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3878A -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878A
KR20230053878A KR1020210137185A KR20210137185A KR20230053878A KR 20230053878 A KR20230053878 A KR 20230053878A KR 1020210137185 A KR1020210137185 A KR 1020210137185A KR 20210137185 A KR20210137185 A KR 20210137185A KR 20230053878 A KR20230053878 A KR 20230053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lick
electric range
magnetic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878A/ko
Publication of KR2023005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878A/ko
Priority to KR1020230120313A priority patent/KR102762308B1/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8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or possible in only one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 상면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회전하며 상면에 클릭부가 형성되는 회전조작놉 모듈과, 상기 회전 조작놉 모듈과 오버랩 되도록 상기 상판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의 회전 신호 및 상기 클릭부의 클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측 장착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 위치에 관통홀이 존재하지 않는 상판과, 상기 버튼 위치에 자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신호 및 클릭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MAGNETIC CLICK KNOB DEVICE FOR ELECTRIC RANGE }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데이터 및 클릭데이터를 함께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의 조합을 통해 전기레인지의 전체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븐(oven), 전기레인지, 가스레인지, 난방기구 등의 전자기기에는, 동작 제어를 위하여 조작하기 위한 키버튼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전기레인지의 경우, 화력 조절이나 타이머 등과 같은 레벨을 조작하는데 있어 숫자 키를 터치하거나, +키/-키 버튼을 눌러 여러 번의 반복동작을 통해 원하는 단수(stage number)를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기레인지를 오랫동안 사용하여 과열이 된 상태에서 단수 선택 시에는 온도에 대한 불편함 및 불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키/-키의 반복동작에 대한 제품 조작의 피로도가 높아 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이얼(dial) 방식의 마그네틱 놉 스위치를 도입하여 키 버튼을 누르는 것이 아닌 놉 스위치를 회전시켜 단수를 조절하는 등 조작 편의성을 높일 수 있었다.
하지만, 마그네틱 놉 스위치를 도입하여 위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화구 선택이나 타이머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상판의 기능키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마그네틱 놉의 역할이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69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1339호 미국 특허출원 제 US 12/246,743 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레인지의 놉 스위치를 이용해 회전 또는 클릭 입력을 가능하게 해 마그네틱 놉 스위치 하나로 전기레인지 전체의 기능을 선택하고 화구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판에 장착 구멍을 형성시키지 않고 탈착 가능한 마그네틱 놉 스위치를 제공하여, 뛰어난 조립성과 경제성을 가지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판 상면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회전하며 상면에 클릭부가 형성되는 회전조작놉 모듈과, 상기 회전 조작놉 모듈과 오버랩 되도록 상기 상판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의 회전 신호 및 상기 클릭부의 클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측 장착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은 버튼의 외관을 형성하는 놉 바디와, 상기 놉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터치 또는 푸쉬 입력을 감지하는 클릭부와, 상기 클릭부에서 감지된 입력을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놉 바디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자석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장착 모듈은 상기 통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수신소자와, 상기 자석부재들의 회전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놉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클릭부는 상기 중심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클릭시 상하로 왕복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클릭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놉 바디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센서 또는 감압센서가 연결되고, 상기 클릭부는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내측 장착 모듈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석부재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웃한 다른 자석부재와 극성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 센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는 동일한 시각에 서로 반대의 위상을 출력하도록 간격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통신송신소자와, 상기 무선통신송신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소자와, 상기 배터리소자에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장착 모듈은 중심부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을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과,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관통홀 둘레에 링형으로 배치되고 무선충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버튼 위치에 관통홀이 존재하지 않는 상판과, 상기 버튼 위치에 자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신호 및 클릭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는 상기 상판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조작놉 모듈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장착되어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내측 장착 모듈과,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을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상판에 부착된 회전조작놉 모듈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은 버튼의 외관을 형성하는 놉 바디와, 상기 놉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터치 또는 푸쉬 입력을 감지하는 클릭부와, 상기 클릭부에서 감지된 입력을 전송하는 무선통신송신소자와, 상기 무선통신송신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소자와, 상기 배터리소자에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코일을 포함하는 통신부와, 상기 놉 바디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석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장착 모듈은 중심부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관통홀 둘레에 링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충전코일과 오버랩되어 상기 충전코일에 무선충전 신호를 전송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부재들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석부재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웃한 다른 자석부재와 극성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 센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석부재와, 상기 내측 장착 모듈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재와 오버랩되어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마그네틱 놉을 통해 회전 데이터 및 클릭 데이터를 함께 얻을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하나의 놉으로 전기레인지 전체의 기능을 선택하고 화구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마그네틱 놉에 클릭이 가능한 터치(또는 기계식) 스위치를 형성시키고 스위치를 통한 클릭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소자를 적용하여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구멍을 뚫을 필요없이 놉의 클릭 및 회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한다.
셋째, 홀센서를 통한 놉회전의 인식 구조, 터치(또는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한 클릭 인식 구조, 무선통신을 통한 놉의 동작상태 전달 구조 및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및 충전 코일 적용 구조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마그네틱 놉 하나로 전기레인지 전체의 기능을 선택하고 화구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전기레인지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위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위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는 전기레인지의 장착판(500)(예를 들면, 전기레인지의 경우는 유리 상판)의 상면 구조물과 하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는 상면 구조물에 해당하는 회전조작놉 모듈(100)과, 하면 구조물에 해당하는 내측 장착 모듈(20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조작놉 모듈(100)은 전기레인지의 장착판(500)의 상면에 구비되고, 내측 장착 모듈(200)은 상기 전기레인지의 장착판(500)의 하면에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100)을 이용해 회전 및 클릭 신호를 입력할 수 잇으며 회전 신호와 클릭 신호의 조합을 통해 전기레인지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조작놉 모듈(100)은 놉 받침부재(110)와, 탄성체 장착부재(120)와, 탄성체(130)와, 놉 부재(140) 등을 포함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놉 바디(142)가 모듈의 겉을 감싸는 구조를 이룬다.
놉 바디(142) 상면의 중심부에는 클릭 바디(143)가 장착될 수 있다.
클릭 바디(142)는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터치할 경우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클릭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회전조작놉 모듈(100)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회전조작놉 모듈(100)은 전기레인지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조리 과정이나 전기레인지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물이 모듈 내부로 들어갈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조작놉 모듈(100)의 외부를 몰딩액 처리하여 물이 모듈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 장착 모듈(200)은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제어회로기판(200)이 장착되는 브라켓(미도시)과, 고정 수단(300)의 일부 구성요소와, 회전 검출 수단(400)의 일부 구성요소와, 무선통신수신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300)은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100)과 내측 장착 모듈(2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수단(300)은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100)과 내측 장착 모듈(200) 간에 구성되어 회전조작놉 모듈(100)과 내측 장착 모듈(200)이 장착판(500)의 장착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100)의 놉 받침부재(11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제1 자석 부재(310), 및 상기 내측 장착 모듈(200)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석 부재(310)와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 자석 부재(또는 자성체)(320)를 포함한다.
즉, 고정 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판을 사이에 두고 위쪽에는 회전조작놉 모듈(100)에 장착되는 제1 자석부재를, 아래쪽에는 내측 장착 모듈(200)에 장착되는 제2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검출 수단(400)은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100)과 내측 장착 모듈(200) 간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100)의 회전 조작을 검출하여 회전조작놉 모듈(100)의 회전 여부와 회전 방향을 검출하도록 형성된다.
회전 검출 수단(400)은 상기 놉 부재(100)의 하면에 구비되는 회전검출용 자석부재(410)와, 상기 내측 장착 모듈(200)의 제어회로기판(210)에서 상기 회전검출용 자석부재(410)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홀 센서(4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검출용 자석부재(410)는 상기 놉 부재(140)의 놉 바디(142)의 배면 측 가장자리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검출용 자석부재(410)는 극성을 교번하여 배치, 즉 양극(+)와 음극(-)이 번갈아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홀 센서(420)는 상기 회전검출용 자석부재(410)가 회전하는 회전 반경의 위치에서 그 회전검출용 자석부재(410)에 대향하여 간격을 갖고 위치되며, 동일 시각에 각각 다른 위상을 출력할 수 있는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 검출 수단(400)은 놉 부재(140)의 회전에 따른 회전검출용 자석부재(410)의 극성 변화를 홀 센서(420)에서 검출하게 되고, 홀 센서(420)의 출력값을 통해 놉 부재(140)의 회전 여부와 회전량을 검출하게 되며, 출력값의 비교를 통해 놉 부재(140)의 회전 방향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측 장착 모듈(200)은 상기 제어회로기판(210)의 관통홀 둘레에 링형으로 배치되고 무선충전 신호를 생성하는 코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230)은 회전조작놉 모듈(100)의 충전코일에 무선충전 신호를 전달하여 회전조작놉 모듈(100)이 외부 전력 공급 없이도 구동될 수 있게 한다.
무선통신수신소자는 회전조작놉 모듈(100)에서 송신되는 클릭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클릭 신호 데이터와 회전 신호 데이터를 조합하여 전기레인지의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조작놉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작놉 모듈은 다음과 같은 내부 구조를 구비한다.
회전조작놉 모듈(100)의 내부에는 클릭부(150)와 통신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클릭부(150)는 놉 바디(142)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스위치(PCB, 151)와, 클릭 바디와 스위치(PCB)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탄성부재(152)는 스프링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클릭 바디(143)를 터치할 경우 클릭 바디(143)가 아래로 내려가며 스위치(151)를 눌러 터치 신호를 생성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손을 떼면 탄성부재(152)가 클릭 바디(143)를 다시 위로 밀어주어 원 위치시킨다.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100)은 버튼의 외관을 형성하는 놉 바디(142)와, 상기 놉 바디(142)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터치 또는 푸쉬 입력을 감지하는 클릭부(150)와, 클릭부(15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전송하고 충전 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160)와, 상기 놉 바디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석부재(4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회로기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에는 무선통신송신소자(161)와, 상기 무선통신송신소자(16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소자(162)와, 상기 배터리소자(162)에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송신소자(161)와 배터리소자(162)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충전코일은 회로기판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조작놉 모듈(100)은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해 놉 받침부재(110)와, 상기 놉 받침부재(110)와 결합되는 탄성체 장착부재(120)와,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에 구비되며 하기 놉 부재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130) 및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놉 부재(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놉 받침부재(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상면) 중앙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결합 후크편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그 하면이 전기레인지의 장착판(500)의 상면에 접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고정 수단(30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결합 후크편은 상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의 끝 단부에 후크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 후크편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탄성체 장착부재(120)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턱과 결합하여 놉 받침부재(110)와 탄성체 장착부재(120)를 결합시킨다.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는 환형 링 형태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연의 전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하기 놉 부재(140)의 회전은 허용하고 상부 측으로의 탈락은 방지되게 구비되는 걸림턱과, 상기 바디부의 내연 측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후크편이 걸림 결합되는 후크 걸림턱, 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130)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 돌기(12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는 상기 걸림턱 대신에 걸림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는 상기 바디부의 외연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하기 놉 부재(140)의 탄성 결합편(141a)의 끝단이 결합되어 그 놉 부재의 회전은 허용하고 상부 측으로의 탈락은 방지되게 걸림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30)는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에 구비되어 놉 부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환형의 판 스프링(leaf spring)으로 형성되며, 대칭되는 두 지점에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의 끼움 결합 돌기(124)에 끼움 장착되는 장착구멍이 형성되는 결합편(131)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30)는 대칭되는 두 지점의 상기 결합편(131)을 통과하는 중심선과 직교하는 연장선상의 두 지점이 상기 놉 부재(14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130)는 대칭되는 두 지점의 상기 결합편(131)을 통과하는 중심선과 직교하는 연장선상의 두 지점에 반구형 또는 반원형의 스토퍼(132)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32)는 아래에서 설명될 놉 부재(140)의 놉 커버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요철부)에 안착되어 놉 부재(140)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놉 부재(140)는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크게 놉 커버(141) 및 놉 바디(142)를 포함한다.
상기 놉 부재(140)는, 하부 개방된 원통 형태 또는 환형 링 형태로 형성되는 놉 커버(141), 및 상기 놉 커버(141)를 커버하는 놉 바디(142)를 포함한다.
상기 놉 커버(141)는 테두리 하단에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의 걸림턱의 하측에 걸림 위치되거나, 상기 탄성체 장착부재(120)의 걸림홈에 위치되는 회전 돌기가 형성된 탄성 결합편(14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놉 커버(141)는 놉 부재(140)의 회전 시 상기 탄성체(130)의 스토퍼(132)가 소정 회전 위치에서 안착 고정되도록 그 놉 커버(141) 내면에 요철부(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요철부)(141b)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놉 부재(140)는 상기 놉 커버(141)와 놉 바디(14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놉 커버(141)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놉 바디(142)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경우 그 놉 커버(141)의 요철부(141b) 또한 놉 바디(142)의 배면 측에 형성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회전조작놉 모듈(100)은 버튼 형태의 탄성부재(152)가 적용되거나 터치 센서나 감압 센서가 적용되는 클릭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서 클릭부(150)는 놉 바디(142)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스위치(PCB, 151)와, 클릭 바디와 스위치(PCB)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탄성부재(152)는 위로 튀어나온 버튼 형태를 이룬다. 사용자가 클릭 바디(143)를 터치할 경우 클릭 바디(143)가 아래로 내려가며 스위치(151)를 눌러 터치 신호를 생성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손을 떼면 탄성부재(152)가 클릭 바디(143)를 다시 위로 밀어주어 원 위치시킨다.
도 8에서는 놉 바디(142)의 중심부에 별도의 클릭 바디(143)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놉 바디(142)의 일부분이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놉 바디(142)의 중심부에 정전패널이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52)가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닿았을 때 인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스위치(PCB)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에 의하면, 마그네틱 놉을 통해 회전 데이터 및 클릭 데이터를 함께 얻을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하며, 마그네틱 놉에 클릭이 가능한 터치(또는 기계식) 스위치와 클릭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소자를 적용하여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구멍을 뚫을 필요없이 놉의 클릭 및 회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구조들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마그네틱 놉 하나로 전기레인지 전체의 기능을 선택하고 화구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전기레인지 사용의 편리성을 제고하는 등 종래기술에 비해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100 : 회전조작놉 모듈
110 : 놉 받침부재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2 : 결합 후크편
113 : 받침 바디
113a : 나사산부
114 : 걸림턱
120 : 탄성체 장착부재
121 : 바디부
122: 걸림턱
123: 후크 걸림턱
124: 끼움 결합 돌기
125 : 링형 바디
125a : 나사산부
130 : 탄성체
131 : 결합편
132: 스토퍼
140 : 놉 부재
141 : 놉 커버
141a : 탄성 결합편
141b : 요철부
142 : 놉 바디
143 : 클릭 바디
150 : 클릭부
151: 스위치(PCB)
152 : 탄성부재
160 : 통신부
161 : 무선통신송신소자
162 : 배터리소자
200 : 내측 장착 모듈
210 : 제어회로기판
220 : 무선통신수신소자
230 : 코일
300 : 고정 수단
310 : 제1 자석 부재
320 : 제2 자석 부재
400 : 회전 검출 수단
410 : 회전검출용 자석부재
420 : 홀 센서

Claims (17)

  1. 상판 상면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회전하며 상면에 클릭부가 형성되는 회전조작놉 모듈; 및
    상기 회전 조작놉 모듈과 오버랩 되도록 상기 상판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의 회전 신호 및 상기 클릭부의 클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측 장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은,
    버튼의 외관을 형성하는 놉 바디;
    상기 놉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터치 또는 푸쉬 입력을 감지하는 클릭부;
    상기 클릭부에서 감지된 입력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놉 바디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자석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장착 모듈은,
    상기 통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수신소자; 및
    상기 자석부재들의 회전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놉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클릭부는 상기 중심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클릭시 상하로 왕복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클릭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놉 바디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센서 또는 감압센서가 연결되고,
    상기 클릭부는 상기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내측 장착 모듈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웃한 다른 자석부재와 극성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는,
    동일한 시각에 서로 반대의 위상을 출력하도록 간격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통신송신소자;
    상기 무선통신송신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소자; 및
    상기 배터리소자에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장착 모듈은,
    중심부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어회로기판;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을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관통홀 둘레에 링형으로 배치되고 무선충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11. 버튼 위치에 관통홀이 존재하지 않는 상판; 및
    상기 버튼 위치에 자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신호 및 클릭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는,
    상기 상판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조작놉 모듈;
    상기 상판의 하부에 장착되어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내측 장착 모듈;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을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상판에 부착된 회전조작놉 모듈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은,
    버튼의 외관을 형성하는 놉 바디;
    상기 놉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터치 또는 푸쉬 입력을 감지하는 클릭부;
    상기 클릭부에서 감지된 입력을 전송하는 무선통신송신소자와, 상기 무선통신송신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소자와, 상기 배터리소자에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코일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놉 바디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석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장착 모듈은,
    중심부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어회로기판;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관통홀 둘레에 링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충전코일과 오버랩되어 상기 충전코일에 무선충전 신호를 전송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부재들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들은,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웃한 다른 자석부재와 극성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기 회전조작놉 모듈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석부재; 및
    상기 내측 장착 모듈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석부재와 오버랩되어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KR1020210137185A 2021-10-15 2021-10-15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Ceased KR20230053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185A KR20230053878A (ko) 2021-10-15 2021-10-15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KR1020230120313A KR102762308B1 (ko) 2021-10-15 2023-09-11 전기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185A KR20230053878A (ko) 2021-10-15 2021-10-15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0313A Division KR102762308B1 (ko) 2021-10-15 2023-09-11 전기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878A true KR20230053878A (ko) 2023-04-24

Family

ID=861419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185A Ceased KR20230053878A (ko) 2021-10-15 2021-10-15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KR1020230120313A Active KR102762308B1 (ko) 2021-10-15 2023-09-11 전기레인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0313A Active KR102762308B1 (ko) 2021-10-15 2023-09-11 전기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5387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83B1 (ko) 2013-04-26 2014-09-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KR101881339B1 (ko) 2017-06-01 2018-08-24 주식회사 디지티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998U (ko) * 1996-08-20 1998-05-25 김광호 이중 스위치 노브
KR102236587B1 (ko) * 2014-09-04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덕션 장치 및 온도 조절 방법
KR101760713B1 (ko) * 2015-12-07 2017-07-24 (주)쿠첸 전기 레인지의 터치 모듈 구조체
KR102397006B1 (ko) * 2016-06-03 202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탈부착형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83B1 (ko) 2013-04-26 2014-09-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KR101881339B1 (ko) 2017-06-01 2018-08-24 주식회사 디지티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2308B1 (ko) 2025-02-07
KR20230132756A (ko) 202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135B1 (ko) 근접센서 및 회전조작검출장치
TW201233867A (en) Washing machine
EP3547086A1 (en) A control system for use in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ical appliance
CN107110511B (zh) 借助于能够取下的操作元件对家用器具的操作
US10302306B2 (en) Cooking appliance and knob assembly
CN105830347A (zh) 具有传感器配置组件的旋转操作钮
US20180314287A1 (en) Assistive control attachment for an appliance
US20130093575A1 (en) Remote control device that uses color to indicate change in status
CN106027022A (zh) 家用电器的旋钮组件及家用电器
KR20230053878A (ko)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JP2008293889A (ja) 加熱調理器及び調理器具
KR102762307B1 (ko) 전기레인지
CN209331758U (zh) 烹饪器具
KR102603234B1 (ko) 전기레인지의 마그네틱 놉
KR20210087282A (ko) 조리용 가열기의 조작 장치
KR101915703B1 (ko) 무선 전력 통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210008868U (zh) 烹饪器具
CN210721368U (zh) 家用电器
CN211551694U (zh) 家用电器的旋转操作系统和家用电器
CN211062631U (zh) 分离式磁感应旋钮
KR102133284B1 (ko) 조리 기기
KR101848022B1 (ko)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KR20170137336A (ko) 탈부착형 입력장치
KR101848021B1 (ko)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CN216702311U (zh) 检测装置、锅具构件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9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5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