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63303A -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303A
KR20230063303A KR1020220095970A KR20220095970A KR20230063303A KR 20230063303 A KR20230063303 A KR 20230063303A KR 1020220095970 A KR1020220095970 A KR 1020220095970A KR 20220095970 A KR20220095970 A KR 20220095970A KR 20230063303 A KR20230063303 A KR 20230063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ata
exchange
target
exchange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09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303A/ko
Publication of KR2023006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30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8Driver interactions by enquiring 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은 배터리 데이터 수집부가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전기차 데이터 수집부가 전기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배터리 중 교환 대상이 되는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가 타겟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가 타겟 배터리의 교환 장소를 결정하는 단계와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가 타겟 배터리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battery change servic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로 구동되는 이동 수단(예를 들어,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온실 가스 절감을 위한 국가적 환경 규제 사업으로 전기 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충전을 위해 계통에 연계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수가 증가하면 충전으로 인해 계통에 투입되는 부하 또한 증가한다. 만약, 여러대의 전기 자동차가 동시에 충전될 경우, 이는 피크 전력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수요 급증은 계통의 전압 변동, 손실 증가, 심각할 경우 정전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는 충전을 위해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며 한정적인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충전소는 사용자의 충전 패턴에 따라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는 포화 상태가 되기 쉽다.
이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해서는 급속 충전인 경우에도 적지 않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충전을 하고자 하는 차량이 많을 경우, 충전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가 많이 보급되기 위해서는 배터리 충전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없이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여 충전 시간의 낭비 없이 바로 운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배터리를 교환 가능하게 하고 배터리 가치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시 동등 가치를 가진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은 배터리 데이터 수집부가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전기차 데이터 수집부가 전기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배터리 중 교환 대상이 되는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장소를 결정하는 단계와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경로 데이터와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예측 경로 데이터,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 및 제1 배터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사용자 충전 데이터와 제2 배터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배터리 임계값은 배터리 환경, 운행 환경 및 차량 운행 습관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배터리 임계값은 기존 전기차의 배터리 교환한 시기의 충전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는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및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제1 타입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이고, 상기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 가치의 변화를 고려한 제2 타입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데이터 수집부, 전기차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현된 전기차 데이터 수집부, 배터리 중 교환 대상이 되는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장소를 결정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는 경로 데이터와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고, 예측 경로 데이터,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 및 제1 배터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고 사용자 충전 데이터와 제2 배터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제1 배터리 임계값은 배터리 환경, 운행 환경 및 차량 운행 습관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배터리 임계값은 기존 전기차의 배터리 교환한 시기의 충전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는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및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제1 타입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이고, 상기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 가치의 변화를 고려한 제2 타입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충전 없이 배터리 교환 서비스가 제공되어 충전 시간의 낭비 없이 바로 운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 교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운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배터리를 교환 가능하게 하고 배터리 가치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시 동등 가치를 가진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 및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치 판단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치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기차라는 용어는 이동 수단(승용차, 오토바이, 트럭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교환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전기차의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즉,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배터리 충전을 통해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충전된 배터리를 바로 교체해줌으로써 배터리 충전에 걸리는 시간없이 완충된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배터리 데이터 수집부(100), 전기차 데이터 수집부(110),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120),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130),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140),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150), 배터리 관리부(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데이터 수집부(100)는 전기차의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전기차의 배터리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배터리 데이터 수집부(100)는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전기차의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배터리 데이터는 배터리 식별자 데이터,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식별자 데이터는 배터리를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에 부여된 식별 데이터이고, 배터리 상태 데이터는 현재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 데이터 수집부(110)는 전기차 데이터(예를 들어, 운행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전기차 데이터는 전기차의 운행과 관련된 운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운행 데이터는 전기차의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 경로 정보, 전기차 속도, 차량 운행 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120)는 배터리 중 배터리 교환 대상이 되는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데이터와 전기차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 중에 교환 대상이 되는 배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140)는 타겟 배터리의 교환을 위한 장소를 운전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140)는 배터리 데이터와 전기차 데이터를 기반으로 타겟 배터리의 교환을 위한 장소를 추천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130)는 타겟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운전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130)는 배터리 데이터와 전기차 데이터를 기반으로 타겟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추천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150)는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전기차는 배터리의 교환을 위해 배터리 교환 센터를 방문할 수 있고, 배터리 교환 센서틀 방문하는 전기차에게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60)는 배터리에 대한 관리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사용 환경, 배터리 사용시 주행 데이터, 배터리 충전 데이터 등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배터리 각각에 대해 관리하여 배터리 상태(또는 배터리 가치)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배터리 정보 수집부(100), 전기차 정보 수집부(110),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120),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130),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140),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150), 배터리 관리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에서 배터리 교환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는 배터리 데이터와 전기차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 중에 교환 대상이 되는 타겟 배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는 전기차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기차의 경로 데이터(210)와 배터리 데이터에 포함되는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220)를 기반으로 배터리 충전량을 기반으로 전기차가 경로에 목적지에 도착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기차가 목적지까지 현재 배터리 충전량을 기반으로 도착이 불가한 경우, 배터리가 타겟 배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는 예측 경로 데이터(230)와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240)를 기반으로 타겟 배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측 경로 데이터(230)는 목적지 외에 전기차의 예측 경로 데이터(230)를 고려하여 타겟 배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측 경로 데이터(230)는 직접적으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도 기존에 전기차가 이동하였던 경로 데이터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로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전기차인 경우, 예측 경로 데이터(230)와 예측 경로 데이터(230)에 따른 배터리 예측 사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는 배터리 예측 사용량과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240)를 고려하여 배터리 충전량이 제1 배터리 임계값(250)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배터리가 타겟 배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배터리 임계값(250)은 배터리 환경, 운행 환경 및 차량 운행 습관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는 경로가 예측되지 않는 경우, 제2 배터리 임계값(270)을 설정하여 타겟 배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배터리 임계값(270)은 기존에 전기차가 배터리 교환한 시기의 충전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충전 데이터(260)를 고려하여 운전자에 맞게 적응적으로 설정된 제2 배터리 임계값(270)을 기반으로 타겟 배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배터리 임계값(270)은 배터리 환경, 운행 환경 및 차량 운행 습관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 및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타겟 배터리의 결정 이후, 배터리 교환 장소 및 배터리 교환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타겟 배터리의 결정 이후,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300)는 타겟 배터리의 교환을 위한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300)의 배터리 교환 장소를 결정하고,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320)는 타겟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장소와 배터리 교환 시기는 세트로서 복수개 추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교환 추천1(배터리 교환 장소1, 배터리 교환 시기1), 배터리 교환 추천2(배터리 교환 장소2, 배터리 교환 시기2), 배터리 교환 추천3(배터리 교환 장소3, 배터리 교환 시기3) 등을 추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택하여 배터리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리 배터리 교환 추천을 선택하여 배터리 교환 센터를 방문하는 경우, 배터리 교환을 위한 스케줄링이 가능하므로, 배터리 교환시 할인이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장소는 기존 사용자의 운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존 운행 경로 상에 위치한 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시간은 기존 사용자 운행 경로 상에서 기존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되, 기존의 배터리 교환 스케줄링 데이터 및 기존의 차량 배터리 교환 방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빠르게 배터리를 교환 가능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300) 및 배터리 교환 시간 결정부(320)는 사용자가 루틴을 가지고 이동하는 경로 상에서 일상적으로 이동하는 시간에 사용자가 전기차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도록 추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의 배터리 교환 서비스가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는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현재 배터리 충전 상태를 기반으로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배터리 충전량이 1/5 정도 남은 경우, 현재 배터리 충전량이 1/3 정도 남은 경우, 배터리 교환 센터에서 충전을 위해 필요한 전력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는 교환 대상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충전량을 고려하여 배터리 교환 서비스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교환 대상 배터리의 배터리 충전량이 1/3 정도 남은 경우보다 교환 대상 배터리의 배터리 충전량이 1/5 정도 남은 경우,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배터리 교환 서비스 비용이 청구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교환 서비스 센터는 배터리를 교환시 2가지 타입(제1 타입 배터리(410) 및 제2 타입 배터리(420))으로 배터리를 구분하여 교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제1 타입 배터리(410)를 교환해주는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와 제2 타입 배터리(420)를 교환해주는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배터리(410)는 사용자 차량의 배터리 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교환해주는 배터리이고, 제2 타입 배터리(420)는 사용자 차량의 배터리 가치를 고려하여 교환해주는 배터리이다. 사용자는 제1 타입 배터리(410) 또는 제2 타입 배터리(420)를 고려하여 교환 요청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초기 배터리도 교체를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초기 배터리를 찾을 수 없다. 하지만, 사용자가 원할 경우, 사용자의 운행 데이터 및 배터리 사용 정보 등을 고려하여 교체 서비스를 하지 않고, 초기 배터리를 계속적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와 동일한 가치의 배터리를 다시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타입 배터리(410)로 계속적으로 사용하다가, 차량에 대한 판매가 필요하거나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일정 기간 이용하지 않을 경우, 제2 타입 배터리(420)를 요청하여 제2 타입 배터리(420)를 장착하여 전기차를 판매하거나, 본인이 직접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는 사용자가 제2 타입 배터리(420)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운행 데이터, 배터리 데이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의 가치 변화를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가치 변화를 고려한 제2 타입 배터리(420)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서비스부는 배터리 가치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는 배터리 가치 판단 장치와 연동되어 복수의 배터리 각각의 배터리 가치를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제2 타입 배터리(4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가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치 판단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배터리 잔존 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배터리 가치 판단 장치가 개시된다.
도 5을 참조하면, 배터리 잔존 가치 판단 장치는 배터리 정보 수집부(500),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510),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520), 배터리 가치 결정부(530) 및 프로세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정보 수집부(500)는 가치 판단 대상인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배터리 정보는 배터리 식별 정보, 배터리 사용 정보, 차량 운행 데이터 정보 등과 같은 배터리 가치 판단에 기초가 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510)는 배터리 진단 시험을 통해 직접적으로 배터리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510)는 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고, SoH는 초기 충전량 대비 얼마나 충전량을 유지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510)는 가치 판단 결과로서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515)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520)는 차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데이터는 해당 배터리를 사용하여 운행된 차량에 대한 데이터로서 차량 식별 데이터, 충전 기록 데이터(배터리 급속/완속 충전, 충전량(완충, 과충전)),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 차량 운행 데이터(주행 속도, 주행 거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520)는 가치 판단 결과로서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525)를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 가치 결정부(530)는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515)와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525)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배터리 가치를 결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가치 결정부(530)는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515)와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525)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배터리 가치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가치 결정부의 구체적인 배터리 가치 결정 방법은 후술한다.
프로세서(540)는 배터리 정보 수집부(500),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510),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520), 배터리 가치 결정부(5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동작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가 배터리 진단 시험을 통해 배터리의 SoH를 결정하여 직접적으로 배터리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는 전류 용량 기반 판단부(610) 및/또는 내부 저항 기반 판단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용량 기반 판단부(610)는 배터리의 노화시 일정한 경향을 가지고 변화하는 전류 용량과 내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SoH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가 노화되면 배터리 용량이 감소하므로 전류 용량 기반 판단부는 충방전시 전류 적산법을 통해 용량을 측정하여 SoH를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저항 기반 판단부(620)는 전기차 구동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단자 전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내부 저항을 예측하고 SoH를 결정할 수 있다.
내부 저항 기반 판단부(620)는 RC 레더(ladder)가 포함된 배터리 등가 회로 모델을 기반으로 충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배터리의 내부 저항(Rs)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SoH를 결정할 수 있다. Rs는 급격한 방전 전류 발생시 단자 전류과 전압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정된다. 이 때 단자 전압의 변화 (
Figure pat00001
V)는 순간적인 전압 변화에 기여하는 Rs로 인해 결정되며 긴 시정수를 가진 레더 전압은 무시할 수 있다. 전류 적산 오차 및 노화시 변화하는 용량으로 인한 오차를 해결하기 위해 단자 전압이 배터리의 최대 허용 전압에 도달하는 완전 충전 상태가 Rs 추정 시기로 결정될 수 있다.
전류 용량 기반 판단부(610)에 의해 결정된 제1 SoH(615)와 내부 저항 기반 판단부(620)에 의해 결정된 제2 SoH(625)를 기반으로 최종 SoH(650)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는 결정된 SoH를 기반으로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660)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SoH(615)와 제2 SoH(625)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최종 SoH(650)가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 식별자, 배터리 정보(배터리 연식, 배터리 사용 환경(예를 들어, 배터리 냉각 환경))에 따라 제1 SoH(615)와 제2 SoH(625) 각각에 서로 다른 SoH 가중치(wx, wy)(640)가 부여될 수 있다.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제1 가치 판단 결과와 실제 배터리 가치에 대한 배터리 가치 피드백 결과(645)를 고려하여 제1 SoH(615)와 제2 SoH(625) 각각의 가중치가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적응적으로 조정된 제1 SoH(615)와 제2 SoH(625) 각각을 기반으로 최종 SoH(650)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가 차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는 차량 식별 데이터(710), 충전 기록 데이터(720),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730), 차량 운행 데이터(740) 등을 기반으로 배터리 가치 판단을 수행하여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750)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식별 데이터(710)는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차종, 모델명, 연식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기록 데이터(720)는 배터리에 대한 추전 기록으로서 급속/완속 충전 여부, 충전 횟수, 충전시 충전량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730)는 배터리가 사용된 사용 환경으로서 배터리가 냉각되는 환경(공냉식, 수냉식 등), 배터리가 사용된 온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행 데이터(740)는 차량이 운행된 데이터로서 차량 운행 거리, 차량 운행 속도, 급출발/급가속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식별 데이터(710), 충전 기록 데이터(720),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730) 및 차량 운행 데이터(740)는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750)의 생성을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다른 다양한 데이터가 활용될 수도 있다.
차량 식별 데이터(710), 충전 기록 데이터(720),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730) 및 차량 운행 데이터(740) 각각은 4개의 하위 차량 데이터 좌표값(a, b, c, d)으로 표현될 수 있다. 차량 식별 데이터(710)는 하위 차량 데이터1, 충전 기록 데이터(720)는 하위 차량 데이터2,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730)는 하위 차량 데이터3, 차량 운행 데이터(740)는 하위 차량 데이터4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차량 식별 데이터(710), 충전 기록 데이터(720),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730) 및 차량 운행 데이터(740) 각각은 데이터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하나의 수치로서 표현될 수 있다.
차량 식별 데이터(710)는 차량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수치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모델 유사도, 차량 연식 유사도 각각에 대한 판단을 고려하여 차량 유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충전 기록 데이터(720)는 충전 기록 유사도를 고려하여 수치화될 수 있다. 충전 기록 데이터(720)에 포함되는 하위 데이터인 급속/완속 충전 여부 데이터 유사도, 충전 횟수 데이터 유사도, 충전시 충전량 데이터 유사도 각각이 수치화된 후 종합되어 충전 기록 유사도가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730)는 배터리 사용 환경 유사도를 고려하여 수치화될 수 있다. 배터리 냉각 환경 유사도, 배터리가 사용 온도 유사도 각각이 수치화된 후 종합되어 배터리 사용 환경 유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차량 운행 데이터(740)는 차량 운행 유사도를 고려하여 수치화될 수 있다. 차량 운행 거리 유사도, 차량 운행 속도 유사도, 급출발/급가속 횟수 유사도 각각이 수치화된 후 종합되어 차량 운행 유사도가 결정될 수 있다.
4차원의 제2 배터리 가치 판단 평면 상에 복수의 차량 각각의 차량 식별 데이터, 충전 기록 데이터,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 및 차량 운행 데이터가 하위 차량 데이터로서 4개의 하위 차량 데이터 좌표값(a, b, c, d)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복수의 차량 데이터 좌표값은 클러스터링되어 제1 클러스터링 집합(제1 클러스터1 내지 제1 클러스터n)(715)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하위 차량 데이터 좌표값은 그룹핑되어 다른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식별 데이터(710), 충전 기록 데이터(720)가 하나의 하위 차량 데이터 그룹1을 형성되고, 충전 기록 데이터(730),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740)가 하나의 하위 차량 데이터 그룹2를 형성할 수 있다.
하위 차량 데이터 그룹1과 하위 차량 데이터 그룹2 각각은 마찬가지 방식으로 유사도를 고려하여 2차원의 제2 배터리 가치 판단 평면 상에 하위 차량 데이터 그룹1과 하위 차량 데이터 그룹2 각각이 차량 데이터 좌표값(a, b)로 표현될 수 있다. 하위 차량 데이터 그룹1과 하위 차량 데이터 그룹2에 대응되는 차량 데이터 좌표값은 클러스터링되어 제2 클러스터링 집합(제2 클러스터1 내지 제2 클러스터n)(7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하위 차량 데이터의 조합을 기반으로 제1 클러스터 집합(715) 내지 제n 클러스터 집합이 형성되고, 제1 클러스터 집합(715) 내지 제n 클러스터 집합은 가치 판단 결과와 실제 배터리 가치에 대한 피드백 결과를 고려하여 제1 클러스터 집합 내지 제n 클러스터 집합 중 일부 클러스터만이 유효 클러스터 집합으로 결정하여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750)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가 피드백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위 차량 데이터인 차량 식별 데이터, 충전 기록 데이터,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 및 차량 운행 데이터 각각에 대한 가중치에 대한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 차량 식별 데이터, 충전 기록 데이터, 배터리 사용 환경 데이터 및 차량 운행 데이터 각각에 대한 가중치로서 (w1, w2, w3, w4) 각각은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의 제2 가치 판단 결과와 실제 배터리 가치에 대한 피드백 결과를 기반으로 조정될 수 있다. (w1, w2, w3, w4)는 하위 차량 데이터 가중치(480)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1차적으로 동일 가중치 기반의 클러스터 기반의 예측 결과가 수행되고, 피드백 결과를 기반으로 (w1, w2, w3, w4)가 어떻게 설정되었을 경우에 가치 판단 결과와 실제 배터리 가치에 오차가 최소가 되는지에 대해 판단될 수 있다.
(w1, w2, w3, w4) 값에 따라 제2 배터리 가치 판단 평면 상의 좌표축의 스케일이 변화될 수 있다. 가중치가 높을수록 서로 더 가깝게 설정되도록 제2 배터리 가치 판단 평면 상의 좌표축의 스케일이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 조정은 전술한 클러스터 집합 단위(제1 클러스터 집합 내지 제n 클러스터 집합)로 수행될 수 있다.
가치 판단 결과와 실제 배터리 가치에 대한 배터리 가치 피드백 결과(820)는 배터리의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체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배터리 사용에 대한 데이터가 쌓일수록 (w1, w2, w3, w4)가 최적으로 설정되어 보다 정확한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450)가 생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치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배터리 가치 결정부에서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와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 각각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배터리 가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배터리 가치 판단부는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910)를 결정하고, 제2 배터리 가치 판단부는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920)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가치 결정부는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910)와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920)를 기반으로 배터리 가치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가치 데이터는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910)와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920)를 기반으로 결정되되,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910)와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920) 각각에 대한 가중치(wa, wb)가 적용되어 결정될 수 있다.
(wa, wb)는 배터리 가치 데이터 가중치(930)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배터리 가치 데이터 가중치(930)는 가치 판단 결과와 실제 배터리 가치에 대한 피드백 결과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치 결정부는 아래의 순서로 가중치에 대한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1) 하위 차량 데이터 가중치(w1, w2, w3, w4)
2) 제2 배터리 가치 데이터 가중치 wb 조정
3) SoH 가중치(wx, wy)
4) 제1 배터리 가치 데이터 가중치 wa 조정
1), 2)는 데이터 기반 가중치 조정이고, 3), 4)는 물리 및 화학적 원리 기반 가중치 조정일 수 있다. 데이터 기반 조정은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물리 및 화학적 원리 기반 가중치 조정은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반 가중치 조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이후에 물리 및 화학적 원리 기반 가중치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배터리 가치 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은,
    배터리 데이터 수집부가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전기차 데이터 수집부가 전기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배터리 중 교환 대상이 되는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장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경로 데이터와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예측 경로 데이터,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 및 제1 배터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가 사용자 충전 데이터와 제2 배터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배터리 임계값은 배터리 환경, 운행 환경 및 차량 운행 습관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배터리 임계값은 기존 전기차의 배터리 교환한 시기의 충전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는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및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제1 타입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이고,
    상기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 가치의 변화를 고려한 제2 타입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데이터 수집부;
    전기차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현된 전기차 데이터 수집부;
    배터리 중 교환 대상이 되는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교환 시기 결정부;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장소를 결정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교환 장소 결정부; 및
    상기 타겟 배터리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환 대상 결정부는 경로 데이터와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고, 예측 경로 데이터, 배터리 충전량 데이터 및 제1 배터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고 사용자 충전 데이터와 제2 배터리 임계값을 기반으로 타겟 배터리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제1 배터리 임계값은 배터리 환경, 운행 환경 및 차량 운행 습관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배터리 임계값은 기존 전기차의 배터리 교환한 시기의 충전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환 서비스부는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및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제1 타입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이고,
    상기 제2 타입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사용자의 초기 배터리 가치의 변화를 고려한 제2 타입 배터리에 대한 교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환 시스템.
KR1020220095970A 2021-11-01 2022-08-02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ending KR20230063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70A KR20230063303A (ko) 2021-11-01 2022-08-02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64A KR102433929B1 (ko) 2021-11-01 2021-11-01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220095970A KR20230063303A (ko) 2021-11-01 2022-08-02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64A Division KR102433929B1 (ko) 2021-11-01 2021-11-01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303A true KR20230063303A (ko) 2023-05-09

Family

ID=831135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64A Active KR102433929B1 (ko) 2021-11-01 2021-11-01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220095970A Pending KR20230063303A (ko) 2021-11-01 2022-08-02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64A Active KR102433929B1 (ko) 2021-11-01 2021-11-01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36848A1 (ko)
KR (2) KR102433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48959B2 (en) * 2022-10-28 2025-03-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replacement control device and battery replacement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50104090A1 (en) * 2023-09-22 2025-03-27 Allstate Insurance Company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greenhouse gas monitoring and control
KR102745018B1 (ko) * 2023-12-22 2024-12-24 (주)에너캠프 전기 자동차의 예비 전력원 운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0036B (zh) * 2013-11-28 2021-08-0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信息输出方法以及信息输出系统
KR102352434B1 (ko) * 2015-05-29 2022-01-18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200002302A (ko) * 2018-06-29 2020-01-08 서훈 배터리 교체 관리 시스템
KR102205208B1 (ko) * 2019-05-29 2021-01-19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운전자를 위한 배터리의 충전 및 교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36330A1 (en) * 2020-07-30 2022-02-03 Lyves Hatcher Pte. Ltd. Swappable Battery System And Method, Electric Vehicles, Battery As A Service (BaaS)
CN115723617A (zh) * 2021-08-31 2023-03-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自动换电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028882A1 (zh) * 2021-08-31 2023-03-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能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48959B2 (en) * 2022-10-28 2025-03-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replacement control device and battery replacement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929B1 (ko) 2022-08-19
US20230136848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63303A (ko)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111360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xchangeable energy storage device stations
US20240391355A1 (en) Supplying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JP7114642B2 (ja) 運転ルートに対応する電池の目標充電レベル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110052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atteries based on usage
US109267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llocating energy among exchangeable energy storage device stations
US11977125B2 (en) Method of predicting lifetime of battery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Yan et al. CatCharger: Deploying wireless charging lanes in a metropolitan road network through categorization and clustering of vehicle traffic
TWI763249B (zh) 車輛與電池的匹配方法、裝置、系統及可讀存儲介質
JP5158183B2 (ja) 車両の必要電力予測装置
US12298354B2 (en) Method for prediction of battery lif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220041078A1 (en) Energy storage device evaluation device, computer program, energy storage device evaluation method, learning method and generation method
KR102823998B1 (ko) 전기 차량용 군집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그의 군집 자율 주행 제어 방법
CN113984079A (zh) 电动车的路线规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658858B1 (ko)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064525B1 (ko)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과 그 방법
CN114691969A (zh) 推荐换电站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22016994A (ja) 管理方法、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202211713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10288511A1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battery-mounted device,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server,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5327206B2 (ja) 電力情報処理装置
JP7696450B2 (ja) 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バッテリ交換方法、および管理装置
CN120003427A (zh) 一种二轮电动自行车的充电管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110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14806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