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5015A -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015A
KR20230055015A KR1020210138230A KR20210138230A KR20230055015A KR 20230055015 A KR20230055015 A KR 20230055015A KR 1020210138230 A KR1020210138230 A KR 1020210138230A KR 20210138230 A KR20210138230 A KR 20210138230A KR 20230055015 A KR20230055015 A KR 2023005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er
making
tray
m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신계영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21013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015A/en
Publication of KR2023005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015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모체에 장착되고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빙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챔버는, 제빙기가 수용되는 제1 제빙 챔버 및 상기 제빙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가 유입되고 음용수 용기가 수용되는 제2 제빙 챔버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making chamber mounted on a cooling body and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wherein the ice-making chamber includes a first ice-making chamber in which the ice maker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ice-making chamber in which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ice maker is introduced and a drinking water container is accommodated. An ice maker including an ice making chamb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온 저장하여 상온에서의 식품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식품과는 별개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냉장고용 제빙기가 구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prevents deterioration of food at room temperature by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Recently, a product equipped with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that is provided in a refrigerator and provides ice to a user separately from food has been released.

냉장고용 제빙기는 물을 자동으로 공급받아 일정 크기의 얼음을 만들기 위한 다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빙 모터에 의해 이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뱅크를 포함한다.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making tray having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for automatically receiving water and making ice of a certain size, and an ice bank provided under the ice making tray to store the ice flaked by an ice shaving motor.

여기서, 제빙 트레이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2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제빙 트레이 자체를 상술한 이빙 모터를 이용하여 트위스팅시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트위스트 타입과, 금속 재질로 구비된 제빙 트레이에 이빙히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이빙 열을 가함으로써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별도의 이빙 이젝터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얼음을 제빙 트레이의 일측으로 밀어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히터 타입이 그것이다.Here, there may be two methods for separating the ice from the ice-making tray. The ice-making tray itself is twisted using the above-described ice-making motor to separate the ice from the ice-making groove, and then the ice at the bottom thereof. A twist type that drops the ice into a bank and an ice-making operation in which a separate ice-ejector is rotated after separating the ice from the ice-making groov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ice-leaving heat to the ice-making tray equipped with a metal material and separating the ice from the ice-making groove. It is a type of heater that is pushed to one side of the tray and dropped into the ice bank below it.

한편, 제빙기를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제빙실 외부의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이송덕트를 통해 제빙실로 안내하여 제빙기를 냉각시키는 간냉식과, 제빙실 내부에 별도의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제빙실 내부에서 생성된 냉기로써 직접 제빙기를 냉각시키는 직냉식이 있다. 특히, 직냉식에는 냉매관이 제빙기의 제빙트레이에 접촉하여 별도의 열교환기 없이 제빙트레이 자체가 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이 냉매관이 접촉하여 자체가 열교환기의 역할을 하는 직냉식 제빙기를 이용한 제빙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냉각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of cooling the ice maker, an inter-cooling type that cools the ice maker by guiding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evaporator outside the ice making room to the ice making room through a transfer duct, and a separate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ice making room to cool the cold air generated inside the ice making room As a result, there is a direct cooling type that directly cools the ice maker. In particular, in the direct cooling type,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refrigerant pipe contacts an ice-making tray of an ice maker so that the ice-making tray itself serves as a heat exchanger without a separate heat exchanger. In this way, the ice making method using the direct cooling type ice 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tube is in contact with itself to serve as a heat exchanger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ooling speed is faster than other methods.

한편, 최근에는 하나의 냉장고에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제빙기의 요구가 높은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there is a high demand for an ice maker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in a single refrigerato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853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8532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빙기와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되어 음료 등을 차갑게 유지하도록 보관이 가능한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separated into a space independent of the ice maker and capable of storing beverages and the like cold,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는, 냉각모체에 장착되고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빙 챔버를 포함하고,One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making chamber mounted on a cooling main body and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상기 제빙 챔버는,The ice making chamber,

제빙기가 수용되는 제1 제빙 챔버; 및a first ice making chamber in which an ice maker is accommodated; and

상기 제빙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가 유입되고 음용수 용기가 수용되는 제2 제빙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second ice making chamber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ice maker is introduced and a drinking water container is accommod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용수 용기가 수용되는 제2 제빙 챔버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가능한 연장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ce-making chamber in which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is accommod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 회전에 의한 절곡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hinge portion is formed on the extension member, and bending by rotation of the hing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 챔버는, 상기 제빙기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보관되는 제2 제빙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making chamber in which ice released from the ice maker is sto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기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er,

제빙기 본체;ice maker body;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을 형성시키고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 트레이;an ice-making tray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main body, including an upper tray and a lower tray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form an ice-making groove in which ice-making water is accommodated;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부; 및at least one heater part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tray; and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형성된 제어박스를 포함하고,A control box provided with at least one driving unit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ice making tray;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제빙기 본체에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또는 압박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로부터 이탈되며 제빙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로부터 이빙되는 구조일 수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tray may be slid or presse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ice machine main body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and the ice to be made may be released from the lower tr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빙 챔버, 제2 제빙 챔버 및 제3 제빙 챔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빙기 내의 냉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호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ice-making chamber, the second ice-making chamber, and the third ice-making chamber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at least partial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at cold air in the ice maker can flow.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 챔버 내에는 복수의 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lowing fans may be disposed in the ice making cha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기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송풍팬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박스는 캠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만빙레버와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ox may be connected to a drift lever operated by cam ro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기 제빙홈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groove of the ice-making tray may have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기는 히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터부는 면상히터이고, 상기 제빙 트레이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and the heater unit may be a surface heater and may be insert-injected into the ice tr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부 트레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빙홈을 형성시키는 만곡된 부위에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히터는 상기 만곡된 부위에서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is formed on the upper tray of the ice-making tray and may be radially formed in a curved portion where the ice-making groove is formed. For example, the heater is formed in the curved portion. It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에는 상기 제빙홈을 형성시키는 만곡 부위에 상기 히터를 지지하는 히터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er sea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heater may be formed on a curved portion of the upper tray where the ice-making groove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제빙 챔버에는 상기 음용수 용기의 입출입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for detecting entry and exit of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econd ice-making chamb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ice maker.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제빙기와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되어 음료 등을 차갑게 유지하도록 보관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have an effect of being separated into a space independent of the ice maker and storing beverages and the like to keep them col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간을 갖는 제빙 챔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 사시도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 단면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 제빙기의 히터가 배치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의 히터가 형성된 상부 트레이의 일부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or in which an ice make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making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sp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perspective views of a twist-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cross-sectional views of a twist-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diagrams in which a heater of a twist type ice mak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isposed;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tray on which a heater of the twist-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or in which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제빙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 maker 100 .

냉장고(1)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8, 9)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a cabinet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at least one door 8 or 9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in a refrigerated state and a freezing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in a frozen state.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is exemplified as including bot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provided above the freezing compartment.

도어(8,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는 서로 좌우로 배치된 두 개로 구비되어, 좌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인 좌측을 개폐할 수 있고, 우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인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s 8 and 9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8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9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There are two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8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f each other, so that the lef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8 can open and close the left side, which is pa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righ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8 can open and close the right side, which is the res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 상부에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The ice maker 10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n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the ice make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제빙기(100)는 냉장고(1)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수를 얼음으로 변하게 하여서, 상기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The ice maker 100 may receive ice-making water from the refrigerator 1, and convert the ice-making water into ice by cold air supplied from the refrigerating cycle of the refrigerator 1 to the storage compartment to manufacture the ice. .

이러한 제빙기(100)는 순환팬(50)이 설치된 제어박스(20), 제빙 트레이(102), 유로 커버(150), 가압 지지부(200) 및 드레인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기 위한 예로써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를 한 것이므로, 이제 한정되지는 않고 얼음이 제조된 후에 얼음이 이동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설치된 어거모터와 스크류, 제빙 트레이(102)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등의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The ice maker 100 includes a control box 20 in which a circulation fan 50 is installed, an ice tray 102, a flow path cover 150, a pressure support unit 200, and a drain unit 70. 2 and 3 as an example for explan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torage unit in which ice is moved after ice is made, an auger motor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a screw, and an ice making tray (102). ), components such as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ice-making water are omitted from the illustration.

제빙 트레이(102)에는 제빙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홈은 제빙 트레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홈은 제빙 트레이(10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의 하면에는 열교환핀(102a)가 소정의 길이로 하향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핀(102a)는 냉매관(120)과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An ice mak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ice making tray 102 . The ice-making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making tray 102 . These ice-mak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making tray 102 . Heat exchange fins 102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making tray 102 in a shape extending dow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heat exchange pin 102a may contact the refrigerant pipe 120 to perform heat exchange.

제어박스(2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20)는 제빙 트레이(102)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의 일단은 제어박스(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의 길이는 제어박스(2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의 타단에 부근에는 급수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홈으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홈으로 공급된 제빙수는 냉장고(1) 저장실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으로 변할 수 있다. 제어박스(20) 내부에는 기어박스(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비롯한 각종 내부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박스(20) 내부에는 이빙 모터(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빙 모터는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이 이빙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The control box 2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The control box 2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ice making tray 102 . One end of the ice making tray 10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20 . The length of the ice making tray 102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control box 20 .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near the other end of the ice making tray 102 . The water supply unit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ice-ma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groove.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groove may be cooled by cold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1 and turned into ice. Inside the control box 20, various internal parts including a gearbox (not shown) and a controll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n ice breaker motor (not shown)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ntrol box 20 . The ice-breaking motor may be driven to release ice from the ice-making groove.

또, 제빙 트레이(10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이젝터(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30)는 제어박스(2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긴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30)는 제빙 트레이(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jector 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ice making tray 102 . The ejector 30 may be formed as a long axi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control box 20 . The ejector 3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tray 102 .

이젝터(30)의 일단은 제어박스(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젝터(30)의 일단은 제어박스(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젝터(30)는 상기 이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젝터(30)에는 이젝트 핀(2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26)은 이젝터(30)의 둘레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26)은 이젝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이젝트 핀(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젝트 핀(26)은 복수개의 상기 제빙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ejector 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20 . One end of the ejector 3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trol box 20 . The ejector 30 may b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jection motor. An eject pin 26 may protrude from the ejector 30 . The eject pin 26 may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jector 30 in a radial direction. The eject pin 26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eject pins 2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jector 30 . A plurality of ejection pins 26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이젝트 핀(26)은 이젝터(30)의 회전 시 상기 제빙홈으로 삽입되어 얼음을 취출하여 이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빙홈에서 이젝트 핀(26)에 의해 취출되어 이빙된 얼음은 낙하하여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ejector 30 rotates, the eject pin 26 is inserted into the ice-making groove to take out and separate the ice. The ice taken out by the ejection pin 26 from the ice-making groove and flaked off may fall and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ice box.

즉, 이빙되는 방식으로, 이빙을 위해 제빙 트레이(102)가 트위스트 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젝터(30)의 회전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이젝터(30)의 회전에 의해 이빙되는 금속재의 제빙 트레이(102)일 수 있다. 물론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 소재일수도 있다.That is, the ice tray 102 may be twisted for ice removal, or the ejector 30 may be rotated as described above. tray 102 . Of course, it may be a material including polypropylene.

냉장고(1)의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아이스 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제빙기(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상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기(100)에서 제빙된 얼음은 제빙기(100)로부터 상기 아이스 박스로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ice box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1 . The ice box may be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100 . The ice box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open top. Ice made in the ice maker 10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ice maker 100 to the ice box, and may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ice box.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는 오거(Aug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양단은 각각 상기 아이스 박스의 양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회전 시 상기 나선홈을 통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박스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의 일측에 설치된 오거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An auger may be disposed in the ice box. The auger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ice box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auge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ice box, respectively. A spiral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ger. When the auger rotates, the ice stored in the ice box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ice box through the spiral groove. The auger may be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an auger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ce box.

한편, 이빙 히터(110)는 면상 히터일 수 있다. 면상 히터와 제빙 트레이(102)의 저부측 표면과 면접촉을 통해 열전달을 할 수 있고, 상기 열전달에 의해 이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빙기(100)는 다른 하나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냉각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제빙 트레이(102)의 저부에 맺혀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고, 떨어진 물방울은 드레인부(70)에 도달할 수 있다. 드레인부(70)에 도달한 물방울은 제빙실 내부 환경에 의해 결빙될 수 있는데, 결빙이 누적되면 배수목적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결빙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히터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해빙 히터(71)이며, 해빙을 위해 드레인부(7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ce heater 110 may be a planar heater. Heat may be transferred through surface contact between the surface heat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tray 102 , and ice may be formed by the heat transfer. 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nother heater.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heating and cooling may form on the bottom of the ice making tray 102 and fall downward, and the dropped water droplets may reach the drain unit 70 . Water droplets reaching the drain unit 70 may be frozen due to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ice making chamber. If the ice is accumulated, the purpose of drainage may be lost, so heat from the heater may be transferred to a location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freezing. The heater is a thawing heater 71 and may be located inside the drain part 70 for thawing.

히터 커버(미도시)는 이빙 히터(110)를 덮을 수 있다. 상기 히터 커버는 제빙 트레이(10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커버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커버에는 드레인부(70)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축(41)과 제어박스(20) 결합되는 체결부(42)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부(70)의 일측이 상기 히터 커버의 회전축(41)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A heater cover (not shown) may cover the ice heater 110 . The heater cover may be disposed below the ice making tray 102 . The heater cover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with one side opened. A fastening part 42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41 and the control box 20 may be protru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heater cover so that one side of the drain part 70 is rotatable in a fixed state. Accordingly, one side of the drain unit 70 may rotate while being fixed to the rotation shaft 41 of the heater cover.

제빙 트레이(102)의 하면에는 냉매관(120)이 설치될 수 있다. 냉매관(120)은 길이방향의 가운데가 절곡된 U형일 수 있다. 냉매관(120)은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 회로에서 냉매를 공급받아서 제빙 트레이(102)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회로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고, 냉매관(120)은 상기 팽창기구를 통과한 냉매를 공급받아서 제빙 트레이(102)를 냉각할 수 있다. 냉매관(120)은 제빙 트레이(102)를 냉각하여 상기 제빙홈의 제빙수가 보다 더 빠르게 제빙되도록 할 수 있다.A refrigerant pipe 120 may be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ce making tray 102 . The refrigerant pipe 120 may be U-shaped with a longitudinal center bent. The refrigerant pipe 120 may receive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tion cycle circuit of the refrigerator 1 to cool the ice making tray 102 . The refrigerating cycle circuit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the refrigerant pipe 120 may cool the ice making tray 102 by receiving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pansion device. The coolant pipe 120 cools the ice making tray 102 so that the ice making water in the ice making groove can be made more quickly.

여기서, 유로 커버(150)는 냉매관(120)이 설치된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커버(150)는 공기가 유동(WD)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유로 커버(150)와 제어박스(20)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하도록 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커버(150)에서 유동하는 상기 공기는 통공(H)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제어박스(20)에 설치된 순환팬(50)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유로 커버(150)의 양측 단부에는 냉매관(120)을 지지하거나 감싸도록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가압 지지부(200)가 각각 결합 고정되어 있다.Here, the flow path cover 15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with one side open to surround a portion where the refrigerant pipe 120 is installed. The flow path cover 150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WD. That is, a through hole H may be formed in the flow path cover 150 and the control box 20 to allow the air to flow. Accordingly, the air flowing in the flow path cover 150 may be discharged along the circulation fan 50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20 while moving through the through hole H. At both ends of the flow path cover 150, a pair of pressing support part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nd fixed to support or surround the refrigerant pipe 120, respectively.

이러한 유로 커버(150)와 가압 지지부(200)의 구체적인 체결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specific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flow path cover 150 and the pressing suppor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below.

드레인부(70)는 제빙 트레이(10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부(70)는 유로 커버(150)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부(70)는 제빙 트레이(10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사각형상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네변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부(70)는 상측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 unit 70 may be disposed below the ice making tray 102 . The drain part 7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low path cover 1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rain unit 7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ice tray 102 and may includ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lower surface and side surfaces extending upward from four sides of the lower surface. The drain unit 7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드레인부(70)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표면에 결빙을 방지하는 해빙 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빙 히터 및 이빙 히터(110)는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될 수 있다. 이빙 히터(110) 및 상기 해빙 히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두 히터는 각각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drain unit 7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may further include a thawing heater (not shown) preventing freezing on the surface. The thawing heater and the ice thawing heater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The ice melting heater 110 and the melting ice heat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one or more methods of series and parallel.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the two heaters may be provided.

드레인부(70)는 제빙 트레이(102)의 제빙홈(미도시)에서 만수 또는 과공급되어 넘칠 수 있는 제빙수를 받아서, 상기 제빙수가 하부에 장착되는 아이스 박스(미도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drain unit 70 receives ice-making water that may overflow due to full water or excessive supply in the ice-making groove (not shown) of the ice-making tray 102 and prevents the ice-making water from flowing into an ice box (not shown) mounted therein. can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부(70)는 제어박스(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부(70)는 일측이 상기 히터 커버의 회전축(41)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되고, 타측이 제어박스(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부(70)의 상기 타측 부위에는 제어박스(20)의 순환팬(50)의 전면 부위에 결합되는 수평 연장부(72), 측면 부위에 가압 체결되는 단차부(75)가 형성된 수직 연장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부(70)의 일측이 상기 히터 커버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되면서 타측이 제어박스(20)의 측면 부위에 가압되어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unit 7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box (20).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drain unit 70 may be rotated while being fixed to the rotation shaft 41 of the heater cover,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 box 20 . Here, on the other side of the drain part 70, a horizontal extension part 72 coupled to the front part of the circulation fan 50 of the control box 20 and a stepped part 75 pressed and fastened to the side part are formed vertically. An extension 72 may be formed. Accordingly, while one side of the drain unit 70 is rotated while being fixed to the heater cover, the other side may be pressed and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control box 2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제빙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 상부에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 maker 100 . The ice maker 10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n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the ice make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제빙기(100)는 냉장고(1)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수를 얼음으로 변하게 하여서, 상기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The ice maker 100 may receive ice-making water from the refrigerator 1, and convert the ice-making water into ice by cold air supplied from the refrigerating cycle of the refrigerator 1 to the storage compartment to manufacture the ice. .

이러한 제빙기(100)는 케이스(10), 제어박스(20), 순환팬(200), 유로 커버(150), 제빙 트레이(102) 및 드레인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기 위한 예로써 도 2에 도시를 한 것이므로, 이제 한정되지는 않고 얼음이 제조된 후에 얼음이 이동되어지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설치된 어거모터와 스크류, 제빙 트레이(102)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등의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The ice maker 100 includes a case 10, a control box 20, a circulation fan 200, a flow path cover 150, an ice tray 102, and a drain unit 70. 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for explan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now, and the ice is moved after the ice is made, the storage unit, the auger motor, the screw, and the ice tray 102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A configuration such as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ice-making water is omitted from the illustration.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에서는 제어박스(20) 측에 순환팬(50)이 위치되어 있다. 순환팬(50)의 구동에 의해 제빙실(100) 내의 공기는 순환될 수 있다. 제빙실(100) 내의 공기는 열교환을 통해 상온보다 저온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저온상태의 공기가 제빙 트레이(102) 주변에서 이동되며 제빙 트레이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저하된 제빙 트레이(102)의 온도에 의해 제빙 트레이(102)에 제공된 제빙수는 얼음상태로 될 수 있다. 물론, 제빙 트레이(102)에는 냉각부(120)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120)는 냉매가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는 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와 제빙 트레이(102)의 접촉된 배치에 의해 제빙 트레이(102)는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영하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In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fan 50 is located on the control box 20 side. Air in the ice making compartment 100 may be circulated by driving the circulation fan 50 . Air in the ice making chamber 100 may be in a lower temperature state than room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The low-temperature air moves around the ice-making tray 102 and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tray, and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tray 102 can be made into ice by the reduced temperature of the ice-making tray 102. there is. Of course, the cooling unit 12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ce making tray 102 . The cooling unit 120 may be a pipe or the lik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may flow.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pipe and the ice tray 102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ce tray 102 may be maintained at a sub-zero temperature or cooled to a sub-zero temperature.

한편, 냉각된 제빙수는 얼음상태가 되는데, 얼음은 이빙이 될 수 있다. 이빙을 위해 제빙 트레이(102)가 트위스트 되거나 이젝터(30)의 회전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이젝터(30)의 회전에 의해 이빙되는 금속재의 제빙 트레이(102)일 수 있다. 물론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 소재일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led ice-making water is in an ice state, and the ice may become ice. For ice removal, the ice tray 102 may be twisted or rotated by the ejector 30 . In this embodiment, the ice tray 102 may be made of metal that is separated by rotation of the ejector 30 . Of course, it may be a material including polypropylene.

냉장고(1)의 상기 저장실에는 후술할 아이스 박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제빙기(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상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기(100)에서 제빙된 얼음은 제빙기(100)로부터 상기 아이스 박스로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An ice box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1 . The ice box may be disposed below the ice maker 100 . The ice box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open top. Ice made in the ice maker 10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ice maker 100 to the ice box, and may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ice box.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는 오거(Aug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양단은 각각 상기 아이스 박스의 양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회전 시 상기 나선홈을 통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박스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의 일측에 설치된 오거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An auger may be disposed in the ice box. The auger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ice box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auge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ice box, respectively. A spiral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ger. When the auger rotates, the ice stored in the ice box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ice box through the spiral groove. The auger may be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an auger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ce box.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간을 갖는 제빙 챔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making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sp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제빙 챔버(500)에 수납된 상태로 냉장고(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 챔버(500)는 제빙기(100)가 수용되는 제1 제빙 챔버(C1), 제빙기(100)로부터 취출되는 얼음(e)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제3 제빙 챔버(C3) 및 제빙기(100)로부터 유동하는 냉매가 유입되고 음용수 용기(K)가 수용되는 제2 제빙 챔버(C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기(100)의 일측에는 제빙 트레이(102) 방향으로 냉매를 유동시키도록 송풍팬(6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the refrigerator 1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hamber 500 . The ice making chamber 500 includes a first ice making chamber C 1 in which the ice maker 100 is accommodated, a third ice making chamber C 3 in which ice e taken from the ice maker 100 is dropped and stored, and an ice maker (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ice-making chamber (C 2 ) in which the flowing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K) is accommodated. Here, a blowing fan 6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100 to flow the refrigerant in the direction of the ice maker tray 102 .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제빙기(100)는 냉장고(1)에 배치되되,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빙 챔버(500)의 제1 제빙 챔버(C1)에 보관될 수 있다. 제빙기(100)가 보관되는 제1 제빙 챔버(C1)의 하측 부위에는 음용수 용기(K)가 수용되는 제2 제빙 챔버(C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빙 챔버(C1), 제2 제빙 챔버(C2) 및 제3 제빙 챔버(C3)는 격벽(B)을 통하여 구획되어 있고 이러한 격벽(B) 상에는 상기 냉매가 유동 가능하도록 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연통홀 부위에는 송풍팬(60)이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er 100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 the refrigerator 1 and stored in the first ice making chamber C 1 of the ice making chamber 500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 second ice-making chamber C 2 accommodating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K may be formed below the first ice-making chamber C 1 in which the ice maker 100 is stored. Here, the first ice-making chamber (C 1 ), the second ice-making chamber (C 2 ), and the third ice-making chamber (C 3 ) are partitioned through a partition wall (B), and the refrigerant is allowed to flow on the partition wall (B). A communication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addition, a blowing fan 60 may be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hole.

여기서, 음용수 용기(K)가 수용되는 제2 제빙 챔버(C2) 상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3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재(300)는 보관되는 음용수 용기(K)의 크기에 따라서 접이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음용수 용기(K)는 연장부재(300)를 연장시킨 후에 상부면 보관할 수도 있다.Here, an extension member 300 extending to one side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ce-making chamber C 2 in which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K is accommodated. The extension member 300 may be extended in a folding or sliding mann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ored drinking water container K, and the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K may extend the extension member 300 and then extend the upper surface. can also be stored.

또, 얼음(e)이 보관되는 제3 제빙 챔버(C3)의 내주면에는 얼음(e)이 해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주면에 붙지 않도록 이격바(L)가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이러한 이격바(L)에는 히터가 형성되도록 하여 얼음(e) 취출시에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pacer bar L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ice-making chamber C 3 in which ice e is stored so that the ice e is not thawed and does not adher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heater may be formed in the spacer bar L so that the ice e may be easily discharged when taking out.

한편, 이러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제빙 챔버(500) 내에 배치된 제빙기(100)를 통한 냉매의 유동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제빙기(100)의 제빙홈(15)에서 이젝트핀(26)을 통하여 취출된 얼음(e)은 제1 제빙 챔버(C1)와 제3 제빙 챔버(C3)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격벽(B)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제3 제빙 챔버(C3)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Meanwhile, a flow process of refrigerant through the ice maker 100 disposed in the ice making chamber 50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will be described. The ice (e) ejected through the first ice-making chamber (C 1 ) and the third ice-making chamber (C 3 ) is directed toward the third ice-making chamber (C 3 )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B) that spatially separates the first and third ice-making chambers (C 3 ). can fall into

이 때,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냉장고(1)에 장착되는 제빙기(100)는 얼음이 수용되는 공간만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빙 챔버(500)는 별도의 음용수 용기(K)가 보관 및 냉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빙기(100)의 일측에서 유동하는 상기 냉매를 자연스럽게 음용수 용기(K)가 보관되는 제2 제빙 챔버(C2)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음용수 용기(K)를 함께 냉장 보관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제빙기(100)의 일측에서 유동하는 상기 냉매가 음용수 용기(K)가 보관된 영역으로 순환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냉매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general, conventionally, the ice maker 100 mounted on the refrigerator 1 includes only a space for receiving ice, but the ice making chamb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drinking water container K stored therein. and can be cooled. Furthermore, by controlling the refrigerant flowing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100 to naturall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ce-making chamber C 2 where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K is stored,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K may be refrigerated together. there is. That is,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refrigerant may be maximized by allowing the refrigerant flowing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100 to be circulated and introduced into the area where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K is stor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 사시도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 단면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 제빙기의 히터가 배치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의 히터가 형성된 상부 트레이의 일부 사시도이다.5 is perspective views of a twist-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cross-sectional views of a twist-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twist-type ice mak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tray on which a heater of a twist-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전체 제빙기의 외형을 이루는 제빙기 본체(300), 제빙기 본체(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15)을 형성시키는 상부 트레이(210)와 하부 트레이(220)로 구성되는 제빙 트레이(200), 제빙기 본체(300)에 수용되고 제빙 트레이(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 제빙기 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아이스 박스(미도시)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검지부(11) 및 제빙기 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빙 트레이(200)의 제빙홈(15)에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로써 도 3 내지 도 7을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음이 제조된 후에 얼음이 이동되어지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설치된 어거모터와 스크류, 아이스 박스 등의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maker main body 30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entire ice maker body and an ice making groove 15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main body 300 and accommodating ice making water. An ice maker tray 200 composed of an upper tray 210 and a lower tray 220 to be formed, a drive unit 50 accommodated in the ice maker main body 300 and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ice maker tray 200, an ice maker The full ice detection unit 11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300 to detect full ice in the ice box (not shown) and the ice making groove 15 of the ice making tray 200 form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main body 3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ater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iced water. 3 to 7 are shown as examples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 storage unit in which ice is moved after ice is made, an auger motor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a screw, an ice box, etc. The composition omitted the city.

제빙기 본체(3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빙기 본체(300)의 상부는 개방된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 본체(300)의 내주면 양측 부위에는 제빙 트레이(200)의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ice maker body 3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ice maker body 300 may include an open portion. Both ends of the ice maker tray 2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ce maker body 300 .

제빙 트레이(200)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한 쌍의 상부 트레이(210) 및 하부 트레이(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 및 하부 트레이(220)는 상호 결합되면서 원형의 제빙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홈(15)은 제빙 트레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오목한 홈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ce making tray 200 may include a pair of an upper tray 210 and a lower tray 220 that are detachably detachable from each other. The upper tray 210 and the lower tray 220 of the ice making tray 200 may be mutually coupled to form a circular ice making groove 15 . The ice-making grooves 15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ce-making tray 200, preferably having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 section.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 트레이(200)의 일측에는 제빙기(1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T)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T)는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의 측면 또는 하부 트레이(220)의 저면 부위에 형성되되, 제빙 트레이(200)의 회전으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 및 하부 트레이(220) 사이에는 제빙 중 제빙홈(15)에 수용되어 있는 제빙수가 외측으로 누수 되지 않도록 실링부재(600)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er 1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tray 200 . The temperature sensor T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 making tray 200 or the bottom portion of the lower tray 220, bu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ice making tray 200. .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600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tray 210 and the lower tray 220 of the ice making tray 200 to prevent the ice water contained in the ice making groove 15 from leaking outward during ice making.

구체적으로, 제빙기 본체(300)는 하방 부위가 개방된 커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기 본체(300)의 상기 개방된 부위 내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파단된 형태로 가이드홀(310) 및 이격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ce maker main body 300 may be formed in a cover shape with an open lower portion. Here, the guide hole 310 and the separation hole 3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 portion of the ice maker body 300 in a shape broken to a predetermined length.

제빙 트레이(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트레이(210) 및 하부 트레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트레이(210)의 양측 단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캠(213) 및 회전캠(213)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힌지축(215)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힌지축(215)은 회전캠(213)을 통하여 제빙기 본체(300)의 가이드홀(310)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의 길이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ce making tray 200 may include a pair of an upper tray 210 and a lower tray 220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 rotary cam 213 extending to one side and a rotary hinge shaft 215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otary cam 213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tray 210. Here, the rotary hinge shaft 215 may reciprocate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0 of the ice maker body 300 through the rotary cam 213 .

또, 하부 트레이(220)의 일 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25)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225)은 제빙기 본체(300)의 이격홀(320)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트레이(220)의 회전축(225)은 제빙기 본체(300)의 이격홀(320)을 따라서 소정의 거리로 왕복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트레이(220)의 회전축(225)은 구동부(50)의 회전 중심축에 대해서 일측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하부 트레이(220)가 회동하는 경우에 상부 트레이(21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격될 수 있으므로 이빙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트레이(210)의 일측에는 전극봉(700)이 형성되어 전압통전 또는 정전용량 변화에 의한 급수부(10)에 의한 급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봉(700)은,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제빙 트레이(200)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속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비노출 정전센서(수위센서), 노출 정전센서(수위센서) 또는 통전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so, a rotation shaft 225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tray 220 , and the rotation shaft 225 may be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hole 320 of the ice maker body 300 . Similarly, the rotating shaft 225 of the lower tray 220 may reciprocate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eparation hole 320 of the ice maker body 300 .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shaft 225 of the lower tray 220 may be formed to be eccentric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50 . Through this, when the lower tray 220 rotates, interference with the upper tray 210 is minimized so that it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so that the separation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An electrode 7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tray 210 so that water supply control by the water supply unit 10 by voltage conduction or capacitance change may be possible. A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700 may be formed in a non-contact manner or in a connection manner extending into the ice making tray 200 . For specific examples, it may be a non-exposed electrostatic sensor (water level sensor), an exposed electrostatic sensor (water level sensor) or an energized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 상부 트레이(210)의 히터부(30)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전원 접속부(V)가 히터부(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전원 접속부(V)는 제빙기 본체(300)의 상부에 형성된 캡부재(80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전원 전속부(V)는 상부 트레이(210)의 힌지 회전축(215)을 통하여 제빙기 본체(30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트레이(21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heater unit 30 of the upper tray 210, as shown in FIGS. 16 and 17, a power connection unit V may extend from the heater unit 30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e power connection part V may be connected to the cap member 80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ce maker body 300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power transfer unit V extends into the ice maker main body 300 through the hinge rotation shaft 215 of the upper tray 2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upper tray 210. .

한편,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부위에 급수 유도부(219)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 유도부(219)는 급수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제빙수를 제빙홈(15)로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급수 유도부(219)는 상부 트레이(210)의 에어홀(211)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에어홀(211)에 관통되도록 급수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홀(21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를 연결하는 홈(groove)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수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빙수가 상기 홈(groove)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홀(212)로 동시에 원활하게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급수 유도부(219)의 급수홀(212)은 에어홀(211)에 관통되어 연결되되, 상기 제빙수가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단면이 사선으로 감소되는 경사면(218)을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 making tray 200, as shown in FIG. 5, a water supply guide part 219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 water supply guiding unit 219 may guide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to the ice-making groove 15 . The water supply guide part 219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air hole 211 of the upper tray 210 is formed, and a water supply hole 212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air hole 211 . Since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hole 2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connect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passes through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hole. (212) can be supplied smoothly at the same time. The water supply hole 212 of the water supply guide part 219 penetrates and is connected to the air hole 211,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18 is reduced in an oblique line so that the ice-making water is easily guided. ) can be formed in a funnel shape with

여기서, 급수 유도부(21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트레이(210)의 상부에 형성되거나, 상부 트레이(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독립적인 상부 커버(21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부 커버(214)는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 상부면에 결합되되, 급수부(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빙수가 하부 트레이(22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부 트레이(210)의 상부면 전체를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ater supply induction unit 219, as shown in FIG. 5, is formed on the upper tray 210 or formed on a separate independent upper cover 214 coupled to the upper tray 210. may be At this time, the upper cover 214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 making tray 200 so that the ice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does not flow into the lower tray 220. ) It may be formed in a form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구동부(5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제빙 트레이(2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0)의 일단은 구동부(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0)의 길이는 구동부(5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00)의 타단에 부근에는 급수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급수부(10)는 제빙홈(15)으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빙홈(15)으로 공급된 제빙수는 냉장고(1) 저장실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으로 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구동부(50)는 별도의 제어박스(11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어박스(110) 내부에는 기어박스(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비롯한 각종 내부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riving unit 5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The driving unit 5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ice making tray 200 . One end of the ice making tray 2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50 . The length of the ice making tray 200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drive unit 50 .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near the other end of the ice making tray 200 . The water supply unit 10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ice-ma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groove 15 .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groove 15 may be cooled by cold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1 and turned into ice. In some cases, the driving unit 50 may be integrally formed inside a separate control box 110, and various internal parts including a gearbox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are inside the control box 110. can be installed

제빙기 본체의 상부 측에는 급수부(10)가 배치 수 있다. 급수부(10)는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를 제빙홈(15)으로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부(10) 일측 단부는 제빙 트레이(200)를 향하도록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급수부(10)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빙수를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에 형성된 에어홀(211)을 통하여 제빙홈(15)에 공급할 수 있다.A water supply unit 10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ice maker body. As mentioned above, the water supply unit 10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ce-ma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groove 15, and may be formed in an overall 'L' shape. One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10 may be formed in a downwardly bent shape toward the ice-making tray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10 supplies the ice-making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making tray 200. The ice may be supplied to the ice making groove 15 through the formed air hole 211 .

히터(30)는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30)는 면상 히터 또는 실리콘 코드 히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상 히터일 수 있다. 이러한 면상 히터와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 표면과 면접촉을 통해 열전달을 할 수 있고, 상기 열전달에 의해 이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빙기(100)는 다른 하나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냉각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제빙 트레이(200)의 하부 트레이(220) 저부에 맺혀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고, 떨어진 물방울은 드레인 플레이트(150)에 도달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150)에 도달한 물방울은 제빙실 내부 환경에 의해 결빙될 수 있는데, 결빙이 누적되면 배수목적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결빙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히터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히터(30)는 드레인 히터(미도시)이며, 해빙을 위해 드레인 플레이트(150) 표면에 위치되거나 또는 내측에 매립될 수 있다. 또, 제빙기 본체(300)와 히터(30)는 실리콘 전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히터(30)의 전원 접속부는 별도의 힌지 회전용 캡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The heaters 30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 making tray 200 . The heat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lanar heater or a silicon cord heater, preferably a planar heater. Heat can be transferred through surface contact between the surface heater and the surface of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 making tray 200, and ice can be made by the heat transfer. 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nother heater.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heating and cooling may form on the bottom of the lower tray 220 of the ice making tray 200 and fall downward, and the dropped water droplets may reach the drain plate 150 . Water droplets reaching the drain plate 150 may be frozen due to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ice making room. If the ice is accumulated, the purpose of drainage may be lost, so heat from the heater may be transferred to a location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freezing. The heater 30 is a drain heater (not shown) and may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drain plate 150 or buried inside for thawing. Also, the ice maker main body 300 and the heater 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 silicon wire. In addition, the power connection part of the heater 30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hinge rotating cap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30)는 제빙 트레이(200)의 상부 트레이(210)의 일측, 즉 제빙홈(15)의 상부측을 형성시키는 만곡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의 상부 트레이(210)는 상기 만곡된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이러한 만곡된 부위에는 히터(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히터 안착부(219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30)는 제빙 트레이(30)의 상부 트레이(210)에 형성된 경계부(216)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계부(216)는 히터(3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부 트레이(210)의 상기 수평 연장 부위는 상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상부 트레이 연장부(217)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트레이 연장부(217)에도 히터 안착부(219a) 또는 경계부(216)가 형성되고 히터(30)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 making tray 200, that is, on a curved portion forming the upper side of the ice making groove 15.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 making tray includes a portion horizontally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and heater mounting portions 219a may be formed at the curved portion to stably support the heater 30 . there is. Also, as shown in FIG. 8B , the heater 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undary portions 216 formed on the upper tray 210 of the ice making tray 30 . The boundary portion 216 prevents the heaters 30 from flowing in a spaced apart state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icing can be stably performed. Furthermore,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of the upper tray 21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tray extension portion 217 extending vertically upward, and a heater seating portion 219a or Of course, the boundary portion 216 may be formed and the heater 30 may be disposed.

여기서, 상부 트레이(210)의 상기 만곡된 부위의 상측 중앙부위에는 제빙홈(15)으로 관통하는 에어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211)을 통하여 급수부(10)로부터 제빙수가 공급되어 제빙홈(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홀(211)은 제빙홈(15)의 제빙수가 제빙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포, 즉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n air hole 211 passing through the ice-making groove 15 may be formed in an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upper tray 210 . Ice-making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through the air hole 211 and introduced into the ice-making groove 15 . The air hole 211 may allow bubbles, that is, air,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king ice in the ice making groove 15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경우에 따라서, 히터(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트레이(210)의 상기 만곡된 부위에 형성되는 에어홀(2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나선형 스파이럴(spiral)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7 , the heater 30 may be radially formed in a spiral shape around the air hole 211 formed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upper tray 210. can

또, 만빙 검지부(11)는 구동부(50)의 일측에 캠 회전에 의해 동작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한 싸이클의 동작 중에 만빙 검지부(11)의 동작이 개입되어 있어 제빙과정이 기구적으로 연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만빙 검지부(11) 이외에 적외선 센서의 감지여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 여부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는 정기적으로 동작을 유도하거나 적외선 센서영역에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여부 감지 시간 등의 조건의 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ll ice detection unit 1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50 so as to operate by rotating the cam.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full ice detection unit 11 is intervened during one cycle of operation, so that the ice making process can be interlocked mechanically. In addition, it may be controlled by whether the infrared sensor detects or not other than the full ice detection unit 11 . The case of being controlled by whether the infrared sensor detects or not may be selectively determined by a combination of conditions such as periodically inducing an operation 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infrared sensor is detected in an infrared sensor are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드레인 플레이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15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트레이(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150)는 제빙 트레이(200)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150)는 제빙 트레이(2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사각형상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네변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플레이트(150)는 상측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drain plate 150. 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drain plate 150 may be disposed below the ice making tray 200 . The drain plate 15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ce making tray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rain plate 15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ice making tray 200 and may includ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lower surface and side surfaces extending upward from four sides of the lower surface. The drain plate 15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with an open top.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트레이(220)의 양측 단부 상향 연장 형성되는 부분은 급수 제한 높이, 즉 제빙홈(15)의 최상단 부위의 높이와 적어도 같거나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빙홈(15)의 에어홀(211)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는 제빙수가 제빙기(100)의 외부로 흘러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the portions extending upwardly from both ends of the lower tray 220 are formed to be at least equal to or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ce-making groove 15, i.e., the water supply restriction height. It is desirable to do so. This is to prevent ice-making water that may flow out through the air hole 211 of the ice-making groove 15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of the ice maker 100 .

드레인 플레이트(150)는 제빙 트레이(102)의 제빙홈(15)에서 만수 또는 과공급되어 넘칠 수 있는 제빙수를 받아서, 상기 제빙수가 하부에 장착되는 아이스 박스(미도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drain plate 150 may receive ice-making water that may overflow due to full water or excessive supply in the ice-making groove 15 of the ice-making tray 102 and prevent the ice-making water from flowing into an ice box (not shown) mounted therein. there is.

또, 드레인 플레이트(150)는 표면에 결빙을 방지하는 해빙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빙히터 및 히터(30)는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될 수 있다. 히터(30) 및 상기 해빙히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히터(30) 및 상기 해빙히터는 각각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drain plate 150 may further include a thawing heater to prevent freezing on the surface. The thawing heater and the heater 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The heater 30 and the thawing heat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one or more methods of series and parallel.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heaters 30 and the ice melting heater may be provided.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taken for gran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 within the equivalent rang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1: 냉장고 8, 9: 도어
11: 만빙검지부 20: 제어박스
26: 이젝트핀 27 : 이젝터
30: 히터부 41: 회전축
50: 순환팬 60: 송풍팬
70: 드레인부 100: 제빙기
120: 냉각부 102, 200: 제빙 트레이
210: 상부 트레이 211: 에어홀
212: 급수홀 213: 회전캠
214: 상부 커버 215: 회전 힌지축
216: 경계부 217: 연장부
218: 경사면 219: 급수 유도부
220: 하부 트레이 221: 슬라이드면
225: 회전축 300: 제빙기 본체
310: 가이드홀 320: 이격홀
600: 실링부재
B: 격벽 C1: 제1 제빙 챔버
C2: 제2 제빙 챔버 C3: 제3 제빙 챔버
K: 음용수 용기 L: 이격바
1: refrigerator 8, 9: door
11: full ice detection unit 20: control box
26: eject pin 27: ejector
30: heater unit 41: rotation shaft
50: circulation fan 60: blowing fan
70: drain unit 100: ice maker
120: cooling unit 102, 200: ice tray
210: upper tray 211: air hole
212: water supply hole 213: rotation cam
214: upper cover 215: rotation hinge shaft
216: border 217: extension
218: slope 219: water supply induction unit
220: lower tray 221: slide surface
225: rotation shaft 300: ice maker body
310: guide hole 320: spaced hole
600: sealing member
B: bulkhead C 1 : first ice-making chamber
C 2 : Second ice-making chamber C 3 : Third ice-making chamber
K: Drinking water container L: Spacer bar

Claims (16)

냉각모체에 장착되고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빙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챔버는,
제빙기가 수용되는 제1 제빙 챔버; 및
상기 제빙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가 유입되고 음용수 용기가 수용되는 제2 제빙 챔버;를 포함하는 제빙기.
An ice-making chamber mounted on the cooling matrix and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e ice making chamber,
a first ice-making chamber in which an ice maker is accommodated; and
An ice maker comprising: a second ice making chamber in which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ice maker is introduced and a drinking water container is accommod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챔버는, 상기 제빙기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보관되는 제2 제빙 챔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making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making chamber in which ice released from the ice maker is sto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용기가 수용되는 제2 제빙 챔버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가능한 연장부재가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An ice maker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second ice making chamber in which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is accommodat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 회전에 의한 절곡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3,
At least one hinge part is formed on the extension member, and the ice maker is formed to be bent by rotation of the hing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제빙기 본체;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제빙수가 수용되는 제빙홈을 형성시키고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 트레이;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부; 및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형성된 제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제빙기 본체에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또는 압박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로부터 이탈되며 제빙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로부터 이빙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maker,
ice maker body;
an ice-making tray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main body, including an upper tray and a lower tray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form an ice-making groove in which ice-making water is accommodated;
at least one heater part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tray; and
A control box provided with at least one driving unit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ice making tray;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tray is slid or press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ice maker main body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and the ice made is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빙 챔버, 제2 제빙 챔버 및 제3 제빙 챔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빙기 내의 냉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호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An ice mak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ice maker chamber, the second ice maker chamber, and the third ice maker chamber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at least partial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at cold air inside the ice maker can flo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챔버 내에는 복수의 송풍팬이 배치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An ice maker in which a plurality of blower fans are disposed in the ice making cha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송풍팬의 동작이 제어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7,
The ice make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An ice maker in which an operation of the blower fan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캠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만빙레버와 연결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box is connected to an ice dumping lever operated by rotation of a ca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기 제빙홈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ice making groove of the ice making tray has a circular or oval cross s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히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히터부는 면상히터이고, 상기 제빙 트레이에 인서트 사출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ice maker further includes a heater,
The heater unit is a planar heater, and the ice maker is insert-injected into the ice tr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부 트레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빙홈을 형성시키는 만곡된 부위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1,
The heater is formed on the upper tray of the ice making tray, and is radially formed in a curved portion where the ice making groove is form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ice maker wherein the heater is formed in a spiral shap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에는 상기 제빙홈을 형성시키는 만곡 부위에 상기 히터를 지지하는 히터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5,
The ice maker further comprises a heater seating part for supporting the heater at a curved portion of the upper tray where the ice making groove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빙 챔버에는 상기 음용수 용기의 입출입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더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An ice maker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entry and exit of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in the second ice making chamber.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KR1020210138230A 2021-10-18 2021-10-18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ending KR202300550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230A KR20230055015A (en) 2021-10-18 2021-10-18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230A KR20230055015A (en) 2021-10-18 2021-10-18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015A true KR20230055015A (en) 2023-04-25

Family

ID=8610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230A Pending KR20230055015A (en) 2021-10-18 2021-10-18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01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532A (en)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532A (en)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50302E1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EP3062048B1 (en) Refrigerator
AU2012251252B2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482263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EP3270078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376873B1 (en) Refrigerator
US9423166B2 (en) Refrigerator
KR20130028324A (en) Refrigerator
KR20080106688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same
US11525614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30128224A (en) Refrigerator
US8281611B2 (en) Icemaker for a refrigerator
EP4556821A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103807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517864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EP3460366B1 (en) Ice maker
KR20230055015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00085641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EP3460362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377151B1 (en) Refrigerator
KR20230053107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30089217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240263860A1 (en) Direct cooling ice maker with cooling system
KR20080015340A (en) Refrigerator
KR20250057385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