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152A -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6152A KR20230056152A KR1020210139852A KR20210139852A KR20230056152A KR 20230056152 A KR20230056152 A KR 20230056152A KR 1020210139852 A KR1020210139852 A KR 1020210139852A KR 20210139852 A KR20210139852 A KR 20210139852A KR 20230056152 A KR20230056152 A KR 202300561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electrical equipment
- temperature
- equipment room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42—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volume control at a constant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은 선박의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에어컨 공기(1)를 발생시키는 에어컨(100), 상기 전기 장비실(10)과 상기 에어컨(100)을 연결하며 상기 에어컨 공기(1)가 상기 전기 장비실(10)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 상기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 댐퍼(300), 상기 전기 장비실(10) 외부의 외기(2-1, 2-2)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410), 그리고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며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420)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상기 제1 온도 센서(410)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420)에 의해 각각 측정된 상기 외기(2)의 온도 및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장비실의 전기 장비의 과열을 방지하고, 이를 위한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선박의 전기 장비실(Electrical Equipment Room, EER)에는 중앙 집중식 환기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즉, 메인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일정량의 에어컨 공기를 전기 장비실에 공급하고, 동일량의 공기를 자연 환기 방식으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장비실은 전기 장비의 발열이 많아 메인 에어컨을 이용하여 일반 선실과 동일한 조건으로 냉방 및 난방을 하면, 동절기에 전기 장비실에 냉방이 필요한 경우에도 전기 장비실에 난방 즉, 약 37℃의 더운 공기가 공급되므로 전기 장비의 운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장비의 과열을 방지하려면 전기 장비실에 별도의 패키지 에어컨 유니트(Package Air Conditioner Unit, PACU)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 투자 비용(Capital Expenditure, CAPEX), 운영 비용(Operational Expense, OPEX) 등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 장비실의 전기 장비의 과열을 방지하고, 이를 위한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은 선박의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에어컨 공기(1)를 발생시키는 에어컨(100); 상기 전기 장비실(10)과 상기 에어컨(100)을 연결하며 상기 에어컨 공기(1)가 상기 전기 장비실(10)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 상기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 댐퍼(300); 상기 전기 장비실(10) 외부의 외기(2-1, 2-2)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410); 그리고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며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420);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상기 제1 온도 센서(410)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420)에 의해 각각 측정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 및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외기 공급 덕트(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2-1, 2-2)는 상기 에어컨(100)에 공급되는 제1 외기(2-1)와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에 공급되는 제2 외기(2-2)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는 상기 제2 외기(2-2)가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며 상기 내기(3)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부(600)는 모터로 구동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컨(100)은 상기 에어컨 공기(1)를 냉각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개방되어 냉각된 상기 에어컨 공기(1)만을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에어컨(100)은 상기 에어컨 공기(1)를 가열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조절되어 가열된 상기 에어컨 공기(1)의 일부를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상기 제2 외기(2-2)를 공급하여 상기 내기(3)의 온도를 목표 온도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상기 냉각 기준 온도 미만이고, 상기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차단되어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기(2-2)만을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은 에어컨(100)에서 발생한 에어컨 공기(1)를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를 통해 선박의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 제1 온도 센서(410) 및 제2 온도 센서(420)를 이용하여 각각 전기 장비실(10) 외부의 외기(2-1, 2-2)의 온도 및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에 설치된 풍량 조절 댐퍼(300)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여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상기 제1 온도 센서(410)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420)에 의해 각각 측정된 상기 외기(2-1, 2-2) 및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외기(2-1, 2-2)는 상기 에어컨(100)에 공급되는 제1 외기(2-1)와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외기 공급 덕트(500)에 공급되는 제2 외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외기(2-2)를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상기 외기(2)를 공급하고,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부(600)를 이용하여 상기 내기(3)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컨(100)은 상기 에어컨 공기(1)를 냉각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개방되어 냉각된 상기 에어컨 공기(1)만을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에어컨(100)은 상기 에어컨 공기(1)를 가열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조절되어 가열된 상기 에어컨 공기(1)와 상기 제2 외기(2-2)를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상기 냉각 기준 온도 미만이고, 상기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차단되어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기(2-2)만을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전술한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은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에 풍량 조절 댐퍼를 설치하고, 외기의 온도 및 내기의 온도에 따라 풍량 조절 댐퍼의 개방량을 조절함으로써, 전기 장비실에 별도의 패키지 에어컨 유니트를 설치하지 않고도 전기 장비실 내부의 내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장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비 투자 비용(Capital Expenditure, CAPEX), 운영 비용(Operational Expense, OPEX) 등의 비용이 최소화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은 에어컨(100),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 풍량 조절 댐퍼(300), 제1 온도 센서(410), 제2 온도 센서(420), 외기 공급 덕트(500), 그리고 공기 배출부(600)를 포함한다.
에어컨(100)은 선박의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에어컨 공기(1)를 발생시킬 수 있다. 외기(2-1, 2-2)는 에어컨(100)에 공급되는 제1 외기(2-1)와 외기 공급 덕트(500)에 공급되는 제2 외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컨(100)은 제1 외기 (2-1)를 그대로 이용하여 에어컨 공기(1)를 발생시키거나, 제1 외기(2-1)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에어컨 공기(1)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에어컨(100)은 전기 장비실(10) 외부의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에 냉각 모드로 작동하고,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에 가열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는 전기 장비실(10)과 에어컨(1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는 에어컨 공기(1)가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는 에어컨(100)에 의한 공급 압력이 있는 덕트일 수 있다.
풍량 조절 댐퍼(300)는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에 설치될 수 있다.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완전 개방하고,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을 조절하여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며,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미만이고,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에는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차단될 수 있다. 냉각 기준 온도는 대략 23도이고, 가열 기준 온도는 대략 12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온도 센서(410)는 전기 장비실(10) 외부의 외기(2-1, 2-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410)는 측정된 외기(2-1, 2-2)의 온도를 에어컨(100) 및 풍량 조절 댐퍼(300)에 피드백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420)는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며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420)는 측정된 내기(3)의 온도를 풍량 조절 댐퍼(300)에 피드백할 수 있다.
외기 공급 덕트(500)는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며 외기(2-1, 2-2)가 전기 장비실(10)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기 공급 덕트(500)는 공급 압력이 없는 자연 공급식 덕트일 수 있다.
공기 배출부(600)는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며,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공기 배출부(600)는 모터로 구동되는 팬(fan)일 수 있다.
풍량 조절 댐퍼(300)는 제1 온도 센서(410) 및 제2 온도 센서(420)에 의해 각각 측정된 외기(2-1, 2-2)의 온도 및 내기(3)의 온도를 이용하여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전기 장비실(10)의 내기(3)의 목표 온도는 약 27도 내외로 결정되지만, 내기(3)의 온도는 최저 허용 온도인 5도와 최고 허용 온도는 35도 사이에서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내기(3)의 목표 온도 범위는 5도 내지 35도 일 수 있다.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선박의 대부분의 선실 및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는 목표 온도 이상이 되므로, 에어컨(100)은 제1 외기(2-1)를 냉각하여 냉각된 에어컨 공기(1)를 선박의 대부분의 선실 및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에어컨(100)은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일 경우 냉각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개방하고 전기 장비실(10) 내부에 필요한 공기의 전량을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를 통해서 에어컨(100)에서 공급하고, 공급된 공기의 전량을 공기 배출부(600)를 통해서 배출한다. 이 때 전기 장비실(10)의 공급 공기량과 배출 공기량이 동일하므로 자연 통풍 방식으로 공급되는 제2 외기(2-2)는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냉각된 에어컨 공기(1)만이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2-2,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선박의 대부분의 선실과 동일하게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목표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 장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선박의 대부분의 선실 및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는 목표 온도 이하가 되므로, 에어컨(100)은 제1 외기(2-1)를 가열하여 가열된 에어컨 공기(1)를 선박의 대부분의 선실 및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에어컨(100)은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일 경우 가열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풍량 조절 댐퍼(300)를 조절하여 가열된 에어컨 공기(1)의 일부를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고, 동시에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제2 외기(2)를 자연 통풍 방식으로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한 후,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부(600)를 이용하여 내기(3)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에어컨(100)에서 공급되는 에어컨 공기(1)의 공급 공기량보다 공기 배출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 공기량이 더 많으므로, 그 차이만큼 제2 외기(2-2)가 외기 공급 덕트(500)을 통하여 자연 통풍 방식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선박의 대부분의 선실과 상이하게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목표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 장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외기(2-1, 2-2)의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도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를 통해서 에어컨(100)에서 가열된 에어컨 공기(1)의 일부가 공급되어 너무 낮은 온도에서의 전기 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풍량 조절 댐퍼(300)는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이에 따라 비례 제어의 방식으로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대략 12도) 미만인 경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대략 27도)보다 높으면,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증가할 수 있다. 전기 장비실(10)의 내기(10)의 온도는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는 있으나, 목표 온도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한편,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미만이고,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차단되어 에어컨 공기(1)는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되지 않으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제2 외기(2-2)만을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외기 공급 덕트(500)를 통해 공급된 공기의 전량은 공기 배출부(600)를 통해 배출한다.
또한, 설비 투자 비용(Capital Expenditure, CAPEX), 운영 비용(Operational Expense, OPEX) 등의 비용이 최소화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은 우선, 에어컨(100)에서 발생한 에어컨 공기(1)를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를 통해 선박의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한다(S100).
다음으로, 제1 온도 센서(410) 및 제2 온도 센서(420)를 이용하여 각각 전기 장비실(10) 외부의 외기(2-1, 2-2)의 온도 및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측정한다(S200).
다음으로,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에 설치된 풍량 조절 댐퍼(300)를 이용하여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여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한다(S300).
이 때, 풍량 조절 댐퍼(300)는 제1 온도 센서(410) 및 제2 온도 센서(420)에 의해 각각 측정된 외기(2-1, 2-2)의 온도 및 내기(3)의 온도를 이용하여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에어컨(100)은 에어컨 공기(1)를 냉각하여 선박의 대부분의 선실 및 전기 장비실(1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개방되고, 제2 외기(2-2)는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냉각된 에어컨 공기(1)만이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조절되어 가열된 에어컨 공기(1)의 일부를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고,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제2 외기(2-2)를 공급하며,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부(600)를 이용하여 내기(3)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내기(3)의 온도가 최고 허용 온도보다 높아져서 과열되면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축소되어 가열된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은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의 제2 외기(2-2)를 공급한다. 그리고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부(600)를 이용하여 내기(3)를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내기(3)의 온도를 최고 허용 온도 미만으로 낮추어 전기 장비실(10)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내기(3)의 온도가 최저 허용 온도보다 낮으면,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증가되어 가열된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내기(3)의 온도를 최저 허용 온도 이상으로 높여 전기 장비실(10) 내부를 가열시킬 수 있다.
한편,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미만이고,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차단되어 에어컨 공기(1)는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제2 외기(2-2)만을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외기 공급 덕트(500)를 통해 공급된 공기의 전량은 공기 배출부(600)를 통해 배출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에어컨
200: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
300: 풍량 조절 댐퍼 410: 제1 온도 센서
420: 제2 온도 센서 500: 외기 공급 덕트
600: 공기 배출부
300: 풍량 조절 댐퍼 410: 제1 온도 센서
420: 제2 온도 센서 500: 외기 공급 덕트
600: 공기 배출부
Claims (18)
- 선박의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에어컨 공기(1)를 발생시키는 에어컨(100);
상기 전기 장비실(10)과 상기 에어컨(100)을 연결하며 상기 에어컨 공기(1)가 상기 전기 장비실(10)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
상기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 댐퍼(300);
상기 전기 장비실(10) 외부의 외기(2-1, 2-2)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410); 그리고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며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420);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상기 제1 온도 센서(410)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420)에 의해 각각 측정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 및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외기 공급 덕트(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2-1, 2-2)는 상기 에어컨(100)에 공급되는 제1 외기(2-1)와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에 공급되는 제2 외기(2-2)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는 상기 제2 외기(2-2)가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며 상기 내기(3)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600)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600)는 모터로 구동되는 팬을 포함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컨(100)은 상기 에어컨 공기(1)를 냉각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개방되어 냉각된 상기 에어컨 공기(1)만을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에어컨(100)은 상기 에어컨 공기(1)를 가열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조절되어 가열된 상기 에어컨 공기(1)의 일부를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상기 제2 외기(2-2)를 공급하여 상기 내기(3)의 온도를 목표 온도 범위 내로 조절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감소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증가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상기 냉각 기준 온도 미만이고, 상기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차단되어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기(2-2)만을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 에어컨(100)에서 발생한 에어컨 공기(1)를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를 통해 선박의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
제1 온도 센서(410) 및 제2 온도 센서(420)를 이용하여 각각 전기 장비실(10) 외부의 외기(2-1, 2-2)의 온도 및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의 내기(3)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에어컨 공기 공급 덕트(200)에 설치된 풍량 조절 댐퍼(300)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여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상기 제1 온도 센서(410)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420)에 의해 각각 측정된 상기 외기(2-1, 2-2) 및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 공기(1)의 풍량을 조절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2-1, 2-2)는 상기 에어컨(100)에 공급되는 제1 외기(2-1)와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연결되는 외기 공급 덕트(500)에 공급되는 제2 외기(2-2)를 포함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기(2-2)를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상기 외기(2)를 공급하고,
상기 전기 장비실(10)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부(600)를 이용하여 상기 내기(3)를 외부로 배출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냉각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컨(100)은 상기 에어컨 공기(1)를 냉각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개방되어 냉각된 상기 에어컨 공기(1)만을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가열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에어컨(100)은 상기 에어컨 공기(1)를 가열하고,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조절되어 가열된 상기 에어컨 공기(1)와 상기 제2 외기(2-2)를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감소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3)의 온도가 전기 장비실(10)의 목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의 개방량은 증가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3)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기(2-1, 2-2)의 온도가 상기 냉각 기준 온도 미만이고, 상기 가열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풍량 조절 댐퍼(300)는 완전 차단되어 상기 외기 공급 덕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기(2-2)만을 상기 전기 장비실(10) 내부로 공급하는,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9852A KR20230056152A (ko) | 2021-10-20 | 2021-10-20 |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9852A KR20230056152A (ko) | 2021-10-20 | 2021-10-20 |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6152A true KR20230056152A (ko) | 2023-04-27 |
Family
ID=8610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9852A Pending KR20230056152A (ko) | 2021-10-20 | 2021-10-20 |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56152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0782A (ko) | 2013-10-31 | 2015-05-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
-
2021
- 2021-10-20 KR KR1020210139852A patent/KR20230056152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0782A (ko) | 2013-10-31 | 2015-05-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37956A (en) | Coolant circuit | |
US9057532B2 (en) | Return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 |
US9285135B2 (en) | Method for regulating room comfort variables | |
US20080291625A1 (en) | Direct cooling system | |
US9089813B2 (en) | Thermal conditioning for air separation modules | |
US20130095745A1 (en) | Air control module | |
JP6435125B2 (ja) | 情報処理機器室用空調システム | |
CN101027951A (zh) | 设备和网络机柜的冷却系统及冷却设备和网络机柜的方法 | |
CN113056163A (zh) | 集装箱式hvac控制 | |
CN208999853U (zh) | 一种小型无人机机舱温度控制系统 | |
US11871535B2 (en) | HVAC-less enclosure with temperature range augmenting recirculation system | |
KR20230056152A (ko) |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 |
US1013143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mperature control | |
CN113525024A (zh) | 用于地面车辆的具有改善的通风的加热和/或空调设备及其方法 | |
JP4330348B2 (ja) | 空調装置付塗装設備とその制御システム | |
US8092948B2 (en) | Energy production unit integrating a burner and a fuel cell | |
KR20200127112A (ko) | 선박의 비상발전실용 공기조화장치 | |
US10906653B2 (en) | Aircraft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 reduced process air demand | |
KR20180045535A (ko) | 선실 구역의 온도 조절용 환기시스템 | |
JP3957728B1 (ja) | 空調装置の運転制御方法 | |
KR102474692B1 (ko) | 선박의 온도 조절 시스템 | |
CN218661235U (zh) | 一种自动驾驶车辆 | |
JP4305957B2 (ja) | 空調機制御装置 | |
KR20150104701A (ko) | Crac 시스템 | |
KR101549533B1 (ko) | 선박의 공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