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4577A - 곤충 사육 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사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577A
KR20230054577A KR1020210137954A KR20210137954A KR20230054577A KR 20230054577 A KR20230054577 A KR 20230054577A KR 1020210137954 A KR1020210137954 A KR 1020210137954A KR 20210137954 A KR20210137954 A KR 20210137954A KR 20230054577 A KR20230054577 A KR 20230054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humidity
insect
medium
f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8591B1 (ko
Inventor
전민지
전태언
권영욱
이정규
도민호
Original Assignee
전민지
전태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지, 전태언 filed Critical 전민지
Priority to KR102021013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85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5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85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K67/033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30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사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곤충 사육에 사용되는 배지를 대형화, 집적화 및 자동화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동일한 배양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곤충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양기(1)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프레임(10),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부 및 후부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40) 양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60),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60)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축(61), 상기 복수의 연결축(61)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벨트(70), 상기 복수의 지지벨트(7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사육배지(8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육배지(80)는 회전축(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곤충 사육 장치{insect breeding device}
본 발명은 곤충 사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곤충 사육에 사용되는 배지를 대형화, 집적화 및 자동화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동일한 배양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곤충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 사육 농가에서는 배지로 주로 리빙박스를 사용한다. 이렇게 배지로 사용되는 리빙박스는 주로 45리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곤충 사육 농가에서는 제한된 면적에서 많은 양의 곤충을 사육하기 위하여 배지를 3단 내지 5단의 높이로 적층하여 곤충 사육하고는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배지를 3단 내지 5단으로 적층하여 사육을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제한된 면적에서 많은 양의 곤충을 사육하기는 용이하나 상단과 하단의 온도 차이가 3℃ 이상 발생하게 되고 이는 곤충 사육의 성장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를 관리하는 사육자가 3단 내지 5단으로 적층된 배지를 일일이 관찰하며 관리해야함에 따라 사육자의 노동 강도가 적지 않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곤충 대량 사육 장치에 대한 발명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6828호(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산란부(100), 부화부(200), 성충사육부(300), 유충사육부(400), 유충선별부(500)로 구성되어 유용곤충 사육을 자동화함으로써 설비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곤충 사육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유용곤충의 생산효율이 증대되어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양의 곤충 사육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하나 이상의 부화장치 선반(211)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부화장치(210)에 산란배지(131)를 포함하는 산란유도부(130)가 이격되어 적층되는 구성으로써 유용곤충의 유충 생산에 대량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는 있으나, 부화장치 선반(211)이 적층되어 복수의 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단과 하단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곤충 사육의 성장속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균일한 시간에 균일한 생산량을 도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 곤충 사육 장치에 의해 곤충의 대량사육을 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한 환경에서 사육이 이루어지게 하여 균일한 시간에 균일한 생산량을 도출할 수 있는 곤충 사육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6828호(2019.02.13.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배양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사육배지를 일정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사육 환경을 동일하게 하여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성장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는 곤충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온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에 의해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곤충의 사육환경을 균일하게 조성함으로써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성장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는 곤충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육배지에 구비된 제1습도조절장치에 의해 사육배지마다 수분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성장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는 곤충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곤충 사육 장치는, 배양기를 통해 곤충을 사육하는 곤충 사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1)는, 받침프레임(10);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부 및 후부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40) 양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60);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60)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축(61); 상기 복수의 연결축(61)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벨트(70); 상기 복수의 지지벨트(7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사육배지(8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육배지(80)는 회전축(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양기(1)에는, 상기 사육배지(80)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습도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습도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사육배지(80)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사육배지(8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1습도센서(110); 상기 복수의 사육배지(8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모듈(120);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모듈(120)은 물이 이동되는 공급호스(121)와 상기 공급호스(121)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분사노즐(1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양기(1)는 밀실을 형성하는 사육장(3)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는 사육장(3)의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2습도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습도조절장치는, 상기 사육장(3)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2습도센서(130)와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는 상기 사육장(3)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조절장치(2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 구비되는 온도센서(210);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냉온풍기(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육배지(80)는, 곤충이 사육되는 사육부(81)와 상기 사육부(81)가 수납되는 수납부(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육부(81)는, 상기 수납부(83)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사육부(81)가 상기 수납부(8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배양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사육배지를 일정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사육 환경을 동일하게 하여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성장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에 의해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곤충의 사육환경을 균일하게 조성함으로써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성장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육배지에 구비된 제1습도조절장치에 의해 사육배지마다 수분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성장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례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례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 수분공급모듈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회전축 베어링과 회전축 및 지지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의 사육장 내부에 습도조절장치와 온도조절장치 및 제어패널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사육배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사육배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사육부가 수납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는 배양기(1)에 구비되는 복수의 사육배지(80)를 일정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사육배지(80)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사육 환경을 동일하게 하여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성장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곤충 사육 장치는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된 회전축(40)에 의해 사육배지(8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 곤충 사육 장치의 설치 면적 보다 대폭 감소된 면적에서 곤충을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고, 저층과 고층으로 이루어진 기존 곤충 사육 장치의 사육 환경의 차이를 해소하여 모든 시육배지(80)가 균일한 사육 환경에서 곤충의 사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육장(3)의 내부에 온도조절장치(200) 및 습도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균일한 사육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각각의 사육배지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성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곤충 사육 장치는 사육장(3) 내부에 구비되는 배양기(1)가 구동모터(50)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복수의 사육배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양기(1)는 복수의 시육배지(80)를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곤충을 사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곤충 사육 장치이다.
이러한 배양기(1)는 받침프레임(10), 지지프레임(20), 회전축 베어링(30), 회전축(40), 구동모터(50), 지지부재(60), 연결축(61), 지지벨트(70), 복수의 사육배지(80)를 포함한다.
받침프레임(10)은 배양기(1)의 최하측에 설치되어 사육장(3)의 바닥에 의해 지지되면서 배양기(1)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받침프레임(10)은 강재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배양기(1)를 지면 또는 사육장(3) 바닥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받침프레임(10)의 전부 및 후부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프레임(20)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프레임(10)의 전부 및 후부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은 전부 및 후부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사이에는 회전축(40)이 구비되며, 회전축(40)의 양단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의 상단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회전축(4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의 상단 중앙부에는 회전축 베어링(30)이 구비되며, 회전축 베어링(30)에 의해 회전축(40)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지지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회전축(40)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을 서로 연결하지 않고,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각각에 회전축(40)이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전부의 지지프레임(20)에 전부 회전축(400이 구비되고, 후부 지지프레임(20)에 후부 회전축(40)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부재(20) 사이에는 전부 및 후부 회전축(40)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60) 및 서로 대창되는 지지부재(6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축(61)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40)은 후술하는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되며, 회전축(4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축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 기어는 후술하는 동력전달수단(53)에 의해 구동모터(50)와 상호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을 회전축(4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회전축(40)에 회전축 기어가 구비된 측의 지지프레임(20) 일측에는 구동모터(5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50)는 감속모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50)의 축에는 구동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 기어 및 구동기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프라켓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을 회전축(40)에 전달할 수 있는 기어, 벨트풀리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 기어와 구동기어는 동력전달수단(5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53)은 회전축 기어 및 구동기어의 형상에 따라 체인, 벨트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을 회전축(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축 기어와 구동기어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축(40)이 회전되어 사육배지(80)가 회전됨으로써 사육배지(80)에서 사육되는 곤충이 동일한 사육환경에서 사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회전축(40)의 양단부에는 복수의 지지부재(60)가 각각 방사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40)의 양단부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60)는 회전축(4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의 회전축(40)에 결합된 지지부재(60)와 타측의 회전축(40)에 결합된 지지부재(60)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연결축(61)이 일측의 회전축(40)에 결합된 지지부재(60)와 타측의 회전축(40)에 결합된 지지부재(60)에 결합되었을 때 연결축(61)이 지면 및 받침프레임(10)과 평행한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회전축(40)에 형성된 지지부재(60)는 회전축(4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연결축(61)에 결합되는 지지벨트(70)와 지지벨트(70)에 의해 지지되는 사육배지(8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육배지(80)의 회전으로 인해 각각의 사육배지(80)에 동일한 온도, 습도 및 환기가 적용되어 각각의 사육배지(80)가 동일한 사육환경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즉, 사육배지(80)의 높낮이, 내측 및 외측 등 위치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곤충의 사육 환경의 차이를 사육배지(80)를 회전시킴으로써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육배지(80)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사육 환경을 균일하게 하여 사육 환경에 따른 곤충의 성장 차이를 방지하고, 곤충의 균일한 성장이 가능하게 된다.
일측의 회전축(40)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부재(60)와 대칭되도록 타측의 회전축(40)에 결합된 지지부재(60)는 연결축(6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연결축(61)은 강재재질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61)은 일측과 타측의 회전축(40)에 결합된 지지부재(60)를 상호 연결하고 후술하는 복수의 지지벨트(70)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벨트(70)는 연결고리(71)에 의해 연결축(61)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벨트(70)는 후술하는 사육배지(80)를 연결축(61)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지지벨트(70)의 내측에는 사육배지(8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육배지(80)는 곤충을 사육하는 리빙박스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육배지(80)는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육배지(80)의 내측에 환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곤충의 사육 상태를 육안으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할 수 있고, 개방된 상측을 통해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육배지(80)는 전술한 연결고리(71)를 통해 연결축(61)에 결합하거나 연결축(61)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육배지(80)를 연결축(61)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즉, 곤충의 유충이 내측에 포함된 사육배지(80)를 배양기(1)에 결합하기 위해 먼저 사육배지(80)를 연결고리(71)가 구비된 지지벨트(70)에 결합하고, 지게차 또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연결축(61)이 있는 위치로 사육배지(80)를 이동시켜 연결고리(71)를 연결축(61)에 결합하고, 사육이 완료된 곤충의 수집을 위해 사육배지(80)를 배양기(1)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게차나 컨베이어를 분리하고자 하는 사육배지(80) 하부에 위치시킨 후 지게차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사육배지(80)를 상승시켜 연결고리(71)를 연결축(61)에서 분리한 후 사육장(3) 외부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중량의 사육배지(80)를 배양기(1)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경제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육배지(8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사육배지(80)는 곤충이 사육되는 사육부(81)와 사육부(81)가 수납되는 수납부(83)로 형성될 수 있다.
사육부(81)는 수납부(83)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육부(81)를 수납부(83)로부터 슬라이딩시켜 결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컨베이어 및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사육배지(80)를 배양기(1)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배양기(1)는 사육장(3)의 내부에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사육장(3)는 전술한 배양기(1) 및 후술하는 제2습도조절장치와 온도조절장치(200) 등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구성이다.
배양기(1)에는 제1습도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습도조절장치는 사육배지(80) 각각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제1습도센서(110)와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물을 분사하는 수분공급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습도센서(110)는 사육배지(80)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습도센서(110)는 사육배지(80) 각각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육배지(80) 각각에 설치된 제1습도센서(110)는 각 사육배지(80)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후술하는 제어패널(300)로 습도 측정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패널(300)로 전송되는 습도 측정값은 각 사육배지(80)가 분사노즐(123)의 하측에 도달하기 직전에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123)의 하측에 도달하기 직전의 사육배지(80)에서 측정된 습도값을 전달받은 제어패널(300)은 전달된 측정 습도값을 기 설정된 기준 습도값과 비교하여 수분의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게 되고,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분사노즐(123)의 하측에 도달한 사육배지(80)에 물을 분사하되, 분사되는 물의 분사량을 제어하여 사육배지(80)가 항상 적정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기 설정된 기준 습도값이 100일 경우, 어느 하나의 사육배지(80)의 측정 습도값이 70이면 제어패널(300)에 의해 해당 사육배지(80)에 30만큼의 습도가 상승할 수 있는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물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수분공급모듈(120)은 지지프레임(20)의 전후방에 걸쳐 배양기(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급호스(121)와 공급호스(121)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분사노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공급모듈(120)은 복수의 사육배지(8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제1분사노즐(123)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육배지(80)가 1회전할 때마다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육장(3)의 내부에는 사육장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습도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습도조절장치는 제2습도센서(130)와 제2분사노즐(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습도센서(130)는 사육장(3) 내부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패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패널(300)은 제2습도센서(130)에서 측정된 습도값을 전송받아 기 설정 습도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 습도값보다 측정된 습도값이 낮을 경우에는 제2분사노즐(140)에서 물분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물분사 중 측정된 습도값이 기 설정 습도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제2분사노즐(140)에서 물분사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며, 물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측정된 습도값이 기 설정 습도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환가시설 등을 가동하여 사육장(3) 내부의 습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제2습도조절장치에 의해 사육장(3) 내부의 습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곤충 사육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분사노즐(123) 제2분사노즐(140)은 안개분무가 가능한 미스트 분사노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육장(3)의 내부에는 온도조절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200)는 사육장(3)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10)와 사육장(3)의 내부에 냉풍 및 온풍을 제공하는 냉온풍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210)는 사육장(3)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210)는 기 설정된 온도 값으로부터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패널(300)로 전송하고, 제어패널(300)은 전송된 온도가 설정 온도 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냉온풍기(220)에서 온풍이 송풍되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 온도 값보다 온도가 높을 경우 냉온풍기(220)에서 냉풍이 송풍되도록 제어하여 사육장(3) 내부의 온도가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조절장치(200)의 온도센서(210)에 의해 사육장(3)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축정된 온도에 따라 냉온풍기(220)를 가동하여 사육장(3)의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사육장(3) 내부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곤충 사육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전술한 온도조절장치(200)와 제2습도센서(130) 및 제2분사노즐(140)은 사육장(3) 내부의 환경 요소를 조절함으로써 사육장(3) 내부의 사육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복수의 사육배지(80)가 동일한 환경에서 곤충이 사육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사육배지(80)에서 사육되는 곤충의 발육 상태가 균일하여 사육되어 균질의 곤충을 수확하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사육장(3)의 내부에는 구동모터(50)와 제1습도조절장치와 제2습도조절장치 및 온도조절장치(200) 등을 제어하는 제어패널(300)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패널(300)은 구동모터(50)의 구동 및 회전속도 조절을 실시할 수 있고, 습도조절장치(100) 및 온도조절장치(200)의 가동 및 정지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패널(300)은 제1습도조절장치의 제1습도센서(110)와 제2습도조절장치의 제2습도센서(130) 및 온도조절장치(200)의 온도센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패널(300)은 전기적 또는 무선통신에 의해 습도 측정값 및 온도 측정값을 전송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패널(300)에 의해 사육장(3) 내부의 사육환경을 알맞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배양기 3 : 사육장
10 : 받침프레임 20 : 지지프레임
30 : 회전축 베어링 40 : 회전축
50 : 구동모터 53 : 동력전달수단
60 : 지지부재 61 : 연결축
70 : 지지벨트 71 : 연결고리
80 : 사육배지 81 : 사육부
83 : 수납부 110 : 제1습도센서
120 : 수분공급모듈 121 : 공급호스
123 : 제1분사노즐 130 : 제2습도센서
140 : 제2분사노즐 200 : 온도조절장치
210 : 온도센서 220 : 냉온풍기
300 : 제어패널

Claims (9)

  1. 배양기를 통해 곤충을 사육하는 곤충 사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1)는,
    받침프레임(10);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부 및 후부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40) 양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60);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60)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축(61);
    상기 복수의 연결축(61)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벨트(70);
    상기 복수의 지지벨트(7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사육배지(8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육배지(80)는 회전축(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1)에는
    상기 사육배지(80)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습도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습도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사육배지(80)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사육배지(8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1습도센서(110);
    상기 복수의 사육배지(8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모듈(120);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모듈(120)은 물이 이동되는 공급호스(121)와 상기 공급호스(121)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분사노즐(1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1)는 밀실을 형성하는 사육장(3)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는 사육장(3)의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2습도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습도조절장치는,
    상기 사육장(3)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2습도센서(130)와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는 상기 사육장(3)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조절장치(2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 구비되는 온도센서(210);
    상기 사육장(3)의 내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냉온풍기(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육배지(80)는,
    곤충이 사육되는 사육부(81)와 상기 사육부(81)가 수납되는 수납부(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육부(81)는,
    상기 수납부(83)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사육부(81)가 상기 수납부(8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KR1020210137954A 2021-10-16 2021-10-16 곤충 사육 장치 Active KR10271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954A KR102718591B1 (ko) 2021-10-16 2021-10-16 곤충 사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954A KR102718591B1 (ko) 2021-10-16 2021-10-16 곤충 사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577A true KR20230054577A (ko) 2023-04-25
KR102718591B1 KR102718591B1 (ko) 2024-10-16

Family

ID=8610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954A Active KR102718591B1 (ko) 2021-10-16 2021-10-16 곤충 사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85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571B1 (ko) * 2010-06-21 2012-12-18 주식회사 필라이트솔루션 식물 재배 장치
KR20150100392A (ko) * 2014-02-25 2015-09-02 이삼구 곤충 대량 사육 장치 및 시설
KR20180073289A (ko) * 2016-12-22 2018-07-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귀뜰 이동식 컨테이너를 이용한 귀뚜라미 사육장치
KR20180132206A (ko) * 2017-06-02 2018-12-12 박덕기 귀뚜라미 실내 사육타워 자동시스템
KR101946828B1 (ko) 2017-09-25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CN209436058U (zh) * 2018-11-09 2019-09-27 浙江怡禾园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高效省力的旋转蚕床设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571B1 (ko) * 2010-06-21 2012-12-18 주식회사 필라이트솔루션 식물 재배 장치
KR20150100392A (ko) * 2014-02-25 2015-09-02 이삼구 곤충 대량 사육 장치 및 시설
KR20180073289A (ko) * 2016-12-22 2018-07-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귀뜰 이동식 컨테이너를 이용한 귀뚜라미 사육장치
KR20180132206A (ko) * 2017-06-02 2018-12-12 박덕기 귀뚜라미 실내 사육타워 자동시스템
KR101946828B1 (ko) 2017-09-25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CN209436058U (zh) * 2018-11-09 2019-09-27 浙江怡禾园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高效省力的旋转蚕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8591B1 (ko) 202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974B2 (ja) 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US20200163285A1 (en) Sustainable tandem vertical farming system for urban shopping centers
KR101812211B1 (ko) 식물재배 및 곤충사육을 위한 태양광 발전 컨테이너
KR20180074665A (ko) 고밀도 원예 재배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1935605B1 (ko) Ict 스마트팜 작물 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2049234B1 (ko) 식물재배용 자율주행장치
JP3227371U (ja) 植物及びキノコ育成装置
KR102328541B1 (ko)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
CN105850509A (zh) 一种食用菌培植的可移动式智能整体设备
KR20150118007A (ko) 식물공장 자동화장치
KR102425098B1 (ko) 온실 식물재배시스템
CN213044429U (zh) 植物及菌类种植设备
KR101218103B1 (ko) 회전식 식물 재배 장치
ES2969521T3 (es) Sistema de control del clima para el cultivo de insectos
KR20230054577A (ko) 곤충 사육 장치
JP3158246U (ja) 植物生産多段棚
CN205492102U (zh) 一种智能化养殖禽舍
JP2008104364A (ja) 植物生理管理装置
CN116849083B (zh) 一种温度可控的食用菌生态栽培设备
TWM598595U (zh) 植(菌)物種植設備
CN116114626B (zh) 一种种蛋/胚蛋全自动转运装置和种蛋/胚蛋孵化系统
KR20220090809A (ko)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KR102242466B1 (ko)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KR20250031047A (ko) 식물 재배장치
CN223168813U (zh) 集装箱式植物工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