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2400A - 문서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문서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400A
KR20230052400A KR1020210135429A KR20210135429A KR20230052400A KR 20230052400 A KR20230052400 A KR 20230052400A KR 1020210135429 A KR1020210135429 A KR 1020210135429A KR 20210135429 A KR20210135429 A KR 20210135429A KR 20230052400 A KR20230052400 A KR 20230052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unit
document
flow path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860B1 (ko
Inventor
손인수
전범식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8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8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살균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서, 신분증 및 동전 등을 신속하게 빠르게 살균할 수 있으며, 대인 간 감염 예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서살균장치{DOCUMENT STERILIZER}
본 발명은 문서살균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서, 신분증 및 동전 등을 신속하게 빠르게 살균할 수 있으며, 대인 간 감염 예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COVID-19)시대에서, 살균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았고, 어떤 곳으로 가든지 반드시 살균을 진행해야 해야 한다.
그러나, 살균의 대상은 일반적으로 신체에 국한되는 것이 현실이며,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자주 대인간 주고받게 되는 문서, 신분증, 동전은 아직까지 살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서, 신분증, 동전을 통해 감염된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살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동사무소, 은행 창구 등은 위 물품들에 대한 대인 간 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으로, 더욱 필요한 곳이다.
이에, 동사무소, 은행 창구 등에서 문서 등을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업무 특성 상 간단한 동작만으로 살균을 진행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0958호
본 발명은 문서살균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서, 신분증 및 동전 등을 신속하게 빠르게 살균할 수 있으며, 대인 간 감염 예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는 문서살균유닛; 상기 문서살균유닛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동전살균유닛; 및 상기 문서살균유닛 및 동전살균유닛을 가로지르는 가림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문서살균유닛은, 케이스부; 상기 가림막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된 제1 투입부; 상기 가림막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부의 후방에 형성된 제2 투입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에서, 상기 제1 투입부 및 상기 제2 투입부를 연결하는 유로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에서, 상기 유로부와 인접하는 제1 살균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내에서, 상기 유로부와 인접하여 회전 가능한 복수 개의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입부 또는 상기 제2 투입부를 통해 유입된 문서가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 살균부에 의해 살균되어 상기 제2 투입부 또는 상기 제1 투입부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제1 투입부의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제2 투입부의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가림막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된 제3 투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투입부 또는 상기 제2 투입부를 통해 유입된 신분증이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 살균부에 의해 살균되어 상기 제2 투입부 또는 상기 제3 투입부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상기 제3 투입부는 상기 제2 투입부보다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낮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제1 투입부와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2 투입부와 연결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3 투입부와 연결되는 제3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 내지 상기 제3 유로에 상기 복수 개의 롤러부가 인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상기 제2 유로에 상기 제1 살균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상기 문서 및 상기 신분증이 상기 제2 투입부를 향할 때, 상기 제2 유로를 공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상기 제1 투입부 또는 상기 제3 투입부에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신분증이 유입되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투입부에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신분증이 유입되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상기 제1 살균부는 UV-C LE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를 통해, 문서, 신분증 및 동전 등을 신속하게 빠르게 살균할 수 있으며, 대인 간 감염 예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를 전방을 기준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 유로와 제3 유로가 만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1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문서가 살균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2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문서가 살균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신분증의 이동 경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살균유닛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1 동전투입부를 통해 유입된 동전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제2 동전투입부를 통해 유입된 동전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를 전방을 기준으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의 구성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살균장치는 문서살균유닛(100), 동전살균유닛(200) 및 가림막유닛(300)을 포함한다.
문서살균유닛(100)의 일측부에 동전살균유닛(2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전 등의 살균이 필요하지 않은 곳에서는 동전살균유닛(200)을 제거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림막유닛(300)은 문서살균유닛(100) 및 동전살균유닛(200)을 가로질러 결합된다. 가림막유닛(300)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하며, 제1 투입부(120)가 위치된 곳을 '전방', 제2 투입부(130)가 위치된 곳을 '후방'이라 지칭한다.
가림막유닛(300)으로 인해, 전방과 후방이 구분된다. 따라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문서 등을 교환하는 사람이 위치되며, 비말이 가림막유닛(300)으로 인해 차단되어 감염 방지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문서살균유닛(100)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문서살균유닛(100)은 케이스부(110), 제1 투입부(120), 제2 투입부(130), 하부 롤러부(140), 상부 롤러부(150), 제1 살균부(160), 유로부(180), 제3 투입부(19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10)는 문서살균유닛(100)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케이스부(111) 및 제2 케이스부(112)를 포함한다. 제2 케이스부(112)는 전방에 위치되며, 제1 케이스부(111)는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케이스부(112)의 케이스부(110)의 저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제1 케이스부(111)의 케이스부(110)의 저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후술할 제1 투입부(120)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제2 투입부(130)보다 높아, 문서를 투입했을 때 중력의 영향을 받아 유로부 내에서의 문서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 투입부(120)는 제2 케이스부(112)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2 투입부(130)는 제1 케이스부(110)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1 투입부(120) 및 제2 투입부(130)는 상호 연통되며, 제1 케이스부(111) 및 제2 케이스부(112) 내에 형성된 유로부에 의해 연통된다.
유로부는 제1 유로(181), 제2 유로(183) 및 제3 유로(182)를 포함한다. 제3 유로(182)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유로(181) 및 제2 유로(183)는 상호 연동된다. 또한, 제1 유로(181)는 제2 케이스부(112) 내에 위치되며, 제2 유로(183)는 제1 케이스부(111) 내에 위치된다. 유로는 소정의 간격을 지닌 중공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문서, 신분증 등이 관통하는 곳이다.
이때, 제1 유로(181)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유로(183)는 케이스부(110)의 저면과 평행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 투입부(120)를 통해 투입된 문서(통상적으로 교환을 요청하는 사람이 투입하게 된다)가 제1 유로(181), 제2 유로(183)를 거쳐 제2 투입부(130)를 통해 이동할 때, 문서의 이동이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181)는 단면이 굴곡진 형상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문서의 접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투입부(130)와 제3 투입부(190)를 명확히 구분하여,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 롤러부(140) 및 상부 롤러부(150)를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 롤러부(140)는 제2 유로(183) 및 제3 유로(182)에 복수 개 형성되며, 상부 롤러부(150)는 제1 유로(181)에 복수 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마주보는 롤러부 사이를 문서, 신분증이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롤러부의 회전력이 문서, 신분증에 전달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하부 롤러부(140) 및 상부 롤러부(150)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문서, 신분증이 이동하게 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하부 롤러부(140) 및 상부 롤러부(150)는 케이스부(110) 내에 형성된 모터(M)에 의해 연동되며, 미도시 된 제어부 및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일 예로, 제1 투입부(120)에 문서가 투입됨을 센서가 인지하면, 제어부는 하부 롤러부(140) 및 상부 롤러부(150)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문서가 제1 유로(181) 및 제2 유로(183)를 따라 제2 투입부(130)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제2 투입부(130)에 문서가 투입됨을 센서가 인지하면, 제어부는 하부 롤러부(140) 및 상부 롤러부(1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문서가 제1 유로(181) 및 제2 유로(183)를 따라 제1 투입부(120)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1 살균부(160)는 제2 유로(183)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유로(183)를 지나가는 문서, 신분증 등이 제1 살균부(160)에 의해 살균된다.
제1 살균부(160)는 일 예로 UV-C LE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C LED를 통해 살균 시, 2~3초 정도만 노출하게 되면 99% 이상 살균이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일 예로 전술한 센서 및 제어부에 의해, UV-C LED는 하부 롤러부(140) 및 상부 롤러부(150)의 회전 시에만 on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제1 투입부(120)를 통해 투입된 문서가 살균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제2 투입부(120)를 통해 투입된 문서가 살균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문서 살균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한다.
제1 투입부(120)를 통해 문서(1)를 투입하게 되면(통상적으로 동사무소를 기준으로 날인 등이 필요하여 문서를 제출하는 사람이 해당 위치에서 문서를 투입하게 된다), 문서(1)는 제1 유로(181)를 거쳐 낙하하고, 제2 유로(183)에 유입된다. 이때, 문서(1)의 이동은 하부 롤러부(140) 및 상부 롤러부(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유로(183)에 유입된 문서(1)는 제1 살균부(160)를 거치면서 살균되어 제2 투입부(130)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제2 투입부(130)에 위치한 사람(통상적으로 동사무소 직원이다)은 가림막유닛(300)을 통해 맞은편에 위치한 사람의 비말 등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문서(1)에 묻어있을 수도 있는 감염균에 대한 살균이 진행된 상태에서 문서(1)를 받아볼 수 있게 되어 감염 예방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동작 없이도 문서(1)를 투입하는 동작만으로 맞은편에 위치한 사람에게 문서가 전달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한다.
도 6과는 반대로, 제2 투입부(130)를 통해 문서(1)를 투입하게 되면(통상적으로 날인 등을 마친 후에 문서를 다시 상대방에게 돌려줄 때 위와 같은 행위를 하게 된다), 문서(1)는 제2 유로(183)를 따라 이동하면서 다시 제1 살균부(160)에 의해 살균되고, 제1 유로(181)에 유입된다. 이때, 제3 유로(182)에 유입되지 않는 메커니즘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유로(181)를 통해 이동된 문서(1)는 제1 투입부(120)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제1 투입부(120)에 위치한 사람은 가림막유닛(300)을 통해 맞은편에 위치한 사람의 비말 등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날인 등의 작업 후 문서(1)에 묻어있을 수도 있는 감염균에 대한 살균이 진행된 상태에서 문서(1)를 받아볼 수 있게 되어 감염 예방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즉, 문서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두 번의 살균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3 투입부(190) 및 제3 유로(182)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3 투입부(190)는 제2 케이스부(112)의 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투입부(120)의 수직 방향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투입부(190)는 제3 유로(182)와 연통되며, 제3 유로(182)는 제2 유로(183)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1 유로(181) - 제2 유로(183), 제3 유로(182) - 제2 유로(183)의 유로 연결구조가 형성되어 제2 유로(183)를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유로(182)는 케이스부(110)의 저면과 평행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투입부(190)는 문서가 아닌 신분증, 통장과 같이 작은 크기의 물품이 투입되며, 제3 투입부(190)를 통해 맞은편 제2 투입부(130)에 위치된 사람과 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동사무소나 은행창구 등에서 신분증 확인을 진행하게 되는데, 해당 과정에서 제3 투입부(190)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서가 유입되는 경로와 신분증이 유입되는 경로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장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제2 유로(183)를 공유하여 살균 용이성을 극대화시킨 장점이 있다.
이때, 제3 유로(182)에는 하부 롤러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동일한 원리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중복 설명은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1 유로(181)와 제3 유로(182)가 만나는 부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제1 유로와 제3 유로가 만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유로(181)와 제3 유로(182)가 만나는 단부 일 지점에는 제1-1 유로(1811)가 형성된다. 제1-1 유로(1811)는 제1 유로(181)에서 소정의 크기만큼 함몰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몰된 양측에 제1-2 유로(18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3 투입부(190)를 통해 유입된 신분증은 제3 유로(182)를 따라 이동하되, 함몰된 제1-1 유로(1811)를 거쳐 제2 유로(183)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투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문서는 제1 유로(181)를 따라 이동하되, 제1-2 유로(1812)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유로(183)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살균이 발생되는 제2 유로를 공유할 수 있게 되고, 각각 다른 유입 경로라도 1개의 살균 기기(제1 살균부(160))를 통해 모두 살균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반대로, 제2 투입부(130)를 통해 유입된 신분증은 제2 유로(183)를 거쳐 제1-1 유로(1811)를 관통하게 되고, 제3 유로(182)를 거쳐 제3 투입부(190)에 배출된다. 이때, 신분증이 제1-1 유로(1811)를 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 롤러부(140)에는 신분증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제1-1 유로(1811)와 맞닿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문서 등은 제1-1 유로(1811)를 관통할 수 없게 되므로, 제1-2 유로(1812)의 지지에 의해 제1 유로(181)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유로(181)와 제3 유로(182)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가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는 신분증(2)의 이동 경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며, 전술한 바 중복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살균유닛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전살균유닛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전살균유닛(200)은 하우징부(210), 지지부(220), 동전투입부(230), 회전축부(240), 벨트부(250), 바스켓부(260), 도어부(270), 유도부(280) 및 제2 살균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살균부는 하우징부(210)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기에 도 10에서 미도시 하였다.
하우징부(210)는 문서살균유닛(100)의 측부에 결합되며, 케이스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20)는 하우징부(210)의 내부의 저면에 형성된다. 지지부(220)는 양단에 제1 슬라이드부(221) 및 제2 슬라이드부(222)를 구비하며, 이에 관한 내용은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동전투입부(230)는 하우징부(210)의 상부에서 형성된다. 또한, 개구된 중공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동전투입부(231) 및 제2 동전투입부(2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림막유닛(300)을 기준으로, 제1 동전투입부(231) 및 제2 동전투입부(232)의 위치가 구분되어, 제1 동전투입부(231)는 후방에 위치되며 제2 동전투입부(232)는 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투입부(120)에 위치된 사람이 제2 동전투입부(232)를 활용하고, 제2 투입부(130)에 위치된 사람이 제1 동전투입부(231)를 활용하게 된다.
회전축부(24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회전축부(240)를 모두 감싸는 방향으로 벨트부(250)가 결합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벨트부(250)에는 바스켓부(260)가 결합된다. 바스켓부(260)는 말 그대로 바스켓(basket)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스켓부(26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벨트부(250)에 결합된다. 바스켓부(260)는 이에, 제1 바스켓부(261) 및 제2 바스켓부(262)로 구분된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축부(2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바스켓부(261) 및 제2 바스켓부(262)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벨트부(25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한 쌍의 회전축부(24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관한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회전축부(240)와 지지부(220)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바스켓부(260)가 지지부(220)의 상부를 따라 이동 시, 지지부(2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도어부(270)는 하우징부(210)의 양단부 하단에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도어부(271) 및 제2 도어부(272)로 한 쌍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도어부(271)는 제1 슬라이드부(221)와 마주하고, 제2 도어부(272)는 제2 슬라이드부(222)와 마주한다.
유도부(280)는 제1 유도부(281) 및 제2 유도부(282)를 포함한다. 제1 유도부(281)는 제1 동전투입부(231)와 연동되며, 제2 유도부(282)는 제2 동전투입부(232)와 연동된다. 유도부(280)는 일 지점에서 꺾인 패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동전투입부(231) 및 제2 동전투입부(232)를 통해 유입된 동전을 바스켓부(260)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투입된 동전의 바스켓부(260) 외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동전투입부(231)를 통해 유입된 동전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제2 동전투입부(232)를 통해 유입된 동전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동전의 소독 과정 및 교환 과정을 살핀다.
도 11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1에서는 도면부호 '①' 내지 '⑤'를 통해 동전(3)의 이동 과정을 표현하였다.
제2 투입부(130)에 위치된 사람이 제1 동전투입부(231)에 동전을 투입하면, 제1 유도부(281)를 통해 가이드 되어 제1 바스켓부(261)에 동전이 안착된다. 이때, 미도시된 센서 및 제어부에 의해, 동전의 유입을 감지하면, 한 쌍의 회전축부(2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2 살균부에 의해 동전(3)이 살균되는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바스켓부(26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부(250)를 따라 이동하며, 전방 단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벨트부(250)에 결합된 상태에서 뒤집어져 이동하게 되고, 해당 과정에서 동전(3)이 제1 바스켓부(261)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된다.
낙하된 동전(3)은 제2 슬라이드부(222)에 안착된다. 이때, 제2 슬라이드부(222)는 지지부(220) 방향에서 제2 도어부(272) 방향으로 갈수록 수직 방향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제2 도어부(272) 방향으로 동전(3)이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제2 도어부(272)를 관통하여 동전(3)이 배출된다. 제2 도어부(272)가 위치된 곳은 최초에 동전(3)을 투입한 사람의 맞은편 위치이다. 따라서, 소독된 상태의 동전(3)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벨트부(250)의 1 싸이클 회전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문서(1) 및 신분증(2)과 마찬가지로, 맞은편에 위치된 사람에게 소독된 동전(3)을 제공할 수 있어 감염 예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이와는 반대 과정으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를 통해, 문서, 신분증 및 동전 등을 신속하게 빠르게 살균할 수 있으며, 대인 간 감염 예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문서살균유닛,
200 : 동전살균유닛,
300 : 가림막유닛.

Claims (9)

  1. 문서살균유닛;
    상기 문서살균유닛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동전살균유닛; 및
    상기 문서살균유닛 및 동전살균유닛을 가로지르는 가림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문서살균유닛은,
    케이스부;
    상기 가림막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된 제1 투입부;
    상기 가림막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부의 후방에 형성된 제2 투입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에서, 상기 제1 투입부 및 상기 제2 투입부를 연결하는 유로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에서, 상기 유로부와 인접하는 제1 살균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내에서, 상기 유로부와 인접하여 회전 가능한 복수 개의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입부 또는 상기 제2 투입부를 통해 유입된 문서가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 살균부에 의해 살균되어 상기 제2 투입부 또는 상기 제1 투입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인
    문서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제1 투입부의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상기 제2 투입부의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높은 것인
    문서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가림막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된 제3 투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투입부 또는 상기 제2 투입부를 통해 유입된 신분증이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유로부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 살균부에 의해 살균되어 상기 제2 투입부 또는 상기 제3 투입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인
    문서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입부는 상기 제2 투입부보다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에서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낮은 것인
    문서살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제1 투입부와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2 투입부와 연결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3 투입부와 연결되는 제3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 내지 상기 제3 유로에 상기 복수 개의 롤러부가 인접하는 것인
    문서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에 상기 제1 살균부가 형성되는 것인
    문서살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및 상기 신분증이 상기 제2 투입부를 향할 때, 상기 제2 유로를 공유하는 것인
    문서살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입부 또는 상기 제3 투입부에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신분증이 유입되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투입부에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신분증이 유입되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인
    문서살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부는 UV-C LED를 포함하는 것인
    문서살균장치.
KR1020210135429A 2021-10-13 2021-10-13 문서살균장치 Active KR10262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429A KR102626860B1 (ko) 2021-10-13 2021-10-13 문서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429A KR102626860B1 (ko) 2021-10-13 2021-10-13 문서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400A true KR20230052400A (ko) 2023-04-20
KR102626860B1 KR102626860B1 (ko) 2024-01-19

Family

ID=8614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429A Active KR102626860B1 (ko) 2021-10-13 2021-10-13 문서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8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6235U (ko) * 1989-10-02 1991-05-30
KR20130000082U (ko) * 2011-06-24 2013-01-03 정우정 카드 살균기
JP2013105481A (ja) * 2011-11-11 2013-05-30 Janis Corporation Co Ltd 通貨滅菌装置
KR20160120958A (ko)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이노윅스 문서 분진제거 살균장치
KR102281766B1 (ko) * 2020-07-29 2021-07-2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포터블 거래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6235U (ko) * 1989-10-02 1991-05-30
KR20130000082U (ko) * 2011-06-24 2013-01-03 정우정 카드 살균기
JP2013105481A (ja) * 2011-11-11 2013-05-30 Janis Corporation Co Ltd 通貨滅菌装置
KR20160120958A (ko)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이노윅스 문서 분진제거 살균장치
KR102281766B1 (ko) * 2020-07-29 2021-07-2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포터블 거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860B1 (ko)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7661B1 (en) Gaming Machine
US20110253563A1 (en) Currency sterilization apparatus
KR20230052400A (ko) 문서살균장치
US11559595B2 (en) Currency and document sanitizing apparatus and system
US20210346538A1 (en) Currency sanitizer
KR20220005257A (ko) 창구용 물품살균장치
TWM596081U (zh) 具有紫外光殺菌功能的電子裝置
EP2669226B1 (en) Media item diverter
RU2628510C2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ос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закции с носителем
EP2827307A1 (en) Improvements in relation to banknote validation
JP3801846B2 (ja) 紙葉類処理装置
CN111899441A (zh) 一种atm存取款机
ES2503190T3 (es) Aceptador de monedas / billetes
JP5512394B2 (ja) 店舗システム
KR100954228B1 (ko) 지폐의 양면 살균이 가능한 지폐 방출기
US20210369884A1 (en) Uv-c sterilizer attachable to input pad of automated machine
KR101110957B1 (ko)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CN201607780U (zh) 纸币清分机
JP4956114B2 (ja) 自動改札機
CN214807025U (zh) 用于点钞机在动态点钞过程中进行消毒杀菌的装置
JP4442213B2 (ja) 硬貨入出金装置
KR102338017B1 (ko) 입력부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CN113593105A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快速散热的验钞机
EP4132594A1 (en) Apparatus for disinfecting payment instruments
KR20200002036U (ko) 지폐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