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463A - Multi-level Eject Pin - Google Patents
Multi-level Eject P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3463A KR20230073463A KR1020210159908A KR20210159908A KR20230073463A KR 20230073463 A KR20230073463 A KR 20230073463A KR 1020210159908 A KR1020210159908 A KR 1020210159908A KR 20210159908 A KR20210159908 A KR 20210159908A KR 20230073463 A KR20230073463 A KR 202300734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uck
- members
- die
- eject pin
- chuck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81—Details of chemical or physical process used for separating the auxiliary support from a device or wafer
- H01L2221/68386—Separation by peeling
- H01L2221/6839—Separation by peeling using peeling wedge or knife or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다수 단의 이젝트핀들의 단차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멀티-레벨 이젝트핀이 제공된다. 이젝트핀은, 하부가 개구된 상부 고정캡 내에 수평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며, 다이싱 필름의 배면과 접촉하는 상부 부분 및 상기 상부부분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척부재;상기 복수의 척부재의 상부 부분들에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는 탄성 부재; 상기 상부 고정캡의 하면에 상기 탄성 부재와 대응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하여 압축하는 압축 부재; 상기 각각의 척부재의 하부 부분에 접촉 배치되고, 접촉하는 척부재보다 아래 쪽에 위치되는 척부재의 하부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접촉하는 척부재를 승강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샤프트; 상기 승강 샤프트의 하단에 각각의 승강 샤프트마다 개별적으로 접촉 배치되는 복수의 캠부재; 상기 복수의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모터; 및 초기 이젝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A multi-level eject pin capable of individually and easily adjusting the height difference of eject pins in multiple stages is provided. The eject pin is horizontally overlapped in an upper fixing cap with an open lower por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portions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cing film and a lower portion formed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rtion. Chuck member; Elastic members each disposed in plurality on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huck members; a compression member fixedly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elastic memb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cap and compressed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an elevation shaft disposed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chuck members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pass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chuck member positioned lower than the chuck member in contact with the chuck member to elevate the chuck member in contact with the chuck member; a plurality of cam members individually contacting each of the elevating shafts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a first motor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cam members; and an actuator capable of adjusting an initial ejection heigh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인쇄회로기판 또는 리드 프레임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다이들을 본딩하기 위하여 다이싱 필름으로부터 상기 다이들을 분리하기 위한 다이 이젝트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단의 이젝트핀들의 단차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멀티-레벨 이젝트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 eject pin for separating dies from a dicing film in order to bond the dies onto a substrate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lead frame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and more particularly, to multiple stages of eject pins. It relates to a multi-level eject pin that can easily adjust the step of each individually.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들은 일련의 제조 공정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반도체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형성된다. 반도체 소자들이 형성된 웨이퍼는 다이싱 공정을 통해 복수의 다이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다이들은 본딩 공정을 통해 기판 상에 본딩된다. In general, semiconductor devices are formed on a silicon wafer used as a semiconductor substrate by repeatedly performing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A wafer on which semiconductor devices are forme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es through a dicing process, and the dies are bonded to a substrate through a bonding process.
다이 본딩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다이들로 분할된 웨이퍼로부터 다이들을 픽업하여 분리시키기 위한 픽업 모듈과, 픽업된 다이를 기판 상에 부착시키기 위한 본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픽업 모듈은 웨이퍼가 부착된 웨이퍼 링을 지지하는 스테이지 유닛과, 스테이지 유닛에 지지된 웨이퍼로부터 선택적으로 다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젝트핀 및 웨이퍼로부터 다이를 픽업하여 기판 상에 부착시키기 위한 픽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die bonding process may include a pick-up module for picking up and separating dies from a wafer divided into dies, and a bonding module for attaching the picked-up dies on a substrate. Among them, the pickup module includes a stage unit supporting a wafer ring to which a wafer is attached, an eject pin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to selectively separate a die from a wafer supported by the stage unit, and a substrate by picking up a die from the wafer. It may include a pickup unit for attaching on top.
일반적으로, 이젝트핀은 다이가 부착된 다이싱 필름으로부터 다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다이를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리는 척부재와 상기 척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척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In general, in order to separate the die from the dicing film to which the die is attached, the eject pin includes a chuck member for vertically pushing the di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huck member, and a driving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chuck member. include
최근 웨이퍼 상에 형성되는 다이의 사이즈가 매우 다양해지고, 두께 또한 점차 박형으로 얇아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다이 이젝팅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sizes of dies formed on wafers become very diverse and the thicknesses gradually become thinner, a new type of die ejection method and apparatus are required to cope with this.
예를 들면, 수십 ㎛ 정도의 두께를 갖고 대략 7 mm×7 mm 이상의 크기를 갖는 대형 다이의 경우, 다이와 다이싱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다이 이젝팅 과정에서 다이가 손상되거나 또는 픽업 유닛에 의해 픽업되지 않는 픽업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die having a thickness of several tens of μm and a size of about 7 mm × 7 mm or more, the die is damaged or picked up during the die ejection process becau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die and the dicing film is relatively large. A pick-up defect that is not picked up by the unit may occur.
또한, 척부재의 하부에는 플레이트 형태, 예를 들면, 원형 디스크 형태를 갖는 서포트 부재들이 형성될 수 있고, 이들 서포트 부재들 사이에는 탄성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들은 다수 단으로 구성된 척부재들이 상승되는 경우,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서대로 상승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즉, 척부재들 중 최 외곽 척부재가 가장 먼저 다이를 상승시키고, 이어서 순서대로 내측의 척부재가 상승함으로써 다이를 이젝트 하는 것이다.In addition, support members having a plate shape, for example, a circular disk shape may be formed under the chuck member, and elastic member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s. These elastic members may be used to be sequentially rai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when the chuck members composed of multiple stages are lifted. That is, the outermost chuck member among the chuck members first raises the die, and then the die is ejected by sequentially ascending the inner chuck member.
그러나, 이와 같이 외측 척부재로부터 내측 척부재 방향으로 상승이 진행되는 경우 다이가 과도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상승 과정에서 다이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However, when lifting proceeds from the outer chuck member toward the inner chuck member, the die may be excessively raised, and the die may be damaged during the lifting process.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41675호는, 다이싱 필름 상의 다이를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터 부재와, 이젝터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젝터 부재와 마주하는 상부면을 갖는 구동 헤드, 이젝터 부재의 하부에 장착되며 구동헤드의 상부면 상에 놓여지는 캠 팔로워를 포함하는 다이 이젝팅 장치를 개시한다.As a prior art,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41675 discloses an ejector member for separating dies on a dicing film, a drive head disposed below the ejector memb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acing the ejector member, and the ejector member. Disclosed is a die ejecting device including a cam follower mounted on a lower side of a drive head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a driving head.
이 장치에서 구동헤드는, 그의 상부면들 상에 놓여지는 캠 팔로워들이 구동헤드가 회전함에 따라서 구동헤드 상의 경사면들에 의하여 이젝터 부재들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동헤드 상의 경사면들은 구동헤드 상에 고정적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이젝터 부재의 승강높이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구동헤드 전체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In this device, the drive head is configured such that cam followers resting on its upper surfaces raise ejector members by inclined surfaces on the drive head as the drive head rotates. Since the inclined surfaces on the drive head are fixedly formed on the drive head,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elevation height of the ejector member, and the entire drive head must be replaced.
다른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10-2244580호는 텔레스코프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젝터 부재들과, 이젝터 부재들의 하단 부위에 형성되는 플랜지들과, 플랜지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들과, 이젝터 부재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이젝터 구동부, 플랜지들을 관통하는 연결핀, 최하단 플랜지 아래에 배치되며 플랜지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헤드등을 구비하는 다이 이젝터를 개시한다.As another prior art, Patent No. 10-2244580 discloses a plurality of ejector members disposed in a telescopic form, flange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ejector members,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disposed between the flanges; Disclosed is a die ejector having an ejector driver for elevating ejector members, a connecting pin passing through flanges, and a stopper head disposed below a lowermost flange and limiting downward movement of the flange.
이 장치에 따르면, 스토퍼 헤드가 이젝터 부재들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이의 크기에 따라 이젝터 부재들의 상승 높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젝터 부재들의 단차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According to this device, it is explained that the stopper head can limit the descending height of the ejector members, and accordingly, the ascending height of the ejector members can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e, but in practice, it is easy to individ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ejector members.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reconcil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KR 10-2020-0141675 A (Patent Document 1) KR 10-2020-0141675 A
(특허문헌 2) KR 10-2244580 B1 (Patent Document 2) KR 10-2244580 B1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 또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다이를 안전하게 픽업할 수 있도록 다수 단의 이젝트핀들의 단차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다이가 손상될 염려가 없고 다이싱 필름으로부터의 픽업에러가 없는 멀티-레벨 이젝트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r drawback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individually adjust the steps of eject pins of multiple stages so that dies of various sizes can be safely picked up, and the dies are damag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level eject pin having no fear of being damaged and no pick-up error from a dicing film.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하부가 개구된 상부 고정캡 내에 수평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며, 다이싱 필름의 배면과 접촉하는 상부 부분 및 상기 상부부분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척부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is horizontally overlapped in the upper fixing cap with an open bottom, and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cing film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rtion. A plurality of chuck members each including a lower portion to be;
상기 복수의 척부재의 상부 부분들에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는 탄성 부재;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disposed on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huck members, respectively;
상기 상부 고정캡의 하면에 상기 탄성 부재와 대응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하여 압축하는 압축 부재; a compression member fixedly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elastic memb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cap and compressed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상기 각각의 척부재의 하부 부분에 접촉 배치되고, 접촉하는 척부재보다 아래 쪽에 위치되는 척부재의 하부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접촉하는 척부재를 승강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샤프트;an elevation shaft disposed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chuck members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pass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chuck member positioned lower than the chuck member in contact with the chuck member to elevate the chuck member in contact with the chuck member;
상기 승강 샤프트의 하단에 각각의 승강 샤프트마다 개별적으로 접촉 배치되는 복수의 캠부재; a plurality of cam members individually contacting each of the elevating shafts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상기 복수의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모터; 및a first motor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cam members; and
초기 이젝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이젝트핀이 제공된다.An actuator capable of adjusting the initial ejection h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ulti-level ejection pin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기 이젝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ctuator capable of adjusting the initial ejection height may further include a cam member and a second motor for driving the cam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척부재들은 그의 상부 둘레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chuck memb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ir upper circumferential edges are chamfer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발명의 멀티-레벨 이젝트핀을 이용한 다이 이젝트 방법으로서,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ie eject method using the multi-level eject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멀티-레벨 이젝트핀을 초기 이젝트 높이까지 상승하는 단계;raising the multi-level eject pin to an initial eject height;
상기 다이싱 필름의 배면과 복수의 척부재를 접촉시키는 단계;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cing film with a plurality of chuck members;
모든 척부재들을 상승시켜 필름 앳지가 다이로부터 분리되는 단계;elevating all the chuck members so that the film edge is separated from the die;
최외곽에 위치한 척부재가 하강하는 단계;descending the outermost chuck member;
하강된 최외곽의 척부재를 제외하고 다른 척부재들을 상승하는 단계; 및elevating other chuck members except for the lowered outermost chuck member; and
상승한 척부재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척부재로부터 최내측 척부재까지 차례로 하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이 이젝트 방법이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die eject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sequentially descending from the outermost chuck member among the raised chuck members to the innermost chuck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발명의 멀티-레벨 이젝트핀에 따르면, 다이를 상승시키는 복수의 척부재가 캠부재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 샤프트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승강되므로, 척부재의 승강 단차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다이를 안전하게 픽업할 수 있도록 척부재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다이가 손상될 염려가 없고 다이싱 필름으로부터의 픽업에러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multi-level eject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chuck members for lifting the die are individually rais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shaft tha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cam member, the lifting step of the chuck member can be easily adjusted individually. In addition, the chuck members can be individually and easily adjusted so that dies of various sizes can be safely picked up, and there is no fear of damaging the dies and no pick-up error from the dicing film.
도 1은, 일반적인 다이 이젝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의 측면사시도, 도 2b는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M-M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J-J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d는 도 3a의 K-K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와 압축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의 정면도, 도 4b는 우측면도, 도 4c는 배면도, 도 4d는 좌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에 있어서 캠부재와 캠 구동용 서보모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에 있어서 다이 이젝트핀 승강용 캠부재와 캠 구동용 제 2 서보모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을 이용하여 다이를 이젝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die ejecting device.
2A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drawing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lan view, respectively.
3A is a plan view of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MM in FIG. 3A, FIG. 3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JJ in FIG. 3A, and FIG. 3D i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KK in FIG. 3A.
Fig. 4A is a front view of a drawing showing configurations of an elastic member and a compression member in a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right side view, Fig. 4C is a rear view, and Fig. 4D is a left side view. represent each.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 member and a servo motor for driving a cam are assembled in a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 member for lifting the die eject pin and a second servo motor for driving the cam are assembled in the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ejecting a die using a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 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In the drawings, variations of the depicted shapes may be expected, eg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shown in this specificatio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a change in shape caused by manufacturing.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various elements and area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s or spacings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die e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이젝트핀(100)은 복수의 다이들(220)로 이루어진 웨이퍼(210)로부터 상기 다이들(220)을 분리하여 리드 프레임 또는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본딩하기 위한 다이 본딩 공정에서 사용된다. 상기 웨이퍼(210)는 다이싱 공정을 통하여 복수의 다이들(220)로 분할될 수 있으며, 다이싱 필름(240)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다이싱 필름(240)은 상기 웨이퍼(2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웨이퍼 링(250)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상기 웨이퍼 링(250)은 스테이지(280) 상에 배치된 클램프(260)에 의해 파지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260)는 상기 다이싱 필름(240)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수직 하방으로 상기 웨이퍼 링(25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다이싱 필름(240)에 부착된 다이들(22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될 수 있다.The
상기 스테이지(280)의 하부에는 상기 다이들(220)을 상기 다이싱 필름(24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이들(220)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본원발명의 멀티-레벨 이젝트핀(100)이 구비되며, 상기 스테이지(280)의 상부에는 상기 멀티-레벨 이젝트핀(100)에 의해 상승된 다이(220)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장치(300)가 구비된다. At the bottom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측면사시도, 도 2b는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M-M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J-J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d는 도 3a의 K-K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 이젝트핀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와 압축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우측면도, 도 4c는 배면도, 도 4d는 좌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2A is a side perspective view and FIG. 2B is a plan view, respectively.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lan view,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M-M in FIG. 3A, and FIG. 3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J-J in FIG. 3A , FIG. 3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K-K in FIG. 3A.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astic member and a compression member in a die eject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front view, Figure 4b is a right view, Figure 4c is a rear view, Figure 4d denotes the left side view, respectively.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이젝트핀(10)은, 상기 다이싱 필름(240)으로부터 다이들(220)을 분리시키기 위한 복수의 척부재들(13)과 상기 다이싱 필름(24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상부 고정캡(10) 및 상기 상부 고정캡(10)과 결합되는 중간 하우징(12) 및, 상기 중간 하우징(12)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상기 척부재들(13)은 일종의 텔레스코프 형태로 상부 고정캡(10)의 최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척부재(13A, 13B, 13C, 13D)로 구성되며, 척부재(13)의 수는 가변될 수 있다.The
척부재(13: 13A, 13B, 13C, 13D)는 상기 다이싱 필름(240)의 배면과 접촉되는 상부 부분 및 상기 상부 부분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The chuck members 13 (13A, 13B, 13C, 13D) include an upper part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상부 고정캡(10)은 상기 척부재(13)들이 삽입되는 개구를 하부에 가진다. 특히, 상기 상부 고정캡(10)은 상기 다이싱 필름(240)을 진공 흡착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진공 펌프, 진공 이젝터 등과 같은 진공 제공부와 연결되어 음압이 가해지는 복수의 진공홀(11)을 가질 수 있다. The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척부재(13)의 하부 부분들에 있어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척부재(13A)의 하부 부분이 최상단에 위치되고, 내측의 척부재(13B) 내지 (13D)들의 하부 부분들의 순서대로 아래쪽으로 배치된다. 3 and 4, in the lower parts of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상부 고정캡(10)과 상기 최외곽의 척부재(13A)의 하부 부분 사이에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61)가 배치되고, 상기 척부재(13B) 내지 (13D)들의 상부 부분 위에도 각각 복수 개의 탄성 부재(62) 내지 (64)가 배치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탄성 부재들(61) 내지 (64)로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척부재(13)의 갯수도 도면에는 4개인 것으로 개시되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들(61) 내지 (64)과 상기 척부재들(13) 및 상기 하부 부분들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Compression coil springs may be used as the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기술들과는 달리 척부재들의 사이에 탄성 부재가 위치되지 않는다. 척부재들의 사이에 탄성 부재가 들어가는 경우, 척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때, 탄성 부재가 압축되는 높이가 상이하게 되면 척부재들의 수평방향 정렬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member is not positioned between the chuck members unlike conventional technologies. When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chuck members and the height of the chuck member is adjusted, if the height at which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is different, a problem may occur in horizontally aligning the chuck members.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61) 내지 (64)들이 각 척부재(13A) 내지 (13D)들의 상부에 위치되며, 탄성 부재(61)는 상부 고정캡(10)의 하부와 맞닿아 압축된 상태로 구성되며, 기타 탄성 부재(62) 내지 (64)들은 상부 고정캡의 하면에서 각 탄성 부재(62) 내지 (64)들과 대응하도록 고정 설치된 압축 부재(81) 내지 (83)들이 탄성 부재(62) 내지 (64)들과 접촉하여 압축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들 압축 부재(81) 내지 (83)들은 상부 고정캡(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므로 탄성 부재(62) 내지 (64)들이 안정된 상태로 압축되고, 각각의 척부재(13A) 내지 (13D)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더라도 상호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척부재(13A) 내지 (13D)의 높이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척부재(13A) 내지 (13D)가 동시에 구동되더라도 척부재(13A) 내지 (13D)들 사이의 높이에 변화가 적고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구동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레벨 이젝트 핀(100)은, 상기 각각의 척부재(13A) 내지 (13D)의 하부 부분에 접촉 배치되고, 접촉하는 척부재보다 아래 쪽에 위치되는 척부재의 하부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접촉하는 척부재를 승강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샤프트(14A) 내지 (14D)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최외곽이자 최상단에 위치하는 척부재(13A)에 대해서는 2개의 승강 샤프트(14A),(14A)가 접촉 배치되고, 그 내측의 척부재(13B)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2개의 승강 샤프트(14B),(14B)가 접촉 배치되고, 보다 내측의 척부재(13C)에 대해서는 2개의 승강 샤프트(14C),(14C)가 접촉 배치되며, 가장 내측의 척부재(13D)에 대해서는 1개의 승강 샤프트(14D)만이 접촉 배치된다. Two elevating
상기 승강 샤프트(14A) 내지 (14D)들은 척부재(13A) 내지 (13D)의 하부 부분에 맞닿아서 후술하는 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들 척부재(13A) 내지 (13D)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elevating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승강 샤프트(14A) 내지 (14D)들과 맞닿아서 상기 척부재(13A) 내지 (13D)들을 승강시키도록 각 승강 샤프트(14A) 내지 (14D)들과 개별적으로 접촉 배치되는 캠부재(30: 30A, 30B, 30C, 30D)들이 도시된다. 3 and 5, each of the elevating
여기에서, 최외곽의 2개의 캠부재(30A)는 최외곽이자 최상단에 위치하는 척부재(13A)를 승강시키는 2개의 승강 샤프트(14A),(14A)의 하단에 배치되고, 그 내측의 2개의 캠부재(30B)는 척부재(13B)를 승강시키는 2개의 승강 샤프트(14B)의 하단에 배치되며, 다시 그 내측의 척부재(13C)를 승강시키는 2개의 승강 샤프트(14C),(14C)의 하단에는 2개의 캠부재(30C)가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최내측의 척부재(13D)를 승강시키는 1개의 승강 샤프트(14D)의 하단에는 1개의 캠부재(30D)가 배치된다.Here, the outermost two
이들 캠부재(30: 30A, 30B, 30C, 30D)들은 서보 모터인 제 1 모터(40)의 회전축에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제 1 모터(40)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캠부재(30A, 30B, 30C, 30D)들은 승강 샤프트(14A) 내지 (14D)의 승강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 승강 샤프트(14A) 내지 (14D)의 승강하는 단차 또한 제어가능하도록 캠의 둘레 형상을 형성한다. These cam members (30: 30A, 30B, 30C, 30D) are coaxially dispos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레벨 이젝트핀(100)은,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레벨 이젝트핀(100)가 다이를 다이싱 필름(240)으로부터 떼어내는 이젝팅 작용을 함에 있어서 초기 이젝팅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캠부재(70) 및 상기 캠부재(70)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모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is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벨 이젝트핀(100)의 다이 이젝팅 작용에 대해서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 die ejection action of the
다이싱 공정을 통하여 복수의 다이들(220)로 분할된 웨이퍼(210)는 다이싱 필름(240)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다이싱 필름(240)은 웨이퍼(2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웨이퍼 링(250)에 장착되며, 상기 웨이퍼 링(250)은 스테이지(280) 상에 배치된 클램프(260)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클램프(260)는 상기 다이싱 필름(240)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수직 하방으로 상기 웨이퍼 링(250)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척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진공홀(11)을 통한 음압을 가함으로써, 다이와 다이싱 필름(240)을 미리 어느 정도 분리시켜 놓은 상태로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최외곽의 척부재(13A)로부터 순차적으로 척부재들을 하강시킴으로써, 다이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시키면서 다이와 다이싱 필름을 분리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negative pressure through a plurality of vacuum holes 11 formed in a plurality of chuck members, the contact area is minimized while the die and the
먼저, 처리 예정의 픽업할 다이(220)가 멀티-레벨 이젝트핀(100)의 상부 고정캡(12)의 최상단에 위치한 척부재(13)와 정렬하고, 제 2 모터(50)를 구동함으로써 캠부재(70)를 회동시켜서 멀티-레벨 이젝트핀(100)이 그의 초기 이젝트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한다(1 단계).First, the die to be picked up 220 to be processed is aligned with the
다음으로, 다이싱 필름(240)과 멀티-레벨 이젝트핀(100)과의 정밀한 위치 교정후 도시하지 않은 진공 펌프, 진공 이젝터 등과 같은 진공 제공부에서 가해지는 음압이 상기 상부 고정캡(12)에 형성된 복수의 진공홀(11)에 인가됨으로써 다이싱 필름(240)의 배면이 복수의 척부재(13)와 접촉하게 된다(2단계). Next, after precisely positioning the
이후, 모터(40)가 회전하여 그의 회동축에 정렬된 캠부재(30A) 내지 (30D)를 회전시키면, 이들 캠부재(30A) 내지 (30D)에 접촉하는 승강 샤프트(14A) 내지 (14D) 들이 이들 캠부재(30A) 내지 (30D)의 윤곽형상에 따른 타이밍 및 높이에 맞추어 승강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척부재(13A) 내지 (13D)들도 동시에 승강을 시작한다.Then, when the
가장 먼저, 모든 척부재(13A) 내지 (13D)들이, 상부 고정캡(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동시에 소정 칫수만큼 상승한다. 복수의 척부재(13A) 내지 (13D)들은 그의 상부 둘레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되어 있으며, 최외곽의 척부재(13A)의 모따기 가공된 부분은 다이싱 필름(240)의 배면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부 고정캡(12)에 형성된 복수의 진공홀(11)에는 음압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따기 가공된 부분에 대응하는 다이싱 필름(240)의 부분부터 필름 앳지가 분리되기 시작한다(3 단계). 이와 같이, 모따기 가공 및 진공홀 등을 이용하여 다이와 필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다수 개의 척이 하나씩 하강하면서 필름을 분리시킬 때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First of all, all of the
다음으로, 최외곽에 위치한 척부재(13A),(13A)가 하강하여 시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캠부재(30A)가 회전한다. 척부재(13A),(13A)의 하강에 따라 진공홀(11)에 작용하는 음압에 의하여 다이싱 필름(240)이 다이(220)의 가장자리로부터 분리된다(4 단계).Next, the
하강된 최외곽의 척부재(13A),(13A)를 제외하고 다른 척부재(13B) 내지 (13D)가 일제히 소정 칫수만큼 상승한다. 이에 의하여 상부 고정캡(10)의 상부표면과 다이싱 필름(240)과의 사이가 좀 더 멀어지게 되고 음압의 작용에 의하여 다이싱 필름(240)이 다이(220)로부터 보다 더 벗겨지기 용이해진다(5 단계).Excluding the lowered
이와 같이, 모든 척부재들을 전체적으로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지 않고 2단계에 걸쳐서 상승하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한꺼번에 상승시키는 것이 다이싱 필름을 다이로부터 분리시킬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 기준으로 봤을 때는 유리하지만, 한꺼번에 상승시키는 경우 필름 신장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므로, 인접한 다이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ason why all the chuck members are raised in two stages without raising them to the desired height as a whole is that raising them all at onc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stress generated when separating the dicing film from the die, but raising them all at once In this case, since there is insufficient space for the film to stretch, the position of adjacent dies may be affected.
따라서,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목표로 하는 높이까지 3 단계 및 5 단계에서 두번에 걸쳐 상승시키면, 높이 대비 일부만 올린 상태에서 최외곽의 척부재(13A)를 하강시키고 나서 다시 남은 척부재(13B) 내지 (13D)들을 상승시킴으로써 필름이 신장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면서 주변 칩들의 위치이동이 적게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arget height is raised twice in steps 3 and 5, the
다음으로, 캠부재(30B),(30B)의 회전에 따라 승강 샤프트(14B),(14B)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척부재(13B),(13B)가 하강한다. 음압의 작용에 의하여 다이싱 필름(240)이 다이(220)로부터 좀더 벗겨진다(6단계).Next, as the
캠부재(30C),(30C)의 회전에 따라 승강 샤프트(14C),(14C)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척부재(13C),(13C)가 하강하며, 계속적인 음압의 작용으로 다이싱 필름(240)이 다이(220)로부터 거의 벗겨진 상태로 되고, 최내측의 척부재(13D)의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만이 다이싱 필름(240)의 배면과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7 단계).As the
마지막으로 최내측 척부재(13D)가 캠부재(30D)의 회전에 따른 승강 샤프트(14D)의 하강에 따라 다이싱 필름(240)은 다이(2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모든 척부재(13A) 내지(13D)들이 상부 고정탭(10)의 상부면과 정렬되며, 픽업장치(300)는 다이(22)의 픽업을 완료한다(8 단계). Finally,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원발명의 멀티-레벨 이젝트핀에 따르면, 캠부재(30)들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 샤프트(14)에 의하여, 다이(220)를 상승시키는 복수의 척부재(13)가 개별적으로 승강되므로, 척부재(13)들의 승강 단차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각 승강 타이밍 또한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level eject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또한, 다양한 크기의 다이를 안전하게 픽업할 수 있도록 캠부재(30) 및 척부재(13)들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이가 손상될 염려가 없고 다이싱 필름으로부터의 픽업에러가 없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및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features,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상부 고정캡
11 : 진공홀
12 : 중간 하우징
13(13A, 13B, 13C, 13D) : 척부재
14(14A, 14B, 14C, 14D) : 승강축
20 : 하부 몸체
30(30A, 30B, 30C, 30D) : 캠부재
40 : 제 1 모터
50 : 제 2 모터
60, 61, 62, 63, 64 : 탄성 부재
70 : 다이 이젝트핀 승강용 캠부재
81, 82, 83 : 압축 부재
100 : 멀티-레벨 이젝트핀
200 : 스테이지 유닛
210 : 웨이퍼
220 : 다이
240 : 다이싱 필름
250 : 웨이퍼 링
260 : 클램프
280 : 스테이지
300 : 픽업장치10: upper fixing cap 11: vacuum hole
12: intermediate housing 13 (13A, 13B, 13C, 13D): chuck member
14 (14A, 14B, 14C, 14D): lifting shaft 20: lower body
30 (30A, 30B, 30C, 30D): cam member 40: first motor
50:
70: cam member for lifting die
100: multi-level eject pin
200: stage unit 210: wafer
220: die 240: dicing film
250: wafer ring 260: clamp
280: stage 300: pickup device
Claims (4)
상기 복수의 척부재의 상부 부분들에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는 탄성 부재;
상기 상부 고정캡의 하면에 상기 탄성 부재와 대응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하여 압축하는 압축 부재;
상기 각각의 척부재의 하부 부분에 접촉 배치되고, 접촉하는 척부재보다 아래 쪽에 위치되는 척부재의 하부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접촉하는 척부재를 승강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샤프트;
상기 승강 샤프트의 하단에 각각의 승강 샤프트마다 개별적으로 접촉 배치되는 복수의 캠부재;
상기 복수의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모터; 및
초기 이젝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이젝트핀.A plurality of chuck members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an upper fixing cap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each including an upper portion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cing film and a lower portion horizont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portion;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disposed on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huck members, respectively;
a compression member fixedly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elastic memb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cap and compressed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an elevation shaft disposed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chuck members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pass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chuck member positioned lower than the chuck member in contact with the chuck member to elevate the chuck member in contact with the chuck member;
a plurality of cam members individually contacting each of the elevating shafts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a first motor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cam members; and
an actuator with adjustable initial ejection h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ulti-level eject pin.
상기 초기 이젝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이젝트핀.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level eject pin,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or capable of adjusting the initial ejection height further comprises a cam member and a second motor for driving the cam member.
상기 복수의 척부재들은 그의 상부 둘레 모서리가 모따기 또는 홀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벨 이젝트핀.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level eject pi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plurality of chuck members are chamfered or holed.
상기 멀티-레벨 이젝트핀을 초기 이젝트 높이까지 상승하는 단계;
상기 다이싱 필름의 배면과 복수의 척부재를 접촉시키는 단계;
모든 척부재들을 상승시켜 필름 앳지가 다이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최외곽에 위치한 척부재가 하강하는 단계;
하강된 최외곽의 척부재를 제외하고 다른 척부재들을 상승하는 단계; 및
상승한 척부재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척부재로부터 최내측 척부재까지 차례로 하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이 이젝트 방법.A die eject method using the multi-level eject pi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raising the multi-level eject pin to an initial eject height;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cing film with a plurality of chuck members;
elevating all the chuck members so that the film edge is separated from the die;
descending the outermost chuck member;
elevating other chuck members except for the lowered outermost chuck member; and
descending sequentially from the outermost chuck member among the raised chuck members to the innermost chuck member;
A die eject method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9908A KR102687338B1 (en) | 2021-11-19 | 2021-11-19 | Multi-level Eject P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9908A KR102687338B1 (en) | 2021-11-19 | 2021-11-19 | Multi-level Eject P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3463A true KR20230073463A (en) | 2023-05-26 |
KR102687338B1 KR102687338B1 (en) | 2024-07-22 |
Family
ID=8653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9908A Active KR102687338B1 (en) | 2021-11-19 | 2021-11-19 | Multi-level Eject P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733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6132B1 (en) * | 2024-01-10 | 2025-03-27 | 주식회사 에프엘씨 | Die ejecto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0293A (en) * | 2005-10-11 | 2007-04-16 |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 Die pickup device |
KR101186799B1 (en) * | 2012-01-26 | 2012-09-28 | 한국기계연구원 | Pick-up apparatus of semiconductor chip |
KR20170029511A (en) * | 2014-06-18 | 2017-03-15 | 매뉴팩쳐링 인테그레이션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 System and method for peeling a semiconductor chip from a tape using a multistage ejector |
KR20200137124A (en) * | 2019-05-29 | 2020-12-09 | 세메스 주식회사 | Die ejecting apparatus |
KR102244580B1 (en) * | 2019-11-08 | 2021-04-26 | 세메스 주식회사 | Die ejector and di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20210112733A (en) * | 2020-03-06 | 2021-09-15 | 세메스 주식회사 | Die ejector and di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2021
- 2021-11-19 KR KR1020210159908A patent/KR1026873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0293A (en) * | 2005-10-11 | 2007-04-16 |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 Die pickup device |
KR101186799B1 (en) * | 2012-01-26 | 2012-09-28 | 한국기계연구원 | Pick-up apparatus of semiconductor chip |
KR20170029511A (en) * | 2014-06-18 | 2017-03-15 | 매뉴팩쳐링 인테그레이션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 System and method for peeling a semiconductor chip from a tape using a multistage ejector |
KR20200137124A (en) * | 2019-05-29 | 2020-12-09 | 세메스 주식회사 | Die ejecting apparatus |
KR102244580B1 (en) * | 2019-11-08 | 2021-04-26 | 세메스 주식회사 | Die ejector and di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20210112733A (en) * | 2020-03-06 | 2021-09-15 | 세메스 주식회사 | Die ejector and di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6132B1 (en) * | 2024-01-10 | 2025-03-27 | 주식회사 에프엘씨 | Die ej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7338B1 (en) | 2024-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65204B2 (en) | Die detachment apparatus comprising pre-peeling structure | |
KR101330479B1 (en) | Die bonder and pickup device | |
JP5992552B2 (en) | Ejecting device | |
KR101791787B1 (en) | Ejector pin assembly and die eje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901028B1 (en) | Bonding head and die bon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11459192B2 (en) | Container supply device and container supply method | |
KR102003130B1 (en)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KR102244580B1 (en) | Die ejector and di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2019047089A (en)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JP7607462B2 (en) | 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KR20230073463A (en) | Multi-level Eject Pin | |
KR102617784B1 (en) | Die ejector and die bon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20070077985A (en) | Support unit and pickup device having same | |
KR102386339B1 (en) | Die ejector and die transf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20170030336A (en) | Apparatus for ejecting dies | |
KR102165569B1 (en) | A die ejecting apparatus | |
KR102304258B1 (en) | Die ejector and di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4735829B2 (en) | Chip push-up device | |
KR101322571B1 (en) | Apparatus for picking up semiconductor devices | |
JP2023087030A (en)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20210009842A (en) | Die ejector and di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2650876B1 (en) | Method of setting height of die ejector | |
KR102819884B1 (en) | Appratus for detaching die and method for detaching die using the same | |
KR20220095039A (en) | Vacuum chuck and driving method of vacuum chuck | |
KR102221707B1 (en) | Die ejector and di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