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65552A - High voltage connector - Google Patents

High voltag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552A
KR20230065552A KR1020210151230A KR20210151230A KR20230065552A KR 20230065552 A KR20230065552 A KR 20230065552A KR 1020210151230 A KR1020210151230 A KR 1020210151230A KR 20210151230 A KR20210151230 A KR 20210151230A KR 20230065552 A KR20230065552 A KR 20230065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terminal
housing
lever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용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552A/en
Publication of KR2023006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552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진동과 충격에 강해 차량의 가혹 조건 운행 시에도 크랙의 우려가 없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블레이드 터미널과,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에는 돌기 형태의 터미널 란스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터미널 란스를 고정하는 스냅핏 레버(snap-fit lever) 형태의 하우징 란스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 란스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연장된 레버 몸체와, 상기 레버 몸체의 선단에서 돌출된 접촉 레버와, 상기 접촉 레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 레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 란스에는 상기 터미널 란스가 삽입 및 고정되는 잠금 슬롯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voltage connector that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is resistant to vibration and shock, so that there is no risk of cracking even when a vehicle is operated under severe conditions, and includes a blade terminal and a connector housing in which the blade terminal is installed. A terminal lance in the form of a projection is formed on the blade terminal, and a housing lance in the form of a snap-fit lever for fixing the terminal lance is formed on the connector housing. That is, the housing lance includes a lever body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housing, a contact lever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lever body, and support lever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lever. At this time, a locking slot into which the terminal lance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housing lance.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High voltage connector {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블레이드 터미널을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블레이드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voltage connector including a blad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voltage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lade terminal can be stably fixedly installed in a connector housing.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기(전자) 장치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전기(전자) 장치들은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커넥터는 전원과 장치 사이, 장차와 장치 사이에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electric (electronic) devices to improve performance and convenience. These electrical (electronic) devi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through cables and connectors. That is, the connector serves to transfer power and signals between a power source and a device, and between a device and a device.

최근 생산되는 친환경 자동차, 즉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에는 고전압/고전류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전압 케이블과 고전압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produced eco-friendly vehicles, that is,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fuel cell vehicles, etc., use high voltage cables and high voltage connectors to transmit high voltage/high current power.

통상의 고전압 커넥터는, 커넥터의 기계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고전압 커넥터에 구비되는 터미널은 고전압/고전류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환봉의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된다.A typical high voltage connector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for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connector and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nector. At this time,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high voltage connector has a round bar shape to transmit power of high voltage/high current, and a spring is provided therein.

그런데,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은 인가되는 전류의 용량이 상승할 경우 환봉의 단면적을 증대시켜야 하므로 고전압 커넥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핑거 세이프티(finger safety)를 만족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high-voltage connector needs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und bar when the capacity of the applied current increases, the high-voltage connec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high-voltage connector increases and finger safety is not satisfied. .

이에, 최근에 생산되는 고전압 커넥터에는 블레이드 타입의 터미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전압 블레이드 터미널은, 메일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메일 블레이드 터미널과, 피메일 커넥터에 구비되는 X자 형상의 피메일 블레이드 터미널로 구성된다.Accordingly, blade-type terminals are applied to recently produced high-voltage connectors. The high voltage blade terminal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male blade terminal provided in the male connector and an X-shaped female blade terminal provided in the female connecto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커넥터의 블레이드 터미널(1)은 터미널 란스(2)와 하우징 란스(3)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4)에 고정 설치된다. 즉, 블레이드 터미널(1))에 형성된 돌기 형태의 터미널 란스(2)가 커넥터 하우징(4)에 형성된 스냅핏 후크(snap-fit hook) 형태의 하우징 란스(3)에 걸려 고정된다.As shown in FIG. 7 , the blade terminal 1 of the high voltage connector is fixedly installed in the connector housing 4 through the terminal lance 2 and the housing lance 3 . That is, the terminal lance 2 in the form of a protrusion formed on the blade terminal 1 is caught and fixed to the housing lance 3 in the form of a snap-fit hook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4.

한편, 고전압 커넥터에 대한 내열성 강화, 예컨대 UL94-V0 등급 이상의 내열성이 요구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을 난연 재료로 제작하고 있는데, 난연 재료의 경우 비난연 재료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며 진동과 충격에 약한 문제점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for enhanced heat resistance for high-voltage connectors, for example, heat resistance of UL94-V0 or higher, connector housings are made of flame retardant materials. .

이로 인하여, 블레이드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란스부(터미널 란스 및 하우징 란스)의 설계 강건화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가혹 조건 운행 시 란스부, 특히 스냅핏 후크 형태의 하우징 란스에서 크랙이 발생하였다.As a result, despite the strengthening of the design of the lance parts (terminal lance and housing lance) for fixing the blade terminal, cracks occurred in the lance part, especially the snap-fit hook-shaped housing lance, when the vehicle was operated under severe conditions.

또한, 스냅핏 후크 형태의 하우징 란스를 이용한 고정 방식은 블레이드 터미널의 조립 방향성을 고려한 역삽입 방지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해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 터미널을 역삽입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fixing method using a housing lance in the form of a snap-fit hook is not easy to apply a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blade terminal, so reverse insertion of the blade terminal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onnector frequently occurr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진동과 충격에 강해 차량의 가혹 조건 운행 시에도 크랙의 우려가 없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voltage connector that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is resistant to vibration and shock, so that there is no risk of cracking even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under harsh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역삽입 방지 구조를 적용하여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 터미널이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voltage connector capable of improving workability by preventing a blade terminal from being inserted in a reverse direction during a connector assembly process by applying a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는, 블레이드 터미널과,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A high voltag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lade terminal and a connector housing in which the blade terminal is installed.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에는 돌기 형태의 터미널 란스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터미널 란스를 고정하는 스냅핏 레버(snap-fit lever) 형태의 하우징 란스가 형성된다.A terminal lance in the form of a projection is formed on the blade terminal, and a housing lance in the form of a snap-fit lever for fixing the terminal lance is formed on the connector housing.

즉, 상기 하우징 란스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연장된 레버 몸체와, 상기 레버 몸체의 선단에서 돌출된 접촉 레버와, 상기 접촉 레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 레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 란스에는 상기 터미널 란스가 삽입 및 고정되는 잠금 슬롯이 형성된다.That is, the housing lance includes a lever body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housing, a contact lever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lever body, and support lever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lever. At this time, a locking slot into which the terminal lance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housing lance.

또한, 상기 터미널 란스는, 일면은 경사면이고 타면은 수직면인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lance is formed in a right triangle with one side inclined and the other side vertic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에는 스냅핏 레버(snap-fit lever) 형태의 하우징 란스가 마련되고, 하우징 란스에는 터미널 란스가 삽입 및 고정되는 잠금 슬롯이 형성되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진동과 충격에 강하여 차량의 가혹 조건 운행 시에도 크랙의 우려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using lance in the form of a snap-fit lever, and a locking slot into which the terminal lance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housing lance, which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vibration resistance It is strong against shock and impact, so there is no risk of cracking even when driving under harsh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터미널 란스가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 터미널을 역방향으로 삽입할 경우 접촉 레버에 의해 삽입이 제한되므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rminal lance is formed in a right-angled triangle and the insertion is restricted by the contact lever when the blade terminal is inse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assembly and improve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중 블레이드 터미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중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중 하우징 란스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중 블레이드 터미널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블레이드 터미널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 volt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terminal among high voltage conne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housing of a high volt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lance of a high volt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process of a blade terminal among high voltage conne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blade terminal installation structure of a high voltag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는, 블레이드 터미널(100)과, 블레이드 터미널(100)이 설치되는 커넥터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 a high voltage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de terminal 100 and a connector housing 200 in which the blade terminal 100 is installed.

도 2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터미널(100)은 플레이트 형상의 메일 블레이드 터미널과 체결되는 피메일 블레이드 터미널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한 쌍의 메일 블레이드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X자 형상의 피메일 블레이드 터미널이다.Referring to FIG. 2 , the blade terminal 100 is a female blade terminal coupled to a plate-shaped male blade terminal. More specifically, it is an X-shaped female blade terminal with both ends open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a pair of male blade terminals.

블레이드 터미널(100)은, 블레이드 터미널(100)의 외형을 이루는 터미널 바디(110)와, 터미널 바디(110)와 상대 터미널(미도시)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콘택트 스프링(120)으로 구성된다.The blade terminal 100 is composed of a terminal body 11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blade terminal 100 and a contact spring 120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110 and a counterpart terminal (not shown). .

터미널 바디(110)는 한 쌍의 상대 터미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X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콘택트 스프링(120)은 상대 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터미널 바디(110)와 콘택트 스프링(120)은 통전을 위하여 전도체인 구리로 제작된다.The terminal body 110 is formed in an X-shape with both ends open to connect a pair of mating terminals, and the contact spring 120 is formed in a U-shape with one end open to insert a mating terminal. At this time,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contact spring 120 are made of copper, which is a conductor for current.

본 실시예에서는 터미널 바디(110)와 콘택트 스프링(120)이 구리 재질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전도율과 강성을 가진 금속 재질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contact spring 120 are illustrated as being made of copper,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metal having constant conductivity and rigidity.

터미널 바디(11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1바디(112)와 제2바디(114)로 구성되며, 제1바디(112)와 제2바디(114)는 클린칭(clinching)을 통해 접합되어 양단이 개방된 X자 형상을 이룬다.The terminal body 110 is composed of a first body 112 and a second body 114 having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ody 112 and the second body 114 are formed through clinching. It is joined to form an X shape with both ends open.

전술한 터미널 바디(110)의 중단 양측(도면상 상하)에는 블레이드 터미널(100)을 커넥터 하우징(200)에 고정하기 위한 터미널 란스(130)가 형성된다.Terminal lances 130 for fixing the blade terminal 100 to the connector housing 200 are formed on both sides (top and bottom in the drawing) of the terminal body 110 described above.

터미널 란스(130)는 터미널 바디(110)의 중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직각삼각형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터미널 란스(130)의 일단(블레이드 터미널(100)의 결합방향 측 일단)은 경사면(132)으로 형성되고, 터미널 란스(130)의 타단(블레이드 터미널(100)의 분리방향 측 타단)은 수직면(134)으로 형성된다. The terminal lance 130 is formed in a right-angled triangle protrusion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middle of the terminal body 110 . That is, one end of the terminal lance 130 (one end on the coupling direction side of the blade terminal 10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lance 130 (the other end on the separation direction side of the blade terminal 100) is It is formed as a vertical surface (134).

이와 같이, 터미널 란스(130)를 직각삼각형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블레이드 터미널(100)의 역방향 삽입 시 터미널 란스(130)의 수직면(134)이 후술할 하우징 란스(230)의 선단에 접촉하게 되므로 블레이드 터미널(100)의 역방향 삽입을 제한한다.In this way, when the terminal lance 130 is formed in a right-angled triangle protrusion shape, when the blade terminal 100 is inse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vertical surface 134 of the terminal lance 13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23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reverse insertion of the blade terminal 100 is restricted.

따라서 블레이드 터미널(100)이 커넥터 하우징(200)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전압 커넥터(10)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lade terminal 100 from being erroneously assembled to the connector housing 200, and through this, the assembly workability of the high voltage connector 10 can be improved.

콘택트 스프링(120)은, 터미널 바디(1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몸체(122)와, 몸체(122)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콘택트(124)로 이루어지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ontact spring 120 is composed of a body 122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erminal body 110 and a plurality of contacts 124 integrally formed in the body 122, and one end so that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inserted. It is formed in an open U-shap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0)은, 커넥터 하우징(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몸체(210)와, 하우징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블레이드 터미널(100)를 고정하는 하우징 란스(2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connector housing 200 includes a housing body 21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connector housing 200 and a housing body 210 formed inside the housing body 210 and fixing the blade terminal 100. It consists of a housing lance 230.

하우징 몸체(210)는 상대 커넥터(미도시)와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블레이드 터미널(100)의 설치를 위한 수용공간(220)이 형성된다.The housing body 210 is formed in a hollow box shape to enable fastening with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and an accommodation space 220 for installing the blade terminal 100 is formed therein.

하우징 란스(230)는 하우징 몸체(2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서로 대향하게 위치된, 즉 수용공간(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The housing lances 230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body 210 and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a pair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0, respectivel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란스(230)는 수용공간(210)의 내벽에서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어 돌기 형태의 터미널 란스(130)를 고정하는 스냅핏 레버(snap-fit lever)이다.As shown in FIG. 4, the housing lance 230 is a snap-fit lever that protrudes in a cantilever shape from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0 and fixes the terminal lance 130 in the form of a protrusion.

그 구조를 살펴보면, 하우징 란스(230)는, 수용공간(210)의 내벽에서 돌출된 레버 몸체(232)와, 레버 몸체(232)의 선단에서 돌출된 접촉 레버(234)와, 접촉 레버(234)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 레버(236)로 이루어진다.Looking at its structure, the housing lance 230 includes a lever body 232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0, a contact lever 234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lever body 232, and a contact lever 234 ) It consists of support levers 236 provided on both sides of each.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몸체(232)의 헤드부(232a)와 목단부(232b)의 단면적은 종래의 스냅핏 후크(snap-fit hook) 형태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레버 몸체(232)의 헤드부(232a)의 단면적은 종래에 비해 약 74% 증가하였고, 목단부(232b)의 단면적은 약 37% 증가하였다.As shown in FIG. 4,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head portion 232a and the neck end portion 232b of the lever body 232 are larger than those of a conventional snap-fit hook.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 portion 232a of the lever body 232 is increased by about 74%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eck end portion 232b is increased by about 37%.

이와 같이, 레버 몸체(232)의 헤드부(232a)와 목단부(232b)의 단면적이 증가할 경우 난연 재료의 사용으로 인한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진동과 충격에 강하며 크랙의 우려가 없다.As such, when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head portion 232a and the neck end portion 232b of the lever body 232 are increased, the decrease in mechanical strength due to the use of flame retardant materials can be prevented, and it is resistant to vibration and shock, and there is no risk of cracking. there is no

하우징 란스(230)의 레버 몸체(232)에는 터미널 란스(130)가 삽입 고정되는 잠금 슬롯(238)이 형성된다. 잠금 슬롯(238)은 레버 몸체(232)의 상부와 하부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므로, 터미널 란스(130)와 하우징 란스(230)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하우징 란스(230)를 통해 터미널 란스(130)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A locking slot 238 into which the terminal lance 130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lever body 232 of the housing lance 230. Since the locking slot 238 has a shape that is open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lever body 232,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lance 130 and the housing lance 230 is minimized so that the terminal lance 130 through the housing lance 230 ) to prevent cracks caused by vibration and impact.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 몸체(232)의 선단에는 접촉 레버(234)와 지지 레버(236)가 마련된다. 이때, 접촉 레버(234)와 지지 레버(236)가 개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접촉 레버(234)와 지지 레버(236) 사이에는 슬릿(239)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lever 234 and the support lever 236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ver body 232 . At this time, a slit 239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lever 234 and the support lever 236 so that the contact lever 234 and the support lever 236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dividually.

접촉 레버(234)는 레버 몸체(232)의 선단에 마련되어 터미널 란스(130)와의 접촉 시 하우징 란스(130)를 탄성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접촉 레버(234)는 블레이드 터미널(100)의 역방향 삽입 시 터미널 란스(130)의 수직면(134)과 접촉하여 삽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act lever 23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ver body 232 and serves to elastically deform the housing lance 130 when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lance 130. In addition, the contact lever 234 serves to limit the insertion by contacting the vertical surface 134 of the terminal lance 130 when the blade terminal 100 is inse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이를 위하여, 접촉 레버(234)의 선단에는 터미널 란스(130)의 경사면(132)과 대응되는 챔퍼면(233)이 형성되고, 접촉 레버(234)의 후단에는 직각삼각형의 접촉 돌기(도 3의 235)가 형성된다.To this end, a chamfer surface 233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132 of the terminal lance 13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lever 234, and a right triangle contact protrusion (Fig. 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ontact lever 234. 235) is formed.

이와 같이, 접촉 레버(234)의 선단과 후단에 챔퍼면(233)과 접촉 돌기(도 3의 235)를 형성할 경우 블레이드 터미널(100)의 설치 시 하우징 란스(130)가 완만하게 변형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하우징 란스(130)로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hamfer surface 233 and the contact protrusion (235 in FIG. 3)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ntact lever 234, the housing lance 130 can be gently deformed when the blade terminal 100 is installed. By doing so, the stress applied to the housing lance 130 can be reduced.

지지 레버(236)는 레버 몸체(232)의 선단, 좀 더 상세하게는 접촉 레버(234)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하우징 몸체(210)와의 접촉 시 하우징 란스(23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한다.The support lever 236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ver body 232, more specifically,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lever 234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housing lance 230 upon contact with the housing body 210.

다시 말해, 지지 레버(236)는 블레이드 터미널(100)을 커넥터 하우징(20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란스(130)가 최대로 변형되는 만곡점에서 하우징 몸체(210)에 접촉하여 하우징 란스(23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하우징 란스(130)로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분산 및 저감시킨다.In other words, the support lever 236 contacts the housing body 210 at the bending point where the housing lance 130 is maxim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blade terminal 100 to the connector housing 200, thereby moving the housing lance 230 ) to distribute and reduce the stress applied to the housing lance 130 by limiting the elastic deform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블레이드 터미널 130: 터미널 란스
200: 커넥터 하우징 210: 하우징 몸체
230: 하우징 란스 232: 레버 몸체
234: 접촉 레버 236: 지지 레버
238: 잠금 슬롯
100: blade terminal 130: terminal lance
200: connector housing 210: housing body
230: housing lance 232: lever body
234: contact lever 236: support lever
238: lock slot

Claims (7)

블레이드 터미널과,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에는 돌기 형태의 터미널 란스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터미널 란스를 고정하는 스냅핏 레버(snap-fit lever) 형태의 하우징 란스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란스에는 상기 터미널 란스가 삽입 및 고정되는 잠금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A high voltage connector comprising a blade terminal and a connector housing in which the blade terminal is installed,
A protruding terminal lance is formed on the blade terminal,
A housing lance in the form of a snap-fit lever for fixing the terminal lance is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The high voltag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lance is formed with a locking slot into which the terminal lance is inserted and fix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란스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연장되고 상기 잠금 슬롯이 형성된 레버 몸체와, 상기 레버 몸체의 선단에서 돌출된 접촉 레버와, 상기 접촉 레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 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lance is composed of a lever body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housing and having the lock slot, a contact lever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lever body, and a support lev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lever. High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레버와 상기 지지 레버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 레버와 상기 지지 레버가 개별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A high-voltag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slit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lever and the support lever so that the contact lever and the support lever are individually elastically deform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 레버는 상기 터미널 란스와의 접촉 시 상기 하우징 란스를 탄성 변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high voltag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lever elastically deforms the housing lance when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la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 레버에는 상기 터미널 란스와 접촉되는 접촉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4,
The high voltag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contact protrusion contacting the terminal lance is formed on the contact lev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레버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의 접촉 시 상기 하우징 란스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high voltag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lever limits elastic deformation of the housing lance upon contact with the connector housin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란스의 일단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 레버는 상기 수직면과 접촉 시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의 삽입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One end of the terminal lance is formed as an inclined plan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as a vertical plane,
The high voltage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lever prevents misassembly of the blade terminal by limiting the insertion of the blade terminal when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KR1020210151230A 2021-11-05 2021-11-05 High voltage connector Pending KR202300655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30A KR20230065552A (en) 2021-11-05 2021-11-05 High voltag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30A KR20230065552A (en) 2021-11-05 2021-11-05 High voltage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552A true KR20230065552A (en) 2023-05-12

Family

ID=8638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230A Pending KR20230065552A (en) 2021-11-05 2021-11-05 High voltage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55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186B2 (e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US20120142233A1 (en) Dual contact beam terminal
KR100966225B1 (en) Electrical socket terminal with contact stabilizer
WO2013012010A1 (en) Joint connector
KR102651015B1 (en) Electric terminal
KR20240005055A (en) Board end connector for flexible connection to PCB board
WO2016208368A1 (en) Joint connector
EP1686663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lying force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US5791923A (en) Tab terminal with short circuiting spring member
US113941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CN211404810U (en) High-voltage interlocking mechanism for high-voltage connector
KR20230065552A (en) High voltage connector
CN218997127U (en)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KR102571701B1 (en) High voltage connector
KR101479056B1 (en) Shielded Connector
KR102768644B1 (en) connector
CN115189180B (en)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s
CN223066574U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4597750B2 (en) Female terminal fittings and connectors
CN113300139B (en) Floating connector
JPS61161679A (en) Electric connector for receptacle
CN220873890U (en) Electric connector
CN217405782U (en)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2003054B2 (en) Terminal system of a connector system
CN111509448B (en) Join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