 보관 정보와 위험 화물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콜드체인 보관부(112)에 보관되는 화물의 보관 기한에 대한 정보와, 보관 기한 경과 화물에 대한 정보를 수령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배송화물(P)을 수령하는 수령자는 수령자 단말기(400)를 통해 택배사 서버에 화물을 주문하고, 결제 관리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사에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은 보관부 관리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을 수령자에게 배송하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송화물 관리시스템은, 화물 보관부(111) 중 콜드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저온 상태를 유지하고 신선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신선 식품 등의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P)이 콜드체인 보관부(112)에 보관된다.
콜드체인 보관부(112)는 배송화물(P)의 냉장, 냉동 및 제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쿨러(13)가 설치되며,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밀폐된 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다만, 배송자가 배송화물(P)을 보관하거나 수령자가 배송화물(P)을 수령하여 취득하기 위해 소정 시간 동안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콜드체인 보관부(112) 내부의 온습도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콜드체인 보관부(112)는 도어(13)의 개방시간, 외부 온습도차에 따른 단열 성능 등을 고려하여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분당 1회씩 온도와 습도를 체크하고 도어(13)의 개방, 이상 상황 등의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온,습도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온,습도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콜드체인 보관부(112)에 배송화물(P)의 보관 여부를 확인한다.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목표 내부 온습도를 설정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내부 온습도를 확인한다.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내부 온습도와 목표 온습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측정된 온습도의 차이가 기준 온습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측정된 온습도의 차이가 기준 온습도를 벗어났을 경우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목표 온습도를 재설정하여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내부 온습도를 조절한다.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내부 온습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이벤트 발생 전까지 대기한다.
한편, 측정된 온습도의 차이가 기준 온습도를 벗어나지 않았을 경우, 이벤트 발생 전까지 대기한다.
새로운 배송화물(P)이 보관되는 이벤트 발생이 존재하게 될 경우,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도어(13) 개방 시간에 따른 온습도 변화를 예측하고, 배송화물(P)의 적정 보관 온습도의 범위를 확인한 다음 목표 온습도 범위를 재설정하여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내부 온습도를 조절한다.
외부 온습도 변화에 따른 이벤트 발생이 존재하게 될 경우, 외부 온습도 변화에 따른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온습도 변화를 예측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배송화물(P)의 보관 및 급격한 외부 온습도 변화에 의한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온습도 조절량이 변화될 경우, 이벤트 발생 전까지 대기한다.
이와 같은 콜드체인 보관부(112)에 대한 적정 보관 온습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관리 방법으로 운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배송자가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P)을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에 보관하는 경우, 배송자는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의 리더기(120)를 사용하여 배송화물(P)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부터 수령자 주소, 수령자 성명이 포함된 수령자 정보를 읽을 수 있고, 리더기(120)가 이러한 수령자 정보를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50)에 전달할 경우 제어부(150)는 콜드체인 보관부(112) 중 비어 있는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112)를 선정하여 도어(13)를 개방한다.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112)가 존재하는 경우, 배송자는 배송화물(P)을 보관할 콜드체인 보관부(112)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50)에 구비된 화면 상에서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112)들의 식별 정보를 제시하고, 배송화물(P)의 정보를 입력하여, 콜드체인 보관부(112) 중 적합한 콜드체인 보관부(112)를 선택한다.
제어부(150)는 콜드체인 보관부(112) 중 비어 있는 상기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없을 경우, 상기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확보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자가 대응하도록 제어한다.
배송자가 배송화물(P)을 투입하기 위해 화물 로딩부(130)의 외부 투입구(101)를 통해 선반(10)에 배송화물(P)을 투입할 경우,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의 화물 이송부(140)는 해당 배송화물(P)의 높이에 따라 저장할 콜드체인 보관부(112)를 설정하고, 해당 콜드체인 보관부(112)까지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배송화물(P)이 콜드체인 보관부(112) 내에 보관된 상태에서,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도어(13)를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한 후 도어(13)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게 되며, 배송화물(P)이 보관된 해당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식별 정보를 보관부 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보관부 관리서버(200)는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제어부(150)로부터 수령자 정보와 배송화물(P)이 보관된 해당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잠금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112)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인증코드를 생성한 후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와 배송화물(P)에 관한 화물 보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 및 제어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보관부 관리서버(200)는 콜드체인 보관부(112)에 보관되는 배송화물(P)에 관한 화물 보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화물 보관 기한 정보도 함께 전송하게 되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수령자 단말기(400)에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와, 화물 보관 정보 및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령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는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형태로 전환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보관부 관리서버(200)는 배송화물(P)의 보관 기한이 임박하게 될 경우 경고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300)와 수령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게 되고, 보관 기한이 경과하게 될 경우 보관 기한 경과 화물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와 수령자 단말기(40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50)로부터 화물 보관 기한 경과 정보가 보관부 관리서버(200)로부터 관리자 단말기(300)와 수령자 단말기(400)로 전송될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수신한 관리자는 배송물품(P)을 회수하고, 패널티를 부과한다.
한편, 수령자가 배송화물(P)을 수령하고자 하는 경우, 리더기(120)를 이용하여 수령자 단말기(400) 화면에 표시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읽으면 리더기(120)가 이러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보관부 관리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가운데 일치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일치된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P)이 보관된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도어(13)를 개방하고, 배송화물(P)이 있는 해당 선반(10)을 반출하여 화물 로딩부(130)의 외부 투입구(101)에 도달되도록 할 경우, 수령자가 배송화물(P)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에는 콜드체인 보관부(112)의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령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직접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는 리더기(12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100) 자체에 콜드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콜드체인 보관부(112)를 구비하여 신선 식품과 같은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P)을 비대면 환경에서 수령자에게 안전한 상태로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 111 : 화물 보관부
112 : 콜드체인 보관부 120 : 리더기
130 : 화물 로딩부 140 : 화물 이송부
150 : 제어부 200 : 보관부 관리서버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수령자 단말기

Claims (7)

  1. 바닥부와 상층부 사이에 지지되는 2개의 벽체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수용 또는 분리 가능한 선반 상에 냉장 및 냉동이 필요한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을 보관하며, 상기 벽체와 상기 선반 사이에서 보관 공간을 가지는 콜드체인 보관부를 포함하는 보관 타워, 상기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코드에 포함된 배송 정보 및 수령자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리더기, 상기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을 각각의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로 운반하기 위한 화물 이송부 및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더기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배송화물을 이송, 보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
    택배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화물 보관부의 화물 보관 정보를 비롯한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화물 보관 정보와 보관 기한 정보를 제공받는 보관부 관리서버;
    상기 보관부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물 보관부의 화물 보관 정보를 비롯한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화물 보관 정보와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전송받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택배사 서버에 화물을 주문하고, 결제 관리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사에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보관부 관리서버로부터 식별정보와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배송화물에 관한 화물 보관 정보와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전송받는 수령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는
    상기 배송화물을 운반하는 선반이 삽입되어 적재 가능하게 배치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적재 공간에 냉기를 확산시키는 쿨러; 및
    단열을 위해 작동하며 상하 개폐식으로 동작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은 냉기 유동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은, 상기 배송화물이 투입되어 상기 배송화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화물 로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화물의 높이에 따라 필요한 다수의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높이를 산정하되,
    다수의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분산도를 측정하여 상기 분산도의 감소가 작은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를 1순위로 선정하고,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에 보관되는 상기 배송화물의 무게가 가장 작은 상기 보관 타워를 2순위로 선정하며, 상기 분산도 및 상기 보관 타워와 관련된 선정 위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 중 높이가 가장 낮은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를 3순위로 선정하여 최적의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4.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배송자가 배송하물 보관 스테이션의 리더기를 통해 상기 콜드체인 기반의 저온 보관 대상 배송화물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부터 수령자 정보를 읽고, 상기 리더기가 상기 수령자 정보를 배송화물 보관 스테이션의 제어부에 전달할 경우 콜드체인 보관부 중 비어 있는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를 선정하여 상기 배송화물을 보관하는 단계;
    상기 배송화물이 보관된 해당 콜드체인 보관부의 식별 정보를 보관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인증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에 보관되는 배송화물에 관한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포함한 화물 보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 및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와, 화물 보관 정보 및 화물 보관 기한 정보를 수령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화물의 화물 보관 기한이 임박하게 될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수령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콜드체인 보관부 중 비어 있는 상기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없을 경우, 상기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의 확보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비 점유 상태의 콜드체인 보관부의 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가 대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령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전환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콜드체인 보관부의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추가되며,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식별 정보 및 인증코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 방법.

KR1020210165468A 2021-11-26 2021-11-26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Ceased KR20230078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468A KR20230078070A (ko) 2021-11-26 2021-11-26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468A KR20230078070A (ko) 2021-11-26 2021-11-26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070A true KR20230078070A (ko) 2023-06-02

Family

ID=8675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468A Ceased KR20230078070A (ko) 2021-11-26 2021-11-26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80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93122A (zh) * 2024-03-15 2024-04-16 青岛冠成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标签的物流信息管理方法
CN118586810A (zh) * 2024-08-06 2024-09-03 鑫汇源(营口)物流科技有限公司 网络货运平台管理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503B1 (ko) 2019-11-14 2021-06-25 주식회사 노바 배송 물품 보관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503B1 (ko) 2019-11-14 2021-06-25 주식회사 노바 배송 물품 보관 스테이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93122A (zh) * 2024-03-15 2024-04-16 青岛冠成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标签的物流信息管理方法
CN117893122B (zh) * 2024-03-15 2024-05-24 青岛冠成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标签的物流信息管理方法
CN118586810A (zh) * 2024-08-06 2024-09-03 鑫汇源(营口)物流科技有限公司 网络货运平台管理方法及相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0414B2 (en) Refrigerator having automatic food ordering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829898B2 (en) Controlling cargo parameters in a microenvironment of a reefer during transit
US11079173B2 (en)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controlling reefer container resources
KR20230078070A (ko) 콜드체인 기반의 배송화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EP3653976B1 (en) Locker system for delivery of heat sensitive products
US98460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ime-temperature monitoring of transportable goods
Jedermann et al. Semi-passive RFID and beyond: steps towards automated quality tracing in the food chain
CN101755275A (zh) 供应链管理系统
US103302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lling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with liquid carbon dioxide
US20150032265A1 (en) Environmental conditio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WO2019163434A1 (ja) 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10643173B2 (en) Smart delivery bins
US20210364004A1 (en) Product fan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230288265A1 (en) Method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product deliveries from origin to destination
KR20240040524A (ko) 콜드체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4018446A1 (en) A portable storage apparatus and a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predefined temperature therein
KR100995689B1 (ko) 물품자동관리가 가능한 자동화 미니바 시스템
JP2003256510A (ja) 物流サイクルの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ナ
KR102687548B1 (ko) 저온보관상품용 유통관리 시스템
CN113710949B (zh) 用液体二氧化碳填充绝热容器的方法和系统
KR20230086280A (ko) 의약품 수송 관리 시스템
RU2789189C2 (ru) Мониторинг и обеспечение надлежащих условий среды, включающих химический баланс, в транспортном носителе, используемом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оваров, чувствительных к условиям среды
US202402685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cel box with an advanced checkout system, parcel quality check and virtual cash on delivery
JP2003252442A (ja) 物流サイクルの情報設定方法及び物流サイクルの情報設定システム
JP2004036948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機器情報取得装置および機器情報量低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