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44897A -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897A
KR20230044897A KR1020210127576A KR20210127576A KR20230044897A KR 20230044897 A KR20230044897 A KR 20230044897A KR 1020210127576 A KR1020210127576 A KR 1020210127576A KR 20210127576 A KR20210127576 A KR 20210127576A KR 20230044897 A KR20230044897 A KR 2023004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random access
rnti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기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2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4897A/en
Publication of KR2023004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897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해제 알림 기술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msg1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msg1에 대한 응답 신호인 msg2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msg2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포함하는 msg3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RNTI가 상기 기지국에서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msg3의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연결이 해제된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Disclosed is a connection release notification technology in a communication system. An operation method performed in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ransmitting msg1 including a preamble to a base station; receiving msg2, which is a response signal to the msg1,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msg3 including a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to the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msg2; and receiv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s released in response to the msg3 from the base station when the C-RNTI is not valid in the base station. thi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해제 알림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Disconnect notification method and device in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해제 알림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과 기지국에서 단말 상태가 불일치하는 경우에 기지국이 단말에게 불일치를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해제 알림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isconnection notification technology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disconnection notification technology in a communication system that allows a base station to notify a terminal of the mismatch when a terminal state is inconsistent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될 수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을 수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be developed. Representativ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include long term evolution (LTE) and new radio (NR), which are defined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LTE may be on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mong 4th generation (4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NR may be on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mong 5th generation (5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4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에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이 고려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다.For the processing of rapidly increasing wireless data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4G communication systems (eg,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LTE), the frequency band (eg, frequency bands below 6 GHz) of the 4G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the 4G communication system A 5G communication system (eg,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R) using a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requency band of (e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higher) may be considered. The 5G communication system may support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and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과 연결 설정을 하기 위하여 최초로 수행하는 절차가 랜덤 액세스 절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랜덤 액세스 절차는 트리거링 하는 주체 및 전용 자원 유무에 따라 여러 절차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랜덤 액세스 절차는 최초 접속을 위한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와 이전에 기지국으로부터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할당 받은 단말이 수행하는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 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a procedure initially performed by a terminal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may be a random access procedure. Such a random access procedure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procedures according to the triggering subjec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dicated resources. Accordingly, the random access procedure can be divided into an initial random access procedure for initial access and a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performed by a terminal previously assigned a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from a base station.

한편, 단말이 음영 지역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통신망이 불안정한 경우에 단말과 기지국에서 관리하는 특정 단말 상태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생각하는 상태(즉,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상태)가 기지국이 생각하는 단말 상태(즉, RRC 아이들 상태)와 다를 수 있어 단말과 기지국에서 관리하는 특정 단말 상태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아이들 상태의 단말이 수행하는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는 기지국에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가 없기 때문에 실패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이 설정된 프리앰블 최대 전송 횟수만큼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여도 결국 실패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은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실패가 자명한 절차를 실행하게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can temporarily move to a shadow area or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unstable, a case in which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terminal state managed by the base station do not match may occur. That is, when the state that the terminal thinks (ie,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state) may be different from the terminal state that the base station thinks (that is, RRC idle state), the terminal and the specific terminal state managed by the base station are inconsistent may occur. At this time, the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performed by the terminal in the idle state may fail because the base station does not have the contex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is case, even if the terminal attempts connected random access as many times as the set maximum number of preamble transmissions, it may eventually fail. As such, the terminal may execute a procedure in which failure is obvious in the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과 기지국에서 단말 상태가 불일치하는 경우에 기지국이 단말에게 불일치를 알려 단말이 불필요한 동작을 반복하지 않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해제 알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onnection disconnection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base station informs a terminal of the mismatch when a terminal state is inconsistent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so that the terminal does not repeat unnecessary operations. is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해제 알림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msg1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msg1에 대한 응답 신호인 msg2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msg2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포함하는 msg3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RNTI가 상기 기지국에서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msg3의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연결이 해제된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nection release notificat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on method performed in a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ransmitting msg1 including a preamble to a base station; receiving msg2, which is a response signal to the msg1,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msg3 including a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to the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msg2; and receiv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s released in response to the msg3 from the base station when the C-RNTI is not valid in the base station.

본 출원에 의하면, 단말과 기지국에서 단말 상태가 불일치하는 경우에 기지국이 경쟁 해소 실패를 단말에게 알려주어 단말이 불필요한 동작을 반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terminal states are inconsistent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informs the terminal of contention resolution failure so that the terminal does not repeat unnecessary operations.

또한, 기지국은 반드시 실패하게 되어 있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단말이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 단말의 불필요한 프리앰블 전송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채널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can enable efficient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channel operation by preventing unnecessary preamble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by allowing the terminal to recognize a random access procedure that is bound to fail.

또한, 기지국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실패에 대하여 단말이 재시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can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by allowing the terminal to avoid retrying for connected random access failure that inevitably occurs.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random access proced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random access procedur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t least one of A and B” may mean “at least one of A or B” or “at least one of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A and B”. Also,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one or more of A and B” may mean “one or more of A or B” or “one or more of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A and B”.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Here,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network”.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support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is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wideband CDMA (WCDMA),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FDMA)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C (single carrier)-F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like may be supported.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a communication nod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0, a memory 220, and a transceiver 230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2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 storage device 260, and the lik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by a bus 2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oweve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dividual interface or an individual bus centered on the processor 210 instead of the common bus 270 . For example, the processor 21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30, the input interface device 240, the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rough a dedicated interface. .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 The processor 210 may refer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Each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UE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UE(130-3) 및 제4 UE(130-4)가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UE(130-2), 제4 UE(130-4) 및 제5 UE(130-5)가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UE(130-4), 제5 UE(130-5) 및 제6 UE(130-6)가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UE(130-1)가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UE(130-6)가 속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 (UEs). )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form a macro cell. Each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and the fifth base station 120-2 may form a small cell.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third UE 130-3, and the fourth UE 130-4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UE 130-2, the fourth UE 130-4, and the fifth UE 130-5 may belong within the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The fifth base station 120-2, the fourth UE 130-4, the fifth UE 130-5, and the sixth UE 130-6 may belong within the coverage of the third base station 110-3. . The first UE 130-1 may belong within the coverage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sixth UE 130-6 may belong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fth base station 120-2.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UE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is a NodeB, an evolved Node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radio base station, radio transceiver, access point, access node, roadside unit (RSU), digital unit (DU), cloud digital unit (CDU) , a radio remote head (RRH), a radio unit (RU), a transmission point (TP),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a relay node, and the like. Each of the plurality of UEs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includes a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 mobile terminal, It may be referred to as a station, subscriber station, mobile station, portable subscriber station, node, device, and the like.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UE(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UE(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Each may support cellular communication (eg, long term evolution (LTE), advanced (LTE-A), etc. specified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operate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or may operate in the same frequency b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ideal backhaul or non-ideal backhaul, and ideal backhaul Alternatively, information may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rough non-ideal backhaul.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a core network (not shown)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eal backhaul.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to a corresponding UE 130-1, 130-2, 130-3, and 130. -4, 130-5, 130-6), and signals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UEs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are transmitted to the core network can be sent to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UE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support OFDMA-based downlink transmission, and may support SC-FDMA-based uplink transmission. ) can support transmission.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transmits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eg, single user (SU)-MIMO, MU (multi user)-MIMO, massive MIMO, etc.), CoMP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arrier aggregat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in unlicensed band, device to device (D2D) ) communication (or proximity services (ProSe)), etc.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UEs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is a base statio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110-1, 110-2, 110-3, 120-1, 120-2) supported by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action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과 연결 설정을 하기 위하여 최초로 수행하는 절차가 랜덤 액세스 절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랜덤 액세스 절차는 트리거링 하는 주체 및 전용 자원 유무에 따라 여러 절차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랜덤 액세스 절차는 최초 접속을 위한 초기 랜덤 액세스와 이전에 기지국으로부터 C-RNTI를 할당 받은 단말이 수행하는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하여 단말은 랜덤 액세스를 위한 PRACH 자원 및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변수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a procedure initially performed by a terminal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may be a random access procedure. Such a random access procedure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procedures according to the triggering subjec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dicated resources. For exampl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can be divided into initial random access for initial access and connected random access performed by a terminal previously allocated a C-RNTI from a base station. For this random access procedure, the terminal may receive PRACH resources for random access and variable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from the base station.

여기서, 초기 랜덤 액세스는 아이들(idle) 상태에 있던 단말이 연결된(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일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 초기 랜덤 액세스를 성공하게 되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을 식별하는데 사용하는 C-RNTI를 할당 받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채널의 설정이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이 가용한 PRACH 자원에 프리앰블 신호(즉, msg1)를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이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TC-RNTI(temporary C-RNTI) 할당 및 RRC(radio resource control) 셋업 요청 신호(즉, msg3)의 전송을 위한 상향 링크(uplink, UL) 그랜트(grant) 정보 등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신호(즉, msg2)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이전 단계에서 수신한 상향 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RRC 셋업 요청 신호(즉, msg3)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경쟁 해소(contention resolution) ID(identifier)와 RRC 셋업 신호(즉, msg4)를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경쟁 해소가 이루어지면 단말은 msg2를 통하여 수신한 TC-RNTI를 C-RNTI로 전환할 수 있고, 이후에 C-RNTI를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initial random access may be a random access for a terminal in an idle state to transition to a connected state. When the terminal succeeds in initial random access to the base station, it may be allocated a C-RNTI used to identify the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complete setting of a channel through which it can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This initial random access procedure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a preamble signal (ie, msg1) to the PRACH resource available to the UE, allocating a temporary C-RNTI (TC-RNTI) that the UE can use temporarily, and radio resource control (RRC) Receiving a random access response signal (ie, msg2) including uplink (UL) grant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the setup request signal (ie, msg3)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an RRC setup request signal (ie, msg3)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received uplink grant, and the terminal receiving a contention resolution ID (identifier) and an RRC setup signal (ie, msg4) from the base station It can be done in steps of When contention is resolved through these steps, the terminal can convert the TC-RNTI received through msg2 into a C-RNTI, and can then use the C-RNTI as an identifier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한편,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는 C-RNTI를 할당 받아 연결 상태인 단말이 상향 링크 동기를 맞추는 등의 목적을 위하여 수행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이 가용한 PRACH 자원에 프리앰블 신호(즉, msg1)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이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TC-RNTI 할당 및 RRC 셋업 요청 신호(즉, msg3)의 전송을 위한 상향 링크(UL) 그랜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신호(즉, msg2)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이전 단계에서 수신한 상향 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전에 할당받은 C-RNTI와 BSR(buffer status report) 정보를 포함하는 RRC 셋업 요청 신호(즉, msg3)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경쟁 해소를 위하여 상향 링크 자원 할당을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0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nected random access may be a random access procedure performed by a terminal in a connected state after being allocated a C-RNTI for the purpose of matching uplink synchronization. Such a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 preamble signal (i.e., msg1) to the base station on available PRACH resources by the UE, TC-RNTI allocation that the UE can temporarily use, and an RRC setup request signal (i.e., msg3 Receiving a random access response signal (ie, msg2) including uplink (UL) grant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previously allocated using the uplink grant received in the previous step Transmitting an RRC setup request signal (ie, msg3) including C-RNTI and BSR (buffer status report)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nd uplink resource allocation for the terminal to resolve contention from the base station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0 may be included.

이와 같은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기지국은 msg3에서 수신한 C-RNTI를 통하여 단말이 이전에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던 단말임을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라고 확인되면 가용한 자원이 있는 경우에 상향 링크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경쟁 해소가 이루어지면 단말은 기지국에게 상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이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게 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할당한 C-RNTI를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이 연결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서 초기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여 C-RNTI를 기지국으로부터 다시 할당 받을 수 있다.In this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the base station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is a terminal previously connected to itself through the C-RNTI received in msg3. Whe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is a valid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allocate uplink resources to the terminal when there are available resources. When contention is resolved through these steps, the terminal can transmit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In this state, when the terminal transitions to the idle state, the base station may delete the C-RNTI allocated to the terminal.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connected state, the terminal may perform initial random access and re-allocate the C-RNTI from the base station.

한편, 단말이 음영 지역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통신망이 불안정한 경우에 단말과 기지국에서 관리하는 특정 단말 상태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말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상태로 생각할 수 있고, 기지국은 단말 상태를 RRC 아이들 상태로 생각할 수 있어 단말과 기지국에서 관리하는 특정 단말 상태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말은 RRC 연결 상태로 C-RNTI를 할당 받아 연결 상태에 있는데, 기지국은 해당 단말을 RRC 아이들 상태로 생각하여 해제할 수 있고, 관련된 컨텍스트를 삭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terminal may temporarily move to a shadow area or a communication network is unstable, a case in which a terminal and a specific terminal state managed by a base station do not match may occur. That is, the terminal can be considered as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ed state, and the base station can consider the terminal state as an RRC idle state, so that a case in which the terminal and a specific terminal state managed by the base station do not match may occur. That is, the terminal is in a connected state by being allocated a C-RNTI in an RRC connected state, and the base station considers the corresponding terminal to be in an RRC idle state and can release it and delete the related context.

도 3은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random access procedure.

도 3을 참조하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 PRACH를 통하여 프리앰블 신호(즉, msg1)를 전송할 수 있다(S30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하여 RAR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S302),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하여 RAR 신호(즉, msg2)를 전송할 수 있다(S303). RAR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에 포함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AR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RA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셋업 요청 신호(즉, msg3)를 전송할 수 있다(S304).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RRC 셋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로 msg4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S305), RRC 셋업 신호(즉, msg4)를 전송할 수 있다(S306). Msg4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는 DCI에 포함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셋업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RRC 셋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a random access procedure, a UE may transmit a preamble signal (ie, msg1) to a base station through PRACH (S301).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a preamble signal from the terminal. Then,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AR signal throug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S302) and transmit the RAR signal (ie, msg2) through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S303).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AR signal may be included in a downlink control indicator (DCI) 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terminal may receive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AR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may receive the RAR signal using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may transmit an RRC setup request signal (ie, msg3) to the base station (S304).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the RRC setup request signal from the terminal. Then,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scheduling information for msg4 to the terminal (S305) and may transmit an RRC setup signal (ie, msg4) (S306). Scheduling information for Msg4 may be included in DCI 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terminal may receive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RC setup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may receive the RRC setup signal using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이후에,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셋업 완료 신호(즉, msg5)를 전송할 수 있다(S307).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RRC 셋업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로 재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08). 재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는 DCI에 포함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과 단말은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S307~S311) 재전송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기지국이 제공하는 재전송 정책에 따라 msg5를 재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재전송마저 실패하게 되면 기지국에 상향 링크 자원을 요청하기 위하여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기지국은 msg5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타이머가 만료되면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를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이 msg5의 재전송의 실패로 인하여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기지국에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가 없기 때문에 실패하게 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terminal may transmit an RRC setup completion signal (ie, msg5) to the base station (S307).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the RRC setup comple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Then,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scheduling information for retransmission to the terminal (S308). Scheduling information for retransmission may be included in DCI 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en, the terminal can receive scheduling information for retransmission from the base station. As such,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retransmission by repeating these operations (S307 to S311). As such, the terminal can retransmit msg5 according to the retransmission policy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if even the retransmission fails, connected random access can be performed to request uplink resources from the base station. In this situation, when the base station cannot receive msg5 and the timer expires, it can delete the contex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performs the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due to the failure of retransmission of msg5, it may fail because the base station does not have the contex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단말은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하여 기지국으로 프리앰블 신호(즉, msg1)를 전송할 수 있다(S320).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로 PDCCH를 통하여 RAR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S321), PDSCH을 통하여 RAR 신호(즉, msg2)를 전송할 수 있다(S322). RAR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는 DCI에 포함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AR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RA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이전 단계에서 수신한 상향 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전에 할당받은 C-RNTI와 BSR 정보를 포함하는 RRC 셋업 요청 신호(즉, msg3)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323).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C-RNTI와 BSR 정보를 포함하는 RRC 셋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가 삭제되었기 때문에 경쟁 해소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없다. 이처럼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경쟁 해소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경쟁 해소 타이머가 만료되면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S330~S333)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반복적인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지만 기지국에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가 없기 때문에 실패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실패가 자명한 절차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될 수 있다. 물론, 단말은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게 되면 이후 링크 실패 복구(link failure recovery)를 위하여 셀 탐색 및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실행함으로 통신 복구가 가능할 수 있으나, 그 사이에 불필요한 시그널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필요한 시그널링 절차는 매우 많은 수의 단말을 수용해야 하는 5G 통신망에서 PRACH 자원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이 반드시 실패하게 되어 있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면 불필요한 프리앰블 전송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PRACH 채널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terminal may transmit a preamble signal (ie, msg1) to the base station for the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S320).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a preamble signal from the terminal. Then,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AR signal to the terminal through the PDCCH (S321), and may transmit the RAR signal (ie, msg2) through the PDSCH (S322).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AR signal may be included in DCI 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terminal may receive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AR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receive the RAR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Then, the UE may transmit an RRC setup request signal (ie, msg3) including previously allocated C-RNTI and BSR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uplink grant received in the previous step (S323).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an RRC setup request signal including C-RNTI and BS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cannot transmit scheduling information for contention resolution to the terminal because the context for the terminal is deleted. In this way, when the terminal cannot receive scheduling information for contention resolu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contention resolution timer expires, the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may be repeated a set number of times (S330 to S333). In this way, although the terminal performs the repeated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it may fail because the base station does not have the contex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ccordingly, the terminal may repeatedly execute a procedure in which failure is obvious. Of course, if the connected random access fails, the terminal may be able to recover communication by performing cell search and initial random access procedures for link failure recovery, but unnecessary signaling may occur in the meantime. Such an unnecessary signaling procedure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PRACH resources in a 5G communication network that must accommodate a very large number of terminals. In this case, if the UE can recogniz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that is bound to fail, unnecessary preamble transmission can be prevented and efficient PRACH channel management can be achieved.

도 4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random access procedure.

도 4를 참조하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S401). 하지만, 기지국은 단말이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등의 다양한 상황으로 인해 단말에 대하여 연결을 해제할 수 있고,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를 삭제할 수 있다(S402). 이와 같이 단말이 자신의 상태를 RRC 연결 상태라고 인식할 수 있고, 자신에게 할당된 C-RNTI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기지국으로 프리앰블 신호(즉, msg1)를 전송하여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S403).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로 PDCCH를 통하여 RAR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S404),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스케쥴링된 PDSCH을 통하여 RAR 신호(즉, msg2)를 전송할 수 있다(S405). RAR 신호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에 포함되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A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random access procedure,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at it is in an RRC connection state with the base station (S401). However, the base station may release the connection to the terminal and delete the context for the terminal due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when the terminal moves to a shadow area (S402). In this way, the terminal can recognize its own state as an RRC connected sta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RNTI allocated to it is valid, it can transmit a preamble signal (ie, msg1) to the base station to start a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S403).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can receive the preamble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AR signal through the PDCCH to the terminal (S404), and may transmit the RAR signal (ie, msg2) through the PDSCH scheduled according to the scheduling information (S405).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RAR signal may be included in a downlink control indicator (DCI) 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RAR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한편, 단말은 이전 단계에서 수신한 상향 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이전에 할당받은 C-RNTI와 BSR 정보를 포함하는 RRC 셋업 요청 신호(즉, msg3)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406).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C-RNTI와 BSR 정보를 포함하는 RRC 셋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C-RNTI와 BSR 정보를 RAR 내의 상향 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여기서, C-RNTI는 기지국이 단말의 신원을 식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BSR은 단말이 상향 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양을 알리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수신한 C-RNTI가 유효한지 판단하여 해당 단말이 연결 상태인 단말로 확인할 수 있으면 단말이 요청한 BSR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 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한 후, 해당 단말에게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경쟁 해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인식할 수 있고 향후 통신을 재개하게 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은 할당할 상향 링크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에게 스케쥴링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msg3 전송 후에 구동하기 시작한 경쟁 해소 타이머(contention resolution timer)가 만료하기 전까지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경쟁 해소에 실패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는 상향 링크 자원이 부족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예외 케이스로 단말이 다시 프리앰블을 전송함으로써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정상 절차일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may transmit an RRC setup request signal (ie, msg3) including previously allocated C-RNTI and BSR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uplink grant received in the previous step (S406).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an RRC setup request signal including C-RNTI and BS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at is, the base station may inform the terminal of the C-RNTI and BSR information using the uplink grant in the RAR. Here, the C-RNTI can be used by the base station to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And, the BSR can be used to notify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UE through the uplink.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C-RNTI is valid and if it can confirm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a terminal in a connected state, allocates uplink transmission resources based on the BSR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terminal and transmits scheduling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n Upon receiving this,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at contention resolution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and may resume communication in the future. If there is no uplink resource to allocate, the base station may not transmit schedul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f the UE does not receive scheduling information until a contention resolution timer that starts running after transmission of msg3 expires, it may consider that contention resolution has failed. This is a general exception case that may occur when uplink resources are insufficient, and it may be a normal procedure for the terminal to perform the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by transmitting the preamble again.

이와 달리,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한 C-RNTI가 기지국에서 단말이 해제되어 유효한 식별자가 아닐 수 있다. 이처럼 어떤 이유로 기지국에서 단말이 해제된 경우, 즉 msg3로 수신한 C-RNTI가 기지국에서 삭제될 수 있고, 관리되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단말이 동작한다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은 경쟁 해소 실패가 자명한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를 기지국에서 설정한 횟수만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 연결 해제 상태 통지 신호를 전송하여(S407) 단말의 해제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RNTI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from the terminal may not be a valid identifier because the terminal is releas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is way, if the terminal is released from the base station for some reason, that is, if the C-RNTI received by msg3 can be dele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is not managed, if the terminal operates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dure, as mentioned above, the terminal resolves contention. Connected random access, of which failure is obvious, may be performed as many times as set by the base station.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may inform the terminal of the release state by transmitting a connection release state notification signal to the terminal (S407).

이때, 기지국은 상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포맷을 활용하여 단말로 연결 해제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상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포맷은 4G 시스템에서는 포멧(format) 0, 5G에서는 포멧 0_0, 포멧 0_1, 포멧 0_2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포맷은 그 쓰임에 따라 전달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지만, 단말이 상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그 목적일 수 있다. 즉 각각의 포멧은 DCI 포멧 식별자, 상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HARQ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DCI 정보를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RNTI로 스크램블링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는 DCI0으로 불릴 수 있다. 특히, 기지국은 DCI0의 필드 중에서 상향 링크 스케줄링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0xFF(또는 무의미한 기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해당 C-RNTI로 어드레싱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may notify the terminal of the disconnection state by utilizing the DCI format for scheduling uplink data. DCI formats for scheduling uplink data may use format 0 in 4G systems and format 0_0, format 0_1, and format 0_2 in 5G. Each format may have different information depending on its use, but its purpose may be to include scheduling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to transmit uplink data. That is, each format may include a DCI format identifier,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HARQ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base station may scramble this DCI information into an appropriate RNTI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Here, DCI includ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may be referred to as DCI0. In particular, the base station may set a parameter related to uplink scheduling among the fields of DCI0 to 0xFF (or other meaningless value), and transmit the address to the corresponding C-RNTI to the terminal.

이때, 기지국은 단말의 컨텍스트가 삭제되었기 때문에 해당 단말의 사용자 탐색 공간(user search space)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C-RNTI로 어드레싱한 DCI0를 공통 탐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은 CSS를 통해 C-RNTI로 어드레싱한 DCI0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msg3를 전송한 이후, 공통 탐색 공간을 모니터링함하여 TC-RNTI 이외에 C-RNTI로 어드레싱된 DCI0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스케줄링 관련 정보가 0xFF(또는 무의미한 기타 값)으로 설정된 DCI0를 획득할 수 있고, 단말은 자신이 이전 어느 시점에 기지국에서 지워졌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커넥티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user search spac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does not exist because the context of the terminal is deleted,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DCI0 addressed by the C-RNTI to a common search space (CSS). As such,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DCI0 addressed to the C-RNTI to the terminal through CSS. After transmitting msg3 in performing the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the terminal may monitor the common search space to decode DCI0 addressed to the C-RNTI in addition to the TC-RNTI.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obtain DCI0 with scheduling-related information set to 0xFF (or other meaningless value), the terminal can detect that it has been deleted from the base station at some point in the past, and the connected random access procedure is stopped. can do.

이후 해당 단말은 네트워크와 통신이 여전히 필요한 경우 바로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해당 셀과 통신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is still required, the terminal may immediately perform a cell search procedure, and operate to communicate with the corresponding cell through an initial random access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nd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some of its components or functions,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Claims (1)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msg1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msg1에 대한 응답 신호인 msg2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msg2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포함하는 msg3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RNTI가 상기 기지국에서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msg3의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연결이 해제된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
As an operation method performed in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msg1 including a preamble to a base station;
receiving msg2, which is a response signal to the msg1,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msg3 including a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to the base station in response to the msg2; and
When the C-RNTI is not valid in the base station, receiv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s released in response to the msg3 from the base station.
KR1020210127576A 2021-09-27 2021-09-27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 Pending KR202300448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576A KR20230044897A (en) 2021-09-27 2021-09-27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576A KR20230044897A (en) 2021-09-27 2021-09-27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897A true KR20230044897A (en) 2023-04-04

Family

ID=8592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576A Pending KR20230044897A (en) 2021-09-27 2021-09-27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489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023A1 (en) 2022-04-27 2023-11-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containing hotspot-derived peptide-nucleic acid hybrid molecule for treating infection caused by mutated coronavir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023A1 (en) 2022-04-27 2023-11-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containing hotspot-derived peptide-nucleic acid hybrid molecule for treating infection caused by mutated coronavir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13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with low d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00557B2 (en) Transport block size for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in random access procedure
US20210345344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pre-configuring dedicated resources in idle mode
US11147047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12200740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JP7456551B2 (e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s, devices and communication systems
EP337203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20230069924A (en) Improved monitoring of random access
KR1027835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mmunication based on grant free manner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50193927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US10433314B2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210034009A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928578B1 (en) Resource configuration for nb-iot
KR101311758B1 (en) Base station and uplink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202300448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system
WO2025102393A1 (en) Processing method, terminal, network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20097893A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s and related products
CN112385282A (en) Uplink skipping during random access procedure
CN114586469B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wireless resource control connection
KR10269528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transmission/recep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2500563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ch-less handover
KR20190101583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failure recovery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220124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ed transmission of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2101058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O2025129703A1 (en)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network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