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746A - 문서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성능 향상 - Google Patents
문서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성능 향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7746A KR20230057746A KR1020210141891A KR20210141891A KR20230057746A KR 20230057746 A KR20230057746 A KR 20230057746A KR 1020210141891 A KR1020210141891 A KR 1020210141891A KR 20210141891 A KR20210141891 A KR 20210141891A KR 20230057746 A KR20230057746 A KR 202300577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ument
- printing
- copies
- la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2—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copy materia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3—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schedu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72—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with refeeding for double-sided scanning, e.g. using one scanning head for both sides of a she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1—Ejecting or stac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 복수의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복수 배치식 급지부 및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인쇄 명령에 대하여,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며,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용지를 이송하도록 복수 배치식 급지부를 제어하고,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문서를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복수 부수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현상 유닛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트레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홀수 페이지 문서의 복수 부수 인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복수 부수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현상 유닛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트레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홀수 페이지 문서의 복수 부수 인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개시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10), 급지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다양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형성작업(image forming job)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화상형성부(110)는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며, 화상형성작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작업의 프로세스들은,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프로세스, 감광체에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프로세스, 잠상을 화상(image)으로 현상하는 현상 프로세스, 화상을 인쇄 용지로 전사하는 전사 프로세스, 및 인쇄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급지부(120)는 화상형성부(110)가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용지를 화상형성작업이 수행되는 위치로 이송하는 구성이며, 화상형성작업 중 용지 이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급지부(120)는 인쇄 용지를 인쇄 용지가 구비된 트레이로부터 화상형성부(110)에서 전사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까지 이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급지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쇄 방식이 단면 인쇄 방식인 경우, 용지를 단면 인쇄 경로로 이송할 수 있으며, 인쇄 방식이 양면 인쇄 방식인 경우, 용지를 양면 인쇄 경로로 이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급지부(120)는 복수의 인쇄 용지를 인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를 수행할 경우, 용지의 한 면에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면에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용지를 뒤집는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급지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용지를 뒤집는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안, 다른 용지에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른 용지를 화상형성부(110)로 이송할 수 있다. 2배치식 급지부로 구현되는 경우, 용지를 뒤집는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안 다른 1장의 용지가 이송되며, 3 배치식 급지부로 구현되는 경우, 용지를 뒤집는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안 다른 2장의 용지가 이송된다.
프로세서(13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SoC(System on Chip)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인스트럭션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인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10), 급지부(120) 및 프로세서(130) 뿐만 아니라, 메모리(140), 스캔부(150) 및 출력부(160)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따르면, 화상형성부(110)는 현상 유닛(111)을 포함한다. 현상 유닛(111)은 잠상을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는 화상형성부(110)가 현상 유닛(111)만을 포함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화상형성부(110)는 감광체, 대전 유닛, 노광 유닛(Laser Scanning Unit : LSU), 전사 유닛, 정착 유닛, 클리닝 유닛 등 다양한 유닛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상 유닛(111)은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 유닛(111)은 현상제를 정전 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제는 현상 롤러와 감광체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 전계에 의하여 현상 롤러로부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제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이 경우, 현상 유닛(111)자체를 새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HDD, SDD 등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 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스캔부(150)는 문서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문서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스캔부(150)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이미지 센서, 예를 들어 CCD (Charge Coupled Device),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부(150)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 구조, 이미지 센서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 구조 또는 이들의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 스캔부(150)를 제어하여 복사할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캔된 문서를 인쇄하기 위해 급지부(120)를 제어하여 인쇄 용지를 화상형성부(110)로 이송할 수 있다. 복사 명령은 화상형성장치 자체에 구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직접 입력되거나,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단말 장치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화상형성작업이 완료된 용지를 이송하며, 화상형성장치(100)의 트레이에 용지를 출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에 복수의 트레이가 포함될 경우, 출력부(160)는 각각의 트레이에 화상형성작업이 완료된 용지를 출력할 수 있다.
급지부(120)가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로 구성될 경우, 문서를 복수 부수의 양면 인쇄 시 앞 부수의 인쇄가 완료되기 전 뒷 부수의 인쇄를 시작하므로, 각 부수의 인쇄 구간이 겹치는 구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에서는 페이지 순서대로 인쇄하는 것이 아닌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의 용지 이송 순서에 따라 인쇄 순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하의 다양한 예들에서는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복수 부수의 문서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고 문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복수 부수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인쇄 명령에 대하여,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도 3은 4페이지 문서를 3부수 양면 인쇄하는 경우 3배치식 급지부(120)에서의 인쇄 순서를 재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용지 한 장에 두 페이지가 대응되도록 순서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뒷 번호 페이지를 먼저 인쇄하는 이유는, 용지가 출력되었을 때 마지막으로 인쇄된 페이지가 앞면으로 출력되기 때문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출력 방식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프로세서(130)는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의 용지 이송 순서에 따라 인쇄 순서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와 같이 3배치식 급지부(120)에서는, 첫번째 용지(S1)의 2페이지가 인쇄되고 1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해 해당 용지(S1)를 뒤집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두 번째 용지(S2) 및 세 번째 용지(S3)를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세 번째 용지(S3)의 2페이지가 인쇄된 후 첫번째 용지(S1)의 1페이지가 인쇄되고, 첫 번째 용지(S1)는 출력부(160)를 통해 트레이로 출력되며, 이후에 네 번째 용지(S4)가 급지부(150)를 통해 이송된다.
인쇄 순서에 따라 마지막 용지(S6)는 세 번째 용지(S3)가 출력된 후 이송 시작되며, 다섯 번째 용지(S5)가 출력 된 후 여섯 번째 용지(S6)도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에서 양면 인쇄를 수행할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체 페이지의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용지를 이송하도록 복수 배치식 급지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일 예에 따른 도 4는 홀수 페이지의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3페이지 문서를 3부수 양면 인쇄하는 경우이다.
프로세서(130)는 홀수 페이지의 문서에 대하여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410)를 추가하여 문서의 전체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 수 있다. 백지 페이지는 인쇄 용지가 화상형성부를 통해서 출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컨텐츠도 인쇄되지 않고 백지 상태 그대로인 것을 의미한다.
일 예에서, 홀수 페이지의 문서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410)를 추가하지 않고 전체를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할 경우, 두 번째 용지(S2)에서 앞면은 3페이지가 인쇄되고, 뒷면은 다음 부수의 1페이지가 인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홀수 페이지의 문서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410)를 추가하여 문서의 전체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든 후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3페이지 문서에 대해 3부수의 양면 인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용지 인쇄 순서를 도 4과 같이 재구성할 수 있다. 첫번째 용지(Sheet 1)에서 2페이지를 먼저 인쇄하고, 용지를 뒤집은 후 1페이지를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두 번째 용지에서는 추가된 백지 페이지에 대해 인쇄를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용지를 이송하며, 용지를 뒤집은 후 3페이지를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홀수 페이지 문서의 복수 부수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고, 추가된 백지 페이지를 포함한 전체 페이지의 복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3배치식 급지부(120)에서 용지 이송 순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예에 따른 도 5는 홀수 페이지의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3페이지 문서를 3부수 양면 인쇄하는 경우이다.
도 4와 비교하여, 프로세서(130)는 홀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510)를 추가하되,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마지막에만 백지 페이지(510)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 복수의 부수 전체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재구성된 인쇄 순서는 도 5와 같다. 프로세서(130)는 전체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520)를 제외한 페이지에 대하여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의 용지 이송 순서에 따라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인쇄 순서의 마지막에 마지막 페이지(520)를 추가하여 전체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도 5의 인쇄 순서는 3배치식 급지부(120)에 대한 재구성된 인쇄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520)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520)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용지(Sheet 6)를 뒤집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단면 인쇄 방식으로 마지막 페이지(520)를 인쇄할 수 있다. 도 4와 비교하여 도 5에서는 마지막 용지(S6)의 이송이 세 번째 용지(S3)가 출력된 후
도 4와 같이 문서의 전체 부수를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할 경우, 마지막 부수(Copy 3)의 마지막 페이지를 포함하는 용지(Sheet 6)도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므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공백 기간을 포함하여 총 16페이지의 용지를 이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만큼 인쇄하는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도 5와 같이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520)를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할 경우 총 15페이지의 용지를 이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만큼 인쇄하는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마지막 페이지(520)를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여, 전체를 페이지를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1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술한 홀수 페이지 문서의 양면 인쇄 프로세스는, 홀수 페이지의 단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홀수 페이지의 단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기 위한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 문서를 단면 스캔하도록 스캔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스캔된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부수의 추가된 백지 페이지는 제외하고 복수의 부수 전체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된 인쇄 순서는 도 5와 같다. 프로세서(130)는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양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 부수로 양면 복사하는 경우의 재구성된 인쇄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양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기 위한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 문서를 양면 스캔하도록 스캔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도 6은 4페이지의 양면 인쇄된 문서를 양면 스캔한 예이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610)가 백지 페이지이면, 마지막 부수(Copy 3)의 마지막 백지 페이지(620)는 제외하고,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도 6의 인쇄 순서는 3배치식 급지부에 대한 재구성된 인쇄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마지막 용지(S6)의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에 대하여 복수 배치식 급지부(120)의 용지 이송 순서에 따라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인쇄 순서의 마지막에 마지막 백지 페이지(620)의 이전 페이지(630)를 추가하여 전체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외된 마지막 백지 페이지(620)의 이전 페이지(630)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외된 마지막 백지 페이지(620)의 이전 페이지(630)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 용지를 단면 인쇄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현상 유닛(11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형성부(110)의 현상 유닛(111)은 화상형성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구동되며, 문서에 포함된 백지 페이지에 대해서도 구동된다. 따라서 백지 페이지의 인쇄 구간에서 현상 유닛(111)이 현상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공회전을 하므로 현상 유닛(111)의 수명이 불필요하게 단축되고, 결과적으로 더 자주 교체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다.
현상 유닛(111)의 구동과 관련하여, 프로세서(130)는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문서에 포함된 백지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문서의 화상 데이터에 색상 성분이 없거나, 색상 성분이 설정 값 이하일 경우 해당 페이지를 백지 페이지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문서의 화상 데이터의 R, G, B 수치가 0이거나 아주 작은 값으로 나타나면 프로세서(130)는 해당 페이지를 백지 페이지로 판단하고, 백지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페이지에 대한 정보는 페이지의 페이지 번호 및 백지 페이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백지 페이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백지 페이지의 인쇄 구간에는 현상 유닛(111)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기존 문서에 존재하는 백지 페이지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홀수 페이지 문서를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기 위해 추가한 백지 페이지에 대한 정보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백지 페이지의 인쇄 구간에는 현상 유닛(111)의 구동을 정지하여 현상 유닛(111)의 불필요한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도 7에서는, 4페이지의 문서 중 네 번째 페이지(710)가 백지 페이지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문서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문서에 포함된 백지 페이지(710)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백지 페이지(710)의 인쇄 구간에는 현상 유닛(111)을 정지시키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백지 페이지(710)의 인쇄 구간에는 현상 유닛(111)을 정지시키므로, 현상 유닛(111)은 화상형성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총 t1 + t2 + t3 + t1 + t1 + t1 시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t1은 문서 1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으며, t2, t3 각각은 문서 2페이지, 3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만약 백지 페이지(710)를 식별하지 않고 백지 페이지(710)를 포함한 전체 페이지에 대해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경우, 현상 유닛(111)은 총 문서 12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만큼 구동해야 한다. 따라서 같은 수의 페이지를 인쇄함에 있어서 백지 페이지를 식별하여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경우, 현상 유닛(111)의 구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트레이(17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트레이(170)는 화상형성작업이 완료된 용지가 출력되어 쌓이는 공간이며, 출력부(160)에 의해 화상형성작업이 완료된 용지가 트레이(170)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도 8에서는 5개의 트레이(170-1 내지 170-5)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이 구비되거나 더 적게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홀수 페이지 문서의 복수 부수 인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문서의 페이지 수가 홀수이고, 문서에 대하여 복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910)를 제외한 복수 부수의 나머지 페이지의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고, 복수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910)를 추가하여 복수 부수에 대한 전체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3페이지의 문서를 3부수 인쇄할 경우,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910)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인 1, 2페이지에 대하여 먼저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고, 마지막 페이지(910)인 3페이지를 복수의 부수 만큼 추가하여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복수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910)를 제외한 복수 부수의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부수 각각의 마지막 페이지(910)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출력부(160)는 양면 인쇄된 용지(S1, S3 및 S5)를 각 부수 별로 복수의 트레이(170-1 내지 170-3) 각각에 출력하며, 각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910)는 양면 인쇄된 용지들(S1, S3 및 S5) 상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양면 인쇄된 첫 번째 용지(S1)는 첫 번째 트레이(170-1)에 출력되고, 양면 인쇄된 두 번째 용지(S3)는 두 번째 트레이(170-2)에 출력되며, 양면 인쇄된 세 번째 용지(S5)는 세 번째 트레이(170-3)에 출력될 수 있다.
이후, 단면 인쇄된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910)의 용지(S2, S4 및 S6)를 양면 인쇄된 용지들 상에 각각 출력하면, 각 트레이(170-1 내지 170-3)에는 양면 인쇄된 문서가 한 부씩 출력되게 된다.
총 인쇄 시간과 관련하여,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트레이(170)에 출력하는 경우, 총 15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도 9과 같이 복수의 트레이(170-1 내지 170-3)에 출력하는 경우, 총 13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복수의 트레이(170-1 내지 170-5) 각각에 출력하는 경우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의 트레이(170) 개수보다 많은 부수의 인쇄 명령에 대해서는, 트레이(170) 개수에 대응되는 부수의 문서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트레이(170)에 출력한 후, 남은 부수의 문서를 다시 복수의 트레이(170) 각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5개의 트레이(17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있어서, 13부수의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5부수의 문서를 각 트레이(170-1 내지 170-5)에 출력하고, 다시 5부수의 문서를 각 트레이(170-1 내지 170-5)에 출력하며, 나머지 3부수의 문서를 트레이(170-1 내지 170-3)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인쇄 명령으로 입력된 복수 부수의 전체 페이지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화상형성작업이 완료된 용지를 복수의 트레이(170) 중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들에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임계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성능 또는 화상형성작업 빈도 수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라, 임계치가 30페이지이고, 3페이지 문서를 13부수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전체 페이지 수가 39페이지로 임계치 이상이므로, 프로세서(130)는 인쇄된 용지를 복수의 트레이(170)중 하나(170-5)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170-1 내지 170-4)에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체 페이지 수가 임계치 이상인 화상형성작업 중 인터럽트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인터럽트 인쇄 명령에 따른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하고, 인터럽트 인쇄 명령에 의해 인쇄된 용지를 제외된 하나의 트레이(170-5)에 출력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럽트 인쇄 명령은,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작업 중간에 다른 문서의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장시간 소요되는 화상형성작업 중간에 다른 문서의 출력을 먼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다.
프로세서(130)는 인터럽트 인쇄 명령에 대하여,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페이지의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용지를 이송하도록 급지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3배치식 급지부(150)를 예로 설명하였으며, 2배치 및 그 이상의 배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은,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S1010), 인쇄 명령에 대하여,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S1020),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복수의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단계(S1030),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S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 및 복수의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준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은, 홀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명령이 입력되면(S1110),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S1120),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S1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은, 홀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명령이 입력되면(S1210),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S1220),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S1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서를 인쇄함에 있어서,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S1250),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단계(S1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 및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단면 인쇄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은,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S1310), 문서에 포함된 백지 페이지를 식별하는 단계(S1320), 백지 페이지의 인쇄 구간에는 현상 유닛을 정지하는 단계(S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지 페이지를 식별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 및 현상 유닛을 정지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은, 홀수 페이지의 단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기 위한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S1410), 문서를 단면 스캔하는 단계(S1420),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스캔된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S1430),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부수의 추가된 백지 페이지는 제외하고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S1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서를 인쇄함에 있어서,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S1460),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단계(S1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문서를 단면 스캔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 및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부수의 추가된 백지 페이지는 제외하고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은, 양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기 위한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S1510), 문서를 양면 스캔하는 단계(S1520),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가 백지 페이지이면,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백지 페이지는 제외하고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S1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서를 인쇄함에 있어서, 제외된 마지막 백지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S1550), 제외된 마지막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단계(S1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문서를 양면 스캔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 및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백지 페이지를 제외하고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된 예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1600)는 상술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1600)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을 입력 받는 프로그램 코드(1610), 인쇄 명령에 대하여,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1620),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복수의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프로그램 코드(1630),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문서를 인쇄하는 프로그램 코드(16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언어로 제작되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각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어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화상형성부
120: 급지부 130: 프로세서
140: 메모리 150: 스캔부
160: 출력부
120: 급지부 130: 프로세서
140: 메모리 150: 스캔부
160: 출력부
Claims (15)
-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부;
복수의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복수 배치식 급지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쇄 명령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며,
상기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용지를 이송하도록 상기 복수 배치식 급지부를 제어하고,
상기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상기 문서를 인쇄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명령이 홀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명령인 경우,
상기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상기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명령이 홀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명령인 경우,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상기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며,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 상기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부는 현상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에 포함된 백지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백지 페이지의 인쇄 구간에는 상기 현상 유닛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스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홀수 페이지의 단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기 위한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를 단면 스캔하도록 상기 스캔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상기 스캔된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 상기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부수의 상기 추가된 백지 페이지는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며,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 상기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스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양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기 위한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를 양면 스캔하도록 상기 스캔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가 백지 페이지이면,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백지 페이지는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며,
상기 제외된 마지막 백지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 상기 제외된 마지막 백지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화상형성작업이 완료된 용지를 이송하는 출력부; 및
복수의 트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명령이 홀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명령인 경우, 상기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상기 복수 부수의 나머지 페이지의 인쇄 순서를 재구성하고, 상기 복수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추가하여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전체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고,
상기 복수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상기 복수 부수의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며, 상기 복수의 부수 각각의 마지막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양면 인쇄된 용지를 각 부수 별로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에 출력하며, 상기 각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는 상기 양면 인쇄된 용지들 상에 각각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부수의 전체 페이지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인쇄된 용지를 상기 복수의 트레이 중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들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인터럽트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터럽트 인쇄 명령에 따른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럽트 인쇄 명령에 의해 인쇄된 용지를 상기 제외된 하나의 트레이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에 있어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쇄 명령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
상기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복수의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상기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 인쇄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하는 단계는,
홀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상기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인, 문서 인쇄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하는 단계는,
홀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상기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는.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 상기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단계인, 문서 인쇄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에 포함된 백지 페이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백지 페이지의 인쇄 구간에는 현상 유닛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서 인쇄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홀수 페이지의 단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기 위한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를 단면 스캔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에 백지 페이지를 추가하여 상기 스캔된 문서의 페이지 수를 짝수로 만들고, 상기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부수의 상기 추가된 백지 페이지는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는,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 상기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단계인, 문서 인쇄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양면 인쇄된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복사하기 위한 복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문서를 양면 스캔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된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가 백지 페이지이면, 마지막 부수의 마지막 백지 페이지는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제외된 마지막 백지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페이지는 양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고, 상기 제외된 마지막 백지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는 단면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단계인, 문서 인쇄 방법. -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인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문서 인쇄 방법은,
문서를 복수의 부수로 양면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쇄 명령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부수에 대한 인쇄 순서를 하나의 인쇄 작업으로 재구성하는 단계;
상기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복수의 용지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인쇄 순서에 따라 상기 문서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1891A KR20230057746A (ko) | 2021-10-22 | 2021-10-22 | 문서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성능 향상 |
US18/702,615 US20240419370A1 (en) | 2021-10-22 | 2022-04-07 | Improved performance for duplex printing of documents |
PCT/US2022/023825 WO2023069137A1 (en) | 2021-10-22 | 2022-04-07 | Improved performance for duplex printing of docum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1891A KR20230057746A (ko) | 2021-10-22 | 2021-10-22 | 문서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성능 향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7746A true KR20230057746A (ko) | 2023-05-02 |
Family
ID=8157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1891A Pending KR20230057746A (ko) | 2021-10-22 | 2021-10-22 | 문서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성능 향상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419370A1 (ko) |
KR (1) | KR20230057746A (ko) |
WO (1) | WO202306913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1353A (en) * | 1981-04-14 | 1982-10-21 | Canon Inc | Both-sides recording device with sorter |
US7546056B2 (en) * | 2004-12-22 | 2009-06-09 | Canon Kabushiki Kaisha |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performing either automatic or manual duplex printing based on copy media attributes |
JP2010173186A (ja) * | 2009-01-29 | 2010-08-12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
JP5734323B2 (ja) * | 2013-01-09 | 2015-06-17 | シャープ株式会社 | 印刷装置 |
-
2021
- 2021-10-22 KR KR1020210141891A patent/KR20230057746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04-07 WO PCT/US2022/023825 patent/WO202306913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4-07 US US18/702,615 patent/US20240419370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419370A1 (en) | 2024-12-19 |
WO2023069137A1 (en) | 2023-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970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 |
JP2001228754A (ja) | 画像形成方法と画像形成装置 | |
US6285843B1 (en) |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suspension of image forming process and display capabilities | |
JP4562574B2 (ja) | タンデム画像形成装置 | |
CN101494710A (zh) | 图像形成装置和图像形成方法 | |
JP2010005790A (ja) | 画像形成システム | |
KR20230057746A (ko) | 문서의 양면 인쇄에 있어서 성능 향상 | |
JP2005089112A (ja) | 画像形成装置 | |
US774218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 |
JP3870200B2 (ja) | ジョブ管理装置、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の記憶媒体 | |
JP200805234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368596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6092165A (ja) | 印刷処理方法及び印刷処理装置 | |
EP4336816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ogram, and image forming method | |
US20240402641A1 (en) | Control of copy time by adjusting paper feed time | |
JP2021142715A (ja) | 画像形成装置 | |
JP3852219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4325490A (ja) | 画像印字装置 | |
JP6529289B2 (ja) |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US20230171358A1 (en) | Image forming system | |
JP7146463B2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 |
JP2007133530A (ja) | 画像形成装置、プリンタドライバ、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 |
US20190377519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 |
JP4269508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3685965B2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