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496A -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ation of auxiliary vehicles - Google Patents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ation of auxiliary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3496A KR20230073496A KR1020210159960A KR20210159960A KR20230073496A KR 20230073496 A KR20230073496 A KR 20230073496A KR 1020210159960 A KR1020210159960 A KR 1020210159960A KR 20210159960 A KR20210159960 A KR 20210159960A KR 20230073496 A KR20230073496 A KR 202300734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 robot
- robot body
- auxiliary running
- run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3/00—Manipulators of leader-follower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 B25J3/04—Manipulators of leader-follower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involving servo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4—Tracking a line or surface by means of senso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행 환경에 맞게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행 환경에 맞게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로봇과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로봇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As robot and network technology develops, the area of providing autonomous driving services using robots is expanding.
구체적으로, 식당용 자율주행로봇은 직원을 대신하여 손님에게 음식 등을 서빙할 수 있고, 농업용 자율주행로봇은 경작, 경운, 이앙, 제초 등 농작물 재배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배송용 자율주행로봇은 사용자에게 배송정보를 입력받아 배송지로 배달 대상 물건을 주문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자율주행로봇은 공항, 대형 쇼핑시설, 문화시설, 공공시설 등 사회시설 전반에 걸쳐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Specifically, self-driving robots for restaurants can serve food to customers on behalf of employees, self-driving robots for agriculture can perform tasks related to crop cultivation, such as tillage, plowing, transplanting, and weeding, and are autonomous for delivery. The driving robot also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delivers it to the user who ordered the item to be delivered to the delivery address. In addition, the service area of autonomous robots is expanding throughout social facilities such as airports, large shopping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and the demand for them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율주행로봇은 특정 주행 환경에서만 주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주행 환경이 달라지는 경우 사용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elf-driving robo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drive only in a specific driving environment, and difficulty in using it when the driving environment changes.
예를 들어, 실내에서 주행되도록 설계된 식당용 자율로봇의 경우, 실외에서 사용되기 어렵고, 또한 실외에서 배송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설계된 자율주행로봇은 농업환경에서 사용되기 어렵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utonomous robot designed to run indoors, it is difficult to use outdoors, and an autonomous robot designed to be used outdoors for delivery is difficult to use in an agricultural environment.
한편, 지능형 주행로봇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19026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related to an intelligent driving robot, there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902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행 환경이나 용도에 맞게 보조주행체를 합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combining an auxiliary driving body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r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주행체를 합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장치는 로봇본체와 보조주행체로 구성되어, 로봇본체 단독으로 주행하거나 또는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에 탑승하여 주행하며, 상기 로봇본체는, 로봇본체 또는 보조주행체의 제어권한을 가지고, 로봇본체 또는 보조주행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주행체는, 탑승판과 탑승플레이트로 구성된 안착부와, 상기 로봇본체와의 근접거리, 상기 안착부에 대한 로봇본체의 안착정보, 및 상기 보조주행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보조센서부와, 상기 보조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보조주행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보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autonomous driv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combining an auxiliary runn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robot body and an auxiliary running body, and the robot main body alone or the robot body rides on the auxiliary running body and travels. , The robot body has control authority of the robot body or the auxiliary running body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bot main body or the auxiliary running body, and the auxiliary running body is seated composed of a boarding plate and a boarding plate. and an auxiliary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proximity distance to the robot body, seating information of the robot body with respect to the seating unit,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and assisted driving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uxiliary sensor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uxiliary control unit that performs control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의 보조주행체를 합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방법은 로봇본체의 근접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근접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보조주행체의 탑승판을 인출하는 단계; 상기 인출된 탑승판을 따라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의 안착부에 안착하는 단계; 로봇본체가 본체안착부에 올바르게 안착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로봇본체가 올바르게 안착된 경우, 로봇본체에 보조주행체의 제어권한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method that can be used by combining the auxiliary runn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proximity distance of the robot body; withdrawing the boarding board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when the proximity dist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Seating the robot body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along the withdrawn boarding board; Determining whether the robot body is properly seated in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and when the robot body is properly seated, generating control authority for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in the robot body.
또한 본 발명의 보조주행체를 합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방법은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에서 하차하는 단계; 상기 하차된 보조주행체가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보조주행체가 안전한 위치로 이동되었는지 보조주행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주행체의 환경정보에 기반하여, 보조주행체가 안전한 위치로 이동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로봇본체의 보조주행체 제어권한이 소멸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driving method that can be used by combining the auxiliary runn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robot body getting off the auxiliary running body; moving the lowered auxiliary running body to a safe position; det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running object has moved to a safe position; and extinguishing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of the robot bod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has been moved to a safe position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본 발명에 따른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는 로봇본체만 단독으로 주행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자율주행 로봇본체를 보조주행체에 합체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자율주행장치로서, 보조주행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어 활용성이 확대된다.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way that only the robot main body travels alone, or can be used by combining an autonomous robot main body with an auxiliary running body. Depending on the type of sieve, it can be used in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increasing its usability.
예를 들어, 실내에서만 사용가능한 서빙용 로봇본체가 배송용 보조주행체에 탑승하여 활용되는 경우, 실내에서만 서빙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정으로 음식을 배달하고, 배달용기를 수거하며, 또한 실외 테이블에도 음식을 서빙할 수 있으므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erving robot body that can only be used indoors is used by riding on an auxiliary delivery vehicle, it is not only possible to serve indoors, but also delivers food to homes, collects delivery containers, and also serves outdoor tables. Since food can be served, the service area that can be performed can be expanded.
또한, 본 발명의 자율주행장치는 주행환경이 달라지더라도 자율주행로봇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율주행로봇의 개수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자율주행로봇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lf-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replace the self-driving robot itself even if the driving environment changes, the number of self-driving robo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self-driving robot can be reduced.
또한 보조주행체를 합체하여 다양한 작업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가된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running body can be combined and used for various tasks,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장치가 보조주행체에 탑승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장치가 보조주행체에 탑승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장치게 보조주행장치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장치게 보조주행장치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arded on an auxiliary vehicl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arded on an auxiliary vehicle.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n auxiliary driving devic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from an auxili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nfigurations are not necessarily un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ombin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도 1은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1)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1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1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율주행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먼저, 본 발명의 자율주행장치(1)는 로봇본체(2)와 보조주행체(3)로 구성되어, 상기 로봇본체(2)가 상기 보조주행체(3) 상에 탑승하여 주행할 수 있다.First,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로봇본체(2)는 스스로 주변을 살피고 장애물을 감지하면서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찾아 이동하는 자율주행로봇으로, 상기 로봇본체(2)는 용도에 따라 서빙용, 가정용, 안내용, 회사용 로봇본체 등이 있다.The
상기 로봇본체(2)는 구동부(21), 통신부(22), 센서부(23), 제어부(24), 및 충전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구동부(21)는 자율주행 로봇본체(2)를 구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체바퀴, 구동모터, 구동조향장치를 포함한다.The
상기 구동부(21)는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본체바퀴(211)가 회전하면서 로봇본체(2)가 주행되며, 상기 구동조향장치에 의해 자율주행 로봇본체(2)의 진행방향이 결정된다. In the
통신부(22)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보조주행체(3)와 통신한다.The
상기 통신은 도킹연결을 통해 통신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예: wi??fi),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및 적외선 통신), 및 이동 통신 등의 통신 기술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is communicated through a docking connection, or is implemented to communicat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for example, wireless Internet (eg, wi??fi), short-range communication (eg, Bluetooth, ZigBee, and infrared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이외에도 상기 통신부(22)는 외부 기기, 서버, 공유기 등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센서부(23)는 보조주행체(3)의 근접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The
상기 센서부(23)는, 구체적으로, 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는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레이다는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다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신호를 이용하여, 적외선센서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보조주행체(3)의 근접거리나 장애물 등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mera uses an image, the radar uses radio waves, the lidar uses laser light, the ultrasonic sensor uses an ultrasonic signal, and the infrared sensor uses an infrared signal (3) Proximity or obstacles can be detected.
상기 센서부(23)의 구성은 로봇본체(2)의 주행하는 데에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주행에 필요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정보는 제어부(24)에 제공되어 자율주행 로봇본체(2)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제어부(24)는 로봇본체(2) 또는 보조주행체(3)의 제어권한을 갖고, 로봇본체(2) 또는 보조주행체(3)의 제어를 수행한다.The
구체적으로, 보조주행체(3)의 제어권한은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안전하게 안착되었을 때 생성되고,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서 하차하여 보조주행체(3)가 안전한 위치(예를 들어, 보조주행체(3)가 습기 등에 의하여 단락되지 않을 위치 또는 사용자 지정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소멸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auxiliary running
제어부(24)의 보조주행체(3)의 제어권한이 생성되고 소멸되는 것은, 서술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control authority of the
충전부(25)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로봇본체(2) 또는 보조주행체(3)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상기 충전부(25)는 보조주행체(3)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충전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재충전하여 사용한다.The
보조주행체(3)는 상기 로봇본체(2)와 합체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로봇본체(2)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The auxiliary running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안착되면, 보조주행체(3)는 로봇본체(2)와의 통신을 연결하여 로봇본체(2)의 의해 자율주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보조주행체(3)는 주행환경에 따라, 실내용 보조주행체와, 실외용 보조주행체로 나뉘며, 상기 실외용 보조주행체로는 배송용, 농업용, 산악용, 아스팔트용, 빙판길용, 경사용 보조주행체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running
보조주행체(3)는 보조구동부(31), 보조센서부(32), 안착부(33), 보조통신부, 보조제어부(35), 및 보조충전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보조구동부(31)는 보조주행체(3)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보조주행바퀴, 모터, 조향장치를 포함한다.The
상기 보조구동부(31)는 보조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어, 모터와 연결된 보조주행바퀴(311)가 회전하면서 보조주행체(3)가 주행하며, 또한 조향장치에 의해 보조주행체(3)의 진행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In the
상기 보조주행바퀴(311)는 로봇본체(2)가 주행할 수 없는 실외 주행환경에서도 주행할 수 있도록, 본체바퀴(211)에 비하여 크고 강하게 설계된다.The auxiliary
상기 보조주행바퀴(311)의 형태는 바퀴의 형태일 수도 있고, 무한궤도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다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바퀴 형태의 보조주행바퀴(311)는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할 수 있고, 무한궤도(예를 들어, 벨트형태)를 이용한 보조주행바퀴(311)는 지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으므로 험난한 지형이나 사막과 같은 환경에서 주행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다리를 이용한 보조주행바퀴(311)는 거친 지형이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율주행장치(1)에 적용되는 보조주행체(3)는 그 주행환경에 따라 보조주행바퀴(311)의 크기와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As such, in the
이에 따라 로봇본체(2) 단독으로는 주행할 수 없는 실외, 예를 들어, 계단, 경사, 빙판, 산길, 논밭, 아스팔트 등을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주행체(3)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고, 자동 선택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보조센서부(32)는 로봇본체(2)의 근접거리, 로봇본체(2)의 안착정보, 및 보조주행체(3)의 환경정보를 감지한다. The
상기 보조센서부(32)는, 구체적으로, 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안착감지센서, 습기센서, 또는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상기 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는 로봇본체(2)에 대한 근접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카메라는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레이다는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다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신호를 이용하여, 적외선센서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로봇본체(2)에 대한 근접거리를 감지한다.The camera, radar, lidar, ultrasonic sensor, and infrared sensor detect proximity to the
또한 상기 안착감지센서는 보조주행체(3)의 결합플레이트 상면에 로봇본체(2)가 안전하게 안착되었는지 감지한다.In addition, the seat detection sensor detects whether the
또한 상기 습기센서와 온도센서는 보조주행체(3)의 환경정보(주변의 습도와 온도)를 감지하여, 보조주행체(3)가 안전한 위치(예를 들어, 보조주행체(3)가 습기 등에 의하여 단락되지 않을 위치 또는 사용자 지정 위치)에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isture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 environmental information (surrounding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상기 센서부의 구성은 보조주행체(3)의 주행을 제어하는 데에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상기 보조센서부(32)는 주행에 필요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정보는 보조제어부(35)에 제공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unit can of course also be used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안착부(33)는 탑승판(331)과 탑승플레이트(332)로 구성된다. The seating
상기 탑승판(331)은 평상시에 인입된 형태에 있다가,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탑승하기 위해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했을 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판(331)의 표면은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탑승플레이트(332)는 보조주행체(3)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탑승플레이트(332)에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탑승된 로봇본체(2)의 아래쪽 부분이 상기 안착홈(미도시)에 삽입고정되어 주행 중에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미도시)에는 본체와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신호접속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체에도 상기 신호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탑승플레이트(332)에는 보조주행체(3)에 로봇본체(2)가 탑승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로봇본체(2)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보조통신부(34)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로봇본체(2)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상기 통신은 도킹연결을 통해 통신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예: wi??fi),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및 적외선 통신), 및 이동 통신 등의 통신 기술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ay be communicated through a docking connection or implemented to communicat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for example, wireless Internet (eg, wi? and infrared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이외에도 상기 보조통신부(34)는 외부 기기, 서버, 공유기 등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보조제어부(35)는 상기 보조센서부(32)의 감지결과에 기반하여, 보조주행체(3)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The
또한 상기 보조제어부(35)는 상기 보조통신부(34)를 통해, 로봇본체(2)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 받아 보조주행체(3)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보조제어부(35)는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탑승하고자 하는 경우, 보조센서부(32)에서 감지된 로봇본체(2)의 근접거리에 기반하여, 근접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판단하고, 근접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인 경우, 보조주행체(3)의 탑승판(331)을 인출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보조제어부(35)는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 탑승한 경우, 보조센서부(32)에서 감지된 로봇본체(2)의 안착정보에 따라,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올바르게 안착되었는지 판단하여, 올바르게 안착된 경우에 탑승판(331)을 본래의 상태로 인입시키고 로봇본체(2)에 보조주행체(3)의 제어권한을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보조제어부(35)는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서 하차한 경우, 보조센서부(32)에서 감지된 보조주행체(3)의 환경정보(예를 들어, 온도정보, 습도정보,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보조주행체(3)가 안전한 위치에 이동되었는지 판단하고, 안전한 위치로 이동한 경우, 로봇본체(2)의 보조주행체(3) 제어권한을 소멸한다.In addition, the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보조충전부(36)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보조주행체(3)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The
한편,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탑승된 경우, 보조주행체(3)는 자체 배터리만을 사용하여 보조주행체(3)가 구동될 수도 있고, 또한 로봇본체(2)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보조주행체(3)가 구동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보조충전부(36)는 보조주행체(3)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충전단자를 통해 충전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24)가 로봇본체(2)를 보조주행체(3)에 탑승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a process in which the
먼저, 다수의 보조주행체(3) 중 로봇본체(2)가 탑승될 보조주행체(3)가 선택된다. 이 때, 보조주행체(3)의 선택은 주행할 환경정보 및 보조주행체(3)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자동 선택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First, among the plurality of
탑승할 보조주행체(3)로는, 구체적으로, 실내용 보조주행체와, 실외용 보조주행체가 있으며, 실외용 보조주행체로는 배송용 보조주행체, 농업용 보조주행체, 산악용 보조주행체, 도로주행용 보조주행체, 빙판길용 보조주행체, 경사용 보조주행체 등이 있다. As the
보조주행체(3)가 선택되면, 로봇본체(2)의 제어부(24)는 선택된 보조주행체(3)로 이동한다. 이 때, 로봇본체(2)와 보조주행체(3)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보조주행체(3)의 보조제어부(35)는 보조센서부(32)에서 감지된 로봇본체(2)의 근접 거리 정보에 기반하여(S41), 근접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판단하고(S42), 근접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보조주행체(3)의 탑승판(331)을 인출한다(S43).When the
탑승판(331)이 인출되면, 로봇본체(2)의 제어부(24)는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보조주행체(3)의 거리정보에 기반하여, 도 3(b) 내지 도 3(c)와 같이, 보조주행체(3)의 탑승판(331)을 따라 보조주행체(3)의 안착부(33)에 로봇본체(2)가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로봇본체(2)를 정밀하게 제어한다(S44).When the
이후,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안전하게 안착되면, 보조주행체(3)의 보조제어부(35)는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의 본체안착부(33)에 올바르게 안착하였는지를 판단하고(S45), 올바르게 안착된 경우, 탑승판(331)을 본래의 상태로 인입시킨 후(S46), 로봇본체(2)에 보조제어부(35)의 제어권한이 생성된다(S47). 이로써, 로봇 본체는 보조주행체(3)의 전반적인 제어권한(동작제어권한 및 주행제어권한)을 가지게 되어 특정 실외환경에서의 주행이 가능해진다.Thereafter, when th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실내에서 주행하도록 설계된 서빙용 로봇본체(2)가 실외 주행을 하고자 하는 경우, 로봇본체(2)의 제어부(24)는 실외용 보조주행체, 그 중에서도 배송용 보조주행체 중 가장 근접한 보조주행체가 선택되어, 선택된 보조주행체의 근접거리를 감지하고, 근접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인 경우 탑승판(331)을 인출시켜,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탑승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올바르게 안착되면, 보조주행체(3)의 제어권한을 서빙용 로봇본체(2)에게 넘기어 줌으로써, 보조주행체(3)에 탑승된 서빙용 로봇본체(2)가 실외주행에 활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ing
서빙용 로봇본체(2)가 실외주행에 활용되는 것이라 함은, 구체적으로, 자율주행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 탑승되어 가정으로 음식을 배달할 수 있고, 또한 배달용기를 수거할 수 있으며, 또한 실외 테이블로 음식을 서빙하는 등 실외환경에서의 작업 또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자율주행장치(1)의 활용성이 확대됨을 뜻한다.That the serving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자율주행장치는 주행 환경에 맞춰 로봇본체(2)를 보조주행체(3)에 탑승시켜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riding the
이하, 도 5 내지 도 6에서는, 로봇본체(2)의 제어부(24)가 로봇본체(2)를 보조주행체(3)에서 하차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in FIGS. 5 and 6,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에서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 로봇본체(2)의 제어부(24)는 도 5(a) 내지 5(c)와 같이, 보조주행체(3)의 탑승판(331)을 인출하여(S61) 로봇본체(2)를 보조주행체(3)의 탑승판(331)을 따라 보조주행체(3)에서 하차시킨 후(S62) 탑승판(331)을 인입시킨다.When the
이후, 로봇본체(2)가 보조주행체(3)로부터 하차되어 도 5(d)와 같이 안전한 위치로 이동되면(S63), 보조주행체(3)가 안전한 위치(예를 들어, 보조주행체(3)가 습기 등에 의하여 단락되지 않을 위치 또는 사용자 지정 위치)에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고(S64), 안전한 위치에 하차된 경우, 로봇본체(2)가 가지고 있던 보조주행체(3)의 제어권한(동작제어권한 및 주행제어권한)을 소멸시킨다(S65).Thereafter, when the
이로써, 보조주행체(3)에서 하차된 로봇 본체는 또 다른 보조주행체(3)로의 탑승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the robot body that has been disembarked from the
본 발명에서는, 실외용 보조주행체에 서빙용 로봇본체를 합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적에 따라, 다양한 주행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serving robot body with the outdoor auxiliary running body is cit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sed in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for various purposes.
또 다른 예시로, 가정용 로봇본체의 경우, 가정 내에서 청소, 방범 등의 업무만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이러한 가정용 로봇본체를 실외용 보조주행체에 탑승하여 사용할 경우, 가정 내 업무뿐만이 아니라, 마트심부름, 아동 픽업, 응급상황 대처, 운동 동행, 음식 픽업 등 가정에서만 사용되던 자율주행로봇을 더욱 다양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household robot body, it is designed to only perform tasks such as cleaning and crime prevention in the home, but when such a household robot body is used by riding on an outdoor auxiliary running body, not only domestic work, but also mart errands Self-driving robots, which were only used at home, can be used for a wider variety of tasks, such as picking up children, coping with emergencies, exercising, and picking up food.
또한 로봇본체를 도시에서 활용하는 경우, 로봇본체를 도로 환경을 주행할 수 있는 보조주행체와 합체함으로써, 로봇본체가 일반 도로를 달리거나, 택배나 식료품 심부름을 하거나, 또는 장애인의 휠체어를 끄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bot body is used in the city, by integrating the robot body with an auxiliary running body capable of driving in the road environment, the robot body runs on general roads, runs parcels or grocery errands, or handles the wheelchair of the disabled. can be performed.
또한 로봇본체를 회사 업무에서 사용하는 경우, 회사 업무에 활용될 수 있는 보조주행체와 합체함으로써, 재택근무자의 출퇴근 동선을 입력받아 출퇴근 동선에 맞게 회사에 필요한 서류 등을 보내고 받거나, 또는 화상회의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bot body is used for company work, by integrating with an auxiliary driving body that can be used for company work, it receives input from telecommuters' commuting routes and sends and receives documents necessary for the company according to the commuting route, or for video conferences. can get you involved.
또한 로봇본체를 농촌에서 사용하는 경우, 로봇 본체를 논밭 주행이 가능한 보조주행체에 탑승시켜 사용함으로써, 농약을 살포하거나 제초 작업을 하는 등의 농사 업무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bot body is used in rural areas, the robot body can be used for agricultural tasks such as spraying pesticides or weeding by using the robot body on an auxiliary running body capable of driving in a fiel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는 로봇본체만 단독으로 주행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자율주행 로봇본체를 보조주행체에 합체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자율주행장치로서, 보조주행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어 활용성이 확대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way that only the robot body alone drives, or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body may be combined with the auxiliary running body. As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it can be used in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auxiliary running body, so its usability is expanded.
예를 들어, 실내에서만 사용가능한 서빙용 로봇본체가 배송용 보조주행체에 탑승하여 활용되는 경우, 실내에서만 서빙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정으로 음식을 배달하고, 배달용기를 수거하며, 또한 실외 테이블에도 음식을 서빙할 수 있으므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erving robot body that can only be used indoors is used by riding on an auxiliary delivery vehicle, it is not only possible to serve indoors, but also delivers food to homes, collects delivery containers, and also serves outdoor tables. Since food can be served, the service area that can be performed can be expanded.
또한, 본 발명의 자율주행장치는 주행환경이 달라지더라도 자율주행로봇 자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율주행로봇의 개수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자율주행로봇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lf-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replace the self-driving robot itself even if the driving environment changes, the number of self-driving robo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self-driving robot can be reduced.
또한 보조주행체를 합체하여 다양한 작업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가된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running body can be combined and used for various tasks,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자율주행장치
2: 로봇본체
3: 보조주행체
21: 구동부
22: 통신부
23: 센서부
24: 제어부
25: 충전부
31: 보조구동부
32: 보조센서부
33: 안착부
34: 보조통신부
35: 보조제어부
36: 보조충전부
211: 본체바퀴
311: 보조주행바퀴
331: 탑승판
332: 탑승플레이트1: autonomous driving device
2: Robot body
3: auxiliary running body
21: driving unit
22: Ministry of Communications
23: sensor unit
24: control unit
25: charging part
31: auxiliary drive unit
32: auxiliary sensor unit
33: seating part
34: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35: auxiliary control unit
36: auxiliary charging unit
211: main body wheel
311: auxiliary driving wheel
331 boarding board
332: boarding plate
Claims (7)
로봇본체 단독으로 주행하거나 또는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에 탑승하여 주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로봇본체는,
로봇본체 또는 보조주행체의 제어권한을 가지고, 로봇본체 또는 보조주행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주행체는,
탑승판과 탑승플레이트로 구성된 안착부와,
상기 로봇본체와의 근접거리, 상기 안착부에 대한 로봇본체의 안착정보, 또는 상기 보조주행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보조센서부와,
상기 보조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보조주행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보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
It consists of a robot body and an auxiliary running body,
The robot can drive alone, or
A device in which the robot body rides on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and travels,
The robot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that has control authority of the robot main body or auxiliary running body and performs control of the robot main body or auxiliary running body,
The auxiliary running body,
A seating portion composed of a boarding plate and a boarding plate;
An auxiliary sensor unit for detecting a proximity distance to the robot body, seating information of the robot body with respect to the seating unit, 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uxiliary sensor unit,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n auxiliary control unit that performs control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상기 보조주행체의 탑승판은,
상기 보조센서부에서 감지된 로봇본체와의 근접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근접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탑승판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arding board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Based on the proximity distance to the robot body detected by the auxiliary sensor unit,
When the proximity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merging auxiliary running bod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arding board is withdrawn.
상기 제어부의 보조주행체 제어권한은,
상기 보조센서부에서 감지된 로봇본체의 안착정보에 기반하여,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에 안전하게 안착한 경우,
로봇본체의 보조주행체 제어권한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running body control authority of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seating information of the robot body detected by the auxiliary sensor unit,
When the robot body is safely seated on the auxiliary running body,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running body control authority of the robot body is generated.
상기 제어부의 보조주행체 제어권한은,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에서 하차하여 안전한 위치로 이동된 경우, 로봇본체의 보조주행체 제어권한이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running body control authority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robot body gets off the auxiliary running body and is moved to a safe location,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of the robot body is extinguished.
상기 안전한 위치는,
상기 보조센서부에서 감지된 보조주행체의 환경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로봇본체에서 하차한 보조주행체의 주변 습도가 일정 습도 이하인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afe location is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detected by the auxiliary sensor unit,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bient humidity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getting off from the robot body is one of a position specified by a user or a position designated by a user.
로봇본체 단독으로 주행하거나 또는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에 탑승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장치에 의한 자율주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본체의 근접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근접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보조주행체의 탑승판을 인출하는 단계;
상기 인출된 탑승판을 따라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의 안착부에 안착하는 단계;
로봇본체가 안착부에 올바르게 안착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로봇본체가 올바르게 안착된 경우, 로봇본체에 보조주행체의 제어권한이 생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방법.
It consists of a robot body and an auxiliary running body,
It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 method by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robot body alone travels or the robot body rides on an auxiliary traveling body,
detecting the proximity distance of the robot body;
withdrawing the boarding board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when the proximity dist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Seating the robot body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along the withdrawn boarding board;
Determining whether the robot body is properly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When the robot body is properly seated, generating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to the robot body;
An autonomous driving method capable of merging auxiliary running bodies comprising a.
로봇본체 단독으로 주행하거나 또는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에 탑승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장치에 의한 자율주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본체가 보조주행체에서 하차하는 단계;
상기 하차된 보조주행체가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보조주행체가 안전한 위치로 이동되었는지 보조주행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주행체의 환경정보에 기반하여, 보조주행체가 안전한 위치로 이동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로봇본체의 보조주행체 제어권한이 소멸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주행체의 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방법.It consists of a robot body and an auxiliary running body,
It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 method by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robot body alone travels or the robot body rides on an auxiliary traveling body,
step of the robot body getting of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moving the lowered auxiliary running body to a safe position;
det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running body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running object has moved to a safe position; and
terminating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of the robot bod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has been moved to a safe position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An autonomous driving method capable of combining auxiliary running bodies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9960A KR102800783B1 (en) | 2021-11-19 | 2021-11-19 | Autonomous driv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9960A KR102800783B1 (en) | 2021-11-19 | 2021-11-19 | Autonomous driv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3496A true KR20230073496A (en) | 2023-05-26 |
KR102800783B1 KR102800783B1 (en) | 2025-04-24 |
Family
ID=8653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9960A Active KR102800783B1 (en) | 2021-11-19 | 2021-11-19 | Autonomous driv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80078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13188A (en) * | 2011-04-04 | 2012-10-1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sub-robot for corner cleaning |
KR20140120437A (en) * | 2013-04-03 | 2014-10-14 |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 Swarm robot cleaner and thereof control method |
KR20190073140A (en) * | 2017-12-18 | 2019-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KR20200097474A (en) * | 2019-02-08 | 2020-08-19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Unmanned delivery rob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2021
- 2021-11-19 KR KR1020210159960A patent/KR1028007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13188A (en) * | 2011-04-04 | 2012-10-1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sub-robot for corner cleaning |
KR20140120437A (en) * | 2013-04-03 | 2014-10-14 |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 Swarm robot cleaner and thereof control method |
KR20190073140A (en) * | 2017-12-18 | 2019-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KR20200097474A (en) * | 2019-02-08 | 2020-08-19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Unmanned delivery rob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800783B1 (en) | 2025-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82350B2 (en) | Robot system | |
CN109703607B (en) | Intelligent luggage van | |
US9395723B2 (en) | Self-propelled robot assistant | |
JP7169593B2 (en) | Smart self-driving system with lateral following and obstacle avoidance | |
US11983022B2 (en) | Travel route creation system | |
CN208255717U (en) | Merchandising machine people | |
US2011015333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portable landmarks | |
US20040093650A1 (en) | Robot system | |
WO2021171291A1 (en) | Self-navigating guide robot | |
Nakajima | Evaluation of the mobility performance of a personal mobility vehicle for steps | |
Andersen et al. | Autonomous personal mobility scooter for multi-class mobility-on-demand service | |
CN107877493A (en) | Robot system and its application process are assisted in a kind of the elderly's indoor activity in | |
KR101979846B1 (en) | Intelligent line tracing moving system and walking robot | |
US20230286565A1 (en) | Autonomous Utility Cart and Robotic Cart Platform | |
KR20230073496A (en) | Autonomous driving device capable of combination of auxiliary vehicles | |
CN108858226B (en) | Intelligent tableware recycling robot with multi-sensor integrated SLAM technology | |
Hersh et al. | A Robotic Guide for Blind People Part 2: Gender and National Analysis of a Multi‐National Survey and the Application of the Survey Results and the Cat Model to Framing Robot Design Specifications | |
EP4577888A1 (en) | Autonomous utility cart and robotic cart platform | |
CN110674762B (en) | Method for detecting human body in automatic doll walking process | |
CN111679694A (en) | A self-following car and its following method | |
CN106181960A (en) | A kind of anthropomorphic robot | |
CN109778621B (en) | Mobile platform for transportation system and transportation system | |
Mori et al. | The matching fund project for practical use of robotic travel aid for the visually impaired | |
US20250216863A1 (en) | Autonomous Advertising Cart | |
CN120167737A (en) | Box with mechanical leg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