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66131A -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 Google Patents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131A
KR20230066131A KR1020237014838A KR20237014838A KR20230066131A KR 20230066131 A KR20230066131 A KR 20230066131A KR 1020237014838 A KR1020237014838 A KR 1020237014838A KR 20237014838 A KR20237014838 A KR 20237014838A KR 20230066131 A KR20230066131 A KR 2023006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mol
glass
polyvinyl ac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코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13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32B17/10587Surface roughness created by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25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35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as a preformed layer, e.g. form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72Degassing during the l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as moul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98Peel strength; Peel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6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한 상태로 보관해도 자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가 3 개/㎟ 이상이며, 또한,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15 ∼ 75 % 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Description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적층한 상태로 보관해도 자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에 관한 것이다.
2 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가소화 폴리비닐부티랄을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시켜 얻어지는 합판 유리는, 특히 차량용 프론트 유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판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유리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할 때의 탈기성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는, 합판 유리 제조 시의 탈기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그 오목부를,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가지고, 인접하는 그 각선상(刻線狀)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탈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합판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롤상체로부터 권출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어도 2 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협지(挾持)하여 얻은 적층체를 고무 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고, 유리판과 중간막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하면서 예비 압착하고, 이어서,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가열 가압하여 본 압착을 실시하는 방법 등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합판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조의 효율화를 위해서,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항온 항습실 내에 적층하여 보관해 두는 것이 실시된다. 그러나, 보관 중에 적층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끼리가 접착 (자착) 되어 버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반송하는 기계나 인력으로는 박리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6789호
본 발명은, 상기 현상황을 감안하여, 적층한 상태로 보관해도 자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가 3 개/㎟ 이상이며, 또한,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15 ∼ 75 % 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를 갖는다. 이로써, 합판 유리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탈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블록상, 원뿔상, 각뿔상, 원뿔대상, 각뿔대상, 각기둥상, 원기둥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볼록부의 형상은 엠보스 롤이 전사된 형상이어도 된다.
도 1 에, 표면에 다수의 구상의 볼록부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냈다. 또, 도 2 에, 표면에 다수의 블록상의 볼록부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가 3 개/㎟ 이상이며, 또한,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15 ∼ 75 % 이다.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 및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이 범위 내이면, 적층된 상태로 보관해도 자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 가능해진다.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5 개/㎟,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2 개/㎟,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 개/㎟,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6 개/㎟ 이다.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 이상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한 상태로 보관했을 때에, 점접촉이 증가하여 하중이 분산되는 점에서, 보다 한층 자착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용이하게 박리 가능해진다.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의 바람직한 상한은 80 개/㎟,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3 개/㎟,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50 개/㎟,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30 개/㎟ 이다.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 이하이면, 볼록부를 부여할 때에 원하는 조도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특히 표면의 십점 평균 조도 Rz 를 용이하게 높게, 즉 거칠게 할 수 있고, 탈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유리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주연부(周緣部)가 시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탈기가 충분히 실시된 상태로 유리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전체를 시일할 수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투명성이 향상된다.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의 바람직한 하한은 26 %, 바람직한 상한은 65 %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4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8 % 이다.
도 3 에, 표면에 볼록부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끼리를 적층했을 경우를 설명하는 모식도를 나타냈다.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 및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했을 때에, 도 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의 표면의 볼록부끼리가 점접촉이 되어, 접촉 면적이 최소한이 되기 때문에, 적층한 상태로 보관해도 자착되는 경우가 없다. 이에 대하여,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가 작고,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작으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했을 때에,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의 표면의 볼록부끼리가 엇갈리게 되어 접촉하여, 접촉 면적이 커진다. 또,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가 크고,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크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했을 때에, 도 3(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의 표면의 볼록부끼리가 면접촉이 되어, 접촉 면적이 커진다.
상기 볼록부의 배치 밀도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3 차원 백색광 간섭형 현미경 (예를 들어, 부르카에이엑스에스사 제조, ContourGT-K) 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대물 렌즈의 배율을 50 배, 내부 렌즈의 배율을 0.5 배, 합판 유리용 중간막 표면을 4 mm 사방의 시야에서 측정하여 화상을 얻는다. 이 때, 광량 및 Threshhold 는, 노이즈가 측정에 최대한 들어가지 않는, 적절한 조건에서 실시한다. 또한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를 실시한 후에, 볼록부만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서, 추출된 높이 데이터로부터 볼록부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시야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1 ㎟ 당 볼록부 배치 밀도를 측정한다. 볼록부 중, 화상 중에서 전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1/2 로서 카운트한다. 화상 처리에는, 장치 부속의 해석 소프트인, 「Vision64」 를 사용할 수 있다.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 조건으로서는, 제 1 처리로서, Analysis Toolbox 상의 「Terms Removal (F-Operator)」 처리를 해석 조건 「Tilt only (Plane Fit)」 에서 실시하고, 제 2 처리로서, 「Statistic Filter」 처리를 해석 조건 「Filter type : Sigma」 및 「Filter size : 5」 에서 실시한다. 볼록부만의 면적을 추출하는 제 3 처리로서, 「Multi Region」 처리를 해석 조건으로 하여, Zerolevel 설정은 「Background」 를 선택, Region Finding Routine 설정은 「By Threshhold」 를 선택하고, 임계값을 1 ㎛ 로 하고, Region Finding option 설정은 「minimum Region size」 를 5000 ㎛2, 「Region Level」 을 Peaks 로 설정하고, 「Exculde Edge Region」 은 선택하지 않고 실시한다. 제 3 처리에 의해 추출된 볼록부의 개수를 계측하고, 1 ㎟ 당 볼록부 배치 밀도를 산출한다. 볼록부 중, 화상 중에서 전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1/2 로서 카운트한다.
상기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3 차원 백색광 간섭형 현미경 (예를 들어, 부르카에이엑스에스사 제조, ContourGT-K) 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대물 렌즈의 배율을 50 배, 내부 렌즈의 배율을 0.5 배, 합판 유리용 중간막 표면을 4 mm 사방의 시야에서 측정하여 화상을 얻는다. 이 때, 광량 및 Threshhold 는, 노이즈가 측정에 최대한 들어가지 않는, 적절한 조건에서 실시한다. 또한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를 실시한 후에, 볼록부만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한 높이 데이터의 볼록부의 면적을 적산하고, 1 ㎟ 당 볼록부 면적 비율을 산출한다.
화상 처리에는, 장치 부속의 해석 소프트인, 「Vision64」 를 사용할 수 있다.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 조건으로서는, 제 1 처리로서, Analysis Toolbox 상의 「Terms Removal (F-Operator)」 처리를 해석 조건 「Tilt only (Plane Fit)」 에서 실시하고, 제 2 처리로서, 「Statistic Filter」 처리를 해석 조건 「Filter type : Sigma」 및 「Filter size : 5」 에서 실시한다. 볼록부만의 면적을 추출하는 제 3 처리로서, 「Multi Region」 처리를 해석 조건으로 하여, Zerolevel 설정은 「Background」 를 선택, Region Finding Routine 설정은 「By Threshhold」 를 선택하고, 임계값을 1 ㎛ 로 하고, Region Finding option 설정은 「minimum Region size」 를 5000 ㎛2, 「Region Level」 을 Peaks 로 설정하고, 「Exculde Edge Region」 은 선택하지 않고 실시한다. 제 3 처리에 의해 볼록부 1 개당 면적이 산출되기 때문에, 추출된 볼록부의 면적을 적산하고, 1 ㎟ 중에서 볼록부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산출한다.
상기 볼록부를 갖는 표면은,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각선상(刻線狀)」 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2 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압착할 때의 공기의 빠지기 쉬움은, 상기 오목부의 저부의 연통성 및 평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상기 오목부의 형상을 각선상으로 함으로써, 그 저부의 연통성은 보다 우수하고, 현저하게 탈기성이 향상된다.
또한,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다」 란, 인접하는 상기 홈 형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병렬되어 있어도 되고, 인접하는 상기 각선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지만, 모든 인접하는 상기 각선상의 오목부의 간격이 등간격이 아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볼록부의 표면의 ISO 25178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면산술 평균 조도 Sa (이하, 「두정부(頭頂部) Sa 값」 이라고도 한다.) 는 20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정부 Sa 값은, 3 차원 백색광 간섭형 현미경을 사용하여 얻어진 중간막 표면의 화상을 화상 처리하여, 조대한 요철을 제거한 후에 산출하는, 면내의 산술 평균 높이를 나타내는 3 차원 형상 파라미터이다. 즉, Sa 는, 큰 요철을 제거한, 미세한 요철 형상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상기 두정부 Sa 값이 200 nm 이상이 되도록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의 요철 형상을 제어한 경우에는, 보다 자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정부 Sa 값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50 nm 이다.
상기 두정부 Sa 값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판 유리의 제조 시에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어도 2 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협지하여 압착했을 때에, 확실하게 요철이 찌그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3000 nm 정도가 실질적인 상한이다.
상기 두정부 Sa 값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즉, 3 차원 백색광 간섭형 현미경 (예를 들어, 부르카에이엑스에스사 제조, ContourGT-K) 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115 배, 내부 렌즈의 배율을 0.5 배, 해상도 설정을 Full resolution 으로 하는 조건에서, 합판 유리용 중간막 표면을 1 mm 사방의 시야에서 측정하여 화상을 얻는다. 이 때, 광량 및 Threshhold 는, 노이즈가 측정에 최대한 들어가지 않는, 적절한 조건에서 실시한다. 얻어진 화상에 대해,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Maskdata 처리로, 볼록부만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 영역에 대해 Guaussian 필터를 사용하여 조대한 요철을 제거한 후에, ISO 25178 로 규정되는 방법에 의해 면산술 평균 조도 Sa 값을 산출한다. 화상 처리에는, 장치 부속의 해석 소프트인, 「Vision64」 를 사용할 수 있다.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 조건으로서는, 제 1 처리로서, Analysis Toolbox 상의 「Terms Removal (F-Operator)」 처리를 해석 조건 「Tilt only (Plane Fit)」 에서 실시하고, 제 2 처리로서 「Statistic Filter」 처리를 해석 조건 「Filter type : Sigma」 및 「Filter size : 5」 에서 실시하고, 또한 「data Restore」 처리를 해석 조건 「Legacy」 를 선택하고, 또한, Restore Edge 조건을 선택, Iteration 조건은 데이터 보완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값으로 설정하여 실시한다. 볼록부만의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3 처리로서, 「Mask data」 처리를 해석 조건으로 하여, Histogram Mask 조건하에서 표시되는 히스토그램의 Height 가 0.2 ∼ -0.2 ㎛ 의 사이가 되도록 임계값을 결정하고, 「Mask : Left」 조건에서 임계값 이상의 높이 영역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임계값이 0.2 ∼ -0.2 ㎛ 의 사이로 설정되었는지는, 추출 후 데이터의 히스토그램 표시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조대한 요철을 제거하기 위해, 제 4 처리로서 「Gaussian Regression Filter」 처리를 해석 조건 「Short wavelength pass 조건하, order : 2, Type : Regular, Long wavelength cutoff : 0.025 mm」 또한 advace setup 는 초기 조건에서 실시한다. 제 1 부터 제 3 처리를 실시한 화상 데이터를 제 4 처리로서 「S parameters-height」 처리를 해석 조건 「Removal tilt : True」 에서 실시한 결과 얻어지는, 「Sa」 를 면산술 평균 조도 Sa 값으로 한다. 샘플이 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10 cm 사방 내를 각 측정점이 3 cm 이상 떨어지도록 하여 9 점을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Sa 값으로 한다.
또, 측정 시의 환경은 23 ℃ 및 30 RH% 하이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상기 볼록부를 갖는 측의 표면은, JIS B 0601 (1994)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십점 평균 조도 Rz 가 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한 상태로 보관했을 때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끼리의 접착력 (자착력) 을 보다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Rz 의 값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5 ㎛ 이다.
상기 Rz 의 값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어도 2 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협지하여 압착할 때에 확실하게 요철이 찌그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z 는, 예를 들어, 표면 조도 측정기 (고사카 연구소사 제조, SE1700α 등) 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디지털 신호를 데이터 처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상기 형상을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수지막의 표면에, 면산술 평균 조도 Sa 를 조정하여 두정부 Sa 값이 200 nm 이상이 되도록 하는 제 1 공정과, 볼록부를 부여하는 제 2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의 면산술 평균 조도 Sa 를 조정하여 두정부 Sa 값이 200 nm 이상이 되도록 하는 제 1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엠보스 롤법, 캘린더 롤법, 이형 압출법, 멜트프랙처를 제어한 엠보스 부여법 등에 의해 미세한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멜트프랙처를 제어한 엠보스 부여법에 있어서, 금형으로부터 필름을 압출하고 나서의 냉각 속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멜트프랙처를 제어한 엠보스 부여법에 있어서는, 금형으로부터 압출한 필름은 냉각 수조에서 냉각되지만, 이 때의 필름의 냉각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부여되는 요철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금형으로부터 냉각 수조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여 필름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소기의 면산술 평균 조도 Sa 를 달성할 수 있다. 그 외, 엠보스 롤법에서 사용하는 엠보스 롤의 표면 형상을 조정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된다.
상기 볼록부를 부여하는 제 2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엠보스 롤법, 캘린더 롤법,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엠보스 롤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1 층만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2 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 구조여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2 층 이상의 수지층으로서,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을 가지고, 또한,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이 상이한 성질을 가짐으로써, 1 층만으로는 실현이 곤란했던 여러 가지의 성능을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리덴-6 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 3 불화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탈,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 99.8 몰% 의 범위 내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0 을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미만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에 포함되어 있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의 바람직한 하한은 3, 바람직한 상한은 6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고, 또,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 알데히드의 탄소수를 6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비닐아세탈의 합성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가 3 ∼ 6 인 알데히드로서는, 직사슬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분지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예를 들어, n-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 10 인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 10 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 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수산기의 함유율 (수산기량) 은,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률을 백분률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 에 준거하거나 또는 ASTM D1396-92 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화도 (아세틸기량) 는,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과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합판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률을 백분률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하거나 또는 ASTM D1396-92 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탈화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 는,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3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3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과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률을 백분률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 또는 ASTM D1396-92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아세틸화도와 수산기의 함유율을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몰분률을 산출하고, 이어서, 100 몰% 에서 아세틸화도와 수산기의 함유율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수산기량), 아세탈화도 (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수산기량), 아세탈화도 (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아세탈과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등의 유기 가소제나, 유기 인산 화합물, 유기 아인산 화합물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가소제로서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층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수지층은,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합판 유리를 제조할 때에, 유리와 접촉하는 수지층은, 상기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로서 예를 들어,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염을 구성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옥틸산, 헥실산, 2-에틸부티르산, 부티르산, 아세트산, 포름산 등의 카르복실산의 유기산, 또는, 염산, 질산 등의 무기산을 들 수 있다. 합판 유리를 제조할 때에, 유리와 수지층의 접착력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와 접촉하는 수지층은, 접착력 조정제로서 마그네슘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접착력 조정제로서 변성 실리콘 오일, 난연제, 대전 방지제, 내습제, 열선 반사 제조, 열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그리고 차열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와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혼련하고, 중간막을 성형하는 제조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련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압출기, 플라스토그래프, 니더, 밴버리 믹서 또는 캘린더 롤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2 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2 층 이상의 수지층으로서, 적어도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을 가지고, 상기 제 1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이하, 폴리비닐아세탈 A 라고 한다.) 의 수산기량이, 상기 제 2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이하, 폴리비닐아세탈 B 라고 한다.) 의 수산기량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A 와 폴리비닐아세탈 B 의 성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1 층만으로는 실현이 곤란했던 여러 가지의 성능을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층의 상기 제 2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제 1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A 의 수산기량이 폴리비닐아세탈 B 의 수산기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1 수지층은 상기 제 2 수지층과 비교해서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수지층이 상기 제 2 수지층보다 유연해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차음성이 높아진다. 또, 2 층의 상기 제 2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제 1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A 의 수산기량이 폴리비닐아세탈 B 의 수산기량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 수지층은 상기 제 2 수지층과 비교해서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수지층이 상기 제 2 수지층보다 단단해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제 1 수지층 및 상기 제 2 수지층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100 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 (이하, 함유량 A 라고 한다.) 이, 상기 제 2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100 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 (이하, 함유량 B 라고 한다.) 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 층의 상기 제 2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제 1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함유량 A 가 상기 함유량 B 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 1 수지층은 상기 제 2 수지층과 비교해서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수지층이 상기 제 2 수지층보다 유연해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차음성이 높아진다. 또, 2 층의 상기 제 2 수지층의 사이에, 상기 제 1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함유량 A 가 상기 함유량 B 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 1 수지층은 상기 제 2 수지층과 비교해서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수지층이 상기 제 2 수지층보다 단단해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구성하는 2 층 이상의 수지층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수지층으로서 차음층과, 상기 제 2 수지층으로서 보호층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합판 유리의 차음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상기 차음층은 폴리비닐아세탈 X 와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폴리비닐아세탈 Y 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 층의 상기 보호층의 사이에, 상기 차음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우수한 차음성을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이하, 차음 중간막이라고도 한다.) 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차음 중간막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차음 중간막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은 차음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차음층은, 폴리비닐아세탈 X 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통상적으로,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00, 바람직한 상한은 5000 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를 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차음 중간막의 내관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5000 이하로 함으로써, 차음층의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00 이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하기 위한 알데히드의 탄소수의 바람직한 하한은 4, 바람직한 상한은 6 이다. 알데히드의 탄소수를 4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가소제를 안정적으로 함유시킬 수 있어, 우수한 차음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 알데히드의 탄소수를 6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비닐아세탈 X 의 합성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가 4 ∼ 6 인 알데히드로서는, 직사슬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분지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예를 들어, n-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수산기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30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수산기량을 30 몰% 이하로 함으로써, 차음성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어,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수산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8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6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4 몰%, 바람직한 하한은 10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수산기량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률을 백분률 (몰%) 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아세탈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60 몰%, 바람직한 상한은 85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아세탈기량을 60 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음층의 소수성을 높게 하고, 차음성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어,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이나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아세탈기량을 85 몰%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비닐아세탈 X 의 합성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아세탈기량의 하한은 65 몰% 가 보다 바람직하고, 68 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탈기량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아세틸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몰%, 바람직한 상한은 30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아세틸기량을 0.1 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음성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어, 블리드 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아세틸기량을 30 몰% 이하로 함으로써, 차음층의 소수성을 높게 하고,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세틸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8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 몰% 이다. 상기 아세틸기량은,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률을 백분률 (몰%) 로 나타낸 값이다.
특히, 상기 차음층에 차음성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용이하게 함유시킬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는, 상기 아세틸기량이 8 몰%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상기 아세틸기량이 8 몰% 미만, 또한, 아세탈기량이 65 몰%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는, 상기 아세틸기량이 8 몰%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상기 아세틸기량이 8 몰% 미만, 또한, 아세탈기량이 68 몰%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X 100 질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45 질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80 질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을 45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높은 차음성을 발휘할 수 있고, 8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나 접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 질량부이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경우에는,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50 ㎛ 이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를 5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차음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0 ㎛ 이다. 또한,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의 두께를 고려하면, 바람직한 상한은 300 ㎛ 이다.
상기 차음층은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가지고,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 큰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차음층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 형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차음층의 최소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50 ㎛ 이다. 상기 차음층의 최소 두께를 5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차음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차음층의 최소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0 ㎛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0 ㎛ 이다. 또한, 상기 차음층의 최대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의 두께를 고려하면, 바람직한 상한은 300 ㎛ 이다. 상기 차음층의 최대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20 ㎛ 이다.
상기 보호층은, 차음층에 포함되는 대량의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되어, 합판 유리용 중간막과 유리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내관통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보호층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아세탈 Y 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X 보다 수산기량이 큰 폴리비닐아세탈 Y 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Y 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통상적으로,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00, 바람직한 상한은 5000 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를 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5000 이하로 함으로써, 보호층의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00 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하기 위한 알데히드의 탄소수의 바람직한 하한은 3, 바람직한 상한은 4 이다. 알데히드의 탄소수를 3 이상으로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알데히드의 탄소수를 4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비닐아세탈 Y 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탄소수가 3 ∼ 4 인 알데히드로서는, 직사슬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분지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예를 들어, n-부틸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Y 의 수산기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33 몰%, 바람직한 하한은 28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Y 의 수산기량을 33 몰% 이하로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Y 의 수산기량을 28 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Y 는, 아세탈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이 60 몰%, 바람직한 상한이 80 몰% 이다. 상기 아세탈기량을 60 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내관통성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양의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아세탈기량을 80 몰%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보호층과 유리의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아세탈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9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Y 의 아세틸기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7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Y 의 아세틸기량을 7 몰% 이하로 함으로써, 보호층의 소수성을 높게 하고,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세틸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 몰% 이며, 바람직한 하한은 0.1 몰% 이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A, B, 및, Y 의 수산기량, 아세탈기량, 및, 아세틸기량은, 폴리비닐아세탈 X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Y 100 질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20 질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45 질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을 20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관통성을 확보할 수 있고, 45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나 접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3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3 질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41 질량부이다. 합판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향상되는 점에서,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향상되는 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 Y 의 수산기량은 폴리비닐아세탈 X 의 수산기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1 몰% 이상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몰% 이상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 몰% 이상 큰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X 및 폴리비닐아세탈 Y 의 수산기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차음층 및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차음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합판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 합판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향상되는 점에서, 상기 차음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X 100 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 (이하, 함유량 X 라고도 한다.) 은,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Y 100 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 (이하, 함유량 Y 라고도 한다.) 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부 이상 많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상 많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부 이상 많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함유량 X 및 함유량 Y 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차음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합판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보호층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는 범위로 조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상기 보호층 상에 요철을 갖는 경우에는, 직접 접하는 상기 차음층과의 계면에 대한 요철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가능한 범위에서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층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상이면, 상기 보호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100 ㎛,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0 ㎛,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400 ㎛,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450 ㎛ 이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충분한 차음성을 달성할 수 있는 정도로 차음층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는 500 ㎛ 정도가 상한이다.
상기 보호층은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가지고,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 큰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보호층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 형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보호층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는 범위로 조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상기 보호층 상에 요철을 갖는 경우에는, 직접 접하는 상기 차음층과의 계면에 대한 요철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가능한 범위에서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층의 최소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100 ㎛,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0 ㎛,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400 ㎛,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450 ㎛ 이다. 상기 보호층의 최대 두께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충분한 차음성을 달성할 수 있는 정도로 차음층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는 1000 ㎛ 정도가 상한이며, 800 ㎛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이란, 중간막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일단과 타단의 두께가 상이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를 헤드업 디스플레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때에, 이중 이미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어도 된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면, 합판 유리의 부착 각도에 따라, 쐐기형의 쐐기각 θ 를 조정함으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이중 이미지의 발생을 방지한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 이중 이미지를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쐐기각 θ 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mrad,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2 mrad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3 mrad, 바람직한 상한은 1 mrad,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9 mrad 이다. 또한, 예를 들어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는 방법에 의해 단면 형상이 쐐기형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을 경우, 얇은 측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약간 내측의 영역 (구체적으로는, 일단과 타단의 사이의 거리를 X 로 했을 때에, 얇은 측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 0X ∼ 0.2X 의 거리의 영역) 에 최소 두께를 가지고, 두꺼운 측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약간 내측의 영역 (구체적으로는, 일단과 타단의 사이의 거리를 X 로 했을 때에, 두꺼운 측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 0X ∼ 0.2X 의 거리의 영역) 에 최대 두께를 갖는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형상도 쐐기형에 포함된다.
상기 차음 중간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차음층과 보호층을, 압출법, 캘린더법, 프레스법 등의 통상적인 제막법에 의해 시트상으로 제막한 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1 쌍의 유리판의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합판 유리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유리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판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트판 유리, 연마판 유리, 형판 유리, 와이어 유리, 선판 유리, 착색된 판유리, 열선 흡수 유리, 열선 반사 유리, 그린 유리 등의 무기 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유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 코트층을 갖는 자외선 차폐 유리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플라스틱스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판으로서, 2 종류 이상의 유리판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투명 플로트판 유리와 그린 유리와 같은 착색된 유리판의 사이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한 합판 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유리판으로서, 2 종 이상의 두께가 상이한 유리판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한 상태로 보관해도 자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표면에 다수의 구상의 볼록부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표면에 다수의 블록상의 볼록부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표면에 볼록부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끼리를 적층했을 경우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조제
평균 중합도가 17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PVB, 아세틸기량 1 몰%, 부티랄기량 69.1 몰%, 수산기량 30 몰%) 100 질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0 질량부를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함으로써, 두께 760 ㎛ 의 수지막을 얻었다. 이 때, 멜트프랙처를 제어한 엠보스 부여법에 있어서, 금형으로부터 냉각 수조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100 mm 로 함으로써, 수지막의 표면에 미세한 엠보스를 부여했다 (제 1 공정).
얻어진 수지막의 표면에, 하기의 순서에 의해 다수의 구상의 볼록부를 부여했다. 밀을 사용하여 표면에 가공을 실시한 금속 롤과 45 ∼ 75 의 JIS 경도를 갖는 고무 롤로 이루어지는 1 쌍의 롤을 요철 형상 전사 장치로서 이용하고, 제 1 공정 후의 수지막을 이 요철 형상 전사 장치에 통과시키고, 일방의 표면에 다수의 구상의 볼록부를 부여했다. 이 때의 전사 조건으로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온도를 70 ℃, 롤 온도를 140 ℃, 선속을 10 m/min, 프레스압을 원하는 조도가 얻어지도록 조정했다.
이어서, 수지막의 타방의 면에도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다수의 구상의 볼록부를 부여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2)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 상태의 측정
(2-1) Rz 값의 측정
JIS B 0601 (1994)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중간막의 양면의 십점 평균 조도 (Rz) 를 측정했다. 측정기로서 고사카 연구소사 제조 「Surfcorder SE300」 을 이용하고, 측정 시의 촉침계 조건을, 컷오프치 = 2.5 mm, 기준 길이 = 2.5 mm, 평가 길이 = 12.5 mm, 촉침의 선단 반경 = 2 ㎛, 선단 각도 = 60 °, 측정 속도 = 0.5 mm/s 의 조건에서 측정을 실시했다. 측정 시의 환경은 23 ℃ 및 30 RH% 하였다. 촉침을 움직이는 방향은, 각선 형상의 홈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했다.
(2-2) 두정부 Sa 값의 측정
3 차원 백색광 간섭형 현미경 (부르카에이엑스에스사 제조, ContourGT-K) 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115 배, 내부 렌즈의 배율을 0.5 배, 해상도 설정을 Full resolution 으로 하는 조건에서, 합판 유리용 중간막 표면을 1 mm 사방의 시야에서 측정하여 화상을 얻었다. 화상 처리에는, 장치 부속의 해석 소프트인, 「Vision64」 를 사용했다.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 조건으로서는, 제 1 처리로서, Analysis Toolbox 상의 「Terms Removal (F-Operator)」 처리를 해석 조건 「Tilt only (Plane Fit)」 에서 실시하고, 제 2 처리로서, 「Statistic Filter」 처리를 해석 조건 「Filter type : Sigma」 및 「Filter size : 5」 에서 실시하고, 추가로 「data Restore」 처리를 해석 조건 「Legacy」 를 선택하고, 또한, RestoreEdge 조건을 선택, Iteration 조건은 데이터 보완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값으로 설정하여 실시했다. 볼록부만의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3 처리로서, 「Mask data」 처리를 해석 조건으로 하여, Histogram Mask 조건하에서 표시되는 히스토그램의 Height 가 0.2 ∼ -0.2 ㎛ 의 사이가 되도록 임계값을 결정하고, 「Mask : Left」 조건에서 임계값 이상의 높이 영역 데이터를 추출했다.
또한, 임계값을 0.2 ∼ -0.2 ㎛ 의 사이로 설정할 수 있었는지는, 추출 후 데이터의 히스토그램 표시로부터 확인했다. 조대한 요철을 제거하기 위해, 제 4 처리로서 「Gaussian Regression Filter」 처리를 해석 조건 「Short wavelength pass 조건하, order : 2, Type : Regular, Long wavelength cutoff : 0.025 mm」 또한 advace setup 는 초기 조건에서 실시했다. 제 1 부터 제 3 처리를 실시한 화상 데이터를 제 4 처리로서 「S parameters-height」 처리를 해석 조건 「Removal tilt : True」 에서 실시한 결과 얻어지는, 「Sa」 를 면산술 평균 조도 Sa 값으로 했다.
(2-3) 볼록부의 배치 밀도의 측정
3 차원 백색광 간섭형 현미경 (부르카에이엑스에스사 제조, ContourGT-K) 을 사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50 배, 내부 렌즈의 배율을 0.5 배, 합판 유리용 중간막 표면을 4 mm 사방의 시야에서 측정하여 화상을 얻었다. 이 때, 광량 및 Threshhold 는, 노이즈가 측정에 최대한 들어가지 않는, 적절한 조건에서 실시했다. 이어서, 화상 처리에는, 장치 부속의 해석 소프트인, 「Vision64」 를 사용했다.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 조건으로서는, 제 1 처리로서, Analysis Toolbox 상의 「Terms Removal (F-Operator)」 처리를 해석 조건 「Tilt only (Plane Fit)」 에서 실시하고, 제 2 처리로서, 「Statistic Filter」 처리를 해석 조건 「Filter type : Sigma」 및 「Filter size : 5」 에서 실시했다. 볼록부만의 면적을 추출하는 제 3 처리로서, 「Multi Region」 처리를 해석 조건으로 하여, Zerolevel 설정은 「Background」 를 선택, Region Finding Routine 설정은 「By Threshhold」 를 선택하고, 임계값을 1 ㎛ 로 하고, Region Finding option 설정은 「minimum Region size」 를 5000 ㎛2, 「Region Level」 을 Peaks 로 설정하고, 「Exculde Edge Region」 은 선택하지 않고 실시했다. 제 3 처리에 의해 추출된 볼록부의 개수를 계측하여, 1 ㎟ 당 볼록부 배치 밀도를 산출했다. 볼록부 중, 화상 중에서 전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1/2 로서 카운트했다.
(2-4) 볼록부가 표면 중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의 측정
3 차원 백색광 간섭형 현미경 (부르카에이엑스에스사 제조, ContourGT-K) 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대물 렌즈의 배율을 50 배, 내부 렌즈의 배율을 0.5 배, 합판 유리용 중간막 표면을 4 mm 사방의 시야에서 측정하여 화상을 얻었다. 이 때, 광량 및 Threshhold 는, 노이즈가 측정에 최대한 들어가지 않는, 적절한 조건에서 실시했다. 이어서, 화상 처리에는, 장치 부속의 해석 소프트인, 「Vision64」 를 사용했다. 평탄화 처리 및 노이즈 제거 처리 조건으로서는, 제 1 처리로서, Analysis Toolbox 상의 「Terms Removal (F-Operator)」 처리를 해석 조건 「Tilt only (Plane Fit)」 에서 실시하고, 제 2 처리로서, 「Statistic Filter」 처리를 해석 조건 「Filter type : Sigma」 및 「Filter size : 5」 에서 실시했다. 볼록부만의 면적을 추출하는 제 3 처리로서, 「Multi Region」 처리를 해석 조건으로 하여, Zerolevel 설정은 「Background」 를 선택, Region Finding Routine 설정은 「By Threshhold」 를 선택하고, 임계값을 1 ㎛ 로 하고, Region Finding option 설정은 「minimum Region size」 를 5000 ㎛2, 「Region Level」 을 Peaks 로 설정하고, 「Exculde Edge Region」 은 선택하지 않고 실시했다. 제 3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볼록부 1 개당 면적을 적산하고, 1 ㎟ 중에 볼록부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산출했다.
(실시예 2 ∼ 6, 비교예 1 ∼ 5)
표면 상태가 표 1, 2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금속 롤의 형상 및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에 준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다.
(실시예 7 ∼ 8)
금형으로부터 냉각 수조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50 mm 로 하고, 표면 상태가 표 1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금속 롤의 형상 및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에 준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다.
(비교예 6)
금형으로부터 냉각 수조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300 mm 로 하고, 표면 상태가 표 2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금속 롤의 형상 및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에 준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다.
(실시예 9 ∼ 16)
표면 상태가 표 3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금속 롤의 형상 및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에 준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다.
(실시예 17, 18)
사용하는 폴리비닐부티랄의 조성을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또한, 표면 상태가 표 3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금속 롤의 형상 및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에 준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다.
(실시예 19)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평균 중합도가 17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PVB, 아세틸기량 1 몰%, 부티랄기량 69 몰%, 수산기량 30 몰%) 100 질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36 질량부를 첨가했다.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중간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평균 중합도가 30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PVB, 아세틸기량 12.5 몰%, 부티랄기량 64.2 몰%, 수산기량 23.3 몰%) 100 질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76.5 질량부를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중간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작)
얻어진 중간층용 수지 조성물과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 1 보호층, 중간층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및 보호층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 2 보호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3 층 구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또한, 요철 부여 후에 얻어지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 제 1 보호층 및 제 2 보호층의 두께가 각각 350 ㎛, 중간층의 두께가 100 ㎛ 가 되도록 압출 조건을 설정했다.
그 후, 표면 상태가 표 4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금속 롤의 형상 및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에 준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다.
(실시예 20 ∼ 24, 비교예 7 ∼ 8)
표면 상태가 표 4 및 표 5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금속 롤의 형상 및 전사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에 준한 방법에 의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대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 표 5 에 나타냈다.
(1) 자착력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세로 150 mm, 가로 150 mm 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 2 매를 겹치고, 그 위에 이형 처리로서 기재의 종이에 실리콘 코팅을 실시한 이형지를 개재하여 유리판 (무게 5.8 kg) 을 실었다. 이 상태에서, 온도 23 ℃, 습도 30 % 로 조정한 항온 항습층 중에 168 시간 방치했다.
그 후, 시험편 2 매의 단부 2 cm 를 박리시키고, 2 매의 시험편 단부를 각각 15 cm 폭의 파지 도구로 고정했다. JIS K-6854-3 (1999) 에 준거하여, 박리 속도를 50 cm/분으로 하고, 온도 23 ℃, 습도 30 % 의 환경하에서 2 매의 시험편간의 180 °박리 강도를 측정하고, 박리 거리가 50 mm 에서 200 mm 까지의 박리 강도의 평균치 (N/cm) 를 산출했다. 이것 이외의 조건은 JIS K-6854-3 (1999) 에 준거했다. 이것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자착력으로 했다.
또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반송하는 기계나 인력으로의 박리를 위해서는, 자착력은 0.5 N/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N/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N/c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 탈기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23 ℃, 습도 30 % 의 환경하에서 3 시간 보관한 후에, 2 매의 클리어 유리판 (세로 30 cm × 가로 30 cm × 두께 2.5 mm) 의 사이에 끼우고, 비어져 나온 부분을 잘라내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합판 유리 구성체 (적층체) 를 고무 백 내로 옮기고, 고무 백을 흡인 감압기에 접속하고, 가열함과 동시에 -30 kPa (절대 압력 16 kPa) 의 감압하에서 10 분간 유지하고, 합판 유리 구성체 (적층체) 의 온도 (예비 압착 온도) 가 70 ℃ 가 되도록 가열한 후, 대기압으로 되돌려 예비 압착을 종료했다. 또한, 상기 예비 압착 개시 시의 유리의 표면 온도 (탈기 개시 온도) 는 60 ℃ 로 했다.
예비 압착된 합판 유리 구성체 (적층체) 를 오토클레이브 중에 넣고, 온도 140 ℃, 압력 1300 kPa 의 조건하에서 10 분간 유지한 후, 50 ℃ 까지 온도를 내려 대기압으로 되돌림으로써 본 압착을 종료하여, 합판 유리를 제작했다.
얻어진 합판 유리를 140 ℃ 의 오븐 중에서 2 시간 가열했다. 이어서, 오븐에서 꺼내 3 시간 방랭한 후, 합판 유리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테스트 매수를 각 20 매로 하고, 합판 유리에 발포 (기포) 가 생긴 매수를 조사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탈기성을 평가했다.
○ : 발포가 생긴 매수가 5 매 이하
× : 발포가 생긴 매수가 5 매를 초과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한 상태로 보관해도 자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본원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발명.
KR1020237014838A 2015-04-15 2016-04-13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Pending KR202300661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3432 2015-04-15
JP2015083432 2015-04-15
KR1020177024817A KR20170137049A (ko) 2015-04-15 2016-04-13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PCT/JP2016/061915 WO2016167287A1 (ja) 2015-04-15 2016-04-13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817A Division KR20170137049A (ko) 2015-04-15 2016-04-13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131A true KR20230066131A (ko) 2023-05-12

Family

ID=571266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838A Pending KR20230066131A (ko) 2015-04-15 2016-04-13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20177024817A Ceased KR20170137049A (ko) 2015-04-15 2016-04-13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817A Ceased KR20170137049A (ko) 2015-04-15 2016-04-13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32541B2 (ko)
EP (1) EP3284731A4 (ko)
JP (1) JP6971029B2 (ko)
KR (2) KR20230066131A (ko)
CN (1) CN107406317B (ko)
MX (1) MX2017012973A (ko)
RU (1) RU2719860C2 (ko)
TW (1) TWI751107B (ko)
WO (1) WO2016167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6103B (zh) * 2015-04-10 2023-02-24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2020503192A (ja) * 2016-12-29 2020-01-30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hud)用pvbフィルム、並びにその成形型及び成形方法
WO2018135495A1 (ja) * 2017-01-17 2018-07-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充填接合材、保護シート付き充填接合材、積層体、光学デバイス及び光学デバイス用保護パネル
US11648755B2 (en) 2017-02-03 2023-05-16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 glass intermediate film and laminated glass
KR20230067709A (ko) * 2017-03-31 2023-05-1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합판 유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89A (ja) 1994-07-22 1996-01-3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532A (en) 1981-03-12 1982-09-17 Mitsubishi Monsanto Chem Co Intermediate membrane made of thermoplastic resin
JPS60204643A (ja) * 1984-03-30 1985-10-16 Sekisui Chem Co Ltd 合せガラス用中間膜
JPH05147981A (ja) * 1991-06-28 1993-06-15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3327990B2 (ja) * 1992-11-13 2002-09-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US5346569A (en) * 1993-05-17 1994-09-13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deairing an interface region
US5965235A (en) * 1996-11-08 1999-10-12 The Procter & Gamble Co. Three-dimensional, amorphous-patterned, nesting-resistant sheet material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JP2000203901A (ja) * 1999-01-14 2000-07-25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0319045A (ja) * 1999-05-06 2000-11-21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2292427B1 (en) 1999-07-01 2012-05-23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JP3953270B2 (ja) * 2000-11-20 2007-08-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ンボスロールの製造方法
MXPA04008400A (es) 2002-02-28 2004-11-26 Solutia Inc Laminados reflejantes repujados.
CN101300133A (zh) * 2005-09-01 2008-11-05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部分由塑料板构成的夹层玻璃的制造方法及夹层玻璃
US7678441B2 (en) * 2005-12-02 2010-03-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yers for laminated safety glass with superior de-airing and laminating properti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4324183B2 (ja) * 2006-08-01 2009-09-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ンボスロール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RU91716U1 (ru) * 2008-07-18 2010-02-27 Александр Павлович Паскин Многослойная композиция
US9248628B2 (en) * 2013-02-07 2016-02-02 Solutia Inc. Glass laminate using textured adhesive
CN104059554B (zh) * 2014-06-12 2017-06-27 浙江德斯泰新材料股份有限公司 温度感应变色聚乙烯醇缩丁醛中间膜及其制备方法
CN112876103B (zh) * 2015-04-10 2023-02-24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89A (ja) 1994-07-22 1996-01-3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12973A (es) 2018-02-01
TW201704301A (zh) 2017-02-01
KR20170137049A (ko) 2017-12-12
JPWO2016167287A1 (ja) 2018-02-08
RU2719860C2 (ru) 2020-04-23
JP6971029B2 (ja) 2021-11-24
CN107406317B (zh) 2021-12-14
US10532541B2 (en) 2020-01-14
TWI751107B (zh) 2022-01-01
EP3284731A4 (en) 2018-12-19
CN107406317A (zh) 2017-11-28
RU2017135238A (ru) 2019-04-09
RU2017135238A3 (ko) 2019-09-05
EP3284731A1 (en) 2018-02-21
WO2016167287A1 (ja) 2016-10-20
US20180037008A1 (en)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647B1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716465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
KR102501344B1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합판 유리
KR20190072693A (ko) 차량용 프론트 유리
TWI678346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KR20230066131A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2021080163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21080162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77081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6688652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725292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97101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304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7024817

Filing date: 201709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