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499A -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4499A KR20230044499A KR1020237007191A KR20237007191A KR20230044499A KR 20230044499 A KR20230044499 A KR 20230044499A KR 1020237007191 A KR1020237007191 A KR 1020237007191A KR 20237007191 A KR20237007191 A KR 20237007191A KR 20230044499 A KR20230044499 A KR 202300444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diameter
- manufacturing
- cylindrical portion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46—Of particular non cylindrical shape, e.g. conical, rectangular, polygonal, bul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6—Deep-drawing for making peculiarly, e.g. irregularly, shaped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5—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tubula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8—Deep-drawing of cylindrical articles using consecutive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30—Deep-drawing to finish articles formed by deep-dra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69—Transforming the shape of formed can bodies; Forming can bodies from flattened tubular blanks; Flattening can bo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측을 향함에 따라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의 몸체부를 갖는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의 제조 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용기(100)의 제조 방법은, 바닥부(120)와 몸체부(110)를 갖고, 상면 측이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가 상면 측을 향함에 따라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의 금속제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맨 아래쪽 원통 형상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와,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상단에 단차부(270)를 통해서 연속하는 상면 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의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280)를 갖는 금속제의 스텝 컵체(200)를, 상기 스텝 컵체의 상기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소직경 그리고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의 테이퍼 압형부(340)를 갖는 확경 펀치(300)를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개구 측으로부터 원통축 방향을 따라 작용시켜서 확경하는 벌지 성형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벌지 성형 공정을 적어도 1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a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a container having a body having a shape extending outward as it faces the upper surface sid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portion 120 and a body portion 110, a metal container hav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surface side is opened and the body portion expands outward as the upper surface side faces.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owermost cylindrical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260 and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side continuous through the stepped portion 270 is opened at the upper end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The step cup body 200 made of metal having a cylindrical portion 280 of the step cup body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f the step cup body and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 340) and a bulge forming step of expanding the diameter by acting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along the cylindrical axis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ulging forming step is performed at least o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부와 몸체부(胴部)를 갖고, 상면 측이 개방된 금속제의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made of metal having a bottom and a body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최근, 자원의 절약, 폐기물의 삭감 등을 위해, 종이, 플라스틱 등의 용기를 대체 가능하고, 경량, 저렴하고 또한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가 요구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order to save resources, reduce waste, and the like, there is a demand for a container that can replace containers made of paper, plastic, or the like, that is lightweight, inexpensive, and that is easy to recycle.
식기로서, 또는 음료·식품 등을 충전하는 용기로서 사용하는, 상면 측이 개방된 금속제의 용기는 알려져 있으며(특허문헌 1 등 참조), 이를 응용하는 것이 고려된다.A metal container with an open top surface used as tableware or as a container for filling beverages, foods, etc. is known (refer to Patent Literature 1 and the like), and application thereof is contemplated.
공지의 상면 측이 개방된 용기로서, 식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세정하여 몇 번이나 이용하는 금속제의 용기는 알려져 있지만, 장기간의 이용을 고려하여 내구성을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 어느 정도의 판 두께가 필요하여, 재료 비용, 성형 비용이 커지고, 중량도 무거워지기 때문에, 종이, 플라스틱 등의 용기의 대체로 하기에는 문제가 많았다.As a well-known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re are known metal containers, such as those used for tableware, which are washed and reused many times. Since the thickness of the sheet is required, material cost and molding cost are increased, and the weight is also heavy, there are many problems in replacing containers such as paper and plastic.
최근, 금속 캔 용기의 재활용 환경도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은 얇은 재료의 금속 용기를 이용함으로써, 재료 비용, 성형 비용을 저감하고, 중량도 가볍게 하면서, 식기로서 한 번만 이용해도 자원의 절약, 폐기물의 삭감을 행할 수 있을 가능성은 있다.In recent years, since the recycling environment of metal can containers has been established, by using a metal container of a thin material such as Patent Document 1, material cost and molding cost are reduced, and the weight is lightened, and resources are saved even if used only once as tableware. , there is a possibility of reducing waste.
그러나 상면 측이 개방된 금속제의 용기 그대로를 빈 상태로 보관, 수송하고, 사용자가 개방된 상태로 사용을 행하기에는, 형상, 구조가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hape and structure are not suitabl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a metal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in an empty state and for use by a user in an open state.
또한,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등의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세계적인 의식의 고조에 따라, 재활용을 향해 회수되기 쉬운 재료로 만들어진 용기가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long with the global awareness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marine pollution by plastics, containers made from materials that are easily recovered for recycling are required.
한편, 상면 측이 개방된 금속제의 용기의 제조에는,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체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성형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지만, 종래의 음료 캔의 제조 방법은 넥부(neck portion)나 차임부(chime portion) 등 몸체부의 높이 방향의 일부 범위만을 테이퍼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며, 용기의 몸체부의 약 7~9 퍼센트의 넓은 높이 범위를 매끄러운 테이퍼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On the other hand, to manufacture a metal container with an open top surfac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etc., a technique for forming the body portion into a tapered shape is required. Only a part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such as a chime portion, is formed into a tapered shape, and a method of forming a wide height range of about 7 to 9 percent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ntainer into a smooth tapered shape has not been establish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상면 측을 향함에 따라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의 몸체부를 갖는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a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a container having a body having a shape that widens outward as it faces the upper surface side. to be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은, 바닥부와 몸체부를 갖고, 상면 측이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가 상면 측을 향함에 따라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의 금속제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container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e upper surface side being opened and the body portion extending outward as the upper surface side faces,
맨 아래쪽 원통 형상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와,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상단에 단차부를 통해서 연속하는 상면 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의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스텝 컵체(step cup body)를, 상기 스텝 컵체의 상기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소직경 그리고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의 테이퍼 압형부를 갖는 확경 펀치를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개구 측으로부터 원통축 방향을 따라 작용시켜서 확경하는 벌지 성형(bulge forming) 공정을 포함하며,A step cup body made of metal having a lowermost cylindrical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and a cylindrical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whose upper surface side is opened through a stepped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 a diameter expansion punch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f the step cup body and a tapered molding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axis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It includes a bulge forming process that expands by acting along the
상기 벌지 성형 공정을, 적어도 1회 행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The said subject is solved by performing the said bulge forming process at least once.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제조 장치는, 바닥부와 몸체부를 갖고, 상면 측이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가 상면 측을 향함에 따라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의 금속제의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로서,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tal container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e upper surface side being opened and the body portion extending outward as the upper surface side faces,
맨 아래쪽 원통 형상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와,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상단에 단차부를 통해서 연속하는 상면 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의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스텝 컵체를, 상기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개구 측으로부터 원통축 방향을 따라 작용시켜서 확경하기 위한, 상기 스텝 컵체의 상기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소직경 그리고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의 테이퍼 압형부를 갖는 확경 펀치를 구비하는 벌지 성형 금형을,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ep cup body made of metal having a lowermost cylindrical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and a cylindrical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having an upper end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pen through a step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side being opened. A tapered mold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f the step cup body and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for expanding diameter by acting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diamet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axi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one bulge forming mold provided with a diameter-expanding punch.
본 청구항 1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본 청구항 11에 관한 용기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맨 아래쪽 원통 형상의 금속제의 스텝 컵체를 확경하는 벌지 성형 공정을 적어도 1회 행함으로써, 주름이나 몸통 파괴 등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스텝 컵체를 확경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몸체부의 넓은 높이 범위를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경우라도, 상면 측을 향함에 따라 외방으로 넓어지는 소망하는 매끄러운 테이퍼 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금속제로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확경 펀치의 롱 스트로크(long stroke)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 설비의 컴팩트화나 고속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1 and th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11, by performing at least one bulge forming step of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lowermost cylindrical metal step cup body, wrinkles, body breakage, etc. Since the diameter of the step cup body can be expanded without causing damage, even when the wide height range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ntainer is tapered, it has a desired smooth tapered body portion that widens outward toward the upper face side, and is made of metal. It is possible to simply manufacture a container that is easy to recycle. In addition, since a long stroke of the diameter-expanding punch becomes unnecessary, it becomes possible to achieve compactness and high-speed manufacturing equipment.
본 청구항 2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본 청구항 12에 관한 용기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벌지 성형 공정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확실하게 용기의 몸체부의 넓은 높이 범위를 테이퍼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벌지 성형 공정을 2~10회 반복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용기의 몸체부의 넓은 높이 범위를 테이퍼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2 and th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12, by repeating the bulge forming step a plurality of times, it is possible to reliably form a wide height range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ntainer into a tapered shape. By repeating the bulge forming process 2 to 10 times,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mold a wide height range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ntainer into a tapered shape.
본 청구항 4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본 청구항 14에 관한 용기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스텝 컵체가, 스텝 컵체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수평면)에 대한 단차부의 각도가 0~60°인 것에 의해, 주름 등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용이하게 용기의 몸체부의 넓은 높이 범위를 테이퍼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4 and th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14, the angle of the step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ane (horizont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ep cup body is 0 to 60 degre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mold a wide height range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ntainer into a tapered shape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and the like.
본 청구항 5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본 청구항 15에 관한 용기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선행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사용하는 확경 펀치의 테이퍼 압형부의 직경과, 후속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사용하는 확경 펀치의 테이퍼 압형부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에 의해, 확실하게 용기의 몸체부의 넓은 높이 범위를 성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5 and th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15, the diameter of the taper-pressing part of the diameter expanding punch used in the preceding bulging forming step and the diameter expanding punch used in the subsequent bulging forming step By having the diameters of the tapered molded part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liably mold a wide height range of the body of the container.
본 청구항 6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몸체부를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한 경우의, 최하부로부터 10%의 높이의 외주면과 90%의 높이의 외주면을 잇는 선의 외방으로의 넓힘 각도(몸체부 테이퍼각)를 2°~15°, 바람직하게는 3°~10°로 형성함으로써, 높은 강도를 갖고, 음료 등을 수용하여 중심이 올라갔을 때의 굴러 넘어짐이 억제되면서, 포개짐이 쉽고 사용자가 휴대하기 쉬운 형상의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몸체부 테이퍼각이 15°를 넘어 성형된 용기는, 정립 상태에서 나란히 했을 때에 옆의 용기와의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보관 효율이 나빠지며, 몸체부 테이퍼각이 2°보다 작게 성형된 용기는, 포갠 용기를 분리할 때, 꽉 끼임 등의 발생 때문에 분리의 곤란성이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claim 6, when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iner is 100% of the body portion, the angle of outward expansion of the line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height of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height of 90% from the bottom ( By forming the taper angle of the body portion) to 2° to 15°, preferably 3° to 10°, it has high strength, suppresses rolling down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raised by accommodating beverages, etc., and is easy to stack. A container having a shape that is easy to be carried by a user can be manufactured. Containers molded with a body taper angle exceeding 15 ° deteriorate storage efficiency because the distance from the container next to them increases when placed side by side in an upright state, and containers molded with a body taper angle smaller than 2 ° are stacked When the container is removed, the difficulty of separation increases due to the occurrence of jamming or the like.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용기에 의하면, 용기를 2개 포갰을 때, 상방의 용기의 하방의 용기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하방의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20 mm 이하의 높이로 함으로써, 복수의 용기를 포갰을 때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tainer manufactured in this way, when two containers are stacked,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stacked by setting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container of the upper container to a height of 20 mm or less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height can be reduced.
또한, 음료·식료 등의 충전 설비, 뚜껑의 취부 설비 등의 용기의 수송, 이송 시에, 용기를 적층시킨 상태로 수송, 이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음료·식료 등을 충전해 봉함하여 캔을 제조하는 경우 등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ransporting or transporting containers such as filling equipment for beverages and foodstuffs and equipment for attaching lids, it becomes possible to transport and transport containers in a laminated state, filling and sealing beverages and foodstuffs to form cans. Efficienc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can be improved.
본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바닥부의 판 두께를 0.20 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중심 위치가 낮아지고, 자립 안정성이 양호해지는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claim 7, by setting the plat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to 0.20 mm or m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ontainer having a low center of gravity position and good self-standing stability.
또한, 바닥부의 판 두께가 0.35 mm 이하로 되고,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한 경우의 50±10%의 높이의 범위에서 몸체부가 판 두께 0.10~0.22 mm로 함으로써, 재료 비용, 성형 비용을 저감하고, 경량으로 되는 동시에, 게다가 호적한 형상인,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한 경우의, 최하부로부터 10%의 높이의 외주면과 90%의 높이의 외주면을 잇는 선이 상방을 향해 3°~10°의 각도로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cost and molding cost are reduced by setting the plat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to 0.35 mm or less and the body portion to a plate thickness of 0.10 to 0.22 mm in the range of 50 ± 10% of the height when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iner is 100%. When the overall height of the container is 100%, the line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height of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height of 90% from the bottom is 3° upwards, which is reduced and lightweight, and is also a suitable shape. A container formed in a shape extending outward at an angle of ~10° can be obtained.
본 청구항 8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의 용기의 높이에 대한 비율을 4%~15%로 함으로써, 복수의 용기를 포갰을 때에 꽉 끼임을 막는 등의 분리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빈 상태로 보관, 수송할 때의 효율이 향상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돌출부의 용기의 높이에 대한 비율을 5%~9%로 함으로써, 더욱 적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claim 8, by setting the ratio of the protruding portion to the height of the container to 4% to 15%, the volume can be reduced while securing the ease of separation such as preventing jamming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ontainer with improved efficiency when stored and transported in an empty state. It becomes more suitable by making the ratio of the said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a container into 5% - 9%.
본 청구항 10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몸체부를, 다른 용기와 포갰을 때에 서로의 접촉 개소를 적게 함으로써 다른 용기와 밀착하는 것을 막는 접촉부를 갖는 것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용기를 포갰을 때에 몸체부끼리가 면으로 밀착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복수개 포개진 용기를 각각 분리할 때, 접촉부 이외는 비접촉으로 되어 용기 간의 공기의 유통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 분리의 용이성이 더욱 향상된 용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의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스텝 컵체의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용기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다른 스텝 컵체의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b는 도 3a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c는 도 3a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도 1의 용기를 포갠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포갠 용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b는 도 6a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c는 도 6a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1 is a side view of a container manufactured by a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ide view of a step cup body used in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ide view of another step cup body used in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3A;
Fig. 3c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3a;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ontainer of Figure 1 stacked.
5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cked containers of FIG. 4;
6A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6A;
Fig. 6C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6A;
본 발명의 용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A container manufactured by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용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120)와 몸체부(110)를 갖고, 금속제로, 상면 측이 개방된 상부 개구(101)를 갖는, 주지의 종이컵, 플라스틱 컵으로 대체 가능한 형상을 갖는 용기(100)이다.As shown in FIG. 1, the container manufactured by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용기(100)의 몸체부(110)는 상방(상부 개구(101) 측)을 향함에 따라 외방으로 넓어지는 역원뿔대 형상(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111)와, 테이퍼부(111)로부터 상부 개구(101)까지 연속하는 상방 측부(113)와, 테이퍼부(111)로부터 바닥부(120)에 이어지는 하방 측부(114)를 갖고 있다. 몸체부(110)의 테이퍼부(111)는, 예를 들어 단면시에서 직선 형상의 일정한 테이퍼 형상이며, 그의 각도(θ)는 5°이다.The
또한, 상방 측부(113) 및 하방 측부(114)는 외방으로 넓어지지 않고,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Further, the
용기(100)의 테이퍼부(111)는, 예를 들어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했을 때의, 용기(100)를 바닥부(120)가 하방으로 되는 자세로 수평면에 재치한 경우의 수평면으로부터 10%의 높이로부터 90%의 높이까지, 균일한 외방으로의 넓힘 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한 경우의 최하부로부터 10%의 높이의 외주면과 90%의 높이의 외주면을 잇는 선의 외방으로의 넓힘 각도(몸체부 테이퍼각)는 θ와 거의 동일한 약 5°이다.The taper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120)는 주지의 2부재 음료 캔과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상부 개구(101)의 주연부, 즉 몸체부(110)의 상단부는, 컵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날카로운 단면이 직접 입에 닫지 않는 형상, 예를 들어 컬(curl)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eriphery of the
본 발명의 용기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제1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An embodiment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용기(100)는, 금속제의 판재(블랭크)를 바닥을 갖는 그리고 대직경 및 소직경 2개의 원통 형상부를 갖는 스텝 부착 형상으로 성형하여 스텝 컵체(200)를 얻는 스텝 컵체 성형 공정과, 얻어진 스텝 컵체(200)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를 개구 단부(201) 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넓어지도록 벌지로써, 상부 개구(101) 측을 향함에 따라 외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부(111)를 성형하는 벌지 성형 공정을 포함한다. 벌지 성형 공정 후, 몸체부(110)의 상단부에 컬(curl) 성형이 컬 성형이 실시되어 둥글게 되는 컬 성형 공정이 행해진다. 또한, 컬 성형 공정은 벌지 성형 공정 전, 또는 복수회의 벌지 성형 공정의 도중에 행하여도 좋다.The
스텝 컵체(200)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부(270)에 의해 접속된 소직경 및 대직경의 2개의 원통 형상부(260, 280)를 갖는다.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는 맨 아래쪽 원통 형상으로 되고,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280)는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의 상단에 단차부(270)를 통해서 연속하는, 상면 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된다.As shown in FIG. 2A , the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의 내경은 소망하는 용기(100)의 몸체부(110)의 테이퍼부(111)의 최소 내경과 동등하게 된다. 또한,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280)의 내경은 소망하는 용기(100)의 몸체부(110)의 테이퍼부(111)의 최대 내경과 동등하게 된다.The inn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 및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280)의 원통축(X)의 방향의 높이는, 서로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The heights of the small-diameter
단차부(270)는 스텝 컵체(200)의 전주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원통축(X)의 방향에 수직한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약0°, 즉 수평한 단차부면(271)을 갖는다.The stepped
또한, 스텝 컵체는, 단차부면이 원통축(X)의 방향에 수직한 수평면에 대한 각도(α)가 0°보다 크고 60° 이하의 경사면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2b의 스텝 컵체(40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이간한 2개의 단차부(450, 470)에 의해 각각 접속된 소직경, 중직경 및 대직경의 3개의 원통 형상부(440, 460, 480)를 갖는다. 가장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440)는 맨 아래쪽 원통 형상으로 되고, 중직경의 원통 형상부(460)는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440)의 상단에 단차부(450)를 통해서 연속하고, 그리고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480)는 중직경의 원통 형상부(460)의 상단에 단차부(470)를 통해서 연속하는, 상면 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2개의 단차부(450, 470)의 단차부면(451, 471)이, 각각 원통축(X) 방향의 직경방향 내부를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각도(α)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된다.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440)의 내경은, 소망하는 용기(100)의 몸체부(110)의 테이퍼부(111)의 최소 내경과 동등하게 된다. 또한,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480)의 내경은, 소망하는 용기(100)의 몸체부(110)의 테이퍼부(111)의 최대 내경과 동등하게 된다.Further, the stepped cup body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at which the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axis X is greater than 0° and is 60° or less.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스텝 컵체(200)의 단차부(270)(단차부(450, 470))의 수는, 도 2a의 예와 같이 하나라도 좋고, 도 2b의 예와 같이 2개 이상이라도 좋다.The number of stepped portions 270 (stepped
또한, 단차부(270)(단차부(450, 470))가 형성되는 높이 위치는, 도 2a나 도 2b에 나타내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Note that the height position at which the stepped portion 270 (stepp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벌지 성형 공정을 적어도 1회 행하고, 복수회 반복하여 행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lge forming step may be performed at least once and may b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벌지 성형 공정을 복수회 행하는 경우의, 벌지 성형 공정의 반복 회수는, 소망하는 용기(100)의 사이즈, 몸체부 테이퍼각이나 스텝 컵체(200)를 형성하는 판재의 두께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2~10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2~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2~4회, 특히 바람직하게는 3회이다.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bulge forming step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bulge forming step multiple times varies depending on the desired size of the
벌지 성형 공정의 반복 회수가 과다한 경우는, 공정수의 증가에 의해 제조상의 부하나 제조 비용이 증대하는 경우나, 성형 열의 영향이 크게 완성 치수에 무시할 수 없는 불균일성이 발생하고, 수율(yield)이 낮아서 생산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벌지 성형 공정의 반복 회수가 과소한 경우는, 사이즈가 큰 또는 몸체부 테이퍼각이 큰 용기(100)를 제조하는 경우에, 1회의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벌지율(bulging rate)을 크게 설정하는 것으로 되어 몸체부(110)에 파단 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f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bulge forming process is excessive, the manufacturing load or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eps, or non-uniformity that cannot be ignored occurs in the finished size due to the large influence of the molding heat, and the yield There is a risk of low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bulge forming process is too small,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는,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의 테이퍼 압형부(340)를 갖는 확경 펀치(300)와,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외주면(테이퍼 면(341))에 대해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의 주측벽(261)을 통해서 적합한 내주면 형상을 갖는 외측 툴(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성형 금형을 구비하는 제조 장치가 이용된다.In the bulge forming step, a
확경 펀치(300)는, 예를 들어 테이퍼 압형부(340)의 상부에 연속하는 직립 원주 형상의 원통부(350)를 갖는다. 테이퍼 압형부(340)의 외주면은, 확경의 작용면으로 되는 전주에 걸쳐 동 테이퍼 각도의 테이퍼면(341)으로 되어 있다. 테이퍼면(341)의 테이퍼 각도는 소망의 용기(100)의 테이퍼부(111)의 몸체부 테이퍼각에 적합한 각도로 되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5°이다. 테이퍼면(341)은 소망의 용기(100)의 테이퍼부(111)의 몸체부 테이퍼각에 적합하도록 볼록 곡면 형상 또는 오목 곡면 형상이라도 좋다.
확경 펀치(300)는, 그 최대 외경부가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280)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확경 펀치(300)는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280) 내에 느슨하게 삽입할 수 있을 정도로, 즉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280)의 내주면과 확경 펀치(300)의 원통부(350)의 외주면 사이에 미세한 간극이 존재하는 바와 같은 외윤곽 형상을 갖는다.In the diameter-expanding
확경 펀치(30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소정의 스트로크 길이로 왕복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외경의 테이퍼 압형부(340)를 갖는 확경 펀치(300)에 의한 벌지 성형 금형을 복수개 갖는다. 그리고 이 제1 실시형태의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각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외경의 테이퍼 압형부(340)를 갖는 확경 펀치(300)가 이용된다. 1회째, 2회째, …, n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에 이용되는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최대 내경을 각각 d1, d2, …, dn으로 하면, d1>d2>…>dn으로 된다.I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lge forming dies using the diameter-expanding
또한, 각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이용되는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테이퍼면(341)의 테이퍼 각도는, 예를 들어 거의 동일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aper angle of the
또한, (n-1)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에 이용되는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최소 내경은, 이에 계속되는 n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에 이용되는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최대 내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된다.In addition,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또한, 각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이용되는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길이(테이퍼 압형부(340)의 축방향 길이)는 거의 동일하게 되고, 구체적인 길이는 소망하는 용기(100)의 몸체부(110)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11)의 높이나, 벌지 성형 공정의 반복 회수에 의해 결정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또한, 각 확경 펀치(300)에 있어서, 테이퍼 압형부(340)의 테이퍼면(341)의 테이퍼 각도나 축방향 길이는 대략 동일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망의 용기(100)의 구체적인 컵 형상에 맞춰서 각각 적절한 형상으로 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테이퍼면(341)은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최소 내경이나 최대 내경도, 소망의 용기(100)의 구체적인 컵 형상에 맞춰서 각각 적절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In addition, in each
이 제1 실시형태의 용기 제조 방법에 관한 벌지 성형 공정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스텝 컵체(200)를, 개구 단부(201) 측을 받침대(370) 측을 향한 자세로 받침대(370) 상에 배치하고, 스텝 컵체(200)의 개구 단부(201) 측에 확경 펀치(300)를 테이퍼면(341)이 끝자락 협소부(역원뿔대 형상)로 되는 자세로 동축 형상으로 올려 놓는다. 다음에, 스텝 컵체(200)의 외부에 도시하지 않은 외측 툴이 배치된 상태에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경 펀치(300)를 스텝 컵체(200)의 개구 단부(201) 측으로부터 원통축(X)의 방향을 따라 소기의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도 3b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확경 펀치(300)를 이동시켜 가면, 테이퍼 압형부(340)의 테이퍼면(341)이 단차부(270)의 모서리(272)로부터 접촉을 시작하고, 단차부(270)와 주측벽(261)의 일부가 역원뿔대 형상으로 확경되는 동시에 단차부(270)가 소멸해 간다. 그리고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상단이 테이퍼부(111)의 상단으로 되어야 할 레벨 위치까지 이동된 시점에서 확경 펀치(300)의 이동이 정지되고,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에 있어서의 이동된 테이퍼 압형부(340)의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새로운 굴곡부(262)가 형성되는 동시에, 확경 펀치(300)의 테이퍼 압형부(340)의 테이퍼면(341)과 외측 툴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 원통부(251)가 형성된다. 또한, 스텝 컵체(200)의 개구 단부(201) 측에 있어서 확경 펀치(300)의 원통부(350)가 당접한 부분, 또는 확경 펀치(300)가 당접하지 않은 부분이, 용기(100)의 상방 측부(113)로 된다.In the bulge forming step of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A , first, the
후속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는, 보다 소직경의 테이퍼 압형부를 갖는 확경 다이를 이용하여 같은 행위가 행해지고, 선행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형성된 굴곡부(262)가 눌려 넓혀져서 선행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형성된 테이퍼 원통부(251)의 바닥부(220) 측에 포개지도록 또는 인접하도록, 서로 매끄럽게 테이퍼 형상으로 접속되는 상태로 새로운 테이퍼 원통부가 형성된다.In the subsequent bulge forming process, the same action is performed using a diameter expansion die having a smaller diameter taper pressing part, and the
최후의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확경 펀치(300)가 끝까지 이동하지 않고 남았던 스텝 컵체(200)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의 하방부가, 용기(100)의 하방 측부(114)로 된다.In the final bulge forming step, the lower part of the small-diameter
상기의 벌지 성형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테이퍼 원통부(251)가 매끄럽게 연속되어서 테이퍼부(111)로 되고, 이에 의해 균일한 외방으로의 넓힘 각도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111)를 갖는 몸체부(110)의 용기(100)가 얻어진다.By repeating the above bulge forming process, a plurality of tapered
벌지 성형 공정에 의한 벌지율은, 제조해야 할 용기(100)의 테이퍼부(111)의 몸체부 테이퍼 각도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테이퍼부(111)의 최상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 2~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5%이다. 또한, 스텝 컵체(200)의 단차부(270)의 직하(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의 최상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이다.The bulge rate by the bulge forming process is 2 to 15% at the heigh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테이퍼부(111)의 최상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벌지율은, 1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 전의 스텝 컵체(200)(소캔(plain can))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11)의 최상부로 되어야 할 높이 위치의 직경을 L1, 최후(n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 후의 용기(100)의 테이퍼부(111)의 최상부의 직경(테이퍼부(111)의 최대 직경)을 A1로 했을 때, 식(1): 벌지율=(A1-L1)/L1×100(%)로 나타낸다. 또한, 스텝 컵체(200)의 단차부(270)의 직하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벌지율은, 1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 전의 스텝 컵체(200)(소캔)에 있어서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의 최상부의 직경을 L2, 최후(n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 후의 용기(100)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260)의 최상부이었던 높이 위치의 직경을 A2로 했을 때, 식(2): 벌지율=(A2-L2)/L2×100(%)로 나타낸다.The bulge ratio at the heigh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벌지 성형 공정에 의한 벌지율은, 스텝 컵체(200)의 어느 높이 위치에 있어서도, 2~7%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ulge ratio by the bulge forming step is in the range of 2 to 7% at any height position of the
벌지율이 작을수록 소성변형의 정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손상 없이 소망하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111)를 얻을 수 있다. 벌지율이 과대한 경우는, 금속 재료가 가공에 의한 소성변형에 추종할 수 없고 용기(100)의 테이퍼부(111)에 파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Since the degree of plastic deformation decreases as the bulge ratio decreases, the tapered
판재로서는, 주지의 알루미늄 합금제의 2부재 음료캔과 마찬가지로, 양측에 약 0.01 mm의 PET필름을 라미네이트한 판 두께 0.20 mm~0.35 mm의 알루미늄 합금의 판재가 이용된다.As the plate material, an aluminum alloy plat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0.20 mm to 0.35 mm laminated with a PET film of about 0.01 mm on both sides is used, similarly to a well-known aluminum alloy two-component beverage can.
이와 같은 판재를 이용함으로써, 용기에 성형했을 때, 재료의 판 두께가 거의 유지되는 바닥부가 판 두께 0.20 mm~0.35 mm,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한 경우의 50±10%의 높이의 범위의 몸체부(110)가 판 두께 0.10~0.22 mm으로 된다.By using such a plate material, when molded into a container, the bottom part where the plate thickness of the material is almost maintained has a plate thickness of 0.20 mm to 0.35 mm and a height range of 50 ± 10% when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iner is 100%. The
본 발명에 관한 용기(100)를 포갰을 때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When the
(1) 상방의 용기(100)의 테이퍼부(111)의 외면 상단과, 하방의 용기(100u)의 상방 측부(113)의 내면 상단 부근(1) Near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red
(2) 상방의 용기(100)의 하방 측부(114)의 외면 하단과, 하방의 용기(100u)의 테이퍼부(111)의 내면 하단 부근(2) Near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의 적어도 하나가 접촉해서 포개지고, 상방의 용기(100)의 테이퍼부(111)의 외면과 하방의 용기(100u)의 테이퍼부(111)의 내면이 밀착하는 경우는 없다.At least one of is contacted and overlapp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red
상방의 용기(100)의 상단 측은 하방의 용기(100u)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부(112)가 돌출하고, 돌출부(112)의 돌출 높이(T)는 상방 측부(113)의 높이, 하방 측부(114)의 높이, 바닥부(120)의 형상 등으로 결정된다.The upper end of the
도 4의 예에 있어서는, 돌출 높이(T)는 8.0 mm이며, 용기(100)의 높이(H)에 대한 돌출부의 높이(T)의 비율은 7.1%이다.In the example of FIG. 4 , the protrusion height T is 8.0 mm, and the ratio of the height T of the protrusion to the height H of the
또한, 상방 측부(113) 및 하방 측부(114)를 테이퍼부(111)와는 다른 각도로 외방으로 넓어지도록 형성해도 좋고,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거나, 또는 양쪽 모두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Further, the
또한, 상방 측부(113) 및 하방 측부(114)를 테이퍼부(111)와는 역테이퍼로 내방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해도 좋다.Moreover, you may form so that the
상방 측부(113) 및 하방 측부(114)가 존재하지 않는, 또는 극히 작고, 포갰을 때에 상방의 용기(100)의 바닥부(120)의 외면과 하방의 용기(100u)의 바닥부(120)의 내면이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인 경우, 몸체부(110)의 내면 측에 돌출하여 상방에 포개진 용기의 외면과 접촉하는 독립한 접촉부인 비드를 설치함으로써, 상방의 용기(100)의 몸체부(110)의 외면과 하방의 용기(100u)의 몸체부(110)의 내면이 면으로 밀착하는 것을 방지해도 좋다.The
비드의 형상, 방향, 개수, 장소는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내면 측에 돌출해도 외면 측에 돌출해도 내외면이 혼재해도 좋다.The shape, direction, number, and location of the beads may be any, and they may protrude to the inner surface side or the outer surface side, or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may be mixed.
또한, 접촉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면, 비드 형상이 아니라, 점이나 면에서 테이퍼부(11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라도 좋다.In addition, as long as it functions as a contact part, it may be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from the
또한, 용기(100)에 음료 등을 충전한 후, 뚜껑 부재를 취부한 캔으로서 사용해도 좋다.Alternatively, after filling the
뚜껑 부재로서는, 금속제의 스테이 온 탭(stay-on tab) 뚜껑,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시트, 나사 뚜껑 등,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As the lid member, any material may be used, such as a metal stay-on tab lid, a sheet made of a laminate, and a screw lid.
뚜껑 부재를 스테이 온 탭 뚜껑으로 하여 몸체부의 상단에 권체하는 경우는, 용기의 몸체부의 상단은 권체를 위한 트리밍 가공 후에 면상부를 형성하는 플랜징(flanging) 가공을 행한 상태라면 좋다.When the lid member is used as a stay-on-tab lid and woun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container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container has been trimmed for the body and then subjected to flanging to form a planar portion.
뚜껑 부재를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시트로 하여 몸체부의 상단에 열 등으로 접착하는 경우는, 용기의 몸체부의 상단은 접착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면상부를 갖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종이, 수지 필름이나 이들을 2종 이상 적층한 라미네이트 재료를 들 수 있고, 추가로 열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열접착층으로서는, 공지의 실랜트 필름을 시작으로, 래커 타입 접착제(lacquer type adhesive), 이지 필 접착제(easy peel adhesive), 핫멜트 접착제(hotmelt adhesive) 등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채용할 수 있다.When the lid member is a sheet made of a laminate and bond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by heat or the like,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container may have a planar portion to secure the bonding area. Examples of the sheet made of the laminate include aluminum foil, paper, resin film, and a laminate material obtained by laminating two or more of these, and a thermal bonding layer may be further laminated. As the thermal bonding layer, a layer made of an adhesive such as a known sealant film, a lacquer type adhesive, an easy peel adhesive, or a hot melt adhesive can be employed.
뚜껑 부재를 나사 뚜껑으로 하여 몸체부의 상단에 나사 고정하는 경우는, 용기의 몸체부의 상단의 상방 측부(113) 등의 돌출부(112)에 나사산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고, 나사 뚜껑을 나사 고정하기 위해 별도 나사산을 갖는 주출구 부착 뚜껑 부재를 용기의 몸체부의 상단에 권체해도 좋다.When screwing the lid member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s a screw lid, the protruding
돌출부(112)를 뚜껑 부재의 취부 형태에 맞춤으로써, 뚜껑 부재를 어떤 것으로 해도, 용기 부분을 보관, 수송할 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adapting the protruding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의 제조 장치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within the scope o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 it is possible to add various change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용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몸체부의 테이퍼부가 어느 개소에 있어서도 몸체부 테이퍼각이 2°~15°의 각도로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국소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상방 측부나 하방 측부와 마찬가지로, 2°~15°의 범위 외의 부분이 일부 존재하는 용기나, 몸체부의 외방으로의 넓힘이 단면시에서 각도가 서서히 변화하는 곡선 형상의 용기나, 몸체부에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된 용기 등, 직선 형상의 넓힘, 곡선 형상의 넓힘, 단차부 등이 조합된 몸체부를 갖는 용기도 제조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r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not limited to a container formed in a shape where the taper angle of the body portion extends outward at an angle of 2 ° to 15 ° at any location, and locally Like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container in which a part outside the range of 2 ° to 15 ° exists, or a curved container in which the angle gradually changes in cross section when the outward extension of the body portion is present, A container having a body portion in which a linear widening, a curved widening, a stepped portion, etc. are combined, such as a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formed on the body portion, can also be manufactured.
또한,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몸체부(110)를 높이 방향으로 분할하여 각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성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망하는 최종적인 몸체부 테이퍼각을 분할하여 각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몸체부(110)를 서서히 횡방향으로 넓어지도록 성형해도 좋다. 이하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In addition,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dividing the
이 제2 실시형태의 용기 제조 방법에 관한 각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는, 소망하는 용기(100)의 몸체부(110)의 테이퍼부(111)의 높이와 동등한 길이(테이퍼 압형부의 축방향 길이)를 갖고, 그리고 서로 다른 테이퍼 각도의 테이퍼면을 갖고, 그리고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역원뿔대 형상의 테이퍼 압형부를 구비하는 확경 펀치가 이용된다. 1회째, 2회째, …, n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에 이용되는 확경 펀치에 관한 테이퍼 각도를 각각 θ1, θ2, …, θn으로 하면, θ1<θ2<…<θn으로 된다. 또한, 1회째, 2회째, …, n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에 이용되는 확경 펀치의 테이퍼 압형부의 최대 외경을 각각d1, d2, …, dn으로 하면, d1<d2<…<dn으로 된다.In each bulge forming step of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a desired length equal to the height of the tapered
(n-1)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에 이용되는 확경 펀치에 관한 테이퍼 각도(θ(n-1))와, 이에 계속되는 n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에 이용되는 확경 펀치에 관한 테이퍼 각도(θn)와의 각도 차이는, 예를 들어 2.5° 정도로 된다. 이 제2 실시형태의 용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1회째의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이용하는 확경 펀치에 관한 테이퍼 각도가 2.5°, 2회째(최후)의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이용하는 확경 펀치에 관한 테이퍼 각도가 5°이다.The taper angle (θ (n-1)) of the diameter expansion punch used in the (n-1) bulge forming process and the taper angle (θn) of the diameter expansion punch used in the nth bulge forming process following this The angle difference is about 2.5°, for example. In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taper angle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expansion punch used in the first bulge forming step is 2.5°, and the taper angle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expansion punch used in the second (last) bulge forming step is is 5°.
이 제2 실시형태의 용기 제조 방법에 관한 벌지 성형 공정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경사지는 단차부면(571)을 갖는 단차부(570)를 하나 갖는 스텝 컵체(500)를, 개구 단부(501) 측을 받침대(370) 측을 향한 자세로 받침대(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하고, 스텝 컵체(500)의 개구 단부(501) 측에 확경 펀치(도시하지 않음)를 테이퍼면이 끝자락 협소부(역원뿔대 형상)로 되는 자세로 동축 형상으로 올려 놓는다. 다음에, 스텝 컵체(500)의 외부에 도시하지 않은 외측 툴이 배치된 상태에서, 확경 펀치를 스텝 컵체(500)의 개구 단부(501) 측으로부터 원통축(X)의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도 6a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확경 펀치의 테이퍼면에 의해 테이퍼부(111)로 되어야 할 면의 모두가 확경되는 레벨 위치까지 이동된 시점에서 확경 펀치의 이동이 정지된다. 확경 펀치를 이동시키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경 펀치의 테이퍼 압형부의 테이퍼면이 단차부(570)의 내주 측의 모서리(573)로부터 접촉을 시작하고, 확경 펀치의 이동에 따라 단차부(570)의 내주 측의 모서리(573)의 일부가 확경되어서 소멸하고, 잔류한 모서리(593)에 의해 새로운 단차부(590)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용한 확경 펀치의 테이퍼면의 테이퍼 각도(테이퍼 각도(θ1))를 따라 역원뿔대 형상으로 확경되어서 테이퍼 원통부(551)가 형성된다.In the bulge forming step of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6A , first, a
후속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는, 보다 큰 테이퍼 각도(테이퍼 각도(θ2))의 테이퍼 압형부를 갖는 확경 펀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행위가 행해져,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단차부(590)의 잔류한 모서리(593)의 일부가 확경되어 소멸하는 동시에, 선행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있어서 형성된 테이퍼 원통부(551)가 추가로 확경되어 이용한 확경 펀치의 테이퍼면의 테이퍼 각도(테이퍼 각도(θ2))를 따라서 보다 큰 테이퍼 각도(테이퍼 각도(θ2))를 갖는 새로운 테이퍼 원통부(552)(몸체부(110))가 형성된다.In the subsequent bulge forming step, the same action is performed using a diameter expanding punch having a taper forming portion with a larger taper angle (taper angle θ2), and as shown in FIG. 6C, in the preceding bulge forming step, A part of the remaining
상기의 벌지 성형 공정을 단차부가 소멸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몸체부(110)가 서서히 횡방향 넓힘으로 확경되어서 테이퍼부(111)로 되고, 이에 의해 균일한 외방으로의 넓힘 각도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111)를 갖는 몸체부(110)의 용기(100)가 얻어진다.By repeating the above bulge forming process until the stepped portion disappears, the
100, 100u: 용기
101: 상부 개구
110: 몸체부
111: 테이퍼부
112: 돌출부
113: 상방 측부
114: 하방 측부
120: 바닥부
200: 스텝 컵체
201: 개구 단부
251: 테이퍼 원통부
260: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
261: 주측벽
262: 굴곡부
270: 단차부
271: 단차부면
272: 모서리
280: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
300: 확경 펀치
340: 테이퍼 압형부
341: 테이퍼면
342: 하단면
350: 원통부
370: 받침대
400: 스텝 컵체
440: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
450: 단차부
451: 단차부면
460: 중직경의 원통 형상부
470: 단차부
471: 단차부면
480: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
500: 스텝 컵체
501: 개구 단부
551, 552: 테이퍼 원통부
570, 590: 단차부
571: 단차부면
573, 593: 모서리
θ: 테이퍼부의 각도
H: 용기의 높이
T: 돌출부 높이
X: 원통축100, 100u: container
101: upper opening
110: body part
111: taper part
112: protrusion
113: upper side
114: lower side
120: bottom
200: step cup body
201: opening end
251: tapered cylindrical portion
260: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261: main side wall
262: bend
270: stepped part
271: stepped side
272: corner
280: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300: diaphragm punch
340: taper molding
341: tapered surface
342: bottom surface
350: cylindrical part
370: pedestal
400: step cup body
440: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450: stepped part
451: stepped side
460: cylindrical portion of medium diameter
470: stepped part
471: stepped side
480: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500: step cup body
501 Open end
551, 552: tapered cylindrical portion
570, 590: stepped portion
571: stepped side
573, 593: corner
θ: angle of the taper
H: height of container
T: overhang height
X: cylindrical shaft
Claims (15)
맨 아래쪽 원통 형상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와,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상단에 단차부를 통해서 연속하는 상면 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의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스텝 컵체를, 상기 스텝 컵체의 상기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소직경 그리고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의 테이퍼 압형부를 갖는 확경 펀치를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개구 측으로부터 원통축 방향을 따라 작용시켜서 확경하는 벌지 성형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벌지 성형 공정을 적어도 1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container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e upper surface side being opened and the body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s the upper surface side faces,
A step cup body made of metal having a lowermost cylindrical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and a cylindrical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with an upper end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pen through a step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side being open, A diameter expansion punch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f the cup body and a tapered pressing portion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acts along the cylindrical axis direction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to expand the diameter Including a bulge forming process to do,
Th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by performing the said bulge forming process at least once.
상기 벌지 성형 공정을 복수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repeating the bulge forming process a plurality of times.
상기 벌지 성형 공정을 2~10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2,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repeating the bulge forming process 2 to 10 times.
상기 스텝 컵체는 상기 단차부의 상기 스텝 컵체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한 각도가 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tep cup body is a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stepped portion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ep cup body is 0 to 60 °.
선행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사용하는 확경 펀치의 테이퍼 압형부의 직경과, 후속하는 벌지 성형 공정에 사용하는 확경 펀치의 테이퍼 압형부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method for produc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tapered part of the diameter expanding punch used in the preceding bulge forming step is different from the diameter of the tapered part of the diameter expanding punch used in the subsequent bulge forming step.
상기 용기의 몸체부를,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한 경우의, 최하부로부터 10%의 높이의 외주면과 90%의 높이의 외주면을 잇는 선이 2°~15°의 각도로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용기를 2개 포갰을 때, 상방의 용기의 돌출하는 돌출부를, 하방의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20 mm 이하의 높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shape in which the line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height of 10% from the bottom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height of 90% from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ntainer extends outward at an angle of 2° to 15° when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iner is 100%. to form,
A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wo containers are stacke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is set to a height of 20 mm or less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상기 바닥부를 판 두께 0.20 mm~0.35 mm로 하고,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한 경우의, 50±10%의 높이의 범위에서 상기 몸체부를 판 두께 0.10~0.22 mm로 하고,
상기 몸체부를, 용기의 전체 높이를 100%로 한 경우의, 최하부로부터 10%의 높이의 외주면과 90%의 높이의 외주면을 잇는 선이 3°~10°의 각도로 외방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6,
The bottom part has a plate thickness of 0.20 mm to 0.35 mm,
The body part has a plate thickness of 0.10 to 0.22 mm in the range of 50 ± 10% of the height when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iner is 100%,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line connec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height of 10% from the bottom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height of 90% from the bottom widens outward at an angle of 3 ° to 10 ° when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iner is 10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상기 돌출부의 상기 용기의 높이에 대한 비율을, 4% ~1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6 or 7,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protrusion to the height of the container is 4% to 15%.
상기 돌출부의 상기 용기의 높이에 대한 비율을, 5% ~9%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6 or 7,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protrusion to the height of the container is 5% to 9%.
상기 몸체부를, 다른 용기와 포갰을 때에 서로의 접촉 개소를 적게 함으로써 다른 용기와 밀착하는 것을 막는 접촉부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A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has a contact portion that prevents contact with other containers by reducing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when stacked with other containers.
맨 아래쪽 원통 형상의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와,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상단에 단차부를 통해서 연속하는 상면 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의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를 갖는 금속제의 스텝 컵체를, 상기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개구 측으로부터 원통축 방향을 따라 작용시켜서 확경하기 위한, 상기 스텝 컵체의 상기 대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소직경 그리고 상기 소직경의 원통 형상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의 테이퍼 압형부를 갖는 확경 펀치를 구비하는 벌지 성형 금형을,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장치.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tal container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e upper surface side being opened and the body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s the upper surface side faces,
A step cup body made of metal having a lowermost cylindrical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and a cylindrical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with an upper end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pen through a stepped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side being opened. A tapered mold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f the step cup body and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of the step cup body for expanding the diameter by acting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diamet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axis. A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one bulge forming mold having a diameter-expanding punch.
상기 벌지 성형 금형을,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장치.According to claim 11,
A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said bulge forming molds.
상기 벌지 성형 금형을, 2~10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장치.According to claim 12,
A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ving 2 to 10 of the bulge forming molds.
상기 스텝 컵체는, 상기 단차부의 상기 스텝 컵체의 축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한 각도가 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장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The step cup body has an angle of 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ep cup body of the stepped portion.
상기 벌지 성형 금형의 각각은, 확경 펀치의 테이퍼 압형부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장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Each of the bulge forming molds is a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taper forming part of the diameter expansion punc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165813 | 2020-09-30 | ||
JP2020165813A JP2022057514A (en) | 2020-09-30 | 2020-09-30 |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manufacturing device |
PCT/JP2021/028057 WO2022070577A1 (en) | 2020-09-30 | 2021-07-29 |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manufactur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4499A true KR20230044499A (en) | 2023-04-04 |
Family
ID=8095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7191A Withdrawn KR20230044499A (en) | 2020-09-30 | 2021-07-29 |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11403A1 (en) |
EP (1) | EP4223430A1 (en) |
JP (1) | JP2022057514A (en) |
KR (1) | KR20230044499A (en) |
CN (1) | CN116133559A (en) |
CA (1) | CA3191752A1 (en) |
TW (1) | TWI780864B (en) |
WO (1) | WO2022070577A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8060A (en) | 2001-10-29 | 2003-05-08 | Toyo Seikan Kaisha Ltd | Transformed seamless ca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2006224113A (en) | 2005-02-15 | 2006-08-31 | Jfe Steel Kk |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can having straight shape portion and taper shape portion in can body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114031B (en) * | 1982-02-02 | 1985-10-09 | Metal Box Plc | Method of forming containers |
US4782685A (en) * | 1987-12-07 | 1988-11-08 | Redicon Corporation | Apparatus for forming tall tapered containers |
JPH02104423A (en) * | 1988-10-13 | 1990-04-17 | Asia Kinzoku Kogyo Kk | Manufacture of metallic vessel |
TW252961B (en) * | 1994-02-15 | 1995-08-01 | Toyo Seikan Kaisha Ltd | Method of producing seamless cans |
JP2004202541A (en) * | 2002-12-25 | 2004-07-22 | Jfe Steel Kk | Container molding method |
JP5466982B2 (en) * | 2010-04-08 | 2014-04-09 |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 Container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ackaging container |
-
2020
- 2020-09-30 JP JP2020165813A patent/JP2022057514A/en active Pending
-
2021
- 2021-07-29 CA CA3191752A patent/CA3191752A1/en active Pending
- 2021-07-29 KR KR1020237007191A patent/KR20230044499A/en not_active Withdrawn
- 2021-07-29 EP EP21874881.2A patent/EP422343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21-07-29 CN CN202180057867.9A patent/CN116133559A/en active Pending
- 2021-07-29 WO PCT/JP2021/028057 patent/WO2022070577A1/en unknown
- 2021-08-20 TW TW110130790A patent/TWI780864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3
- 2023-03-17 US US18/123,039 patent/US20230211403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8060A (en) | 2001-10-29 | 2003-05-08 | Toyo Seikan Kaisha Ltd | Transformed seamless ca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2006224113A (en) | 2005-02-15 | 2006-08-31 | Jfe Steel Kk |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can having straight shape portion and taper shape portion in can bod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211403A1 (en) | 2023-07-06 |
WO2022070577A1 (en) | 2022-04-07 |
TW202218946A (en) | 2022-05-16 |
CA3191752A1 (en) | 2022-04-07 |
TWI780864B (en) | 2022-10-11 |
CN116133559A (en) | 2023-05-16 |
EP4223430A1 (en) | 2023-08-09 |
JP2022057514A (en) | 2022-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44498A (en) |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 |
US6082944A (en) |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 and top therefor | |
US6374657B1 (en) | Method of making bump-up can bottom | |
KR100186781B1 (en) | Cans for Packaging | |
US20230302517A1 (en) | Tapered cu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CN107399516B (en) | Laminated sheet for container and container | |
WO2008018942A2 (en) | Metal/plastic containers with reinforcing ribs and drawing and ironing | |
KR20230044499A (en) |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 |
JP7206046B2 (en) | Bottle c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ottle can | |
US12370595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iner | |
JP2002178072A (en) | Can lid | |
EP1007426B1 (en) |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 and top therefor | |
JP4404235B2 (en) | Threaded can | |
JP4229650B2 (en) | Bottle-shaped cans | |
US20140197181A1 (en) | Three-piece can | |
JPH0457733A (en) | Lid-sealed type plastic container and its manufacture | |
EP2576369A1 (en) | Packaging | |
WO2023047737A1 (en) | Metal cup | |
US20240367847A1 (en) | Metal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WO2022107471A1 (en) | Metal molded body | |
JP7072380B2 (en) | How to make a bottle can | |
JP2019111554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bottle c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40730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