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101A - 코호흡 밴드 - Google Patents
코호흡 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1101A KR20230071101A KR1020230054617A KR20230054617A KR20230071101A KR 20230071101 A KR20230071101 A KR 20230071101A KR 1020230054617 A KR1020230054617 A KR 1020230054617A KR 20230054617 A KR20230054617 A KR 20230054617A KR 20230071101 A KR20230071101 A KR 202300711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nasal breathing
- band
- breathing band
- lip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10352 nasal breath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9568 aroma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1705 Mouth breath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22 aroma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9083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280436 Allium schoen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270 Allium sibir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662 Anethum graveo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17 Boswellia sac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51 Boswellia serr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35 Boswellia ser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326 Breath od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24 Ceanothus sanguine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66652 Cymbopogon martin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6124 Eucalyptus glob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8737 Facial asymmet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927 Foenicul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04 Foenicul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63 Frankincen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28 Lantana involuc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553 Leptospermum scopa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4552 Lip d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4561 Lip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74 Malocc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79 Mentha X vertici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899 Mentha suaveol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36 Mentha x rotund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77 Monarda citriodora ssp. austromont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76 Ocimum basil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926 Ocimum gratiss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03 Orig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783 Origanum major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673 Origan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164 Petroselinum crisp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231 Rosmarinus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304 Ruagh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657 Thym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03 Thym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1 ci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600 folk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693 gingiv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7 insec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34 lip ba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50 nas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36 olfact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7 perej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20 s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4 skin elast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85 thymus vulgar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259 vase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2/00—Surgery: splint, brace, or bandage
- Y10S602/902—Antisnoring or mouth clos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에 밴드를 부착하여 입으로 호흡(구강호흡)을 하지 않고 코로 호흡을 하도록 하는 코호흡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호흡 밴드에 허브 또는 아로마향을 포함시켜서 커로 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입에 부착한 코호흡 밴드에서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호흡기를 통하여 신체로 유입되어 신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코호흡 밴드의 이면에 부분적으로 비점착부를 형성함에 따라 코호흡밴드를 입에 부착하였다가 떼어낼 때 입술이 아프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면에 점착부가 구비된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입술에 부착하였을 때, 입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코로 호흡을 하도록 하는 코호흡밴드(10)에 있어서,
상기 코호흡밴드(10)는 신축성과 통기가 가능하며 옆으로 긴 신축성 통기원단(1)에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포함되어 입술에 부착한 신축성 통기원단(1)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코로 흡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 상하부에는 입술에 탈부착되는 점착부(2)가 형성되고, 상하측 점착부(2)의 사이에는 점착면이 없으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이 노출되는 비점착부(5)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면에 점착부가 구비된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입술에 부착하였을 때, 입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코로 호흡을 하도록 하는 코호흡밴드(10)에 있어서,
상기 코호흡밴드(10)는 신축성과 통기가 가능하며 옆으로 긴 신축성 통기원단(1)에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포함되어 입술에 부착한 신축성 통기원단(1)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코로 흡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 상하부에는 입술에 탈부착되는 점착부(2)가 형성되고, 상하측 점착부(2)의 사이에는 점착면이 없으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이 노출되는 비점착부(5)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에 밴드를 부착하여 입으로 호흡(구강호흡)을 하지 않고 코로 호흡을 하도록 하는 코호흡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호흡 밴드에 허브 또는 아로마향을 포함시켜서 커로 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입에 부착한 코호흡 밴드에서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호흡기를 통하여 신체로 유입되어 신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코호흡 밴드의 이면에 부분적으로 비점착부를 형성함에 따라 코호흡밴드를 입에 부착하였다가 떼어낼 때 입술이 아프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호흡은 의식하지 않지만, 사람이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행위이며, 모든 운동의 기본이고 호흡만 잘해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호흡 중에서도 입으로 호흡하는 것이 아닌, '코호흡' 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점막에 있는 섬모들을 통과하여 정화되고 따뜻한 공기가 몸속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반면 입 호흡을 하게 되면 차가운 바람이 그대로 몸속으로 유입되어 입 속이 건조해지고 면역력이 떨어지며 감기와 비염 등 각종 호흡기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또, 입 호흡이 습관이 될 경우, 치아의 부정교합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며 주걱턱, 안면 비대칭과 같은 얼굴 변형이 생기기도 하며, 구취와 각종 잇몸질환 또한 생길 수 있다.
특히, 비염이 있는 아이들을 주의해야 한다. 비염이 있는 아이들은 코호흡이 원활하지 않아 무의식적으로 입 호흡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각종 질환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입 호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 들어서 코호흡 테이프(일 예 : 이우정 한의사 코숨테이프)가 개발되어 네이버, 옥션, 쿠팡 등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다.
상기 코호흡 테이프는 일회용 반창고와 같이 신축성 직물원단의 이면에 점착면을 코팅 형성한 것으로써, 이러한 일회용 반창고 형태의 코호흡 테이프를 입을 다문 상태에서 입술에 부착하여 입이 벌어지지 않으므로 코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코호흡 테이프를 다문 입에 부착하여 입이 벌어지지 않게 함에 따라 입호흡(구강호흡)으로 인한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피부 중에서 예민하고 약한 입술에 테이프를 부착하였다 제거를 위하여 떼어낼 때 입술이 아픈 문제와, 신축성 직물원단의 이면에 전체면에 점착면을 코팅 형성함에 따라 코호흡 테이프를 부착한 면에서 피부호흡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가 불편해지고 부르트는 등의 손상되는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이우정 한의사 코숨테이프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세페이지 설명에서 점착제의 강도가 강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입술이 건조하신 분은 립밤이나 바세린을 바른 후 사용하게요." , 또 "접착력이 강하게 느껴질 때 손등에 1~2회 붙였다가 사용하세요." 라고 사용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코호흡 테이프를 사용 후 떼어낼 때는 "코숨테이프에 따뜻한 물을 충분히 묻히면 부드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코숨테이프를 위에서 아래로 천천히 제거합니다. 빠르게 떼어내면 자극되어 피부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입술에 남았는 점착제가 있다면 손으로 살살 밀어서 제거해주세요." 라고 추가적으로 사용설명을 하고 있다.
위와 같은 사용설명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발자와 판매자도 자기 상품 코호흡 테이프의 점착력이 강한 문제를 설명하고 있는 상황이다.
https://smartstore.naver.com/cscone/products/7948127291(이우정 한의사 코숨테이프)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호흡 밴드를 신축과 통기가 가능한 신축성 통기원단으로 준비하고, 이 신축성 통기원단의 이면에 점착부를 형성하되, 신축성 통기원단의 상하에만 길이방향으로 점착부를 코팅 형성하고, 중간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점착면이 없도록 비점착부를 형성함에 따라 코호흡 밴드를 입에 부착하였다가 떼어낼 때 입술이 아프지 않도록 하고, 점착부에도 점착면에 다수개의 점착면 비형성부와 점착면이 띠 형태로 교대로 반복되게 형성함으로서, 코호흡밴드의 점착력을 약화시키고,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아 싯축성 통기원단이 노출되는 비점착부와 점착면 비형성부에 의해 통기가 자유로워 입술의 피부호흡이 이루어져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것을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신축성 통기원단에 허브 또는 아로마향을 포함시켜서 본 발명에 의한 코호흡 밴드를 사용하는 동안 허브향(아로마향 포함)이 콧속으로 유입됨에 따라 신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면에 점착부가 구비된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입술에 부착하였을 때, 입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코로 호흡을 하도록 하는 코호흡밴드에 있어서,
상기 코호흡밴드는 신축성과 통기가 가능하며 옆으로 긴 신축성 통기원단에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포함되어 입술에 부착한 신축성 통기원단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코로 흡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축성 통기원단의 이면 상하부에는 입술에 탈부착되는 점착부가 형성되고, 상하측 점착부의 사이에는 점착면이 없으며 신축성 통기원단의 이면이 노출되는 비점착부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코호흡밴드는, 코호흡 밴드를 신축과 통기가 가능한 신축성 통기원단으로 준비하고, 이 신축성 통기원단의 이면에 점착부를 형성하되, 신축성 통기원단의 상하에만 길이방향으로 점착부를 코팅 형성하고, 중간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점착면이 없도록 비점착부를 형성함에 따라 코호흡밴드를 입에 부착하였다가 떼어낼 때 점착력이 약해져서 입술이 아프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고, 점착부에도 점착면과 점착면 비형성부를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함에 따라 비점착부와 점착면 비형성부에 의해 통기가 자유롭게 이루어져 입술의 피부호흡이 이루어져 입술 피부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키는 효과와,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신축성 통기원단에 허브 또는 아로마향을 포함시켜서 본 발명에 의한 코호흡 밴드를 입술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동안 허브향이 콧속으로 유입됨에 따라 허브향의 유용한 성분에 의해 신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매우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코호흡밴드가 낱개로 밀봉포장대에 포장되어 있음에 따라 코호흡밴드에 포함된 허브 및 아로마향이 휘발되어 자연 소진되는 것을 막아주어 포장을 개봉하지 않는 동안은 허브 및 아로마향이 휘발되어 자연 소진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호흡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외부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코호흡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이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코호흡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호흡밴드의 포장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외부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코호흡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이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코호흡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호흡밴드의 포장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호흡밴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호흡밴드(10)는, 신축성과 통기가 가능하며 옆으로 긴 신축성 통기원단(1)과,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 상하부에 형성되는 점착부(2)와, 상하측 점착부(2)의 사이에 점착면이 없으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이 노출되는 비점착부(5)를 포함하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에는 신축성 통기원단(1)가 동일한 크기의 이형지(미도시)가 박리 가능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점착부(2)는 점착성이 있는 점착면(4)과, 점착성이 없어 신축성 통기원단(1)이 소폭으로 노출되는 소정 폭의 점착면 비형성부(3)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축성 통기원단(1)에는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포함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의한 코호흡밴드(10)는, 도 2에 도시된 일시예의 신축성 통기원단(1)과 동일한 신축성 통기원단(1)과,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 전체면에 형성되는 점착부(2)와, 점착부(2)의 중간에 점착면이 없는 부직포 또는 거즈 등의 소재로 되는 소정폭의 비점착부재(6)가 전길이에 걸쳐 부착되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에는 신축성 통기원단(1)과 동일한 크기의 이형지(미도시)가 박리 가능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점착부(2)는 점착성이 있는 점착면(4)과, 점착성이 없어 신축성 통기원단(1)이 소폭으로 노출되는 소정 폭의 점착면 비형성부(3)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축성 통기원단(1)에는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포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의한 코호흡밴드(10)는,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이실시예는 점착부(2)의 전길이에 걸쳐 비점착부재(6)가 부착되나, 삼실시예는 신축성 통기원단(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비점착부재(6)가 부착되어 코호흡밴드(10)의 이면의 사방에 점착부(2)가 노출되게 형성된 것만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이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이, 삼실시예에 의한 코호흡밴드(10)의 포장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코호흡밴드(10)가 낱개로 밀봉포장대(7) 내측에 밀봉되게 포장되어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휘발되어 향이 자연 소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허브(Herb)' 는 식용·약용으로 쓰이는 향기 있는 식물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 종류가 셀 수 없이 많고, 쓰임새 또한 무궁무진하다. 관상용, 방향제, 요리 재료, 민간약재 등으로 쓰이고 살균·살충·미용·스트레스 해소·긴장 완화 등 효능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최근 사람의 건강에 유익한 대체 요법의 한 형태인 아로마 테라피라는 향기 요법이 주목받고 있는데, 아로마 테라피란 각 가지 다양한 향을 가지고 있는 식물에서 추출한 에센샬(식물성의 향기가 좋은 방향성물질) 오일이라고 부르는 것을 다양한 방법, 즉 코를 이용한 흡입법, 마사지 목욕법, 바디 오일 등을 이용하여 우리 몸에 흡수되도록 하여 심신의 건강을 지켜줌과 동시에 병을 예방해주는 것이다.
특히, 아로마 테라피와 같은 향기 요법은 후각 기능을 통하여 바로 인간의 행동, 감정, 정신들을 지배하는 뇌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신적인 문제와 그에 관련된 신체 건강에 대한 문제에 많은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켜 주거나, 피부 알레르기 증상, 신진대사 촉진, 호르몬 기능 등 다양한 바디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볼 때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생활 중에서 아로마 테라피와 같은 향기 요법을 수행하기에 가장 간편한 방법은 코를 이용한 흡입법으로, 본 발명에 의한 코호흡밴드(10)를 입에 붙이고 있으면, 상하 입술이 코호흡밴드(10)에 부착되어 입이 벌어지지 않아서 입으로 호흡이 안되고 자연스럽게 코로 호흡을 하게 된다.
이렇게 코로 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코호흡밴드(10)에 포함되어 있는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호흡기로 흡입되어 신체 및 정신을 건강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코호흡밴드(10)을 사용하는데 적합한 시간이 수면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수면 중일 때 본 발명의 코호흡밴드(10)을 입에 부착하면 잠자는 동안 코호흡밴드(10)에 포함된 아로마향 또는 허브향이 코로 호흡하는 과정에서 신체로 유입되어 신체를 이롭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코호흡밴드(10)는 코호흡밴드(10)를 구성하는 신축성 통기원단(1)이 신축성과 통기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도톰한 입술에 잘 부착되며, 점착부(2)에 점착면과 교대로 형성되는 점착면 비형성부(3)에는 신축성 통기원단(1)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통기공이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코호흡밴드(10)를 점착부(2)에서도 통기가 이루어져 피부가 불편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 얘기는 예를 들어 비닐지를 피부에 부착하면 피부호흡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점착부(2)에 점착제가 코팅되지 않은 점착면 비형성부(3)가 소폭이지만 다수 줄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서 위의 설명과 같은 피부호흡에 유리함과 더불어 감각이 매우 예민한 입술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면적이 감축됨에 따라 코호흡밴드(10)를 부착하고 사용하는 동안 불편함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한 코호흡밴드(10)는 코호흡밴드(10)의 이면에 점착면이 없어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이 노출되는 비점착부(5)가 코호흡밴드(10)의 이면 중간에 전길이에 걸쳐 형성됨에 따라 코호흡밴드(10)를 입술에 부착하였을 때, 비점착부(5)의 면적만큼 코호흡밴드(10)가 입술에 붙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비점착부(5)가 코호흡밴드(10)의 이면 중간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비점착부(5)가 형성된 위치가 상하 입술이 마주 닿으며 닫히는 부분으로 그 부분이 입술 중에서도 가장 부드럽고 연약한 부분인데, 그 부분에는 점착면이 없는 비점착부(5)가 대면하게 되어 피부호흡에 유리함은 물론이고, 코호흡밴드(10)을 사용 후 떼어낼 때 입술의 연약한 피부를 아프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이, 삼실시예의 경우에도 상하 점착부(2) 사이의 중간에 점착면이 없는 비점착부재(6)가 부착 형성됨에 따라 위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상하 입술이 맞닿는 부분에 점착면이 부착되지 않아 입술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사용 후 떼어낼 때 입술이 아프지 않게 하는 것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허브향은 약이나 향료로 쓰는 식물에서 추출한 향기, 또는 그런 것과 유사한 향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칼립투스(Eucalyptus), 프랑킨센스(Frankincense), 레몬(Lemon), 라벤더(Lavender), 팔마로사(Palmarosa), 티트리(Tea tree), 타임(Thyme)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신축성 통기원단(1)에 침투 포함된 하며, 그 외에도 마조람, 로즈마리, 바질, 세이지, 민트, 오레가노, 차이브, 파슬리, 딜, 펜넬 등의 허브향 또는 아로마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신축성 통기원단 2 : 점착부
3 : 점착면 비형성부 4 : 점착면
5 : 비점착부 6 : 비점착부재
7 : 밀봉포장대 10 : 코호흡밴드
3 : 점착면 비형성부 4 : 점착면
5 : 비점착부 6 : 비점착부재
7 : 밀봉포장대 10 : 코호흡밴드
Claims (5)
- 이면에 점착부가 구비된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입술에 부착하였을 때, 입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코로 호흡을 하도록 하는 코호흡밴드(10)에 있어서,
상기 코호흡밴드(10)는 신축성과 통기가 가능하며 옆으로 긴 신축성 통기원단(1)에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포함되어 입술에 부착한 신축성 통기원단(1)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코로 흡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호흡 밴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 상하부에는 입술에 탈부착되는 점착부(2)가 형성되고, 상하측 점착부(2)의 사이에는 점착면이 없으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이 노출되는 비점착부(5)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호흡 밴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통기원단(1)의 이면 전체면에는 점착부(2)가 형성되고, 점착부(2)의 중간에는 점착면이 없는 부직포 또는 거즈 등의 소재로 되는 소정폭의 비점착부재(6)가 부착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호흡 밴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호흡밴드(10)가 밀봉포장대(7)의 내측에 낱개로 밀봉되게 삽입된 상태로 포장되어 신축성 통기원단(1)에 포함되어 있는 허브 또는 아로마향이 휘발되어 소진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호흡 밴드.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2)는 점착성이 있는 점착면(4)과, 점착성이 없어 신축성 통기원단(1)이 소폭으로 노출되는 소정 폭의 점착면 비형성부(3)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호흡 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4617A KR20230071101A (ko) | 2023-04-25 | 2023-04-25 | 코호흡 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4617A KR20230071101A (ko) | 2023-04-25 | 2023-04-25 | 코호흡 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1101A true KR20230071101A (ko) | 2023-05-23 |
Family
ID=8654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4617A Pending KR20230071101A (ko) | 2023-04-25 | 2023-04-25 | 코호흡 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71101A (ko) |
-
2023
- 2023-04-25 KR KR1020230054617A patent/KR20230071101A/ko active Pending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s://smartstore.naver.com/cscone/products/7948127291(이우정 한의사 코숨테이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08198B2 (en) | Nasal aromatherapy dispenser clip | |
US20110079225A1 (en) | Personal Respiratory Filtration Apparatus | |
US20130118488A1 (en) | Nasal Therapeutic System | |
US6015425A (en) | Nasal air freshener for dental patients | |
SE0900066A1 (sv) | Propp att sätta i en passage såsom en näsborre eller örongång | |
JP5143970B1 (ja) | マスク | |
KR20230071101A (ko) | 코호흡 밴드 | |
JP3213595U (ja) | 香り付マスク | |
CN114250047A (zh) | 口罩膏、口罩和方法 | |
JP5241236B2 (ja) | 蒸気粒子を鼻腔に直接送り込むことを容易化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WO2012039358A1 (ja) | 美容健康マスク | |
WO1999022678A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adhesive devices such as strips, tapes, patches and the like, for application to the human body | |
KR100464769B1 (ko) | 건강 보조 마스크 | |
ES2368629B1 (es) | Dispositivo y método de restricción y filtrado de flujo ventilatorio nasal para impedir la entrada de sustancias alergénicas y para el fortalecimiento de la musculatura inspiratoria. | |
RU201252U1 (ru) |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ая лицевая маска с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 |
KR200279435Y1 (ko) | 건강 보조 마스크 | |
US20210316123A1 (en) | Facemask as a dosage form to administer active ingredient for therapy | |
KR200326336Y1 (ko) | 아로마테라피 고무를 겸비한 기능성 안면 마스크 | |
JP2004089655A (ja) | 薬効マスク | |
JP4660294B2 (ja) | 香り放散貼付材 | |
US20200376212A1 (en) | Oil-infused elastomeric therapeutic device | |
CN212036117U (zh) | 本草清新香功能型一次性或非一次性防护口罩 | |
KR200304089Y1 (ko) | 확장흡착형 코마스크의 구조 | |
US20240066088A1 (en) | Infused nasal strip | |
KR20220073210A (ko) | 패치가 포함된 마스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