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023A - Mold and strut assembly - Google Patents
Mold and strut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5023A KR20230075023A KR1020210161201A KR20210161201A KR20230075023A KR 20230075023 A KR20230075023 A KR 20230075023A KR 1020210161201 A KR1020210161201 A KR 1020210161201A KR 20210161201 A KR20210161201 A KR 20210161201A KR 20230075023 A KR20230075023 A KR 202300750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shore
- support member
- attached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자착성을 갖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지지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동바리;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의 하부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동바리의 상부가 결합되어 거푸집을 동바리가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거푸집의 하부면에 자착되는 자성을 갖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거푸집과 동바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거푸집을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 소모를 줄이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and shore assembly, comprising: a formwork made of a metal plate material having an open top, a space formed therein, both side walls and a bottom surface, and having self-attachment; A support member tha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an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rmwork so that the formwork is supported by the shore,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It has magnetism that is self-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work.
According to this, since a person does not have to hold the formwork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ormwork and the shor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manpower consumption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과 동바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거푸집을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 소모를 줄이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고,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기간 및 인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and shoring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since a person does not have to hold the formwork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ormwork and shoring, man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formwork does not need to be removed. It relates to a formwork and shoring assembly that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by reducing work period and manpower consumption.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 보,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이 사용된다.Generally, formwork is used to form slabs, beams, and retaining walls of concrete structures.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나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소정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틀로서,형틀이라고도 한다. Formwork is a frame made in a predetermined shape to make a concrete structure in a certain shape or size, and is also called a mold.
거푸집은 내측으로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콘크리트가 원하는 강도에 도달할때까지 양생 및 지지하는 구조물이다.Formwork is a structure in which unhardene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inside and cured and supported until the concrete reaches the desired strength.
거푸집을 이용하여 천정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거푸집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거푸집의 하부에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동바리가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forming a ceiling structure using a formwork, after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a support bar supports the formwork at a lower part of the formwork until the concrete obtains a predetermined strength.
종래에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동바리의 상부에 받침목을 부착한 후 동바리를 수직으로 설치한 후 이 받침목을 작업자가 잡고 있는 상태에서 받침목의 상부에 거푸집을 안착하고, 콘크리트 주입 작업을 실시하였다. Conventionally, after a worker attaches a beam to the upper part of a beam at the site, the anchor is installed vertically, and then a formwork is seated on the top of the beam while the worker is holding the beam, and concrete injection work is performed.
그러나 작업자가 동바리의 상단에 받침목을 설치하여야 하고, 받침목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거푸집을 안착 및 콘크리트 주입을 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며, 작업자가 다칠 위험성이 높아지고, 이러한 이유 등으로 작업기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However, since the worker has to install a support at the top of the support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seating the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while holding the support, the work process is complicated, the fatigue of the worker increases, and the risk of worker injury increases. For these reasons, problems such as delays in the work period were caused.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거푸집과 동바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거푸집을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 소모를 줄이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since a person does not have to hold the formwork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ormwork and shoring, it provides a formwork and shoring assembly that can reduce manpower consumption and improve work efficiency. It has a purpos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자착성을 갖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지지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동바리;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의 하부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동바리의 상부가 결합되어 거푸집을 동바리가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거푸집의 하부면에 자착되는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made of both side walls and a bottom surface, and a formwork made of a metal plate having self-attachment; A support member tha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an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rmwork so that the formwork is supported by the shore,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It can be achieved by a formwork and shor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magnetism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work.
상기 지지부재는 거푸집의 측벽에 대응되는 측면부와, 거푸집의 저면에 대응되는 저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외면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끼움돌부에 동바리의 상단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member has a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of the formwork and a botto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work, and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s fitted to the fitting protrusion. to be
상기 거푸집은 저면에 내측으로 요입되어 다수의 요부가 형성되고, 다수의 요부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ld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by being recessed inwar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거푸집의 하부 외면에 결착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착구가 끼워지도록 결착홈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inding hole is protruded from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die, and a binding groove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binding hole is fitted so that it can be fixed to each other by fitting.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과 동바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거푸집을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 소모를 줄이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고,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기간 및 인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erson does not have to hold the formwork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ormwork and the shore, man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since the formwork does not need to be removed, the work period and man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cost. There is a sav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의 '지지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의 '지지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를 저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의 시공예를 보여주는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of a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of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invention, thereby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It can be, and it is revealed that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의 '지지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의 '지지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를 저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의 시공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upport member of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of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는,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 측벽(110)과 저면(130)으로 이루어지고, 자착성을 갖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100);A
거푸집(100)의 하부에 지지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동바리(200); 및 Shoring 200 supported on the lower part of the
거푸집(100)의 하부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동바리(200)의 상부가 결합되어 거푸집(100)을 동바리(200)가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300);를 포함한다. It includes a
거푸집(100)은 대략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 측벽(110)과 저면(130)을 구비한다. The
상기 거푸집(100)은 저면에 내측으로 요입되어 다수의 요부(120)가 형성되고, 다수의 요부(12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The die 100 is recessed inward on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다수의 요부(120)의 외측에 바(140)가 부착되어 연결됨으로써 ? 변형에 대한 보강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By connecting the
지지부재(300)는 거푸집(100)의 측벽에 대응되는 측면부(320)와, 거푸집(100)의 저면, 특히 요부(120)의 저면에 대응되는 저면부(340)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340)의 외면에는 끼움돌부(36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끼움돌부(360)에 동바리(200)의 상단이 끼움결합된다. The
지지부재(300)는 4~6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거푸집(100)의 하부면에 자착되도록 자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즉, 지지부재(300) 자체를 자석소재로 제작한 것이거나 또는 지지부재(300)의 일부분만 자석을 매립하여 자성을 띄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푸집(100)의 하부 외면에 결착구(123)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재(300)에는 결착구(123)가 끼워지도록 결착홈(342)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5 and 6,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또는 결착구(123)를 자석으로 형성할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the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푸집(100)의 하부, 특히 요부(120)의 저면에 지지부재(300)를 양측에 대칭되게 부착한다. 지지부재(300)와 거푸집(100)은 자착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이후 지지부재(300)의 끼움돌부(360)에 동바리(200)의 상단 끼움공을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Thereafter, the upper fitting hole of the
따라서 다수의 동바리(20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배치한 후 그 상부에 지지부재가 부착된 거푸집(100)을 설치한다. Therefore, after arranging a plurality of
동바리(200)를 결합시키는 동안 작업자가 거푸집(100)을 잡고 있지 않더라도 자착력에 의해 동바리(200)와 거푸집(10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Even if a worker does not hold the
이후 거푸집(100)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C)을 주입하여 경화시킨다. Then, the concrete mortar (C) is injected into the
콘크리트 몰탈(C)이 경화된 후 거푸집(100)은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두어도 인테리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와 달리 거푸집(100)은 함석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원하는 색상의 도색을 실시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오히려 실내 인테리어를 증진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Even if the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s self-explanatory.
100 : 거푸집 110 : 측벽
130 : 저면 200 : 동바리
300 : 지지부재 320 : 측면부
340 : 저면부 360 : 끼움돌기
123 : 결착구 342 : 결착홈 100: formwork 110: sidewall
130: bottom 200: shore
300: support member 320: side part
340: bottom part 360: fitting protrusion
123: binding hole 342: binding groove
Claims (3)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지지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동바리;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의 하부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동바리의 상부가 결합되어 거푸집을 동바리가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거푸집의 하부면에 자착되는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A formwork made of a metal plate material having an open top, a space formed therein, and made of both side walls and a bottom surface, and having self-attachment;
Including; support suppor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and installed vertically,
A support member attached to a lower outer surface of the formwork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horing to support the formwork by the shoring;
The support member is a formwork and shor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agnetism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work.
상기 지지부재는 거푸집의 측벽에 대응되는 측면부와, 거푸집의 저면에 대응되는 저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외면에는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끼움돌부에 동바리의 상단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has a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of the formwork and a botto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work, and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s fitted to the fitting protrusion. Formwork and shoring assembly made with
상기 거푸집은 저면에 내측으로 요입되어 다수의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요부의 외측에 바가 부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According to claim 2,
The formwork and shor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work is recessed inward on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and a bar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to be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1201A KR20230075023A (en) | 2021-11-22 | 2021-11-22 | Mold and strut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1201A KR20230075023A (en) | 2021-11-22 | 2021-11-22 | Mold and strut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5023A true KR20230075023A (en) | 2023-05-31 |
Family
ID=8654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1201A Pending KR20230075023A (en) | 2021-11-22 | 2021-11-22 | Mold and strut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75023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9630A (en) | 2016-11-03 | 2018-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uch input apparatus using a stylus pen and method for removing noise thereof |
-
2021
- 2021-11-22 KR KR1020210161201A patent/KR20230075023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9630A (en) | 2016-11-03 | 2018-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ouch input apparatus using a stylus pen and method for removing noise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90220B2 (en) | Concrete construction equipment | |
KR101018411B1 (en) | Jo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floor plate for beam deck plate formwork for bone deck plate and deep dance deck deck plate method | |
KR100917308B1 (en) | Insert rebar base | |
KR100860064B1 (en) | Slab panel structure of prefabricated formwork | |
KR200201589Y1 (en) | Spring support for slab | |
KR20230075023A (en) | Mold and strut assembly | |
KR20070027432A (en) | Binding holes for fixing reinforcing bar assemblies, formwork and ceiling panels with fastening pins | |
KR200281867Y1 (en) | An iron reinforcing bar prop | |
KR20070043641A (en) | Adjustable formwork | |
KR200414945Y1 (en) | European panel slab casting panel | |
KR200397209Y1 (en) | Steel plate for rainforcing concrete slabs | |
KR101322581B1 (en) | Spacer for fastening Reinforcement Bar and Hanger Bolt | |
KR200234872Y1 (en) | An iron reinforcing bar prop | |
KR200241690Y1 (en) | inner corner frame for a flash board | |
KR100579448B1 (en) | Side reinforcement device of steel formwork for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ion | |
KR200196745Y1 (en) | A concrete wall construction for using reinforcement fixing pin | |
KR100397580B1 (en) | A method of executing a building using an iron reinforcing rod | |
KR20160120828A (en) | A supporter fixing unit for waterprof sill | |
KR102198600B1 (en) | Slab mold support device | |
KR200163444Y1 (en) | Device for horizontal support bar of a mold | |
KR200198525Y1 (en) | Wood wall form remove tool | |
KR20100011504U (en) | Panel framing structure for concrete pillar formation with chamfered portion | |
KR102135318B1 (en) | Improved insulation fixture for bricks | |
KR200314569Y1 (en) | A slab panel attachment device for concrete mold of construct | |
KR100371747B1 (en) | Steel frame for structure operation and method for structure operation by using a steel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