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825A -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6825A KR20230046825A KR1020210130328A KR20210130328A KR20230046825A KR 20230046825 A KR20230046825 A KR 20230046825A KR 1020210130328 A KR1020210130328 A KR 1020210130328A KR 20210130328 A KR20210130328 A KR 20210130328A KR 20230046825 A KR20230046825 A KR 20230046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nishing
- horizontal
- coupling
- attachment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5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 E04F2015/0206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부착면에 대한 최소한의 부재의 수평·수직작업을 수행하면 나머지 부재에 대해서는 별도로 수평·수직에 대한 고려없이 배치 및 고정만으로 시공할 수 있는 무용접의 조립구조로 인해 손쉬운 시공이 가능한 프레임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horizontal and vertical work is performed on the minimum member on the attachment surface of a building, the rest of the members are only arranged and fixed without consider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t relates to a fram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due to a non-welding assembly structure that can be constructed.
일반적으로 구조물에서 프로파일은 프레임을 이루는 선재로서 제작된다. 이 프로파일은 4면상에 길이 방향으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 프로파일을 절단하여 브라켓과 볼트의 결합을 통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상호 조립하여 건축용 내외장재 하지트러스 및 천정, 태양광 구조물, 창호 커튼월, 무대장치 등의 하지틀이나 칸막이, 선반, 진열장 등의 프레임을 제작하게 된다. In general, a profile in a structure is manufactured as a wire material forming a frame. This profile has grooves on all four sides into which bolts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user cuts the profile as necessary and assembles i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brackets and bolts. Frames such as showcases are made.
특히 건축물의 내외장재 부착을 위하여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격자형 프레임구조체를 설치하는 경우에 건축물의 벽면이 수직·수평 오차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프로파일을 구조물의 부착면으로부터 프로파일을 일정간격 띄우면서 수직·수평면을 맞추어야 한다. In particular, when a lattice frame structure made of profiles is installed to attach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a building, since the walls of the building have vertical and horizontal errors, the profiles must be align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hile spacing the profiles from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structure at a certain distance.
또한 부착면에 대해 프로파일을 격자형으로 결합할 때에도 프로파일과의 직각을 형성하도록 가결합하고 수직·수평 프로파일 간을 용접하여 결합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용접이 없는 방식으로 프레임구조체를 제작하는 여러 방법들이 개발된 바 있지만, 조립이 직관적이지 않고 부속품이 많고 수직·수평면 형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고려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profiles are combined in a lattice shape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surface, there is inconvenience such as temporary coupling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profile and welding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profiles. Recently, several methods of manufacturing frame structures without welding have been develope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assembly is not intuitive, there are many parts, and vertical and horizontal plane formation is not particularly 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용접의 조립구조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with a non-welding assembly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에 있어서, 건축물의 부착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부착면의 상단 및 하단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 상기 마감 프레임 사이의 동일 평면에서 상기 마감 프레임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부착면에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의 전면 상부와, 하단에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의 전면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마감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마감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도록 일단은 상기 부착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마감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부착면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수직하게 나사산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부착면에 대해 상기 마감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마감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팜너트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object is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ttachment surface, respectively; A horizontal frame installed on the attachment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finishing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ame plane between the finishing frames; A coupling fram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front upper part of the finishing frame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finishing frame installed at the bottom and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surface of the finishing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a spacing adjusting member having one end installed on the attaching surface and the other end installed on the finishing frame or the horizontal frame so as to install the finishing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part from the attaching surface. A coupl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inserting bolts into the mounting surface, a fastening bolt installed so that threads are exposed perpendicularly to the coupling plate, and coupled with the fastening bolt to the finishing frame or horizontal fram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It includes a palm nut rotatably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finishing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to adjust the interval.
그리고 상기 마감 프레임, 수평 프레임 및 결합 프레임은 후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강성 증대 및 볼트 체결 용이를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함몰된 제1절곡보강부, 제2절곡보강부 및 제3절곡보강부를 각각 구비한다.And the finishing fram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coupling frame are made of a square tube-shaped cross section with an open rear surface, and the first bending reinforcement part, the second bending reinforcement part, and the second bending reinforcement part and Each of the third bending reinforcements is provided.
이때 상기 마감 프레임에는 상기 팜너트를 장착하기 위한 제1결합공과, 상기 마감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공과 이격된 상기 마감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제1결합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삽입구가 형성되는 수평 클립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frame has a first coupling hole for mounting the palm nut, and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nishing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so that a part of the coupling fram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inishing frame can be insert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upling hole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clip in which each insertion hole is formed.
또한 상기 마감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결합 프레임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되는 제1수직 클립과 제2수직클립이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nishing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re provided with a first vertical clip and a second vertical clip each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ing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so that a part of the coupling fram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nserted. do.
그리고 상기 결합 프레임에는 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제3절곡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보강부에 삽입된 볼트 헤드가 상기 결합 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3절곡보강부 주변이 상기 결합 프레임의 전면에 대해 절곡되어 함몰 형성된 절곡함몰부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 third bending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frame, and a periphery of the third bending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around the coupling frame so that the bolt head inserted into the third bending reinforcement portion does not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frame. It is bent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ss formed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nt recessed portion.
아울러,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결합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볼트를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정밀조정용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모서리 부근에는 복수개의 스크류볼트 시공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일측에는 레이저를 통한 레벨 확인용 홀이 더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bolt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astening plate of the gap adjusting member, and long holes for precision adjustment are formed radially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fastening bolt, and a plurality of screw bolts are installed near the edge of the fastening plate. A hole is formed, and a hole for level confirmation through a laser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late.
또한 상기 마감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 사이에는, 상기 마감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감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각 중단에 처짐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처짐방지부재은 '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은 상기 부착면에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마감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처짐방지부재의 일단 및 타단에는 시공 오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처짐방지부재의 모서리에는, 보강을 위한 헌치가 형성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gap adjusting members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nishing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 deflection preventing member is installed at each stop of the finishing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to prevent sagging of the finishing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The sagging prevention member is made in a 'b' shape, one end of which is mounted on the attachment surface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nishing frame or horizontal fram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member have lengths to accommodate construction errors.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direction, and a heonchi for reinforcement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sagging prevention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부착면에 대한 최소한의 부재의 수평·수직작업을 수행하면 나머지 부재에 대해서는 별도로 수평·수직에 대한 고려없이 배치 및 고정만으로 시공할 수 있는 무용접의 조립구조로 인해 손쉬운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ork of the minimum member on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building is performed, it is easy due to the non-welding assembly structure that can be constructed only by arrangement and fix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eparately for the remaining membe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onstr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의 주요 구성요소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A 내지 C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views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7 to 9 are diagrams showing A to C of FIG. 1,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non-welded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의 주요 구성요소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A 내지 C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6 are views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9 are diagrams showing A to C of FIG. 1 , respectively.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은 건축용 내외장재를 설치하기 전에 하지구조로서 설치되는 프레임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크게 마감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결합 프레임(30) 및 간격조절부재(4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처짐방지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tructure installed as a lower structure before install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and includes a
마감 프레임(10)은 건축물의 부착면(S)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부착면(S)의 상단 및 하단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부착면(S)이 건축물의 벽면인 경우에 상기 마감 프레임(10)은 천정마감재 하부에 설치된다. The
이러한 마감 프레임(10)은 후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후면에 대응되는 전면에 제1결합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공(11)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This
그리고 상기 마감 프레임(10)은 강성 증대 및 볼트 체결 용이를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함몰된 하나 이상의 제1절곡보강부(1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감 프레임(10)의 전면 상단 및 하단과 각 측면에 제1절곡보강부(12)가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마감 프레임(10)의 전면에는 수평 클립(13)과 제1수직 클립(14)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은 'ㄷ'자로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절곡하여 그 절곡된 내부로 삽입구가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 중에서 수평 클립(13)은 상기 제1결합공(11) 부근에서 제1결합공(11)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마감 프레임(10)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때 그 마감 프레임(10)에 적층되는 결합 프레임(30)의 개방된 후면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공(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구가 배치된다. 즉, 상기 수평 클립(13)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공(11)을 향하여 상호 대칭되게 삽입구가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a
또한 제1수직 클립(14)은 상기 마감 프레임(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결합 프레임(30)의 개방된 후측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수직 클립(14)의 삽입구는 상기 수평 클립(13)의 삽입구와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수평 프레임(20)은 상기 마감 프레임(10) 사이의 동일 평면에서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부착면(S)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 프레임(20)도 후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후면에 대응되는 전면에 제2결합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공(21)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수평 프레임(20)도 강성 증대 및 볼트 체결 용이를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함몰된 하나 이상의 제2절곡보강부(2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 프레임(20)의 전면 상단 및 하단과 각 측면에 제2절곡보강부(22)가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20)의 전면에는 마감 프레임(10)과는 달리 수평 클립(13)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수직 클립(14)과 동일한 구성의 제2수직 클립(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수직 클립(23)도 제1수직 클립(14)과 동일하게, 'ㄷ'자로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을 절곡하여 그 절곡된 내부로 삽입구가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고, 상기 수평 프레임(2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결합 프레임(30)의 개방된 후측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된다. In addition, unlike the
결합 프레임(30)은,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하층 상에 적층되고 그 상부로 마감재 등이 장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단에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10)의 전면 상부와, 하단에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10)의 전면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The
이러한 결합 프레임(30)도 후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결합공이 형성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결합 프레임(30)도 강성 증대 및 볼트 체결 용이를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함몰된 하나 이상의 제3절곡보강부(31)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전면에 제3절곡보강부(31)가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This
또한 상기 결합 프레임(30)에는 상기 제3절곡보강부(31)에 삽입된 볼트 헤드가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3절곡보강부(31) 주변이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전면에 대해 절곡되어 함몰 형성된 절곡함몰부(32)가 더 구비된다. In addition, in the
간격조절부재(40)는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을 상기 부착면(S)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도록 일단은 상기 부착면(S)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에 설치된다. 이러한 간격조절부재(40)는 부착면(S)과 마감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20)의 간격을 조절하여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이 동일 수직면상에 배치되게 한다. The
이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부재(40)는, 상기 부착면(S)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결합플레이트(41)와, 상기 결합플레이트(41)에 수직하게 나사산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체결볼트(42)와, 상기 체결볼트(42)와 결합되어 상기 부착면(S)에 대해 상기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마감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20)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팜너트(43)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따라서 결합플레이트(41)를 부착면(S)에 고정하고 팜너트(43)를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결합공에 체결한 후 결합플레이트(41)에 수직하게 구비된 체결볼트(42)가 팜너트(43)를 통과하게 하여 팜너트(4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부착면(S)에 대한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Therefore, after fixing the
그리고 간격조절부재(40)의 결합플레이트(41)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42)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볼트(42)를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정밀조정용 장공(41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41)의 모서리 부근에는 복수개의 스크류볼트 시공용 홀(41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41)의 일측에는 레이저를 통한 레벨 확인용 홀(41c)이 더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처짐방지부재(50)는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일단과 타단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40)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각 중단에 설치된다. The
이러한 상기 처짐방지부재(50)는 '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은 상기 부착면(S)에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측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처짐방지부재(5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시공 오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5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처짐방지부재(50)의 모서리에는, 보강을 위한 헌치(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처짐방지부재(50)의 일단에는 체결장공(51)과 더불어 부착면(S)에 처짐방지부재(50)를 보다 견고히 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체결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agg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의 시공순서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건축물의 부착면(S)에 간격조절부재(40)를 설치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40)는 이에 결합되는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레이저를 통한 레벨 확인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형성된 레벨 확인용 홀(41c)을 확인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First, install the
간격조절부재(40)의 위치가 결정되면 부착면(S)에 칼블록을 삽입하고 정밀조정용 장공(41a)과 스크류볼트 시공용 홀(41b)을 통해 스크류볼트를 체결하여 간격조절부재(40)의 결합플레이트(41)를 부착면(S)에 고정한다. 이때 정밀조정용 장공(41a)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벨 확인용 홀(41c)을 통해 확인한 수평위치에 맞게 결합플레이트(41)의 위치를 최종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간격조절부재(40)에는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이 체결된다. 상기 마감 프레임(10)은 부착면(S)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고, 수평 프레임(20)은 상기 마감 프레임(10) 사이의 동일 평면에서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부착면(S)에 설치된다.The
결합플레이트(41)에는 수직하게 나사산이 노출된 체결볼트(4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팜너트(43)를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결합공에 체결한 후 상기 체결볼트(42)가 팜너트(43)를 통과하게 하여 팜너트(4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부착면(S)에 대한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42)는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개방된 후면을 통하여 팜너트(43)에 체결된다.Since the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은 그 양단에서 간격조절부재(40)에 의해 부착면(S)에 설치되는데,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에는 결합 프레임(30)이 설치되고 그 위에 마감재가 설치될 것이므로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중단에서 부착면(S)에 대해 지지하여 보강하기 위하여 처짐방지부재(50)가 설치된다. 'ㄴ' 형태로 이루어진 처짐방지부재(50)의 일단을 상기 부착면(S)에 장착하고 타단을 상기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측면에 장착한다. 이때 부착면(S)과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측면에 스크류볼트 체결시에 시공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볼트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체결장공(51)에 장착된다. The finishing
그리고 처짐방지부재(50)의 모서리에는 헌치(52)가 형성되어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heonchi 52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sagging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이 부착면(S)에 대해 수직하고 수평한 평면을 형성하면, 그 이후에 결합 프레임(30)의 설치는 끼움과 스크류볼트 체결로 손쉽게 이루어진다.Through this process, when the finishin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부착면(S)의 상단에 장착된 마감 프레임(10)에는 수평 클립(13)이 제1결합공(1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제1결합공(11) 상부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삽입구가 배치된 상부 수평 클립(13)으로 결합 프레임(30)의 개방된 후측면을 삽입한다. 상기 수평 클립(13)은 상기 마감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프레임(30)은 상기 마감 프레임(10)의 길이에 맞게 형성되어 상기 마감 프레임(10)에 적층되므로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후측면은 다수개의 수평 클립(13)에 삽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수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절곡보강부로 스크류볼트를 관통시켜 하층의 마감 프레임(10)의 전면을 통과함으로써 마감 프레임(10)에 결합 프레임(30)을 고정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in the finishing
부착면(S)의 하단에 장착된 마감 프레임(10)에 대한 결합 프레임(30)의 결합은 마감 프레임(10)에서 제1결합공(11) 하부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삽입구가 배치된 하부 수평 클립(13)으로 결합 프레임(30)의 개방된 후측면을 삽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부착면(S)의 상단에 장착된 마감 프레임(10)에 대한 결합 프레임(30)의 결합과 동일하다.The coupling of the
마감 프레임(10)의 상단 및 하단에서 결합 프레임(30)을 설치하면, 수직방향으로 결합 프레임(30)을 설치한다. 상기 결합 프레임(30)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1수직 클립(14)과 제2수직 클립(23)의 삽입구에 결합 프레임(30)의 개방된 후측면을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수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제3절곡보강부(31)로 스크류볼트를 관통시켜 하층의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전면을 통과함으로써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에 결합 프레임(30)을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여기서 결합 프레임(30)에는 상기 제3절곡보강부(31)의 주변으로 절곡함몰부(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절곡보강부(31)를 관통하여 노출된 스크류볼트의 헤드가 결합 프레임(3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는 격자 구조체는 아무런 돌출구조 없는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Here, since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hat you can do
10 : 마감 프레임
11 : 제1결합공
12 : 제1절곡보강부
13 : 수평 클립
14 : 제1수직 클립
20 : 수평 프레임
21 : 제2결합공
22 : 제2절곡보강부
23 : 제2수직 클립
30 : 결합 프레임
31 : 제3절곡보강부
32 : 절곡함몰부
40 : 간격조절부재
41 : 결합플레이트
41a : 정밀조정용 장공
41b : 스크류볼트 시공용 홀
41c : 레벨 확인용 홀
42 : 체결볼트
43 : 팜너트
50 : 처짐방지부재
51 : 체결장공
52 : 헌치
S : 부착면10: finishing frame 11: first coupling hole 12: first bending reinforcement
13: horizontal clip 14: first vertical clip
20: horizontal frame 21: second coupling hole 22: second bending reinforcement
23: second vertical clip
30: coupling frame 31: third bending reinforcement part 32: bending recessed part
40: spacing adjusting member 41:
41b: hole for screw bolt construction
41c: hole for checking level 42: fastening bolt
43 : palm nut
50: sagging prevention member 51: fastening hole 52: haunch
S: attachment surface
Claims (7)
상기 마감 프레임(10) 사이의 동일 평면에서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부착면(S)에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20);
상단에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10)의 전면 상부와, 하단에 설치되는 마감 프레임(10)의 전면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결합 프레임(30); 및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을 상기 부착면(S)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도록 일단은 상기 부착면(S)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40)는, 상기 부착면(S)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결합플레이트(41)와, 상기 결합플레이트(41)에 수직하게 나사산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체결볼트(42)와, 상기 체결볼트(42)와 결합되어 상기 부착면(S)에 대해 상기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마감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20)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팜너트(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
A closing frame (10)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ttachment surface (S)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surface (S)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horizontal frame 20 installed on the attachment surface S in parallel with the finishing frame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ame plane between the finishing frames 10;
I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front of the finishing frame 10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lower front of the finishing frame 10 installed at the bottom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finishing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20. Combined frame 30 is installed; and
One end is installed on the attachment surface (S)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on the finishing frame 10 or horizontal frame 20 so that the finishing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20 are installed apart from the attachment surface (S). Including; spacing adjusting member 40 to be installe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40 includes a coupling plate 4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inserting bolts into the attachment surface S, and a fastening bolt installed so that threads are exposed perpendicularly to the coupling plate 41. (42) and the fastening bolt 42 are coupled to the finishing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20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finishing frame 10 or the horizontal frame 20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surface (S). )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lm nut 43 rotatably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상기 마감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및 결합 프레임(30)은 후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강성 증대 및 볼트 체결 용이를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함몰된 제1절곡보강부(12), 제2절곡보강부(22) 및 제3절곡보강부(31)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nishing frame 10, the horizontal frame 20, and the coupling frame 30 are made of a square tube-shaped cross section with an open rear surface, and a first bending reinforcement that is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cessed to increase rigidity and facilitate bolt fastening.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rtion (12), a second bending-reinforcing portion (22) and a third bending-reinforcing portion (31), respectively.
상기 마감 프레임(10)에는 상기 팜너트(43)를 장착하기 위한 제1결합공(11)과, 상기 마감 프레임(1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공(11)과 이격된 상기 마감 프레임(1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제1결합공(11)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삽입구가 형성되는 수평 클립(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upling hole 11 for mounting the palm nut 43 and a part of the coupling frame 3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inishing frame 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nishing frame 10.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clip 13 is provided in which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upling hole 11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inishing frame 1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11 so as to be The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the building.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에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결합 프레임(3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되는 제1수직 클립(14)과 제2수직클립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
According to claim 3,
In the finishing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20, an insertion hole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ing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20 so that a part of the coupling frame 30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nserted.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vertical clip 14 and the second vertical clip are respectively provided.
상기 결합 프레임(30)에는 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제3절곡보강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보강부(31)에 삽입된 볼트 헤드가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3절곡보강부(31) 주변이 상기 결합 프레임(30)의 전면에 대해 절곡되어 함몰 형성된 절곡함몰부(3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
According to claim 4,
A third bent reinforcement part 3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frame 30, and the bolt head inserted into the third bending reinforcement portion 31 does not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frame 30.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bending reinforcement part 31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nt recessed part 32 formed by bending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frame 30 so as not to.
상기 간격조절부재(40)의 결합플레이트(41)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42)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볼트(42)를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정밀조정용 장공(41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41)의 모서리 부근에는 복수개의 스크류볼트 시공용 홀(41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41)의 일측에는 레이저를 통한 레벨 확인용 홀(41c)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bolt 42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plate 41 of the gap adjusting member 40, and long holes 41a for precision adjustment are formed radially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fastening bolt 42, , A plurality of screw bolt construction holes 41b are formed near the edge of the coupling plate 41, and a hole 41c for level confirmation through a laser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late 41. The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the building.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일단과 타단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재(40) 사이에는,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감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각 중단에 처짐방지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처짐방지부재(50)은 '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은 상기 부착면(S)에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마감 프레임(10) 또는 수평 프레임(20)의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처짐방지부재(5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시공 오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51)이 형성되며,
상기 처짐방지부재(50)의 모서리에는, 보강을 위한 헌치(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40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nishing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20,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finishing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20, the finishing frame ( 10) and a deflection prevention member 50 is installed at each stop of the horizontal frame 20,
The sagging prevention member 50 is made in a 'b' shape, one end is mounted on the attachment surface (S)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nishing frame 10 or the horizontal frame 20,
Fastening holes 51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ccommodate construction errors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member 50,
A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heonchi 52 for reinforcement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sagging prevention member 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0328A KR102697149B1 (en) | 2021-09-30 | 2021-09-30 |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0328A KR102697149B1 (en) | 2021-09-30 | 2021-09-30 |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6825A true KR20230046825A (en) | 2023-04-06 |
KR102697149B1 KR102697149B1 (en) | 2024-08-20 |
Family
ID=8591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0328A Active KR102697149B1 (en) | 2021-09-30 | 2021-09-30 |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7149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284Y1 (en) * | 2004-12-15 | 2005-03-11 | (주)대동석재공업 | Building of out side panel fixing device |
KR200438982Y1 (en) | 2006-12-15 | 2008-03-14 | (주)석철 | Internal and external stone fixed truss structures for buildings |
KR101873231B1 (en) * | 2018-01-22 | 2018-07-04 | 주식회사 디자인기린 | Assembly structure of sliding panel |
KR101932012B1 (en) * | 2018-09-11 | 2018-12-24 | 박정희 | A Balustrade Post of which Posture Can Be Easily Adjusted, Balustrade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14047B1 (en) * | 2019-07-05 | 2020-05-25 | (주)조은건설 | Lightweight wall structure for easy vertical direction adjust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00068421A (en) * | 2018-12-05 | 2020-06-15 | 주식회사 케이씨씨 | The structure of waterproof wall frame for easy installation |
-
2021
- 2021-09-30 KR KR1020210130328A patent/KR1026971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284Y1 (en) * | 2004-12-15 | 2005-03-11 | (주)대동석재공업 | Building of out side panel fixing device |
KR200438982Y1 (en) | 2006-12-15 | 2008-03-14 | (주)석철 | Internal and external stone fixed truss structures for buildings |
KR101873231B1 (en) * | 2018-01-22 | 2018-07-04 | 주식회사 디자인기린 | Assembly structure of sliding panel |
KR101932012B1 (en) * | 2018-09-11 | 2018-12-24 | 박정희 | A Balustrade Post of which Posture Can Be Easily Adjusted, Balustrade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00068421A (en) * | 2018-12-05 | 2020-06-15 | 주식회사 케이씨씨 | The structure of waterproof wall frame for easy installation |
KR102114047B1 (en) * | 2019-07-05 | 2020-05-25 | (주)조은건설 | Lightweight wall structure for easy vertical direction adjust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7149B1 (en) | 202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89857A (en) | Flush mount bridging and backing | |
KR100827716B1 (en) | fixed bracket | |
US10100516B2 (en) | Deck framing system | |
KR100850862B1 (en) | Wall panel mounting device using frame structure for building wall panel of building | |
US20230407633A1 (en) | Ceiling system | |
JP6548427B2 (en) | Fastening aid for outer wall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KR20150072143A (en) | Building non-welding truss structures | |
JP5078493B2 (en) | Reinforcing bracket for ceiling and suspended ceiling using the same | |
US20070220821A1 (en) | Wall Exterior Structure for Outer Wall Heat-Insulated Building and Wall Exterior Base, Lateral Furring Frame for Wall Exterior Material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overing Wall Using Lateral Furring Frame, and Exterior Base Material and Outer Wall Using Exterior Base Material | |
US20230003031A1 (en) | Wood post bracket | |
JP7022961B2 (en) | Ceiling structure and ceiling board mounting member | |
KR20230046825A (en) | Non-welding 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 |
JP7477345B2 (en) | Wall joining tool and exterior wall panel member equipped with said tool | |
KR101281159B1 (en) | upholder assembley for access floor | |
JPH08189078A (en) | Structure of house attached part | |
JP7496135B2 (en) | Ceiling frame hanging structure | |
JP6596785B2 (en) |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 |
KR100894676B1 (en) | Connecting member of window kit fixing bracket | |
KR102126921B1 (en) | Installation bracket for exterior panel | |
KR101914129B1 (en) | A fixing device for a finishing panel of building structures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reof | |
JP6886788B2 (en) | Seismic ceiling structure | |
JP2021031860A (en) | Unit building | |
JP3231006U (en) | Ceiling material mounting structure on the system ceiling | |
JP4602789B2 (en) | Vertical stacking method of extruded cement board and its structure | |
JP4367144B2 (en) | Mounting structure of outer wall panel for protruding cor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