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399A -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4399A KR20230064399A KR1020210149933A KR20210149933A KR20230064399A KR 20230064399 A KR20230064399 A KR 20230064399A KR 1020210149933 A KR1020210149933 A KR 1020210149933A KR 20210149933 A KR20210149933 A KR 20210149933A KR 20230064399 A KR20230064399 A KR 202300643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blade
- vehicle
- wiper
- wiper ar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4—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arranged in wiper bl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97—Additional means for guiding the blade other than the arm or blade joi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91—Additional elements being fixed on wipers or parts of wip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vers, antennae or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5—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supplying cleaning fluid to windscreen cleaners, e.g. was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29—Arm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일단부가 윈드쉴드글래스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며, 타단부에는 설치브라켓이 마련된 와이퍼암;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에 장착되며 윈드쉴드글래스를 세정하는 블레이드; 및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조립부에 설치되어 조립부와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되며 블레이드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세정액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노즐이 와이퍼암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조립되어 외부 환경 및 외력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노즐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블레이드 및 노즐의 간단한 조립구조를 통해 원가가 크게 절감된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운전시 강우, 강설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제한되는 경우, 윈드쉴드글래스를 세정하여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차량에 설치된 기구이다.
강우, 강설의 경우 세정액의 분사는 필요하지 않지만, 윈드쉴드글래스에 달라붙은 흙먼지,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정액의 분사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은 윈드쉴드글래스 하단부의 차량의 후드 또는 카울의 커버에 마련되었다.
위와 같은 방식은, 노즐이 윈드쉴드글래스의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세정액에 윌드쉴드글래스의 최상단까지 고르게 도포되지 못해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중력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세정액이 분사되어 세정액의 일부는 글래스가 아닌 차량의 카울 등 불필요한 곳에 세정액이 튀어 얼룩이 생겨 외관상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즐을 윈드쉴드글래스 하단이 아닌,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하는 방식을 차용하고, 노즐을 와이퍼 블레이드 중단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양방향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면 윈드쉴드글래스의 최상단, 최하단 모두에 세정액이 고루 분포되어 세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으나, 와이퍼 블레이드의 외부로 노출된 노즐이 강설시 쌓인 눈에 의해 파손되거나, 인위적인 외력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즐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마련하는 것은 와이퍼 블레이드와의 호환 문제가 있으며, 이는 곧 개발비의 상승으로 이어져 차량 가격 상승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에 노즐을 마련하는 방식에서 노즐을 와이퍼암의 내측으로 수용하여 노즐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삭제할 수 있으며, 노즐 및 블레이드를 와이퍼암에 직접 조립하는 방식을 차용하여 구조가 간단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일단부가 윈드쉴드글래스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며, 타단부에는 설치브라켓이 마련된 와이퍼암;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에 장착되며 윈드쉴드글래스를 세정하는 블레이드; 및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조립부에 설치되어 조립부와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되며 블레이드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세정액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조립부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설치브라켓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연장부를 통해 절곡부와 블레이드의 사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설치공간에 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노즐은 연장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연장부가 노즐 상부를 커버링할 수 있다.
절곡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노즐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걸림홈 끼워짐으로써 노즐이 절곡부에 조립될 수 있다.
노즐은 노즐바디 및 노즐바디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부로 구성되고, 절곡부는 노즐바디와 외측부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노즐바디와 외측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절곡부가 노즐바디와 외측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 마주하는 걸림돌기가 절곡부의 걸림홈에 끼워짐으로써 노즐이 절곡부에 조립될 수 있다.
노즐의 일면과 블레이드의 일면은 서로 접하도록 노즐이 조립될 수 있다.
블레이드에 접하는 노즐의 일면에는 탄성을 가진 지지체가 마련되어 블레이드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세정액을 노즐로 전달하기 위한 호스가 마련되어 노즐의 주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와이퍼암의 상단에는 와이퍼암을 커버링하는 커버가 마련되며, 커버의 일측에는 호스를 고정하기 위한 호스클립이 마련되어, 호스가 끼워질 수 있다.
설치브라켓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노즐은 노즐바디 및 노즐바디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부로 구성되며, 커버는 와이퍼암의 연장부까지 와이퍼암을 커버링하고, 절곡부는 커버링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노즐의 외측부가 와이퍼암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노즐에서 윈드쉴드글래스로 분사된 세정액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에 도달하며,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까지 세정액이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80ms 내지 90ms 일 수 있다.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은, 블레이드의 절반 길이를 L, 블레이드의 하단으로부터 노즐의 중심까지 거리를 D, 블레이드 하단 중심을 (0,0)이라고 가정했을 때, (0,0)에서 x축방향으로 L/3 내지 L/1.7 또는 -L/3 내지 -L/1.7 떨어져 있으며, y축 방향으로 2.3D 내지 3.3D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에 도달한 세정액이 윈드쉴드글래스와 접촉하여 블레이드의 양끝단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60ms 내지 180ms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따르면, 노즐을 와이퍼 블레이드 상에 설치하며, 특히 노즐을 와이퍼암 내측에 수용되도록 조립하여 외부 환경 또는 외력에 의한 노즐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착수점의 최적화 설계로, 노즐을 단수만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세정력을 얻을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와이퍼암 외부가 파손되더라도 내부 조립 구조의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노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나타낸 것.
도 2는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 노즐 및 블레이드를 나타낸 것.
도 3 및 4는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 절곡부에 노즐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
도 5의 (a)는 노즐, 블레이드가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후면도, (b)는 노즐 블레이드의 좌측 사시도.
도 6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우측 사시도.
도 7은 와이퍼암의 상단에 커버가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
도 8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노즐 후면 확대도.
도 9는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
도 2는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 노즐 및 블레이드를 나타낸 것.
도 3 및 4는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 절곡부에 노즐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
도 5의 (a)는 노즐, 블레이드가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후면도, (b)는 노즐 블레이드의 좌측 사시도.
도 6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우측 사시도.
도 7은 와이퍼암의 상단에 커버가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
도 8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노즐 후면 확대도.
도 9는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
이하, 상술한 목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있어 동일 분야의 공지된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발명의 핵심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변경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 노즐 및 블레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일단부가 윈드쉴드글래스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며, 타단부에는 설치브라켓(110)이 마련된 와이퍼암(100); 와이퍼암(100)의 설치브라켓(110)에 장착되며 윈드쉴드글래스를 세정하는 블레이드(300); 및 와이퍼암(100)의 설치브라켓(1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조립부(113)에 설치되어 조립부(113)와 블레이드(300) 사이에 위치되며 블레이드(300)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세정액을 분사하는 노즐(5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노즐(500)을 와이퍼 블레이드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노즐(500)을 와이퍼암(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즐(500)이 와이퍼 블레이드 상에 위치하여 양방향(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세정액을 분사하기 때문에 기존 차체 윈드쉴드글래스의 하단부측에 노즐이 위치하던 방식과 달리 불필요하게 차량의 카울 등에 세정액이 분사되어 카울이 오염되지 않으면서, 최적화된 조건으로 윈드쉴드글래스의 전면을 세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즐(500)이 와이퍼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노즐(500)을 보호하기 위한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노즐(500)을 블레이드(300)와 와이퍼암(100)의 설치브라켓(110) 조립부(113)에 위치시킴으로써 외부 환경 및 외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노즐(5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블레이드(300)는 설치브라켓(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블레이드결합부(117)에 조립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결합부(117)는 U자 형식의 후크로서, 블레이드의 중단에 위치한 블레이드조립부(317) 끼어져 블레이드가 설치브라켓(1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 노즐(500)은 설치브라켓(110) 조립부(113)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설치브라켓(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3-1) 및 연장부(113-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13-2)가 형성되고, 연장부(113-1)를 통해 절곡부(113-2)와 블레이드(300)의 사이에 설치공간(200)이 형성되며, 설치공간(200)에 노즐(500)이 배치될 수 있다.
노즐(500)은 조립부(113)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되며, 절곡부(113-2)에는 걸림홈(113-21)이 형성되고, 노즐(500)에는 걸림돌기(521)가 형성되어, 걸림돌기(521)가 걸림홈(113-21)에 끼워짐으로써 노즐(500)이 절곡부(113-2)에 조립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노즐(500)은 노즐바디(510) 및 노즐바디(510)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부(520)로 구성되고, 절곡부(113-2)는 노즐바디(510)와 외측부(520)의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때, 노즐바디(510)와 외측부(520)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521)가 각각 형성되고, 절곡부(113-2)가 노즐바디(510)와 외측부(520)의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 마주하는 걸림돌기(521)가 절곡부(113-2)의 걸림홈(113-21)에 끼워짐으로써 노즐(500)이 절곡부(113-2)에 조립될 수 있다.
노즐(500)의 외측부(520)는 바깥을 바라보며, 노즐바디(510)는 블레이드(30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조립되며, 노즐(500)은 설치브라켓(110) 연장부(113-1)의 하방에 배치되어 연장부(113-1)는 노즐(500) 상부를 커버링하여 노즐(500)을 보호하고, 절곡부(113-2)는 노즐(500)의 옆면을 커버링하여 노즐(500)을 보호한다.
다른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절곡부(113-2)의 하방에는 다리부(113-22)가 형성되며, 노즐(500)과 절곡부(113-2)의 조립시, 노즐(500)에 마련된 다리결합부(522)가 절곡부(113-2)의 다리부(113-22)와 대응하여 서로 접하면서, 절곡부(113-2)에 결합된 노즐(500)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걸림홈(113-21)에 끼워진 걸림돌기(521)는 절곡부(113-2)에 결합된 노즐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노즐(5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력에 의해 설치브라켓(110) 외부 구조가 일부 파손되어도 노즐(5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노즐(500)이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노즐(500)의 일면과 블레이드(300)의 일면은 서로 접하도록 노즐(500)과 블레이드(300)가 조립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 노즐(500)은 설치브라켓(110)의 절곡부(113-2)에 조립되며, 블레이드(300)는 설치브라켓(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블레이드결합부(117)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노즐(500)의 한 사이드 일면이 블레이드(300)의 한 사이드 일면과 접할 수 있다. 노즐(500)은 블레이드(300)와 밀하게 접하지 않으면 차량의 운행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세정액이 윈드쉴드글래스의 설계된 착수점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노즐(500)은 블레이드(300)와 밀하게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블레이드(300)에 접하는 노즐(500)의 일면에는 탄성을 가진 지지체(530)가 마련되어 블레이드(300)의 일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을 가진 지지체(530)가 블레이드(300)의 일면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세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시 블레이드(300) 선, 후단 속도차에 의한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세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300)와 노즐(500) 및 절곡부(113-2)와 노즐(500)을 계속적으로 접촉하게 만들어 외력에 의해 설치브라켓(110) 외부 구조가 일부 파손되어도 노즐(500)이 설치공간(200)을 이탈하지 않도록 노즐(500)을 고정하고, 노즐(500)은 계속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노즐(500)에는 세정액을 노즐(500)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540)가 마련되며, 더 나아가 세정액을 노즐(500)로 전달하기 위한 호스(600)가 마련되어 노즐(500)의 주입구(540)와 연결될 수 있다.
와이퍼암(100)의 상단에는 와이퍼암(100)을 커버링하는 커버(7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호스(600)는 커버(700)의 일측에 마련된 호스클립(710)에 끼워지며 커버(700)에 고정된다. 호스클립(710)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호스(600)는 호스클립(710)에 끼워져, 도 7과 같이 호스(600)의 상단은 커버(700)에 의해 커버링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호스(600)가 보호될 수 있다.
커버(700)는 와이퍼암(100)의 연장부(113-1)까지 와이퍼암(100)을 커버링하며, 절곡부(113-2)는 커버링하지 않음으로써 노즐(500)의 외측부(520)는 와이퍼암(1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노즐(500)의 양면에는 윈드쉴드글래스(900)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구(550)가 마련되어, 분사구(550)는 한면에 두개씩, 노즐에 총 네개가 마련될 수 있다.
분사구(550)에서 세정액이 분사되면 가장 처음 윈드쉴드글래스(900)와 접촉하게되는 제1착수점(910) 및 제2착수점(920)에 도달한다. 제1착수점(910)과 제2착수점(920)은 노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계되는데, 제1착수점(910) 및 제2착수점(920)까지 세정액이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80ms 내지 90ms 일 수 있다. 이때, 분사구(550)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압력은 1ba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착수점(910) 및 제2착수점(920)에 도달한 세정액은 윈드쉴드글래스(900) 표면에서 운동에너지가 표면장력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윈드쉴드글래스(900)에 넓게 확산되어 각각 블레이드(300)의 길이방향, 즉 블레이드(300)의 선단, 후단으로 유동한다.
이때, 분사구(550)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압력이 1bar 이상이면, 제1착수점(910) 및 제2착수점(920)에 도달한 세정액이 윈드쉴드글래스(900)와 접촉하여 블레이드(300)의 선단, 후단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60ms 내지 180ms 일 수 있다.
즉, 제1착수점(910)으로부터 블레이드 선단까지, 제2착수점(920)으로부터 블레이드 후단까지 확산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역시 80ms 내지 90ms 일 수 있다.
세정액이 블레이드(300)의 양 끝단까지 확산되는 시간을 160ms 내지 180ms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제1착수점(910) 및 제2착수점(920)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설계해야할 필요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블레이드(300)의 절반 길이를 L, 블레이드(300)의 하단으로부터 노즐(500)의 중심(분사구)까지 거리를 D, 블레이드(300) 하단 중심을 (0,0)이라고 가정했을 때, 제1착수점(910)의 x축 좌표인 I는 -L/3 내지 -L/1.7에 위치하며, 제2착수점의 x축 좌표인 I`은 L/3 내지 L/1.7에 위치하며, 제1착수점의 y축 및 제2착수점의 y축 좌표인 d 및 d`은 2.3D 내지 3.3D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된 세정액이 180ms 이내로 블레이드(300) 양 끝단으로 확산된 뒤, 블레이드(300)는 200ms 내지 300ms의 범위 안에서 작동하여 윈드쉴드글래스(900)를 세정하게 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전 세정액은 블레이드(300) 길이 방향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장착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의 (b)는 세정액 분사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노즐에서 세정액이 분사되어 블레이드의 양 끝단까지 설계된 시간 내에 세정액이 고루 분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적설 조건에 의한 내구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적설 60,000회 조건(시험온도 영하 30도, 10시간 이상 방치 후, 인공설을 분사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정지시까지 가장 낮은 회동 속도로 작동함)에서도 와이퍼 블레이드의 개별 부품들이 파손 혹은 이탈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더스트 건조 조건에서 윈드쉴드글래스 세정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며, 2, 23, 50도 모든 조건에서 세정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영하 20도의 상태에서 8시간 방치한 후 노즐의 세정액 분사가 제1,2착수점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는지 시험한 것으로, 영하 20도에서는 제1,2착수점을 타점하여, 혹독한 외부환경에서도 일정하게 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따르면, 노즐을 와이퍼 블레이드 상에 설치하며, 특히 노즐을 와이퍼암 내측에 수용되도록 조립하여 외부 환경 또는 외력에 의한 노즐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착수점의 최적화 설계로, 노즐을 단수만 사용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세정액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최적화된 세정액을 통하여 충분한 세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립 구조를 차용하기 때문에 타사 대비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조 및 교체에 드는 비용이 작아 차량의 원가 상승이 최소화되며, 교체비용도 합리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와이퍼암
300 : 블레이드
500 : 노즐
300 : 블레이드
500 : 노즐
Claims (15)
- 일단부가 윈드쉴드글래스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며, 타단부에는 설치브라켓이 마련된 와이퍼암;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에 장착되며 윈드쉴드글래스를 세정하는 블레이드; 및
와이퍼암의 설치브라켓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조립부에 설치되어 조립부와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되며 블레이드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세정액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노즐은 조립부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치브라켓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연장부를 통해 절곡부와 블레이드의 사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설치공간에 노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3에 있어서,
노즐은 연장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연장부가 노즐 상부를 커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3에 있어서,
절곡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노즐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끼워짐으로써 노즐이 절곡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3에 있어서,
노즐은 노즐바디 및 노즐바디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부로 구성되고, 절곡부는 노즐바디와 외측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6에 있어서,
노즐바디와 외측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절곡부가 노즐바디와 외측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 마주하는 걸림돌기가 절곡부의 걸림홈에 끼워짐으로써 노즐이 절곡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노즐의 일면과 블레이드의 일면은 서로 접하도록 노즐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8에 있어서,
블레이드에 접하는 노즐의 일면에는 탄성을 가진 지지체가 마련되어 블레이드의 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정액을 노즐로 전달하기 위한 호스가 마련되어 노즐의 주입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와이퍼암의 상단에는 와이퍼암을 커버링하는 커버가 마련되며, 커버의 일측에는 호스를 고정하기 위한 호스클립이 마련되어, 호스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1에 있어서,
설치브라켓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노즐은 노즐바디 및 노즐바디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부로 구성되며, 커버는 와이퍼암의 연장부까지 와이퍼암을 커버링하고, 절곡부는 커버링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노즐의 외측부가 와이퍼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노즐에서 윈드쉴드글래스로 분사된 세정액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에 도달하며,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까지 세정액이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80ms 내지 90m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은, 블레이드의 절반 길이를 L, 블레이드의 하단으로부터 노즐의 중심까지 거리를 D, 블레이드 하단 중심을 (0,0)이라고 가정했을 때, (0,0)에서 x축방향으로 L/3 내지 L/1.7 또는 -L/3 내지 -L/1.7 떨어져 있으며, y축 방향으로 2.3D 내지 3.3D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착수점 및 제2착수점에 도달한 세정액이 윈드쉴드글래스와 접촉하여 블레이드의 양끝단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60ms 내지 180m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9933A KR20230064399A (ko) | 2021-11-03 | 2021-11-03 |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US17/890,055 US11999321B2 (en) | 2021-11-03 | 2022-08-17 | Wiper blade for vehicle |
CN202211111441.XA CN116061881A (zh) | 2021-11-03 | 2022-09-13 | 用于车辆的雨刮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9933A KR20230064399A (ko) | 2021-11-03 | 2021-11-03 |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4399A true KR20230064399A (ko) | 2023-05-10 |
Family
ID=8614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9933A Pending KR20230064399A (ko) | 2021-11-03 | 2021-11-03 |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999321B2 (ko) |
KR (1) | KR20230064399A (ko) |
CN (1) | CN11606188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1938A (ko) | 2013-11-06 | 2016-07-08 | 페더럴-모걸 모터파츠 코오포레이숀 |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56526B1 (fr) * | 1996-11-29 | 1999-01-22 | Valeo Systemes Dessuyage |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perfectionne de projection de liquide de lavage |
DE19914122A1 (de) | 1999-03-27 | 2000-09-28 | Volkswagen Ag | Scheibenwischer für Fahrzeuge |
DE102010064178A1 (de) * | 2010-12-27 | 2012-06-28 | Robert Bosch Gmbh |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Kraftfahrzeugscheibenwischvorrichtung |
FR2975063B1 (fr) | 2011-05-12 | 2013-12-20 | Valeo Systemes Dessuyage | Dispositif d'essuyage de surface vitree de vehicule automobile |
DE102013212055A1 (de) | 2013-06-25 | 2015-01-08 | Robert Bosch Gmbh | Wischvorrichtung mit einer Waschwasserdüseneinheit |
FR3026705B1 (fr) | 2014-10-02 | 2018-01-19 | Valeo Systemes D'essuyage | Gicleur d'essuie-glace de vehicule |
JP6492748B2 (ja) | 2015-02-23 | 2019-04-03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ウォッシャノズル及びノズル付きワイパアーム |
JP6578771B2 (ja) | 2015-07-07 | 2019-09-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ワイパ装置 |
JP6282624B2 (ja) | 2015-10-22 | 2018-02-21 | 株式会社ミツバ | ワイパ装置 |
WO2017200065A1 (ja) * | 2016-05-18 | 2017-11-23 | アスモ株式会社 | 車両用ワイパ装置 |
DE102017206755A1 (de) | 2017-04-21 | 2018-10-25 | Robert Bosch Gmbh | Wischervorrichtung |
CN209757053U (zh) | 2019-02-15 | 2019-12-10 |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 刮水组件 |
-
2021
- 2021-11-03 KR KR1020210149933A patent/KR20230064399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08-17 US US17/890,055 patent/US11999321B2/en active Active
- 2022-09-13 CN CN202211111441.XA patent/CN116061881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1938A (ko) | 2013-11-06 | 2016-07-08 | 페더럴-모걸 모터파츠 코오포레이숀 |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061881A (zh) | 2023-05-05 |
US11999321B2 (en) | 2024-06-04 |
US20230137531A1 (en)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9470B1 (ko) | 윈드스크린 와이퍼 및 윈드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동 아암 상에 스크린 세정품 공급 덕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 |
US10562500B2 (en) | Wiper with hydraulic connector | |
WO2015059979A1 (ja) | ワイパブレード | |
US5239726A (en) | Windshield washer nozzle assembly retention bracket and hook plate | |
US7140064B1 (en) | Disposable scrubber attachment for wipers | |
KR20230064399A (ko) |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 | |
US10106130B2 (en) | Device for lateral spraying of a washing liquid for a wiper arm for a system for wiping a pane of a motor vehicle | |
CN201321019Y (zh) | 喷嘴及具有所述喷嘴的洗涤器 | |
US20190225193A1 (en) | Wiper System Including Washer Fluid Spray Member | |
JP7625699B2 (ja) | ワイパーアーム、ワイパー、および車両 | |
CN211001246U (zh) | 刮杆组件和刮水器 | |
CN115139987B (zh) | 一种柔性雨刷及雨刮器 | |
KR19980018060U (ko) | 자동차 와이퍼 암 헤드부 구조 | |
WO2019238223A1 (en) | A windscreen wiper arm, particularly for automobiles | |
KR19990020465A (ko) |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 |
KR200221093Y1 (ko) |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노즐 보호커버 | |
KR19990041343A (ko) | 자동차의 와이퍼 블레이드용 커버 | |
KR0141358B1 (ko) | 세척액노즐이 일체로 장착된 차량용 와이퍼아암 | |
JP2004322905A (ja) | 車両用ウォッシャノズルの脱着構造、ウォッシャノズル、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 |
KR101534736B1 (ko) | 차량용 워셔액 리저버 탱크 | |
KR920001830Y1 (ko) | 자동차용 윈도우 쉴드(Shield) 와셔액 분사노즐 | |
KR19980023084A (ko) | 와셔 일체형 자동차 와이퍼 어셈블리 구조 | |
KR19980040805U (ko) | 자동차의 백 와이퍼용 워셔 노즐 고정구조 | |
KR19980018017U (ko) | 자동차 와이퍼 마운팅 유니트 커버 | |
KR19980022054A (ko) | 와이퍼의 와셔액 분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