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72447A - 배양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양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447A
KR20230072447A KR1020220153931A KR20220153931A KR20230072447A KR 20230072447 A KR20230072447 A KR 20230072447A KR 1020220153931 A KR1020220153931 A KR 1020220153931A KR 20220153931 A KR20220153931 A KR 20220153931A KR 20230072447 A KR20230072447 A KR 2023007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hexagonal
hexagonal sheet
sheet
proc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73942B1 (ko
Inventor
김두현
Original Assignee
(주)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셀 filed Critical (주)이셀
Publication of KR2023007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39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4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장변을 갖는 장형의 육각시트재 복수개를 이용한 배양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원단을 재단하여, 장변측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를 포함하는 제1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시트재단단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하나 이상의 육각시트재에 포트부재를 장착시키는 포트장착단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1가공시트재를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을 따라 접은 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접히는 부분을 열융착시켜 실링하고, 포개어지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열융착시켜 실링하여, 제1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이 실링되어 있는 제2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제1실링단계;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육각시트재 각각을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어, 접힌 한 쌍의 육각시트재가 나머지 한 쌍의 육각시트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각각이 네 개의 대각변이 포개진 형태의 대각변부들을 갖는 제3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폴딩단계; 상기 제3가공시트재의 각 대각변부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육각시트재들의 대각변이 포개어진 부분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제2실링단계; 및 상기 제3가공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제3실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양백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ULTURE BAG}
본 발명은 배양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이나 식물의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 산업은, 배양액(배지)에서 동물이나 식물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배양 장치, 배지로부터 원하는 원료를 분리하는 분리 및 정제 장치, 배양액을 배양 환경에 부합될 수 있도록 혼합하는 배지 혼합 장치, 기타 유전자 조작 장치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동물이나 식물 세포의 배양 산업의 성장으로 생물 공정(bio process)에 사용되는 세포 배양 시스템은, 작은 용량부터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세포 배양시 배양액을 안전하게 수용하고, 배양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배양 용기들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양 용기들은 일반적으로 중량이 많이 나가는 유리나 금속이나 플라스틱 수지류 등 솔리드한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재료비용 및 이를 성형, 조립, 용접하는 등 제작하는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것은 물론이고, 재사용하기 위해서 세척해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비닐 소재의 일회용 배양백을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비닐 소재의 일회용 배양백은 여러 개의 비닐시트조각을 재단한 후 재단한 비닐시트조각을 정렬하여 열융착시킴으로 실링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배양백 제조방법의 경우 각각 비닐시트조각을 재단하는 공정 및 재단한 비닐시트조각을 맞추어 정렬하는 공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비닐시트조각의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실링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정렬 공정에서 비닐시트조각의 위아래가 바뀌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6877호 (2018.10.04.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배양백의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된 배양백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배양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장변을 갖는 장형의 육각시트재 복수개를 이용한 배양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원단을 재단하여, 장변측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를 포함하는 제1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시트재단단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하나 이상의 육각시트재에 포트부재를 장착시키는 포트장착단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1가공시트재를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을 따라 접은 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접히는 부분을 열융착시켜 실링하고, 포개어지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열융착시켜 실링하여, 제1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이 실링되어 있는 제2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제1실링단계;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육각시트재 각각을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어, 접힌 한 쌍의 육각시트재가 나머지 한 쌍의 육각시트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각각이 네 개의 대각변이 포개진 형태의 대각변부들을 갖는 제3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폴딩단계; 상기 제3가공시트재의 각 대각변부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육각시트재들의 대각변이 포개어진 부분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제2실링단계; 및 상기 제3가공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제3실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재단단계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들에, 제1가공시트재의 너비 방향을 따라 커팅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재단단계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각각에, 소정 길이의 제1플랫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고,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3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각각에, 상기 제1플랫부와 대응하는 길이의 제2플랫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재단단계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2육각시트재와 제4육각시트재의 너비가 동일하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고,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의 너비가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2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너비 대비, 상기 제1플랫부 길이만큼 더 커지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며,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3육각시트재의 너비가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2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너비 대비, 상기 제2플랫부 길이만큼 더 커지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딩단계에서,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제2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사이를, 제2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고,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제4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사이를, 제4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포트장착단계에서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하나의 육각시트재에 상기 포트부재를 장착시킨 경우, 상기 폴딩단계는, 상기 포트부재가 장착된 육각시트재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육각시트재들을 각각 접는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양백의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조된 배양백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양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시트원단을 재단하여 제1가공시트재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육각시트재에 포트부재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1가공시트재를 접은 후, 접은 부분을 열융착시켜 실링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1가공시트재를 열융착시켜 실링시킴으로써 형성된 제2가공시트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2가공시트재의 각 육각시트재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육각시트재를 접어 제3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3가공시트재의 각 대각변부를 열융착시켜 실링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3가공시트재의 각 대각변부를 분리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3가공시트재의 각 대각변부를 분리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3가공시트재의 양 꼭지점 부분들을 열융착시켜 실링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양백의 제조방법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장변을 갖는 장형의 육각시트재 복수개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입체형 배양백(10)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원단을 재단하여, 장변측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를 포함하는 제1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시트재단단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하나 이상의 육각시트재에 포트부재를 장착시키는 포트장착단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1가공시트재를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을 따라 접은 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접히는 부분을 열융착시켜 실링하고, 포개어지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열융착시켜 실링하여, 제1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이 실링되어 있는 제2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제1실링단계;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육각시트재 각각을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어, 접힌 한 쌍의 육각시트재가 나머지 한 쌍의 육각시트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각각이 네 개의 대각변이 포개진 형태의 대각변부들을 갖는 제3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폴딩단계; 상기 제3가공시트재의 각 대각변부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육각시트재들의 대각변이 포개어진 부분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제2실링단계; 및 상기 제3가공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제3실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양백 제조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양백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함에 있어, 제1가공시트재(100)의 "길이 방향"은 도 3의 y방향을 의미하고, 제1가공시트재(100)의 "너비 방향"은 도 3의 x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 각각의 "길이 방향"은 도 3의 x방향을 의미하고,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 각각의 "너비 방향"은 도 3의 y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시트재단단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원단을 재단하여, 장변측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를 포함하는 제1가공시트재(1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가공시트재(10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시트원단은 일예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는 각각,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장변을 갖는 장형의 육각형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시트재단단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각 육각시트부재들(110, 120, 130, 140)의 연결 부분들에, 제1가공시트재(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커팅라인(151, 152, 153)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커팅라인(151, 152, 153)은 각 육각시트부재들(110, 120, 130, 140)의 연결 부분들에, 제1가공시트재(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제1가공시트재(10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커팅라인(151, 152, 153)은 제1가공시트재(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육각시트부재들(110, 120, 130, 140)의 연결 부분들에 제1가공시트재(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커팅라인(151, 152, 153)을 형성시킴으로서, 후술하는 제1실링단계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각 육각시트부재들(110, 120, 130, 140)의 연결 부분들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시트재단단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 중 하나 이상에 포트부재(P) 장착용 포트장착홀(H)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장착홀(H)은 각 육각시트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포트장착홀(H)은 각 육각시트재 상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도 2 및 도 3은 일예로 제1육각시트재(110)에 세 개의 포트장착홀(H)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양백 제조방법의 시트재단단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각각에, 소정 길이(L1)의 제1플랫부(111, 112)가 각각 형성되도록 시트원단을 재단하고, 또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3육각시트재(130)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각각에, 제1플랫부(111, 112)와 대응하는 길이(L2)의 제2플랫부(131, 132)가 각각 형성되도록 시트원단을 재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2육각시트재(120)와 제4육각시트재(140)의 너비가 서로 동일하도록 시트원단을 재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의 너비가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2육각시트재(120) 및 제4육각시트재(140) 너비 대비, 제1플랫부(111, 112) 길이(L1)만큼 더 커지도록 시트원단을 재단하며,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3육각시트재(130)의 너비가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2육각시트재(120) 및 제4육각시트재(140) 너비 대비, 제2플랫부(131, 132) 길이(L2)만큼 더 커지도록 시트원단을 재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 및 제3육각시트재(130)의 너비가 제2육각시트재(120) 및 제4육각시트재(140)의 너비보다 제1플랫부(111, 112) 및 제2플랫부(131, 132) 길이(L1, L2)만큼 더 커지도록 재단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공시트재(200)의 제2육각시트재(120) 및 제4육각시트재(140)를 제2가공시트재(200) 내부로 접어 넣었을 때, 제2육각시트재(120) 및 제4육각시트재(140)의 접힌 부분이 서로 제1플랫부(111, 112) 및 제2플랫부(131, 132)의 길이(L1, L2)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각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육각시트재를 다른 하나의 육각시트재에 포개었을 때, 각 육각시트재의 외측 둘레 중 대각변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각 육각시트재의 대각변은 서로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트장착단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 중 하나 이상의 육각시트재에 포트부재(P)를 장착시키는 단계이다.
포트부재(P)는 완성된 배양백(10) 내에 유체를 주입시키거나, 배양백(10)에서 유체를 뽑아낼 수 있도록 형성된 부재로서, 포트부재(P)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재단단계에서 각 육각시트재에 형성된 포트장착홀(H)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일예로 포트부재(P)는 포트장착홀(H)에 열융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포트부재(P)는 전술한 시트재단단계에서 플랫부가 형성된 육각시트재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5에는 일예로 제1육각시트재(110)에 세 개의 포트부재(P)를 장착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실링단계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제1가공시트재(100)를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을 따라 접은 후, 제1가공시트재(100)의 접히는 부분(161, 162, 163)을 열융착시켜 실링하고, 포개어지는 제1가공시트재(100)의 길이 방향 양단부(164)를 열융착시켜 실링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육각시트재(110) 및 제4육각시트재(140)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각 육각시트부재들(110, 120, 130, 140)의 연결 부분이 실링되어 있는 제2가공시트재(2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도 6에는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2육각시트재(120)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2육각시트재(120)의 연결 부분을 따라 접고(제2육각시트재(120)는 제1육각시트재(110)에 가려져 있음), 또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3육각시트재(130)와 제4육각시트재(140)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3육각시트재(130)와 제4육각시트재(140)의 연결 부분을 따라 접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시트재단단계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에 형성한 커팅라인(151, 153)에 의해 제1가공시트재(100)의 각 부분을 접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포개어지는 각 육각시트재들은 외측 둘레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정렬된다.
이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2육각시트재(120)를 포개고, 제3육각시트재(130)와 제4육각시트재(140)를 포갠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접히는 부분(161, 163)을 열융착시켜 실링한다.
이어서, 도 7에는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4육각시트재(140)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고, 제2육각시트재(120)와 제3육각시트재(130)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2육각시트재(120)와 제3육각시트재(130)의 연결 부분을 따라 접은 상태(제4육각시트재(140)는 제1육각시트재(110)에 가려져 있음)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시트재단단계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에 형성한 커팅라인(152)에 의해 제1가공시트재(100)를 접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포개어지는 각 육각시트재들은 외측 둘레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정렬된다.
이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4육각시트재(140)를 포개고, 제2육각시트재(120)와 제3육각시트재(130)를 포갠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시트재(100)의 접히는 부분(162) 및 포개어지는 제1가공시트재(100)의 길이 방향 양단부(164)를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2육각시트재(120)를 포개고, 제3육각시트재(130)와 제4육각시트재(140)를 포갠 상태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접히는 부분(161, 163)을 열융착시켜 실링하고, 이어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4육각시트재(140)를 포개고, 제2육각시트재(120)와 제3육각시트재(130)를 포갠 상태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접히는 부분(162) 및 포개어지는 제1가공시트재(100)의 길이 방향 양단부(164)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4육각시트재(140)를 포개고, 제2육각시트재(120)와 제3육각시트재(130)를 포갠 상태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접히는 부분(162) 및 포개어지는 제1가공시트재(100)의 길이 방향 양단부(164)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고, 이어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2육각시트재(120)를 포개고, 제3육각시트재(130)와 제4육각시트재(140)를 포갠 상태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접히는 부분(161, 163)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방식으로 각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각 육각시트부재의 접는 순서 및 열융착 순서를 변경).
한편, 제1실링단계에서는, 이상 설명한 과정을 수행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육각시트재(110) 및 제4육각시트재(140)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각 육각시트부재들(110, 120, 130, 140)의 연결 부분이 실링되어 있는 제2가공시트재(200)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폴딩단계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공시트재(200)의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육각시트재 각각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제2가공시트재(200)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어, 접힌 한 쌍의 육각시트재가 나머지 한 쌍의 육각시트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네 개의 대각변이 포개진 형태의 대각변부들(310, 320, 330, 340)을 갖는 제3가공시트재(3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폴딩단계에서는 전술한 시트재단단계에서 플랫부를 형성시키지 않은 한 쌍의 육각시트재 각각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접을 수 있다.
일예로, 도 8 및 도 9에는 플랫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2가공시트재(200)의 제2육각시트재(120)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사이를, 제2육각시트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고, 또한 플랫부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제2육각시트재(12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가공시트재(200)의 제4육각시트재(140)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사이를, 제4육각시트재(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가공시트재(200)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랫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2육각시트재(120) 및 제4육각시트재(140)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제2가공시트재(200)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네 개의 대각변이 포개진 형태의 대각변부들(310, 320, 330, 340)을 갖는 제3가공시트재(300)가 형성되되(도 10에는 일예로 네 개의 대각변(311, 312, 313, 314)이 포개진 형태의 대각변부(310)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재단단계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 및 제3육각시트재(130)의 너비가 제2육각시트재(120) 및 제4육각시트재(140)의 너비보다 제1플랫부(111, 112) 및 제2플랫부(131, 132) 길이만큼 더 커지도록 재단하였으므로, 제3가공시트재(300)의 제2육각시트재(120)의 접힌 부분 및 제4육각시트재(140)의 접힌 부분이 서로 제1플랫부(111, 112)및 제2플랫부(131, 132)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전술한 포트장착단계에서 제1가공시트재(100)의 제1육각시트재(110), 제2육각시트재(120), 제3육각시트재(130) 및 제4육각시트재(140) 중 하나의 육각시트재에 포트부재(P)를 장착시킨 경우, 폴딩단계에서는 포트부재(P)가 장착된 육각시트재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육각시트재들을 각각 제2가공시트재(200)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실링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공시트재(300)의 각 대각변부들(310, 320, 330, 34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육각시트재들의 대각변이 포개어진 부분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단계이다.
제2실링단계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실링단계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310)에 대하여, 제1육각시트재(110)의 대각변(311) 및 제4육각시트재(140)의 대각변(312)이 포개어진 부분을 열융착시키고, 제4육각시트재(140)의 대각변(313) 및 제3육각시트재(130)의 대각변(314)이 포개어진 부분을 열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330)에 대하여, 제1육각시트재(110)의 대각변(331) 및 제4육각시트재(140)의 대각변(332)이 포개어진 부분을 열융착시키고, 제4육각시트재(140)의 대각변(333) 및 제3육각시트재(130)의 대각변(334)이 포개어진 부분을 열융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320)에 대하여, 제1육각시트재(110)의 대각변(321) 및 제2육각시트재(120)의 대각변(322)이 포개어진 부분을 열융착시키고, 제2육각시트재(120)의 대각변(323) 및 제3육각시트재(130)의 대각변(324)이 포개어진 부분을 열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340)에 대하여, 제1육각시트재(110)의 대각변(341) 및 제2육각시트재(120)의 대각변(342)이 포개어진 부분을 열융착시키고, 제2육각시트재(120)의 대각변(343) 및 제3육각시트재(130)의 대각변(344)이 포개어진 부분을 열융착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제2실링단계는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들(310, 320, 330, 340)을 각각 열융착하는 제2-1실링단계 및 각각의 대각변부(310, 320, 330, 340)들에 대하여, 같은 육각시트재 상의 두 개의 대각변이 열융착된 부분을 서로 분리시키는 제2-2실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제2-1실링단계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겹으로 포개어진 상태인 대각변부(310)를 일체로 열융착시키고, 네 겹으로 포개어진 상태인 대각변부(320)를 일체로 열융착시키며, 또한 네 겹으로 포개어진 상태인 대각변부(330)를 일체로 열융착시키고, 네 겹으로 포개어진 상태인 대각변부(340)를 일체로 열융착시킬 수 있다.
이 후, 제2-2실링단계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공시트재(300)의 각각의 대각변부들(310, 320, 330, 340)에 대하여, 같은 육각시트재 상의 두 개의 대각변이 열융착된 부분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는데, 좀 더 상세하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310)에 대하여, 열융착된 상태인 제4육각시트재(140) 상의 두 개의 대각변들(312, 313)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330)에 대하여, 열융착된 상태인 제4육각시트재(140) 상의 두 개의 대각변들(332, 333)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320)에 대하여, 열융착된 상태인 제2육각시트재(120) 상의 두 개의 대각변들(322, 323)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제3가공시트재(300)의 대각변부(340)에 대하여, 열융착된 상태인 제2육각시트재(120) 상의 두 개의 대각변들(342, 343)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는 다르게 제2실링단계는, 각각의 대각변들(311, 312)(313, 314)(321, 322)(323, 324)(331, 332)(333, 334)(341, 342)(343, 344)을 여덟 번 열융착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1실링단계 및 제2-2실링단계로 수행하는 경우 제3가공시트재(300)의 각 대각변부들(310, 320, 330, 340)을 열융착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실링단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공시트재(300)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350, 360)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3실링단계에서 열융착되는 제3가공시트재(300)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350, 360) 각각은,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3육각시트재(130)가 두 겹으로 포개어지는 부분,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4육각시트재(140)와 제3육각시트재(130)가 네 겹으로 포개어지는 부분 및 제1육각시트재(110)와 제2육각시트재(120)와 제3육각시트재(130)가 네 겹으로 포개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가공시트재(300)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350, 360)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형 태의 배양백(10)이 완성되게 되며, 이후 배양백(10)에 장착된 포트부재(P)에 튜빙을 연결하여 배양백(10) 내부에 기체를 주입시킴으로써, 배약백(10)에 대한 누설 검사(leak test)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양백의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조된 배양백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배양백
100 : 제1가공시트재
110 : 제1육각시트재
120 : 제2육각시트재
130 : 제3육각시트재
140 : 제4육각시트재
200 : 제2가공시트재
300 : 제3가공시트재

Claims (6)

  1.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장변을 갖는 장형의 육각시트재 복수개를 이용한 배양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원단을 재단하여, 장변측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를 포함하는 제1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시트재단단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하나 이상의 육각시트재에 포트부재를 장착시키는 포트장착단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외측 둘레가 서로 일치하는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1가공시트재를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을 따라 접은 후,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접히는 부분을 열융착시켜 실링하고, 포개어지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열융착시켜 실링하여, 제1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이 실링되어 있는 제2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제1실링단계;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육각시트재 각각을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어, 접힌 한 쌍의 육각시트재가 나머지 한 쌍의 육각시트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각각이 네 개의 대각변이 포개진 형태의 대각변부들을 갖는 제3가공시트재를 형성하는 폴딩단계;
    상기 제3가공시트재의 각 대각변부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육각시트재들의 대각변이 포개어진 부분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제2실링단계; 및
    상기 제3가공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을 각각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제3실링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단단계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각 육각시트부재들의 연결 부분들에, 제1가공시트재의 너비 방향을 따라 커팅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단단계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각각에, 소정 길이의 제1플랫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고,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3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각각에, 상기 제1플랫부와 대응하는 길이의 제2플랫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단단계는,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2육각시트재와 제4육각시트재의 너비가 동일하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고,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의 너비가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2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너비 대비, 상기 제1플랫부 길이만큼 더 커지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며,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3육각시트재의 너비가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2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너비 대비, 상기 제2플랫부 길이만큼 더 커지도록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단계에서,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제2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사이를, 제2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고,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제4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 양측의 꼭지점 부분들 사이를, 제4육각시트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공시트재의 내부 방향으로 접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장착단계에서 상기 제1가공시트재의 제1육각시트재, 제2육각시트재, 제3육각시트재 및 제4육각시트재 중 하나의 육각시트재에 상기 포트부재를 장착시킨 경우,
    상기 폴딩단계는,
    상기 포트부재가 장착된 육각시트재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육각시트재들을 각각 접는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백의 제조방법.
KR1020220153931A 2021-11-17 2022-11-16 배양백의 제조방법 Active KR102773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296 2021-11-17
KR20210158296 2021-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447A true KR20230072447A (ko) 2023-05-24
KR102773942B1 KR102773942B1 (ko) 2025-02-27

Family

ID=8654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931A Active KR102773942B1 (ko) 2021-11-17 2022-11-16 배양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39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79A (ko) * 1995-04-25 1999-01-25 가네다 히로오 원통형 콘테이너 안으로 로딩하기 위한 직사각형 내부백
JP2003291980A (ja) * 2002-01-30 2003-10-15 Seikoo Mail System:Kk 封 筒
JP3169691U (ja) * 2011-05-31 2011-08-11 高浩 川本 ショッピングバッグ
KR101906877B1 (ko) 2014-10-08 2018-10-1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
JP2018531183A (ja) * 2015-10-06 2018-10-2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可溶性単位用量洗剤パウチを含む可撓性ボックスバッグ
KR102041088B1 (ko) * 2018-02-19 2019-11-06 (주)마이크로디지탈 일회용 세포 배양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79A (ko) * 1995-04-25 1999-01-25 가네다 히로오 원통형 콘테이너 안으로 로딩하기 위한 직사각형 내부백
JP2003291980A (ja) * 2002-01-30 2003-10-15 Seikoo Mail System:Kk 封 筒
JP3169691U (ja) * 2011-05-31 2011-08-11 高浩 川本 ショッピングバッグ
KR101906877B1 (ko) 2014-10-08 2018-10-1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
JP2018531183A (ja) * 2015-10-06 2018-10-2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可溶性単位用量洗剤パウチを含む可撓性ボックスバッグ
KR102041088B1 (ko) * 2018-02-19 2019-11-06 (주)마이크로디지탈 일회용 세포 배양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73942B1 (ko) 202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8691B2 (en) Method of production of fabric bags or containers using heat fused seams
US8079492B2 (en) Disposable contain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579866B2 (en) Honeycomb structure element
US9045250B2 (en) One piece bulk bin having an automatically-erecting bottom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050061886A (ko) 플라스틱 마이크로 칩의 접합 방법
KR20230072447A (ko) 배양백의 제조방법
CN109982678A (zh) 用于生物制药流体的可填充3d柔性袋子、以及用于生产这样的袋子的方法
CN105377704A (zh) 自立袋
CN106458359A (zh) 纸箱和纸箱坯料
WO2020235398A1 (ja) マイクロチップ
KR20190099608A (ko) 일회용 세포 배양백
CN207607735U (zh) 一种包装盒
JPH10152147A (ja) 自立体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3343463A (en) Method of forming a cross bottom at the end of a flat tubular blank of heat sealable material and bag having a cross bottom so made
JP4115760B2 (ja) 医療用連結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34293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quare bottom containers
JP7536380B2 (ja) 使い捨てのフレキシブルなバイオプロセシングバッグおよび使い捨てのフレキシブルなバイオプロセシングバッグを製造する方法
KR102076935B1 (ko) 포장 봉투
CN211417966U (zh) 一种电动空压机储运一体化工装
CN101932499A (zh) 可充气救生筏
EP3056447A1 (en) Pouch container packaging and pouch container
CN205633385U (zh) 拼接结构和拼接箱体
JP6325196B2 (ja) 樹脂フィルムの融着接合構造、及び樹脂フィルムの融着接合構造形成方法
JP2000142880A (ja) 角筒形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ーバッグの成形方法
ITMI20060137A1 (it) Contenitore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alimenta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